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0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09년 8 월 석사학위 논문

도시환경 구성요소로서의 간판 디자인 경향 분석

- 중국 연길시 중심으로 -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제품· 실내 디자인학과 실내디자인 전공

주 안 치

(3)

도시환경 구성요소로서의 간판 디자인 경향 분석

- 중국 연길시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Trend in Signboard Design as Elements of Urban Environment

- Focusing on Yanji, China -

2009년 8 월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제품· 실내 디자인학과 실내디자인 전공

주 안 치

(4)

도시환경 구성요소로서의 간판 디자인 경향 분석

-중국 연길시 중심으로-

지도교수 尹 甲 根

이 論文을 美術學 碩士學位 論文으로 提出함

2009년 8 월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제품· 실내 디자인학과 실내디자인 전공

주 안 치

(5)

朱桉卮의 석사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김명주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이진렬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윤갑근 (인)

2009년 8 월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目 次

(6)

표목차 그림목차 ABSTRACT

제1장 서론...2

1.1 연구배경 및 목적...2

1.2 연구범위 및 방법...3

1.3 연구 흐름 구성도...5

제2장 도시환경과 간판디자인의 이론적 고찰...7

2.1 도시환경의 이론적 고찰...7

2.1.1 도시환경의 개념...7

2.1.2 도시환경의 구성요소...8

2.1.3 도시환경과 간판...9

2.2 간판 디자인의 이론적 고찰...10

2.2.1 간판 디자인의 개념과 역사...10

2.2.2 간판 디자인의 구성요소...18

2.2.3 간판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25

2.3 도시환경에 있어서의 간판의 역할...34

제3장 해외 간판 사례...37

3.1 해외 간판의 특징 및 법규...37

3.1.1.미국...37

3.1.2.일본...39

3.1.3.영국...42

3.1.4.프랑스...44

(7)

3.1.5.독일...46

3.1.6.한국...47

3.2 해외 간판 사례 분석 및 정리...50

제4장 연길시 간판 디자인...52

4.1 연길시의 현황...52

4.1.1.연길시의 지리적 현황...52

4.1.2.연길시의 인구구성...53

4.1.3.연길시의 역사적 연혁...53

4.2 연길시의 도시환경과 간판 현황 분석...54

4.2.1.연길시 간판의 종류...54

4.2.2.연길시 간판색...54

4.2.3.광고문 사용 문자...55

4.3 연길시 간판에 대한 법규...55

4.4 연길시 간판의 변화...58

4.5 연길시 간판의 문제점 ...62

4.6 사례 종합분석 및 개선 방안...65

제5장 결론...78

참고문헌...82

국문초록...84

[표 목 차]

(8)

[표 1] 흐름 구성도...5

[표 2] 간판의 설치 장소에 따른 분류...13

[표 3] 간판의 소재에 따른 분류...13

[표 4] 용도에 따른 분류...14

[표 5] 아이텐티티의 과정...16

[표 6] 동면적 도형의 인지도 지수...18

[표 7] 도로폭에 따른 문자 크기...20

[표 8] 색의 명시성 비교...22

[표 9] 미국 간판...38

[표 10] 일본 간판...41

[표 11] 영국 간판...43

[표 12] 프랑스 간판...45

[표 13] 독일 간판...46

[표 14] 한국 간판...47

[표 15] 옥외 광고물 관련법규...49

[표 16] 해외 간판 사례 분석...50

[표 17] 연길시 간판의 문제점 사례...63

[표 18] 연길시 간판 핵심 경향요소 분석...67

[그림 목차]

(9)

[그림 1] 시각도...26

[그림 2] Rubin의 컵...29

[그림 3] 부분과 전체의 관계...31

[그림 4] 다양의 통일...32

[그림 5] 문제점 분석 통한 간판디자인의 경향요소 도출...65

[그림 6] 경향 요소 분석 스케일...75

ABSTRACT

(10)

An Analysis on the Trend in Signboard Design as Elements of Urban Environment

- Focusing on Yanji, China -

Zhu, An Zhi

Advisor : Prof. Yoon, Gab-geun

Department of Product & Interior Design,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China has achieved a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step with the opening and reform started from the end of 1970's in 20th century, and is experiencing overpopulation of urban areas. Yanji as well has demand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to admit the population inflow, and therefore a rapid urbanization has been processing so far.

Furthermore, the entrance into the economic abundance and

mass consumption society in accordance with the admission

of international economic and social systems has been

building a foothold for open and pluralistic development

in architectural expressions. These results, beside the

positive features of the signboards in Yanji overall, have

lead to negative features causing disorders in urban views

due to the excessive fad, misuses of fetish forms, plain

use of historical expressive elements, and mixed language

use. In other words, it failed to create their own

(11)

characters as a whole by insisting all the different individual characters without a proposition of public base, and as a result, has produced uniform buildings blurring the uniqueness of each building. This phenomenon, in particular, is one of the causes that are forming poor urban environment together with the overpopulation in Yanji.

In modern, the rapid expansion and development in Yanji, on the other hand, have revealed many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s and visual pollutions. The open signboard we are experiencing mostly focus on its functionality most and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efforts made for the systematic reform in the process of the regulations and arrangement act executed by the Yanji government. Also, even when the necessity for regulations on the signboard was proposed, the city government failed to provide a feasible counteraction to the flood of open signboards due to the lack of systematic research cases.

Among the problems, the visual environmental element has reared up as a major problem, and for their creative activities the citizens now demand urban visual environment that is emotionally stable and gives pleasant and beautiful imag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roblems in open signboard that are getting more severe as visual pollution in urban environment in Yanji, and provide plans to improve them.

The pollutions from the open signboards in Yanji are the

results caused by the following factors; signboards

(12)

attached to a single building in cluster, unregulated magnification without consideration of urban view,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quality of environment and urban image without basic concept on urban environment structure, and insufficient consideration of visual pollution that will be caused by misuse of colors disharmonizing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city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have been working on the regulations on open signboards, however the effectiveness of the regulations has not been working successfully due to the weakness in relevant laws.

The plans provided in this study to counteract the turbid

positioning of open signboard cultures in Yanji, Jilin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should be a change in

cognition of entrepreneur studyn effort for the

legislation of relevant laws by public discussion after

realizing problems currently thisting in open signboards

in Yanji downtown. Then, ttreprtect the surface of

buildings studttrmaii din the unique beauty of buildings,

the relevant regulations for open signboards such as

restrictiy thistdimension afteignboards in shourhe legis

latioverall surface area of the buildings should be

ecected and reinforced. In arhecular, for further broad

education for entrepreneurs studdesigners, there should be

a precediy tg problemon the high quality signboard designi

gnphasizing arhestry. Furthermrhe leo helpteignboards

perform the origice funthe l, not llverdverhesers stud

designers but alsislatirelated rdmicestri din institutions

(13)

should recognirea of fact that signboards are one of of e surhant ntown. s that maii e urban view. Besidesbe a c hulturebe rrdihe l, studlanguage use studcolor use cted and consistent with the charecteristics of Krhean Chin pr region should be considered as well.

Therefore, the study provides the plans to reform the

open signboards in Yanji by reviewing those complex

problems, and then expects further effective contributions

in establishing the clean and comfortable urban

environment.

