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Geology and Geological Structure around Harar, NE Ethiopia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Geology and Geological Structure around Harar, NE Ethiopia"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요 약: 에티오피아 북동부 하라르 일대에는 선캠브리아기 기반암인 화강편마암을 반려암이 관입하고 있으 며, 이들 내에 홍색의 알칼리 화강암과 다수의 페그마타이트가 발달하고 있다. 이들 모두 구조적으로 연성과 취성의 변형을 보이고 있다. 이들 내에 발달하는 습곡과 전단구조, 그리고 드러스트와 단층 등 지질구조를 논 의한다.

핵심어: 에티오피아, 하라르, 선캄브리아 기반암, 반려암체, 페그마타이트, 알칼리 화강암, 지질구조

Abstract: Around Harar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Ethiopia, the Precambrian granitic gneiss and gabbro bodies are developed with several pegmatites. The rock bodies in this area have been deformed by ductile and brittle deformations developing fold and ductile shear structure, and thrust and fault.

Keywords: Ethiopia, Harar, Precambrian basement, gabbro body, pegmatite, alkali granite, geological structure

서 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광물자원연구실에서는 해외 희유금속자원 탐사 및 부존량평가(14-530292) 과제에 서 수행하는 아프리카-아시아 2개국과의 사업 가운데 하나인 에티오피아와의 공동연구로 니오비움과 탄탈륨 의 탐사를 위해 에티오피아 광업부(Ministry of Mines) 산하 지질조사소(Geological Survey of Ethiopia, GSE)와 지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수차례 현지 공동조사를 실시하였다. 2014년 제2차 공동조사의 주 조사지역은 에티오피아의 북동부인 하라르(Harar) 일 대이며, 하라르와 지지가(Jijiga) 사이의 동서 20 km, 남북 30 km의 지역(1대 3만 지질도 1매, 600 km2) 에서 대한 탄탈륨-니오비움 광화작용과 관련된 지질

과 지질구조를 조사하였다(Figs. 1 and 2). 에티오피 아의 지질조사소에서는 공동조사를 위해 지질조사소 부장이자 연구책임자인 Tadesse Alemu와 함께 연구 원인 Dr. Sisay Degu, Daba Bulto, Mekonnen Bekele, Dereje Ketema 등이 참여하였으며, Masresha Gebreselassie Geddi 소장과 Chief Geologist인 Hundie melka Yadete가 행정적 지원을 해주었다. 조 사지역은 행정구역으로 소말리주에 속하며 게비게보 (Gebi Gebo) 마을을 중심으로 하며, 이 지역의 희유 금속자원을 찾기 위하여 주로 선캠브리아기 편마암과 화강암 내 페그마타이트맥의 발달 양상을 조사하였다.

이들 암체와 관련한 주요한 지질과 지질구조에 대해 간략히 논의하고자 한다.

지형과 지질

에티오피아의 하라르-지지가 일대는 지형적으로 동

*Corresponding author Tel: 042-868-3347

E-mail: ryoocr@kigam.re.kr

(2)

Fig. 1. Simplified geological map of Ethiopia with locality of the surveyed area (boxed area for Fig. 2) around Harar in the northeastern part of Ethiopia (Tefera et al., 1996).

Fig. 2. Geologic map around Harar and Jijiga in the northeastern Ethiopia. Surveyed area is boxed and located around Site 1 (See Fig. 5)(modified from Haro, 2010; Koh et al., 2014).

(3)

아프리카 열곡대 내 주에티오피아 열곡대 동편에 위 치하고 있어, 남동 방향으로 기울은 지세를 보이고 있다. 하천은 북에서 남으로의 흐름방향을 거쳐 대체 로 북서에서 남동 방향으로 흐르는 양상을 보인다.

조사지역은 서편과 북쪽에 위치하는 에티오피아 내 열곡대의 영향으로 남동 방향으로 경동한 지괴의 북 (서)단부에 위치하여 해발도고는 1,600 m 내외이며, 소말리아 인도양해안까지 850 km에 이르는 동안 완 만하게 경사져 남동으로 갈수록 낮은 고도를 보인다.

