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4.1 공조계획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4.1 공조계획"

Copied!
12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 換氣 (환기, 바꿀 환) - Ventilation – 환기(외기도입) 2. 環氣 (환기, 되돌릴 환,일본어) - Return Air – 리턴에어

3. 給氣 (급기) – 공급하는 량- 보통 리턴에어 량과 같음

4.1 공조계획

4.1.1 총 설

(2)

(1) 계획 설계의 순서

<표 4.1> 건축 계획 설계순서

단 계 성과물

공조계획의 대응

목 표 주요 결정사항 주요 검토사항 유의사항

기획 사업 기획서 사업지원 기획서 조건확인

부지주변조사 관련법규/규격확인 사업성 검토

개발 규제 지역/지주 규제 기반시설조사

기본구상 기본 구상서 기본구상확립 기본계획조건확인

등급설정

설계조건의 결정 조닝의 골격 시스템의 골격 스페이스 계획 경로 계획 개산 시공비

임대기준 설계기준

시스템 비교검토 기계실 배치계획 샤프트 계획

플로어 임대/소구획임대 등의 수준 중앙식/분산 방식별

지하층/저층의 급배기 경로의 확보

기본설계 기본 설계도서 기본설계안확립 실시설계조건확인

온습도 조건등 조닝 결정 시스템 선정 장치 계락용량 기계실 배치 덕트/배관 경로 개산 시공비

임대기준 설계기준 개략부하계산 시스템 상세검토 주요부 마무리검토

장래 확장성

쾌적성/에너지절약/경제성 반출입

유지관리/갱신시 액세스의 용이성

실시설계 실시 설계도서

발주용도서작성 예산서

계산서

장비 시방 기기 배치 덕트/배관 설계 자동제어 설계

부하 계산 기기 선정 덕트/배관계산

(3)

건축의 기본적인 구상이 검토되는 단계

전체 기본 개념에 의거하여 목표의 설정이나 이에 대응하는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상을 함

기본구상에 의해 기본계획 조건이 확립

공조 시스템이 구비해야 할 성능 결정 이에 의거한 조닝이 시스템의 골격을 형성함

환기, 열원시스템 선정

기계실 배치계획, 덕트 배관 경로 등 골격에 관한 스페이스 계획실시

(3) 기본계획

(4) 기본설계 , 실시설계

기본설계 단계에서는 기본계획 단계에서 결정된 골격을 섬세하게 수정 하고 확정하는 단계

실시설계 단계에서는 기본설계에서 결정된 내용을 도면화 함

시공자에 대한 발주를 준비

(2) 기본구상

(4)

□ 계획 설계

- 설계 목표 설정

- 건물의 종합적인 계획수립 - 건물의 규모. 형태. 기능.

- 구조. 재료 및 환경계획.

개 요

설 계 단 계 업 무

기 획 설 계 (Conceptual)

기 획 단 계

건설 가능성, 사업성 및 건설규모 등을 검토하는 단계 로서 사전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하고, 사업개요 및 규모를 정하여 건축주와 설계자간의 계약이 이루어진다

구 분

국내 설계사의 설비계획 및 설계단계분류 및 과정 예

(5)

□ 기본 설계

- 설계설명서/개략부하 계산 - 주요 장비 일람표

- 열원 흐름도/ 기계실 배치 - 계통도 및 기준층 평면도 - 설비 스페이스 계획

설계 단계

□ 계획 설계

설계 기본목표와 방향 설정

□ 기본 설계

기본 구상이 구체적 지침으 로 결정되는 단계

□ 실시 설계

실제공사가 가능한 세부적인 도면을 완성하는 단계 계획/기본/실시설계

(6)

시공 / 준공도면 (Shop/As built Dwg)

□ 시공 도면

실제 공사에 필요한 제작 및 설치를 위한 도면

□ 준공 도면

실제 시공된 상태를 건물준공시 시공자가 작성하여 건축주에게 납품하는 단계

시공 단계

□ 실시 설계

- 설계 설명서

- 부하 및 장비 계산서 - 시방서 작성

- 물량산출 및 내역서

- 장비일람/계통도/평면도/특수설비/상세도 등 일체

(7)

기본 설계

□ 기본설계 설명서

설계 기준, 적용 시스템 및 Zoning 등 기본계획 내용을 발전, 확정시킴.

- 개략 부하계산서 - 개략 장비 선정서 - 추정 공사비 계산서 - 에너지 심의 서류 - 소방설비 계획서

□ 시방서

-주요 시방서(초안)

□ 기본 설계 도면 - 주요 장비 일람표

- 열원 흐름도/ 기계실 배치 - 계통도 및 기준층 평면도 도 서

계획 설계

□ 기계설비 계획서

- 법규 검토

- 건축주 요구사항 검토 - 설계방침의 확정

- 설계 기준 (내,외부조건) - 개략 부하 산정

- 개략 용량 및 장비 선정 - ZONING 분석

- 적용 SYSTEM의 비교 검토 - 경제성 비교 검토

(SYSTEM, 장비, 배관재질 등) - 개략 공사비 추정

- LCC 검토

- 유지보수 관리 계획 구 분

설계 단계별 도서 작성 기준

(8)

실시 설계

□ 시방서

- 일반 및 특기시방서

□ 내역서

□ 부하 및 장비 용량 계산서

□ 설계설명서

기획 설계부터 실시 설계까지 진행되어오는 동안 발전 확정된 내용을 기술

□ 실시 설계 도면 - 도면 목록표/범례

- 장비 일람표/열원 흐름도 - 옥외 배관 평면도

- 기계실/공조실 평면, 단면 - 장비 기초도

- 각 설비 계통/평면/확대도 - SHAFT 상세도

- 수조 배치 및 상세도

- 특수 설비 (소음, BAS 등)

(9)

1) 중앙식 또는 개별식의 선정

2) 공조방식의 선정 ① 공기방식

• CAV / VAV 단일 덕트 방식

• 2중 덕트 방식 (CAV 또는 VAV)

• 바닥 공조방식 ② 수․공기 겸용방식

• FCU + CAV 방식, FCU + VAV방식

• 수열원 HP + VAV 방식, 콘벡타 + VAV 방식

• 팬파워유니트 + VAV 방식

• 인덕션유니트 겸용 VAV 덕트방식

• 재열기 겸용 CAV 방식 또는 VAV 방식

• 팬파워유니트 겸용 저온 급기방식 ③ 공조기 설치 방식

• 중앙 / 각층 / 개별 공조기 방식 ④ 공조방식 선정요소

• 설비비, 운전비, 설치면적 및 공간.

공기조화설비 계획

공기조화 방식

(10)

1) 개별온도 제어성능 ① 온도제어 존 구획의 크기

• 고급 : 30~40 ㎡, - 중급 : 200~ 500 ㎡

• 통상 : VAV Zone은 100㎡ 미만이 바람직.

② 외주부의 제어 존 (스팬)의 길이

• 고급 : 4.5 ~ 6 m, - 중급 : 방위별.

③ 내.외부 구획

• 고급 : 내주부와 외주부의 공조 존 구획.

• 중급 : 내.외부를 동일계통 (6~12m 이내).