(14)
(15)

제1장

서 론

1.1.연구배경 및 목적 1.2.연구방법 및 범위 1.3.연구 흐름 구성도

(16)

제1장 서론

1.1.연구배경 및 목적

중국 도시의 현대화 건설 발전과정에서 도시 문명의 상징인 자동차, 도로, 건축물, 길거리 간판 등 도시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이 우리의 건강을 해 치고 있으며, 인간의 이동, 건축물, 교통의 밀집화가 현대적인 도시 발전과 정의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도시환경 계획에서 우선적으로 처 리해야 할 현실적인 문제로 제기되었다. 즉 도시 주민의 거주환경, 구매환 경, 휴식환경 등에 대한 일련의 문제 제기인 것이다.

오늘날 연길시 중심거리 및 주요 상가의 간판의 경우, 건물 벽의 구조나 색채와는 무관하고 가능한 크게 그리고, 시각적으로 눈에 띄게 하는 데만 급급한 형태로 제작 설치하고 있다. 그 결과 건물이 지닌 본래의 아름다움 을 해치고 도시와의 조화를 이루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판의 크기, 색채 등 형태가 서로 다른 여러 개의 간판이 위 아래로 이중, 삼중으로 밀 집되어 있고, 간판을 부착한 위치와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 시각적인 통일감 이나 안정감을 결여시키고 있다. 연길시정부와 관련 분야에서 여러 가지 간 판에 대한 규제를 벌이고는 있으나, 제반 법규의 미흡함으로 그 효과가 기 대에 미치지 못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연길시의 시각적 환경에 존재하는 도시환경의 심각 한 문제점으로 등장한 간판에 대하여 연구 분석하고, 연길시 중심 상업구역 (해방거리의 보행거리)에 대한 분석과 연구를 근거로, 보행거리의 건축물과 중심 상가 간판, 광고물의 현황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를 거쳐 새롭고 창의 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현재의 무질서하고 혼란스러운 환경을 개 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연길시 조선족 문화 의 특성을 갖춘 구매환경과 인문적 환경을 조성하는데 있어서 어떻게 효과 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가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17)

1.2.연구방법 및 범위

간판은 도시문화의 기본 요소이며, 일정한 형태를 가진 의미 있는 유기체 이고, 한 도시의 문화적 의미를 내포한다. 또 도시환경의 품격과 지역적인 특색을 드러내는 형태로서 제기되고 있다.

간판이라는 용어의 뜻에는 여러 가지 해석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건물 벽면에 부착하는 상업 간판들을 위주로 현황을 조사를 하였고, 조사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일반적으로 통용하는 옥외 광고간판으로 용어를 정의하였다.

옥외 광고간판은 마치 한 도시의 명함과도 같으며, 도시가 가진 정신적 풍 요와 인문적 문화수준을 반영한다. 동시에 광고간판은 거울처럼 도시의 시 대적 변화와 역사를 보여주기도 한다. 인문적 환경의 관점에서 출발한 도시 환경은 한 개의 거대한 함축적 의미를 갖고 있는 개념이며, 도시건설과 경 제, 사회적 영역에 영위하고, 또한 도시는 사람과 물질의 유기적 체제로 구 성되었기 때문에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이 체험하는 정신적 정체성, 즉 도시 문화와 도시 자체의 물질 구성으로 반영한 도시의 경관 형상으로서의 유기 적 결합체이다. 다시 말하자면, 연길시 시민의 문화 수준 정도, 정신적 정체 성, 언론 행위, 도덕적 수양, 법률 의식, 공공적 관계, 직업 등 모든 인문환 경을 연길시에 반영한 것이다.

본 논문의 2장에서는 도시환경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옥외 광고간판이 도시환경에서의 시각적 문제점을 분석하고 따라서 도시환경에서 간판의 역 할로부터 본 논문의 필연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3장에서 해외의 법규에 따 른 해외간판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연길시의 지리환경, 인구구성, 역사적 특성에 대한 정리로 간판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연변의 옥외 광고간판의 현황을 구체적으 로 설명하고자 한다. 따라서 제2,3장의 조사내용을 기초로 하여 연길시 50 년대부터 80년대 개혁 개방이후 옥외 광고간판의 변화를 살펴보고 현재의 간판 문제점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간판 디자인 재료 분석과 현황 파악을 위해, 현장조 사, 비디오, 사진 촬영으로 통계적 분석과정을 통해서 옥외 광고간판의 사 용 실태를 파악하고자 한다. 보행거리나 연길시 중심 상업거리 등 지역과

(18)

지형의 특징, 건설구조물을 중심으로 한 인공적 환경, 그리고 각각의 점포 에 걸린 광고간판의 도형, 문자, 색채 등 각 방면의 조화와 통일성을 연구 함으로써, 도시환경 구성요소의 하나인 옥외 광고간판의 문제점을 찾아 분 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시각적 환경의 관점에서 연길시 해방거리, 보행거리 주변의 지역적 특징, 건축물의 규모와 외관, 인구 유동량, 판매상품의 종류, 인공적 환경(각종 유 형의 가로 장식물, 점포 광고의 도형, 문자, 색채)등 현황과, 조사 지역의 건물 벽면에 부착해 있는 일반적 간판인 가로 간판, 돌출 간판, 입체 간판 위주로 연구의 대상을 지정하였다.

총체적으로 본문에서는 연길시의 중심적 상업구역 간판과 광고물 발전에 있어서 그동안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연길시 핵심 상업구역에서 보여주고 있는 어제와 오늘의 옥외 광고간판의, 설계 및 제작 현황에서 연길시 특유 의 인문환경에 조화하지 못한 점, 또는 비규범화로 인한 무질서와 혼잡함에 대한 일련의 문제들을 추출하고자 한다. 즉 옥외 광고간판의 조형 설계, 도 형 설계, 색채의 사용, 글자체, 규범화된 문자사용, 광고간판 제작용 재료와 설계자의 창의적 능력 등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분석에 따라서, 연길시 도 시환경에 있어서 광고간판분야의 발전에 대한 비젼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19)

1.3.연구 흐름 구성도

[표 1] 흐름 구성도

(20)

제2장

도시환경과 간판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2.1.도시환경의 이론적 고찰 2.1.1 도시환경의 개념 2.1.2 도시환경의 구성요소

2.1.3 도시환경과 간판 2.2.간판 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2.2.1 간판 디자인의 개념과 역사 2.2.2 간판 디자인의 구성요소 2.2.3 간판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2.3도시환경에 있어서의 간판의 역할

(21)

제 2 장 도시환경과 간판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2.1.도시환경의 이론적 고찰

2.1.1.도시환경의 개념

도시란 인간 스스로의 의지로 만들어진 자연스러운 인공 환경이며, 인간의 형태가 녹아 있는 장소로서 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여러 가지 활동을 유 지시켜 주는 터전이며, 사람들에게 필요한 모든 시설과 활동의 영역을 집중 적으로 담아내는 거대한 장소이다. 인간은 환경 속에서 생존하고 생활하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인간은 환경적 동물이다.1)”라는 말이 의미 하는 것과 같이 인간의 생활은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의해서 영향을 받으며, 환경은 곧 인간의 일상생활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일정한 환경 속에서 그 영향을 받으며 또한 인간에게 기회를 제공하는 매개체로서 사물이나 대상에 감각적 형태의 수단을 빌어 정보를 전달한다. 인간은 자연 환경의 구조적 형태와 생태적 원리에 맞추어 보다 편리하고 윤택한 생활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형의 거대한 물체를 만들어낸 것이 바 로 조형계이며, 그 대표적인 예가 도시 환경이라고 말할 수 있다.2)

현대 도시경관은 대규모의 사업건물이나 고층 아파트 같은 시각적으로 도 시경관을 지배하는 것들이 참다운 인간적 가치와 관련성이 적어 상징적 의 미가 크게 부각되지 않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도시는 인간이 창조한 인공 적인 환경으로 도시환경의 창조는 인간의 기본적인 삶의 문제로서 인간해방 의 작업이며 역사창조의 과제로서 시각적, 심미적인 관점은 물론이고 도시 의 본질을 이해하면서 장기간의 계획과 전 국민적인 차원에서 책임의식을 가지고 꾸준히 창조하여야 한다. 이는 도시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성격, 자 연자세, 조망, 문화적 유산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다양의 통일로서 유기적 으로 계획하여야 하며 도시 속에 질서와 의미를 부여하여 인간이 살기 편한 환경을 창조해야 한다.