북쪽은 최고 2,100 m까지 높아진 고도를 보이다가 조 사지역의 30 km 북서부에서 동-서 방향의 지부티 열 곡대의 남단부 경계단층대를 만나면서 약 1,000 m 가 량 고도가 급격히 하강하여 열곡대의 곡분부에 이르

게 된다. 지부티 열곡대의 중심부에서는 0-500 m의 고도를 보인다.

조사지역인 하라르와 지지가 사이의 지역은 에티오 피아의 동부 고원대지의 북부에 위치하며 열곡대에 가까운 북서쪽에서 열곡대와 멀어지는 남동쪽으로 가 면서 고도가 낮아지는 양상을 보인다.

에티오피아는 지구조적으로 중앙부를 북북동 방향 으로 달리는 동아프리카 열곡대의 일부인 주에티오피 아 열곡대를 중심으로 서부 고원대와 동부 고원대로 크게 양분되고 있다. 서부 고원지대에는 주로 제3기 의 화산암이 두껍게 발달하고 있는 반면 동부 고원지 대는 선캠브리아기 기반암을 쥬라기의 해성퇴적층이 넓게 덮고 있다.

Fig. 3. Geographic map of Hadew sheet (1: 50,000) in the northeastern Ethiopia, showing Gebi Gebo village in the central western part of map.

(4)

에티오피아의 하라르-지지가 일대의 지질지구조는 북부의 지부티 열곡대를 따른 동-서 방향의 지구조와 지질을 만나기 전까지는 북북서 방향의 지구조와 지 질분포를 보임이 우세하다(Figs. 4 and 5). 지질구성 원은 선캠브리아기의 화강편마암과 각섬암, 반려암과 화강암들과 함께 중생대의 사암과 석회암들로 북북서 방향의 방향성을 보이며 발달하고 있다. 이들을 제4 기의 화산암(주로 현무암)과 충적층들이 부정합으로 덮고 있다(Fig. 2).

지지가의 서쪽에 위치하는 조사지역은 게비게보 마 을을 중심으로 1대 2만5천 지형도 한 장 정도의 지 역이다(Figs. 3 and 5). 이 지역의 지질은 남-북 내 지는 북북서 방향으로 달리는 선캠브리아기의 편마암 이 서측 2/3 지역에 걸쳐 발달하고 있다. 이들은 주 로 화강편마암과 섬록암질 편마암으로 구성된다. 그 리고 편마암을 염기성암인 반려암이 수 km의 규모로

관입하고 있으며, 이들은 북부 반려암체, 중부 반려암 체, 그리고 남부 반려암체로 구분된다. 기존의 지질도 에 의하면 북부 반려암체는 남-북 방향으로 15 km, 동-서로 5 km의 폭을 보이고 있으며, 중부 반려암체 는 남-북 4 km, 동-서로 3 km 내외의 규모를 보이고 있다. 남부 반려암체는 남-북 1 km, 동-서로 1 km 내 외인 소규모이다(Fig. 5).

세 지역에 걸쳐 남-북 방향으로 분포하는 반려암체 내에는 폭 0.5-5 m, 연장이 수 백 m인 페그마타이트 맥들이 발달하고 있으며(Fig. 6), 2014년 한-에티오피 아간의 제1차 공동조사에서 중부 반려암체 내의 페그 마타이트 맥(Site 1)에서 200-300 ppm의 Ta 함량을 보이는 이상대가 확인된 바 있다(Koh et al., 2014).

따라서 이 일대에 발달하는 반려암체와 그 주변에 발 Fig. 4. Geomorpology and drainage patterns around

Gebi Gebo in the northeastern part of Ethiopia (GSE.,

2014). Fig. 5. Geologic map around Gebi Gebo near Jijiga in

the northeastern Ethiopia, showing three gabbroic bodies in the western part of map. See Fig. 2 for location (Haro, 2010; GSE, 2014).

(5)

달하는 페그마타이트 맥들의 발달양상 파악을 주 대 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위성영상 분석

지질도폭과 같은 크기(축적 1: 30,000)의 랜드셋 (Landsat) 위성영상에서의 구조관찰에 의하면(Fig. 7), 조사지역은 남-북 방향의 반려암체와 주변 편마암대 가 북단과 남단에 발달하는 북서 방향의 전단대나 단 층에 규제되어 ‘Z’자의 시그모이드 양상을 보여 북서 방향을 따른 강한 좌향전단의 존재를 지시하고 있다.

