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School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School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Vol. 15, No. 1, May, 2007

□ 증 례 □

1)

두통은 소아 청소년기에 흔한 질환으로 12-18세 사이의 청소년의 경우 두통을 겪었던 환자가 80%

이상으로 보고될 정도로 흔한 질환이다1, 2).

성인 두통의 원인 중 내분비적 원인으로 잘 알려 진 것으로 생리주기가 있으나3), 소아 및 청소년기 의 두통 중에서 내분비 질환과 연관이 있는 경우는

드물다4, 5). 그 중 갑상샘 질환과의 연관성은 아직

명확하지는 않으나 갑상샘 호르몬이 편두통의 유발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보고가 있다6).

저자들은 최근 만성적인 두통을 호소하는 하시모 토 갑상샘염 환아에서 적절한 갑상샘 호르몬 치료 후에 두통이 호전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 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책임저자 : 이건희, 한림대학교의료원 강남성심병원 소아과 Tel : 02)829-5142, Fax : 02)845-6238 E-mail : pedlee@hallym.or.kr

환 아 : 12세, 여아

소 : 9개월 전부터 지속된 양측성, 비박동성 의 두통

과거력 : 재태기간 40주, 출생시 체중 3.8 kg, 자 연분만으로 출생하였고, 발달은 정상적이었으며 예 방접종은 예정대로 시행되었으며 두통이 발생하기 전에는 수면장애, 정신질환 등 특이한 병력은 없었 으나 외래 방문 7개월 전에 갑상샘 저하증으로 진 단받았다고 하였다.

가족력 : 어머니, 아버지 쪽에 편두통 등 신경계 질환의 가족력은 없었으나, 환아의 어머니가 갑상샘 질환이 있었다.

현병력 : 환아는 9개월 전부터 지속된 비박동성 두통을 주소로 외래를 방문하였다. 내원 7개월 전부 터는 개인의원에서 갑상생 저하증으로 진단받아 levothyroxine 0.1 mg/day을 투여 받고 있었으나 최근에 두통이 심해졌다고 했다. 두통은 주로 낮에

하시모토 갑상샘염에 치료에 기인한 만성 매일 두통 1례

한림대학교의료원 강남성심병원 소아과, 강동성심병원 소아과*

김환수·신선희·황일태*·이건희

= Abstr act =

A Case of Chronic Daily Headache Attributed to Hashimoto's Thyroiditis

Hwan Soo Kim, M.D., Seon Hee Shin, M.D., Il Tae Hwang, M.D., and Kon Hee Lee, M.D.

Department of Pediatrics, Kangnam Sacred Heart Hospital, School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Department of Pediatrics

*

,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School of Medicine Hallym University

We present a case of Hashimoto's thyroiditis accompanied by chronic daily headache which was relieved by levothyroxine therapy. A 12-year-old girl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complaining of continuous, bilateral, and non-pulsatile headache which had begun 9 months before. After 2 weeks of appropriate levothyroxine therapy, headache markedly improved. After 4 months of follow-up, she had no new episode of headache.

Key Words : Chronic daily headache, Thyroiditis

(2)

발생하여 저녁까지 수 시간 지속되었으며 중간 정 도에서 심한 정도의 두통을 호소하였다. 심할 때의 두통 점수는7) 약 8-9점이었고, 일상적인 움직임에 의해 더 심해졌다. 두통 부위는 주로 전두부와 후두 부(Fig. 1)였으며 1주일에 약 5번 정도 호소하였다.

두통이 발생하였을 때 동반되는 증상으로 구역, 복통, 어지러움 등이 있었고, 시끄러운 소리를 매우 싫어하였으며, 밝은 빛을 보면 눈이 아플 정도의 빛 공포증이 있었다.

시야 변화와 감각 이상 등의 전조는 없었으나, 두통이 발생한 후 약 20-30분에 하지의 대퇴 하단 과 종아리의 상단 부위에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힘 이 빠지는 느낌(Fig. 2)이 약 한 시간 동안 지속된 다고 했으며 이런 증상은 일주일에 평균 1-1.5회

발생하였다. 두통이 심할 때는 정신 집중이 잘 안되 고, 걸을 때에 휘청대기도 한다고 했으나 두통이 없 으면 정상이라고 하였다.

