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 성인에서 흡연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연 구: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Original Article

강지훈, 송윤미*, 김효은, 박용순

1

, 이종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1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성심병원 가정의학과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i-Hun Kang, Yun-Mi Song*, Hyo-Eun Kim, Yong-Soon Park1, Jong-Hyun Le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Hallym University Chuncheon Sacred Heart Hospital, Chuncheon, Korea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an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metabolic syndrome (MetS) in Korean population.

Methods: Study subjects were 18,818 participants (≥19 year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between 2007 and 2010. Smoking status was assess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components of MetS were measured. Presence of Mets was ascertained according to revised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 criteri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o evaluate an association between smoking status and MetS with an adjustment for age, education, physical activity, alcohol intake, total fat intake, total fi ber intake, and body mass index.

Results: Compared with never-smoker, Mets was more prevalent among both current smokers (odds ratio [OR], 1.53; 95%

confi dence interval [CI], 1.20 to 1.95) and past smokers (OR, 1.31; 95% CI, 1.04 to 1.65) for men, while the prevalence of MetS was higher among only current smokers (OR, 1.72; 95% CI, 1.23 to 2.42) for women. For components of MetS, male current smokers had an increased risk for abdominal obesity (OR, 1.65; 95% CI, 1.23 to 2.22), high triglyceride (OR, 1.87; 95% CI, 1.56 to 2.25), and low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OR, 1.36; 95% CI, 1.12 to 1.66) and a decreased risk for high blood pressure (OR, 0.81; 95% CI, 0.67 to 0.97) compared with never-smokers. Female current smokers showed increased risk for abdominal obesity (OR, 1.60; 95% CI, 1.13 to 2.26), high triglyceride (OR, 1.96; 95% CI, 1.48 to 2.58), and low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OR, 1.39; 95% CI, 1.05 to 1.84).

Conclusion: Smoking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for Mets and most metabolic components in Korean adults.

Keywords: Smoking; Metabolic Syndrome X; Koreans

서론

대사증후군은 인슐린저항성을 매개하여 복부비만, 이상 지질혈증(dyslipidemia), 높은 혈압, 공복포도당장애가 한 개인 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질환으로1) 심혈관질환, 2형 당뇨병은 물론 암 발생 위험을 증가시킨다.2-5)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는 유전요인, 낮은 교육수준, 적은 신체활동, Received: August 22, 2013, Accepted: July 21, 2014

*Corresponding Author: Yun-Mi Song

Tel: 02-3410-2442, Fax: 02-3410-0388 E-mail: yunmi.song@samsung.com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Copyright © 2014 by Th 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

서구식 식생활 패턴 등이 거론되었다.6-8) 그 중 흡연은 그 자체 로 심혈관질환과 2형 당뇨병의 독립적인 위험요인으로 알려 져 있으나,9-11) 인슐린저항성과 대사증후군의 위험을 증가시 키는지에 대해서는 일관된 연구결과가 보고되지는 않았다.

몇몇 단면연구에서 흡연은 대사증후군과 유의한 연관성 을 보였고12-14) 흡연군에서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인 복부비 만, 높은 혈압, 공복포도당장애, 및 이상지질혈증의 유병률 이 비흡연군에 비해 더 높았다.13) 또한 1989년에 수행된 한 메 타연구는 흡연이 중성지방을 높이고 고밀도지질단백(high density lipoprotein, H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킨다는 결과 를 보고하여 흡연이 인슐린저항 및 대사증후군과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15) 그러나 다른 연구에서는 흡연은 이상 지질혈증 발생 위험을 높이지만 인슐린저항성의 다른 지표 인 복부비만, 공복포도당장애 및 높은 혈압 위험은 증가시키 지 않고 인슐린저항성의 지표로 사용되는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for insulin resistance이 흡연군에서 비흡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음을 보여주었다.16) 이 외에 네덜란드 젊은 성인 을 대상으로 시행한 한 코호트 연구에서도 흡연 양을 감량하 면 복부비만도와 혈압치가 증가함을 관찰하였다.17)

한편 한국인에서 수행된 연구들은 대부분 흡연이 대사증 후군 위험도 증가와 연관성이 있음을 보고하였다.13,18) Oh 등13) 은 하루 30개피 이상의 흡연을 하는 성인에서 비흡연자와 비 교해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1.7배 이상 높음을 관찰하였 다. Hong 등18)은 남성 흡연자의 비흡연자에 대한 대사증후군 유병비를 2.37로 보고하였다. 그러나 Oh 등13)의 연구는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대표성 면 에서는 강점이 있는 연구였지만 흡연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이 성별로 어떻게 다른가는 평가하지 못했다. Hong 등18)의 연 구는 성인 남성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며 한 건강검진기관 의 수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어려 울 수 있으며, 여성에서의 흡연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은 평가되지 못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들은 최근인 2007–2010년에 조사된 국민 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여성과 남성 각각에서 흡연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흡연과 대사증후군 의 각 요소의 연관성도 평가하였다.

방법

1. 연구대상자 선정과 연구변수 측정

본 연구대상자는 2007–2010년에 수행된 국민건강영양조 사19) 4기의 3개년 자료와 5기인 2010년 조사참여에 동의한 19

세 이상 성인 25,146명 중 분석에 필요한 변수자료가 불충분 한 6,328명이 제외된 18,818명이었다. 제외된 6,328명에는 흡 연 설문에 미응답자 1,642명과 허리둘레, 혈압, 교육수준, 신 체활동, 지방 섭취, 조섬유 섭취 그리고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에 대한 정보가 없거나 8시간 이상 공복상태에서 측정 한 혈당,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에 대한자료가 없는 4,686 명이 포함되었다.

