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orrelation between Serum Uric Acid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n Korean Wome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orrelation between Serum Uric Acid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n Korean Women"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최근 노인 인구의 증가와 서구화된 식생활로 인해 뇌졸중, 허혈성 심질환과 같은 질환의 유병률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의 위 험인자로 알려진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에 대한 예방 및 치 료가 더욱 강조되고 있다.

Fang과 Alderman1)이 미국의 국가 건강 영양 조사(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의 자료를 토대로 밝혔듯 최근에 는 일반적인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인자 외에도 혈중 요산 농도가 심 뇌혈관 질환 발생률과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요산은 퓨린(purine) 대사의 최종산물로, 퓨린은 생체 내 신생 합성 및 핵산 분해를 통해 생성되며, 소량만이 식사를 통해 보충되 는데, 이것은 간 대사를 거쳐 퓨린 복합체로 변환되며 이는 다시 잔 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의 작용을 통해 요산으로 대사된다.2)

Received July 19, 2018 Revised October 24, 2018 Accepted November 2, 2018

Corresponding author Jongwoo Kim Tel: +82-2-950-1150, Fax: +82-2-950-4093 E-mail: s2700@paik.ac.kr

ORCID: http://orcid.org/0000-0001-7317-8748

Copyright © 2019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 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riginal Article

https://doi.org/10.21215/kjfp.2019.9.1.102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9;9(1):102-107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한국 성인 여성에서 혈중 요산 농도와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관계

정지인, 조성문, 신덕현, 김종우*, 이선영, 김규남, 백정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가정의학교실

Correlation between Serum Uric Acid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n Korean Women

Jiin Jung, Sungmoon Cho, Deokhyun Shin, Jongwoo Kim*, Seon Yeong Lee, Kyunam Kim, Jeongki Paek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anggye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Background: Serum uric acid (UA) has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obesity, dyslipidemia, and metabolic syndrome; however, its role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is still controversial.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reporting an association between UA levels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CIMT), especially in women.

Methods: The study included 245 subjects whose CIMT was evaluated between February 2016 and December 2017 at a health promotion center. We divided the population into two groups on the basis of menopausal status: premenopausal women (n=78) and postmenopausal women (n=167).

We measured blood pressure, serum lipid profile, fasting blood glucose (FBG), and creatinine and UA levels. CIMT was measured using high- resolution B-mode ultrasonography.

Results: UA levels and CIMT were higher in postmenopausal women (P=0.029, P<0.001). In premenopausal women, age (r=0.438), body mass index (r=0.373), UA (r=0.205), and FBG (r=0.336) were associated with CIMT, whereas in postmenopausal women, age (r=0.326), body mass index (r=0.167), UA (r=0.166), systolic blood pressure (r=0.200), and HDL-cholesterol (r=-0.140) were associated with CIMT. The UA level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CIMT in premenopausal women (β=0.208, P=0.031), whereas age was the only factor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CIMT in postmenopausal women (β=0.253, P=0.002). Women in the highest tertile of uric acid level exhibited a higher CIMT than did those in the lowest tertile after age adjustment (P for trend <0.001).

Conclusion: UA may be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IMT, suggesting that UA is a risk factor for the early detection of CVD, especially in premenopausal women.

Keywords: Uric Aci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Menopause; Women

(2)

정지인 외. 한국 성인 여성의 요산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관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요산의 1/3은 장내 세균에 의해 분해되고, 2/3는 신장을 통해 소변으 로 배출된다. 3%–4%의 요산만이 혈중 단백질에 부착되기 때문에 대 부분은 사구체에서 여과 후 근위세뇨관에서 재흡수 되는 과정을 거 친다. 그러므로 요산의 혈중 증가는 퓨린의 과다 섭취 또는 요산의 신장에서의 배출저하가 원인이 되며, 대부분은 신장에서의 배출 저 하가 원인이 된다.3)

기존 연구에서 고요산혈증은 고혈압, 복부 비만, 당 불내성, 인슐 린 저항성, 이상지질혈증, 대사증후군과 같은 동맥경화성 질환의 주 요 위험인자들과 연관성이 있음이 보고되었다. Crosta 등4)은 노인 인 구의 혈중 요산 농도와 열공성 뇌경색(lacunar infarction)의 관련성 연구에서 혈중 요산 농도가 열공성 뇌경색의 독립적인 위험 인자임 을 밝혔고, Buzas 등5)의 연구에서도 혈중 요산 농도가 높은 집단에 서 더 높은 혈압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carotid intima media thick- ness, CIMT), 낮은 사구체 여과율(glomerular filtration rate)을 보였다.

