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적 적 적자 적 자 자 자원 원 원 원개 개 개 개발 발 발 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인적 적 적자 적 자 자 자원 원 원 원개 개 개 개발 발 발 발"

Copied!
17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정책연구 2006-31

기 기 기

기업 업 업의 업 의 의 사 의 사 사회 사 회 회적 회 적 적 자 적 자 자 자본 본 본 본과 과 과 과 인

인 인

인적 적 적자 적 자 자 자원 원 원 원개 개 개 개발 발 발 발

김동헌 김영재 이영찬

(2)

머 리 말

네트워크경제의 도래로 인해 우리 사회에서도 사회적 자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간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는 주로 개인 지역 국가 수준에. , , 초점을 두고 있고 조직 수준에서의 연구는 활발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최근, . 사람중심 경영기업 관계중심의 경영이론이 각광을 받으면서 사회적 자본에 대, 한 조직 수준에서의 연구가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런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새로운 개념을 제 안하고 이러한 개념에 기반을 두고 사회적 자본이 지식경영과 조직성과에 미, 치는 효과를 기업 단위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시도하 였다 또한 국내외의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적 자본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자원개발 정책과 관행을 제시하였다.

정책적인 차원에서도 기업의 사회적 자본 측정지표의 개발과 사회적 자본의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연구는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전략 및 국가적 인적자원정책 수립에 유용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아무. 쪼록 이 연구가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이 연구는 동국대학교의 김동헌 교수가 책임자로서 김영재 교수 이영찬 교, 수와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많은 분들의. 도움을 받았는데 먼저 보고서 초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평을 해주신 원내의, 이영현 박사와 김안국 박사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설문조사와 사례연구에 적. 극적으로 응해주시고 귀중한 자료를 제공해 주신 대구은행의 하춘수 수석부행 장 유한킴벌리 대전공장의 안선혁 수석부장 포스코 인재개발원의 김준섭 차, , 장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이기신 대리께 연구진을 대신하여 심심한 사의를 표,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방향과 내용에 관한 자문에 적극적으로 응해주신 뉴패러다임센터

(3)

의 김훈 소장 이영호 팀장 대통령자문 사람입국일자리위원회의 권소현 박사, , , 한국노동교육원의 원창희 박사 한국노동연구원의 허재준 박사 이장원 박사, , , 김동배 박사께도 깊이 감사드린다 또한 본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성껏. 전문가 설문에 응해주신 분들께 감사를 드린다.

끝으로 본 보고서에서 제시된 정책대안이나 의견 등은 우리 원의 공식 의견 이 아닌 연구진의 견해임을 밝혀둔다.

년 월 2006 12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원장 이 원 덕

(4)

목차 i

목 차

요 약

제 장 서 론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제2절 연구의 내용․3

제3절 연구의 방법․4

제 장 기존연구의 검토2 제1절 사회적 자본․7

제2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이해관계자 관리․12 기업의 사회적 책임

1. ․12

이해관계자 관리 이론

2. ․17

제 장 사회적 자본의 개념 및 분석모형3 제1절 분석 수준․23

제2절 기업의 사회적 자본: 개념의 진화․25 제3절 분석모형․31

제 장 인적자원관리 사회적 자본 그리고 지속가능한 성과4 , , 제1절 들어가는 말․35

(5)

ii 목차

제2절 기업의 사회적 자본 측정 지표 설정․36 통합 프레임워크 개발

1. ․36

조작적 정의

2. ․39

제3절 기업의 사회적 자본 지수 측정․41 기업의 사회적 자본 지수 측정지표 체계

1. ․41

연구설계 2. ․42

기업의 사회적 자본 지수 측정지표 간의 가중치 분석

3. ․44

기업의 사회적 자본 수준 평가

4. ․48

제4절 인적자원관리, 사회적 자본, 그리고 조직성과에 대한 실증분석․50 연구모형의 구축

1. ․51

연구가설 설정

2. ․52

연구방법 3. ․53

실증분석 4. ․55

제5절 사회적 자본, 지식경영, 그리고 조직성과에 대한 실증분석․82 연구모형의 구축

1. ․83

연구가설 설정

2. ․84

연구방법 3. ․84

실증분석 4. ․85

제6절 소결․98

제 장 사회적 자본의 구축 학습동아리5 : (CoP)를 중심으로 제1절 학습동아리의 개념과 의의․101

제2절 학습동아리와 사회적 자본의 구축․104 학습동아리와 사회적 자본

1. ․104

(6)

목차 iii

학습동아리의 활성화 방안

2. ․108

제3절 학습동아리 사례․110

유한킴벌리 대전공장의 계층별 학습조직

1. ․110

포스코의 직무학습동아리

2. ․115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학습동아리

3. ․118

제 장 요약과 결론6 SUMMARY․127

부록 전문가 설문지

< 1> ․133 부록 사업장 설문지

< 2> ․142

참고문헌․157

(7)

iv 표목차

표목차

< >

< Ⅱ-1> 산업구조 관점과 자원기반 관점의 비교․19

< Ⅲ-1> 지적자본의 구성요소․26

< Ⅲ-2> 지식 자원 사회구조 지적자본 간의 관계, , ․30 표

< Ⅳ-1> 기업의 사회적 자본 측정을 위한 통합 프레임워크․38

< Ⅳ-2> 기업의 사회적 자본 평가지표와 가중치․47

< Ⅳ-3> 기업의 사회적 자본 측정을 위한 통합 프레임워크․54

< Ⅳ-4> 설문응답자의 일반적 사항․56

< Ⅳ-5> 인적자원관리 관행 변수의 신뢰성 분석 결과․58

< Ⅳ-6> 인적자원관리 관행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59

< Ⅳ-7> 기업사회자본 변수의 신뢰성 분석 결과․60

< Ⅳ-8> 기업사회자본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62

< Ⅳ-9> 사회책임자본 변수의 신뢰성 분석 결과․63

< Ⅳ-10> 사회책임자본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64

< Ⅳ-11> 사회공익자본 변수의 신뢰성 분석 결과․65

< Ⅳ-12> 사회공익자본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66

< Ⅳ-14> 인적자원관리 관행이 네트워크 연결성에 미치는 영향․68

< Ⅳ-15>인적자원관리 관행이 비전 목표 핵심가치 공유에 미치는 영향, , ․68 표

< Ⅳ-16> 인적자원관리 관행이 동료신뢰에 미치는 영향․69

< Ⅳ-17> 인적자원관리 관행이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70

< Ⅳ-18> 인적자원관리 관행이 협력에 미치는 영향․71

< Ⅳ-19> 인적자원관리 관행이 단체참여에 미치는 영향․71

< Ⅳ-20>인적자원관리 관행이 고객에 대한 사회적 책임활동에 미치는 영향․72

< Ⅳ-21>인적자원관리 관행이 투자자에 대한 사회적 책임활동에 미치는 영향․73

< Ⅳ-22>인적자원관리 관행이 종업원에 대한 사회적 책임활동에 미치는 영향․73

(8)

표목차 v

< Ⅳ-23>인적자원관리 관행이 공급업체에 대한 사회적 책임활동에 미치는 영향․74

< Ⅳ-24>인적자원관리 관행이 경쟁업체에 대한 사회적 책임활동에 미치는 영향․75

< Ⅳ-25> 인적자원관리 관행이 공공기관 및 공익단체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76