건강 설문의 사회인구학적 변수 중 성별, 나이는 자기기입 식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19세 이상을 성인으로 구분 하였다. 교육수준은 구두 질문을 통한 면접조사를 통해 고등 학교 졸업 이상과 미만으로 구분하였다.

건강 관련 행태로는 흡연, 음주, 신체활동을 자기기입식 설문조사하였다. 흡연행태에 다른 분류는 현재 흡연하지 않 으면서 평생 흡연량이 100개피 이하인 경우 비흡연자, 현재 흡 연하지 않으면서 평생 흡연량이 100개피 이상인 경우 과거 흡 연자, 현재 흡연 중이며 평생 흡연량이 100개피 이상인 경우는 현재 흡연자로 분류하였다. 음주행태는 한 번의 술자리에서 남자 소주 7잔 이상(알코올 60 g), 여자 5잔(알코올 40 g) 이상 마시는 것을 고위험 음주로 정의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연 구대상자를 고위험 음주빈도가 일주일에 1회 이상인 군과 미 만인 군으로 구분하였다.20) 규칙적 신체활동은 중등도 이상의 신체활동 또는 격렬한 신체활동을 1회 20분 이상 일주일에 3 일 이상 실천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1일 지방 섭취량(g)과 조섬유 섭취량(g)은 24시간 회상조 사를 통해서 각 개인이 하루 동안 섭취한 모든 음식 및 식품으 로부터 1일 영양소 섭취량의 합을 산출하였다.21)

신체계측은 가벼운 옷을 입고 신발을 벗은 상태에서 훈련 된 검사자가 키(kg)와 체중(m)을 측정하였고, 체중을 키의 제 곱으로 나누어 체질량지수(kg/m2)를 계산하였다. 허리둘레 는 측정자가 대상자의 측면에서 최하위 늑골하부와 골반 장 골 능과의 중간 부위에서 피부를 누르지 않도록 줄자를 사용 하여 정상 호기상태에서 소수점 한 자리까지 측정하였다. 혈 압은 15분 이상 휴식을 취한 상태에서 잘 훈련된 검사자에 의 해 5분 간격으로 3회 측정하였고 두 번째와 세 번째 측정된 혈 압의 평균을 사용하였다. 혈액검사는 8시간 금식을 한 참여자 의 혈당, H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치를 측정하였다.22) 본 연 구는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기관윤리심사위 원회의 승인을 받았다(IRB file No. SMC 2013-04-083).

2. 대사증후군의 정의

대사증후군은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 정의에 따라 복부비만, 공복포도당장애, 고

(3)

중성지방혈증, 저HDL 콜레스테롤혈증, 높은 혈압 다섯 가지 구성요소 중 3가지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1) 복 부비만은 허리둘레로 평가하며 남자 90 cm 이상, 여자 85 cm 이상이면23) 복부비만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공복포도당장애 는 공복혈당 100 mg/dL 이상이거나 경구혈당강하제 또는 인 슐린을 사용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고중성지방혈증은 중성 지방치가 150 mg/dL 이상이거나 지질강하제 약물치료를 하 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저HDL 콜레스테롤은 남자 40 mg/dL 미만, 여자 50 mg/dL 미만이거나 지질강하제 약물치료를 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높은 혈압은 수축기혈압치가 130 mm Hg 이상이거나 이완기혈압치가 85 mm Hg 이상이거나 혈압약을 복용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3. 통계분석

국민건강영양조사는 복합표본설계로 구성된 자료이므로 분산추정층, 층화변수 및 표본가중치를 부여하여 분석하였 다. 흡연군별로 연령 차이가 현저하여 연구대상자의 특성 중 연속변수로 측정된 특성(허리둘레, 체질량지수, 혈압, 중성지 방, HDL 콜레스테롤, 1일 지방 섭취량 1일 조섬유 섭취량)은 공분산분석을 이용하여 연령을 고려한 비교를 했고, 범주변 수로 측정된 특성(교육수준, 신체활동 및 고위험 음주 빈도) 은 연령표준화를 시행한 후에 카이제곱검정으로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자의 대사적 특성은 연령을 보정하거나 표준화하여 비교하였다.

