•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T after Gastrectomy for Gastric Carcinoma: Significance of Soft Tissue Surrounding the Celiac Axi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T after Gastrectomy for Gastric Carcinoma: Significance of Soft Tissue Surrounding the Celiac Axis"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대한밤시선의학회지 1997; 36: 787-793

위 암으로 인한 위절제술 후의 추적 복부 CT상 복강축 주위의 연부조직의 의미 l

백숭연

·

김혜영

·

최혜영

·

이션화

고은주2. 이명숙3

목 적 : 추적 복부 CT상 위암으로 인해 위절제술을 받은 후 생긴 복강축 주위의 연부조 직이 암재발언지 혹은수술후의 조직변화인지를감별하고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위암으로 인해 부분위절제술이나 전체위절제술 받은 후 추적 CT를 시행하 였던 71명의 141 예의 복부 CT를 대상으로 하였다.CT 시행방법은 조영증강 후 횡격막부터 신장까지 1cm 간격과 두께로 영상을 얻었다. 위암재발의 여부는 CT 검사이외에 내시경검 사와 조직생검, 위장촬영술과 종양표시인자 등에 이상이 없을 때를 정상으로 정의하여 분석 한 후 20명의 암재발군과 51 명의 정상군으로 나누었다. 첫번째 추적 CT 상 복강축 주위의 연부조직의 빈도, 경계면, 모양, 범위, 감쇠의 정도와 양상 등을 분석하였고, 두번째 이후의 추적 CT에서는 연부조직 소견의 변화 여부를 관찰하였다. 두군간의 차이를 통계학적으로 X2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수술 후 평균 107~월 만에 시행한 첫번째 추적 CT 상 복강축 주위에 연부조직은

55% (39/71) 에서 보였으며, 그 중 암재발군은 70%(14/20), 정상군은 49%(25/51 명)에서 보였다. 경계는 암재발군 (N = 14) 의 12명 (86%) 에서 분명한 반면에 정상군 (N =25) 의 21 명 (84%) 에서 불분명하였다(P< 0.001). 모양은 암채발군의 12명 (86%) 에서 결절형이나 융합 결절형이지만 정상군의 21명 (84%) 에서 침윤형을 나타내였다 (P< 0.001). 범위는 암재발군 의 8명 (57%) 에서 일측성, 정상군의 16명 (64%) 에서 양측성이었고, 감쇠의 정도는 암재발군 의 각각 7명 (50%) 에서 비장이나근육과동등하였고정상군의 18명 (72%) 에서 근육과동등 하였으며, 양상은 암재발군의 13명 (93%) 과 정상군의 21명 (84%) 에서 균질하였다. 그러나 범위,감쇠의 정도와양상은통계학적으로차이가없었다.

두번째 이후의 추적 CT상 암재발군의 l명에서는 경계가 분명해지고, 결절형태와 일측성 으로 변하였으며, 감쇠가 비장과 동등하게 증가한 반면에, 정상군의 1명에서는 경계가 불분 명해지고, 3명에서는양측성의 범위가감소하였으며, 8명 (32%) 에서 감쇠가감소하였다.

결 론 : 추적 복부 CT는 위절제술을 받은 후 생긴 복강축 주위의 연부조직이 암재발인지 혹은수술후의 조직변화인지의 감별과연부조직의 변화를관찰하는데 유용하였다.

복강축과상장간막동맥 주위의 지방을소실시키는연부조직 은 혜장암의 특징적인 소견으로 보고되어져 왔으며 (1-4) , 그 발생기전은훼장암이 후방으로침범하면서 동맥을둘러싸고그 주변의 지방을 소실시킴으로써 나타난다. 그러나 이 소견은 훼 장이 아닌 다른 종양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며 (5), 특히 만성 훼 장염 (6), 전이성 질환, 임파종, 소장암, 후복막강 내분비 종양 등에서도 보여 더 이상 혜장암의 특정적 인 소견이 될 수 없다고 알려졌다 (7).

101 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진단방사선과학교실 2노원을지병원 방사선과

3삼성제일영원 방사선과

。1 논문은 1996년 10월 1 일 정수하여 1997년 2월 18일에 채택되었음

위암환자의 수술 전이나 수술 후의 CT에서 복강축 주위의 연부조직에 대해 서술된 보고는 현재까지 없었으며, 다만 위암 수술후 재발에 대한 CT 소견을 다푼 몇몇 논문에서 복강축 주 위에 임파선증대가 잘 발생한다고 보고되었다 (8, 9, 10). 그러 나 저자들은 위암으로 인해 부분 혹은 전체위절제술, 소장접합 술과 임파선 박리술을받은후추적 복부 CT상복강축주위의 임파선증대와는 다른 연부조직을 발견하게 되었고, 그 형태학 적 양상이 임파절증대로 보기에는 경계가 불분명한 침윤 모양 이고, 추적 CT를 시행하면 오히려 범위와 감쇠가 감소하는 예 를 볼 수 있었다. 이는 암재발이라기 보다는 수술후에 생긴 조 직변화, 예를들면 섬유증식증의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라는의 문이 생기게 되었다.