< Ⅳ-26> 인적자원관리 관행이 언론 방송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77 표

< Ⅳ-27> 인적자원관리 관행이 지역사회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77

< Ⅳ-28> 기업사회자본이 기업혁신자본에 미치는 영향․78

< Ⅳ-29> 사회책임자본이 기업혁신자본에 미치는 영향․79

< Ⅳ-30> 사회공익자본이 기업혁신자본에 미치는 영향․80

< Ⅳ-31> 기업혁신자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81

< Ⅳ-32> 설문응답자의 일반적 사항․86

< Ⅳ-33> 기업사회자본 변수의 신뢰성 분석 결과․87

< Ⅳ-34> 기업사회자본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88

< Ⅳ-35> 사회책임자본 변수의 신뢰성 분석 결과․89

< Ⅳ-36> 사회책임자본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90

< Ⅳ-37> 사회공익자본 변수의 신뢰성 분석 결과․91

< Ⅳ-38> 사회공익자본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92

< Ⅳ-39> 기업혁신자본과 조직성과 변수의 신뢰성 분석 결과․93

< Ⅳ-40> 기업사회자본이 기업혁신자본에 미치는 영향․94

< Ⅳ-41> 사회책임자본이 기업혁신자본에 미치는 영향․95

< Ⅳ-42> 사회공익자본이 기업혁신자본에 미치는 영향․96

< Ⅳ-43> 기업혁신자본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96

< Ⅴ-1> 포스코 평생학습의 영역 및 내용․116

(9)

vi 그림목차

그림목차

[ ]

그림 본 보고서의 연구모형

[ I-1] ․5

그림 캐롤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 피라미드

[ II-1] ․13

그림 기업과 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들

[ II-2] ․21

그림 기업의 이해관계자 관점

[ II-3] ․22

그림 사회구조 및 기업의 사회적 자본의 수준

[ Ⅲ-1] ․24

그림 지적자본 모형의 발전 과정

[ Ⅲ-2] ․26

그림 모형

[ Ⅲ-3] Skandia ․27

그림 모형

[ Ⅲ-4] KMCI ․28

그림 본 연구의 사회적 자본 개념도

[ Ⅲ-5] ․32

그림 본 연구의 사회적 자본 구성도

[ Ⅳ-1] ․37

그림 기업의 사회적 자본 지수 측정지표의 계층구조

[ Ⅳ-2] AHP ․42

그림 기법을 이용한 기업의 사회적 자본 지수 측정결

[ Ⅳ-3] AHP ratings 과․50

그림 개념적 연구모형

[ Ⅳ-4] ․51

그림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모형

[ Ⅳ-5] ․52

그림 분석결과 요약

[ Ⅳ-6] ․82

그림 개념적 연구모형

[ Ⅳ-7] ․83

그림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모형

[ Ⅳ-8] ․83

그림 분석결과 요약

[ Ⅳ-9] ․97

그림 학습동아리와 조직성과

[ Ⅴ-1] ․104

그림 계층별 학습조직의 조직 및 운영

[ Ⅴ-2] ․111

그림 계층별 학습조직의 학습과정

[ Ⅴ-3] ․112

(10)

그림목차 vii

그림 추진 목적과 상반기 성과

[ Ⅴ-4] ․113

그림 학습 혁신활동 연계 메커니즘

[ Ⅴ-5] - ․117

그림 직무학습동아리의 활동 개념도

[ Ⅴ-6] QSS ․118

그림 평생학습체계 추진방향

[ Ⅴ-7] ․119

그림 학습동아리 운영 프로세스

[ Ⅴ-8] ․120

그림 학습동아리 운영 활성화 방안

[ Ⅴ-9] ․121

(11)

요약 ix

요약

연구개요 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모형과 측 정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방대한 기존. 문헌에 대한 검토와 실증분석을 통해 인적자원관리 관행들이 사회적 자 본의 구축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사회적 자본이 지식경영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외의 기업사례연구를 바탕으. 로 사회적 자본의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자원개발 정책과 관행을 파 악한다 특히 우리는 학습동아리. (Communities of Practice: CoP)의 활 동이 사회적 자본의 구축과 유지에 미치는 효과에 주목하고 국내의 모, 범적인 학습동아리 운영사례들을 발굴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내용 2.

본 연구에서 기업의 사회적 자본은 조직의 특정한 목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업구성원들 간의 관계 그리고 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 들과의 유대관계 속에 존재하는 무형의 자산 이라고 정의된다 따라서” . 우리의 접근방식은 전통적인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기업의 주요 이해관 계자들과의 관계를 중시하는 이해관계자 관점을 결합하려는 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측정모형에서 기업의 사회적 자본은 사회경영, 자본과 사회통합자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제안한다 사회경영자본은 다. 시 기업사회자본과 기업혁신자본 그리고 사회통합자본은 사회책임자본, 과 사회공익자본이라는 하부영역으로 구분된다.

(12)

x 요약

먼저 기업사회자본은 조직 구성원들 간의 관계에서 생성되는 사회적 자본을 의미한다 기업혁신자본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혁신자본이며. , 기업의 사회적 혁신역량을 의미한다 사회통합자본은 기업과 주요 이해. 관계자들과의 관계로부터 생성되는 무형자산을 의미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론을 원용하여 직접적인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는 사회책임자본, 간접적인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는 사회공익자본이라고 구분할 수 있다.

특히 사회통합자본은 지적자본 혹은 사회적 자본 연구에서 아직까지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지 않고 있으나 사회책임경영에 대한 사회적 요구 의 증대와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현실에서 향후 기 업의 사회자본지수를 측정할 때 중요한 지표가 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유한킴벌리 대전공장과 대구은행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을 통해 사 회적 자본과 지식활동을 통한 혁신 및 학습역량 조직성과 간의 인과관, 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신뢰에 기반을 둔. 조직구성원들 간의 관계가 지식의 교환과 결합을 촉진시켜 궁극적으로 조직성과에 기여하게 될 것이라는 기존의 이론적 연구들을 뒷받침하고 있다 아울러 유한킴벌리 대전공장을 대상으로 한 인적자원관리 관행과. 사회적 자본 그리고 조직성과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도한 결과 기업의, , 사회적 자본을 축적하고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공식적인 인적자원계획의 수립과 운용 안정적이고 협력적인 노사관계 그리고 고용안정을 실현하, , 는 고용 관행을 실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지식경제시대에 조직의 구성원들이 보유하고 있는 지식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려는 기업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최. 근 학계와 경영계에서 학습동아리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이유는 학습 동아리 회원들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의 창출과 공유가 이루 어지고 이렇게 구축된 지식이 조직 지식으로 축적된다면 조직성과에 긍, 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 이르러 국내 기업들도 학습동아리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13)

요약 xi

있으며 일부 선도적 대기업은 조직 내의 학습동아리 활동에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학습동아리는 기존의 학습조직과 지식경. 영의 한계와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유력한 대안이며 지식근로자 육, 성을 위한 평생학습체제의 구축에 있어서도 유용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 시한다 무엇보다도 우리가 학습동아리에 주목하는 이유는 학습동아리가. 기업의 사회적 자본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한국적 경영을, 실천하는 데 유력한 동인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한킴벌리 대전공장 포스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 학습동아리 활동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여 학습동아리의 활동이 사, 회적 자본과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 었다.

세기에 성공하는 기업은 인간적 관심이 충만한 기업이다 사회적 자

21 .

