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상계 고분자 정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다상계 고분자 정의"

Copied!
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 1 강

다상계 고분자 정의

(2)

제 1장 다상계 고분자의 정의

1.1 개요

다상계 고분자 (mutiphase polymer system)는 이성분 이상의 고분자들로 구 성되어진 시스템으로서, 고분자와 고분자가 용액상 또는 용융상에서 섞일 때 불균 일상 (heterogeneous phase)을 나타내는 시스템을 말한다. 불균일상을 나타내는 고 분자는 부분 결정성을 가진 단일 고분자, 공중합체, 열가소성 고무로 알려진 분절 탄성체, 그리고 대부분의 고분자 블렌드 (blend)를 포함한다. 몇몇 공중합체나 상용 성 (miscibility)이 있는 고분자로 이루어진 블렌드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고분자 블 렌드는 미시적인 상분리 거동을 보이며, 이러한 블렌드의 형태학적 구조는 각 성분 의 조성에 의해 결정된다. 블록공중합체 (block copolymer)의 경우 시편의 제조 방 법이 매우 중요하며, 고분자 블렌드의 경우 혼합 과정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형 성된 미세구조는 제조된 시편의 화학적, 물리적 성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블록공중합체와 고분자 블렌드의 물성과 형태학적 구조와의 관계를 연구하는데 많 은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1-11].

고분자 블렌드의 상용성은 여러 가지 방법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데, 상용성 이 없는 경우, 시차 주사 열분석기 (DSC)나 동적 기계적 측정법 (DMTA)에 의해 두 개 이상의 유리 전이 온도를 관찰할 수 있다 [2,9]. 대부분의 경우, 고분자 블렌 드에서 한 개의 유리 전이 온도가 관찰되면 상용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나 [11], 상용성이 있는 경우에도 전자 현미경으로 고분자 블렌드의 미세구조 관찰시 연속상 과 분산상의 형태가 보일 수도 있다 [11,12].

고분자 블렌드를 통해 순수한 단일 고분자는 여러 용도의 범위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물성으로 바뀔 수 있으며, 또한 원하는 물성은 새로운 고분자의 합성 보다 적절한 고분자 시스템을 이룰 수 있는 재료의 선택에 의해 쉽게 도달될 수 있 다. 예를들어, poly(2,6-dimethyl-1,4-phenylene oxide, PPO)와 폴리스티렌 (PS)의 블렌드는 용융 흐름성 향상을 위해 쓰이며, PVC와 아트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 렌 공중합체 (ABS)와의 블렌드는 주형 수축 (mold shrinkage)를 감소시키며 강인 성을 증가시킨다. 이런 공정은 고무 산업에도 응용되어 고무 강화제로 알려진 고분 자에 탄성체를 첨가하는 시스템에 응용된다. 이 시스템은 분산되어진 고무상을 첨

(3)

가함으로서 취화된 고분자의 충격 강도를 증가시키고 탄성율을 향상시키는데, ABS 의 경우 분산된 탄성체입자로서, 폴리부타디엔은 응력 집중자 (stress concentration site)로서 작용하며, 작용된 하중아래 수많은 균열의 전파를 방해한다 [13]. 이렇듯 고분자 블렌드는 현재 고분자 산업계에서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 렇지만 좀 더 다양한 성질을 내면서 동시에 좀 더 유용한 성질의 블렌드를 제조하 기 위해서는 다상계 고분자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제까지 채택되어 널 리 사용된 고분자 블렌드 시스템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따라서 이 책 에서는 다상계 고분자의 상용성, 상분리 및 거동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많은 연구 자들에 의해 연구되어 왔고 산업현장에도 응용되는 고분자 블렌드 시스템들을 고찰 해 보겠다. 아울러 각 고분자 블렌드가 가지고 있는 특징과 의의를 점검해 봄으로 써 다상계 고분자에 대한 이해를 넓힘에 그 목적이 있다.

참조

관련 문서

Honda 는 1989 년부터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개발을 시작하여 현재 6kW (0.2kW/liter) 스택을 제작하였고 Nissan 도 1996 년부터 Ballard 의 스택을 이용 한 연료전지 자동차 개발을

우선, 재료 측면으로 보았을 때 용융 블렌드 되는 고분자는 열처 리 과정을 거치기 위해 최소 30℃정도의 용융점 차이가 있어야 하는 데, 열처리 과정이란 상용성이 없는 두 고분자를

율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지고 있는데, 블렌드 후 구 정의 크기가 감소된 HDPE와 EPB 삼원 공중합체의 블렌드 경우 HDPE 첨가량에 따라 인장강도와 인장강성율이 증가하며,

최근 Lee와 Char는 물리적 상용화에 의한 계면 접착력 연구에서 정립된 방법을 도입하여 비결정성 나일론과 PS 계면에 스티렌 maleic anhydride (MA)

이 장에서는 PC를 포함한 블렌드 중 PC/PBT, PC/PET, PC/PMMA, PC/PS, PC/SAN 공중합체, PC/ABS 공중합체, 그리고 PC/PCL 블렌드의 상용성 및 물성에 대하여

이러한 고분자 전해질 막은 trifluorovinyloxy그룹을 양말단에 포함하는 fluorene계 단량체의 합성, 중부가반응 형태의 열중합, 그리고 chlorosulfonic acid를 이용한 후술폰화를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PEMFC)에 사용되었던 고분자 전해질 막인 Nafion은 수소이온 전도도는 매우 좋으나 음극으로의 methanol crossover에 따른 methanol의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고분자 필름을 이용하여 수소 및 메탄가스의 투 과도를 측정하고, 누적투과 특성으로부터 메탄과 수소의 고분자 내 확산계수와 용해도를 결정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