흡연상태와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세 개의 분석모형을 이용 하여 본 연구에서 측정된 공변수들을 단계적으로 분석에 투 입하여 공변수들이 흡연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에 미치는 영 향을 평가하였다. 분석모형 1에서는 연령을 보정하고, 분석모 형 2에서는 교육수준, 고위험 음주 여부, 신체활동, 1일 지방 및 조섬유 섭취량을 보정하였다. 분석모형 3에서는 추가로 체질 량지수를 보정하였다. 분석에 투입한 공변수는 본 연구대상 자에서 흡연상태와 연관이 있었거나 기존 연구에서 대사증후 군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된 변수를 기준으로 선정하였다.6,8) 흡연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연관성은 연령, 교육수준, 고위험 음주 여부, 신체활동, 1일 지방 및 조섬유 섭취량, 체질 량지수를 공변수로 보정한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 하여 평가하였다. 모든 분석은 통계학적 유의수준을 P값<0.05 으로 설정하여 양방향 검정을 하였으며, IBM SPSS ver. 21.0 (IBM Co., Armonk, NY,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대상자들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6.6% (n=5,004) 으로 남성에서는 28.7% (n=2,170), 여성에서는 25.1% (n=2,834) 이었다. Table 1은 연구대상자의 성별에 따라 흡연행태와 연령 및 대사적 특성을 비교 평가한 결과를 보여준다. 남성에서는 과거 흡연자의 연령이 49.4세로 가장 높았고, 여성에서는 비흡 연자의 연령이 45.5세로 가장 높았다. 허리둘레와 체질량지수 평균은 남성과 여성 모두 과거 흡연자에서 가장 높았다. 교육 수준은 고졸 이상 학력자의 비율이 남녀 모두 비흡연군에서 가장 높았다. 주 1회 이상 고위험 음주를 하는 비율은 남녀 모 두 현 흡연군에서 가장 높았고 규칙적 신체활동자는 남성과 여성 모두 각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수축기혈압은 각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이완기혈압은 남성에서만 과거 흡연자 가 유의하게 높았다. HDL 콜레스테롤은 남성에서 현재 흡연 군에서 과거 흡연군 및 비흡연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중성 지방은 남성과 여성 모두 비흡연자가 가장 낮았고 현재 흡연 자에서 가장 높았다. 1일 지방 섭취량과 조섬유 섭취량은 각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Table 2는 남녀별 흡연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 평가결 과를 보여준다. 남성의 경우 연령만을 보정한 분석모형 1에 서 비흡연군에 비해 현재 흡연군과(odds ratio [OR], 1.45; 95%

confidence interval [CI], 1.18–1.77) 과거 흡연군(OR, 1.42; 95%

CI, 1.17–1.72)의 대사증후군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분석모 형 2에서는 교차비가 약간 감소했지만 흡연과 대사증후군 간 의 연관성이 유의하게 유지되었다. 체질량지수를 추가로 더 보정한 분석모형 3에서는 현재 흡연자에서 대사증후군의 교 차비가 더 증가하였다(OR, 1.53; 95% CI, 1.20–1.95). 여성에서 는 분석모형 1과 2에서는 흡연과 대사증후군 간의 유의한 연 관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체질량지수를 추가로 보정한 분석 모형 3에서는 비흡연자에 비해 현재 흡연자의 대사증후군 위 험이 1.72 (95% CI, 1.23–2.42)배 증가하였다. 하지만 과거 흡연 자에서는 비흡연자에 비해 유의한 대사증후군 위험 증가는 없었다.

Table 3은 본 연구에서 선정한 공변수를 모두 보정한 후의 흡연과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간의 연관성을 평가한 결과를 보여준다. 남성의 경우 비흡연자에 비해 과거 흡연자와 현재 흡연자는 복부비만의 위험이 각각 1.45배(95% CI, 1.08–1.96), 1.65배(95% CI, 1.23–2.22) 높았다. 고중성지방혈증 위험은 과 거 흡연자와 현재 흡연자에서 각각 1.46배(95% CI, 1.21–1.78), 1.87배(95% CI, 1.56–2.25) 높았다. 저HDL 콜레스테롤혈증 위 험은 흡연자에서만 1.36배(95% CI, 1.12–1.66) 높았다. 복부

(4)

비만, 고중성지방혈증, 저HDL 콜레스테롤혈증 위험은 과거 흡연자보다는 현재 흡연자에서 더 높은 경향이 있었다(P for trend<0.01). 하지만 높은 혈압 위험은 비흡연자에 비해 현재 흡연자에서 유의하게 낮았다(OR, 0.81; 95% CI, 0.67–0.97) 여 성은 비흡연자에 비해 과거 흡연자와 현재 흡연자는 복부비 만의 위험이 각각 1.78배(95% CI, 1.15–2.76), 1.60배(95% CI, 1.13–2.26) 높았다. 현재 흡연자는 고중성지방혈증과 저HDL

콜레스테롤혈증의 위험이 비흡연자에 비해 각각 1.96배(95%

CI, 1.48–2.58), 1.39배(95% CI, 1.05–1.84) 높았으나 과거 흡연자 는 유의한 위험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고찰

한국인에서 2007년에서 2010년 사이의 국민건강영양조 Table 1. Age standardized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according to self-reported smoking status, KNHANES between 2007 and 2010

Variable

Male Female

Never smoker (n=1,655)

Past smoker (n=2,816)

Current smoker (n=3,079)

P-value

Never smoker (n=10,264)

Past smoker (n=448)

Current smoker (n=556)

P-value

Age (y) 44.2±0.2 49.4±0.4 41.2±0.3 <0.01 45.5±0.2 42.6±1.0 42.1±0.9 <0.01

Waist circumference (cm) 83.3±0.3 84.7±0.2 84.2±0.2 0.02 78.0±0.2 79.8±0.6 77.1±0.5 0.02

Body mass index (kg/m2) 23.9±0.1 24.3±0.1 24.0±0.1 0.01 23.2±0.0 23.4±0.2 22.5±0.2 0.01