본의 수준이 높은 기업은 신뢰와 연결과 관심의 관계를 장려하고 지원하 는 기업이다 이제 사회적 자본은 한 기업의 지속적인 경쟁우위의 확보. 는 물론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가능케 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14)

xii 요약

(15)

제1장 서론 1

제 1 장

서 론

제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최근 우리 사회에서도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는 개인 조직 지역 국가 등 다양한 분석수준에. , , , 서 연구가 가능하다 그런데 기존의 사회학 정치학 경제학 경영학 등에서의. , , , 사회적 자본 연구는 주로 개인 지역 국가 수준에 초점을 두고 있다, , .

기업조직에 대한 사회적 자본 연구가 활발하지 않았던 이유 중의 하나는 20 세기 초의 기계론적 경영 모델과 사람을 사람이 아닌 기계의 톱니바퀴처럼 보 는 경영자의 시각과 관련이 있다 과거 헨리 포드는 내가 필요로 하는 것은. “ 노동력뿐인데 도대체 왜 온전한 인간을 고용해야 하는가 라고 말하며 안타까?”

워했다고 한다.1) 그러나 지금 우리는 헨리 포드를 괴롭게 만들었던 바로 그 근로자의 인간성(humanness)이 기업 가치의 가장 중요한 원천으로 인식되는 지식경제에 살고 있다 복잡성 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기업조직을 유기적인 관. 점에서 바라보고 기업생태계에서의 살아있는 유기체로 파악하는 새로운 경영 이론이 등장하고 있다 지식경영 분야에서도 초기의 기술에 기반을 둔 접근방.

1) “How come when I want a pair of hands, I get a human being as well?” Lewin and 쪽에서 인용

Regine(2001), 11 .

(16)

2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

법의 문제점과 한계가 드러나고 있으며 지식의 사회적 문화적 차원에 주목하, ․ 는 지식경영 이론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사회적 자본에 대한 조. 직 수준에서의 연구는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 연구 분야이다.

그러나 최근 학자들 간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활발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개념상의 모호함 이론적 치밀함의 결어 실증적이고 경험적인 연구의 부족

“ , , ,

혹은 측정의 어려움 구혜정( , 2002: 276)” 등으로 사회적 자본에 대한 논의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이 남아 있다 특히 지역 국가 수준에서의 사회. ․ 적 자본의 개념과 사회적 자본을 측정하는 모형 및 지표개발은 세계은행과 와 같은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축적되었지만 기업조직의 사

OECD ,

회적 자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모형과 측정지표의 개발은 아직 초보적인 단 계에 머무르고 있다.

이런 배경 하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모형과 측정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방대. 한 기존 문헌에 대한 검토와 실증분석을 통해 인적자원관리 관행들이 사회적 자본의 구축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사회적 자본이 지식경영과 조직성과에 미, 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외의 기업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적. 자본의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인적자원개발 정책과 관행을 파악한다 특히 우. 리는 학습동아리(Communities of Practice: CoP)의 활동이 사회적 자본의 구 축과 유지에 미치는 효과에 주목하고 국내의 모범적인 학습동아리 운영사례들, 을 발굴하여 제시하고자 한다.2)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자본을 기업환경의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따라 포 괄적으로 개념화하고 새롭게 확장된 개념에 바탕을 두고 사회적 자본을 측정 하려는 최초의 연구이기에 학문적으로 의의가 있는 연구이다 아울러 정책적인. 차원에서도 기업의 사회적 자본 측정지표의 개발과 사회적 자본의 구축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 연구는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전략과 국가적 인적자원정책 수립에 유용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2)학습동아리(Communities of Practice: CoP)는 학자들에 따라 실행공동체 장영철( , 2003),실천공 동체 유영만( , 2006),학습공동체 박노윤( , 2004)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번역이 되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국내 기업들의 관행에 따라 학습동아리라고 부르기로 한다.

(17)

제1장 서론 3

제 절 연구의 내용 2

기업의 사회적 자본은 다차원적인 개념이다.3) 따라서 학자의 연구목적과 접 근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개념화할 수가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사회적. 자본을 조직구성원 간의 신뢰 규범 네트워크 등 인간관계 속에 존재하는 무, , 형의 자산이라고 정의하여 사회적 자본의 영역을 조직 내부로 좁게 한정하고 있다(Nahapiet and Ghoshal, 1998). 일부 연구에서는 근로자 간 혹은 노사 간 의 상호신뢰를 사회적 자본이라고 정의하여 사회적 자본을 느슨하게 정의하고 있다 예를 들어 송일호( , , 2005).

우리는 지식기반조직과 네트워크경제의 도래로 인해 사회적 자본의 개념도 보다 확장되고 진화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기업은 기업생태계에서 조직 내외. 부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공생의 관계를 맺고 있다.4) 본 연구는 사회적 자 본을 지적자본의 한 구성요소로 파악하는 기존의 접근방식을 따르지만 기업의, 사회적 자본을 변화하는 기업환경과 사회적 요구에 따라 포괄적으로 개념화하 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자본을 조직의 특정한 목표에 긍정적인. “ 영향을 미치는 조직구성원 간의 관계 그리고 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들과의, 유대관계 속에 존재하는 무형의 자산 이라고 정의한다 여기서 이해관계자들” . 은 종업원 고객 투자자 공급자 제휴 경쟁기업 등 기업과 직접적인 이해관계, , , , 를 맺고 있는 이해관계자들과 정부 시민단체 지역사회 등 기업의 간접적인, , 이해관계자들을 모두 포함한다.

본 보고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제 장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 2 이 있는 사회적 자본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및 이해관계자 관리 이론에 관한 전반적인 선행연구 결과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제 장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3

3)본 연구는 제 장 기존 연구의 검토 의 내용을 제외하고는 개인 수준이 아니라 조직 수준의 사회2 ( ) 적 자본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자본은 기업의 사회적 자본을 의미한다. .

4)최근 국내에서는 삼성경제연구소를 중심으로 복잡성 경영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 다 삼성경제연구소( , 1997;윤영수채승병, 2005;최희갑, 2006).국내외 사례연구로는 이장우이민 (2000), Lewin and Regine(2001), Moore(1996)등을 참조하기 바람.

(18)

4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

자본에 관한 개념화와 분석모형을 제시한다 제 장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자본. 4 측정지표를 개발하고 기업 단위의 설문조사를 통해 사회적 자본과 지식경영, , 그리고 조직성과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제 장에서는 학. 5 습동아리의 활동이 조직 구성원들 간에 사회적 자본을 구축하여 지식경영과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이론적 논의와 함께 국내의 모범, 적인 학습동아리 운영사례들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제 장에서는 이상의 논. 6 의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린다.

제 절 연구의 방법 3

본 연구기간 동안 우리는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들(research questions)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기업의 사회적 자본 개념을 어떻게 정의내릴 수 있는가

(Q1) ?

기업의 사회적 자본 수준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인가

(Q2) ?

사회적 자본의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특히 인적자

(Q3) ? ,

원관리 관행 고용관행 은 사회적 자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 사회적 자본이 지식경영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무엇인가

(Q4) ?

사회적 자본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효과적인 경영정책과 관행은 무엇 (Q5)

인가 특히 사회적 자본을 구축하고 유지하는 데 효과적인 인적자원개발 관행? , 은 무엇인가?