(2)

백승연 오1 : 우|알으로 인한 위절제술 후의 추적 복부 CT싱 복강축 주위의 연부조직의 의 01

암재발과 수술 후의 섬유증식증의 감별은 매우 중요한데 그 이유는 임상적으로 환자를 치료하는 방향이 달라지고 또한 예 후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두 경우를 감멸할 수 있는 영상방법은 MR로 얄려져 있지만 (11-14) , 말 기의 섬유증식증과 암재발은 구분이 가능하나 영상소견만으로 는 초기의 섬유증식증과 암재발은 감별할 수가 없으며 (12-14), 조직생검을 해야만 확진을 할 수가 있는 어려움이 있 다.

그러므로 저자들은 위암수술 후 추적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 과 대상을 암재발군과 정.AJ-군으로 나누어, 추적 복부 CT상 복 강축 주위의 연부조직이 보이는 빈도와 형태학적 양상을 비교 하고 또한 추적검사에서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및방법

3년 4개월의 기간 동안 위암으로 인해 부분위절제술 (N=60 명) 혹은 전체위절제술 (N=11명), 소장접합술과 임파선 박리 술을 받은 후 추적 복부 CT을 시행하였던 71명의 환자의 141

예의 복부 CT를 대상으로 하였다. 첫번째 추적 CT는 수술 후 평균 308일만에 71명에서 실시하였고, 두번째는 평균 484일만 에 40명, 세번째는 평균 654일만에 19명, 네번째는 평균 672일 만에 7명, 다섯번째는 평균 914일만에 3명, 6번째는 1065일만에 1명에서 실시하였다. 이 중 진행성 위암은 48명, 조기 위암은 22명, 악성평활근종 1명이었다. 위암재발의 여부는 복부 CT상 복강축주위의 연부조직 이외에 다론이상소견이 없고추적 위 장촬영술, 내시경검사와 조직생검, 종양표시인자 (carcinoem

A B

C D

bryonic antigen) 의 수치 등에 이상이 없을 때 정상으로 정의 하였다. 내시경 검사와 조직생검은 39명, 위장관촬영은 21명,

양쪽 검사를 함께 시행한 경우가 11명이었으며, 종양표시인자 는 전 71 명에서 시행하였다. 위의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 위 암재발이 있었던 경우가 20명, 재발이 없었던 경우가 51명이었 는데, 위암재발의 양상은 간천이 10예, 임파선전이 10예, 복막 암종증 8예, 남아 있는 위의 암재발이 3예, 난소전이와 수술부 위 재발이 각각 1예에서 있었다. CT 기기는 HiLight Advan tage( GE medical system, Milwaukee, USA)를 사용하여, 횡

Fig. 1. The first follow-up abdominal CT imaging of 65-year-old man with recurrence of carcinoma shows dis- tinct nodule(arrow} along the left aspect of the celiac axis and it is consistent with lymphadenopathy.

Fig. 2. 54-year-old man with post- operative change

A. Axial CT scan before operation shows clear fat surrounding the celiac axis.

B. The first follow-up CT 5 months after operation shows indistinct soft tissue (arrows) surrounding the celiac axis.

C. On second follow-up CT one year after operation, soft tissue (arrows) along the celiac axis shows no change.

D. The third f,이low-up CT two years after operation shows the extent of the soft tissue(arrows} is decreased suggestive of postoper- ative fibrosis, as compared with the second follow-up CT.

- 788 -

(3)

대한망시선의학호|지 1997; 36: 787-793

막부터 신장까지 1cm 두께와 간격으로 고식적 인 방법으로 영 상을 얻었으며, 이때 600ml의 구강조영제인 E-Z CAT (E-Z-EM Inc., Westbury, USA) 를 검사시작 한시간 전에 450 ml, 직전에 150ml로 나누어 마시고, 150ml의 정맥조영제인 Optiray 320d(Mallinckrodt Medical Inc., Pointe Claire,

Cananda) 를 점적주사하였다.