1) Kevin Lynch, The Image of City, The MIT Press, 1960, p.2.

2) 서범석 외3인, 옥외광고학 원론, 위드북스, 2004, pp.79-80.

(22)

2.1.2.도시환경의 구성 요소

도시 환경에서 대표적인 수평적 요소는 도로, 수직적 요소는 건물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중 도로변에 줄지어 늘어 선 건물은 인공적인 경관의 중심 적 요소로서 거리공간을 한정짓는 가로내의 내벽이자 가로의 얼굴을 결정짓 는 주요소이다. 즉 도로가의 건물에 있어서 건물외벽의 형태나 질감, 색깔 등의 모든 특성이 거리경관의 구체적인 표정을 결정짓는 것으로 건물외벽의 형태나 질감, 색깔, 그에 부착, 돌출된 각종 부가적 변화요소에 따라 거리경 관의 구체적인 표정 즉 가로의 특성을 결정짓는 것이다. 따라서 간판이 주 는 인상이 도시의 인상을 결정짓기도 하고 도시생활이 바로 간판가의 대면 에서 시작되기 때문이다.3) C. Sitte의 도시구성 이론도 환경 디자인의 측면 을 고려하여 도시공간은 연속적인 실체로 파악되어야 한다는 것과, 건축물 이 서로 상관관계를 가질 때만이 그 존재의 의미가 있다.4) 또한 이 두 가지 도시 구성 원리를 도시의 단절된 구조에서 유기적 구조로 회복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함으로써 인간이 만든 환경인 도시공간을 보다 청량감 있는 공간으로 변화시켜 생활의 질적 개선을 위한 노력으로 도시가 구성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생활환경의 개선이라는 목적의 도시환경 공간 변화를 위하여 다 른 것과 분리되는 특징이나 따로 분리되어 인식될 수 있는 어떤 특정한 물 건에 대하여 확인을 기초로 한다. 또한 동일성보다는 다른 공간과 구분되어 지는 특징의 주체성,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데 필요한 뼈대와 같이 골격의 구조와 같은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한 공간과 패턴, 도시를 보는 사람에게 실제적이거나 감정적인 정서를 유발5)하는 등 세 가지 근본 요소를 잘 고려 하여 도시환경이 가져야 할 쾌적함과 아름다움의 건축물, 도로시설물, 편의 시설, 공공시설물 등 도시 주변의 모든 요소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 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간판은 도시 삶에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도시정보 매체이고

3) 김영민, 도시경관의 구성요소로서 간판디자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대학 원, 1999,p8-9.

4) 손세관, Camillo Sitte 의 도시미학 이론과 현대도시설계 이론에의 영향, 건축과 환경 통권 제42호, 건축과 환경사, 1988, p.100.

5) 고성종ㆍ고필종, 도시와 환경디자인, 미진사, 1992, p.56.

(23)

또한 도시경관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므로 단순히 광고물로 도시에 존재 하지 않고 도시설계의 차원에서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2.1.3.도시환경과 간판

옥외광고 매체는 개인 또는 단체가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주 제를 옥외 게시 시설에 설치 또는 부착하여 계속적으로 시각적 자극을 주어 이미지와 인상, 연속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한 형태로 조형된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이용된다. 그러므로 옥외광고 매체는 도시를 아름답게 하는 시각 적 요소로서 환경적인 면을 고려해야 하며, 그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 공간 구조물(도로, 건물, 스트리트 퍼니처)과 인간 사이의 긴 밀한 생활 속에서 경제, 산업 활동에 필요한 정보전달 매체로서의 커뮤니케 이션 기능이다.

둘째, 일정한 도시 경관에서 가장 두드러진 시각요소로서 사람들로 하여 금 그 지역을 인식시켜 주며 나아가서는 도시 자체의 독특한 이미지를 갖게 해주는 랜드 마크(Ladmark)즉 어떤 지역을 식별하는 목표로서 적당한 사물 로 서울의 남산타워나 남대문, 63빌딩 등이 대표적이다.

셋째, 광고 면의 시각적 인상을 확실하게 정비해 놓은 후 내용으로 유도 하는 기술적인 디자인이 필요하다. 내용이 아무리 충실하더라도 기억될 수 있는 상징성이 없다면 광고물로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넷째, 옥외광고 매체는 미적 표현 또는 매력을 느끼게 하는 여러 요인을 구체화할 수 있다. 옥외광고는, 도시미관 조성에 기여하며, 특정 건물을 아 름답게 꾸며 주고, 장기적이며 반복적인 광고 효과와 지역 특성과 도시 개 성을 살려준다. 또한 도시민이 찾고자 하는 기업 및 상품 정보 전달에 효과 도 있다.6) 또한 건물의 배경에 부착되어 있는 간판은 시각공해의 주범으로 등장하여 사람들에게 편리함의 기능보다 불쾌감을 야기 시키고 있으며, 선 진국들은 일찍부터 도시 미관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전통적으로 간판에 대하여 강력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있다. 교통수단, 도로시설, 그리고 도심지의 빌딩들은 크고 작은 각종 옥외광고물을 통해 그 도시의 이미지를

6) 서범석 외3인, 전게논문, p.91.

(24)

결정시킨다. 이처럼 시각 환경속의 그자체가 도시경관을 구성하는 시각적 요소이며, 동시에 도시 내의 행동을 유도․제어하여 도시에 관한 커뮤니케이 션을 행하는 역할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시각 환경 요소 중의 하나인 옥외 광고물, 즉 간판을 도시경관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도시의 포인트가 되어 활 기찬 거리를 만드는 요소로써 그 도시를 처음 방문한 사람들에게 빌딩의 어 떤 위치나 지역을 가르쳐주는 안내판 역할을 하기도 한다.

