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Relationship between P53, Bcl-2, Apoptosis and Histologic Grade of Brain Tumors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Relationship between P53, Bcl-2, Apoptosis and Histologic Grade of Brain Tumors "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P53, Bcl-2, Apoptosis와 뇌종양의 조직학적 악성도와의 관계

*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해부병리학교실**

김세혁·조경기·윤수한·조기홍·안영민·안영환·김정선

**

·심 철

**

= Abstract =

Relationship between P53, Bcl-2, Apoptosis and Histologic Grade of Brain Tumors

Se Hyuk Kim, M.D., Kyung Gi Cho, M.D., Soo Han Yoon, M.D., Ki Hong Cho, M.D., Young Min Ahn, M.D., Young Hwan Ahn, M.D.

Department of Neurosurger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uwon, Korea

e studied thirty benign and twenty-one malignant brain tumor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53, bcl-2, apoptosis and histologic grade of brain tumors. For the study of p53 and bcl-2 gene expression, we used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using monoclonal antibodies to p53 and bcl-2;and, for apoptosis, In-situ end labeling technique was used. The malignan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53 and apoptosis positive index(PI) than the benign group(mean p53 PI, malignant:16.0 benign:0.9/mean apoptosis PI, malignant:2.3 benign:0.2)(p=0.003);but bcl-2 positive index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p=0.118). Correlation between p53 mutation and apoptosis PI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2, Pearson coef- ficient=0.349);but correlation between bcl-2 expression and apoptosis PI was not(p=0.318). Moreover, correlation between p53 mutation and bcl-2 express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583).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er p53 mutation tends to exist in the group of tumors with higher malignant histologic grades. Furthermore, it can be concluded that greater DNA damage reflected by higher frequency of apoptosis tends to exist in the group of higher malignant histologic grade.

KEY WORDS:Histologic grade of brain tumor・p53 mutation・bcl-2 expression・Apoptosis.

서 론

1972년 Kerr등이 세포사(cell death)의 형태학적 연구에 서 necrosis와는 대별되는 apoptosis의 개념을 처음 도입 한 이래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23). Ne- crosis가 세포의 수동적이고 사고사(accidental cell death) 에 해당하는데 비해 apoptosis는 능동적이고 계획된 세포사 (programmed cell death)로서 그 과정에서 핵과 세포의 크 기가 감소하며 DNA 붕괴가 180~200bp의 nucleosome 간에 일어나서 특징적인 apoptotic body를 형성하고, 세포

집단이 아니라 흩어져 있는 각각의 세포에서 일어나며 염증 반응을 동반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9)22)23)37)

. 이에 대한 종양 에서의 연구는 위장관과 고환 등의 장기에서 연구 결과가 많이 보고되었으며 유전자와의 관계에 관한 보고도 활발하

7)20), 뇌종양에서의 연구보고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Apoptosis에 관여하는 유전자로는 p53, bcl-2, c-myc, c-fos 유전자 등이 있으며 그중 p53 종양억제 유전자는 apoptosis 과정의 초기단계에 관여하여 DNA가 손상된 세 포에서 apoptotic deletion을 유도하며, bcl-2 원시종양 유 전자는 최종단계에서 apoptotic deletion을 억제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12)14)17)18)23)37)

. P53 변이가 종양의 조직학적 악성도와 관계가 있다는 보고가 있는 반면10), 악성도나 악 성 종양으로의 진행과 관계가 없다는 보고도 있다27)29) 또한

W W W W

*본 논본문의 요지는 1996년 추계 대한신경외과학회에서 발표되었음.

(2)

bcl-2도 종양의 조직학적 악성도와 관계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40) bcl-2와 조직학적 악성도와 상관관계가 없다는 보 고도 있다26).