이는 혈중 요산이 세포의 산화 스트레스와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renin-angiotensin system)의 국소 반응을 증가시켜 혈관 내피세포의 분화이상을 일으킴으로써 세포의 노화와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6-8)

그러나 Bae 등9)이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혈중 요산 농도와 경동맥 내중막 두께, 발목상완 맥파속도(ankle brachial pulse wave velocity)의 연관성을 살핀 코호트 연구에서 요산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성별 에 상관없이 연관성이 없었으며, Sakata 등10)이 일본 성인을 대상으로 혈중 요산 농도와 모든 사망 원인의 연관성을 밝힌 연구에서도 요산 농도가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과 연관성이 없음을 보고한 바, 혈중 요산 농도가 심뇌혈관 질환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작용하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다.

경동맥 초음파를 이용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측정은 비침습적 이며 방사선 노출에 대한 위험성이 낮고, 환자의 급성기 변화에 상대 적으로 적은 영향을 받으므로 심뇌혈관질환 위험도의 초기 평가에

중요하며,11,12) 이를 근거로 국내 고혈압학회의 최근 지침에서도 고혈

압 환자에서 혈관의 동맥경화성 구조 이상을 발견하기 위해 경동맥 초음파를 이용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측정을 권고하고 있다.13)

혈중 요산 농도와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관련성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남성을 대상으로 하여 여성 대상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저자들은 여성에서 혈중 요산 농도가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상관성 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더불어 폐경 전, 후 여성에서 상관관계의 차이가 있는지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2016년 2월 29일부터 2017년 12월 6일까지 서울 소재 일 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하여 병력에 대한 설문지 작성 및 신체계측, 혈액검사, 경동맥 초음파를 이용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 측 정을 완료한 여성 250명을 선별하였다. 폐경 여부는 병력에 대해 개 인별로 작성한 설문지의 기재 내용을 근거로 구분하였다. 이중 설문 지에 응답하지 않은 5명을 제외한 245명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 하고 검사 결과를 취합하여 분석하였다.

2. 신체계측 및 혈압 검사

신장과 체중은 가벼운 옷을 입고 신을 벗은 상태에서 신장-체중 자동측정기(Inbody BSM330; Biospace,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측 정하였다. 신장은 대상자의 양 뒤꿈치, 엉덩이, 등, 머리 뒤통수를 신 장계에 붙이고 무릎을 편 상태에서 시선은 정면을 보도록 하여 소 수점 한자리(0.1 cm)까지 측정하였고, 체중은 킬로그램 단위로 소수 점 한자리까지 측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체질량지수(body mass in- dex, BMI)는 체중/키2 (kg/m2)으로 계산하였다.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 은 깊이 앉은 자세에서 5분간의 휴식 후에 우측 팔에서 기계혈압계 (Dinamap ProCare 100; GE Healthcare, Milwaukee, WI, USA)를 이용 하여 측정하였다.

3. 혈액 검사

혈액 검사는 최소 8시간 이상 금식 상태를 확인 후 팔오금중간정 맥(median cubital vein)에서 채취하였다. 검체는 적절한 처리 후 냉장 보관 되었으며, 24시간 이내에 분석되었다. 총 콜레스테롤(total cho- lesterol), 중성지방(triglycerides),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를 포함한 혈중 지질농도와 혈중 요산 농도, 공복혈당은 자동분석기(Hitachi Automated Analyzer 7600; Hitachi, Tokyo,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4. 경동맥 내중막 두께 측정

앙와위(supine position)에서 고해상도 심초음파(Philips IU22; Phil- ips Ultrasound Inc., Reedsville, PA, USA)를 사용하여 B-mode 방식으 로, 총경동맥에서 경동맥 팽대부로 이행하는 경계부로부터 근위부 1 cm 구간에서 측정하였다. 내중막 두께는 혈관 내강과 혈관 내막의 경계부위로부터 혈관 중막과 혈관 외막의 경계부위까지의 거리로 정의하였다. 맥박에 따른 경동맥 내중막 두께 변화 보정을 위해 심전

Original Article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3)

Jiin Jung, et al. Serum Uric Acid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n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도에서 peak R wave 시점에 측정하였다. 좌우 경동맥 모두에서 내중 막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양측 결과 중 높은 값을 이용하여 분석하 였다.