남-북 방향의 북부 반려암체와 북부 경계에는 북서 방향의 강한 좌향이동을 보이는 전단구조가 발달하고 있으며, 중부와 남부 반려암체 사이에도 같은 방향과 같은 전단감각을 보이는 전단대가 발달하고 있다(Fig.

8). 따라서 조사지역 일대에 발달하는 남-북 방향의 반려암체는 일차적으로 북서 방향의 전단대가 우향으 로 이동하여 생겨난 인리형 연결대를 따라서 관입한 후 좌향 전단된 것인지 남-북 방향의 관입 또는 생성 후 좌향 전단된 것인지는 구분이 필요하다. 북부와 중부 반려암체의 사이에는 대규모의 동북동 방향의 단열대가 발달하고 있으며(Fig. 8), 전단대 후기에 생 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북서 전단대에 규제되어 분포 하는 반려암체의 내부에 발달하는 페그마타이트 맥들 의 발달도 이러한 구조에 규제되고 있을 것으로 추정

되나, 이를 위해 야외에서의 조사자료가 필요하다.

또한 북부 반려암체의 북부 경계부 북서 전단대의 좌향이동을 고려한다면, 북부 반려암의 북서부에서도 새로운 반려암체가 발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 추 가 지질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북서 방향의 좌향전단대들은 남-북 방향의 구 조대를 따른 우향전단에 의한 서가형 전단대의 일부 일 가능성도 높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지지가와 바 빌레(Babile) 사이의 구조양상에 의하면 1차 규모의 구조인 북서 내지는 북북서 방향에 규제되어 2차 규 모의 남-북 방향의 전단면들이 발달하고 있다. 남-북 방향의 전단면들은 완만한 ‘Z’형의 양상을 보여, 북 서 방향의 주 단열면을 따른 좌향이동의 존재를 지시 하고 있다. 이 경우 내부의 남-북 방향은 서가형 전 단으로 우향의 전단작용을 초래하게 되었을 것으로 해석된다. 2차 규모의 구조인 남-북 방향의 단열대에 규제되어 3차 규모의 북서 방향의 단열대들이 이들 내부에 발달하고 있으며, 이들 역시 남-북 방향을 따 Fig. 6. Gabbro and pegmatites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entral gabbro body, southern part of Gebi Gebo area in Harar-Jijiga region, NE Ethiopia. a-b. gabbro.

c-d. pegmatites. Gb: gabbro, Pg: pegmatite.

Fig. 7. Satellite image around Gebi Gebo in the northeastern part of Ethiopia (GSE, 2014).

(6)

른 우향전단에 의해 서가형구조로 좌향의 전단을 보 이는 것으로 해석된다. 조사지역의 남-북 방향의 반려 암체의 발달과 이들을 자르는 북서 방향의 좌향전단 대는 각각 2차와 3차 규모의 구조로 해석된다.

조사지역의 중앙부의 동북동 방향의 단열에 의해 북측의 지괴에 비해 남측 지괴가 서쪽으로 밀려간 양 상이 분석된다. 중앙부를 N80oE로 가르는 이 단층은 우향의 주향이동성단층으로 단층대 내부에는 우향전 단에 따른 서가형구조가 발달하고, 이 구조는 수계를 제어하고 있다. 서가형구조의 내부에는 북동 방향의 2차 단열들에 규제된 수 백 m 이내의 직사각형의 블 록들로 구성되며, 이들 간에는 소규모의 좌수향 전단 이 일어났을 것으로 분석된다(Figs. 7 and 8).

참고로 하라르 남부에 남-북 방향의 구조대가 우향

전단에 의해 서가형전단을 받아, 전단지괴 내부의 좌 향이동단층대가 규칙적으로 북북서 방향을 보이며 발 달하고 있다. 규모는 지질도규모나 그 이상이다.