④ 온도제어 편차

• 고급 : 0.2 ~ 0.5 ℃,

• 중급 : 1 ~ 2 ℃.

⑤ 공조배관

• 고급 : 4 – Pipe,

• 중급 : 2 – Pipe.

2) 공조 운전시간 ① 년간 운전

• 고급 : 년간 공조.

• 중급 : 기간 공조.

② 일간 운전

• 고급 : 업무개시 45분전 운전시작.

• 중급 : 업무개시 15분전 운전시작.

공조설비 등급

(11)

3) 환기 성능 ① 급기량

• 고급 : 급기량 20~25 CMH/m² 이상 확보 (환기회수 : 8-10 회/시간)

• 중급 : 급기량 12~15 CMH/m² 이상 확보 (환기회수 : 5-6 회/시간) ② 외기 도입량

• 고급 : 외기량 36 CHM/인 이상 확보 (CO2 농도 : 600-800 PPM)

• 중급 : 외기량 25 CHM/인 이상 확보 (CO2 농도 : 800-1,000 PPM) ③ 공기여과 성능

• 고급 : 분진농도 0.1~0.13 mg/m³

• 중급 : 분진농도 0.15 mg/m³이하 ④ 급기구 및 환기구

• 고급 : 천정모듈 3 × 3m 또는 4.5 × 4.5m 마다 급기구 및 환기구 설치

• 중급 : 천정 조명기구 모듈에 따라 기구 설치

(12)

1) 공기조화 방식의 검토

• 건물 부하특성에 적합한 공조방식 선정 여부

• 건물 등급에 맞는 공조방식의 선정 여부

• 각 부위별 온.습도 조절 성능의 확보 여부

• 공조 방식의 경제성, 유지관리의 편이성 검토

2) 공기조화 설비 등급 검토

• 내.외부 공조 구획 여부

• 급기 및 온도조절 구획 크기

• 공조 배관 조닝 (2파이프 / 4파이프)

• 공조 운전 기간 (연간공조 / 기간공조)

• 공조 운전 시간 (예열운전시간)

• 공조 급기 환기회수 검토

• 외기 도입량 검토

• 비공조 공간의 환기방식 검토

• 실내 발열이 있는 실의 환기

• 취기 또는 분진 발생 부분의 배기 (주방, 오수처리장, 쓰레기처리장, 화장실등)

• 취기 발생, 유해 또는 유독가스 발생실 배기량 및 옥상으로의 별도 배기 확인 (주방, 오수처리장, 쓰레기처리장 배기)

공조 계획 검토

(13)

조사 대상

1) 공급가능 에너지원의 파악 : 전력, 오일, 가스, 지역난방열원.

2) 자연 에너지원의 이용가능성 파악 : 태양열, 지하수, 온천수.

3) 배열 이용 가능성 파악 : 목욕탕 배수, 변전소 및 발전기배열, 공업용 냉각수.

□ 검토대상

- 심야전력 이용 빙축열방식 + 증기보일러.

- 2중효용 흡수식 냉동기 + 증기보일러.

- 가스직화식 냉온수기.

- 지역난방 열원이용 흡수식 냉동기.

- 열병합 발전시스템 등.

□ 검토 기준

- 시설규모, 설비비, 운전비.

- 용량제어성, 설치면적.

- 유지관리성, 소음, 진동.

- 법적 규제에 대한 적법성.

□ 온도차 : 동력 절감을 위해 대온도차 선정 - 온수 : △t = 5℃, 10℃, 15℃, 20℃

- 냉수 : △t = 5℃, 7℃, 8℃, 10℃

□ 열매의 종류

- 증기 : 고압, 중압, 저압.

- 온수 : 고온수, 중온수, 저온수.

- 냉수 : 브라인, 5℃, 7℃.

□ 열원공급실 (POWER PLANT)의 위치

- 지하기계실, 지상기계실.

- 옥상기계실, 별동기계실.

□ 냉/온 열원기계실의 분리설치여부

□ 대수분할기준

효율적인 운전을 위하여 사용시간 대 및 용도별 최대부하와 저부하를 고려 적정한 대수분할.

- 병열식, 직열식, 직․병열 혼합

열원설비 계획

(14)

(2) 조닝 계획

건축주의 요구 조건, 법적 계약조건, 조달상 제약조건이나 사회적 동향들을 고려하여 조건 확립.

기본계획을 거쳐 기본설계, 실시설계를 추진 하기 위한 보다 세부적인 설계조건의 확립.

요구되는 온습도 조건, 부하의 특성 등에서 공조계통을 여러 개로 나누어 계획하는 것을 조닝 계획이라고 함.

조닝 계획의 적합성 여부가 공조 성능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침. 4.2절 에 따라 조닝계획을 추진.

4.1.2 기본계획시의 중요 계획사항, 유의 사항

(1) 계획 설계조건의 정리와 확인

(15)

(3) 공조 방식의 검토와 선정

공조 방식에는 4.3절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많은 방식이 존재.

기본 계획 단계에서 실내 환경의 유지성능, 안전성, 편리성, 경제성, 에너지 절약성, 필요 스페이스 등을 감안하여 방식 선정.

공조 방식의 선정은 건축계획(기계실 배치,배관 덕트 경로) 과 밀접한 관계.

계략적인 산정이나, 시험계산, 스케치에 의하여 적절한 시스템선정과 공간확보에 유의.

(4) 열원 방식의 검토, 선정

열원 방식에는 4.4절에 표시한 것과 같이 여러 방식이 존재.

기본계획 단계에서 안전성, 신뢰성, 운전의 용이성, 공해 방지성, 경제성, 에너지 절약성, 필요 공간 등을 감안하여 방식 선정.

부분 부하의 추종성능도 중요한 검토 사항.

열원방식의 선정은 기계실 배치, 굴뚝이나 배관경로 등과 같은 건축계획과 밀접한 관계를 가짐.

(16)

(5) 기계실 및 샤프트 배치 계획

열원 기계실, 공조 기계실, 배관이나 수직 덕트를 위한 수직 샤프트 경로 등은 공조설비용 장비 배치와 함께 건축계획에 막대한 영향을 줌.

중,대규모 사무실에 필요한 기계실의 데이터;<표 4.2>

설비용 공간은 건축계획상 매우 큰 중요성을 가짐.

<표 4.2> 필요 기계실 면적 (기계실+공조 기계실 등)

연 면 적(㎡)

사 례 (A) (㎡) 사 례 (B) (㎡) 사 례 (C) (㎡) 단일 덕트 방식

각층 유닛 방식

이중 덕트 방식

유인 유닛 방식 단일 덕트 방식(1계통) 1000

300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 - 350(7%) 600(6%) 850(5.7%) 1100(5.5%) 1300(5.2%) 1500(5.0%)

- 200(6.7%) 290(5.8%) 470(4.7%) 590(3.9%) 700(3.5%) 750(3.2%) 900(3.0%)

50(5%) 130(4.3%) 220(4.4%) 350(3.5%)

- - - -

(17)

(6) 급배기 경로의 계획

(7) 방음, 차음 계획

신선한 공기의 도입, 오염공기의 배출을 위한 급배기 경로는 중요한 계획 사항.