5. 통계

통계 분석을 위하여 IBM SPSS Version 24 (IBM Co., Armonk, NY, USA)를 이용하였고, 통계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기하였다. 연 구 대상의 표본 크기와 전체 맥락을 고려하여 신뢰수준은 90%로 하 였으며, P-값<0.1을 기준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폐경 전후 군의 임상적 특성은 student t-test를 이용하여 비교하였고, 심뇌혈관 발생의 위험과 관련이 있는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 및 공복혈당, 총콜 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 스테롤, 혈중 요산 농도와 같은 생화학적 표지자와 경동맥 내중막 두 께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혈중 요산 농 도와 이들 변수 간의 독립적인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 석을 시행하였다. 혈중 요산 농도에 따른 경동맥 내중막 두께 변화의 경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전체 연구 대상자를 혈중 요산 농도에 따라 삼분위로 나누어 일원배치 분산 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과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시행하였다. 또한, 이 경 향성의 독립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연령을 보정한 후 공분산분 석(analysis of covariance, ANCOVA)을 시행하였다.

결 과

1. 연구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분석 대상은 총 245명의 여성으로, 폐경 전 여성은 78명, 폐경 후 여성은 167명이었다. 평균 연령은 55.5±11.9세(폐경 전 여성 42.33±8.01 세, 폐경 후 여성 61.58±7.81세)였다. 혈중 요산 농도는 전체 4.7±1.0 mg/

dL, 폐경 전 여성 4.52±0.95 mg/dL, 폐경 후 여성 4.77±1.02 mg/dL로, 폐 경 후 여성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P=0.029). 또한, 경동맥 내중막 두 께는 전체 0.80±0.13 mm, 폐경 전 여성 0.72±0.09 mm, 폐경 후 여성 0.83±0.12 mm로, 폐경 후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P<0.001). 이 외에 체질량지수, 수축기 혈압,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 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폐경 전후 여성간 유의한 차이를 보 였으며, 이완기 혈압,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혈당, 크레아티닌 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1).

2. 혈중 요산농도와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상관관계

Pearson 상관계수(r)를 이용한 상관분석에서 경동맥 내중막 두께 는 폐경 전 여성에서 연령(r=0.438), 체질량지수(r=0.373), 혈중 요산 농 도(r=0.205), 공복혈당(r=0.336)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경 후 여성에서는 연령(r=0.326), 체질량지수(r=0.167), 혈중 요산 농도 (r=0.166), 수축기 혈압(r=0.200)과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r=

-0.140)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완기 혈압,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크레아티닌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두 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 다(Table 2).

Table 1.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Variable Overall

(n=245)

Premenopausal status (n=78)

Postmenopausal status

(n=167) P-value*

Age (y)* 55.5±11.9 42.33±8.01 61.58±7.81 <0.001

BMI (kg/m2)* 24.0±3.3 23.00±3.40 24.46±3.21 0.001

Systolic BP (mmHg)* 120.4±16.5 113.73±15.25 123.47±16.21 <0.001

Diastolic BP (mmHg) 75.9±11.0 75.24±11.38 76.16±10.84 0.544

FBS (mg/dL) 96.0±22.9 94.06±28.62 96.96±19.64 0.357

Lipid profile (mg/dL)

Total cholesterol 190.8±36.1 185.68±32.53 193.20±37.49 0.129

Triglycerides 114.8±58.4 107.22±56.67 118.37±59.09 0.165

HDL cholesterol* 55.1±12.4 57.09±12.66 54.18±12.21 0.087

LDL cholesterol* 113.5±25.5 106.90±22.31 116.65±26.41 0.003

Uric acid (mg/dL)* 4.7±1.0 4.52±0.95 4.77±1.02 0.029

CIMT (high, mm)* 0.80±0.13 0.72±0.09 0.83±0.12 <0.001

Creatinine (mg/dL) 0.66±0.13 0.65±0.10 0.66±0.13 0.780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BMI, body mass index; BP, blood pressure; FBS, fasting blood sugar; HDL, high-density lipoprotein; LDL, low-density lipoprotein; CIMT,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P-value<0.1 by student t-test.