중부 반려암체 내의 페그마타이트와 지질구조

게비게보 마을의 남쪽에 발달하는 반려암체가 중부 반려암체이다. 중부 반려암체의 남부에는 페그마타이 트와 함께 알칼리 화강암맥이 소규모로 남-북 방향으 로 관입하고 있다(Figs. 9 and 10). 이들 홍색 화강 암은 심하게 전단되어져 있으며 장석반정 주변의 비 대칭구조에 의하면 우향의 전단을 지시하고 있다. 노 두상에서 화강암맥의 일반적인 방향은 N4oW/60oE, 전단대에서 C면은 N10oW/52oE에서 N20oE/60oE 까 지 변하나 일관되게 우향의 전단을 보이고 있다. C면 상에서 거의 수평의 신장선구조를 보이므로 주향이동 성 연성전단운동의 존재를 지시한다(Fig. 11).

페그마타이트 맥 G1은 중부 반려암체의 중앙부에 북북동 내지 남-북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다. 맥폭은 0.5-4 m를 보이나 주로 1.5-2 m를 유지하고 있으며, 총연장은 약 250 m 정도이다. 이 맥은 서로 길이와 폭 그리고 방향성에서 차이를 보이는 7개의 분절과 1 개의 연결대로 이루어져 있다(Fig. 10).

분절 1은 맥폭 2-4 m로 비교적 두꺼우며 약 50 m 의 연장성을 보인다. 방향성은 N22oE/62oE 내지

Fig. 8. Structural analysis from satellite image (see Fig. 7) around Gebi Gebo in the northeastern part of Ethiopia. Sigmoidal shape and dragged pattern of lineament indicate the existence of sinistral ductile shearing.

Fig. 9. Gabbro and pinkish alkali granite developed in the central gabbro body, southern part of Gebi Gebo area in Harar-Jijiga region, NE Ethiopia. a. gabbro. b.

pinkish alkali granite. c-d. pegmatites within gabbro body. Gb: gabbro, Gr: granite, Pg: pegmatite.

(7)

N6oW/45oE를 보이고 있다.

분절 2(연결대)는 맥폭이 0.7 m 내외이며 약 20 m 의 연장성을 보인다. 방향성은 N82oE/60oN을 보이며, 석영으로 구성된 부분이 우세하다. 분절 1과 분절 3

과는 거의 직각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 두 분절의 연 결대로 판단된다. 그러나 야외에서는 확인하지는 못했 지만, 구글 위성영상에 의하면 이 방향을 따라 상당한 연장성을 보이며 맥과 단열이 발달함이 관찰된다.

Fig. 10. Structural analysis on the satellite image (from Google) of the central part of the central gabbro body, southern part of Gebi Gebo area in Harar-Jijiga region, NE Ethiopia. Note that a NS trending foliated pinkish alkali granite is located in the western side and is sheared strongly as dextral.

(8)

분절 3은 맥폭이 1 m 내외이며, 약 30 m의 연장성 을 보인다. 방향성은 N24oE/35oE이며 저각의 경사를 보임이 특징적이다. 맥에 거의 평행한 남-북 방향에 동으로 25o 경사하는 역단층이 발달하고 있다.

분절 4와는 서북서 방향의 단층에 의해 좌향으로 약 4 m의 변위를 보이며 어긋나 있다.

분절 4는 맥폭 0.6-2 m이며, 주로 1-2 m의 폭을 보인다. 약 50 m의 연장성을 보인다. 방향성은 N6oE/

50oE이며 백색의 사장석이 우세하며, 연분홍색의 정 장석도 발달하고 있다. 산릉의 능선부에 발달하고 있 다.

분절 5는 서북서 방향의 단층에 의해 분절 4와는 좌향으로 약 3 m 변위를 보이고 있다. 맥폭은 약 0.5 m, 연장성은 약 20 m를 보인다. 북쪽으로 가면서 첨멸하는 양상을 보이고, 방향성은 N8oE/48oE의 방향 성을 보인다. N62oE 방향으로 폭 약 30 cm 내외로 5 m 연장되는 연결대에 의해 분절6과 연결된다.

분절 6은 맥폭 1.5-2 m이며, 약 20 m의 연장성을 보인다. 방향성은 N6oE/50oE이며 북쪽으로 가면서

N38oW와 N10oW 방향의 좌향이동 단층에 의해 약 10 m 변위되어진 양상을 보인다.