도시환경에 있어서 간판은 단순히 외부공간에서 인간과 인간을 둘러싼 어 떤 현상과의 만남을 넘어서, 도시의 환경 속에서 정보체계를 구축하여 생활 의 편리함과 환경의 질을 높이며 그 지역의 이미지 형성요소 즉 상징적 요 소로 작용한다. 도시의 이미지라고 표현할 수 있는 것은 광고물을 통해 나 타나야 하지만 그 표현은 도시의 환경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도시민에게 정 서적이면서 미적이며 즐거움과 정보전달의기능을 동시에 만족 할 수 있는 표현이 되어야 한다. 이는 도시환경요소로서 상품 및 고지사항 등이 정보를 전달하고 밝고 명랑한 도시 미관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뿐 아니라 지역의 특 성과 개성을 살리며 안내를 담당한다. 하지만 전달감각과 미적 감각이 서로 상충되지 않고 도시환경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정보전달의 기능과 함께 사회 문화적 역할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깊이 인식하여 사회․문화 전반에 걸친 폭넓은 이해를 갖고 간판을 제작할 때 도시환경을 구성하는 중요한 미 적 조형요소로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2.2.간판디자인의 이론적 고찰

2.2.1.간판디자인의 개념과 역사

1) 간판디자인의 정의

인간이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얻는 지식의 대부분은 '본다'는 행위를 통해서 습득되는 것이다. '본다'는 작용은 어떤 사물을 인지하는 것으로 각 종 반응이 따르게 된다. 그 반응은 자율적일 수도 있으며 신체적 반응일 수 도 있고 어떤 감각적 작용일 때도 있다. 이러한 작용을 이용하는 것이 간판 이다.

우리는 흔히 간판을 사인(Sign), 사인보드(Signboard) 또는 옥외광고물

(25)

등으로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용어들이 사실상 혼합되어 사용되고 있 다. 간판을 뜻하는 사인(Sign)은 아주 늦게 영어에 도입되어 1225년까지는 몸짓이나 동작을 의미 하였으며, 13세기말까지는 깃발 또는 방패에 그려진 십자표시나 그 밖의 모든 도안을 뜻하게 되었다.

간판이란 중국에서 유래된 것으로 판(板)에 써서 보인다(看)는 뜻에서 비 롯된 ‘말로 보이는 판(板)’이란 뜻으로 전통적 자기 광고물이라 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점포에 부착되어 그 영업 내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시각을 통 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며, 옥외에서의 선전광고로서 그 곳을 지나는 다 수의 대중을 대상으로 업주의 의사를 전달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 한 간판은 상업성을 띄는 것이므로 대중에게 호소력이 있어야 하며 도시 미 관을 살릴 수 있는 조형적 효과와 환경과의 관계가 고려되어 설계되어야 한 다.7)

브리태니커 세계 대백과사전의 간판에 대한 사전적 의미로는 “판매와 광 고 분야에서 쓰이는 용어로 상점, 영업소, 기관 등에서 그 이름이나 판매상 품 따위를 써서 사람들의 눈에 잘 띄도록 걸거나 붙이는 표시로 상점위에 매달거나 앞에 놓아두는 장치 또는 회사나 상품을 광고하기 위해 멀리 떨어 진 곳에 놓아두는 시설물을 뜻한다. 이렇듯 옥외에 게시되는 간판의 경우 설치장소, 전시목적, 설치기간, 설치방법, 조명방법에 따라 세분화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간판에 대한 형식, 명칭 등이 모두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설치하는 위치, 형태, 수단, 재료, 입지조건 등에 따라 각각 달라 매우 복잡 하며, 분류하는 시각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새로운 소재의 출 현으로 인해 더욱 다양해지고 분류 방법상 중복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간 판을 구분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도시 환경 속에서의 옥외광고물에 대한 구분을 하면 옥외광고, 옥외간판, 옥외사인(Sign)의 3가지로 분류된다. 옥외광고란 건물은 물론 지하도, 철도 역, 공항, 항만 및 고속도로의 교통시설과 열차, 전동차, 자동차, 비행선등 교통수단을 포함한 곳에 불특정 다수인을 대상으로 광고에 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시설물을 말하는 것으로 옥상광고, 야립 광고, 벽면 광고, 전광판, 교 통시설 이용 광고 등을 들 수 있다.

7) [광고대사전]재인용, 광고전략연구소, 1986.

(26)

옥외간판이란 개인 또는 단체가 자기가 보유하고 있는 건물이나 토지 혹 은 임대한 장소에 자기의 성명, 상호, 상품 등을 쓰거나 판로를 부착하여 알리는 수단으로 가로형 간판, 세로형간판, 돌출간판, 옥상간판, 지주 이용 간판 등을 들 수 있다. 옥외사인이란 환경 속에서의 이해와 행동에 도움이 되는 정보전달의 수단으로 안내사인, 기명사인, 규제사인 등을 들 수 있 다.8) 브래넌(E.Brenan)은 “옥외광고의 가장 큰 특징은 옥외에 돌출되는 것”

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벽이나 판자 같은 고정된 것을 이용하는 것”이라고 옥외광고의 개념을 말하였다.

옥외 광고물 등의 관리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옥외 광고물이라 함은 상시 또는 일정기간 계속하여 공중에게 표시되어 공중이 자유로이 통 행할 수 있는 장소에서 볼 수 있는 것(대통령령이 정하는 교통시설 또는 교 통수단에 표시되는 것을 포함한다)으로서 간판 · 입간판 · 현수막 · 벽보 · 전단 기타 이와 유사한 것을 말한다.’라고 정의 되어있다.

이러한 옥외광고매체는 특정한 지역공간에 고정되어 그 지역을 통과하거 나 그 지역을 이용하는 사람들에 대하여 원치 않아도 그 광고물을 보아야 하는 고정강제성, 그리고 한 지역에서 오랜 기간 동안 설치되어 그 지역이 나 지역성을 상징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가로경관의 시각적 자원으로서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2) 간판 디자인의 종류

(1) 간판의 외적 분류

간판은 그 설치 장소와 소재, 용도에 따라 매우 다양한 용도로 나누어진 다.

8) 류승희, 옥외광고 디자인 전략, 조형사, 1995, p25-55.

(27)

옥내간판 토탈 간판 POP

옥외간판

옥상 광고 벽면 점두 돌출 양립 비행선

금속류

스테인리스 황동 알루미늄

아크릴

FRP

화학수지제품

전기제품

플렉스 유연성

① 설치 장소에 따른 분류

[표 2] 간판의 설치 장소에 따른 분류

② 소재에 따른 분류

[표 3] 간판의 소재에 따른 분류

(28)

가로형(전면)

일반적으로 업소전면 메인상단부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본적 인 형식으로 업종의 특성에 맞는 소재나 디자인으로 신뢰감이 나 구매 욕구를 충족시켜야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세로형(돌출)

건물외벽 가장자리 끝 쪽에 부착하여 원거리 보행자로 하여금 업종의 상호를 알리는데 사용된다. 양면으로 제작되고 지면에 서 높은 위치에 부착되기 때문에 브랜드 이미지가 약할 경우 가독성을 고려하여 작업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지주형 폴

비용이 일반적으로 많은 편이며 지면에 기초공사를 하고 간판 지주를 따로 설치한 다음 일반적으로 스텐 또는 알루미늄 사인 탑 세로형으로 설치하는 것이다. 허가가 까다롭지만 설치하면 업체의 규모가 커 보이고 정돈되어 보인다. 보행자에게 가시성 이 좋고 조형물적인 특성을 부각시킨 경우 효과가 좋다.

스텐드형 (이동형)

가공형과 기성품이 있으며 메인간판 부착이 어려운 경우에 적 용한다. 일반적으로 플렉스나 아크릴재질로 제작되며 가격이 저렴하고 조도가 뛰어나서 많이 보급되고 있다

옥탑(빌보드)

대형이고 건물최상단에 설치된다. 지면에서 높은 위치에 설치 하기 때문에 원거리에서의 광고효과가 좋고 주로 기업의 브랜 드 이미지를 알리거나 병원 등에서 활용된다. 플렉스가 많이 쓰이고 최근 들어서는 네온도 많이 활용된다.