(4)

정지인 외. 한국 성인 여성의 요산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관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3. 경동맥 내중막 두께와 관련된 독립적인 영향변수

상관분석에서 유의하게 확인된 대사지표 중 경동맥 내중막 두께 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해 보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폐경 전 여성에서는 혈중 요산 농도(β=0.208, P=0.031)와 연령(β=0.395, P<0.001), 공복 혈당(β=0.283, P=0.008)이 통계적으로 유 의한 독립적인 영향변수였으나, 폐경 후 여성에서는 연령(β=0.253, P=0.002)만이 유일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독립적인 영향변수인 것 으로 확인되었다(Table 3).

4. 혈중 요산 농도에 따른 삼분위 그룹간의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비교

전체 대상군을 혈중 요산농도에 따라 삼분위로 나누어 혈중 요산 농도와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각 그룹의 혈중 요산의 평균은 3.63±0.42 mg/dL (group 1), 4.56±0.23 mg/dL (group 2), 5.75±0.69 mg/dL (group 3)이었고, 카이-제곱 검정과 일원배 치 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 이에 따른 평균 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group 3에서 group 1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P=0.001)를 보였으 며, 연령을 보정한 후 공분산분석을 시행한 결과에서도 이러한 경향 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P for trend<0.001) (Figure 1).

고 찰

본 연구는 폐경 전후 여성에서 혈중 요산 농도와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으며, 폐경 전 여성에서 혈중 요산 농도가 경동맥 내중막 두께에 독립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작용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근거로 폐경 전 여성에서 무증상의 동맥 경화성 질환 발생 위험도 평가에 혈중 요산 농도를 부가적인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에 의미가 있다. 반면, 폐경 후 여성에서 는 폐경 전 여성 대비 혈중 요산 농도와 경동맥 내중막 두께, 혈압, 혈 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혈중 요산 농도는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독립적인 변수는 아니었다.

Wingrove 등14)은 폐경 전후 여성에서 혈중 요산 농도는 차이가 있 으며, 이것은 연령과 상관없이 폐경에 의한 대사 변화 때문이라고 밝 혔는데, 이에 대해 Jung 등15)은, 폐경 후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의 복합 호르몬 치료가 혈중 요산 농도를 낮출 수 있다고 하였고, Hak과 Choi16)는 폐경 전 상황에서 혈중 요산 농도가 낮은 것은 에스 트로겐이 신장에서의 요산 배출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라고 주장하 였다. 반면, Krishnan 등17)은 폐경 후 여성에서 혈중 요산 농도가 높 은 이유에 대해 에스트로겐의 감소 효과보다 연령의 영향이 크다고 주장하였다.

Table 2. Pearson correlation between CIMT and variables according to menopausal status

Variable

Premenopausal status (n=78)

Postmenopausal status (n=167)

r P-value r P-value

Age 0.438* <0.001 0.326* <0.001

BMI 0.373* 0.001 0.167* 0.031

Systolic BP 0.146 0.203 0.200* 0.009

Diastolic BP 0.142 0.216 0.022 0.775

FBS 0.336* 0.003 0.030 0.700

Total cholesterol 0.104 0.364 -0.026 0.736

Triglyceride 0.105 0.362 -0.019 0.803

HDL cholesterol -0.155 0.175 -0.140* 0.071

LDL cholesterol 0.164 0.150 0.011 0.892

Uric acid 0.205* 0.072 0.166* 0.032

Creatinine 0.116 0.310 -0.02 0.800

CIMT,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BMI, body mass index; BP, blood pressure;

FBS, fasting blood sugar; HDL, high-density lipoprotein; LDL, low-density lipo- protein.