Abdominal obesity 24.3 (3.0) 27.9 (2.4) 25.9 (2.4) <0.01 26.5 (1.4) 30.0 (6.4) 25.9 (5.2) 0.06 Duration of education (>12 y) 70.8 (1.1) 70.0 (0.7) 64.9 (0.8) <0.01 57.0 (0.4) 52.2 (2.1) 47.3 (1.9) 0.23 High risk alcohol intake§ (>1/wk) 21.4 (1.2) 31.6 (1.1) 41.8 (0.9) <0.01 6.00 (0.3) 17.8 (2.4) 28.5 (2.1) <0.01 Physical activity 26.2 (1.2) 29.5 (1.1) 24.9 (0.9) 0.10 21.8 (0.5) 22.6 (2.7) 20.7 (2.0) 0.31 Systolic blood pressure (mm Hg) 118.1±0.4 118.4±0.4 117.6±0.3 0.12 113.3±0.2 113.5±0.7 112.9±0.7 1.00 Diastolic blood pressure (mm Hg) 77.0±0.3 78.1±0.3 77.3±0.2 0.03 72.8±0.1 71.1±0.5 72.3±0.5 0.20 High blood pressure 41.1 (3.1) 43.4 (2.6) 37.1 (2.5) <0.01 32.3 (1.1) 30.5 (5.5) 32.1 (4.9) 0.06

HDL cholesterol (mg/dL) 48.3±0.4 48.5±0.3 47.5±0.3 0.02 53.8±0.2 53.7±0.7 53.6±0.8 0.09

Low HDL cholesterol 31.1 (3.5) 31.7 (3.1) 33.8 (2.8) 0.02 47.7 (1.6) 43.2 (7.3) 48.2 (6.3) 0.12 Triglycerides (mg/dL) 127.7±2.5 154.0±3.7 166.6±2.6 <0.01 109.2±0.9 115.0±3.3 131.6±4.7 <0.01 High triglyceride 30.5±3.3 38.4±3.2 41.2±2.7 <0.01 24.6±1.3 23.5±5.7 35.4±6.0 <0.01

Fasting glucose (mg/dL) 97.6±0.6 98.3±0.5 97.6±0.5 0.60 94.8±0.2 94.7±1.0 93.3±0.7 0.11

Impaired fasting glucose 31.2±3.1 33.6±2.5 30.1±2.4 <0.01 22.7±1.2 24.0±6.4 23.5±5.0 0.22

Fasting insulin (uIU/mL) 10.0±0.2 10.3±0.1 9.7±0.1 0.23 10.0±0.1 10.8±0.3 9.6±0.2 0.03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2.5±0.1 2.6±0.1 2.4±0.0 0.16 2.4±0.0 2.6±0.1 2.3±0.1 0.02

Total fat intake (g/d) 46.9±1.1 49.9±0.9 47.9±0.7 0.15 31.8±0.3 35.1±1.8 35.1±1.9 0.18

Total fi ber intake (g/d) 8.4±0.2 8.5±0.1 7.9±0.1 0.01 6.9±0.8 6.3±0.2 6.2±0.3 0.0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E or % (SE).

KNHANE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HDL: high density lipoprotein.

*Age standardization was done for all variables using all participants in the fourth and fi fth KNHANES as a reference population. Obtained by analysis of covariance or chi-square test. Defi ned as a waist circumference in men ≥90 cm and in women ≥85 cm, serum triglycerides ≥150 mg/

dL or drug treatment for elevated triglycerides, serum HDL cholesterol <40 mg/dL in men and <50 mg/dL in women or drug treatment for low HDL cholesterol, blood pressure ≥130/85 mm Hg or drug treatment for elevated blood pressure, fasting plasma glucose≥100 mg/dL or drug treatment for elevated blood glucose. §≥Moderate amount (60 g/d for males, 40 g/d for female), more frequently than once a week.Moderate or high intensity physical activity for ≥20 minutes, ≥3 times/wk. Calculated by fasting glucose (mg/dL)×fasting insulin (uU/mL)/405.

(5)

사 자료를 이용하여 흡연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을 평가 한 결과 한국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대사증후군의 위험은 비 흡연군에 비해 과거 흡연군이나 현재 흡연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이 연관성은 현재 흡연군에서 더 뚜렷하였다. 이는 이 전에 시행된 흡연과 대사증후군 간의 양의 연관성을 보고한 여러 연구들에서 관찰한 결과와 일치하는 소견이다.13,16,24)

본 연구의 결과는 본 저자들이 파악한 바에 의하면 한국인 에서는 최초로 여성에서의 흡연과 대사증후군의 연관성이 남 성과는 다를 수도 있음을 평가한 연구로 여성에서는 남성과 달리 과거 흡연군의 대사증후군 위험이 비흡연군에 비해 유 의하게 높지는 않았고 현재 흡연군에서만 유의한 위험 증가 가 관찰되었다. 성별 차이는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에 대한 분 석에서도 관찰되었는데 남성 현재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높은 혈압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지만 여성에서는 흡연과 높 은 혈압 간에는 유의한 연관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남성 에서는 현재 흡연자와 과거 흡연자 모두에서 고중성지방혈증 위험이 증가했지만 여성에서는 현재 흡연자에서만 유의한 위 험 증가가 관찰되었다. 그런데 연관성의 방향이 남녀 간에 다