분석 방법은 후향적으로한명의 복부방사선 전문의와한명의 복부방사선에 경험이 있는 전문의가 함께 CT 영상을 보면서 서로 의논하여 의견일치를 본 후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첫번째 추적 CT 영상에서 암재발군과 정^J-군에서 복장축 주위의 연부 조직이 보이는 빈도, 연부조직의 양상, 경계는 분명한지 혹 은 불분명한지, 모양은 결절형융합결절형 혹은 침윤형인지,

범위는 복강축을 중심으로 %덕성인지 일측성인지를 보았고,

감쇠의 정도는 주변장기와 비교하여 높은 순서대로 비장, 근육 의 감쇠와 비교하였으며, 감쇠의 양상은 균질한지 혹은 비균질 한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복강축의 경계와 직경의 변화여부, 상 장간막동맥 주위변화여부등을분석하였다.또한두번째 이 후의 추적 CT에서는 연부조직 소견의 변화 여부를 관찰하였 다. 두군간의 차이를 통계학적으로 X2 검정볍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Table 1. Morphological Analysis of Soft Tissue Surround- ing the Celiac Axis on the First Follow-up CT

Recurrence Normal

Group Group P value (N=14) (N=25)

Margin Distinct 12(86%) 4(16%) < 0.001 lndistinct 2(14%) 21(84%)

Shape Nodular 8(57%) 3(12%) <0.001 Confluent nodular 4(29%) 1 (4%)

Permeative 1 (7%) 21(84%) Linear 1 (7%) 0

Extent Unilateral 8(57%) 9(36%) NS Bilateral 6(43%) 16(64%)

NS : Not Significant

Table 2. Attenuation of Soft Tissue Surrounding the Celiac Axis on the First Follow-up CT

Recurrence Normal

Group Group P value (N= 14) (N=25)

Degree Spleen 7(50%) 4(16%) NS

Muscle 7(50%) 18(72%)

Muscle 0 3(12%)

Pattern Homogeneous 13(93%) 21(84%) NS Heterogeneous 1(7%) 4(16%) NS : Not Significant

결 과

수술을 시행한 후 평균 308일 만에 시행한 번째 추적 CT 영상에서 복강축 주위에 연부조직은 55%(39/71) 에서 보였으 며, 그 중 암재발군은 70%(14/20), 정^J-군은 49%(25/51명) 에서 보였다. 연부조직의 경계는 암재발군(N=14) 에서 계가 분명한 경우 (Fig. 1)가 12명 (86%), 계가 불분명한 경우가 2 명(1 4%) 이었고, 정^J-군 (N=25)에서 경계가 불분명한 (Fig. 2) 가 21명 (84%), 경계가 분명한 경우가 4명 (16%)이어 서 암재발군에서는 경계가 분명한 반면정^J-군에서는 불분명 경우가 많았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O.

001). 연부조직의 모양은 암재발군에서 결절형태 (Fig. 1)가 8 명 (57%) , 융합결절형태가 4명 (29%), 선행과 침윤형태가 각각 1명 (7%) 에서 있었고, 정%넌균에서 침윤형태 (Fig. 2) 가 21명 (84%), 결절형태3명 (12%) 과 융합결절형태가 l맹 (4%) 이 었으며, 따라서 암재발군일수록 결절형태를 보이고 정상군일수 록 침윤형태를 보였으며, 일예뿐인 선형을 제외시키고 실시한 통계학적 분석의 결과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O.

001). 연부조직의 범위는 암재발군에서 일측성 (Fig. 1)이 8명 (57%), 양측성 (Fig. 2)이 6명 (47%)이었으며, 정싱L군에서 양 측성이 16명 (64%), 일측성이 9명 (36%)이었고 정^J-군일수록 양측성이 더 많았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able 1). 연부조직의 감쇠는 암재발군에서 비장과 동등한 경우 (Fig. 3A) 와 근육과 동등한 경우가 각각 7명 (50%) 이었으며, 정성군 에서 근육과 동등한 경우 (Fig. 3B) 가 18명 (72%), 비 장과 동등 경우가 4명 (16%), 근육보다 낮은 경우가 3명 (12%) 으로 암재발군에서 감쇠가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두 군간에는

Table 3.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Celiac Axis Recurrence Normal

Group Group P value (N=14) (N=25)

Margin Distinct 9(64%) 23(92%) NS lndistinct 5(36%) 2(8%) Diameter

Enlarged 1 (7%) 0 NS

Normal 13(93%) 25(100%) NS : Not Significant

Table 4. Morphological Change of Soft Tissue Surround- ing the Celiac Axis on Follow-up CT

Recurrence Group Normal Group

(N= 14) (N=25)

Margin 1(7%) 1 (4%)

Shape 1(7%) 1 (4%)

Extent 1(7%) 3(12%)

Attenuation 1(7%) 8(32%)

(4)

백승연 오1: 우|암므로 인한 위절제술 후의 추적 복부 CT싣 복강축 주위의 연부조직의 의미

차이가 없었다. 감쇠의 양상은 암재발군에서 균질한 경우가 13 (93%), 비균절한 경우가 1명 (7%) 이었고, 정상군에서 균질 한 경우가 21명 (84%), 비균절한 경우가 4명 (1 6%) 으로 두군간 에 차이가 없었다 (Table 2).

