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각 국별 인프라 산업 동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2. 각 국별 인프라 산업 동향"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신흥국 인프라 산업 동향과 시사점

김광석 ㅣ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 윤지호 ㅣ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원

1. 개요

인프라 산업이란 인간의 일상생활과 산업생산에 필요한 기반시설 및 관련 서비스를 공급하는 산업이 다. 기획재정부는 도로, 항만, 철도, 발전소 등 시설 뿐 아니라 법·제도·정부정책 등 또한 포괄하는 개 념으로 확장시켰다. OECD는 인프라에 대한 정의

를 교통, 전기, 통신, 물 등 경제와 사회발전에 중요 한 역할을 하는 사업이라고 하였으며 크게는 운송, 에너지 및 전력, 물, 통신의 4대 분야로 구성하였다 (HM Treasury, 2013).

인프라 산업 투자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크고, 성 장잠재력에도 기여한다. 성장잠재력의 측면에서 보 자면, 생산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높여 국민경제의

<표 1> 주요 산업별 고용·부가가치·생산 유발계수

생산 유발계수 부가가치 유발계수 고용 유발계수

의복·섬유 2.065 0.657 9.5

석유제품 1.255 0.238 1.0

화학제품 1.916 0.293 1.7

의약·화장품 1.922 0.659 6.3

전기기계 2.139 0.588 6.4

통신기기 2.122 0.452 5.1

컴퓨터 1.542 0.355 4.4

자동차 2.610 0.641 6.3

선박 2.063 0.593 5.6

토목 및 특수건설 2.258 0.746 10.4

전산업 1.935 0.651 8.3

자료 : 한국은행, 『산업연관표(2011)』.

주 : 통합중분류 78부문 기준임.

(2)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데 에 도움이 된다(김광석, 2013). 위의 <표 1>을 참고하면 통합중분류(78)부 문을 기준으로 할 때, ‘토목 및 특수 건설’의 생산유 발계수와 부가가치유발계수는 2.258, 0.746 으로 전 산업 평균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 프라 투자는 과거의 경제성장 뿐 아니라 경제위기 시에는 고용창출과 유효수요 확대 등의 경기대응을 위한 정책적 수단으로도 활용되어 왔다

아래 <표 2>을 참고하면 알 수 있듯이 2011년부 터 향후 20년간 약 40조 달러가 투자될 산업으로 성 장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전까지는 주로 통신 인프라가 주력이었으나, BRICs를 중심으 로 한 신흥국의 경제성장과 함께 전력과 물 인프라 투자가 급증하는 추세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신흥국을 중심으로 한 전 세계적인 인프 라산업의 확충을 한국기업들이 어떻게 활용하느냐 또한 흥미로운 과제 중 하나이다. 최근 한국기업들 은 인프라 설비 제작 및 시공 부문을 중심으로 해외 시장을 공략하기 시작했다(임영모, 2010). 이와 같 이 신흥국 시장을 공략함에 있어 각 부문별로 시장

의 수요와 한국의 기술능력을 잘 판단하여 설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신흥국들은 빠른 시간 내의 인 프라 발전을 목표로 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최신 기술을 채택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많은 인프라 발 전을 짧은 시간 내에 이룩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절 감에도 민감한 부분이 많다. 이에 맞추어 우수한 기 술력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투자를 한다면 한국 기업 들에게도 신흥국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2. 각 국별 인프라 산업 동향

1) 인도

인도정부는 경제개혁을 함과 동시에 인프라 확충 을 위해 노력해왔다. 이는 인도의 열악하고 부적절 한 인프라가 높은 경제성장률 달성에 걸림돌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의 해결책으로 인도 정부는 공공 부문의 책임 하에 시행되던 인프라 개발을 민간 부 문의 참여를 유도함과 동시에 매년 GDP 대비 인프

<표 2> 분야별 전세계 인프라 투자규모 전망

(단위 : 억 달러)

구 분 2001~2010

(연평균)

2011~2020 (연평균)

2021~2030 (연평균)

2011~2030 (누적)

도로/철도 2,690 2,990 3,500 64,900

통신 6,540 6,460 1,710 81,700

전력 2,700 3,830 5,130 89,570

5,760 7,720 10,370 180,900

합계 17,690 21,000 20,710 417,070

자료 : OECD(2006). Infrastructure to 2030.을 토대로 삼성경제연구소 재추정.