기본 계획 단계에서 신중한 검토와 협의를 거쳐 정확한 급배기경로를 확보 하여야 함.

공조 장치도 소음원임.

냉각탑이나 급,배기구에서 소음이 전파하므로, 인근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장비 배치를 결정하고 차음벽을 설치함.

야간 공조 운행시에 각별한 주의 필요.

실내 환경 유지에 있어서 요구되는 실내 소음 레벨 등에 비추어 공조 기계실의 배치를 계획.

(18)

(9) 갱신 계획에 대한 대응

(8) 유지 관리를 배려한 배치 계획

공조 시스템은 정확한 유지 관리에 의해 좋은 성능 발휘.

유지 관리를 위해 기기등의 보수가 용이해야 함.

기본 계획 단계에서 보수경로 확보를 위해 노력.

공조 설비의 수명은 건축 구조체에 비해 짧은 수명.

준공 후에 수년에서 수 십 년 후 기기나 배관을 교체.

교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주요 기기의 교체용 공간 및 주배관 갱신용 예비 공간 등의 확보도 필요.

(19)

존의 구성

- 레스토랑 내부존 - 사무실 내부존 - 사무실 외주존 - 전자계산기실 존 - 은행홀 내부존 - 은행홀 외주존 - 지하점포 존 - 회의실 존

4.2 조닝계획

(20)

4.2.1 실내 환경 조건별 조닝

(1) 온습도별 조닝

(2) 공기 청정도별 조닝

실마다 요구되는 온습도가 다른 경우 각각 조닝하는 것이 원칙.

세밀한 조닝은 설비비가 고가로 될 염려가 있음.

습도가 그다지 엄밀하지 않은 경우, 온도 제어를 우선으로 함.

습도에 대한 허용도가 온도에 비해서 비교적 넓음.

건축기준법이나 빌딩관리 기준에서 거실의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일산화탄소 등의 농도를 일정한 수준 이하로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음.

특별히 분진, 유해가스 발생원이 있는 경우 국소환기 등의 특수 환기를 적용하거나 조닝을 바꾸는 조치가 필요.

공기 청정도별 조닝을 필요로 하는 시설의 대표적인 사례; 병원 <4.4.8> 참조.

(21)

(3) 개별실 제어 조닝

비교적 좁은 개별실 (임원실, 회의실)에서는 개별 제어가 가능한 공조 조닝이 요구됨.

개별실은 페리미터 부하 요구가 크고, 다른 대형실과는 다른 특성을 보임.

대형실과 개별실은 사용시간이나, 인원 밀도도 다름.

(22)

(1) 페리미터 조닝 , 인테리어 조닝

건물의 외주부( 페리미터와) 내부 (인테리어)를 구분해서 조닝하는 것이 일반적임.

-페리미터와 인테리어부의 현저히 다른 특성 때문

페리미터부는 외부의 일사나 외기의 온습도 영향을 많이 받고 냉난방 피크부하의 변동 이 큼.

인테리어부에서는 조명, OA기기, 인체 등의 발열부하가 주요 대상이며 연간냉방이 필요함.

부하변동이 작고 안정된 부하로 간주함.

4.2.2 열부하 특성별 조닝

<그림 4.1> 방위별 조닝

(23)

최근에는 Air flow형 윈도우<그림 4.2>를 적용하여 페리미터를 고려하지 않는 조닝방법도 일부 등장(페리미터 레스 방식) .

<그림 4.2> 에어 플로 윈도우

(24)

(2) 방위별 조닝

페리미터부에는 일반적으로 방위별 조닝이 채용됨 <그림 4.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방위 별 열부하 특성이 현저히 다름에 기인

<그림 4.3>과 같이 동측 존은 아침, 서측 존은 저녁에 일사부하가 높음

일사가 높은 존에서는 다른 존의 난방시, 냉방하는 경우가 발생

방위별 존을 구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페리미터부의 실온이 적정치에서 크게 벗어날 염려가 있음.

<그림 4.3> 방위별 일사부하 특성 설명도

(25)

(3) 내부 인원 밀도, 내부부하 밀도별 조닝

인테리어부에서는 인원밀도나 내부기기 밀도에 의거하여 조닝이 설정됨.

사무실용 빌딩의 경우 공조 존은 통상 사무실 존, 회의실 존, 전산실 존 등으로 구분함.

인원밀도의 차이는 필요 신선 공기량에도 영향을 미침

현저하게 인원밀도가 다른 실을 동일 공조 존으로 하는 경우 과잉 신선 공기를 도입하는 실이 발생하며 과잉 에너지 소비 초래에 유의 하여야 함.

(26)

4.2.3 용도별 조닝

4.2.4 사용 시간별 조닝

용도마다 구분되는 환경 등급이나 인원밀도, 부하밀도가 다른 것이 보통 임.

원칙적으로 용도가 다른 실은 공조 존을 별도로 하는 것이 좋음.

건물에는 사용시간이 다른 실이 존재.

사무실의 경우 10 시간 정도의 사용이 보통.

중앙 감시시설이나 경비실은 24시간 사용.

식당 등은 주간 2~3시간 정도 사용.

원칙적으로 시간마다 공조 존을 구성하는 것이 좋음.

(27)

4.3 공조 방식의 분류

4.3.1 총설

<표 4.3> 공조방식의 분류

(28)

<그림 4.4> 열수송 매체에 의거한 공조방식의 분류

(29)

공조기에서의 공기로 실을 공조하는 방식

모든 것에 대해 공기로 실을 공조하는 방식

단일덕트 정풍량방식 (4.4.1 참조), 단일덕트 변풍량방식 (4.4.2 참조), 이중덕트방 (4.4.3 참조) 등이 이에 속함

급기 공기량이 많아 실내청정도를 높이는데 바람직한 시스템

공기의 낮은 열용량 특성으로 인해 덕트의 치수가 커지고 이로 인해 공간상의 제약이 많음

반송 에너지 소비 증대

4.3.2 열수송 매체에 의한 분류

(1) 전공기 방식

<그림 4.4a 전공기 방식>

(30)

(2) 공기-물 병용방식

일부는 공조기의 공기에 의해, 일부는 열원기에서 수송된 냉수나 온수에 의해 실을 공조하는 방식.

단일덕트 방식과 실내설치의 팬 코일 유닛과 병용방식이 대표적인 방식 (그림 4.4b 참조).

국소 열부하 대응에 우수한 방식.

패리미터를 팬 코일 유닛 방식으로, 인테리어부를 단일 덕트 방식으로 대응하는 것이 전형적인 사례.

<그림 4.4b 공기-물 병용방식>

(31)

실까지의 열수송의 모든 것을 물을 매체로 하는 시스템.

팬코일 유닛 방식이 대표적인 방식 (그림 4.4c )

공기 청정도 유지 목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전공기 방식이나 공기-물 방식에 비해 뒤떨어짐.

(3) 물방식

<그림 4.4c 물방식>

(32)

프레온 등의 냉매를 직접 공기-냉매 (직팽코일) 열교환기로 유도해 냉각 또는 가열하는 시스템.

가정용 윈도우 쿨러나 유닛형 히트펌프가 대표적 (4.4.6 참조).

빌딩용 멀티라 칭하는 방식이 중규모 빌딩 등에 적용됨.