복강축의 경계는 암재발군에서 분명한 경우가 9명 (64%), 불 분명한 경우가 5명 (36%) 이였고, 정상군에서 분명한 경우가 23 (92%), 불분명한 경우가 2명 (8%) 으로서 불분명한 경계는 암재발군에서 더 많이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복강축의 직경은 암재발군의 1명 (7%) 에서 증가한 경우플 제 외하고는 두군 모두에서 정상이었다 (Table 3). 상장간막동맥 의 기시부에서 보이는 연부조직은 암재발군의 l명 (7%) 에서 경계가 분명하고, 결절형이며, 균질하며, 일측성이고, 비장과 동 등한 감쇠를 보이는 반면에, 정상군의 1명 (7%) 에서는 경계가 불분명하고, 침윤형이며, 균질하며, 양측성이고, 근육과 동등한 감쇠를보였다.

두번째 추적 CT 상 암재발군의 1명에서 연부조직의 경계가 불분명하다가 분명해졌고, 침윤형태가 결절형태로 변하였으며,

양측성이 일측성으로 변하였고, 근육과 동등하였던 감쇠가 비 장과 동응하게 증가하였다. 반면에 정 Àf군은 두번째 추적 CT 상 1명에서 분명한 경계가 불분명해졌으며, 1명에서 결절형태

Fig. 3. A. The first follow-up abdominal CT imaging of 35-year-old man with recurred gastric carcinoma reveals distinct nodule(arrow) along the celiac axis and attenu- ation of that is similar to that of spleen(arrowheads).

Multiple metastatic nodules are seen in the liver and conglomerated lymph nodes are seen in the porta hepatis.

B. The first f,이low-up abdominal CT imaging of 38- year-old man shows distinct soft tissue(arrow) along the right side of the celiac axis and attenuation of that is sirnilar to that of muscle

c.

The third follow-up CT of Fig. B after one and half year, the attenuation of soft tissue(arrow) is decreased and suggestive of postoperative fibrosis.

가 침윤형태로 바뀌었다. 범위는 3명 (12%) 에서 OJ:측성의 범위 가 세번째 추적 CT (2명)와 다섯번째 CT상 (1명) 감소하였다.

비장과 동등한 감쇠를 보였던 4명 중 2명은 두번째 추적 CT상 근육과 동등하게 되었고, 각각의 1명은 세번째 추적 CT상 근육 과 동등하거나 낮게 감소하였다. 근육과 동등한 감쇠를 보였던 4명 중 3명은 세번째 추적 CT 상, 1명은 두번째 추적 CT 상 근 육보다 낮게 감소하여 (Fig. 3C) 정상군의 8명 (32%) 에서 추적 CT 상 감쇠가 감소하였다 (Table 4).

일예에서 수솔한지 137H 월이 지난 후에 실시한 MR상 복강 축 주변의 연부조직이 T1과 T2 영상에서 저신호강도로 나타나 고, Gadolinium조영증강 FMPSPGR에서는 조영증강이 없었 다 (Fig.4).

고 찰

수술을 시행한 후 위암의 국소재발은 절제된 위장 주변조직 으로의 암세포가 침범한 경우을 일걷는다 (8). 대장암으로 인해 대장절제술 후에 암재발에 대한 보고들이 많은 반면에 위절제 술 후의 해부학적 구조가 달라진 정상 CT 소견이나 암재발에 대한 CT 소견에 대한 보고는 별로 없는 실정이다 (9-11). - 790 -

(5)

대한빙시선의학회 XI 1997; 36: 787-793

A B

c

D

Mullin등운 위암재발은 임파선증대 양상으로 가장 많이 나타

나며 (9), 하등은 위수술 후 국소재발이 복강축 주변에 임파선

증대로 나타날 수 있으며 가창 잘 생기는 부위로서 총간동맥,

복강축, 간십이지장인대 부위이며 이때 임파선 증대는 주로 집 함된 양상으로 나타난다고 보고하였다(1이. 이는 혈관주변의 임파계를 따라서 종양이 침범하거나 지방조직으로 직접 침범을 하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7). 따라서 위절제술 후에 복강축 주위의 임파선 증대에 의한 연부조직은 대다수 암재발을 시사 하는 소견으로 인식되어져 왔다.