(3)

라 지출을 증대시키면서 2017년까지 무려 GDP의 10.5%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그림 1)에 보이듯이 제 10차 5개년 계획(2002- 2006년도) 때 2,000억 달러(GDP 대비 5%) 투자했 던 것을 제 11차 5개년 계획(2007-2011년도) 때 4,500억 달러(GDP 대비 7%)로 늘리고, 제 12차 5 개년 계획(2012-2016년도) 때는 1조 달러까지 확 대하겠다는 계획이다(Ernst & Young, 2012).

현재 도로관련 인프라 부문의 개선은 시급하 다. 인도의 고속도로 길이는, 연방국도의 2%비중 에 불과할 정도로 짧은데, 담당하는 교통량은 전체 의 40%에 이를 정도이다. 자동차 판매 증가량에 비 해 도로 확충이 훨씬 못 미치기 때문에, 위의 (그림 2)를 보면 도로관련 인프라의 실행 프로젝트 및 추 진 프로젝트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추진 중에 있는 주요 프로젝트로는 인도 북동 부-미얀마를 연결하는 도로 건설이 있다. 전력인프 라 역시 전력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공급부족이 지속

되고 있는 상황이다. 인도 정부는 이 상황을 타개하 기 위해 송·배전망 개선 사업 및 전력원 증설 사업 을 추진하고 있다(<표 3>참조).

글로벌 경제위기로부터 많은 국가들이 회복세에 접어듦에 따라 인프라 건설시장이 회복 될 것으로 전망된다. 제 12차 5개년 계획이 진행됨에 따라 정 부 차원에서의 투자가 많이 늘어났기 때문에 전력, 도로, 철도, 항만을 중심으로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의 적극적인 추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의 넓은 시장을 고려해봤을 때 외국인의 투자 또한 적 극적으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2) 중국

중국은 매년 고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12∼13%

대 성장률에서 6∼7%대 성장률로 성장세가 둔화되 었지만, 여전히 빠른 속도록 경제가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고성장과 함께 인프라 또한 급속도로 성장

자료 : Ernst & Young, India Infrastructure Summit, 2012.

<그림 1> 인도 GDP 대비 인프라 투자 <그림 2> 인도 12차 5개년 계획 부문별 투자 비율

(4)

하고 있는데, 인프라 시장규모가 2010∼2020년 연 평균 9.5%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는 이가 많다(남 지은, 2013). 특히 현재 진행 중인 제12차 5개년 계 획(2011-2015)은 그동안 거듭 강조하였던 교통 인 프라 확대를 지속하고, 선진국으로 거듭날 수 있는 기반을 다지기 위해 녹색교통, 안전체계, 첨단 교통 기술 개발 등을 목표로 삼고 있다 (JETRO, 2010).

또한, 정보화의 강화를 통한 4G 이동통신의 전국 적인 보급, 새로운 도시클러스터 개발 등 다방면에 서 인프라를 강화시키려 하고 있다. 제 11차 5개년 계획과 비교해 보았을 때, 기존의 정책과 방향성을 같이 하되, 효율·통합·선진화에 목표를 두고 보다 정밀하고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다고 볼 수 있다(산 업연구원, 2011).

2020년에는 4578억 달러 라는 어마어마한 인프 라 시장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을 정도로 지난 수 년간 중국의 인프라는 엄청난 발전을 하는데 성공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급속도의 성장을 함에 따른 공기 오염, 부적절한 수질관리, 농업관련 오염물질 배출, 지역별 물 부족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안 게 되었다(Ernst & Young, Infrastructure 2013).