종양에 대한 치료는 현재까지는 수술적 제거,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등이 보편적이며 근래에 유전자기법을 이용한 치료가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방사선치료의 경우 방사선 괴사로 인한 뇌부종이 해결해야할 과제이며 항암화 학요법은 약제투여로 인한 골수기능부전 등이 문제점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뇌종양의 조직학적 악성도와 p53, bcl-2 유 전자와의 관계를 확인해보고 apoptosis와 종양의 조직학적 악성도, 유전자 표현정도와의 관계를 밝혀 종양치료에 있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necrosis와는 다른 apoptosis의 관점을 통해 유전자기법을 이용한 뇌종 양의 치료 등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대 상

1994년 6월부터 1996년 6월까지 본원 신경외과에서 뇌 종양으로 수술 받은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결과 분 석을 위해 양성 뇌종양군과 악성 뇌종양군으로 나누었다. 양 성 뇌종양군은 총 30례로서 뇌하수체 종양(pituitary tumor) 9례, 수막종(meningioma) 9례, 신경초종(schwannoma) 5례, 모양세포성 성상세포종(pilocytic astrocytoma) 2례, 성상세포종(astrocytoma) 2례, 혼합성 신경교종(mixed gli- oma) 2례와 핍지교종(oligodendroglioma) 1례였으며 악성 뇌종양군은 총 21례로서 교모세포종(glioblastoma) 9례, 전 이성 뇌종양(metastatic brain tumor) 6례, 역형성 성상세 포종(anaplastic astrocytoma) 2례, 내배엽성 동종양(en- dodermal sinus tumor) 1례, 원시신경 외배엽종(PNET) 1례, 수모세포종(medulloblastoma) 1례와 배아종(germinoma) 1례 였으며 종양분류는 WHO 종양분류법을 따랐다(Table 1).

2. 방 법

1) p53, bcl-2 면역조직화학염색

수술시 적출된 조직을 이용하여 이미 만들어져 있는 파 라핀 조각을 0.5μm의 두께로 자른 다음 조직 슬라이드에 mount하여 37℃에서 하룻밤, 56℃에서 60분간 건조시킨 후, 탈파라핀 과정을 거쳐 pH 6.0, 0.01M sodium citrate buffer 1600ml에 담궈 microwave하에 5분간 끓인 다음 식히는 과정을 3번 반복한다. 그 후 조직 슬라이드를 pH

7.6 TBS buffer에 5분간 씻은 다음 1.5% hydrogen pero- xide/methanol에 10분간 처리한 후 증류수와 TBS buffer 로 각각 5분간 2번씩 씻는다. 그 후 20분간 정상혈장에 담 구었다가 1차 항체로 처리한 후 TBS buffer로 5분간 2번 씻은 다음 2차 항체로 30분간 반응시킨 후 TBS buffer로 다시 5분간 2번 씻는다. Streptoavidine으로 30분간 처리 한 후 DAB(diaminobenzidine)로 염색하여 증류수로 5분 간 2번 씻은 후 hematoxyline으로 대조 염색한다.

2) In-situ end labelling technique을 이용한 apoptosis 염색

수술시 적출된 조직을 이용하여 이미 만들어져 있는 파라 핀 조각을 0.5μm의 두께로 자른 다음 조직 슬라이드에 mount하여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탈파라핀 과정을 거친 다 음 proteinase K(20μg/ml)를 조직 위에 떨어뜨리고 실온 에서 15분간 반응시킨다. Coplin Jar에 증류수를 30ml정도 담고 여기에 조직 슬라이드를 넣어 proteinase K를 불 활 성화시키는 과정을 2분간 4번 반복한다. 그후 2~3% hy- drogen peroxide in PBS buffer로 조직 슬라이드를 실온 에서 5분간 Coplin Jar에 담궈 endogenous peroxidase 의 작용을 막은 후 PBS buffer로 5분간 2번 씻는다. PBS buffer를 가볍게 털어 내고 75μl의 1X equilibration buffer 를 조직이 덮일 정도로 슬라이드에 떨어뜨린 후 실온에서 10

~15초간 반응시킨 다음 가볍게 털어 내고 54μl의 working strength TdT enzyme(16μl TdT enzyme+38μl reaction buffer)을 떨어뜨린 후 plastic coverslip을 덮고 37℃ hu- midified chamber에서 1시간동안 배양한다. Diluted stop/

wash buffer 35ml(stop/wash buffer 1ml+증류수 34ml) 를 Coplin Jar에 미리 넣어놓고 37℃에서 약 10분간 pre- warm시킨 후 1시간 배양한 조직 슬라이드를 coverslip 제 거하여 담근 후 약간 흔들어주며 실온에서 10분간 배양한 다. 그 후 PBS buffer로 5분간 3번 씻은 다음 각 슬라이드