차량사인

움직이는 광고매체로서 넓은 지역에 걸쳐 브랜드 이미지를 홍 보할 수 있다. 방식으로는 도색, 실사출력, 컷팅 등이 있으며 서로 보완해서 응용하면 좋은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컷팅방 식이 저렴해서 많이 사용되고 제품이미지를 알리는데 실사 사 진을 부분적으로 넣는다면 홍보효과가 더욱 좋아진다.

③ 용도에 따른 분류

[표 4] 용도에 따른 분류

(29)

④ 기타 광고물

옥상 광고물,돌출광고물,입간판,애드벌룬,지주이용간판,형광류,네온광고물, 야립광고물,고속도로 및 휴게소 내 광고물, 비행선 광고 등이 있다.

(2) 간판의 내적인 분류

① 공간과 환경에 따른 분류

도시는 거리, 건물, 나무, 광장 등과 같은 요소들로 구성된다. 그것은 복 잡하면서도질서정연하게 집합되어 있다. 건물, 다리, 거리, 심지어 자동차 등의 사인(Sign) 기능은 글자의 사인(Sign) 기능과 같이 명확하지는 않지만 전달 목적을 가지고 있다.

공간에서 사인(Sign)의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 사인(Sign)은 상업지역에 알맞고 그런 환경에서 완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공간이 사인(Sign)의 효율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또한 사인(Sign)의 의미는 그것이 놓여져 있는 장소에 따라 변화한다.

② 목적, 의도, 기능에 따른 분류

인간은 어떤 것을 전달하기 위한 도구로 사인(Sign)을 만들었다. 목적과 의도는 사인(Sign)의 의미이고 그것은 사인(Sign)의 특성을 결정한다. 기능 은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이 논문에서는 아이덴티티(Identity),광고(Advertisin g)에 대해서만 분류를 해 보았다.

a.아이덴티티 사인 (Identity Sign)

아이덴티티란 필요한 정보의 상(象)이나 심볼(Symbol)을 통하여 동일화시 킨 것이다. 이들 사인(Sign)들 중 주류가 되는 것은 상업적 사인(Sign)인 경 우는 광고사 인이 포함될 수 있다. 기업에서는 CI를 Corporate Identity로 해석하지만 도시의 CI는 City Identity로 발전해 가고 있다. 이는 기업의 CI 와는 차이가 있으며 시민의 공익을 위한 문화차원인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부천시에서 처음 시도를 하였다. 아이덴티티의 과정은 현존하는 시각에서 사진, 면담, 자료수집의 과정을 거쳐 시각적 재료를 구체화시킨다. 이 작업 후 심벌이나 로고를 결정하고, 색채, 문자 등을 정하는 핵심 아이덴티티 과 정이 있고 그 작업 이후에는 시각 적용물을 감독하고 운용하는 지침서를 만 들어 집행하도록 한다. 그 과정을 그림으로 나타면 다음과 같다.

(30)

[표 5] 아이텐티티의 과정

b.광고사인(Advertising Sign)

광고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많은 사람들의 욕구를 자극하고 환기를 촉진하여 판매상의 효과를 거두려는 상업선전을 말한다. 광고는 크게 두 가 지 의미를 지니고 있는데 그 하나는 광고 메시지이고, 또 하나는 광고물을 포함한 광고활동이다. 광고의 효과를 심리학에 있어서 감각효과⇒주의효과

⇒기억효과⇒정서효과⇒의지효과의 과정을 밟는다.9)

광고 사인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상품을 위한 광고와 회 사를 위한 광고가 있다. 가게나 회사를 위한 광고는 아이덴티티 사인(Sign) 과 가깝다.

3) 간판 디자인의 역사

광고간판의 역사는 곧 광고의 역사가 된다. 인류가 시작되고 인간들이 모 여 살면서 표기와 표시가 시작되었고, 지금과 같이 정확한 의사 전달 수단 이 없었던 고대에는 기록하거나 기억 또는 남에게 알리기 위하여 시각적인 부호로 표기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을 것이다. 그래서 표시하고자 하는 대상 물을 가장 단순화하여 돌에 새겨 넣게 되었다. 표의문자나 상형문자 등의 고대 한자어와 갑골문자 등이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간판은 고대 이집 트나 그리스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고, 동양에서는 중국의 맹자 때 부터 상점의 상호로서 간판이 유래되면서 서서히 언어가 기호화 되어진 것 으로 추정 되고 있다. 1796년 바바라인이 석판인쇄술을 발명함으로서 광고 의 범위가 확대되었으며, 이로 인해 광고디자인의 질적 향상을 가져왔다.10)

9) 조영철, Korean Trademarks And Logotype, 안국문화, 1985, p. 13.

10) 강홍구 저 시시한것들의 아름다움, 황금가지 ,2001, p.117

(31)

또한 인쇄술의 발달은 아름다운 포스터와 더불어 2차원의 간판에 붙여지 기 시작했으며 1800년대에는 옥외광고에 흥미롭고 특이한 시도가 많았다.

가장 오래된 상업목적의 간판으로는 기원전 79년 베스비오스화산 대폭발 로 매몰되었던 폼페이시 유적에서 발굴된 간판으로 산양이 조각되어 있는 나무를 불에 그을려 표현한 우유가게의 간판, 술집을 표시하는 술통을 맨 남자의 조각, 여인숙을 의미하는 체스판 모양의 간판 등이다. 이러한 간판 들은 로마이후 17세기까지 이어져 내려왔다.11)그 후 20세기 초 10년간은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시대가 전개 되면서 광고에 활기를 띄었고, 다양한 간 판들 이출현하기 시작하였다. 오랜 전통을 갖지 못한 미국과 같은 경우는 이때부터 별다른 규제 없이 누구나 마음대로 부착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무 절제 가몰고 온 간판은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게 되 었다. 이때부터 서서히 간판의 교제가 만들어 지기 시작하여 1872년과 1912년 사이에 걸쳐 광고표시의 기준을 정하기 위하여 조직위원회가 개최 되었으며, 광고표시의 기준이 제정되었다.1900년대 초기에는 자동차 생산에 의해 생활이 변모하면서 달리는 차안에서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옥외 의 대형 간판이 점차 증가하게 되었다. 현대의 간판은 생산자와 소비자를 이어주는 교량역할을 하는 광고 행위가 되었으며 간판은 그 시대에 사는 대 중이 무엇을 필요로 했는가를 잘 나타내 주었다. 유럽의 경우 18세기 말까 지는 집집에 없었으며 19세기 초까지만 하더라도 대다수의 사람들이 글을 몰랐으므로 간판은 길잡이가 되고 상품을 상징하는 절대적인 기능을 지닌 것이었다.12)

중국에서는 간판이라는 말 그대로 보여주는 판이란 뜻으로 상점에서 파는 물건의 이름을 써놓거나 상품모양을 본 딴 갓을 내걸어 행인에게 알렸다고 한다. 또한 간판의 종류가 자오파이와 왕쯔로 구분되는데 자오파이는 널판 지에 문자를 새긴 것으로 비교적 문화 수준이 높고 문자를 아는 사람이 많 았던 남쪽지방에서 주로 쓰였고, 왕쯔는 상품의 모형 또는 업종을 상징하는 물건을 내걸어 간판으로 삼은 것으로 문화수준이 낮은 북쪽지방에서 발달하 였다.13) 우리나라에서는 마을이름과 지명을 알리는 천하대장군이 생겨난 고 11) 구영훈, 사인커뮤니케이션론, 코스마5호, 1990, p.27.