르지 않았음을 고려하면 여성의 흡연율이 남성보다 현저하게 낮고 따라서 과거 흡연자나 현재 흡연자 숫자가 적어 분석의 검정력이 충분하지 않았고 이에 유의한 연관성의 관찰이 어 려웠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기존 연구에서 흡연이 중성지방치를 높이고 HDL 콜레스 테롤치를 낮춘다는 연구결과는 흡연으로 인한 혈중 지질치 변화가 흡연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 성립에 중요한 역할 을 할 것임을 시사한 바 있다.15) 본 연구에서도 남녀 모두에서 흡연은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 중 고중성지방혈증, 저HDL 콜레스테롤혈증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관찰되어 흡 연-대사증후군의 연관성 경로에 두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함 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록 여성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지 만 남녀 모두 과거 흡연자에서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높은 경 향이 있었다. Williamson 등25)은 금연 후에 체중 증가가 발생하 면서 복부비만도가 증가하고 중성지방치가 높아짐을 보고하 였는데 아마도 이런 기전을 통해 과거 흡연자에서 대사증후 군의 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추정되지만 본 연구는 단면적인 Table 2. Association* between self-reported smoking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Model Never smoker (reference) Past smoker Current smoker P for trend§

All subjects

Model 1 1 1.18 (1.02–1.37) 1.38 (1.19–1.59) <0.01

Model 2 1 1.13 (0.98–1.31) 1.25 (1.01–1.45) <0.01

Model 3 1 1.22 (1.03–1.44) 1.55 (1.31–1.85) <0.01

Male

Model 1 1 1.42 (1.17–1.72) 1.45 (1.18–1.77) <0.01

Model 2 1 1.35 (1.12–1.64) 1.32 (1.08–1.63) 0.01

Model 3 1 1.31 (1.04–1.65) 1.53 (1.20–1.95) <0.01

Female

Model 1 1 1.16 (0.77–1.73) 1.19 (0.86–1.65) 0.16

Model 2 1 1.14 (0.77–1.71) 1.12 (0.81–1.55) 0.34

Model 3 1 1.18 (0.78–1.76) 1.72 (1.23–2.42) 0.01

Values are presented as odds ratio (95% confi dence interval).

HDL: high density lipoprotein.

*Estimat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tabolic syndrome is defi ned any three or more following criteria: abdominal obesity, defi ned as a waist circumference in men ≥90 cm and in women ≥85 cm, serum triglycerides ≥150 mg/dL or drug treatment for elevated triglycerides, serum HDL cholesterol <40 mg/dL in men and <50 mg/dL in women or drug treatment for low HDL cholesterol, blood pressure ≥130/85 mm Hg or drug treatment for elevated blood pressure, fasting plasma glucose ≥100 mg/dL or drug treatment for elevated blood glucose. In model 1, age was adjusted; in model 2, age, sex, education, alcohol intake, physical activity, total fat intake, and total fi ber intake were adjusted; in model 3, age, education, alcohol intake, physical activity, total fat intake, total fi ber intake, and body mass index were adjusted; sex was adjusted in the analysis for all subjects. §Assessed by linear by linear association in which smoking status was put as a continuous variable.

(6)

연구여서 이를 확인할 수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 구성요소 중 남성과 여성 모두 에서 복부비만과 흡연의 연관성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이전 의 한국인에서 수행된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결과이다.13,18) 본 연구와 유사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참여대상에서 수행된 Oh 등13)의 연구에서는 하루 40개피 이상의 흡연을 하는 군의 복 부비만 위험이 비흡연군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OR, 1.54; 95% CI, 0.92–2.56)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Oh 등13)의 연구에서는 연구 수행시기가 달라 연구대상자의 복부비만 유병률이 본 연구대상에서보다 낮았기 때문일 가능 성이 있겠다. 한편 이탈리아인을 대상으로 수행된 Masulli 등16) 의 연구에서는 흡연이 복부비만의 위험을 증가시키지 않고, 인슐린저항성에 영향을 주지도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연구 간에 관찰된 결과가 차이 나는 이유로는 같은 체질 량지수에서도 복부비만도가 인종마다 다름을 고려할 때26) 흡 연이 복부비만도 발생에 미치는 위험이 인종마다 다를 수 있 음을 생각해볼 수 있으나 이를 지지할만한 연구결과는 드물 어 이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대사증후군 발생의 주요 병인으로는 복부비만, 인슐린저 항성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7,28) 동일한 체질량하에서 흡연은 신체의 지방분포를 변화시켜 복부비만도를 높이고 이 로 인해 대사증후군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29,30) 이러한 경향은 여성에서 더욱 현저한데 본 연구에서 흡연여 성의 체질량지수가 비흡연 여성에 비해 유의하게 낮고 허리 둘레 평균치도 더 낮음에도 불구하고 복부비만 위험이 흡연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음이 관찰되었다. 또한 체질량지수에 Table 3. Association* between self-reported smoking status and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Metabolic component Never smoker (reference) Past smoker Current smoker P for trend All subjects