*P<0.1.

Table 3. Regressio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serum uric acid and CIMT of each group

Variable

Premenopausal status (n=78)

Postmenopausal status (n=167)

β P-value* β P-value

Serum uric acid 0.208 0.031 0.096 0.207

Systolic BP - - 0.104 0.191

Age 0.395 <0.001 0.253 0.002

BMI 0.143 0.184 0.057 0.470

FBS 0.283 0.008 - -

HDL cholesterol - - -0.050 0.514

CIMT,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BP, blood pressure; BMI, body mass index;

FBS, fasting blood sugar; HDL, high-density lipoprotein.

*Adjusted by age, BMI, FBS. Adjusted by systolic BP, age, BMI, HDL cholesterol.

Figure 1. Mean CIMT according to serum uric acid tertiles by ANCOVA.

CIMT,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ANCOVA, analysis of covariance.

Group 1 2.6 4.1

MeanCIMT(mm)

Uric acid tertile (mg/dL) Group 2

4.2 4.9

Group 3 5.0 7.8

0.77 0.77

0.84 P for trend<0.001

(5)

Jiin Jung, et al. Serum Uric Acid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n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기존 연구들에서 고요산혈증이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인자가 될 수 있음이 밝혀져 있는데, Kumral 등18)의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혈중 요산 농도와 경동맥 질환과의 연관성을 살펴본 연구 결과에 따 르면, 혈중 요산 농도가 높은 군에서 경동맥 내중막의 두께, 연령, 중 성 지방과 아포 B 지단백(apo B lipoprotein)의 농도가 더 높았고, 더 많은 신장 기능 이상을 보였으며, 경동맥 질환의 발생 빈도도 높았 다.

혈중 요산 농도가 심뇌혈관 질환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기전에 대 해서 살펴보면, 혈중 요산은 혈관 내피의 증식과 산화 대사작용,6-8) 혈관수축인자들의 생산과 동맥 혈관의 구조적 변화 등에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19,20) 이러한 경향성은 당뇨병 환자와 고혈압, 높은 체질량지수, 고중성지방혈증 등을 보이는 대사증후군 환자 집단에 서 뚜렷하였고, 폐경 후의 여성일수록 대사증후군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폐경 후 여성에서 혈중 요산의 증가는 연 령에 비례해 높아지는 심뇌혈관 질환의 발생률을 설명하는 한 요인 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전의 Montalcini 등21)은 폐경 후 여성에서 혈중 요산이 경동맥 내중막 두께에 대한 독립적인 변수로 작용하므로, 심혈관 질환의 위 험 인자로서 혈중 요산이 예측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 는데, 본 연구에서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가 이와 다 른 것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를 대상으로 하였고, 혈중 요산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대사증후군과 연관된 인자들을 보정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다음과 같은 사실을 꼽을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한 집단을 전향적으로 추적 관찰한 연구가 아닌 단면 연구 로, 폐경 전후 여성군 간의 특성 차이가 있었고, 이에 대해 혈중 요산 농도와 뇌혈관 질환의 인과관계를 알 수 없는 연구였다. 둘째, 대상 군의 폐경 여부를 대상자가 작성한 설문지 기재 내용만을 토대로 판 단하였다. 셋째, 대상군의 혈액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뇨제 등 의 약물과 음주, 흡연, 신체 활동 등 생활양식이 고려되지 않았다. 넷 째, 연구 대상 인원이 245명으로 대규모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 나 이러한 한계점에도 본 연구결과에서 대상으로 한 전체 여성 집단 에서 혈중 요산농도에 따른 삼분위수 비교에서 경동맥 내중막 두께 는 유의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므로, 연령, 체질량지수 등의 대 사 증후군 지표와 혈중 요산 농도의 상관성을 고려할 때 특히 폐경 전 여성에서 혈중 요산 농도의 유의한 증가는 무증상 경동맥 경화의 예측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음을 예상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Baldus 등22)이 잔틴 산화효소 억제제(xanthine oxidase inhibitor)가 심혈관 질환 환자에서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 부전(vas- cular endothelial dysfunction)을 호전시켰다고 밝혔듯 폐경 전 여성에

서 혈중 요산 농도를 낮춤으로써 경동맥 내중막 두께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요 약

연구배경:

혈중 요산 농도와 심뇌혈관질환의 연관성은 밝혀져 있으 나, 위험인자로서의 독립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며, 여성을 대상 으로 한 연구는 거의 없어 본 연구에서는 폐경 전, 후 여성에서 혈중 요산 농도와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상관관계와 영향인자로서의 독 립성을 살펴보았다.