12) 다카하시 마사토, 시각디자인의 원리, 김수석 역,교문사, 1988, p.49.

13) 동아원색 세계 대백과사전, 동아출판사, 1983, p.414.

(32)

려시대 때부터 간판이 본격적으로 설치된 것으로 추정 할 수 있다.

조선시대엔 고대 중국과 마찬가지로 주렴, 또는 포렴이라 불리는 천막으로 된 것을 출입문에 드리워 업종을 표시하였고 지붕의 추녀 끝에 등불을 넣은 통을 매달아 거기에‘酒’자나 또는 업종의 이름을 써놓아 간판의 기능을 하였 다. 해방 이후 원색적인 소구방법과 표현양식에 많은 혼란과 시행착오가 있 었으나 근대화가 시작되는1960년대 초반부터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팽창에 따라 사회 환경이 복잡하고 빨라져 보다 더 눈에 잘 띄고 개성적이며 화려 한 간판들이 늘어났고,1970년대 경부고속도로 개통과 1980년대 아시안게임 과 올림픽,1990년대의 대전엑스포 세계박람회 등 국제적인 행사를 치르면 서 초고속으로 발전하였다.

2.2.2.간판 디자인의 구성 요소

1) 형태

형태란 우리들 눈으로 파악된 대상각적으로 다른 반응을 갖고 있다.

각기 구분한 전달 매체로서 시각에 영향을 형태 유형별 종류로는 자 연적(Geometrical form)로 크게 나눌 수 형성된 유기적 형태(Organic form)가는 형태를 기하학적 형태라고 한다.

[표 6] 동면적 도형의 인지도 지수

위의 [표5]를 보면 삼각형이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일반 적으로 사용이 용이하고 인지도가 가장 높은 것은 기하학적 형태이다. 사 각형은 일반적으로 안정감이 있고 문자와 그림의 배치도 용이하다. 그러나 기하학적 형태일지라도 그 구조가 복잡하면 인지도는 떨어진다.

(33)

2) 문자

문자는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한 시각전달 기호 중 하나이다.

문자형식의 구성요소는 문자의 크기, 문자의 두께, 문자의 넓이와 높이의 비례, 문자의 형태와 특성, 레이아웃 등이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의 시지 각적 효과와 심미적 효과를 고려한 사인은 시각적으로 명쾌함을 줄 뿐만 아 니라 신속· 정확한 전달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시성(Visibility), 가독성 (Teadabiility), 주목성(Noticeability), 판독성(Legibility)이 4가지 디자인 기준 을 고려하여야 효과적인 디자인이라고 볼 수 있다.14)

①가시성(Visibility)

간판에 있어서 문자의 가시성이란, 관찰자가 주위에 있는 다른 것과 어떤 특정한 글자(혹은 숫자)를 구별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한다. 디자이너는 가 로수나 가두판매대 등이 간판의 가시성을 방해하지는 않는지 주변을 점검 할 필요가 있다.

②가독성(Teadabiility)

가독성이란 글자나 숫자의 집합체를 보고 그것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읽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한다. 하나하나의 글자가 각각으로 읽히도록 배치된 것보다는 전체적으로 배치된 것이 더 큰 도움을 준다. 가독성은 잠재적인 구매자에게 구매의욕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간판은 보행 자가 빨리 판독하여 구매여부를 결정하고 상점에 접근할 수 있을 정도로 수 월하게 읽혀야 한다.

③주목성(Noticeability)

주목성은 사람들이 특정한 메시지를 보게 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제한된 시간 안에 주위에 있는 모든 것을 볼 수는 없다. 간판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마치 주위 환경의 한 부분처럼 되어 더 이상은 사람들의 눈길을 끌 수 없게 되는데 이를 ‘이미지의 정착’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현상을 막기 위 해서는 일정 기간마다 간판의 내용을 조금씩 바꿔주는 것이 필요하다. 형태 에 약간의 변화를 준다든지 색상을 어느 정도 바꿔주는 식으로 이러한 주목 성을 계속 유지시킬 수 있다.

14) 김홍선 ‘한글과 사인보드’, 디자인포장 1982, p.39-40

(34)

도로폭(m) 최소문자크기(cm)

5 10 20 30 40 50

(1.3) 약2 (2.5) 3 (4.9) 5 (7.4) 7 (9.9) 10 (12.4) 13

④판독성 (Legibility)

판독성은 어떤 메시지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이것은 가독성과도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커피숍 간판의 서체가 명조체여야 하 는지 고딕체여도 무관한지는 객관적인 판독성에 의존해야 한다.

[표 7] 도로폭에 따른 문자 크기

문자의 조형성의 중점은 판별성과 가독성에 있다. 판별성은 시지각에 민감 하게 반응하고 하나하나의 문자가 형태의 혼란을 일으키지 않게끔 판별할 수 있는 명확한 문명이어야 하며 가독성은 문자집단으로서 의미를 독해하기 위해 통일성과 적당한 시각자의 외에 어떠한 곳에서도 견디어낼 수 있는 점 등이 문제가 된다. 문자 색과 바탕색과의 관계에서 보면 흰색 바탕위의 검 정색이나 파랑색 등의 단일 문자 색은 검정 바탕위의 흰 글자보다 명시성이 높으며, 검정 바탕 위에 흰 글자를 사용할 경우 흰 바탕위의 검정 글자보다 가늘어야 한다. 가독성은 문자의 크기에만 좌우된 것이 아니라 서체와 문자 의 배열도 중요하다. 문자의 배열은 눈의 수평이동에 따라서 세로배열보다 는 가로배열이 더 가독성이 높으면서 문자의 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보여지 기 보다는 읽혀지게 된 경우가 있다. 그럴 때는 따로 인쇄물을 제작·비치하 는 것이 좋다. 문자의 두께도 가로획에 비해 세로획이 굵어야 시각적인 균 형이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한글이나 숫자와 같은 단순한 문자는 선의 굵 기를 문자높이의 1/6~1/8정도로 설정해 주는 것이 좋다.

또한 건물의 성격이나 도로 폭을 염두에 두어 문자의 크기나 그 수를 규 정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더욱 더 많은 문자사용의 공간을 필요하게 될 것이며 그 결과 정보 전달기능에 있어서도 역기능을 낳고 시각문제의 요인 이 될 것이다.

(35)

사인에 시용된 문자체는 잘 보이고 읽기 쉬워야 하며, 주위환경과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그러므로 문자의 조형성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문자의 조형적 특성을 파악하여 사인의 특성에 따라 전용서체를 선정하여 통일되는 서체를 유지하여 사인에 응용해야만 효율적인 사인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3) 색채(colure)

사인(Sign)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종합 조형물로서 문자의 크기, 표현방법, 구성재질, 색채까지도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색채는 우리의 행동을 정서적 으로 지배하며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을 뿐 아니라 감각적 소구력이 강해서 그 자체만으로도 상징 언어가 될 수 있다.