<표 4>에서 보이듯이, 향후 중국의 인프라는 기존 사업의 확장뿐만이 아닌 서비스 수준향상과 녹색교 통에 중심을 두고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 라 해외 기업의 중국에 대한 투자도 막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운영 능력 및 기술력에서 중국에 비해 선진화가 이륙한 우리나라는 중국 시장에서 큰 효 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계획에 맞춰 우리나라 정부 및 기업들의 면밀한 검토에 의 한 적극적인 투자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산 업연구원, 2011). 또한, 중국 정부는 자국 내 항만 개발을 위해서도 노력 중에 있는데, 텐진항의 다양 화, 상하이항의 허브 효과 극대화를 위한 인근 양산 심수항 개발, 광시 베이부완항 개발 추진 등이 그

<표 3> 인도 인프라프로젝트 추진현황

(‘12.12.31기준)

구 분 추진프로젝트 실행프로젝트

전수(개) 금액(억루피) 금액(억루피) 실행율(%)

전력 2,297 244,970.9 86,408.0 35.2

도로 14,922 70,269.1 34,195.3 48.6

철도 768 48,022.5 28,182.1 58.6

항공 134 6,228.7 2,802.1 44.9

항만 313 14,961.3 4,658.1 31.1

오일&가스파이프라인 83 4,309.9 1,993.5 46.2

창고 478 5,705.8 1,753.7 30.7

수처리 765 2,487.2 1,409.6 56.6

통신 56 2,580.3 1,050.5 40.7

19,816 399,535.7 162,452.9 40.6

자료 : ProjectToday ('13.1월).

(5)

예이다.

중국의 최근 인프라 시장 규모는 에너지 인프라 의 빠른 성장으로 2006년부터 2012년 사이에 연평 균 24%씩 성장하고 있다. 아래 (그림 3)을 참고하면

2006년에 건설 시장의 30.8%를 담당했던 인프라 시장 규모가 2015년 35.9%에 해당 될 것으로 전망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프라시장의 절대적 인 규모로 따져보았을 때도 2006년 481억 달러에

<표 4> 중국 분야별 12·5 계획 발전전략

분야 발전전략 분야 발전전략

종합운송

·기초시설 최적 연계 방안 강화

·도시 여객 운송 관리 강화

·종합 운송 서비스 수준 제고

도로교통

·도로 교통망 완비 및 유지관리 강화

·도로 운송 서비스 수준 향상

·도로 시장 관리 완비

철도교통

·철도의 과학/조화 발전,

· 기존 프로젝트의 유지 및 기존 철도 노선 재배치

·철도 서비스 수준 및 질량 제고

수로교통

·우선순위에 따른 연해 항구 건설

·내륙 수운의 빠른 발전

·수로 운송 서비스 능력과 수준 향상

항공교통

·항공 안전 수준의 지속저긴 제고

·공항 능력 증강

·현대 항공 관제 서비스 시스템 건설

녹색교통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배출 절감 강화

·에너지/자원의 절약 및 집약적 이용

·생태 보호 및 오염물 처리 강화 교통기술

및 정보화

·과학 기술 진보 발전

·정보화 건설 강화

교통안전 /응급 체계

·안전 생산 관리 강화

·교통 안전 감독 체계 건설 자료 : 산업연구원, “중국 제 12차 5개년 계획 방향과 우리의 대응” 보도자료.

자료 : 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주 : 인프라 시장은 교통 인프라 시장과 에너지 인프라(물 인프라 포함) 등으로 구성됨.

<그림 3> 중국 전체 인프라 시장 추이 <그림 4> 중국 부문별 인프라 시장 추이

자료 : 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6)

서 2012년 1,748억 달러로 확대되었다. 이와 같이 인프라 시장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 이다.

부문별로는, 교통 인프라는 교모가 점차적으로 조 금씩 증가하는 추세이고, 에너지 인프라는 2006년부 터 2012년 사이 연평균 24.1%의 고성장을 기록하고 있다. 규모가 6년 사이 약 5배 증가했을 정도로 급증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그림 4) 참조).

3) 브라질

Thomas White International의 Emerging Market Industry Trend (2013) 보고서에 따르면 브라질의 인프라는 매년 국민총생산(GDP)의 10∼

15%를 삭감시킬 정도로 미약하다. 노후한 공항, 도 로 및 철도 시설 등 여러 방면에서 보았을 때 브라질 의 아킬레스 힐이라고 불릴 정도이다. (그림 5)에서

보이듯이, 다른 브릭스(BRIC)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브라질의 인프라 수준은 현저히 낮다.