이학적 소견 : 내원 당시 활력 징후는 체온 36.8 Å, 심박수 82회/분, 호흡수 24회/분이었으며 체중 은 41.5 kg(25-50 백분위수), 키 154.4 cm(50-75 백분위수)였다. 신경학적 진찰에서 특이 소견은 없 었으며 다른 국소 신경학 이상이나 유두부종, 조화 운동불능 등은 보이지 않았으나 촉진 시 양측 측두 부에서 압통(pericranial tenderness)을 호소하였다.

검사 소견 : 외래 방문시 말초 혈액검사 소견에서 백혈구는 5,200/mm3, 혈소판은 303,000/mm3, 혈색 소치는 12.2 g/dL, 적혈구 용적비는 36.2%로 정상 이었다. 생화학 검사 결과 AST/ALT 29/29 U/L, BUN/Cr 9.8/0.7 mg/dL, glucose 102 mg/dL, Na 141 mEq/L, K 3.8 mEq/L, Cl 102 mEq/L로 정상 이었다. 면역혈청 검사 결과 항핵항체 검사는 음성 이었다.

T4 1.9(0.89-1.76 ng/dl), T3 187.4(59-174 ng/

dL), TSH 0.001(0.38-4.7 uIU/mL)이었으며 anti- MS Ab: 2921.2 IU/mL, Anti-TS Ab : 769.8 IU/

mL로 양성이었다.

심전도 검사상 심박수는 94회/분(정상범위 : 54- 107/분)으로 정상 범위였고 이외의 이상 소견은 없 었다. 내원 시 불안 및 우울척도를 검사한 결과 소 아 상태 불안척도 46점8)(41-44 : 약간 높음, 45-48 : 상당히 높음, 49 이상 : 매우 높음), 소아 특성 불안 척도 47점8)(39-42 : 약간 높음, 43-46점 : 상당히 높 음, 46점 이상 : 매우 높음), 소아우울척도 정상으로 불안한 상태를 보였고 본인도 불안하다고 했다.

방사선학적 검사 : 후두통을 호소하여 시행한 두 부 MRI 검사에서 정맥 혈관종으로 의심되는 작은 혈관 기형이 좌측 전두엽 뇌실 주변에서 관찰되었 으나 그 외에 두통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병변은 관 찰되지 않았다(Fig. 3).

치료 및 경과 : 두통 원인에 대한 검사에서 갑상 샘의 기능 항진이 발견되어 소아내분비과로 전과하 여 우선 개인의원에서 처방받은 동량으로 2주간 치 료하였다.

Fig. 2. Drawing depicting downward progression of the feeling of weakness in both lower legs during headache.

Fig. 1. Drawing depicting location of headache in frontal and occipital areas.

(3)

2주간 치료 후에 검사한 T4 : 1.83(0.89-1.76 ng/

dL), T3 : 184.8 (59-174 ng/dL), TSH: 0.021(0.38- 4.7 uIU/mL) 결과로 levothyroxine 0.075 mg/day 로 감소시켰다. 4주간 복용한 후 T4 : 1.76(0.89-1.76 ng/dL), T3 : 135.2(59-174 ng/dL), TSH : 0.345 (0.38-4.7 uIU/mL)로 조절되면서 두통이 현저히 없어졌고, 추적 4개월째 두통이나 불안증상은 전혀 없다고 했다.

갑상샘 질환에서 두통의 발생 빈도는 다양하게 보고되었다. 갑상샘 질환 환자 469명을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에서 64명(13.6%)이 두통을 호소하였 5), Moreau 등3)의 보고에서는 102명의 갑상샘 저 하증 환자 중 31명(30.3%)이 두통을 호소하였다.

갑상샘 기능 저하증의 증상으로 두통의 유병률은 높지만 흔히 보고되지 않는다. 이는 두통의 정도가 심하지 않아서 간과되기 때문일 수 있다3). 그러나 이들 연구는 대부분 성인에 대한 보고로 소아 청소

년기 환자에 대한 연구는 드물다.

소아 청소년 두통은 일차 두통과 이차 두통으로 분류되며 이차 두통의 원인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국제두통확회의 분류에서 항상성질환에 기인한 두 통 중 갑상샘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은 10.4 갑상샘 저하증에 기인한 두통(10.4 headache attributed to hypothyroidism)이 있다9). 국제두통확회의 분류에 서 갑상샘 저하증에 기인한 두통의 진단 기준은 A.