색채는 글씨, 마크, 로고 타입 등의 가독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중의 하나 로 사용된다. 이러한 명시성에 대한 실험을 칼 보그래퍼(Kal Boggrafe)에 의해서 10×25cm의 배경색 위에 1.5cm 높이의 문자를 사용하여 적, 주황, 녹, 청, 흑, 백 6색을 배경 색과 글씨 색으로서도 배색시켜 30가지 견본을 만들었다.

순간주의력 측정 장치(Tachistoscope)를 사용하여 실제 읽는 시간을 측정 하였다. 이 도표에 나타나 있는 수치는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계산되었으며 예를 들어 1.31이라고 기록된 수치는 실제 완전하게 읽혀진 노출단위의 평 균치이다. 서열로 분류된 것은 자연광 아래서의 명시성이 높은 순으로 나열 되었다.

[표8]에 의하면 황색 배경 위에 흑색 글씨, 적색 배경에 백색 글씨처럼 명도차가 큰 쪽은 명시성이 높고 주황색 배경 위에 녹색 글씨, 녹색 배경 위에 적색글씨처럼 색상 차는 크더라도 명도 차가 없는 색은 명시성이 떨어 진다.

(36)

서열 글씨색 배경색 자연광 인공광 서열 글씨색 배경색 자연광 인공광

1 1.31 1.33 16 1.42 1.45

2 1.34 1.40 17 주황 1.42 1.45

3 1.35 1.30 18 1.42 1.46

4 1.36 1.26 19 1.43 1.40

5 1.36 1.32 20 1.44 1.50

6 1.36 1.37 21 1.47 1.43

7 1.36 1.39 22 1.48 1.43

8 1.37 1.35 23 주황 1.48 1.45

9 1.40 1.35 24 1.48 1.54

10 1.40 1.38 25 주황 1.50 1.50

11 주황 1.40 1.40 26 주황 1.52 1.60

12 1.41 1.38 27 주황 1.52 1.62

13 주황 1.41 1.40 28 주황 1.54 1.64

14 1.41 1.42 29 1.57 1.50

15 1.41 1.45 30 주황 1.58 1.47

[표 8] 색의 명시성 비교

(37)

눈에 잘 띄게 하기 위해서는 명시성 뿐만 아니라 주목성을 들 수 있는데 눈에 잘 띈다는 것은 명시성에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는다. 주목성은 명시성 이 그 요인의 하나이기는 하지만 주로 주위의 것과 이질적인 까닭에 주목을 끌게 하는 성질이다.

색을 보는 남의 경험, 지식, 기억 등에 영향을 받고 민족성이나 나이 성 별, 환경, 교양, 직업에 따라서도 다르다. 이런 개인적인 차이를 초월하면 사회적, 지역적 보편성을 가진 상징적인 성격을 갖게 된다.

4) 조명·(Light)

조명은 빛을 융통성 있게 활용하여 형태와 장소를 한정시키기도 하며 세 부적인 것들을 강화시켜 주기도 한다. 또한 조명을 이용하여 사인(Sign)의 효과와 특성을 부각시킬 수도 있고 심리적인 변화도 창출할 수 있다.

이 장에서는 외부 사인(Sign)의 요소로서 조명의 기술적인 점들을 몇 가지 알아보고자 한다.15)

(1) 강력조명 또는 스포트 조명외부 사인(Sign)류나 건물 벽 속에 묻혀 있 는 문자들이나 또는 벽면과 동일한 면에 부착되어 있는 사인(Sign)에 강력 조명을 주면 그 반사의 효과 광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강력 조명일 경우 너무 광도가 높아서 입체적인 문자사인(Sign)들이 문자와 그 그림자의 겹침 현상을 일으켜 가독성에 문제를 주는 경우도 있다.

(2) 외부 주 조명

기존 조명에서 보행인 안내 사인(Sign)을 위한 간접 조명으로 역광을 만들 어내기도 한다. 주 조명 기초 조명시설이 2, 3촉광의 조명을 필요로 하는 주차시설이 있는 장소에서 사용한다.

(3) 내부 조명

외부 사인(Sign)에 있어서의 그 내부조명은 야간에 잘 보이도록 하거나 특별한 강조를 나타내고자 할 때 필요하다. 문구와 배면 사이에 조명을 설 치하는 경우나 문구 표면 뒷면에 후광효과와 혼합되어 그 사인(Sign)의 문 구를 부각시키는 방법이다. 반 투명판에 내부조명이 설치된 사인(Sign)이나

15) 조영철 ‘Korean Trademarks And Logotypes',안국문화 1985. p13

(38)

내부조명이 된 불투명한 문구는 어느 것이든 다 같은 흰색 계통이나 엷게 채색된 배면이면 효과가 좋다. 그 이유는 배면으로부터 오는 밝은 색의 영 향을 받기 때문이다.

(4) 외부 조명

사인(Sign) 자체에 붙어 있든지 또는 그 어는 곳에 위치하든 간에 이 외부 조명의 범주는 사인(Sign) 주위에서의 모든 조명을 사용하는 기술을 말한 다. 앞서 말한 강력 조명도 외부 조명의 하나로 밖으로 노출된 네온튜브나 백열전구, 초강력 램프 등을 말한다. 사인(Sign)에 있어서 노출된 네온튜브 는 대부분 문자 모양이나 선형의 디자인을 형성시키게 된다. 많은 튜우브를 병행해서 넓은 면을 제작해 낼 수도 있으며 홈파진 사인(Sign) 문자의 한정 된 주위를 조명해 내는 방법도 있다. 이로 인한 디자인의 가능성은 무한하 며 결과 또한 효과가 크다. 그 밖의 부착방법으로 사인(Sign)의 위치는 관 찰자가 항상 움직이는 시점 안에서 보기에 적합한 위치를 선정해야 하고 문 자의 크기가 움직이는 관찰자의 시점에 적합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일반적 으로 눈을 고정시켜 볼 수 있는 범위를 시야라고 할 때 대 시야는 15°이다.

시각으로는 약 1°20″의 크기를 가진 중심 구 라고 불리며 이 때의 시력이 가장 정확하고 상세한 정보를 얻는다. 사람의 평균적 눈높이는 지상으로부 터 서 있을 때 약 160~170cm이며 앉았을 때는 120~140cm 쯤이라고 한 다.16)

사인(Sign)이 보는 사람 눈의 시각 수평선이 30°이상이 되면 사인(Sign)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으며 대체로 인간의 시력 한계는 대상의 크기에 비하여 3,000배 이상 떨어지면 볼 수 없으나 이 거리 내에 있는 대상이 누구에게 나 똑 같이 인지되는 것은 아니다. 정상적인 시야에서 벗어나면 의도적으로 보려는 행동을 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사인(Sign)의 적절한 위치는 정보 를 찾고자 많은 곳을 보는 사람의 노력을 감소시켜 준다.17)

① 가독성: 도형(Figure)과 지형(Grpund)의 확실한 구분을 위함이다.

② 주목성: 이는 주의를 끌 수 있도록 디자인 되어야 한다.

③ 기억성: 기억하기 용이하고 그 디자인이 주의를 끌기가 쉬운 것이어야 16) John folls and hammer, architectural signing and graphics, Londen,whitney library of design,

1970,p.18

17) 과학기술처, 상가건물 facade 와 장치물 및 간판과의 조화에 관한 연구, 1976, p.13.