Table 1. Pathologic diagnosis of brain tumors in 51 patients Benign group Malignant group Pathology No. of

cases Pathology No. of ca ses Pituitary tumor 9 Glioblastoma 9

Meningioma 9 Metastatic tumors 6 Schwannoma 5 Anaplastic astrocytoma 2 Astrocytoma 2 Endodermal sinus tumor 1

Pilocytic astrocytoma 2 PNET 1 Mixed glioma 2 Medulloblastoma 1 Oligodendroglioma 1 Germinoma 1

Total 30 Total 21

(3)

당 55μl의 Anti-Digoxigenin-Peorxidase를 떨어뜨린 후 plastic coverslip을 덮고 실온에서 30분간 humidified chamber에서 배양한다. Coverslip을 제거한 후 실온에서 5분간 PBS buffer in Coplin Jar로 4번 씻은 다음 각 슬라 이드당 DAB 용액 100μl(DAB 10μl+dilutional buffer 90μl)를 떨어뜨려 3~6분간 염색시킨 다음 증류수로 1분 간 3번, 5분간 1번 씻은 후 0.1% Methyl green으로 대조 염색을 한다.

3) 양성 지수(positive index:PI)

방법 1, 2와 같은 과정으로 염색하여 400배의 고배율 현 미경 시야에서 염색이 비교적 고르게 잘된 부위를 4군데 이 상 선택하여 최소한 1,000개 이상의 종양세포의 핵 또는 세포질의 숫자를 세어 전체 종양세포수중 갈색으로 양성 염 색된 세포핵 또는 세포질수의 비율을 구하였고 그 백분율을 양성 지수(positive index:PI)로 정의하였다.

양성 지수(PI)=양성으로 염색된 세포핵 또는 세포질수 전체 종양세포수 ×100 4) 통계분석

두 군간의 p53, bcl-2, apoptosis 염색 차이의 검증을 위 하여는 Student T-test를 사용하였고 p53과 apoptosis, bcl-2와 apoptosis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위하여는 Pearson correlation 및 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5) 사용 재료

p53과 bcl-2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위하여 각각 p53 단일 클론항체(clone DO7, Dako Co. Santa Babara. CA U.S.A.) 와 bcl-2 단일클론항체(clone 124, Dako Co. Santa Ba- bara. CA U.S.A.)를 사용하였고 apoptosis 염색을 위해서 는 ApopTag Plus in situ apoptosis detection kit(Oncor Co. Gaithersburg. MD U.S.A.)를 사용하였다.

결 과

1. 양성 뇌종양군과 악성 뇌종양군간의 p53, bcl-2 양성 지수(PI) 차이

변이된 p53 단백을 감지하는 p53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 양성 뇌종양군의 경우 70.0%(21/30)의 p53 양성반응을 보 였고 평균 양성 지수는 0.9(min-max:0~7.9)였으며, 악 성 뇌종양군에서는 100%(21/21)의 p53 양성반응을 보였 고 평균 양성 지수는 16.0(min-max:0.2~71.8)였다.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p=0.003) (Table 2, Fig. 1).

bcl-2 면역조직화학염색에서는 양성 뇌종양군의 경우 66.7%(20/30)의 bcl-2 양성반응을 보였고 평균 양성 지 수는 2.9(min-max:0~20.8)였으며, 악성 뇌종양군에서 는 81.0%(17/21)의 bcl-2 양성반응을 보였고 평균 양성 지수는 10.5(min-max:0~39.6)였다. 두 군간에 통계학 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p=0.118)(Table 3, Fig. 2).

2. 양성 뇌종양군과 악성 뇌종양군간의 apoptosis 양성 지 수(PI)의 차이

In-situ end labelling technique을 이용한 apoptosis 염 색에서는 양성 뇌종양군의 경우 43.3%(13/30)의 apoptosis

Table 2. p53 PI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tumors Tumor group No. of positive case Mine-max Mean±SD Benign 21/30(70.0%) 0 - 7.9 0.9± 1.62 Malignant 21/21(100%) 0.2-71.8 16.0±20.65

p=0.003

Table 3. bcl-2 PI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tumors Tumor group No. of positive case Mine-max Mean±SD Benign 20/30(66.7%) 0-20.8 2.9± 6.14 Malignant 17/21(81.0%) 0-39.6 10.5±20.71

p=0.118 Fig. 1. Photomicrographs of p53 immunohistochemical stain- ings. Schwannoma(A) shows low p53 PI(0.3) whereas glioblastoma(B) shows high p53 PI(8.5).