다음 특징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을 동반하고(1. 양측 성, 2. 비박동성, 3. 지속적), B. 적절한 조사에 의해 갑상샘 저하증이 확인됨. C, D를 만족하는 두통 : C.

갑상샘 저하증의 증상이 확실해진 후 2개월 이내에 두통이 발생함, D. 두통이 갑상샘 저하증의 적절한 치료 후 2개월 이내에 소실됨이다.

본 증례에서는 한 시간 이상의 두통을 호소하면 서 비박동성의 중간 혹은 심한 두통을 호소하였으 며, 일상 움직임에 두통이 더 심해지고 전두통 혹은 후두통을 호소하였다. 또한 구역 혹은 소리 및 빛 공포증이 동반되어 초기 내원 시에는 국제두통학회 의 일차 두통인 무전조편두통의 진단기준에 합당하 였으나, 3개월을 초과하는 기간 동안에 한 달에 15 일 이상 두통이 반복되어 나타났기 때문에 만성매 일두통으로 추정하였다. 그러나 검사상 발견된 갑상 샘 기능 이상을 적절하게 치료함으로써 두통이 소 실되어 국제두통확회의 진단기준에 의해 이차두통 인 갑상샘관련 두통으로 진단하였다.

하시모토 갑상샘염은 소아기와 청소년기에 발생 하는 갑상샘 질병 중 가장 흔한 것으로 유병률은 약 1%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갑상샘종의 존재 여부 에 상관없는 갑상샘 저하증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10,

11). 검사 소견상 미만성 갑상샘 비대, 갑상샘 스캔 의 이상 소견, 갑상샘 항체 양성, 상승된 TSH 농도 및 정상 T4, 유리 T4농도가 있다. Anti-Tg Ab, anti-Ms Ab.가 하시모토 갑상샘염의 95%에서 양 성으로 나타난다.

갑상샘 질환과 두통 발생의 기전에 대해 확실하 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갑상샘 저하증이 두통과 관 련이 있다는 여러 보고가 있다. 편두통의 과거력이 있는 갑상샘 저하증 환자 중 39.8%에서 두통이 발 Fig. 3. T2-weighted MRI shows a small vas-

cular malformation, left frontal periventricular probably venous angioma otherwise no abnormal finding.

(4)

생하였고, 과거력이 없는 경우는 15.4%에서 두통이 발생하여 갑상샘 기능 저하가 두통을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추정된다3).

혈중 갑상샘 자극호르몬(TSH) 수치가 높은 경 우, 정상이거나 낮은 경우보다 두통의 유병률이 낮 12). 그러나 갑상샘 기능항진인 경우에도 두통이 유발될 수 있다9, 13).

그 외의 연관성으로는 갑상샘 저하증의 치료 도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특발성 두 개 내 뇌압항진증 (idiopathic intracranial hypertension)으로14) 두통 이 발생할 수 있고, 갑상샘 저하증 환자에서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우울증, 불면증, 집중력 부족과 같 은 행동, 심리적 변화에 의해 이차적으로 발생한다 고 추정하고 있다12).

Moreau 등3)의 연구에서 두통을 동반한 하시모 토 갑상샘염에서 혈청학적 검사상 free T3, free T4 치 감소를 보였으며 TSH는 증가된 것으로 보 고되었다. 또한 Hagen 등12)의 연구에서는 TSH level이 높은 여성 환자의 경우 두통의 유병률이 낮 다는 사실을 발표하였다.

두통은 갑상샘 저하증 발병 후 1-2개월 내에 시 작되었고, 두통 양상은 지속적이며, 양측성, 비박동 성인 두통이 특징적3)이었고, 만성 비진행성 두통14) 이었다. 그러나 갑상샘 저하증에 기인한 두통에서는 구역, 구토가 잘 동반되지 않았다9). 본 증례에서는 두통이 양측성, 비박동성인 점이 일치하였으나 구역 등의 증상과 빛, 소리공포증이 동반되면서 편두통 양상을 보인 것이 흥미롭다.