개별운전이 가능하며 사용이 편리.

(4) 냉매방식

<그림 4.4d 냉매방식>

(33)

4.3.3 공조기 분산도에 의한 분류

대형 공조기에 의해 여러 층에 걸친 대상면적을 대상으로 하는 공조 방식.

용도, 사용시간등 동일존으로 볼 수 있는 대상을 전제로 하는 집중도가 높은 공조방식.

전공기 방식의 특성을 지니고 있음.

수천 ㎡에 1대의 공조기가 설치되는 것이 보통.

열부하 특성 등이 대상면적 전역에 대해 동일하다 고 볼 경우 경제적으로 우수한 방식.

실마다 온습도의 편차가 있을 경우 변풍량장치를 도입하여 열부하에 대응함.

(1) 중앙방식

<그림 4.5a> 중앙방식

(34)

(2) 각 층 유닛 방식

각 층마다 공조기를 분산 설치하는 방식.

공조기 설치 단위는 대체로 수백 ㎡에 1대 단위로 설치.

내부부하가 증대될 시 부하특성이 층마다 다른 경우, 사용 시간대가 층마다 다른 경우에 적용.

초기의 정풍량 방식에서, 최근 부하의 국소적 편재에 대응해 변풍량 방식도 많이 사용.

<그림 4.5b> 각 층 유닛 방식

(35)

여러가지 각층 유닛방식-1

(36)

여러가지 각층 유닛방식-2

(37)

(3) 분산방식

수십~수백 ㎡ 단위로 소형 공조기를 분산 배치하는 방식.

OA기기 보급에 수반하는 국소부하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도입.

온,습도에 대한 설정 단위의 세분화가 요구됨.

운전시간을 소구획 단위로 변경 가능한 것이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유리함.

<그림 4.5c> 분산방식

(38)

(4) 개별식

개실 단위마다 공조기 유닛을 설치, 제어하는 방식.

증기압축식 열원기와 공조기가 통합, 완결성이 높은 시스템.

열원기능이 없다라도 개별적으로 온습도 제어가 가능한 시스템을 개별방식에 포함.

- 한국형 시스템 에어컨

<그림 4.5d> 개별식

(39)

4.3.4 열의 이동거리에 의거한 분류

취출구나 기기에서 냉풍 또는 온풍을 강제적으로 취출해 실을 냉난방하는 방식.

실의 온도유지뿐만이 아니라 습도나 공기청정도 유지를 겸하는 경우가 많음.

(1) 대류식

(2) 복사식

물체 표면에서 방사되는 에너지를 사용하여 냉난방하는 시스템.

복사형 스토브에 의한 국부난방, 바닥 패널 히팅 등이 전형적.

본 방식은 냉난방을 대상으로 설치되며, 습도나 공기청정도 유지는 다른 방식으로

<그림 4.6> 열 이동거리에 의한 공조방식의 분류

(40)

4.4 각종 공조 방식

4.4.1 단일 덕트 정풍량 방식

-보통 “CAV (constant air volume)방식” 으로 지칭- (1) 구성

전공기 방식의 전형적인 공조방식 <그림 4.7>.

공조기, 급기덕트, 실, 환기덕트로 구성.

공급공기는 항상 일정한 풍량.

에너지 절약 관점에서 열교환기나 환기 팬을 설치함.

<그림 4.7> 단일덕트 정풍량 방식

(41)

(42)

(2) 특성

습도, 공기 청정도 유지가 용이.

열부하의 편차분포가 있는 경우, 국부적으로 실온에서 크게 벗어나는 등의 불합리를 초래할 수 있음.

반송에너지가 큼.

환기 팬 설치시 외기 냉방에 의한 에너지 절약이 가능.

(3) 적용

중앙방식, 각 층 유닛 방식이나 개별방식 모두에 적용.

대상 존부하의 분포나 특성이 장소에 따라 비교적 동일함을 전제로 하는 시스템.

홀, 대회의실, 식당 등 인원밀도가 높고 신신한 공기를 많이 필요로 하는 곳에 적용.

(4) 응용방식

재열기 추가 부착 정풍량 방식도 있음.

단말 재열기에 의해 국부적으로 급기를 가열하고 실온을 조정.

개별실 마다 실온을 제어할 수 있지만 에너지 낭비가 발생.

(43)

4.4.2 단일 덕트 변풍량 방식

-보통 “VAV (variable air volume)방식” 으로 지칭-

<그림 4.8> 단일덕트 변풍량 방식

(44)

<그림 4.9> 변풍량 유닛의 구조

(45)

Venturi형 변풍량유닛

(46)

(47)

단일 덕트 시스템방식의 단말에 변풍량 유닛을 추가 설치.

변풍량 유닛을 이용하여 실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부하에 따라 변동시키는 시스템.

댐퍼제어, 흡입 베인제어, 회전수제어 등의 풍량제어 방식이 이용.

변풍량 유닛은 10㎡ ~100㎡ 단위 정도로 건물등급에 따라 배치.

(2) 특성

단일 덕트 정풍량 방식과 거의 특성은 같지만 정풍량 방식에 비해 실온 추종성능이 높음.

송풍량의 축소로 반송 에너지가 대폭 절약됨.

공기 청정도는 비교적 낮고, 설비비는 정풍량 방식에 비해 상당히 높음.

(3) 적용

단일 덕트 정풍량 방식의 적용처와 원칙적으로 같음.

최근 공조방식중에 가장 광범위하게 적용.

(1) 구성

(48)

(4) 응용방식

재열기 부착 변풍량 방식이 있음.

변풍량 방식의 단말기에 재열기를 설치한 시스템 <그림 4.10> 송풍량으로 실온을 조정하므로 급기량이 적어지는 경우, 재열기가 작동하여 온도를 상승시킴

오피스 빌딩의 회의실이나 임원실 등에 사용되는 고급 시스템

<그림 4.10> 재열형 변풍량 유닛

(49)

4.4.3 이중 덕트 방식

(1) 이중 덕트 정풍량 방식

<그림 4.11> 이중덕트 정풀량 방식

MBX; 혼합유닛, mixing box

(50)

냉풍용 공조기, 온풍용 공조기, 냉풍 덕트, 온풍 덕트, 환기 덕트 및 냉풍과 온풍의 혼합 유닛 (MBX, mixing box)<그림 4.12> 등으로 구성.

혼합 유닛은 실마다, 존 구획 마다 설치됨.

실의 공급 풍량은 항상 일정하며 때에 따라 열교환기나 환기 팬이 설치됨.

① 구성

<그림 4.12> 혼합 유닛의 구조

(51)

② 특성

전공기 방식의 특성을 지니며 실온유지 기능이 높음.

습도 및 공기 청정도 유지기능이 높음 (고급 공조 방식).

덕트가 이중이므로 큰 덕트 스페이스가 필요.

큰 반송 에너지 필요.

혼합에 의하여 에너지 손실(*혼합손실)을 초래할 우려가 있음.

설비비 고가.

*혼합손실 : 냉방시 최대부하 이하(부분부하)를 요구하는 실에 있어서는 취출 온도를 설계온도 이상으로 하기 위하여 온풍을 혼합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온풍 혼합량 만 큼 냉동기 부하는 상승하며, 이를 손실로 본다.