도로, 철도, 항만, 공항 모두 144개국 중에서 100위권 안에 드는 것이 없을 정도이다. 다른 신흥 국과 비교해 보아도 브라질의 인프라 수준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6) 참조).

그러나 이러한 낮은 인프라 구축률은 향후 브라 질의 시장 규모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장 전문 가들이 브라질의 인프라가 크게는 3가지 이유로 성 장할 것으로 내다보는데, 이중 하나는 정부기관의 투자이다. 브라질 인프라산업협회(ABDIB) 발표에 따르면 2011∼2017년까지 국가 기반 인프라 프로 젝트를 위해 형성된 예산이 약 7000억 헤알 (3100 억 달러)에 이른다고 한다(KOTRA, 1). 2014년 월 드컵을 최근에 개최한 것과 2016년 하계 올림픽 이 브라질에서 열린다는 것 또한 좋은 신호이다. 여

자료 : WEF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2-2013.

<그림 5> 브라질과 브릭스(BRIC) 인프라 순위비교

(‘12.12.31기준)

<그림 6> 브라질과 주요 신흥국 인프라 비교

(단위 : 144개국 중 순위)

(7)

러 관광객 유치를 위해 교통 및 항공 인프라가 발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브라질의 수출성향이 다 른 이유인데, 브라질은 작은 국가가 아니다. 그러나 (그림 7)에서 볼 수 있듯이 브라질의 해외 수출비용 은 다른 나라들에 비해 월등히 높다.

중국과 비교했을 때에도, 20-ft 컨테이너를 운반 할 시에 브라질은 $2,215가 드는 반면 중국은 $500 밖에 소요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통 인 프라를 확충할 시에 브라질 경제의 성장 잠재력은 크게 상향조정 될 수 있기 때문에 브라질 정부는 운 송비용을 줄이기 위해 정책적 노력을 높이고 있다.

앞서 언급한 두 개의 전 세계적인 스포츠 대회를 개최하게 됨에 따라 교통 및 항공 인프라뿐만 아니 라 전기전력 인프라 부문에서도 브라질 정부가 신경 을 기울이고 있는데, 브라질은 인프라에 있어 기회 의 땅이 될 전망이므로, 세계 건설기업들이 적극적 으로 투자할 계획이다(White, 2013).

4) 러시아

러시아의 경기 현황은 그다지 밝지 않다. 유럽발 경제위기에도 꾸준한 경제성장률을 이루었다. 그 러나 2011년에 4.3% 성장한 이후로 급격한 하락세 를 타기 시작하였다. GDP증가율은 크게 감소하여 2013년에는 1.3%에 그쳤다. 이에 따라 건설 산업 시장규모도 축소되고 있는데, 아래 <표 6>에 보이듯 이 2014년 1분기에는 전년 동기 대비 3.6% 감소하 였다.

그러나 인프라 시장 규모는 2010년 444억 달러 에서 2020년 1,351억 달러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래 <표 7>에 보이듯이 GDP 대 비 인프라 산업 비중이 2010년 3.0%에서 2020년 3.3%로 성장 할 전망이다. 러시아의 인프라 동향에 는 눈에 띄는 성향이 있는데, 이것은 바로 교통 인 프라 중심의 투자확대이다. 교통 인프라의 규모는

<그림 7> 해외 수출비용 비교

(단위 : 20피트 컨테이너 당 운송비 ($))

<표 5> 브라질과 브릭스(BRIC) 인프라 순위비교

원자재 전세계 수출대비

브라질 수출량

의복·섬유 2.065

석유제품 1.255

화학제품 1.916

의약·화장품 1.922

전기기계 2.139

자료 : WEF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2-2013.

(8)

2010년 244억 달러에서 2020년 744억 달러로 빠 른 속도로 증대될 전망이다. 러시아 연방정부는 약 55%가량의 인프라 시장 규모를 교통에 집중시키고 있다. 이중에서도 도로 및 교랑과 항만 및 수로의

투자규모 증가가 눈에 띈다.