그러나 저자들의 경우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수술 후 약 107~ 월만에 시행한 첫번째 추적 복부 CT상 복강축 주위의 연 부조직이 55%(39/71) 에서 보였으며, 그 중 암재발이 있었던 환자의 70% (14/2이에서 보였지만, 암재발이 없었던 환자 중 49%(25/51)에서도 복강축 주위에 연부조직이 보였다.

저자들의 경우 암재발군에서의 복강축 주위의 연부조직은 경 계가 분명하고 (86%) , 결절이나 융합결절형태 (86%) 이며, 범위 는 일측성 (57%) 이며, 감쇠는 균질하고 (93%) , 비장 (50%) 이나 끈육 (50%) 과 유사한 경향이 있었다. 그 중 연부조직의 경계와 모양은 암재발군과 정^J-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였으며, 분명한 경계와 결절이나 융합결절 형태는 Mullin등 (9) 과 하등(10) 이 서술하였던 복강축 주위의 임파선 증대와 같 은 양상이었다. 또한 추적 CT 상 1명이기는 하지만 연부조직의 경계가 분명해졌고, 침윤형태가 결절형태로 변하였으며, %t측 성이 일측성으로 변하였고, 근육과 동등하였던 감쇠가 비장과 동등하게 증가하였다.이 소견은복강축주위에서 새로생긴 임 파선증대로 설명할 수 있다.

반면에 정 ^ð군에서의 복강축 주위의 연부조직은 경계가 불분

Fig. 4. 49-year-old man with no re- currence of gastric carcinoma A. The first follow up CT shows distinct nodular soft tissue(arrows) obliterating the celiac axis.

B. Spin echo Tl-weighted image (TR/TE 500/21) reveals low signal intensity(arrows) obliterating the celiac axis

c.

Fast spin echo T2-weighted im- age(TR/TE 4000/105ef.) reveals low signal intensity(arrows) surround- ing the celiac axis.

D. Gadolinium-enhanced FMPSP- GR(TR/TE 68/2.5) image reveals no contrast enhancement(arrows) sur- rounding the celiac axis.

명하고 (84%) , 첨윤형태 (84%) 이며, 범위는 양측성 (64%) 이며,

감쇠는 균질하고 (84%) , 근육 (72%) 과 동등한 경향이 있었다.

그 중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던 불분명한 경계와 침윤 형태는 임파선증대 때 보이는 원형이나 반월형의 형태가 아니며 복강축의 형태를 변화시키거나 밀지 않고 주변 지방조 직내에 단지 음영이 증가된 형태로 보인다. 따라서 하등(10) 이 보고한 위암재발에 의한 임파선 증대의 집합 양상과는 형태가 다르며 추적 CT상 연부조직의 양상이 변함 없거나 경계가 불 분명해지고, 감쇠나 범위의 변화가 없거나 오히려 감소하는 것 은 암재발을 의미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모든 예에서 조직생검을 실시하지 못 하였기 때문에 그 음영에 대한 조직병 리학적 설명은 할 수 없지만, 아마도 수술 후에 발생한 조직의 변화 즉, 섬유증식증으로 설명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수술 후에 복부장기 위치의 변화와 유착으로 인해 소장 의 일부가 복강축 주위로 끼어든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 때에는 형태가 원형이거나 타원형이며 내부에 공기음영이 보이거나 혹은 추적 CT 상 장운동에 의해 모양과 위치가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자들의 경우는 두번째 이후의 추적 CT를 시 행한 40명에서 복강축 주위의 연부조직내에 공기를 볼 수 없었 고, 또한 위치의 변화를 발견할 수 없어서 소장이 유착된 가능 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암재발과방사선치료나수술후에 생기는섬유증식증을강별 하는데 있어서 MR영상은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12-15), 암재발의 경우 T2영상에서 고신호강도를 보이는 반 면에, 섬유화는 저신호강도를 보인다고 하였다(1 2). 수술 후에 생기는 섬유증식증은 초기와 말기로 나눌 수 있는데, 초기는 수 술 후 6개월 미만으로 T2 영상에서 고신호강도로 나타나고 조 m η

(6)

백승연 오1: 우|암므로 인한 위절제술 후의 추적 복부 CT삼 복강축 주위의 연부조직의 의미

직병리학적으로 증가된 혈관, 부종, 염증성 변화 등이 관찰되며 따라서 이시기에는 암재발과 구별할 수 없다(13) . 그러나 수솔 후 1년이상 지난 말기의 섬유증식증은 T2 영상에서 저신호강 도로 보이는데 이는 조직병리학적으로 섬유조직이 성숙되고 혈 관감소와 조직내의 수분이 감소되기 때문으로 생각한다(14,

15). 저자들의 경우 일예에서 수술한지 137H월이 지난 후에 실

시한 MR상 복강축 주변의 연부조직이 T1과 T2 영상에서 저 신호강도로 나타나고 Gadolinium조영증강 FMPSPGR에서는 조영증강이 없었으며 (Fig. 4) 따라서 위의 다른보고들과 비교 하였을 때, 말기 섬유증식증으로 생각된다. 암재발과 말기의 섬 유증식증의 감별은 MR이 조직특성을 잘 반영하기 때문에 영 상 진단만으로 비교적 강별이 용이하다.