(4)

양성반응을 보였고 평균 양성 지수는 0.2(min-max:0~

1.7)였으며, 악성 뇌종양군에서는 90.5%(19/21)의 apo- ptosis 양성반응을 보였고 평균 양성 지수는 2.3(min-max:

0~10.7)였다.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있 었다(p=0.003)(Table 4, Fig. 3).

3. p53, bcl-2와 apoptosis와의 상관관계

연구대상 전체군에서 p53, bcl-2와 apoptosis와의 상 관관계를 관찰한 결과 p53과 apoptosis사이에는 통계학 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고(p=0.012, Pearson coefficient=0.349), 특히 교모세포종에서 상관계수(P.C.

coefficient)가 0.863으로 높았다(Fig. 4, Fig. 6). bcl-2와 apoptosis사이에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없었다(p=0.318, Pearson coefficient=0.143)(Fig. 5).

4. p53과 bcl-2와의 상관관계

연구대상 전체군에서 p53과 bcl-2와의 상관관계를 관찰

Table 4. Apoptosis PI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tumors Tumor group No. of positive case Mine-max Mean±SD Benign 13/30(43.3%) 0- 1.7 0.2±0.36 Malignant 19/21(90.5%) 0-10.7 2.3±2.83 p=0.003 Fig. 2. Photomicrographs of bcl-2 immunohistochemical stai-

nings. Pilocytic astrocytoma(A) shows higher bcl-2 PI (2.5) as compared to glioblastoma(B)(1.3).

Fig. 3. Photomicrographs of In-situ end labeling staining for apoptosis. Pilocytic astrocytoma(A) does not show any positive staining cell, but metastatic tumor(B) from lung shows high apoptosis PI(5.0).

Fig. 4. Linear regression graph of correlation between p53 and apoptosis PI(p=0.012).

Fig. 5. Linear regression graph of correlation between bcl-2 and apoptosis PI(p=0.318).

(5)

한 결과 p53과 bcl-2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p=0.583, Pearson coefficient=0.079).

고 찰

능동적이고 계획된 세포사인 apoptosis는 정상세포에서도 생체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어나며 후천성 면역결핍 증 바이러스에 의한 뇌염 및 치료받지 않은 악성종양에서도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23)31). 본 연구 결 과에서 양성 뇌종양군에서도 43.3%가 apoptosis 염색에 양 성인 것으로 보아 apoptosis는 모든 뇌종양에서 일어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외에 방사선, 항암치료제, 호르몬, 세 포독성 T 임파구, mild hyperthermia(43℃ for 30min), APO-1/Fas 항원에 대한 항체나 protein kinase C inhi- bitor에 의해서도 유도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23). 감지 방법으로는 광학현미경검사, 전자현미경검사, 전기영동법 및 In-situ end labeling 방법이 있으며 그 중 전자현미경검사 가 현재까지는 가장 신뢰적인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22). 그 러나 전자현미경검사를 위해서는 신선한 조직 절편이 필요하 며 정량분석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In-situ end labeling technique은 1992년 Gavrieli등이 TUNEL(terminal deo-

xy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biotin nick end labeling) method로 처음 소개한 이래 여러 문헌에서 보고되었고 이는 방법이 비교적 쉬우며 파라핀 조직에서의 검출이 가능하여 후향적 검사가 가능하고 정량분석이 가능하 다는 장점이 있어 임상에서의 적용이 용이한 반면 괴사세포 에 의한 위양성을 완전 배제할 수 없다는 것과 조직의 고정 과정중 생길 수 있는 DNA 손상이 정확한 결과분석에 영향 을 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3)20)42).

