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 전통 주거공간의 이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한국 전통 주거공간의 이해"

Copied!
2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한국 전통 주거공간의 이해

주거론 3

(2)

근대 이전 시기의 주거문화

 선사시대 : 한반도 거주 60만년, 농경 목축 집터 발견은 BC6천년

움집, 실내 중앙에서 난방, 취사, 조명을 겸하는 화로

 삼국~고려시대 : 고대국가는 성읍국가

고려벽화에서 낮은 나무바닥의 좌식생활, 입식생활 공존 확인

삼국사기에서 공포와 목구조, 처마 기와, 장식 및 색채 규정

계층의 분화가 주거에 영향

고려 :성리학, 온돌은 하류계층의 전유물, 상류는 기와와 마루 상류주택에서 욱실(온돌), 양청(마루)

 조선시대

유교문화

한양은 신분에 따라 집터 규모 제한, 칸수 제한

반가는 남녀유별, 장유유서 관념을 주거에 적용

농촌주거는 농경(논농사)에 적합하도록…. 택리지

씨족마을, 동족마을… 공동체 의식..예)마을 사당, 서당, 누정

충신, 효자 열녀비,,,, 유형학적 동질성 부여

2

(3)

전통주거의 형태와 구성

채_안채, 사랑채, 행랑채, 문간채, 별당채

 거주자 구분

 각각의 마당

 채마다 구분된 다양한 행위 대응

 4개 기둥의 평면 단위, 2개 기둥 사이

 [부엌-안방-대청-건넌방]

건축

 초석-기둥-들보-도리

실내

 대청:상징 공간, 목구조 노출, 구조미

 온돌방:상주공간, 도배, 창호지, 바닥

(4)

조선시대의 가사규제와 주거관

4

·가사규제

① 신분에 따른 家垈(집터) 면적의 제 한

② 주택 규모의 제한

③ 장식의 제한

·숭유억불정책

대가족, 남녀구별__ 내외법(內外法) 여성의 공간(안채, 안별당)과 남성의 공간(사랑채, 산정사랑, 별당)이 분화 유교 _ 주자가례(朱子家禮)_ 사당건축

·풍수지리사상

지관(地管)을 초빙하여 주택의 좌향과 위치를 양택론(陽宅論)에 따라 결정

(5)

전통주택의 계층적 특징

· 상류주택

넓은 집터 주위를 담장이나 행랑 /

안채, 행랑채, 사랑채, 별당채, 사당 등을 독립된 채로 건립

행랑채의 솟을대문- 행랑마당 - 중문 - 사랑마당 - 안중문 - 안마당 솟을대문으로 남자들이 출입 - 여자들은 옆대문이나 뒷대문으로 출입 여러 채로 구분되고 담과 마당으로 구성되는 외부공간이 특징적

행랑마당은 작업마당

사랑마당에는 석연지(石蓮池)가 놓이고 물을 담아 연잎을 띄웠다.

사랑마당 귀퉁이에 정심수(庭心樹) : 사랑채 앞 기단 아래 석류나무 세 그루

—부귀 상징

기단 아래 노듯돌: 말이나 가마를 타고 내릴 때 딛고 타고 사랑마당의 한쪽에 꽃밭.

안마당은 안채와 중문간 행랑채, 또는 담장 사이에는 안마당 형성.

(6)

6

(7)

전통주택의 계층적 특징

· 중류주택

중류주택은 중인집과 이교(吏校)의 집. 중인 주택은 재력있으나 품계에서 제 한.

넓은 장방형의 집터에 행랑채, 중문간행랑채, 사랑채, 안채, 사당채 - 각 채 속에 방, 대청과 기타 공간으로 분화된다. 길 가에 면한 행랑채의 대문으로 들어서면 행랑마당, 이의 맞은 편에 일각문이 있어 사랑채로 들어가고 다른 쪽에 중문간 행랑채가 있고 이 채에 중대문이 있어 안마당으로 들어서 안채 에 도달하도록 짜여졌다.

(8)

8

(9)

전통주택의 계층적 특징

· 중류주택

중류주택은 중인집과 이교 (吏校)의 집. 중인 주택은 재 력있으나 품계에서 제한.

넓은 장방형의 집터에 행랑 채, 중문간행랑채, 사랑채, 안채, 사당채 - 각 채 속에 방, 대청과 기타 공간으로 분 화된다. 길 가에 면한 행랑채 의 대문으로 들어서면 행랑 마당, 이의 맞은 편에 일각문 이 있어 사랑채로 들어가고 다른 쪽에 중문간 행랑채가 있고 이 채에 중대문이 있어 안마당으로 들어서 안채에 도달하도록 짜여졌다.

(10)

전통주택의 계층적 특징

10

· 지역성 (서민주택) 평안도 지방형

평안도에 분포된 서민주택은 대부분 一 자형으로 부엌과 방, 방의 순서로 일렬배치

평안도 지방형

함경도 지방에 분포된 서민주택은 田 자형을 취하고 있다. 부엌, 정지와 네 개의 방들 이 마치 田자 모양으로 모여져 있는데, 이것은 함경도 지방의 추위를 이겨내기 위해서 고안된 겹집구조라 할 수 있다.

(11)

 ·제주도 지방형

 함경도 지방의 서민주택처럼 田 자형을 취하고 있으나 여기에 대청이 더 붙는다.

 ·

울릉도 귀틀집

겨울에 폭설이 내려 외부에서의 통행이 어려운 울릉도에서는 살림채가 一 자형이 기는 하지만 마구나 헛간과 같은 부속공 간이 붙어 있고, 처마 밑으로 ‘우데기’라 는 가벽을 설치한다. 우데기는 방설벽(防 雪壁)으로서 눈이 내부공간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건물의 외부를 두르는 벽이다.

내부의 벽도 통나무를 수평으로 쌓아 귀 틀벽으로 만들어진다. 귀틀벽은 지붕 위 에 쌓인 많은 눈의 하중을 견뎌낼 수 있는 내력벽 구조라 할 수 있다.

(12)

중부 지방형

부엌, 안방이 동서로 면하게 배치되고 여 기에 ㄱ 자로 꺾여서 대청과 건넌방이 붙 는다. ㄱ 자형의 중부 지방형 서민주택은 황해도와 경기도 등 한반도의 중부지방에 널리 분포되었다.

·남부 지방형

경상남북도와 전라남·북도에 분포하는 남 부 지방형의 서민주택은 평안도 지방의 一 자형 서민주택과 흡사하나, 대청이 방 과 방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12

(13)

온돌의 구성

(14)

14

한국 전통 주거공간의 이해

한국

 하회마을

(15)

동아시아 삼국의 주거공간 이해

한국

 봉화군 황전마을

(16)

16

(17)

한국 전통 주거공간 이해

채의 구분

온돌과 마루

영역구분

매개공간

(18)

18

대문

바깥채 안채

채의 구분

(19)

한국 전통 주거공간 이해

채의 구분

온돌과 마루

영역구분

매개공간

(20)

종가의 생활

주동은 안채와 사랑채로 나뉘어 있다. 안마당으로 통하 는 3개의 입구는 사용자 별로 구분된다. 1입구-메인, 2 출입-사당, 3출입-뒷마당, 텃밭, 부녀자요 뒷간 등. 안 채 손님은 4와 3의 출입 이용

안마당

안방 대청

웃방

사랑방 아랫방 사랑대청

작은

사랑

사랑채

안마당 뒷마당

부엌

(21)
(22)

22

(23)

가장의 권위

(24)

24

(25)
(26)

26

(27)

부마도위 박영효 가옥 안채 마루

(28)

28

(29)

권위

참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