아래의 <표 8>를 참조하였을 때 러시아가 주거용 건축에 신경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요 도시 뿐만이 아닌 기타 지역에도 주거용 건축

<표 6> 최근 3년간 러시아 건설시장 동향

(단위 : 십억 루블, %)

구 분 2011 2012 2013 2014(1분기)

시장규모 5,061.8 5,711.8 5,917.2 903.4

성장률 5.1 12.8 3.6 -3.6

자료 : 러시아 연방통계청.

<표 7> 러시아 인프라 시장 현황과 전망

(단위: 십억 달러, %) 2007 2008 2009 2010 2011 2013 2015 2020

30.8 46.6 32.6 44.4 52.1 59.4 75.0 135.1

GDP 대비 인프라 산업 비중 2.4 2.8 2.7 3.0 2.8 3.1 3.1 3.3

건설업 대비 인프라 산업 비중 48.2 52.1 49.2 51.7 50.7 51.3 53.0 52.6

교통 인프라 8.5

(27.7) 23.7 (50.8)

16.6 (50.8)

24.4 (55.0)

29.2 (56.1)

33.5 (56.4)

42.2 (56.3)

74.4 (55.1)

도로 및 교량 6.5 11.5 6.7 10.1 12.5 14.1 17.5 30.7

철 도 0.4 6.0 6.0 9.3 10.7 12.4 15.8 28.6

공 항 0.8 2.5 1.5 2.0 2.4 2.6 3.3 5.5

항만 및 수로 0.9 3.8 2.3 3.1 3.7 4.3 5.7 9.7

에너지 인프라 21.8

(70.9) 22.5 (48.2)

15.7 (48.3)

19.6 (44.1)

22.4 (43.1)

25.4 (42.8)

32.2 (42.9)

59.7 (44.2) 발전소 & 송배전 11.8 14.4 11.0 12.9 14.7 16.3 20.7 40.1

오일 & 가스 배관 10.0 8.1 4.8 6.7 7.8 9.1 11.5 19.6

물 인프라 0.5

(1.5) 0.5 (1.0)

0.3 (1.0)

0.4 (0.9)

0.5 (0.9)

0.5 (0.8)

0.6 (0.8)

1.0 (0.7) 자료 : 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Russia Infrastructure Report 2013 1Q.

주 : ( )는 비중임.

(9)

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하는 것은 러시아 연방정부가 도로 및 교통 인프라에 집중투자 하는 것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러시아가 저성장 시대에 접어듦에 따라 낙후된 지역들의 개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 고, 이에 따라 인프라 중심의 투자확대가 지속될 것 으로 보인다.

5)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는 아세안(ASEAN) 국가들 중에서도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하며 성장을 하고 있는 국가 이다. 넓은 국토 면적과 인구를 보유하여 유망 신흥

시장으로도 부상하고 있는 국가이다. 하지만 성장을 하는데 있어 열악한 인프라 수준이 경제성장의 제약 요인으로 꼽히는데, 아래 <표 9>을 참고해 보아도 인도네시아의 인프라 부문 경쟁력이 점점 나아지는 추세이기는 하나 아직까지 미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Schwab, 2013).

또한 다른 동남아 주요국과 인프라 부문을 비교 해 보아도 현저히 덜어지는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인프라 부문 경쟁력 차이의 가장 큰 이유는 인도네 시아의 낮은 GDP대비 인프라 투자비율이 지적되곤 하는데, 다른 아시아 국가들이 GDP의 7%이상 투자 하는 반면에 인도네시아의 투자율은 3∼4%수준에

<표 8> 2013년 러시아 주거 및 비주거용 신규건축 비중

구 분 건물 수(채) 부피(천㎥) 면적(천㎡)

주거용 238,066 337,124 86,384

비주거용 16,631 151,674 25,881

전체 254,697 488,798 112,265

자료 : 러시아 연방통계청.