(39)

한다.

④ 정확성: 정확한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

⑤ 조형성: 센스를 포함한 아름다움을 말한다.

⑥ 충동성: 잠재적으로 지각될 수 있는 요소를 의미한다.

⑦ 안정성: 마음을 유도하는 요소이다.

이 모든 것을 충족시키면서 시대감각에 맞는 신선미를 표현해 준다는 것 은 매우 쉬운 것 같지만 그렇지만은 않다.

간판의 조형적 요소들로 이루어진 간판은 작게는 가게의 명함과 같은 존 재이고 크게는 그 도시의 인상과 문화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기호물이다. 따 라서 단순한 시각이 아닌 보다 바람직한 문화적 형태로 나타내야 한다.

건물의 바깥공간이나 벽에 게시된 일종의 사인(Sign)시스템이라 할 수 있 는 간판은 조형적 계획에 따라 도시환경에 훌륭한 문화적 가치를 부여하는 가 하면 공해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간판 제작자는 간판 설치 시 환경에 대한 친밀감과 안락감도 배려해야 하며 시각물로서 사회성 과 문화적 측면으로는 물론 윤리적인 면까지 조형적 제반요소에 참작하여 제작하여야 할 것이다.

2.2.3.간판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우리가 시내를 구경하거나 구매활동을 할 때 간판으로 인해 안내를 받고 또 구매할 상품을 결정짓는 일에 관하여 도움을 받을 때가 많으며, 간판의 시각적 요소가 우리의 시각원리에 맞게 이루어졌다면 곧 간판이 이미 지각 되어 기억처리가 되어져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될 것이다.

인간의 감각 중 83%를 시각이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볼 때 시각 대상물이 인간 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영향은 지극히 큼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간 판의 지각 능력은 시각적인 가독능력과 기억할 수 있는 능력, 색감에 대한 지각능력, 정신적 숙달정도와 같은 여러 가지 육체적이고 심리적인 인자에 영향을 받는다.18)

평각일 경우 좌우 35˚씩 수직시야는 상방50˚~55˚ , 하방 70˚~80˚, 수평시 18) 안철수 저층상업건축물에 있어서 간판이 입면구성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인하대

대학원, 1988, p.14-15.

(40)

야는 좌우 또는 우좌로94˚, 62˚이나 양쪽 눈을 고려하면 수평시야는 양쪽 눈의 공통범위는 120˚가 된다.

시야는 눈에 보이는 것을 말하며 인간이 그 한계내의 모든 것을 인지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간판은 문자로 되어 있고 문자의 인지 한계각은 최대 10˚이다. 간판을 보기 위하여 일부러 눈동자나 머리 또는 몸을 돌리는 행동 을 제외하면 가장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편하게 간판을 볼 수 있는 간판의 인지각은 통5˚~10˚로 할 수 있으며 간판의 심벌을 볼 수 있는 한계각은 30˚

로 할 수 있다.

[그림 1] 시각도

이러한 우리 눈의 구조와 도시경관의 척도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관 찰자와 1~3m 떨어져 있는 사람은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게 된다.2.4m 가 보통 대화를 할 수 있는 거리이며 이 한계 내에서 우리는 정상적 음성으로 이야기 할 수 있고 대화 시에 미묘한 말과 얼굴의 표정을 구분할 수 있다.

최대 23m이하라야 의사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 거리 이상 되면 몸동작으로 밖에 전달이 안 된다.

24m 정도의 거리에서는 우리의 몸동작을 구분할 수 있다.이 거리는 관찰 자가 사람들이 모자를 쓰고 있는지 또는 신문을 팔고 있는지 등을 구분할 수 있는 최대 거리이다. 1200m이상 되는 거리에서는 사람을 볼 수 없다.

가로환경 구성에 있어서 이러한 척도는 관찰자의 속도와 관련이 깊으며

(41)

자동차등 관찰자가 타고 있는 교통수단의 속도에 따라 경관의 척도감은 현 저하게 변화함으로 이를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가장 중요하고 고전적인 교통수단은 인간의 도보이며 평균시간당 4㎞의 속도로 걷지만 주위환경에 따라 또는 자기 자신의 흥미의 척도에 따라 그 속도나 방향은 자유자재로 변화한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19)

환경을 지각하는데 있어 공간의 규모에 따라 지각하는 대상이 달라진다.

소규모 공간에서는 형태, 소리등과 같은 1차원적인 정보가 중요하고, 감각 기관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대규모 공간에서는 지역 사회 내에서의 방향 감각 등이 폭넓게 필요하기 때문에 고차원적인 지각정보가 중요성을 가지게 된다. 일정공간의 지각은 시각적, 감각적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며 대부분 건물의 외벽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간 속에서 이루어진 여러 구성요소를 지 각하게 된다. 일정공간에서 거리에 의한 시각적 범위는 지각과 중요한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근거리에서의 지각은 간판의 크기, 재료, 색채 등에 의 하여 결정되고, 원거리에서는 집합적인 간판들이 만들어 내는 외각선 즉, 옥외광고물의 연속적 라인이나 위치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20)

가독성이 높은 간판이 되기 위한 조건으로는 간판을 보는 사람(시력, 눈높 이, 예비지식의 유무, 보행 속도 등), 간판의 내용(문자, 표시면의 배분방법, 표시판의 크기, 모양, 색, 설치조건, 조명 등), 간판이 놓여 있는 환경(일기, 시각, 지형, 장애물, 도로조건 등)등의 여러 조건들이 서로 관련되어 있으며 관찰자가 처해 있는 상황에 따라‘개방된 공간(Open space)’과 ‘둘러싸인 공 간(Enclosed space)’으로 나눌 수 있다.

개방된 공간과 둘러싸인 공간에서 표현되는 간판의 양상은 달라야 하는데, 개방된 공간에서는 관찰자가 교통수단에 의해 빠르게 이동하는 경우가 많으 며 이러한 상황에서는 간판의 형태가 크고 색채계획이 인정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을‘지나치는 공간’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반면 명동과 같이 둘러싸인 공간은 보행수단에 의해 관찰자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관찰자와 간판과의 대면거리는 짧아서 간판을 굳이 크게 만들 거나 원색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3차색까지의 색채계획도 무난히 인정

19) 김부배, 도심가로경관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건국대 행정대학원, 1988, p.12-13.

20) 안종규, 상업지역 옥외광고의 시각적 선호에 관한 연구, 홍익대 대학원, 1999, p.16-17.

참조

관련 문서

It considers the energy use of the different components that are involved in the distribution and viewing of video content: data centres and content delivery networks

After first field tests, we expect electric passenger drones or eVTOL aircraft (short for 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to start providing commercial mobility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In order to overcome this phenomenon, the necessity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ducation were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gender sensitivity' that could

Through the results of the first study, if you manage dancers considering the positive motivation for perfectionism in consideration of the

Methods to overcome insufficient bone due to poor bone quality, the pneumatization of a maxillary sinus and other anatomical limitations of implant placement

• 이명의 치료에 대한 매커니즘과 디지털 음향 기술에 대한 상업적으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치료 옵션은 증가했 지만, 선택 가이드 라인은 거의 없음.. •

The proposal of the cell theory as the birth of contemporary cell biology Microscopic studies of plant tissues by Schleiden and of animal tissues by Microscopic studies 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