CT는 조영증강 정도만으로 암재발과 섬유종식증 간의 감별 이 용이하지 않다. 섬유조직과 섬유종의 CT에 대한 보고에서 섬유조직은 주변의 근육이나 고형장기와 비교하였을 때 조영제 주업전과 후의 CT 영상에서 고밀도로 보이는데 그 원인은 확 실하지 않다(16) . 그러나 두가지 가설로써 설명할 수 있는데 첫 째 조영제 주업전의 CT에서 고밀도로 보이는 이유는 섬유조직 내에 있는 교원질이 고물질밀도(high physical density) 이기 때문이며 둘째 조영증강 후의 CT에서는 주로 섬유조직내에 풍 부한 모세혈관망 때문이라고 설명한다(1 6). CT에서 조영증강 은 재발한 추간판탈출증과 수술후의 섬유성반혼과 감별할 때에 도 사용되었으나 (17,18) 섬유성반혼의 조영증강 여부에 대해 아직까지 반론이 남아 있다. 후복막강 섬유증식증에서 CT 조 영증강의 정도는 병변내의 섬유조직의 성숙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조직학적으로 섬유조직의 파급은 원심성과정으로 나타 나기 때문에(19) 병변의 중앙은 모세혈관이 부족하여 저밀도로 보이는 반면에 가장자리는 혈관이 풍부하여 고밀도로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2이. 저자들의 경우 조영증강 전의 CT를 시행하지 않았고,조영증강후의 정상군의 추적 CT에서 수술후의 섬유 증식증으로 생각되는 복강축주위의 연부조직이 다른 보고에서 처럼 조영증강이 강하게 되지 않고 강쇠가 주변의 근육과 거의 동등하거나 오히려 저하되는 듯이 보이는데, 그 이유로 첫번째 추적 CT도 수술 시행 107H 월 후에 실시되어 시기상 말기의 섬 유증식증에 해당하며 따라서 교원질이 성숙되었고 모세혈관망 이 부족하였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반면에 암재발군의 CT 상 임파선 증대로 생각되는 복강축 주위의 연부조직은 50%에서 비장과 동등하게 증가된 감쇠를 보이는데 이는 암재발과 관련 이 있으리라생각된다.

본연구의 제한점은 복강축 주위의 연부조직을 보였던 39명에 서 생검을 통해 조직병리학적으로 조직을 확진하지 못 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연부조직을 보였던 39명 중 14명의 암재발군에 서는 추적 CT와 모든 영상 방법, 내시경 소견과 내시경상 생검 소견, 종양표시인자 등의 검사에서 암재발로 여겨지는 소견이 있어 암재발로 생각을 했고, 반면에 나머지 25명의 정상군은 추 적 CT와 다른 검사상 암재발의 소견을 발견할 수 없었기 때문 에 청상으로 생각하였다.25명의 정상군에서 복강축 주위의 연 부조직의 벙위는 22명에서는 변함이 없었으나, 3명에서는 오히 려 감소하였고, 감쇠는 8명에셔 감소되었으므로 이 소견은 조

직병리학적 확진이 없다고 할지라도 수술 후의 조직변화에 의 한 섬유증식증이라고 여겨도 무리가 없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저자들의 경우 위절제술, 위소장접합숭과 임파선 박리술을 시행한 후 얻은 추적 CT상 임파선증대로 생각되는 복강축 주위의 연부조직은 경계가 분명하고, 결절이나 융합결 절형태를 나타내었고 섬유증식증으로 생각되는 연부조직은 경 계가 불분명하고, 침윤형태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소 견이 암재발과 수술 후의 조직변화에 의한 섬유증식증과의 감 별점이 될 수 있으며, 추적 복부 CT를 판독할 때 이 점을 염두 에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1. Megibow AJ, Bosniak MA, Ambos MA, Baranbaum ER. Thick- ening of the celiac axis and/or superior mesenteric artery: a sign of pancreatic carcinoma on computed tomography. Radi- ology 1981; 141 : 449-453

2. Freeny PC, Marks WM, Ryan JA, Traverso LW.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diagnosis and staging with dynamic CT. Radiology 1988; 166: 125-133

3. Ward EM, Stephens DH, Sheedy PF. Computed to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ncreatic carcinoma. RadioGraphics 1983; 3 : 547-565

