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학교 교육과정 편성의 실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학교 교육과정 편성의 실제"

Copied!
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1 -

1강.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시 학생이 겪을 수 있는 어려움과 해결책

학교 교육과정 편성의 실제

[생각열기]

현재 교육부에 추진하고 있는 교육정책 중에서 학생들이 가장 좋아하는 교육정책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아마도 ‘고교학점제’일 것입니다. 고교에서도 대학생처럼 내가 원하는 과목을 수강하고, 수업시간표도 내 가 원하는 방식으로 작성하여 수업이 없는 시간에는 휴식도 하고 독서도 하고 현재 보다 좀더 여유롭고 자유로운 학교생활을 할 수 있는 기대감이 작용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현장의 선생님들도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면 학생의 적성진로를 고려한 교육이 가능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교학점제의 도입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기대감 못지않게 왜 고교학점제가 도입이 되어야 하고, 그것이 어떤 의 미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이해와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책에 대한 이해는 정책 실행을 견인하는 원심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고교학점제가 왜 도입되고, 그것 이 어떤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합니다.

[학습목표]

1.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시 학생이 겪을 수 있는 어려움과 해결책을 이해할 수 있다.

2.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의 과정과 방법을 이해할 수 있다.

[학습내용]

1.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시 학생이 겪을 수 있는 어려움과 해결책 2.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의 과정과 방법

3. 선도 연구학교 사례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시 학생이 겪을 수 있는 어려움과 해결책>

과목은 많은데 과목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선택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입니다. (그림2) 2015 개정 교육과 정 보통교과 편제표에 나와 있는 과목만 해도 90여 가지나 되고, 전문교과까지 포함하면 그 숫자는 더욱 늘어납니다. 때문에 학년 초부터 과목에 안내 자료를 만들고 교육을 해야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2)

- 2 -

2강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의 과정과 방법

<그림2> ▲ 2015 개정교육과정 보통교과 편제표

다음으로는 진로 진학의 불확실성 때문에 생기는 어려움입니다. 실제로 수많은 학생들은 진로를 확실하게 정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재학 중 수시로 진로희망이 바뀌는 것 또한 매우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이 문제는 학교와 학생이 함께 꾸준히 진로 진학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해결해 나가는 방법이 해결책이 되겠지요. 마지막으로는 본인의 진로와 관련이 있거나 흥미가 있어서 듣고 싶은 과목이 있는데 학교의 사정 상 개설이 불가능해 과목 선택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입니다. 물론 학교에서 모든 과목을 수강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일입니다.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많은 학교에서 이러한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 생각하는데요 이러한 문제점은 온라인 수업, 꿈두레 공동 교육과정, 타학교 연계 공동교육과정 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3)

- 3 -

3강 선도 연구학교 사례

<학교 교육의 여건 고려>

학교와 교사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진보 강박 증후군’이 있다고 합니다. 남에게 뒤처지지 않을까 걱정하는 심리, 즉, ‘앞서가는 학교’의 ‘앞선 방법’을 무비판적으로 우리도 받아들이자는 태도입 니다. 자기 내부의 확실한 신념이나 판단 없이, 그저 다수자에 포함되고 싶고, 시대에 뒤떨어지고 싶지 않다는 의식에서 나온다고 합니다.(나카지마 카즈노리, 선생이 부서져 간다, 2016, 185)

학교는 학교마다 사정이 있습니다. 우리 학교의 교육과정은 우리 학교만의 조건을 감안해야 합니다.

학교의 규모, 전통, 지역 여건, 학생의 수준, 최근 진로진학 통계, 학부모 관심, 지역사회 자원, 예산 규 모, 학교 시설 조건 등 학교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충분히 살펴봐야 합니다. (예: SWOT 분 석 등) 인천신현고는 2009교육과정때부터 학생 과목선택권 보장을 위해 노력해온 경험치가 쌓여 있기 때문에 변화에 적응을 하기 쉬운 여건이었습니다.

<우선순위 확인>

학교에서는 끊임없이 의사결정이 이루어집니다. 바람직한 결정을 위해 노력하지만, 구성원이 워낙 다 양하다보니 결코 쉽지 않습니다. 동일한 사안에 대해 학생, 학부모, 교사 간 의견이 일치하는 것은 아 닙니다. 교사들도 교과별, 업무별 입장에 따라 어떤 결정에 대해 전혀 다른 입장에 서기도 합니다. 소 통과 협력적 학교문화를 강조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겠습니다.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이 원활하게 이루 어지려면 학교에서는 무엇을 교육의 우선순위로 삼을 것인가 구성원간 공감과 합의가 있어야 합니다.