방법:

2016년 2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서울 소재 일개 대학병원 건 강검진 센터에서 문진 및 신체계측, 혈중 지질 농도, 혈중 요산 농도, 크레아티닌, 공복 혈당을 포함한 혈액 검사, 경동맥 초음파를 이용 한 경동맥 내중막 두께를 측정한 여성 수검자 245명을 대상으로 하 였고, 문진을 통해 폐경 전, 후 그룹으로 나누었다.

결과:

혈중 요산 농도와 CIMT는 폐경 후 여성에서 더 높았다 (P=0.029, P<0.001). 폐경 전 여성에서는 CIMT와 연령(r=0.438), BMI(r=0.373), 혈중 요산 농도(r=0.205), 공복혈당(r=0.336)이 통계적으 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폐경 후 여성에서는 연령(r=0.326), BMI(r=0.167), 혈중 요산 농도(r=0.166), 수축기 혈압(r=0.200), HDL-C (r=-0.140)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폐경 전 여성에서는 CIMT와 혈중 요산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립적인 영향인자였으나 (β=0.208, P=0.031), 폐경 후 여성에서는 연령(β=0.253, P=0.002)이 유 일한 독립적인 영향인자였다. 혈중 요산 농도에 따른 삼분위 그룹간 평균 CIMT는 혈중 요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age adjusted P for trend<0.001).

결론:

폐경 전 여성에서는 혈중 요산 농도가 CIMT에 대한 독립적인 인자로 작용할 수 있어 CVD의 조기 발견에 대한 위험인자로서의 의 미가 있음을 시사한다.

중심단어:

요산; 경동맥 내중막 두께; 폐경; 여성

REFERENCES

1. Fang J, Alderman MH. Serum uric acid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the NHANES I epidemiologic follow-up study, 1971-1992.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AMA 2000; 283: 2404-10.

2. Weir CJ, Muir SW, Walters MR, Lees KR. Serum urate a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poor outcome and future vascular events after acute stroke.

Stroke 2003; 34: 1951-6.

3. Johnson RJ, Kang DH, Feig D, Kivlighn S, Kanellis J, Watanabe S, et al. Is there a pathogenetic role for uric acid in hypertension and cardiovascular

(6)

정지인 외. 한국 성인 여성의 요산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관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and renal disease? Hypertension 2003; 41: 1183-90.

4. Crosta F, Occhiuzzi U, Passalacqua G, Occhiuzzi E, Cimini A, Grassi D, et al.

Association between the serum uric acid levels and lacunar infarcts in the elderly. J Mol Neurosci 2018; 65: 385-90.

5. Buzas R, Tautu OF, Dorobantu M, Ivan V, Lighezan D. Serum uric acid and arterial hypertension-Data from Sephar III survey. PLoS One 2018; 13:

e0199865.

6. Gagliardi AC, Miname MH, Santos RD. Uric acid: a marker of increased cardiovascular risk. Atherosclerosis 2009; 202: 11-7.

7. Yu MA, Sánchez-Lozada LG, Johnson RJ, Kang DH. Oxidative stress with an activation of the renin-angiotensin system in human vascular endotheli- al cells as a novel mechanism of uric acid-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J Hypertens 2010; 28: 1234-42.

8. Corry DB, Eslami P, Yamamoto K, Nyby MD, Makino H, Tuck ML. Uric acid stimulates vascular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and oxidative stress via the vascular renin-angiotensin system. J Hypertens 2008; 26: 269- 75.