Abdominal obesity 1 1.52 (1.24–1.86) 1.66 (1.36–2.03) <0.01

Impaired fasting glucose 1 1.10 (0.94–1.28) 0.99 (0.86–1.15) 0.78

High triglyceride 1 1.26 (1.10–1.44) 1.80 (1.58–2.05) <0.01

Low HDL cholesterol 1 1.01 (0.88–1.16) 1.34 (1.17–1.54) <0.01

High blood pressure 1 0.90 (0.78–1.03) 0.82 (0.71–0.94) 0.01

Male

Abdominal obesity 1 1.45 (1.08–1.96) 1.65 (1.23–2.22) <0.01

Impaired fasting glucose 1 1.13 (0.92–1.39) 1.02 (0.84–1.25) 0.90

High triglyceride 1 1.46 (1.21–1.78) 1.87 (1.56–2.25) <0.01

Low HDL cholesterol 1 1.07 (0.87–1.30) 1.36 (1.12–1.66) <0.01

High blood pressure 1 1.01 (0.84–1.21) 0.81 (0.67–0.97) <0.01

Female

Abdominal obesity 1 1.78 (1.15–2.76) 1.60 (1.13–2.26) <0.01

Impaired fasting glucose 1 0.98 (0.65–1.32) 0.99 (0.71–1.38) 0.84

High triglyceride 1 0.95 (0.69–1.31) 1.96 (1.48–2.58) <0.01

Low HDL cholesterol 1 0.87 (0.67–1.14) 1.39 (1.05–1.84) 0.04

High blood pressure 1 0.86 (0.58–1.21) 0.98 (0.70–1.37) 0.65

Values are presented as odds ratio (95% confi dence interval).

HDL: high density lipoprotein.

*Estimat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an adjustment for age, education, alcohol intake, physical activity, total fat intake, total fi ber intake, and body mass index. Sex was additionally adjusted in the analysis for all subjects. Abdominal obesity, defi ned as a waist circumference in men ≥90 cm and in women ≥85 cm, serum triglycerides ≥150 mg/dL or drug treatment for elevated triglycerides, serum HDL cholesterol <40 mg/dL in men and <50 mg/dL in women or drug treatment for low HDL cholesterol, blood pressure ≥130/85 mm Hg or drug treatment for elevated blood pressure, fasting plasma glucose≥100 mg/dL or drug treatment for elevated blood glucose. Assessed by linear by linear association in which smoking status was put as a continuous variable.

(7)

따라 구분하여 분석했을 때 과체중군 내에서 현재 흡연자와 과거 흡연자에서 유의하게 높은 복부비만 비율을 보여 흡연 이 체중 자체보다 복부비만과 연관되어 대사증후군 및 구성 요소에 영향을 준다는 주장을 뒷받침한다.

본 연구에서 공복포도당장애의 위험은 흡연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Oh 등13)과 Hong 등18)의 한국인 에서 수행된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하지만 흡연이 2형 당뇨 병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보고한 Kowall 등31)의 코호트 연구와 Willi 등11)의 메타분석결과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이를 확인하 기 위해서는 코호트 연구나 임상시험과 같은 좀 더 잘 설계된 연구가 필요하겠다.

고중성지방혈증은 남성에서는 현재 흡연자 과거 흡연자 모두에서 높은 위험을 보여 이전의 한국 및 외국에서의 연구 들과 같은 결과를 보였고13,16,18,24)

Craig 등15)의 메타 연구와도 일치하였다. 여성 현재 흡연자 또한 비흡연자에 비해 높은 고 중성지방혈증 위험을 보여 흡연이 남성과 여성에서 일관되게 고중성지방혈증 위험을 높임을 시사한다. 저HDL 콜레스테롤 혈증은 남녀 모두 현재 흡연자에서 비흡연자에 비해 높은 위 험을 보여주어 흡연자에서 HDL 콜레스테롤이 낮다는 이전의

연구들과13,15,16,18,24)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흡연은 체내의 지질대사를 변화시키고 본 연구에서 관찰 한 결과처럼 고중성지방혈증 및 저HDL 콜레스테롤혈증의 유 병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흡연은 체내의 인슐 린 길항호르몬인 카테콜아민, 코티졸, 성장호르몬 증가와 지 방분해 증가를 유도하여 유리 중성지방 수치 증가를 초래한 다고 한다.32) 또한 흡연으로 인해 증가된 체내의 니코틴이 니 코틴성 수용체(nicotinic receptor)에 작용하여 지방분해를 촉진 시키고 지방세포에서의 아디포넥틴 분비를 감소시킨다.33) 결 과적으로 증가된 유리 지방산이 췌장 베타세포에 손상을 주 어 공복포도당장애를 일으키고 감소된 아디포넥틴이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34)

기존에 수행된 연구 중 흡연과 높은 혈압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지 못한 연구도 있었지만,13,24) 본 연구에서는 남성은 흡 연자에서 비흡연자에 비해 높은 혈압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 으며 이는 Green 등35)과 Mikkelsen 등36)의 연구에서 흡연자에 서 비흡자에 비해 낮은 혈압을 보인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였 다. 혈압에 미치는 흡연의 생물학적 영향을 평가한 연구에서 흡연은 단기적으로는 혈압을 높이지만37) 장기적으로는 혈압 을 낮추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35) 이는 흡 연의 대사산물인 코티닌의 혈관 확장작용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38) 그러나 일부 연구에서 코티닌이 흡연자에서는 혈압을 낮추나 비흡연자에서 혈압을 높인다는 보고가 있어 흡연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은 보다 복잡한 기전이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39)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단면 연구설계 로 수행되어 흡연과 대사증후군 및 구성요소 간의 명확한 시 간적 선후관계를 파악할 수 없었다. 둘째, 자가보고한 흡연으 로 흡연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측정정확도가 낮을 수 있다. 하 지만 흡연자가 비흡연자나 과거 흡연자로 보고하는 경향이 높음을 고려하면,40) 이로 인해서는 연관성의 과대평가보다는 과소평가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더 높아서 본 연구의 결과에 심각한 비뚤림을 초래하지는 않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본 연구의 공변수인 1일 지방 섭취량과 조섬유 섭취량을 평가 할 때 24시간 회상설문지를 사용함으로써 정확도가 떨어져 정보비뚤림(information bias)이 발생했을 수 있겠다.