1995년 Nakagawa등이 62명의 뇌종양 환자의 종양조직 에서 In-situ end labeling method로 apoptotic cell을 관 찰하여 발표한 바에 의하면 25례에서 발견되어 40.3%의 양성율을 보였고 양성세포의 백분율(apoptotic index)은 0.1에서 8.9이었으며 MIB-1(Ki-67 equivalent murine monoclonal antibody;marker of growth fraction) index 가 높을수록, 즉 종양세포의 증식속도가 빠를수록 apoptotic index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30).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 전 체군에서 62.7%(32/51)의 높은 양성율을 보였고 apoptosis 양성 지수가 0에서 10.7의 범위를 보였다. 비록 종양세포의 증식지표에 대한 연구는 동반되지 않았으나 악성군에서 양 성군에 비해 apoptosis 양성지수가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보아 증식속도가 빠른 종양에서 apoptosis의 빈도가 높음

Fig. 6. Correlation between p53 and apoptosis(Upper:Pituitary tumor shows both low p53 PI(0.5) and apoptosis PI(0). Lower:

Glioblastoma shows both high p53 PI(57.2) and apoptosis PI(5.9).

(6)

을 알 수 있다.

Apoptosis를 조절하는 유전자로는 p53, bcl-2, c-myc, c-fos 등이 있으며 그 중 p53 종양억제 유전자는 전사조 절인자로서 53-KD의 인 단백질을 합성하며 그 기능은 세 포주기의‘check point’로서 DNA가 손상된 세포를 G1- S phase에서 성장을 멈추게 하거나 apoptosis를 유발하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4)23). 이러한 p53의 기능 소실, 즉 변이가 암 발생의 초기단계에 관여하며 악성 흑색종과 유 방암, 방광암, 폐암, 위암 및 간암 등의 흔한 악성종양에서 발견되었고 성상세포종, 핍지교종, 교모세포종 및 수모세 포종 등의 여러 뇌종양과 말초신경초종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2)4)5)11)15)16)21)24)27)29)36)43)

. 초기에는 뇌종양에서 p53 변이가 조직학적 악성도와 관계가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10) 근래에는 신경교종의 경우 이러한 p53 변이가 종양발생의 초기단계에 관여하며 그 자체가 종양의 조직학적 악성도나 악성으로의 진행과는 관계가 없으나 p53의 기능 소실이 유 전자 손상의 축적을 초래하여 성상세포종이 교모세포종으로 진행되는데 기여할 수는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1)3)27)29)33)38)

. 본 연구 결과상 p53 변이를 뜻하는 p53 양성 지수가 악성 뇌종양군에서 양성 뇌종양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은 것으로 보아 p53 변이가 조직학적 악성도와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 다고 볼 수 있으며 향후 종양세포의 생물학적 악성도, 즉 세 포증식지표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 다. 또한 p53 변이가 있는 종양환자의 경우는 방사선치료나 항암화학요법의 효과가 떨어지며 수모세포종과 전립선암 세 포에서 viral vector를 이용하여 wild-type p53의 유전자 전달을 시행한 후 종양세포의 성장이 억제된 보고도 있어 치료적인 면에서 중요성을 띄고있다7)28)36)39)

. 이러한 p53 변이를 감지하는 방법 중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이 있다. 변이 성 p53 단백은 정상 p53 단백에 비해 반감기가 길고 세포 내에 약 100배 정도의 높은 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조직 염색상 감지가 가능하여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 학염색법이 p53 변이를 감지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SSCP나 DNA sequencing 등의 방법보다는 정확성이 떨어지나 임상에서의 적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5)11).

bcl-2 원시 종양유전자는 26-KD의 단백질을 합성하며 그 기능은 apoptotic cell death의 potential blocker로서 apoptosis의 최종단계에 작용하여 종양세포를 세포주기의 G0/ G1 phase에 정지시키거나 APO-1/Fas 항체를 통한 apo- ptosis를 막아 생존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40). 면역조직화학염색상 bcl-2 유전자 표현정도가 신경교종의 경우 조직학적 악성도가 높은 종양에서 낮은 종양에 비해

더 높다는 보고가 있는 반면40) 종양의 조직학적 악성도와는 관계가 없으며 반응성 성상세포(reactive astrocyte)에서도 발현된다는 보고도 있다17)26). 본 연구결과에서는 bcl-2 유 전자의 표현정도가 종양의 조직학적 악성도와는 관계가 없 었다. 근래에는 bcl-2 family중 bax, bad, bak, bcl-X-S는 apoptosis를 촉진하는 쪽으로, bcl-2, bcl-X-L은 막는 쪽 으로 작용하며 그 중 특히 bax:bcl-2 비율이 더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일부 종양에서는 bcl-2 유전자의 표현이 많을수록 약물치료에 반응이 낮고 재발기간이 짧으 며 생존기간이 짧아 임상적 경과가 나쁜 것으로 알려져있어 뇌종양의 예후 판정에 의의가 있음을 알 수 있다7)12)34).