두통은 갑상샘 항진증이나 점액종이 있을 때 유 발될 수 있으며 갑상샘 기능 항진증이나 저하증을 적절히 치료하면 두통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2). 갑상샘 호르몬 대체 요법 후 비편두 통성 두통은 약 2주 후에 사라지는 경향이 있었다3). 본 증례에서는 개인 의원에서 과량의 levothyro- xine를 투여하여 혈중 T3, T4 수치가 높아져 있었 고 TSH가 감소되어 있었다. 갑상샘 기능장애로 인 하여 유발된 두통은 적절한 치료를 함으로써 소실 되었다. 그러나 갑상샘 기능장애로 유발되는 정신장 애와의 관련성은 완전히 배제하지 못했다. 결론적으

로 소아 청소년 시기에도 만성 반복성 두통 환자 중 일부에서 갑상샘 기능검사가 필요할 것으로 생 각된다.

저자들은 12세 여아에서 하시모토 갑상샘 염에 기인한 두통이 적절한 갑상샘 호르몬 치료로 호전 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References

1) Oh SM, Shin SH, Lee KH. The effects of family history on the diagnosis or childhood migraine. J Korean Child Neurol Soc 2006;14:

30-7.

2) Choi BM, Kim YJ, Eun BL, Park SH. An epidemiologic study of Headache among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nsan, Korea. J Korean Child Neurol Soc 1995;2:5-17.

3) Moreau T, Manceau E, Giruud-Baleydier F, DumbR, Giroud M. Headache in hypothyroi- dism. Prevalence and outcome under thyroid hormone therapy. Cephalagia 1998;18:687-9.

4) Weitz R. Endocrine aspects of headach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ediatr Endocrinol Rev 2004;1:331-3.

5) Lee HS, Choi KL. Statistical study of thyroid disease. J Korean Child Neurol Soc 1982;24:

853-61.

6) Iwasaki Y, Kinoshita M, Ikeda K, Takamiya K, Shiojima T. Thyroid func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headache. Int J Neurosci 1991;

57:263-7.

7) Hatrick C, Kovan J, Shapiro S. The numeric rating scale for clinical pain measurement: a ratio measure?. Pain Practice 2003;4:310-68.

8) Cho SC, Choi JS. Development of Korean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eoul: Seoul J Psychiatry 1989;14:150-7.

9) Korean headache society.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 ders 2nd edition 1st revision 2005. Seoul:

Medical publishing Co 2005:123-4.

(5)

10) Lorini R, Gastaldi R, Traggiai C, Perucchin P.

Hashimoto's Thyroiditis. Pediatr Endocrinol Rev 2003;1 Suppl 2:205-11.

11) Korean society of pediatric endocrinology. Pe- diatric endocrinology 1st edition. Seoul: Kwang moon publishing Co, 2004:132-6.

12) Hagen K, Bjoro T, Zwart J, Vatten L, Stovner L, Bovim G. Low headache prevalence amongst women with high TSH values Head-HUNT- a large population-based study. Eur J Neurol.

2001;8:693-9.

13) Yudiarto FL, Myliadi L, Moeljanto D, Hartono

B. Neuropsychological findings in hyperthy- roid patients. Acta Med Indones 2006;38:6-10.

14) Schaaf L, Greschner M, Paschke R, Kusterer K, Teubert K, Huck K, et al. Thyrotoxic Crisis in Graves' Disease: Indication for Immediate Surgery. Klin Wochenschr 1990;68: 1037-41.

15) Lessell S. Pediatric Pseudotumor Cerebri (Idi- opathic Intracranial Hypertension). Surv Oph- thalmol 1992;37:155-66.

16) Deda G, aksen H, cal A. Headache etiology in children: A retrospective study of 125 cases.

Pediatr Int 2000;42:668-73.

수치

Fig. 2. Drawing depicting downward progression of the feeling of weakness in both lower legs during headache.

참조

관련 문서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 dance clas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identification affirmation according to K-Pop star image on the desire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participate

especially to people who teach the biology in middle school at the moment and freshman of high school students, how do they recognition ab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est and self-confid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learning English grammar and to examine th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est,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n STEAM of middle school students centering on programs where music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ootball on PAPS in sports club activity for 12 weeks in middle school boys.. The follow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er-mentoring on the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s of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In this study, a famil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health, self-resilience, recre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w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