9. Bae JS, Shin DH, Park PS, Choi BY, Kim MK, Shin MH, et al. The impact of serum uric acid level on arterial stiffness and carotid atherosclerosis: the Ko- rean Multi-Rural Communities Cohort study. Atherosclerosis 2013; 231:

145-51.

10. Sakata K, Hashimoto T, Ueshima H, Okayama A; NIPPON DATA 80 Re- search Group. Absence of an association between serum uric acid and mor- tality from cardiovascular disease: NIPPON DATA 80, 1980-1994. National integrated projects for prospective observation of non-communicable dis- eases and its trend in the aged. Eur J Epidemiol 2001; 17: 461-8.

11. Bots ML, Hofman A, Grobbee DE. Increased common carotid intima-me- dia thickness. Adaptive response or a reflection of atherosclerosis? Findings from the Rotterdam Study. Stroke 1997; 28: 2442-7.

12. O’Leary DH, Polak JF, Kronmal RA, Manolio TA, Burke GL, Wolfson SK Jr.

Carotid-artery intima and media thickness as a risk factor for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in older adults. N Engl J Med 1999; 340: 14-22.

13. Evidence-based Guidline for Hypertension in Primary Care [Internet].

Seoul: Korean Academy of Medical Science (KR); 2014 Nov 1 [updated 2018 Jan; cited 2018 April 2]. Available from:http://www.guideline.or.kr/

chronic/view.php?number=88.

14. Wingrove CS, Walton C, Stevenson JC. The effect of menopause on serum uric acid levels in non-obese healthy women. Metabolism 1998; 47: 435-8.

15. Jung JH, Song GG, Lee YH, Kim JH, Hyun MH, Choi SJ. Serum uric acid levels and hormone therapy type: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postmeno- pausal women. Menopause 2018; 25: 77-81.

16. Hak AE, Choi HK. Menopause, postmenopausal hormone use and serum uric acid levels in US women--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 amination Survey. Arthritis Res Ther 2008; 10: R116.

17. Krishnan E, Bennett M, Chen L. Aging, not menopause, is associated with higher prevalence of hyperuricemia among older women. Menopause 2014; 21: 1211-6.

18. Kumral E, Karaman B, Orman M, Kabaroglu C. Association of uric acid and carotid artery disease in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Acta Neurol Scand 2014; 130: 11-7.

19. Ramirez-Sandoval JC, Sanchez-Lozada LG, Madero M. Uric acid, vascular stiffness, and chronic kidney disease: is there a link? Blood Purif 2017; 43:

189-95.

20. Rao GN, Corson MA, Berk BC. Uric acid stimulates vascular smooth mus- cle cell proliferation by increasing platelet-derived growth factor A-chain expression. J Biol Chem 1991; 266: 8604-8.

21. Montalcini T, Gorgone G, Gazzaruso C, Sesti G, Perticone F, Pujia A. Rela- tion between serum uric acid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Intern Emerg Med 2007; 2: 19-23.

22. Baldus S, Köster R, Chumley P, Heitzer T, Rudolph V, Ostad MA, et al. Oxy- purinol improves coronary and peripheral endothelial funct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Free Radic Biol Med 2005; 39: 1184-90.

수치

Table 1.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Figure 1. Mean CIMT according to serum uric acid tertiles by ANCOVA.

참조

관련 문서

Serum uric acid levels and risk for va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if the metabolic syndrome in a Turkish

The analysis by age makes no meaningful difference, which proves that employees' job satisfaction by age is not related with wage level, social cognition,

We included patients who met the following criteria: 1) base- line serum uric acid level was measured within 7 days before the initiation of edaravone treatment; 2) follow-up

To identify causal variants among EGFR SNP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glioma in a Korean population,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nder an additive model adjusted for ag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features of interactive art in the age of digital reproduction. In the age of mechanical reproduction, cameras and movies mediated by

최대정수함수가 극댓값을 갖는 점과 극솟값을 갖는 점을 모두 구하고, 그 점에서 극값을 구하 시오.. 함수가 미분 가능하면 극값을

그러므로 이러한 표현은 함수의 이름과 미분계수를 구하는 점이 명확하여 혼동할 염려가 없을

Impact of age at first childbirth on glucose tolerance status in postmenopausal women: the 2008-201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