분절 7은 맥폭 1-2 m이며, 약 50 m의 연장성을 보 인다. 방향성은 N25oE/30oE로, 동쪽으로 완만한 경사 를 보인다. N40oW 방향의 좌향이동 단층에 의해 분 절8과는 약 5 m의 변위를 보이고 있다.

분절 8은 맥폭 1-3 m이며, 약 50 m의 연장성을 보 인다. 방향성은 N62oE/20oS를 보이며, 내부에는 N34°W/90° 방향에 동측이 떨어진 소단층이 발달하고 있다(Fig. 12). 수 십 cm의 변위를 보인다. 이 분절 의 동쪽은 북북서 방향의 후기 페그마타이트 맥에 의 해 단절되어져 있으며, 변위되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페그마타이트 맥 G2는 중부 반려암체의 중앙부에 서 G1맥의 동단부를 자르며 발달하고 있다(Figs. 10 and 13). 맥폭은 1 m 내외이며, 북쪽에서는 약 3 m의 폭을 보이기도 한다. G1 맥과의 교차지점을 기준으로 남쪽으로 약 10 m, 북쪽으로 약 20 m로 발달하여, 총 약 30 m의 연장성이 확인된다. 맥의 내부는 심하 게 파쇄 및 전단되어져 있으며, 각력들이 준연성변형 에 가까운 변형을 받아 시그모이드상을 보이고 있다 Fig. 11. Pinkish alkali granite developed around

southern Gebi Gebo area near Jijiga in the northeastern Ethiopia. a-b. Alkali granite developed within gabbro body. c-f. Highly sheared pinkish alkali granite with horizontal stretching lineation and dextral shear sense along N-S trending nearly vertical C- plane.

Fig. 12. Pegmatites developed in the central gabbro body, southern part of Gebi Gebo area in Harar-Jijiga region, NE Ethiopia. a-b. Nearly horizontal pegmatites.

c. Top-to-the south shearing structure within pegmatites.

d. Garnet within pegmatites. e. pegmatite with quartz vein. Pg: pegmatite, Gt: garnet.

(9)

(Fig. 13). 시그모이드 양상에 의하면 좌향이동을 지 시하고 있다. 맥과 거의 평행한 단층면상에서는 거의 수평의 주향이동성 단층조선 뿐 만 아니라 정 또는 역단층운동을 지시하는 단층조선이 발달하고 있어 두 번 이상의 단층운동의 존재를 지시하고 있다.

페그마타이트 맥 G3은 중부 반려암체의 중앙부에 발달하고 있다(Fig. 10). 야외에서 확인된 부분은 북 쪽의 부분으로 약 3-5 m의 맥폭을 보이며, 약 70 m 의 연장성을 보인다. 주향은 N45°W이며, 경사는 70°E이다. 맥은 주로 석영으로 구성되며, 장석과 백운 모 거정이 발달하고 있다.

페그마타이트 맥 G4는 중부 반려암체의 중앙부에 발달하고 있다. 북북서 방향의 산릉을 자르며 거의 동-서 방향으로 맥이 발달하고 있다. 맥폭은 1 m 내 외이고, 약 60 m의 연장성을 보인다. 방향성은 N80oE/

65oN을 보인다. 서측에서는 맥폭이 1 m 내외를 보이 나 동쪽으로 가면서 0.15-0.3 m로 가늘어지다가 남-북 방향에 55oE 방향으로 경사하는 폭 0.5 m의 화강암맥 에 의해 단절되고 있다. 페그마타이트 주변의 반려암 은 맥의 주향에 평행하게 엽리를 보인다. 맥의 경계

장성을 보인다. 방향성은 N18oE/65oW이다.