4. Wittich GR, van Sonnenberg E, Willson SA, Tobin RS, Cubberley DA, Marx MQ. Computed tomography of peripancreatic fat planes. Europ J R.adiol 1987; 7: 253-256 5. Mitchell DG, Hill MC, Cooper R et al. The superior mesenteric

artery fat plane: is obliteration pathognomonic of pancreatic carcinoma? CT 1987; 11: 247-253

6. Luetmer PH, Stephens DH, Fisher AP. Obliteration of peri arterial retropancreatic fat on CT in pancreatitis: an exception to the rule. AJR 1989; 153: 63-64

7. Baker ME, Cohan RH, Nadel SN, Leder RA, Dunnick NR. Oblit- eration of the fat surrounding the celiac axis and superior mes- enteric artery is not a specific CT finding of carcinoma of the pancreas. AJR 1990; 155: 991-994

8. Parachristou DN, Fortner JG. Local recurrence of gastric adenocarcinoma after gastrectomy. J Surg Oncol 1981; 18: 47-53 9. Mullin D, Shirkhoda A. CT after gastrectomy in primary gastric

carcinoma. J Comput Assist Tomogr 1985;9 30-33

10. Ha HK, Kim HH, Kim HS, Lee MH, Kim KT, Shinn KS. Local recurrence after surgery for gastric carcinoma: CT findings AJR 1993; 161 :975-977

11. Glazer HS, Lee JK, Levitt RG et al. Radiation fibrosis: differen- tiation from recurrent tumor by MR imaging. Radiology 1985;

156: 721-726

12. Arrive L, Hricak H, Taveres NJ, Miller TR. Malignant versus nonmalignant retroperitoneal fibrosis: differentiation with MR imaging. Radiology 1989; 172 139-143

13. Rafto SE, Amendola MA, Gefter WB. MR imaging of recurrent colorectal carcinoma versus fibrosis. J Comput Assist Tomogr 1988; 12: 521-523

14. Gomberg JS, Friedman AC, Radecki PD, Grumbach K, Caroline DF. MRI differentiation of recurrent colorectal carcinoma from postoperative fibrosis. Gastrointest Radiol 1986; 11 : 361-363 15 이상훈, 김종수, 정태곤 등- 위암 환자에서 근치적 위절제술

후 발생한 간문맥주위 저음영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5;33 763-769

1 4

(7)

대한밍사선의학호1:\11997;36:787-793

16. Ruberstein WA, Gray G, Auh YH et al. CT of fibrous tissue and tumors with sonographic correlation. AJR 1986; 147

1067-1074

17. Braun IF, Lin JP, Bejamin MV, Kricheff II. Computed tomogra- phy of the asymptomatic postsurgical lumbar spine: analysis of the physiological scar. AJR 1984; 142: 140-152

18. Teplick JG, Haskin ME. Intravenous contrast enhanced CT of the postoperative lumbar spine: improved identification

of recurrent disc herniatiün, scar, arachnoiditis, and diskitis AJR 1984; 143 845-855

19. Catino D, Torack RM, Hagstrom JWC. Idiopathic retoperitoneal fi brosis : histochemical evidence for lateral spread of the process from the midline. J Uro/ 1967; 98: 191-194

20. Robbins SL, Cotran RS, Kumar V. Path%gic basis of dis- ease 3rd ed. Philadelphia: Saunders, 1983: 269-270, 760-761, 1153, 1364-1365

J Korean Radiol Soc 1997; 36: 787-793 CT after Gastrectomy for Gastric Carcinoma:

Significance of Soft Tissue Surrounding the Celiac Axisl Seung Yon Baelι M.D., Hae Young Kim, M.D., Hye Young Choi, M.D.

Sun Wha Lee, M.D., Eun Joo Ko, M.D.2, Myung Sook Lee, M.D.3

1 Department of Radiolog)ι College of Medicinε Etνha W omans U niversity 2Department of Radiology, Eulgi Medical Center

3Department of Radiology, Samsung Cheil Hospital

Purpose: To evaluate whether soft tissue surrounding the celiac axis, as seen on abdominal CT imaging after gastrectomy for gastric carcinoma, should be considered as the recurrence of carci- noma or postoperative change.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forty-one abdominal CT examinations of 71 patients who had undergone subtotal or total gastrectomy for gastric carcinoma were included in our study.