(52)

④ 응용사례

본 방식의 응용사례는 이중덕트 변풍량 방식 <그림 4.13>.

단말의 혼합유닛에 변풍량 장치가 설치된 시스템.

단말 유닛에 의해 송풍량과 급기 온도를 조정하고 부하변동에 추종하는 시스템.

정풍량 방식에 비해 송풍량이 감소되므로 반송에너지 절감 가능.

송풍량이 감소되는 경우, 공기 청정도는 비교적 뒤떨어 짐.

③ 적용

비교적 큰 면적을 대상으로 함.

존 내 부하 특성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추종성이 높게 대응 가능.

환기; 리턴에어

<그림 4.13> 이중덕트 변풍량 방식

(53)

(54)

(2) 멀티존 유닛 방식

① 구성

공조기, 급기덕트, 환기덕트로 구성.

공기측 덕트가 2개로 나뉘고, 각각의 공기는 냉각, 가열 코일을 거처 댐퍼 등에 의해 혼합된 후, 실로 급기됨.

환기; 리턴에어

<그림 4.15> 멀티존 유닛 방식

(55)

② 특성

이중 덕트 방식의 변형된 형태.

전공기 방식의 특성인 공기 청정도 유지성능은 높음.

부하특성이 다른 존을 1대의 공조기로 처리.

기계실 소요 면적은 크지 않지만 덕트 공간의 확보가 필수적.

반송 에너지가 크고, 혼합에 의한 에너지 손실 초래 가능.

③ 적용

그다지 세밀한 공조계통을 분할 하지 않는 경우에 적용.

그러나 현저하게 특성이 다른 존을 동일 공조 계통으로 하는 것은 삼가해야 함.

(56)

4.4.4 팬 코일 유닛 방식 (Fan coil Unit , FCU)

(1) 구성

 물 방식의 전형적인 공조방식.

 실내부에 팬 코일 유닛이라는 팬부착 방열기가 설치.

 관수에 따른 구분.

• 2관식 : 계절에 따라 냉수와 온수를 전환하여 사용하는 방식

• 4관식 : 냉온수관을 별도로 설치, 연간 수시 냉,난방이 가능한 시스템

 FCU는 창 하부나 천장부 또는 인테리어부 천장에 설치.

 천장부에 설치하는 경우 천장내 은폐형과 카세트형이 있음.

• 천장내 은폐형 : 덕트 병설형, 팬코일 본체는 천장내에 설치 취출구, 흡입구, 점검구 등은 천장 표면에 설치

• 카세트형 : 일체화된 카세트가 천장표면에 직접 설치

 신선한 공기 유입을 위해 다른 공조방식 사용, 최근에는 벽 관통형으로 신선한 공기를 직접 FCU에 도입하는 방식도 등장.

(57)

<그림 4.16> 팬 코일 유닛 방식

(58)

(2) 특성

(3) 적용

국부적인 부하대응에 우수하며 임의선택이 좋음.

부분적인 운전이 가능.

작은 공간 소요.

습도, 공기 청정도 유지 성능은 전공기 방식에 비해 낮음.

반송에너지 소비가 작으며 에너지 절약 운전이 가능.

오피스빌딩 등에서는 페리미터부의 공조방식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는 시스템으로 인테리어부는 단일덕트 방식 등의 병용이 통상적임.

부가적인 열부하에 대응하는 방법으로도 많이 사용.

오피스빌딩 이외에도 호텔 객실이나 병원 병실 등에 많이 사용되고 특히 병원의 경우에는 병원균의 온상이 되지 않도록 유의.

천장내에 설치시 누수에 대한 배려가 필요.

(59)

FCU 수배관 방식

<그림 4.17> 2관식, 4관식 팬 코일 유닛

(60)

기타; 유인유닛 (Induction unit)

(61)

4.4.5 복사 냉난방 방식

(1) 저온복사 냉난방 방식

① 구성

바닥면이나 천장면 등의 열방사부와 온수관이나 냉수관으로 구성.

바닥에 설치된 온수관 또는 전선을 통해 방사 전열.

열 손실 감소를 위해 바닥 하부 방향에 단열재를 설치.

신선한 공기처리는 다른 시스템이 담당.

최근에는 천장 챔버내에 냉기를 충만시키고 이것에 의해 냉방효과를 얻는 저온냉방도

<그림 4.18> 저온방사 바닥난방 방식 HEX; heat exchanger

(62)

② 특성

방열기등이 노출되지 않아 안전성이 높음.

인체의 온열 쾌적성에 대해 방사는 큰 요소를 차지.

방사냉난방은 냉난방효과에 따른 쾌적도가 높은 시스템.

방사 원리에 의해 천장의 높은 공간에도 효과적으로 냉난방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

③ 적용

안전성과 쾌적도가 높은 시스템으로 보육시설에 적용 사례가 많음.

주택 거실에 대해 가장 쾌적한 난방으로 바닥면을 이용하는 방사난방이 널리 도입됨.

현관, 홀 등 외부공기가 침입해, 난방이 어려운 장소에 바닥 난방이 채택되는 경우도 있음.

(63)

(2) 고온복사 난방 방식

열 복사 패널과, 증기 또는 고온수 배관으로 구성.

① 구성

② 특성

패널 면적이 작아도 고온이므로 높은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음.

지향성이 강한 난방 효과.

공장이나 체육관처럼 바닥면에 난방기구를 설치할 수 없는 공간에도 높은 위치에 고온방사 패널을 설치, 거주역 국소 난방 가능.

③ 적용

높은 천장의 체육관, 풀이나 공장의 거주역 난방 또는 국소 난방에 사용됨.

<그림 4.19> 고온복사 난방방식

(64)

(1) 유닛형 히트펌프 방식

4.4.6 개별 방식

<그림 4.20> 창문형 쿨러의 구조 <그림 4.21> 분리형 쿨러

(65)

② 특성

③ 적용

개별로 단독 운전이 가능.

운전이 용이하며 안정성이 높은 시스템.

습도조정이나 공기 청정도 유지를 위해 기타 시스템이 병용됨.

실온 조정을 주로 하는 시스템.

드래프트 현상에 주의.

일체형 또는 분산형 공기열원 히프펌프 유닛을 실마다 또는 소구획 마다 설치하는 방식.

실외기, 실내기, 압축기, 냉매관으로 구성.

창문형 쿨러와 분리형 쿨러 등이 있음. <그림 4.20> <그림 4.21>

히트펌프 기종에서 실외기는 여름에는 응축기, 겨울에는 증발기로 작용.

실내기는 위 동작의 역동작 수행.

① 구성

(66)

(2) 멀티유닛형 히트펌프 방식

<그림 4.22> 멀티유닛형 히트펌프 방식

① 구성

1대의 실외기에 여러 대의 실외기가 냉매관으로 연결.

압축기는 실외에 설치.

실내기는 여러 실내에 분산 배치.

(67)

② 특성

③ 적용

앞의 기술한 유닛형 히트펌프 특성과 유사.

하나의 실외기로 여러 개의 실내기를 작동.

설비비가 비교적 저렴.