(19)

제1장 서론 5

[그림 I-1] 본 보고서의 연구모형

사회적 자본의 영향요인

기업사회자본 기업혁신자본 사회통합자본 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본 사회적 자본

지식경영 조직성과

이 가지 연구 질문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고 사회적 자본을 연구하는 데 핵5 , 심적인 연구주제들이다 본 보고서에서. (Q1)의 질문은 제 장과 제 장에서 다2 3 루고 있다. (Q2), (Q3), 그리고 (Q4)의 질문은 제 장의 핵심적인 연구주제이4 다 마지막으로. (Q5)의 질문은 제 장에서 다룰 것이다5 .

물론 연구기간의 제한으로 이 중요한 연구주제들을 한 보고서에서 모두 심 층적으로 다루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그래서 일부 연구 질문에 대해서는 선. 택적인 연구만을 시도하였다 예를 들어 기존 문헌에 의하면 사회적 자본의. ,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다양하다 그러나 연구진의 주된 관심분야가. 인적자원관리와 지식경영이기 때문에 인적자원관리 인적자원개발 포함 관행( ) 이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만을 분석할 것이다 또한 사회적 자본을 구축하. 고 유지하는 데 효과적인 경영정책과 관행들도 다양하겠지만 최근 학계와 경, 영계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학습동아리 활동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 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 기업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방대한 기존 연구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거쳐 사회적 자본의 측정지, 표 개발을 위한 설문지를 개발한다 설문지에는 기업의 사회적 자본을 측정하. 기 위해 각 하부영역에서의 세부 평가지표가 포함되어 있다.

설문지 초안에 대한 이 분야 전문가들의 자문과 예비조사를 병행하여 실시 하고 측정도구에 대한 정화작업이 완료된 후 개의 제조업체와 개의 서비스, 1 1 업체를 선정하여 기업 단위의 본격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20)

6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

사회적 자본의 수준이 높다고 평가되는 유한킴벌리 대전공장과 지식경영과 지 속가능경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대구은행을 대상으로 기업 단위의 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5) 유한킴벌리 대전공장의 경우에는 인적자원관리 관행 들이 사회적 자본의 구축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고 대구은행의, 경우에는 사회적 자본의 각 영역이 지식경영에 미치는 효과를 중점적으로 살 펴본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자본지수를 개발하기 위해 전문가를. 대상으로 계층분석과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이용하고자 한 다. AHP는 평가지표체계에 포함되어 있는 지표들이 다수이며 복합적이어서, 의사결정에 있어서 체계적인 비교를 하기가 쉽지 않은 경우 의사결정 문제를 단순화 체계화시킴으로써 합리적인 의사결정도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국의 기업사례는 기존의 방대한 문헌을 참조할 것이다 국내의 기업사례. 연구를 위해 유한킴벌리 대전공장 포스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학습동아리, , 활동에 대한 심층적인 면담조사도 실시한다 사례연구의 주요 목적은 학습동아. 리의 활동과 사회적 자본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5)예를 들어 김장호, (2004)는 유한킴벌리 사례는 인본주의 기업패러다임의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는 소중한 사례라고 높이 평가하고 있다.

(21)

제2장 기존연구의 검토 7

제 2 장

기존연구의 검토

이 장에서는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이 있는 사회적 자본 기업의 사회적 책, 임 그리고 이해관계자 관리 이론에 관한 국내외의 선행연구 결과를 전반적으 로 검토하고자 한다.

제 절 사회적 자본 1

지식기반사회에서는 기업의 가치가 자본 등과 같은 유형 자산보다는 그 자 산을 이용하는 데 필요한 기업의 핵심역량과 연관된 무형의 지적 자산에서 창 출되는 가치로 변환되고 있기 때문에 기업의 경쟁력 평가에서도 유형 자산보, 다는 조직 구성원의 지식 고객 및 공급업체와의 관계 경쟁기업과의 전략적, , 제휴 학습조직 프로세스 혁신 등과 같이 기업의 핵심역량을 구성하는 무형자, , 산 평가항목들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다 최근에는 윤리경영 및 환경경영과. 같이 기업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에 대한 요구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어 이, 러한 분야에서도 핵심역량을 갖추기 위한 기업들의 노력이 서서히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전통적으로 조직의 성과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기업의 기술,

(22)

8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

력을 포함하는 인적 자본과 재무적 자본 등이 중시되어 왔으나 최근에 와서는, 이에 추가하여 조직 구성원들 간의 신뢰관계에 의해서 형성된 사회적 자본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으며 여러 학문분야에서 이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되고 있다.

사회적 자본이란 경제주체들 간의 신뢰와 지원관계에 의해 형성되는 자산이 다 사람들은 가족 친척 동창 기타 다양한 타인들과 관계를 맺는다 사람들은. , , , . 그들이 지속적으로 접촉하는 일부의 타인들만 신뢰하고 지원하며 일부의 타인, 들에게만 지원을 요청한다 따라서 유대관계 네트워크에 포함되어 있거나 이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이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개인의 인. 적 유대관계가 경쟁우위의 원천이 될 때 그 유대관계를 그 사람이 가진 사회, 적 자본이라고 한다.6)이상의 논의에 의하면 사회적 자본은 특정 경제주체가, “ 자신의 사회적 유대관계를 통해 접근 확보할 수 있는 자신의 목적달성에 도․ , 움을 주는 무형자산의 집합 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경묵” ( , 2006).7)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는 경제개발이론으로부터 파생된 연구 윤리 및 사, 회적 책임 관점에서의 연구 기업지배구조 관련 연구 그리고 지적자본 관련, , 연구 등 크게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4 (Bueno et al., 2004).

먼저 경제개발이론과 관련한 기존 연구에서는 신뢰 조직시민행동 그리고, , 결합이 사회적 네트워크를 강화시키고 지속적인 경제개발을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Putnam, 1993; Knack and Keefer, 1997; Stiglitz, 1998).윤리 및 사회적 책임에 관한 기존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이 사회 전체와 구성원들 의 관점에서 사회적 통합과 책임의 정도를 나타내며 신뢰 협력 안전 원칙, , , , , 윤리 타협 등과 같은 가치 및 태도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Coleman, 1990; Newton, 1997; Chang, 1997; Kawachi et al., 1997; Bullen 기업지배구조와 관련한 기존 and Onyx, 1998; Joseph, 1998; Baron, 2001).

연구에서는 윤리적인 기업지배구조가 사회적 자본의 창출에 영향을 미치며 연,

6) 물론 한 집단 내의 강력한 네트워크와 신뢰관계가 집단의 구성원에게 항상 이롭지만은 않다는 측면에서 사회적 자본의 부정적인 효과를 지적하는 연구들도 있다 이영현( , 2006).

7)사회적 자본에 관한 다양한 정의에 대해서는 Adler and Kwon(2002), Lesser(2000), Vilanova 등의 문헌을 참조하기 바람

and Josa(2003) .

(23)

제2장 기존연구의 검토 9

대성을 고취시키고 시장의 불완전성을 극복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Sen, 1997;

마지막으로 지적자본과 관련한 기 Zingales, 2000; Rajan and Zingales, 2000).

존 연구에서는 사회적 자본이 지적자본의 한 구성요소로서 신뢰 충성 성실, , , 타협 투명 연대 책임 진실 윤리 등과 같은 가치에 기반하고 있다고 본다, , , , , (Nahapiet and Ghoshal, 1998; Koening, 1998; Lesser and Prusak, 1999;

Lesser, 2000; Cohen and Prusak, 2001; Lesser and Cothrel, 2001; McElroy, 2001; Bueno et al., 2004).