페그마타이트 맥 G6는 중부 반려암체의 북부인 게 다리드 산체의 북동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맥폭은 1 m 이내이며, 약 15 m의 연장성을 보인다. 방향성은 N82oE/80oN이다. 서쪽으로 가면서 첨멸하다가 다시 G7 맥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페그마타이트 맥 G7은 중부 반려암체의 북부인 게 다리드산체의 북동단부에 발달하며, G6 맥의 서쪽 연 장으로 판단되는 맥으로 2조의 맥으로 분절되어져 있 다. 동쪽의 분절 1은 맥폭이 0.5-0.8 m이며, 약 10 m 의 연장성을 보인다. 이 맥은 북으로 경사하는 사면 과 비슷한 경사를 보이며 사면을 따라서 분포하고 있 다. 방향성은 N10oW/40oE이다. 서쪽의 분절 2는 맥 폭 1 m 내외이며, 약 10 m의 연장성을 보인다. 분절 1의 남-북 방향과는 달리 N84oE/70oN의 방향성을 보 이는 동-서 방향의 맥으로 분절 1과 분절 2는 동북 동 방향에 동북동 방향으로 완만히 침강하는 습곡축 을 가지는 습곡작용에 의해 굴곡된 것으로 해석된다.

페그마타이트 맥 G5와 G6(G7) 사이의 사면에 맥 폭 0.2 m 내외의 페그마타이트 맥이 거의 수평으로 발달하고 있으며, 맥의 경계면상에는 동-서 방향의 단 층조선이 발달하고 있다. 전단증거에 의하면 상부가 동쪽으로 이동한 운동감각을 보여, 페그마타이트 맥 을 따라서 서쪽에서 동으로 이동한 드러스트의 존재 를 지시하고 있다.

남부 반려암체 지질구조

남부 반려암체는 조사지역의 남부에 소규모로 발달 하고 있다(Fig. 5). 남부 반려암체 내에는 우백색 조 Fig. 13. Pegmatites developed in the central gabbro

body, southern part of Gebi Gebo area in Harar-Jijiga region, NE Ethiopia. a. N-S trending pegmatite. b. N-S trending pegmatite (Pg2) cut old horizontal pegmatite (Pg1). c-f. Highly sheared and brecciated patterns within N-S trending pegmatite (Pg2).

(10)

립 화강편마암이 관입하고 있으며, 이들 내에 페그마 타이트맥이 맥 폭 1 m 내외로 발달하고 있다. 페그마 타이트의 외곽부는 주로 연분홍색의 정장석으로 구성 되며, 내부는 백색의 석영 집합체로 이루어져 있다.

백운모 집합체도 수 cm 크기로 발달하고 있다. 거의 1 cm에 달하는 석류석이 발달하고 있으며, 부근 풍화 면은 철산화작용으로 암갈색을 보인다.

우백색 조립 화강편마암은 전단구조를 보이고, 암 녹회색의 심하게 습곡된 호상편마암을 자르고 있다 (Fig. 14). 호상편마암은 심하게 부딘화 된 주로 장석 으로 구성된 우백대와 우흑대가 교호하고 있으며, 등 사습곡을 보이고 있다.

페그마타이트의 폭은 1 m 내외이며, 수 십 m 연장 하고 있다. 일반적인 방향은 N52oW/48oN으로 북서 방향의 주향에 북동으로 중각 경사하고 있다. 페그마 타이트 내에는 거의 수직의 단열이 발달하고 있으며, 석영부는 부딘화되고 시그모이드상을 보여 페그마타 이트가 생성된 이후에 일어난 전단작용의 존재를 지 시하고 있다.

수 십 m로 개석된 노두의 최상부에서는 암녹회색 엽리상 반려암과 호상편마암이 화강암질 편마암과 접 하고 있으며, 그 경계면은 N52oW/68oNE의 방향성을 보인다. 화강암질 편마암 내의 페그마타이트 맥의 방 향성은 N30oW/82oNE이다. 페그마타이트는 주로 석 영집합체로 구성되며, 백운모 집합체가 ‘S’형 또는 습 곡된 양상을 보이며 발달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북에

서 남으로 가면서 페그마타이트가 ‘ㄱ’자로 휘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남부 반려암체의 북부 지역에서는 N75oW/50oS 방 향의 페그마타이트맥이 엽리상(N64oW/48oN)을 보이 는 암회색의 반려암을 관입하고 있다. 반려암의 엽리 를 자르고 있다. 주변에는 조립질 함백운모 화강편마 암이 반려암체를 관입하고 있다. 반려암체는 부분적 으로 엽리(N56oW/30oN)가 잘 발달하며 엽리면상에는 신장선구조(036o/25oN)가 뚜렷이 발달하고 있다. 반려 암을 구성하는 장석 반정들의 시그모이드한 모양을 고려하면, 상부가 북북동에서 남남서로 이동한 전단 감각을 보이고 있다. 페그마타이트의 경계면에는 남 으로 15o 침강하는 단층조선이 발달하고 있으며, 접 촉경계면을 따른 우향의 주향이동성 단층운동의 존재 를 지시하고 있다. 남부 반려암체 북부의 페그마타이 트의 경우 주변암과의 경계가 분산, 점이적인 것으로 보아 동원마그마 근원일 가능성이 있으며, 주변암과 거의 동시기로 해석된다.