초기에 냉난방 전환형이였지만 최근에 하나의 실외기에 연결되는 몇 개를 냉방, 나머지는 난방으로 운전하는 시스템 (3-WAY) 방식이 등장.

주택 냉난방에 널리 보급.

(68)

(3) 벽관통형 히트펌프 방식

① 구성

페리미터부에 히트펌프 유닛의 실외기 실내기, 압축기가 일체적으로 설치.

외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개구부가 설치, 이를 통해 열원 매체인 외기가 실외기부에 유통하는 구조.

필요한 신선외기를 외벽 개구부를 통해 도입하는 시스템.

외벽 개구부를 통해 침입하는 빗물의 배수나 결로대책에 주의.

<그림 4.23> 벽관통형 히트펌프 방식

(69)

② 특성

③ 적용

유닛형 히트펌프 특성과 유사.

외벽 개구부를 통해 신선공기를 도입하는 방식은 기타 시스템을 병용할 필요도 없고 쾌적성 높은 시스템.

덕트가 필요 없으며 층고를 낮게 할 수 있음.

중, 대규모 빌딩 페리미터부 공조시스템으로 채용되는 경우가 많음.

(70)

(4) 패키지형 공조기 방식

① 구성

냉동기나 히트펌프를 구성하는 압축기, 증발기 또는 응축기를 하나의 패키지 안에 탑재하는 방식.

응축방식이 수냉일 경우에 냉각탑이 필수적.<그림 4.24>

응축방식이 공냉일 경우에 냉각탑 대신 실외기가 옥상에 설치.

비교적 소용량 콤팩트로 간편한 시스템.

국소적인 냉난방 운전이 용이하며, 독립성이 높은 시스템.

주열원의 기계실이 필요 없으므로 공간부담도 크지 않음.

설비비는 저렴하나, 내구성 및 실내환경 유지성능은 높지 않음.

통상 최소 외기량을 일정하게 하는 경우 외기냉방을 채용하기 어려움.

② 특성

(71)

<그림 4.24> 수냉식 패키지형 공조기 방식

(72)

(5) 폐회로식 수열원 유닛형 히트펌프

소형의 수열원 히트유닛 펌프, 열원수 배관, 열원수 순환 펌프, 보일러, 냉각탑 등으로 구성.

실내기는 히트펌프 유닛이며, 창하부나 천장내에 설치.

냉방시 열원수는 냉각수로 작용하여 실내열을 냉각탑에서 대기에 방열.

난방시에 열원수는 보일러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수가 됨.

단말 히트펌프 유닛은 고온수의 열을 흡수하고 실내를 가열.

① 구성

② 특성

개별운전이 가능.

기계실 면적이 작아도 되며, 운전이 용이.

내구성이 높지 않고, 유지 보수의 요소가 많음.

외기 냉방이 어려움.

③ 적용

중규모의 사무실 빌딩이나 호텔에 많이 적용.

(73)

<그림 4.26> 폐회로식 수열원 히트펌프 유닛 방식

(74)

4.4.7 기타 공조 방식

(1) 바닥 취출 공조 방식

① 구성

Down Flow 공조기, 바닥 급기 챔버, 바닥 취출구, 천장 리턴챔버 등으로 구성.

바닥 취출구의 구분.

• 팬형 : 가압 챔버내에 가압이 필요 없음.

• 팬이 없는 형 : 가압 챔버내에 가압이 필요.

바닥 챔버 내에 압력분포를 균등하게 하고 어디서나 필요한 풍량을 도입할 수 있도록 유의.

<그림 4.27> 바닥 취출 공조 방식

(75)

② 특성

덕트리스(ductless) 시스템.

부하의 증대나 변경에 취출구 추가나 위치 변경이 용이.

배열 효율이 높고, 취출 온도를 높일 수 있으며, 에너지 절약 운전이 가능.

환기 효율의 향상이나 오염물질의 제거에도 비교적 유리

퍼스널 공조와의 조합이 비교적 좋음.

그러나 온도 성층화, 즉 발 밑과 머리 위치와의 온도차이에 의해 심한 불쾌감을 느낄 염려가 있음.

③ 적용

인텔리전트 빌딩의 공조방식으로 적용.

(76)

(2) 퍼스널 공조 방식

① 구성

가구 등에 팬, 혼합 유닛, 취출구나 방사 패널을 구성.

개인의 기호에 맞게 공조하는 시스템.

등급에 따라 취출 풍량만 변하게 하는 것, 급기 온도를 변하게 하는 것, 양자를 변하게 하는 것이 있음.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하기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추는 것이 통상.

퍼스널 공조의 경우 * 엠비엔트 공조에 의하는 것이 통상.

*엠비엔트 공조 : 실 전체의 공조를 말하며, 기기 주위만 공조하는 데스크 공조에 대한 용어.

<그림 4.28> 퍼스널 공조 방식

(77)

② 특성

쾌적성이나 에너지 절약성으로 볼 때 이상적인 시스템.

건축과 공조의 통합, 가구와 공조의 통합 등 용이주도한 계획 필요.

바닥 취출 공조를 퍼스널 공조로 취급하는 경우 가구와 통합의 번잡성이 해소.

(78)

(3) 외조기+단말 공조기 조합방식

① 구성

단말기의 공조기와 외조기로 구성,<그림 4.29>는 기본적 구성사례.

단말 공조기는 냉수코일 또는 냉온수코일로 구성.

외조기는 냉각-가열 코일, 가습기 등으로 구성.

외조기는 필요 최소외기량만을 처리하여 단말공조기에 공급하는 것이 통상이지만 외기 냉방을 고려하여 최소 외기량의 2배 정도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경우도 많음.

<그림 4.29> 외조기+단말 공조기 방식

(79)

② 특성

③ 적용

기능 분담형의 시스템.

단말공조기는 실부하를 처리, 외조기는 외기부하, 습도조정을 분담.

단일 덕트 시스템에 생기는 제습, 재열과정을 해소할 수 있음.

내부부하가 높은 인텔리젼트 빌딩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음. 인텔리젼트 빌딩에서는 제습, 재열을 해소할 수 있는 본 시스템이 매우 유효.

(80)

4.4.8 각종 건물에 대한 공조 방식의 적용

(1) 사무실 건축

연바닥면적이 10,000㎡ 를 넘는 대부분의 경우

• 페리미터부와 인테리어부를 나누어 조닝.

• 페리미터부는 FCU방식을, 인테리어부는 변풍량 또는 정풍량방식 이용.

• 최근에는 에어플로우 윈도를 채용하고, 페리미터 시스템을 설치하 지 않는 경우도 있음.

• 인테리어부의 단일덕트 방식에는 부분운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각층 유닛 방식 또는 분산방식이 채용함.

연바닥면적이 2,000㎡ 이하의 소규모인 경우

• 페리미터존을 분리하는 경우가 비교적 적음.

• 멀티유닛 히트펌프 방식, 관통벽형 히트펌프 방식, 패키지형 공조 기 방식 등이 사용됨.

2,000~10,000㎡의 중규모의 경우 등급에 따라 대규모 또는 소규모의 경우에 준하는 경우가 많음.

(81)

(2) 병원

열부하 특성이나 사용 별 특성에 따른 조닝 외에 공기 청정도에 따른 조닝이 필요.