사회학 정치학 분야의 활발한 연구에 비해 경영학 분야에서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이다.8) 최근 경영학 분야에서 대표적인 연구들을 간단히 살펴보자.

먼저 Adler and Kwon(2002)은 기업 관점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광범위한 문헌연구을 통해 사회적 자본이 조직 구성원의 경력 성공과 경영자의 보수에 영향을 미치고 부서내 자원의 교환과 제품 혁신을 촉진시키고 이직률을 감소, , 시키며 기업가정신 및 신생기업의 형성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 다 또한 사회적 자본은 공급자 관계 지역생산 네트워크 기업내 학습 등을 강. , , 화한다고 주장한다.

아마도 조직의 사회적 자본 분야에서 가장 대표적인 연구로는 Nahapiet and

의 연구를 들 수 있다 은 구조적

Ghoshal(1998) . Nahapiet and Ghoshal(1998)

차원 관계적 차원 인지적 차원의 사회적 자본이 지적자본의 결합과 교환을, , 유발하여 새로운 지적자본이 창출된다는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구조적 차원의 사회적 자본은 특정 사회시스템이나 유대관계 네트워크 자체의 특성에 관한 것이다 사회적 자본의 구조적 차원은 기업 내부 구성원들 간의. 관계에 근거하여 기업의 사회적 자본을 정의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관계적 차.

8)사회학과 정치학에서 사회적 자본에 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유석춘( , 2003: 20).하나는 공동체나 집단 전체의 정치문화나 조직의 특성을 거시적으로 접근하는 방 향이고 다른 하나는 개인이나 집단이 형성하는 관계의 패턴을 미시적으로 접근하는 방향이다, . 미시적인 접근은 최근 사회연결망 분석이라는 매우 계량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김용학( , 손동원 반면에 거시적인 접근은 설문에 기초한 대규모 사회조사 결과를 역사적 맥 2003; , 2002).

락에서 해석하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다 이 분야의 고전적인 연구들은 유석춘 외. (2003) 에 수록된 논문들을 참조하기 바란다

Lesser(2000) .

(24)

10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

원의 사회적 자본은 신뢰 규범과 상호규제 상호의무와 기대 서로에 대한 동, , , 일화 등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인지적 차원의 사회적 자본은 서로 유대관계. 를 가지는 사람들이 공유하고 있는 의미체계 언어와 코드 전설과 일화 등의, , 문화를 포함한다. Tsai and Ghoshal(1998)은 이러한 이론에 근거하여 사회적 자본은 자원의 교환 및 결합에 영향을 미치며 혁신을 창출한다는 연구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은 조직 내에서 사회적 자본을 촉진 혹은 억 Leana and Van Buren(1999)

제하는 주요 기제로서 고용관행을 제시하고 고용관행 안정적 관계 강력한 규, ( , 범 구체화된 역할 을 통한 사회적 자본 협력 신뢰 의 형성이 조직의 성과에, ) ( , )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개념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McElroy(2001)는 의 연구와 같이 사회적 자본을 지적자본의 한 구 Nahapiet and Ghoshal(1998)

성요소로 파악하고 있지만 사회적 자본은 기업내 사회자본, (intrasocial

기업간 사회자본 그리고 사회혁신자본

capital), (intersocial capital), (social 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하여 보다 확장된 개념을 제시 innovation capital)

하고 있다.9) 최근 Bueno et al.(2004)의 연구는 사회적 자본이 사회통합자본 과 사회혁신자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먼저 사회통합자본. (social 이란 기업과 사회시스템 간의 관계로부터 도출된 무형자산 integration capital)

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나타내는 무형자산이다 사회, . 혁신자본(social innovation capital)이란McElroy(2001)가 제시한 사회혁신자 본과는 다른 개념으로 사회시스템의 변화와 진보를 위해 도입된 새로운 기업, 개념과 연결된 자본을 의미한다.

기업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사례연구로는Cohen and Prusak(2001)이 대표 적이다.

기업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국내의 선행연구들도 역시 개념적 이론적 논의, 에 머무르고 있다 김재구 외( , 2000; 송일호, 2005; 이경묵, 1996; 정명호 오․ 홍석, 2005).이경묵(1996)은 기업의 사회적 자본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

9)McElroy(2001)와 다음에 언급하는Bueno et al.(2004)의 연구는 제 장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검3 토할 것이다.

(25)

제2장 기존연구의 검토 11

펴보고 있다 하나는 기업 그 자체가 가진 다른 조직과의 유대관계이고 다른. , 하나는 기업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외부와의 인적인 유대관계이다 김재구. 외(2000)의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자본을 다음과 같이 크게 가지로 나누3 어 구분하고 있다 첫째 기업 구성원간의 의미의 공유 지원과 신뢰관계이다. , , . 둘째 기업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외부와의 인적인 유대관계이다 셋째 기업, . , 그 자체가 가진 다른 기업과의 유대관계이다 첫 번째 개념은 기업 내부 구성. 원들 간의 관계의 특성에 기반을 두고 있고 두 번째와 세 번째의 개념은 구성, 원이나 기업 그 자체가 갖는 외부인 혹은 다른 기업과의 관계구조에서 생성되 는 사회적 자본이다.

실증적인 연구로는 Nahapiet and Ghoshal(1998)이 제시한 사회적 자본의 개념을 이용하여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새로운 지적자본 창출에 미치는 영향 을 분석한 박순미(2000)의 연구가 있다 이 연구는 한국통신의. 655명 개 부98 서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시도하여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지식의 교환 및 결, 합 활동 및 새로운 지적자본 창출능력에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 고 있다 김병규. (2004)는 구성원의 사회 경제적 배경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 , , 조직분위기 단체참여 및 활동단체를 선행요인으로 하여 신뢰 호혜적 규범 집, , , 단내 협력 및 정보공유 등의 사회적 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 고 있다.

최근 장영철(2003, 2004)의 연구는 지식경영을 위한 인적자원개발 및 관리 체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기업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국내외의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아직까지 체계 적인 분석모형과 측정지표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따라서 사회적 자본의, 영향요인 분석이나 사회적 자본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과 같은 본격 적인 실증연구는 실시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된다.

(26)

12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

제 절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이해관계자 관리 2

기업의 사회적 책임 1.

최근 국내에서도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규제완화와 시장경쟁의 격화 다국적 기업의 사회경제적 권력의 증대 지구환, , 경문제에 대한 관심 고조 시민단체의 영향력 중가 등 기업경영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기업들로 하여금 사회적 책임 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게 만들고 있다 국내에서도 외환위기 이후 심화되고 있는 사회경제적 갈등이 경제주체의. 한 축을 구성하고 있는 대기업에 대한 불신으로 표출되고 있으며 사회로부터, 기업의 사회적 책임 수행에 대한 요구가 점차 거세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상민 최인철

( ․ , 2002).10)

지난 반세기 동안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정의는 계속 변화하고 확장되 어 왔다.11) 그런데 경영학자Carroll(1991)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경제적 책 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의 가지 영역으로 분류하고 있다 우, , , 4 . 선 경제적 책임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 가장 기본적인 책임이며 기업은 사, 회의 기본적인 경제단위로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할 책임을 지고 있다는 의 미이다 법적 책임이란 기업이 법적 요구사항의 구조 내에서 경제적 임무를 수. 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윤리적 책임은 법으로 규정되어 있지는 않지만 기업에. 게 사회의 일원으로 기대하는 행동과 활동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자선적 책.