<표 9> 인도네시아 인프라 부문 경쟁력지수 추이

평가연도 (평가대상국)

2010 (139개국)

2011 (142개국)

2012 (144개국)

2013 (148개국)

종합 82 76 78 61

도로 84 83 90 78

철도 56 52 51 44

항구 96 103 104 89

공항 69 80 89 68

전력 97 98 93 89

자료 : WEF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3-2014.

<표 10> 주요국 인프라 부문 경쟁력지수

구분 인도

네시아 태국 말레

이시아 필리핀

종합 61 47 29 96

도로 78 42 23 87

철도 44 72 18 89

항구 89 56 24 116

공항 68 34 20 113

전력 89 58 37 93

(10)

불과하다. 미비한 투자율에 비해 시장규모는 거대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표 11>을 참고하면 알 수 있듯 이, 지속적으로 연평균 11%씩 상승하여 2016년에 는 800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Schuab, 2013).

현재 진행 중인 인도네시아의 인프라 개발 계획 으로는 MP3EI(Master Plan for Acceleration and Expansion of Indonesia Economic Development) 가 있는데, 이는 전국을 6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권 역별로 집중적으로 향후 15년간 4,700억 달러의 투 자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것이다. 향후 거듭되는 인 도네시아의 인프라 발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많 은 노력들이 필요할 것으로 시사되는데, ①PPP를 통한 인프라 시장 진출기회 확대 ②민관 합동의 체 계적 수주지원 시스템 구축 필요 ③주변국과의 협력 을 통한 인프라 수주경쟁력 강화 필요 ④규제 리스 크 강화를 위한 대 인도네시아 네트워크 구축 필요 등이 있다(송호석, 2013). 또한 인도네시아는 군도 국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물류비를 절감 하기 위하여 항구 인프라 개선을 위한 노력 또한 필 요할 것이다. 나아가 인도네시아의 국가 특성상 부 정부패가 심한데 (Transparenncy International's Corruption Perceptions Index for 2011에서 183 개국 중 100위에 해당됨)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

해야 할 것이다(PWC, 2013).

3. 시사점

1) 정책적 시사점

BRICs국가들 중심으로 신흥국들의 인프라 동향 이 우리나라의 인프라 산업에도 시사한 바가 크다.

인프라 투자는 경제성장에 미치는 파급영향이 다른 부문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연구된 바가 많다.

(그림 9)을 참고하면 정부지출이 실질 GDP에 미치 는 영향의 정도를 알 수 있는데, 여러 분야 중에서도 SOC가 실질 GDP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중앙정부가 2004년부터 2009 년 까지는 SOC예산의 증가세를 보여 왔으나 그 이 후로는 투자를 줄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그림 8) 참고). SOC 정부 지출의 축소는 결국 그 국가의 성장잠재력을 축소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지속된 과소투자는 국민경제 효율성 및 경제 악순환 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김광석, 2013). 이러한 효 과는 국내뿐만이 아니라 해외 국가들에게도 해당되 는 점일 수도 있기 때문에 신흥국들 또한 정부의 지 속적인 SOC 투자가 필수적일 것으로 전망된다.

<표 11> 인도네시아 시장규모 현황 및 전망

(단위: 억 달러, %)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시장규모 465 491 540 616 710 809

GDP대비 비중 5.5 5.6 5.7 5.8 5.8 5.9

자료 : 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Indonesia Infrastructure Report Q4 2013.

(11)