토의와 결론

에티오피아 북동부 하라르-지지가 일대에는 선캠브 리아기 반려암체가 소규모로 발달하고 있으며 그 내 부에는 페그마이트 맥들이 잘 발달하고 있다. 이들에 서 탄탈륨 광체를 찾기 위한 조사를 하였다. 참고로 에티오피아의 남부에는 세계 6-7위의 탄탈륨을 생산 하는 켄티챠 광산이 있으며, 하라르-지지가 일대도 이 와 유사한 지질을 보이고 있다. 또한 켄티챠 탄탈륨 광화대의 지질구조와 유사한 지질구조를 보이기는 하 나 구조적인 대비를 위해서는 구체적인 자료 검토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켄티챠 지역에는 남-북 방향 의 구조대가 초대규모의 지질도 규모 이상의 비대칭 습곡으로 우향의 전단을 지시하고 있다. 이 남-북 방 향의 구조대와 습곡대는 북북동 방향으로 우향의 전 단이 일어났으며, 전단대의 근처에 켄티챠 광화대가 발달하고 있음이 관찰된다. 이들 광상은 동-서 방향의 개석된 양상 또는 발달양상을 보여 연성의 우향이동 의 전단에 후속하여 계속된 우향의 취성전단으로 우 향스텝의 중첩대에서 동-서 방향의 인리형 열개대가 남-북 방향의 인장에 의해 벌어지고, 그곳에 탄탈륨을 생성시킨 알칼리 화성활동으로 화성암체나 화강암체 가 관입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들은 판아프리카 조산 운동의 후기 산물로 5억 5천만년 정도의 관입 연대가 Fig. 14. Gneiss developed in the southern gabbro

body, eastern part of Fafem area in Harar-Jijiga region, NE Ethiopia. a-b. Fold within gneiss with N-S trending axial plane. c. Gneiss (Gn) with NW-trending foliation cut by granite (Gr). d. granite. Gn: gneiss, Gr:

granite.

(11)

References

Geological Survey of Ethiopia, 2014, Geologic map around Gebi Gebo-Hadew area (1:25,000).

2014년 12월 18일 접수 2014년 12월 26일 심사개시 2015년 6월 9일 채택

수치

Fig. 2. Geologic map around Harar and Jijiga in the northeastern Ethiopia. Surveyed area is boxed and located around Site 1 (See Fig
Fig. 3. Geographic map of Hadew sheet (1: 50,000) in the northeastern Ethiopia, showing Gebi Gebo village in the central western part of map.
Fig. 7. Satellite image around Gebi Gebo in the northeastern part of Ethiopia (GSE, 2014).
Fig. 8. Structural analysis from satellite image (see Fig. 7) around Gebi Gebo in the northeastern part of Ethiopia
+3

참조

관련 문서

In the change in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all items in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gion above the central cavity in KSNP steam generator, and the main 

Lee, “Effective Ag Doping by He-Ne Laser Exposure to Improve the Electrical and the Optical Properties of CdTe Thin Films for Heterostructured Thin Film

• Theory can extent to molten polymers and concentrated solutions.. The single-molecule bead spring models.. a)

 Assuming the materials exist as a continuum, meaning the matter in the body is continuously distributed and fills the entire region of space it occupies..  A continuum is

A summer marine benthic algal flora and community of uninhabited islands in Haenamgun, southern coast of Korea. Seasonal Variations in the Macroalgal Flora and

– Established the fundamentals of high temperature fuel cells such as the molten carbonate and solid oxide fuel cell.. – In 1958, he demonstrated an alkali cell using a

- In the area of public assistance,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Act stipulates that bo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hall provide aids to the needy individu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