본 연구의 강점은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여 흡연의 대사증 후군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한국의 첫 번째 연구이고, 전 국민 에서 확률표본추출방법에 의해 대표성 있는 연구대상자를 선 정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을 함으로써 연 구결과의 일반화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남녀 모두에서 흡연은 대사증후 군과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었고 이런 결과는 흡연이 대사증 후군의 위험요인임을 시사한다.

요약

연구배경: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에서 흡연과 대사증후 군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2007년에서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 로 19세 이상의 성인 18,81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흡연상태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대사증 후군은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 기준에 따라 정의하였다. 흡연상태와 대사증후군 간 의 연관성은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평가하였 고 연령, 교육수준, 고위험 음주 여부, 신체활동, 1일 지방 및 조 섬유 섭취량, 체질량지수를 보정하였다.

결과: 남성에서 비흡연자와 비교하여 현재 흡연자(odds ratio [OR], 1.53; 95% confidence interval [CI], 1.20–1.95)와 과거 흡 연자가(OR, 1.31; 95% CI, 1.04–1.65) 대사증후군의 위험이 유 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여성에서는 현재 흡연자에서 대사증 후군의 위험이 증가하였다(OR, 1.72; 95% CI, 1.23–2.42). 대사 증후군 구성요소별로는 남성 현재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 해 복부비만(OR, 1.65; 95% CI, 1.23–2.22), 고중성지방혈증

(8)

(OR, 1.87; 95% CI, 1.56–2.25), 저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콜레스테롤혈증(OR, 1.36; 95% CI, 1.12–1.66)의 위험이 유의 하게 높았고 높은 혈압의 위험은 유의하게(OR, 0.81; 95% CI, 0.67–0.97) 낮았다. 여성 현재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복부 비만(OR, 1.60; 95% CI, 1.13–2.26), 고중성지방혈증(OR, 1.96;

95% CI, 1.48–2.58), 저HDL 콜레스테롤혈증(OR, 1.39; 95% CI, 1.05–1.84)의 위험이 높았다.

결론: 흡연은 한국 성인에서 대사증후군 및 대사증후군 구성 요소의 위험 증가와 연관성이 있다.

중심단어: 흡연; 대사증후군; 한국인

REFERENCES

1. Grundy SM, Brewer HB Jr, Cleeman JI, Smith SC Jr, Lenfant C; American Heart Association, et al. Definition of metabolic syndrome: Report of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American Heart Association conference on scientific issues related to definition. Circulation 2004;109:433-8.

2. Hanson RL, Imperatore G, Bennett PH, Knowler WC.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Diabetes 2002;51:3120-7.

3. Isomaa B, Almgren P, Tuomi T, Forsen B, Lahti K, Nissen M, et al.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Care 2001;24:683-9.

4. Lakka HM, Laaksonen DE, Lakka TA, Niskanen LK , Kumpusalo E, Tuomilehto J, et al. The metabolic syndrome and total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in middle-aged men.

JAMA 2002;288:2709-16.

5. Esposito K, Chiodini P, Colao A, Lenzi A, Giugliano D.

Metabolic syndrome and risk of canc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iabetes Care 2012;35:2402-11.

6. Lee WY, Jung CH, Park JS, Rhee EJ, Kim SW. Effects of smoking, alcohol, exercise, education, and family history on the metabolic syndrome as defined by the ATP III. Diabetes Res Clin Pract 2005;67:70-7.

7. Groop L. Genetics of the metabolic syndrome. Br J Nutr 2000;83 Suppl 1:S39-48.

8. Lutsey PL, Steffen LM, Stevens J. Dietary intake and the develop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the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Circulation 2008;117:754-61.

9. Huxley RR, Woodward M. Cigarette smoking as a risk fa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 in women compared with 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prospective cohort studies. Lancet 2011;378:1297-305.

10. Jee SH, Suh I, Kim IS, Appel LJ. Smoking and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in men with low levels of serum cholesterol: the Korea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udy.

JAMA 1999;282:2149-55.

11. Willi C, Bodenmann P, Ghali WA, Faris PD, Cornuz J. Active smoking and the risk of type 2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AMA 2007;298:2654-64.

12. Geslain-Biquez C, Vol S, Tichet J, Caradec A, D’Hour A, Balkau B, et al. The metabolic syndrome in smokers. The D.E.S.I.R. study.

Diabetes Metab 2003;29:226-34.

13. Oh SW, Yoon YS, Lee ES, Kim WK, Park C, Lee S, et al.

Association between cigarette smoking and metabolic syndrom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iabetes Care 2005;28:2064-6.

14. Nakashita Y, Nakamura M, Kitamura A, Kiyama M, Ishikawa Y, Mikami H. Relationships of cigarette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to metabolic syndrome in Japanese men. J Epidemiol 2010;20:391-7.