2) 기업경영상의 시사점

급속도의 경제성장을 이루고 있는 주요 신흥국의 인프라 동향을 살펴본 결과 향후 우리나라가 신흥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는 많을 것으로 판단된 다. 신흥국들이 비록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기술 력의 측면에서는 부족함이 많기 때문에 주변 국가들 의 시장 공략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에 게도 수출과 진입 기회가 발생하고 있는데, 투자를 결정함에 있어 우선 한국이 가지는 강점이 무엇인 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그리고 보다 명확한 목표시 장을 설정하고 그에 맞추어 리스크를 최소화하여야 성공적으로 공략 할 수 있을 것이다. 인프라 산업은 건설 뿐 아니라 물류기기, IT 등 많은 산업과 연관되 어 있기 때문에 한국의 기업들이 상대적 우위를 가 지고 있다고 생각되는 부문에 있어 적극적인 시장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여러 신흥국 시장의 급격한 발전 중에서도 유심히 지켜볼 점이 중국 인프라 시장의 급성장이 다. 중국 시장은 건설업 뿐 아니라 물류기기, 엘리 베이터, IT 등 다양한 산업도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들이 가진 노하우 를 살릴 수 있는 기회가 많을 것으로 전망되는데 각 인프라별 최적 솔루션 개발 등을 통한 선세적인 시 장 공략 전략이 필요하다. 중국 외에도 여러 신흥국 시장을 공략함에 있어서도 많은 분석을 통한 중장기 적인 안목에서의 적극적인 투자가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 : 기획재정부.

<그림 8> 중앙정부 SOC예산 추이 <그림 9> 정부지출이 실질 GDP에 미치는 영향

자료 : 국회예산정책처.

(12)

참고문헌

[1] 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2013), “Russia Infrastructure Report 2013.”

[2] Ernst & Young(2013), “Infrastructure 2013 Global Priorities, Global Insights,” pp.18-23.

[3] HM Treasury(2013), “National Infrastructure Plan 2013,” HM Treasury.

[4]JETRO(2010),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in China,” Institute of Developing Economies.

[5]Klaus Schaub(2013),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World Economic Forum.

[6] Richard Abadie(2013), “Indonesia: A Snapshot,”

PriceWaterCoopers, pp. 1-4.

[7] Thomas White International(2013), “Emerging Market Industry Trend,” Thomas White International, Ltd. 2013, pp.1-5.

[8] 김광석(2013), “SOC 과소투자 우려된다 - SOC스톡과 투자 계획 평가” 현대경제연구원, pp. 1-8 [9] 김찬완, 손승호, 임정성(2012), “경제개혁 20년의 평가

와 전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pp.145-171.

[10] 남지은(2013), KOTRA & Global Window “중국, 2020년 4578억 달러 인프라 시장 된다” pp. 1-4.

[11] 이문형(2011), “중국 제 12차 5개년 계획 방향과 우리 의 대응,” 산업연구원

[12] 임영모, 이원희, 이창용 등(2010), “새로운 성장동력:

신흥국 인프라시장,” 삼성경제연구소, pp. 1-23.

[13] 지식경제부(2008), “인도 건설시장 동향 및 진출확대 방안” Global Investment Report 제 09-2호, pp.10-20.

[14] 최선욱(2014), KOTRA & Global Window “브라질, 인 프라 건설산업 동향” pp. 1-5.

[15] KOTRA & Global Window “러시아 건설산업 동향”

pp. 1-2.

참조

관련 문서

[r]

ㅇ 또한, 현 정부가 계획하고 있는 친체로 신공항 사업과 리마 메트로 3호선 사업 을 정부 대 정부 계약 형태를 통해 추진하려는 정부의 의도가 명확하지 않다고

ㅇ 이번 중국 방문에서는 투자청이 특별히 선별한 인프라, 광산, 제조, 에너지, 산 업단지 부문 사업들에 대한 발표는 물론 페루에서 생산되는 광물과 상업적 교류

[r]

ㅇ 한편, 페루정부는 리마 메트로 2호선, 리마 국제공항 확장사업, 판아메리칸게임 과 관련된 도로 사업 등 인프라 확충사업에 수십억 불의

ㅇ 네코 청장은 언급한 16개 사업 외에도 민간주도 공동투자사업(Iniciativas Privadas Cofinanciadas)형태로 실시 예정인 8개 하수처리장과 담수화 플랜트

ㅇ 많은 전문가들은 친체로 공항에 도착하는 많은 항공기들로 인해 348km2에 달하 는 고고학 지역과 오얀타이탐보 등 공항 주변 유적지 환경에 좋지 않은 영향을

ㅇ 연구조사에 의하면 리튬 매장량이 볼리비아나 칠레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란시스코 장관은 조사된 리튬이 볼리비아의 리튬과 달리 암석과 섞여 있고 리튬 광맥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