수술실, 신생아실, ICU 등의 청정구역은 독립된 존으로 구성.

위의 실에는 FCU설치가 불가능 하므로 <그림 4.30>과 같이패키지와 재열기를 사용, 취출구 직전에 고성능 필터 설치.

이러한 부문은 심야에 공조가 필요하므로 단독운전이 가능하게 패키지 또는 축열조를

① 수술실 <그림 4.30> 병원의 공조 방식

(82)

② 병동부

병동부 창문에 FCU를 설치하여 스킨로드 처리.

환기는 3~4 회/h 정도로 함. (외기는 1/3~1/2 회/h 비율)

겨울철의 심야운전 정지시 굴뚝효과에 의해 하부의 공기가 상층으로 올라가고 이로 인해 병원내 감염을 유발한 예가 있음.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각 층 유닛 방식이 적합.

③ 외래부문

창측에는 FCU 또는 VAV 방식, 인테리어는 단일 덕트 정풍량 방식으로 공조.

실내 취출풍량, 흡입풍량을 조절하고 처치실진료실대기홀 순으로 공기를 흐르게 함.

5~10회/h의 청정공기를 가능한 다수의 천장 취출구서에 송풍해 공기의 청정도를 유지.

(83)

(3) 극장 , 공회당

관객석의 공조는 단일덕트 정풍량 방식을 사용, 최근에는 변풍량 방식도 사용.

공기의 청정도 확보에 유의.

5,000 ㎡를 넘는 대규모의 경우 무대의 공조는 관객석과 별도계통으로 함.

관객석의 취출 방식으로 1층 좌석은 천장면에 소형 노즐 등을 사용하여 취출하고 좌석 밑 흡입구에서 리턴시키는 것이 일반적.

2층 좌석은 천장면에 아네모형 취출구 등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

여름과 겨울철에는 취출구에서의 도달거리를 가변으로 하여, 콜드 드래프트나 온풍 도달거리 확보에 유의.

관객 로비, 식당, 리허설실, 분장실은 별도의 존으로 구성하고, 유리창이 있는 실내에는 FCU를 설치.

(84)

(4) 호텔

객실은 각 실마다 FCU를 설치하는 동시에 50~150㎥/h 정도의 신선한 공기를 송풍, 배기는 욕실에서 행함.

3,000 ㎡ 이하의 소규모 온천 호텔과 같은 경우는 PAC에 의한 각 층 유닛 방식이나 공기 열원 유닛형 히트펌프 방식을 사용.

연회장, 식당 또는 현관 로비 등은 정,변풍량 단일덕트 방식을 사용.

객실은 심야에도 공조가 필요하므로 운전이 편리한 축열조를 설치하여 공조.

(5) 백화점, 슈퍼마켓

각 층의 매장마다 조명부하와 인원부하의 변동이 심함.

잦은 매장의 배치 변경이나, 방재성능 향상의 관점에서 각 층 유닛 방식의 채용이 바람직함.

겨울철에도 냉방 필요가 발생하므로, 외기냉방이 가능한 시스템의 적용이 요구됨.

각 층의 AHU에 축냉을 이용한 방식이 널리 채용.

중, 소규모 운전이 용이하며 설비비가 저렴하므로 패키지를 사용.

(85)

(6) 공장

실내 온습도 조정은 일반 건축에 비해 엄격.

예) 합성섬유 공장, 인쇄, 사진 필름 등의 공장.

전자관, 제약 등의 분야는 청정도에도 유의해야 함.

(86)

4.5 공조용 열원 방식

4.5.1 공조용 열원 방식의 분류

O : 비교적 널리 사용되는 조합

*수 : 냉각수, 우물물, 지하수, 하천수, 바닷물 열원종별 열원방식 사이클

진행원리

히트 싱크,

히트 소스 연료 또는 구동력

비고

* 수 공기 오일 가스 전기

온열원 방식 보일러 방식 연소 O O O

관류식, 노통연관식 ,수관식보일러

냉온열원 방식

냉온수기 방식 연소 O O O

압축식 히트펌프

방식

왕복동식 원심식 회전식

O O O

O O O

O O O 흡수식

히트펌프 방식

흡수

사이클 O O O O

냉열원 방식

압축식 냉동기 방식

왕복동식 원심식 회전식

O O O

O O O

O O O 흡수식

냉동기 방식

일중효율 흡수식 이중효율

흡수식

O O

O O

O O

(87)

(1) 전동 냉동기 방식

냉열원에 전동 압축식 냉동기를 사용하는 방식.

왕복동 냉동기는 중규모 시설에, 터보 냉동기는 대형시설에 사용.

COP가 높은 고효율 냉열원 방식으로 냉열수요가 높은 시설에 적합.

냉매로는 R-11을 사용하는 것이 통상이였지만 오존층 파괴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R-134a , R-123 을 사용하는 터보냉동기나 R-22 를 사용하는 스크류 냉동기로 바 뀌는 추세.

4.5.2 보일러 + 냉동기 방식

<그림 4.31> 보일러+전동 냉동기 방식

(88)

(2) 흡수 냉동기 방식

<그림 4.32> 보일러+흡수 냉동기 방식

(89)

보일러에서 발생된 증기나 고온수 등을 구동원으로 하는 냉동기.

보일러의 연료로는 도시가스나, 중유가 사용됨.

보일러를 대신해서 소각시설이나 각종 배열시설의 증가나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 태양열 집열기의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음.

흡수식 냉동기는 고온 증기 등을 구동시키는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와 저온의 온수를 구동시키는 일중효용 흡수식냉동기가 있음.

이중효용 흡수식 냉동기는 대형 시설에 많이 사용됨. (지역 냉난방)

일중효용 흡수식 냉동기의 COP는 크지 않지만 배열이나 태양열을 이용하여 종합 효율을 향상.

(90)

흡수식 냉동기와 온수기를 통합한 시스템.

이 기기 한대로 냉난방이 가능.

연료로는 도시가스, LPG, 중유, 등유 등이 사용됨.

본 방식은 기계실 면적이 작아도 되며, 운전 자격자가 필요 없음.

대· 중규모 빌딩에 많이 사용됨.

4.5.3 흡수식 냉온수기 방식

<그림 4.33> 흡수 냉온수기 방식

(91)

4.5.4 히트펌프 방식

<그림 4.34> 히트펌프 방식

응축기

(실내기) 팽창밸브 증발기

(실외기) 압축기 응축기

난방

응축기

(실외기) 팽창밸브 증발기

(실내기) 압축기 증발기

냉방

(92)

(2) 히트펌프의 열원

히트펌프의 작동을 위해 히트소스와, 히트싱크가 필요.

난방시 열원

• 우물물, 지하수가 주로 사용됨.

• 최근에는 미 이용 에너지의 활용 측면에서 바닷물이나 하천수가 이용되기도 함.

• 하수의 잉여 열, 변전소 배열, 지하철 배열 등 배열을 이용한 경우도 있음.

냉방시 열원으로는 실의 공가나 냉수가 사용됨.

냉매가스 압축 방식은 냉동기와 동일.

가정용 등의 소형 히트펌프에는 회전(로터리) 압축기가 사용됨.