15. Craig WY, Palomaki GE, Haddow JE. Cigarette smoking and serum lipid and lipoprotein concentrations: an analysis of published data. BMJ 1989;298:784-8.

16. Masulli M, Riccardi G, Galasso R, Vaccaro O.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habits and the feature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a non-diabetic population. Nutr Metab Cardiovasc Dis 2006;16:364-70.

17. Bernaards CM, Twisk JW, Snel J, van Mechelen W, Kemper HC.

In a prospective study in young people, associations between changes in smoking behavior and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were complex. J Clin Epidemiol 2005;58:1165-71.

18. Hong AR, Lee KS, Lee SY, Yu JH. Association of current and past smoking with metabolic syndrome in men. J Prev Med Public Health 2009;42:160-4.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 1, 2, 3) 2007-2009. Cheongju: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20. Gaziano JM, Buring JE, Breslow JL, Goldhaber SZ, Rosner B, VanDenburgh M, et al. Moderate alcohol intake, increased levels of high-density lipoprotein and its subfractions, and decreased

(9)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N Engl J Med 1993;329:1829-34.

21. Willett W. Nutritional epidemi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2. Sidhu D, Naugler C. Fasting time and lipid levels in a community- based population: a cross-sectional study. Arch Intern Med 2012;172:1707-10.

23. Lee SY, Park HS, Kim DJ, Han JH, Kim SM, Cho GJ, et al.

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 Clin Pract 2007;75:72-80.

24. Chen CC, Li TC, Chang PC, Liu CS, Lin WY, Wu MT, et al.

Association among cigarette smoking, metabolic syndrome, and its individual components: the metabolic syndrome study in Taiwan. Metabolism 2008;57:544-8.

25. Williamson DF, Madans J, Anda RF, Kleinman JC, Giovino GA, Byers T. Smoking cessation and severity of weight gain in a national cohort. N Engl J Med 1991;324:739-45.

26. Cossrow N, Falkner B. Race/ethnic issues in obesity and obesity- related comorbidities. J Clin Endocrinol Metab 2004;89:2590-4.

27. Kahn R, Buse J, Ferrannini E, Stern M;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Diabetes.

The metabolic syndrome: time for a critical appraisal: joint statement from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nd the Europ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Diabetes. Diabetes Care 2005;28:2289-304.

28. Beaser RS, Levy P. Metabolic syndrome: a work in progress, but a useful construct. Circulation 2007;115:1812-8.

29. Canoy D, Wareham N, Luben R, Welch A, Bingham S, Day N, et al. Cigarette smoking and fat distribution in 21,828 British men and women: a population-based study. Obes Res 2005;13:1466- 75.

30. Jee SH, Lee SY, Nam CM, Kim SY, Kim MT. Effect of smoking on the paradox of high waist-to-hip ratio and low body mass index. Obes Res 2002;10:891-5.

31. Kowall B, Rathmann W, Strassburger K, Heier M, Holle R, Thorand B, et al. Association of passive and active smoking with incident type 2 diabetes mellitus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KORA S4/F4 cohort study. Eur J Epidemiol 2010;25:393-402.

32. Cena H, Fonte ML, Turconi G.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metabolic syndrome. Nutr Rev 2011;69:745-53.

33. Iwashima Y, Katsuya T, Ishikawa K, Kida I, Ohishi M, Horio T, et al. Association of hypoadiponectinemia with smoking habit in men. Hypertension 2005;45:1094-100.

34. Bergman RN, Ader M. Free fatty acids and pathogenesis of type 2 diabetes mellitus. Trends Endocrinol Metab 2000;11:351-6.

35. Green MS, Jucha E, Luz Y. Blood pressure in smokers and nonsmokers: epidemiologic findings. Am Heart J 1986;111:932- 40.

36. Mikkelsen KL, Wiinberg N, Hoegholm A, Christensen HR, Bang LE, Nielsen PE, et al. Smoking related to 24-h ambulatory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a study in 352 normotensive Danish subjects. Am J Hypertens 1997;10(5 Pt 1):483-91.

37. Rhee MY, Na SH, Kim YK, Lee MM, Kim HY. Acute effects of cigarette smoking on arterial stiffness and blood pressure in male smokers with hypertension. Am J Hypertens 2007;20:637-41.

38. Benowitz NL, Sharp DS. Inverse relation between serum coti- nine concentration and blood pressure in cigarette smokers.

Circulation 1989;80:1309-12.

39. Bolinder G, de Faire U. Ambulatory 24-h blood pressure monitoring in healthy, middle-aged smokeless tobacco users, smokers, and nontobacco users. Am J Hypertens 1998;11:1153- 63.

40. Jung-Choi KH, Khang YH, Cho HJ. Hidden female smokers in Asia: a comparison of self-reported with cotinine-verified smoking prevalence rates in representative national data from an Asian population. Tob Control 2012;21:536-42.

참조

관련 문서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vitamin D level among Korean adults using data from the

We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marital status and current smoking, including interaction with marriage, occupation level, and Year.. Methods : We used the Korea National

In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sex and metabolic syndrome are important for biological factors, and occupation, smoking, and exercise are important

showing an association between HGS and fracture risk are similar. 30) reported a relationship between HGS and muscle qual- ity in Australian women, with the mean HGS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vening meals for adult women by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ocioeconomic status and thyroid cancer prevalence;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1. Jung YI, Kim

Prevalence of Undiagnosed Diabet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2011-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