10)기업의 사회적 책임에는 많은 세부 분야가 있지만 일반적 유형화에 따른 범주에는 투명경영 및 윤리경영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 사회책임투자, 인권 및 노동권 종업원 고용보장 고( , 용평등 최저임금 준수 교육훈련 강화 노조활동 보장 등, , , ), 지역의 환경보호를 위한 환경중 시경영, 기업 활동의 다국적화 및 아웃소싱 확대에 따른 공급업체들에 대한 책임 등이 있다

이장원 ( , 2006).

11)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최초의 학문적 정의는Bowen(1953)에 의하여 내려졌는데 그는 기, 업의 사회적 책임을 사회의 목적과 가치관에 부합하는 정책을 추구하고 결정을 내리며 또 행 , , 동을 취해야 할 기업인의 의무 라고 정의하였다 이후 학자들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 다양한 정의를 내리고 있는데, Coleman(1990)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른 사회 구성원들의 이익과 권리를 고려한 기업의 책임 있는 행동 이라고 폭 넓게 정의하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 책임의 정의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는 이장원 외(2006)의 연구를 참조하기 바란다.

(27)

제2장 기존연구의 검토 13

임은 기업의 개별적 판단이나 선택에 맡겨져 있는 책임으로서 사회적 기부행 위 등 자발적 영역에 속하는 것이다 이렇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영역을 가. 4 지로 분류하면서 그녀는 경제적 책임이 가장 기본이며 그 다음으로 법적 책임, ,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의 순으로 우선순위를 상정하고 있다, .12)

[그림 Ⅱ-1] 캐롤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 피라미드

자선적 책임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지역사회 공헌

윤리적 책임 (Ethical Responsibility)

윤리적 기준 준수

법적 책임 (Legal Responsibility)

법 규제 준수

◎ ․

경제적 책임 (Economic Responsibility)

이익 극대화

문용갑 김월화․ (2005)는 Carroll(1991)이 제시한 이론적 틀을 바탕으로 우 리나라 국민의 기업의 가지 책임에 대한 지향 분석이라는 흥미로운 연구를4 시도하고 있다 이들이 사용한 자료는. 2004년에 성균관대학교 서베이리서치센 터에서 수행한 한국종합사회조사이며 조사대상자는 전국의 만 세 이상 성, 18

12) Carroll(1991)은 경제적 책임이 제일 중요하며 이것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에, 는 기업의 이윤 창출은 도덕적으로나 법적으로 정당한 방법에 의한 것이어야 하기 Wood(1991)

때문에 기업의 경제적 책임에 앞서 윤리적 책임과 법적 책임이 우선적으로 중요하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28)

14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

인2,000명이다 한국종합사회조사에는 귀하는 기업이 국민의 호감을 얻는데. “ 다음과 같은 사항이 어느 정도 중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문항이 있는데?” , 이 연구는 이 문항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국민들이 기업의 가지4 책임에 대해 부여하는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고 있다.13) 구체적으로 분석, 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 국민들은 기업의 법적 책임을 가장 중요시하고 그 다 음으로 윤리적 책임 경제적 책임 자선적 책임의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 것으로 나타났다.

이 분석결과는 년 전 정성호10 (1996)가 수행했던 연구의 결과와는 대조를 보이고 있다 그는. 600여명의 여론주도층을 대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 한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조사에는 이상적인 대기업이 갖추어야 할 요건.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 하는 문항이 있다.14) 이 문항에 대해 당시 응답 자들은 기술개발 및 품질개선 노력 국가 경제발전 기여도 세계 일류기업과의, , 경쟁력 등 기업 본연의 임무라고 할 수 있는 경제적 책임을 우선적으로 중요시 하고 있다 이에 반해 사회공익사업에 대한 공헌 환경보전 및 자연보호 노력. , 에 대해서는 비교적 낮은 기대감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에 대해 그는 아직. 까지 우리나라에는 경제성장의 주역으로써 경제적 책임을 다하는 것이 기업의 주된 역할이라는 고전적인 견해가 아직까지 강하게 남아 있고 또한 기업의 사, 회적 책임에 관한 논의가 아직까지 우리 사회에서 활성화되지 못한 상황을 반 영하고 있다고 해석한다.

문용갑 김월화․ (2005)의 연구와 정성호(1996)의 연구는 조사대상자의 범위 와 구체적인 설문문항에 있어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이런 방법론상의 차이를. 감안하더라도 두 연구의 분석결과를 비교해 보면 외환위기 이후 경제적 책임, 에 앞서 법적 윤리적 책임을 우선시하는 방향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우리나라 국민들의 인식이 전환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다.

13)이 문항에 대한 여러 응답들 중에서 수출 증대와 고용 증대 및 좋은 상품의 생산은 경제적 책 임 정직한 납세는 법적 책임 투명한 경영 및 환경 보호는 윤리적 책임 사회봉사는 자선적 책, , , 임을 반영하고 있다.

14)이 문항에 대한 응답으로는 국가 경제발전 기여도 기술개발 및 품질개선 노력 고객 소비자 중, , / 시 최고 경영자 등 경영진의 우수성 세계 일류기업과의 경쟁력 신뢰감 환경보전 및 자연보호, , , , 노력 사회공익사업에 대한 공헌 등이 있다, .

(29)

제2장 기존연구의 검토 15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국제적 동향을 살펴보면 이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단순한 논의의 차원을 넘어 국제적 규범화의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15) 1990 년대 들어UN 등의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윤리 라운드가 추진되고 있다 윤리. 라운드의 추진으로 기업으로 하여금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천하고 그 실적을 평가할 수 있도록 제시한 표준지침이 등장하였고 많은 기업들이 이 기준에 의, 해 사회적 성과에 관한 보고서를 매년 작성하여 제반 이해관계자들에게 배포 하고 있다 대표적인 기준으로. UN의 지구협약(Global Compact), GRI(Global

그리고 이 있다

Reporting Initiative), ISO 26000 .

우선UN사무총장 코피 아난이1999년에 제안하여2000년에 지구협약이 공 식적으로 출범하였다 지구협약의 목표는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기업경영. . 전략과 그 이행과정을 통해 지구협약의 기본 원칙이 시장에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 다양한 산업과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협력하여 해결하도록 촉진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구협약에 참여한 회원사들은. 회원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 인권 노동 환경 반부패 분야의 가지 기본 원칙, , , 10 을 준수해야 하고 연간 보고서나 다른 공식적인 문서로 지구협약 원칙의 이행, 상황을 주기적으로 공개해야 한다.16)

는 유엔환경계획 의 산하기관으로 년에 설립되었고 네덜란

GRI (UNEP) 1997 ,

드 암스테르담에 본부를 두고 있다 이 국제기구는 여러 이해관계자들의 참여. 과정을 통해 표준화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 작성을 위한 국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려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현재. GRI가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은 가장 일 반적으로 사용되는 보고서 가이드라인으로 경제적 수익성 사회적 윤리성 환, , 경적 건전성 등 소위 세 개의 축‘ (triple bottom lines)’에 따른 경영활동을 공 개하고 이를 통해 지속가능경영에 대한 의지를 공유하고자 하는 보고 기준이 다.17) 전 세계적으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의 발간은 꾸준히 확산되는 추세를

15)이하CSR의 국제적 동향에 관한 논의는 이장원(2006)과 이장원 외(2006)의 연구를 참조하였다. 16) 2006년 월 현재 국내 기업 중에서는 개사가 등록되어 있는데 한국전력공사 한국토지공사8 11 , , ,

한국중부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동서부발전 한국남동부발전 대구은행 대우증권 에코프론티, , , , , , 어 웅진코웨이 우리은행 등이다, , .