면역조직화학염색상 감지되는 p53 변이, bcl-2 유전자의 표현정도와 apoptosis 정도사이의 관계에 대한 연구보고는 저 자가 처음인 것으로 알고있으며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p53 변이와 apoptosis사이에는 의미 있는 양적 상관관계(positive correlation)가 있으나 bcl-2 유전자와 apoptosis사이에는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는 종양의 조직학적 악성도 가 높을수록 p53 변이가 많이 존재하며 또한 DNA 손상도 많아 apoptosis가 많이 일어난 결과로 사료된다. 또한 apo- ptosis의 초기단계에 작용하는 p53 유전자와 apoptosis의 최종단계에 작용하는 bcl-2 유전자의 상관관계를 관찰한 결 과 p53 변이와 bcl-2 유전자의 표현정도 사이에는 의미있 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저자는 이러한 연구결과가 향후 환자의 임상경과, 즉 여러 치료에 대한 반응과 생존기간 등과 연결되어질 때 보다 의 미 있는 논문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결 론

뇌종양의 조직학적 악성도와 p53, bcl-2, apoptosis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51명의 뇌종양 환자에서 수술시 적출된 조직을 이용하여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WHO분류에 의하여 이 중 30례는 양성 뇌종양군, 21례는 악성 뇌종양군으로 분 류하여 결과를 비교하였다.

종양억제 유전자이며 DNA 손상세포를 apoptosis 과정의 초기단계에서 작용하여 세포의 apoptotic deletion을 유발 하는 p53은 면역조직화학염색상 양성 뇌종양군(평균 양성 지수=0.9)에 비해 악성 뇌종양군(평균 양성 지수=16.0) 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높게 감지되어 p53 변이가 악성군에서 많음을 알 수 있었다(p=0.003).

원시종양 유전자이며 apoptosis의 최종단계에서 blocker 로 작용하는 bcl-2는 면역조직화학염색상 양성 뇌종양군 (평균 양성 지수=2.9)과 악성 뇌종양군(평균 양성 지수=

(7)

10.5)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p=0.118).

In-situ end labeling technique을 이용하여 apoptotic cell을 측정한 결과 양성 뇌종양군(평균 양성 지수=0.2)에 비해 악성 뇌종양군(평균 양성 지수=2.3)에서 통계학적으 로 의미 있게 높았다(p=0.003).

연구대상 전체군을 볼 때 면역조직화학염색상 감지되는 p53 변이와 apoptosis사이에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 고(p=0.012, 상관계수=0.349), bcl-2 유전자의 표현정 도와 apoptosis사이에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없었다(p=

0.318). 또한 apoptosis 과정에서 다른 시기에 서로 상반 된 작용을 하는 p53 유전자와 bcl-2 유전자의 관계를 관 찰한 결과 p53 변이와 bcl-2 유전자 표현정도 사이에는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없었다(p=0.583).

본 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종양의 조직학적 악 성도가 높을수록 p53 변이가 많이 존재하며, 또한 DNA손 상도 많아 apoptosis가 많이 일어나나, 뇌종양의 조직학적 악성도와 bcl-2와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논문접수일:1996년 12월 18일

•심사완료일:1997년 1월 28일

References

1) Anker L, Ohgaki H, Ludeke BI, et al:P53 protein accumulation and gene mutations in human glioma cell lines. Int J Cancer 55982-987, 1993

2) Bartek J, Iggo R, Gannon J, et al:Genetic and immunochemical analysis of mutant p53 in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s. On- cogene 5893-899, 1990

3) Ben-Sasson SA, Sherman Y, Gavrieli Y:Identification of dying cells-In situ staining, in Schwartz LM, Osborne BA(eds):

Cell death. San DiegoAcademic Press, pp 29-40, 1995 4) Bogler O, Huang HS, Cavenee WK:Loss of wild-type p53

bestows a growth advantage on primary cortical astrocytes and facilitaes their in vitro transformation. Cancer Res 552746-2751, 1995