Conventional CT scans were obtained with 1 cm thickness and interval from the diaphragm to the kidneys after contrast enhancement. It was considered that carcinoma had not recurred if findings were negative on UGI series, endoscopy with biopsy and a normal level of carcinoembryonic anti- gen except for soft tissue surrounding the celiac axis on abdominal CT. We then divided subjects into a recurrence group(N

=

20) and normal group(N

=

51) and on initial follow-up CT(FU'::CT), analyzed the incidence, margin, shape, extent, degree and pattern of attenuation of the soft tissue surrounding the celiac axis in both groups. Since the second FU-CT examination, we observed changes in the soft tissue surrounding the celiac axis.

Results: On initial f,이low-up CT, at: mean 308 days after surgery, fifty-five percent(39/71) of total patients (70%(14/20) of the rêcurrence group and 49%(25/51) õf the no~mal g;oup) showed soft tis- sue surrounding the celiac axis. The margin was distinct in 12 (86%) of thê recurrence group and indistinct in 21(84%) of the normal group(P ~ 0.0~ 1). Twelve (86%) of the recurrence group showed a nodular or connllent nodular shape and 21(8496) of the normal group showed a permeative shape (P

<

0.001). Extent was unilateral in eight(57%) of the recurrence group and bilate-ral in 16(64%) of the normal group. Attenuation was similar to that of the spleen and muscle in seven(50%) of the re- currence group and was similar to that of muscle in 18(72%) of the normal group. The pattern of attenuation was homogeneous in 13(93%) of the recurrence group and 21(84%) of t-he norma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xtent, degree and pattern of attenuation between the two groups.

Since the second FU-CT examination, soft tissue surrounding the celiac axis was seen to have changed. In one patient in the recurrence group it had a distinct margin, was nodular in shape, unilateral in extent and showed attenuation similar to that of the spleen. In one patient in the nor- mal group, it had changed a

Index Words : Stomach, neoplasms Stomach, surgery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eung Yon Baelι M.D.,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 911-1 MokDong Yangcheon-Ku, Seoul 158-056 Korea Tel: 82-2-650-5173, 5174 Fax: 82-2-644-3362

(8)

'97 년도 진단방사선과 전공의 평가고사 안내

1. 일 시 : 1997 년 5월 31 일 (토) 13:00-16:00

2. 장 소 .• 서울중앙병원 6층강당(서울강남지역경기,강원지역 전공의)

서울대학교병원 소아 1. 2 강당 (서울 강북지역경기, 강원지역 전공의)

전북대학교병원 지하강당(충칭, 호남지역 전공의)

·경북대학교의과대학강당(영남지역 전공의)

3. 수 험 료: 10.000C 전공의 1인당)

4. 송금구좌 : 평화은행 025-25-0005-373C 대한방사선의학호1)

5. 신청마감: 1997년 4월 30일(수)

6 .

신청방법 :Of래 앙식에 소속, 년차성명, 의사면허번호 및 희망하는 장소를 기재하여 학호I E-mail 또는 Fax로 신청

CE-mail: KKRS@chollian.dacom.co.kr Fax 529-7113) 7. 신청앙식

~、- : -t「: 년 차 A<:f> C그j 의사면허번호 희망응시장소

- 794 -

수치

Fig.  2.  5 4- year-old  man  with  post- post-operative  change
Table  2.  Attenuation  of  Soft  Tissue  Surrounding  the  Celiac  Axis  on the  F irst  Follow-up CT
Fig.  3.  A.  The  first  follow-up  abdominal  CT  imaging  of  35-year-old  man  with  recurred  gastric  carcinoma  reveals  distinct  nodule(arrow)  a long  the  celiac  axis  and   attenu-ation  of  that  is  similar  to  that  of  spleen(arrowheads)
Fig.  4.  49-year-old  man with no  re- re-currence  of gastric  carcinoma  A.  The  first  follow  up  CT  shows  distinct  nodular  soft  tissue(arrows)  obliterating  the  celiac  axis

참조

관련 문서

B0 Automatic operation start (GOT) M11 Axis 1 Synchronous control mode B1 Home position return (GOT) M12 Axis 2 Synchronous control mode B2 Error reset (GOT) M13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3.13 Measured grain boundary energies for symmetric tilt boundaries in Al (a) When the rotation axis is parallel to (100), (b) when the rotation axis is parallel to (110).

Cowley (1969): for the same lenses, apertures and system dimension the image contrast must be the same for CTEM and STEM..

Especially, it was theoretically predicted that x-axis and y-axis polarization states can be obtained with a right-handed TR film and a left-handed

Purpose: Giant cell tumor of the tendon sheath are the most common tumors after ganglionic cysts in benign soft tissue tumors which could be recurred after surgical

special space lattice- rotation axis and mirror plane - restriction on the cell parameters. ex) 4 z -fold rotation axis- a=b, γ=90 o - simplifications in

② For the submerged volume and the emerged volume are to be the same, the ship rotates about the transverse axis through the 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