17) 세 개의 축이란 기존의 재무적 이익을 의미하는 하나의 축 (single bottom line)' 경영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용어로 경제 사회 환경 등 세 가지 성과를 함께 극대화하는 경영을 의미한다, , ,

(30)

16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

보이고 있다. 2006년 월 현재 전 세계 개국3 51 814개 기업이GRI의 보고서 가 이드라인에 따른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공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한, 국전력 삼성, SDI, 현대자동차 등 개 기업이12 GRI에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등록하였다.

주요 선진국 및 국제기구를 중심으로CSR의 표준화가 진행됨에 따라 각국 의 상이한 표준이 새로운 무역장벽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는SR표준 가이드라인ISO 26000을 제정하기 위해 현재 작업을 하고 있다. ISO 26000은 CSR에서 C(Corporate)를 삭제하 여 기업 이외에 정부 노동조합 시민단체 등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사회적 책, , 임(SR)가이드라인의 제정을 추진하는 것이다 따라서. ISO 26000은 기본적으 로 모든 형태의 조직에 적용될 수 있는 규격이 될 것이다 향후. ISO는2006년 에ISO 26000의 차 초안을 완료한 후1 2008년 월에 표준규격을 발간할 예정10 이다.

이장원 외(2006)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제기구와 국제NGO의 규 범 환경의 조성과 더불어 실제로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도록 촉진시 킬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내부적 메커니즘은 사회책임투자(SRI) 운동이라고 주 장한다 사회책임투자는 기업의 지배구조와 의사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행사. 할 수 있는 수단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그런데 사회책임투자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연기금의 역할이 중요하다 이미. 영국 등 유럽의 선진국에서는 연기금의 운용에 있어 사회책임투자 원칙을 제 도화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향후 공적 연기금의 누적 적립금 규모가. 자본시장에서 차지하는 엄청난 비중을 고려할 때 공적 연기금의 운용에 있어, 사회책임투자의 원칙이 강력하게 적용된다면 사회책임경영을 더욱 촉진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보인다.18)

결론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내외의 동향을 살펴보면 기업의,

이원재 ( , 2006).

18)기업의 사회적 책임 패러다임의 확산이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흥미로운 연구주제이다 이장. 원 외(2006)는 단체교섭 등을 통한 지속가능경영 보고서의 공동 검증 절차에 노조가 참여하고, 사회책임투자 운동에 있어서도 노조의 전략적 역할이 확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31)

제2장 기존연구의 검토 17

역할과 영향력이 점차 증대함에 따라 사회책임경영에 대한 사회적 기대수준 또한 높아지고 있는 현실을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 한 요구가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추세를 고려할 때 이에 대해 방어적으로 대응 하기 보다는 사회책임경영을 전략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기업의 장기적 이익과 지속가능한 성장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19)

이해관계자 관리 이론 2.

앞에서 살펴본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논의가 주로 규범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면, 1990년대에 들어 전략경영 분야에서 활발하게 논의가 되 고 있는 이해관계자 관리(stakeholeder management) 이론은 보다 도구적인 관점에서 접근을 하고 있다 이해관계자 관리 이론의 핵심적인 명제는 조직의. “ 부(organizational wealth)는 모든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로부터 창출될 수 있 다 는 것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이해관계자 관리 즉 상호 이익을 위해 이해관” . , 계자들과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조직의 성공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이다.

이해관계자 관리 이론은 관계 중심적인 관점과 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의 이익을 중시하는 가치관을 보여준다 이장원 외( , 2006). 이런 측면에서 이해관 계자 관리 이론은 사회적 자본의 새로운 개념을 정립하려는 우리에게 유용한 이론적 관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이 이론의 발전 과정과 핵심적인 내. 용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19)Batstone(2003)은 영혼이 있는 기업 에서 기업의 사회책임경영에 관한 가지 원칙들을 제시8 하고 있다 리더십과 지배구조 투명성과 윤리경영 지역사회와 소속감 고객만족과 신뢰 사원: , , , , 존중과 인정 환경보호와 책임 평등과 다양성 세계화와 인권존중 구본형은 이 원칙들을 가지, , , . 3 핵심 개념으로 압축하고 있다 구본형( , 2005: 349-352). 첫째 자신의 이해관계를 조직의 이해관, 계와 일치시키는 것이다 조직의 모든 구성원은 개인의 이해와 조직의 이해를 병존할 수 있는. 정신적 태도와 방식으로 일을 해야 한다 둘째 기업은 스스로 시장의 일부가 아닌 보다 커다란. , 지역공동체의 일부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기업은 이 땅에서 벌었으니 그 이익을 이 땅에 있. 는 사람들과 나누어야 하며 훌륭한 직원은 반드시 먼저 훌륭한 기업시민이어야 한다 셋째 기, . , 업의 모든 이해관계자들 곧 직원 고객 주주 관련 업체 종사자 지역주민 등에게 중요한 경영, , , , , 정보를 투명하고 적절하게 공개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32)

18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

이장우(2004)에 의하면 전략경영은 그 동안 년을 주기로 새로운 이론적, 10 관점들을 만들어 내면서 경영현상을 독특한 시각으로 조망하고 유용한 경영정 책을 제시하는 경영학의 한 분야로 성장하였다 첫 번째 관점은. 1980년대 마이 클 포터 교수가 제시한 산업구조 관점(industry structure view)이다.20)이 이 론은 특정 산업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수익성을 내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규명 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으며 사업의 위치선정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경쟁우, 위가 결정된다고 본다 두 번째 관점은. 1990년대에 등장한 자원기반 관점

이다

(resource-based view) .21) 이 이론에 의하면 기업은 가치 있고 모방하기 어려운 자원능력을 보유함으로써 경쟁우위를 획득할 수 있으며 기업의 지속성, 을 유지해주는 것은 바로 기업이 확보하고 있는 유무형의 자원이다.

산업구조 관점과 자원기반 관점의 기업이론은 모두 경제학적 분석에 기반을 두고 있는데 두 이론적 관점의 특성들을 서로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이장, ( 우, 2004: 115-119).

첫째 산업구조 관점은 한 기업이 산업 내에서 위치선정, (position)을 어떻게 설정하는가에 따라 그 기업의 경쟁우위가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반면에 자원기. 반 관점은 개별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의 이질성(heterogeneity)의 정도 에 따라 경쟁우위가 달라진다고 본다 기본적으로 산업구조 관점이 기업 외부. 적 요인을 중시하고 있는 반면에 자원기반 관점은 전략형성이 자원에 의해 결, 정된다는 측면에서 기업 내부의 자원 및 능력을 중시하고 있다.

둘째 산업구조 관점은 동일 산업 혹은 동일 전략군에 속한 기업들은 전략과, 전략적으로 관련된 자원 측면에서 동질적이라는 가정을 하고 있다 이와 대조. 적으로 자원기반 관점에서는 기업들이 보유하는 자원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기업들간 자원의 이동이 어렵기 때문에 자원의 이질성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고 가정을 한다.