5) Bonder SM, Minna JD, Jensen SM, et al:Expression of mutant p53 proteins in lung cancer correlates with the class of p53 gene mutation. Oncogene 7743-749, 1992

6) Chen SH, Shine HD, Goodman C, et al:Gene therapy for brain tumorsRegression of experimental gliomas by adenovirus- mediated gene transfer in vivo. Proc Natl Acad Sci. USA 913054-3057, 1994

7) Chresta CM, Masters JRW, Hickman JA:Hypersensitivity of human testicular tumors to Etoposide-induced apoptosis is as- sociated with functional p53 and a high BaxBcl-2 ratio.

Cancer Res 561834-1841, 1996

8) Couldwell WT, Hinton DR, He S, et al:Protein kinase C

inhibitors induce apoptosis in human malignant glioma cell lines. FEBS Letters 34543-46, 1994

9) Dickson DW:Apoptosis in the brain physiology and pathology.

Am J Pathol 146(5):1040-1044, 1995

10) Figols J, Ferreres C, Rossi ML, et al:Prognostic factors in astrocytic gliomas. J Neuropathol Exp Neurol Suppl68-70, 1995

11) Fonseca L, Yonemura Y, Aretxabala XD, et al:P53 detection as a prognostic factor in early gastric cancer. Oncology 51485-490, 1994

12) Gillardon F, Wickert H, Zimmermann M:Up-regulation of bax and down-regulation of bcl-2 is associated with kainate- induced apoptosis in mouse brain. Neuroscience Letters 19285-88, 1995

13) Gottlieb TM, Oren M:P53 in growth control and neoplasia.

Bioch Biophy Acta 128777-102, 1996

14) Hainaut P:The tumor suppressor protein p53A receptor to genotoxic stress that controls cell growth and survival. Current Opinion in Oncology 776-82, 1995

15) Hosono S, Chou MJ, Lee CS, et al:Infrequent mutation of p53 gene in hepatitis B virus positive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s. Oncogene 8491-496, 1993

16) Hosono S, Lee CS, Chou MJ, et al:Molecular analysis of the p53 alleles in primary hepatocellular carcinomas and cell lines. Oncogene 6237-243, 1991

17) Ikeda H, Hirato J, Akami M, et al:Bcl-2 oncoprotein expre- ssion and apoptosis in neuroblastoma. J Pediatr Surg 30(6):

805-808, 1995

18) Ikemoto H, Tani E, Matsumoto T, et al:Apoptosis of human glioma cells in response to calphostin C, a specific protein kinase C inhibitor. J Neurosurg 831008-1016, 1995 19) James CD, Olson JJ:Molecular genetics and molecular biology

advances in brain tumors. Current Opinion in Oncology 8188-195, 1996

20) Kasagi N, Gomyo Y, Shirai H, et al:Apoptotic cell death in human gastric carcinomaAnalysis by terminal deoxymucle- 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biotin nick end labeling. Jpn J Cancer Res 85939-945, 1994

21) Kawasaki T, Tomita Y, Watanabe R, et al: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p53 mutations in human bladder cancer cell lines.

Cancer Letters 82113-121, 1994

22) Kerr JFR, Gobe GC, Winterford CM, et al:Anatomical methods in cell death, in Schwartz LM, Osborne BA(eds):

Cell death. San DiegoAcademic Press, pp 1-27, 1995 23) Kerr JFR, Winterford CM, Harmon BV:Apoptosis. Its signi-

ficance in cancer and cancer therapy. Cancer 73(8):2013- 2026, 1994

24) Kindblom LG, Ahlden M, Kindblom JMM, et al:Immunohis- tochemical and molecular analysis of p53, MDM2,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and Ki67 in benign and malignant peri- pheral nerve sheath tumours. Virchows Arch 42719-26, 1995 25) Kleihues P:New concepts in the classification of brain tumours.