업무용 시설에는 왕복동형, 터보형, 스크류형 압축기 사용됨.

(1) 히트펌프의 압축방식

(93)

4.5.5 축열식 히트펌프 방식

물 등의 축열체에 사전에 야간의 냉열이나 온열을 저장, 주간에 냉난방이 필요할 때 그것을 추출하여 사용하는 방식.

• 피크 억제에 유효.

• 안전운전이 가능.

• 효율이 낮은 저부하 운전을 피할 수 있어 열원기기의 고효율 운전이 가능.

• 저렴한 전기 요금 체계의 적용이 가능.

<그림 4.35> 축열식 히트펌프 방식

(94)

(1) 수축열 방식

(2) 빙축열 방식

축열체로서 물을 사용하는 시스템.

비열이 비교적 커서 안정성이나 조작성에서도 우수.

통상 건물의 지중보 등의 공간을 이용해서 설치.

축열체로서 얼음을 사용하는 시스템.

빙축열 방식은 현열과 상변화에 수반하는 잠열을 이용.

얼음의 융해열 = 80 kcal/h.

아이스 온 코일 방식 코일의 외표면에 제빙하고 그것을 녹이는 형식으로 AHU에 냉수 공급.

액체 아이스 방식, 샤베트 아이스 방식, 과냉각 아이스 방식.

• 연속적으로 제빙하면서 냉수 또는 미세한 얼음 조각으로 혼합 냉수를 수송하는 형식.

(95)

(3) 잠열 축열 방식

잠열 축열재로 여러가지 화학제품을 이용하는 방식.

여러 온도의 레벨에서 잠열을 이용한 축열 방식이 가능.

*상변화 온도 (±) 5℃를 기준함

<표 4.5> 잠열 축열재의 특성

축열온도 잠열량 현열(∆T=10)을

고려한 축열량 축열온도 잠열량 현열(∆T=10)을 고려한 축열량

-21 -18 -15 -10 -8 -6

33,900 41,000 40,000 43,000 43,400 38,400

41,600 50,000 47,700 50,500 52,700 46,300

-3 0 27 54 64

41,600 41,700 38,000 25,800 58,500

50,000

49,400

46,400

34,700

67,400

(96)

응축열을 방열하지 않고 난방 혹은 급탕열원으로 이용하는 방식.

보일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난방이나 급탕을 위한 열원기기에 수반하는 화석연료 소비는 대폭적으로 삭감.

냉방부하가 큰 대형 빌딩에 매우 효과적인 에너지 절약 시스템.

(1) 열회수 히트 펌프 방식

4.5.6 열회수 방식

<그림 4.36> 열회수 히트펌프 방식

(97)

(2) 엔진 히트펌프 방식

히트펌프의 구동원인 전동기 대신 엔진의 축출력을 이용하는 방식.

엔진의 연료로는 도시가스, LPG, 중유, 등유 등이 사용.

엔진 운전중에 발생되는 배열을 가열원으로 이용 종합효율을 높임.

배기 가스를 직접 흡수식 냉동기 열원으로도 이용 가능.

히트펌프에 의해 냉난방을, 배열에 의해 풀을 가열하는 스포츠 센터(수영장) 등에 적합.

<그림 4.37> 엔진 히트펌프 방식

(98)

(3) 코제너레이션 방식

가스 터빈이나 디젤 엔진을 이용해서 전력을 발생시키는 것과 동시에 배열을 이용해서 냉방 열원이나 급탕용 열원으로 이용하는 방식.

종합 열효율은 최고 70%~80%에 달함.

코제너레이션을 고효율로 운전하기 위해서는 전력부하와 열부하가 항상 밸런스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함.

호텔이나 병원 등에서 에너지 절약, 경제성의 관점에서 도입되는 사례가 증가.

<그림 4.38> 코제너레이션 방식

(99)

(1) 태양열 이용 방식

열원으로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식.

집열된 태양열을 이용해 냉난방이 가능.

급탕이나 난방은 저온수로 가능하지만, 집열 온도가 적을 시에는 냉방은 불가.

태양열 급탕이나 난방은 가정용을 중심으로 보급.

4.5.7 특수 방식

<그림 4.39> 태양열 이용 난방

(100)

(2) 지역 냉난방 방식

집중된 열원 플랜트를 설치, 지역배관에 의해 냉온수 등의 열에너지 등을 각 건물에 공급하는 시스템.

온열원으로는 고압증기보일러, 히트 펌프가 사용.

냉열원으로는 압축식 냉동기나, 흡수식 냉동기가 사용.

고압증기 보일러에 의해 배압 터빈이나, 복수 터빈을 구동하고 그 축출력에의해 압축식 냉동기를 구동시키고, 잔여 증기를 이용해 흡수식 냉동기를 구동시킴.

<그림 4.40> 지역 냉난방 방식 사례

(101)

지역난방 시스템(District Heating system)

부천 열병합발전소(GS파워) ; 중온수흡수식냉동기 활용

SHP(Separete Heat and Power, 개별난방)

CHP(Combined Heat and Power Plant, 열병합발전플랜트)

HOB(Heat Only Bioler)

(102)

District Cooling

(103)

Without District Cooling With District Cooling

A Dubai Hotel Parking roof top

View from the Suites & Rooms

Shangri-la Parking Roof Top

View from Shangri-la’s Suites & Rooms

Higher Value Building

(104)

열 시설 관리

(105)

지역난방 시스템 계통도

(106)

■ 후쿠오카 Seside Momochi지구

-1993년 공급(공급구역 43.5ha/28동의 건물 연간열수요 냉열 7만Gcal, 온열 3만Gcal)

-냉수 6 ℃, 온수 47 ℃

-해수의존율; 냉열 86%, 온열 100%

-해수열펌프 3,000RT 3기

일본에서의 이용사례

(107)

스웨덴에서의 이용사례

■ 스톡홀름시 Ropstain 지역난방

▶ 1985년가동 27MW 6대/25MW×4대 총 262MW

▶ 여름 수심 5m, 동계는 15m로부터 취수(취수량 15m3/s ), 방수는 5m/취수와 방수의 온도차는 2℃

▶ 해수 취수관은 부식대책으로 목제 (2,200Ø, 150m)

▶ 열펌프로 기저부하를 감당하고 동기의 첨두부하시 전기와 유류보일러로 부담

(108)

참조

관련 문서

멘토링 과정에서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초지일관 자신 감과참을성을 가지고 끈질기게 멘토링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계획된 멘토링에 진지하고 헌신적으로

그 외 사회 전반에 적용되는 광의의 플랫폼 - 공용플랫폼/ 디자인 플랫폼/ 브랜드 플랫폼 등. 플랫폼은 공용하고 차량의 스타일 등을 결정하는

71) 강제채혈의 경우 주사를 잘못 놓은 경우 등 극히 이례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강훼손의 위험이 통상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강제채뇨(삽관을 함으로

충남대학교가 요구하는 학력수준에 미달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모집인원에 상관없이 선발하지 않을 수 있음 4... 주관: 교육부

*단어 사이의 공통성과

[r]

동결방지 조치를 취하여 등을 사용하여 적절한 우려가 있는 곳은 보온재 드레인 호스 설치시 동결.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