셋째 산업구조 관점에서는 산업을 중심으로 산업 내에 속하는 기업들의 경, 쟁 상태와 위치선정에 주로 관심을 둔 반면 자원기반 관점은 개별 기업이 보,

20)산업구조 관점의 기업이론은Porter(1980, 1985)에 의해 체계적으로 정립되었다.

21)자원기반 관점의 기업이론은Penrose(1959)의 초기 연구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Wernerfelt(1984), 등의 학자들에 의해 이론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Barney(1991) .

(33)

제2장 기존연구의 검토 19

유하고 있는 자원과 그 자원을 활용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능력에 중 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산업구조 관점은 한 산업 내에서 잠재적 경쟁자의 진. 입 위협 기존 기업 간의 경쟁 수요자의 교섭력 공급자의 교섭력 대체재의 위, , , , 협이라는 가지 요인들이 경쟁우위에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 한편 자원기반 관5 . 점에서는 개별 기업이 보유한 자원의 가치성(value), 희소성(rarity), 비모방성

대체가능성 이라는 가지 속성이 경쟁우위를

(inimitability), (substitutability) 4 창출하는 원천이라고 본다.

<표 Ⅱ-1> 산업구조 관점과 자원기반 관점의 비교

산업구조 관점(ISV) 자원기반 관점(RBV) 연구 질문 특정 기업의 경쟁우위는 어디에서

오는가? 왜 기업들은 서로 이질적인가?

주요 가정 한 산업내의 기업들은 본질적으로

동일한 경제단위이다. 서로 다른 기업은 서로 다른 자원을 가진다.

분석 단위 산업 기업

관심 분야 산업 경쟁 위치선정, , 기업의 자원과 능력

분석의 초점

가지 요인 5

잠재적 경쟁자의 진입 위협 -

기존 기업 간의 경쟁 -

수요자의 교섭력 -

공급자의 교섭력 -

대체재의 위협 -

자원의 속성 가치성 -

희소성 -

비모방성 -

대체가능성 -

주요 연구자 Porter(1980, 1985) Wernerfelt(1984), Barney(1991) 자료 이장우: (2004), 119쪽에서 재구성.

산업구조 관점과 자원기반 관점은 어떻게 기업이 평균 이상의 수익을 누릴 수 있는가를 분석하는 데 유용한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자. 원기반 이론은 관계를 중시하는 새로운 이론적 관점의 등장으로 인해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다.22)이 새로운 이론적 관점은 전략경영 분야에서 이해관계자

22)물론 자원기반 이론도 계속 진화하고 있다 최근 자원기반 관점에서는 지식을 기업 특수적 지식. 과 일반적 지식 그리고 슘페터리안 지식으로 구분하고 있다 김종걸김재구, ( , 2005: 50).기업 특 수적 지식이 기업가치 창출의 주요 원천이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지만 지식기반경제를 맞이하여, 기존의 지식을 재결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해내는 슘페터리안 지식이 중요해지고 있다 슘페.

(34)

20 기업의 사회적 자본과 인적자원개발

관점(stakeholder view)이라고 하며 보다 넓은 시각에서 기존의 산업구조 관, 점과 자원기반 관점을 보완하고 통합하려는 시도이다.23)

이해관계자 관점 혹은 이해관계자 관리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 해관계자라는 개념의 정의를 내릴 필요가 있다 이해관계자 관리 이론의 대표. 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는Post et al.(2002: 19)의 연구에서는 한 기업의 이, 해관계자를 기업의 부를 창출하는 능력과 활동에 자발적 혹은 비자발적으로“ 기여하고 따라서 기업의 운영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이익의 잠재적 수혜자, 혹은 위험 감수자인 사람들과 지원자들 이라고 정의한다” .

기업의 주요 이해관계자들에는 종업원 투자자 고객 공급자 제휴 경쟁기업, , , , 노조 규제기관 정부 지역사회 및 시 (joint venture partners and alliances), , , ,

민 민간조직 등이 포함되며 이들 이해관계자 집단은 자발적 혹은 비자발적으, , 로 기업의 활동과 상호 연관되어 있다 그림([ II-2]참조 여기서 한 가지 유의).

할 점은 경쟁기업이 이해관계자 집단에서 제외되어 있다는 것이다 특정 기업. 의 경쟁기업은 이해관계에 있어 상반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따라서 앞에서, 내린 정의에 의하면 이해관계자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기업의 이해관계자 관점은 기업이 지속적인 부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은 주 요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에 의해 결정된다고 본다.24) 따라서 장기적 기업 가 치를 창출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이해관계자 관리가 필요하다 물론. 여기서 이해관계자 관리는 기업의 단기적 이익을 위해 이해관계자를 이용한다 는 의미가 아니라 기업의 다양한 이해관계자 집단의 정당한 이해관계를 인식, 하고 이에 대응하는 경영정책과 관행을 의미한다.

이해관계자 관리 이론은 기존의 산업구조 관점과 자원기반 관점을 보다 넓 은 시각에서 통합하려는 개념적 틀을 제공한다 이해관계자 관리 이론에 의하.

터리안 지식은 기업 특수적 지식뿐만 아니라 일반적 지식도 함께 재결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 출하고 지속적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이다.

23)Dyer and Singh(1998)은 기존의 산업구조 관점과 자원기반 관점의 이론적 한계를 극복하려는 시도에서 관계적 관점(relational view)이라는 새로운 이론적 틀을 제공하고 있다 이 연구는 경. 쟁우위의 원천으로 기업들 간의 관계를 중시하며 기업들 간의 협력적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관, 계적 지대(relational rents)가 발생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 관점은 기업과 기업 간의. 관계만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데 이론적 한계를 보이고 있다.

24)이하의 논의는 주로Post et al.(2002)의 연구를 참조하여 작성하였다.

참조

Outline

관련 문서

마지막 협의회에서는 관련부처의 실무자들과 본 연구의 자문위원 그리고 관련 전문가들과 연구・개발된 인적자원개발지표의 체계모형과 개별 지표항 목

학습능력 언어능력 수리능력 공간판단력 형태지각력 사무능력 손재능.

국내 출장여비는 연구개발과제 수행기관의 여비기준에 따라 계상하고 연구원 , 이 공무원인 경우에는 「 공무원 여비 규정 에 따라 계상하며 별도로 정한 기준이 」 ,

◦국외 출장여비는 연구개발과제 수행기관의 여비기준에 따라 계상하고 연구원이 , 공무원인 경우에는 「 공무원 여비 규정 에 따라 계상하며 별도로 정한 기준이 」 ,

제7차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의 성격, 편성 및 운영에 대한 내용들을 살펴보고, 제7차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이 직업기초능 력과 어떠한

◦국외 출장여비는 연구개발과제 수행기관의 여비기준에 따라 계상하고 연구원이 , 공무원인 경우에는 「 공무원 여비 규정 에 따라 계상하며 별도로 정한 기준이 」 ,

위임계획 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33) 동 계획에 따라 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법ㆍ제도 개편을 추진하고 사업에서 지방의 참여범위를 확대

본 연구는 선행연구인 전문대학 교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 프로 그램 개발 (Ⅰ) 연구와 연계하여 전문대학 교원이 수행하여야 하는 직무를 규명하고 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