(8)

J Neuropathol Exp Neurol Supple53-54, 1995

26) Krishna M, Smith TW, echt LD:Expression of bcl-2 in reactive and neoplastic astrocytesLack of correlation with presence or degree of malignancy. J Neurosurg 831017-1022, 1995 27) Lang FF, Miller DC, Pisharody S, et al:High frequency of

p53 protein accumulation without p53 protein accumulation without p53 gene mutation in human juvenile pilocytic, low grade and anaplastic astrocytomas. Oncogene 9949-954, 1994 28) Lowe SW:Cancer therapy and p53. Current Opinion in

Oncology 7547-553, 1995

29) Meir EGV, Kikuchi T, Tada M, et al:Analysis of the p53 gene and its expression in human glioblastoma cells. Cancer Res 54649-652, 1994

30) Nakagawa S, Shiraishi T, Kihara S, et al:Detection of DNA strand breaks associated with apoptosis in human brain tumors.

Virchows Arch 427175-179, 1995

31) Petito CK, Roberts B:Evidence of apoptotic cell death in HIV encephalitis. Am J Pathol 146(5):1121-1128, 1995 32) Ram Z, Culver KW, Walbridge S, et al:In situ retroviral-me-

diated gene transfer for the treatment of brain tumors in rats.

Cancer Res 5383-88, 1993

33) Rasheed BKA, McLendon RE, Herndon JE, et al:Altera- tions of the TP53 gene in human gliomas. Cancer Res 541324-1330, 1994

34) Reed JC:Regulation of apoptosis by bcl-2 family proteins and its role in cancer and chemoresistance. Current Opinion in Oncology 7541-546, 1995

35) Rosenfeld ME, Curiel DT:Gene therapy strategies for novel

cancer therapeutics. Current Opinion in Oncology 872-77, 1996

36) Rosenfeld MR, Meneses P, Dalmau J, et al:Gene transfer of wild-type p53 results in restoration of tumor-suppressor fucntion in a medulloblastoma cell line. Neurology 451533- 1539, 1995

37) Salomon RN, Diaz-Cano S:Introduction to apoptosis. Diag- nostic Molecular Pathology 4(4):235-238, 1995

38) Smith ML, Fornace AJ:Genomic instability and the role of p53 mutations in cancer cells. Current Opinion in Oncology 769-75, 1995

39) Srivastava S, Katayose D, Tong YA, et al:Recombinant ad- enovirus vector expressing wild-type p53 is a potent inhibitor of prostate cancer cell proliferation. Urology 46(6):843- 848, 1995

40) Weller M, Malipiero U, Aguzzi A, et al:Protooncogene bcl-2 gene transfer abrogates Fas/APO-1 antibody-mediated apoptosis of human malignant glioma cells and confers resistance to chemotherapeutic drugs and therapeutic irradiation. J Clin Invest 952633-2643, 1995

41) Westermark B, Nister M:Molecular genetics of human glioma.

Current Opinion in Oncology 7220-225, 1995

42) Wijsman JH, Jonker RR, Keijzer R, et al:A new method to detect apoptosis in paraffin sectionsIn situ end-labeling of fragmented DNA. J Histo Cyto 41(1):7-12, 1993

43) Yamamoto M, Takahashi H:Immunohistochemical detection of the p53 oncoprotein in tumours of melanocytic origin.

Virchows Archiv A Pathol Anat 422127-132, 1993

참조

관련 문서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 of fucoidan on prostaglandin E 2 (PGE 2 ) and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 in lipopolysaccharide

The loss of growth control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is characterized by acquisition of an autocrine regulatory pathway involving the epidermal growth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level of TUG1 and one of its transcript variants (n377360) in osteosarcoma cells and assess the role of TUG1 in proliferation and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the expression of bcl-2 decreased signi ficantly (p < 0.05), whereas the expression of bax and caspase-3 increased signi ficantly (p < 0.05)

The effects of AS on gene expression profiles in activated BV-2 microglial cells were evaluated using microarray analysis.. The gene expression profiles of the BV-2

There were significantly upregulated expressions of TS, MRP1, Bcl-xl, and E-cad in BEL-7402/5-FU cells compared to its parental cells (P<0.01), but the expression of P-gp

ROS levels, apoptotic indices (cell death, DNA fragmentation, Bax/Bcl-2 ratio, caspase-3 activity) and DDRs (activation and levels of ATM, checkpoint kinase 2, Mdm2, ARF, and

In this study, we assessed annexin A3 expression in 80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and explore its correlation with prognosis Moreover, correlations with Ki-67, Bcl-2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