인천신현고의 경우, 과목 개설을 위한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학생의 선택 수요가 있는가?

2. 가르칠 교사가 확보되었는가?

3. 교실이 있는가?

4. 개설이 쉽지 않더라도 학생들에게 의미가 있는가?

<편성의 근거 확인>

교육과정 편성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을 때, 그 사정을 짚어보면 관행과 관행의 충돌인 경우가 많습니 다. 일부(관리자 또는 업무담당자 등)에 의한 편성, 재직 교사의 전공과목 및 수급 기준 편성, 전년도 기준 편성 등이 많고, 교원 간 소통 부재와 함께 권리 주장으로 포장된 권력 행사가 모두를 피곤하게

(4)

- 4 -

만들기도 합니다. 교육과정을 순조롭게 편성하려면, 추진 근거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해석 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편성 과정에서 임의성을 배제하고 공식성을 갖추도록 해야 합니다. 학교 교 육은 관련 법령, 지침 등을 근거로 하며, 위임된 범위 안에서 자율적으로 내규를 마련하게 됩니다. 평 가가 견인되기 위해서는 수업 및 평가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교사의 수업과 평가가 연계되어야 하고, 이에 따른 교사별 (과정) 평가 결과의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노 력해야 합니다.

<교원 전문성 제고를 위한 연수>

교육과정은 교원 간 소통에 바탕을 둔 공감대가 형성되어야 무리 없이 편성, 운영 될 수 있습니다. 소 통과 공감은 학교가 당면한 교육적 과제를 함께 바라보며 동일한 이해 기준을 가질 때 가능합니다.

학생의 ‘선택’을 보장하려면, 수요자의 요구를 먼저 살펴보고,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데, 그 과정이 쉽지 않습니다.

<질문하기>

[질문]

학교에서는 교육과정 설명회 등 각종 방안을 적용하여 학생의 진로적성에 맞는 과목 선택을 돕고 있으나 학생들은 성적을 잘 받을 수 있는 과목, 쉬운 과목, 친구 따라 선택하는 등의 경향이 있습니다. 교육적으로 의미 있고 바람직한 과목 선택을 돕기 위한 실제적인 운영 방안은 무엇일까요?

[답변]

일단, 학생들의 선택 경향 그 자체를 존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교사 입장에서 학생의 선택이 문제 있다고 여길 수 있으나, 학생 입장에서는 그것이 최선이며, 자연스러운 결과입니다. 학생은 자신이 좋아하는 혹은 필요하다고 판단한 과목을 선택했을 뿐입니다. 따라서 학교는 과목 선택이 누구 기 준인지를 객관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신중한 선택은 중요하나, 무슨 과목이 바람직하냐는 사람마 다 다르므로, 교사는 학생의 선택이 더 의미 있을 수 있다고 관용적 태도가 필요합니다. 다만, 학생 선택에 심각한 문제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학교의 안내/지도 방법에 어떤 문제가 없었는지 살펴보 는 것도 중요합니다.

참조

관련 문서

교육과정 설계는 원칙과 지침을 사전에 수립하는 활동 교육과정 설계는 개발과정이 아닌 교육과정 내용, 실체...

학습경험의 평가.. 직업 교육과정 개발 모형.. 대안적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젃차. Walker의 실제적

창의적인

이러한 STEAM 교육을 적용하기 위한 학교 과학 교육 및 연계 과목의 운영을 탄력 있게 편성하고 학교 현장의 여건을 조성하면 STEAM 교육은 교과부에서 추진하는 융합

&#34;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KOFAC)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MOE)&#34;... 의사가 놓친 암세

ㅇ 정규 교육과정 속에서 식생활교육 확대가 필요하고, 교육콘텐츠의 지속적 개발 , 매체의 다양화, 온라인 플랫폼 활용

학습에 대한 흥미 자신감, 지적 만족감, 성취감 등을 느껴 학습에 대한 느끼고 성공의 경험을 동기유발, 욕구, 열정, 몰입의 의지가 생기고 개인적 의미를

연구회 참여교사들은 STEAM 수업 적용 경험을 통해 교육과정 분석 및 적용 과 정에서 협력적인 교육과정과 수업 역량을 신장시키게 되었으며, 교사들 스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