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3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17년 10월 전기

교육학석사(유아교육)학위논문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인성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강 명 희

(3)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인성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on Children’s Personality and Leadership

2018년 2월 23일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강 명 희

(4)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인성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지도교수 서 현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유아교육)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17년 10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강 명 희

(5)
(6)

목 차

ABSTRACT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6

C. 용어의 정의 ··· 6

1. 협동미술활동 ··· 6

2. 콜라주 ··· 7

3. 유아 인성 ··· 7

4. 유아 리더십 ··· 8

Ⅱ. 이론적 배경 ··· 9

A. 협동미술활동 ··· 9

1. 협동미술활동의 개념 및 교육적 가치 ··· 9

2.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 ··· 16

B. 유아 인성 ··· 21

1. 유아 인성의 개념 및 교육적 가치 ··· 21

2. 유아 인성과 협동미술 ··· 24

C. 유아 리더십 ··· 25

1. 유아 리더십의 개념 및 교육적 가치 ··· 25

2. 유아 리더십과 협동미술 ··· 27

D. 선행연구 ··· 29

1. 협동미술활동과 관련한 선행연구 ··· 29

2. 콜라주와 관련한 선행연구 ··· 31

3. 유아 인성과 관련한 선행연구 ··· 33

4. 유아 리더십과 관련한 선행연구 ··· 35

(7)

Ⅲ. 연구 방법 ··· 38

A. 연구대상 ··· 38

B. 연구도구 ··· 39

1. 유아 인성 검사도구 ··· 39

2. 유아 리더십 검사도구 ··· 40

C. 연구절차 ··· 42

1. 실험설계 ··· 42

2. 예비검사 ··· 44

3. 검사자 훈련 ··· 45

4. 사전검사 ··· 45

5. 실험처치 ··· 46

6. 사후검사 ··· 57

D. 자료 분석 ··· 57

Ⅲ. 연구 결과 ··· 58

A.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 58

B.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60

Ⅴ. 논의 및 제언 ··· 62

A. 논의 및 결론 ··· 62

B. 제 언 ··· 68

참고문헌 ··· 69

부 록 ··· 82

1. 유아인성에 대한 검사도구 ··· 82

2. 유아리더십에 대한 검사도구 ··· 85

3. 수업계획안 ··· 87

(8)

표 목 차

<표 1> 연구대상 유아의 수와 평균 월령 ··· 38

<표 2> 유아 인성의 하위영역 및 문항구성과 신뢰도 ··· 40

<표 3> 유아 리더십의 하위영역 및 문항구성과 신뢰도 ··· 41

<표 4> 실험설계 ··· 42

<표 5>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일과 운영 ··· 46

<표 6>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활동비교 ··· 49

<표 7> 실험집단 콜라주 협동미술활동 계획안 예시 ··· 51

<표 8> 비교집단 미술활동 계획안 예시 ··· 55

<표 9> 콜라주 협동미술활동의 내용 ··· 56

<표 10> 유아의 인성에 대한 집단별 사전 및 사후검사의 평균 및 표준편차 ···· 58

<표 11> 유아의 인성에 대한 공변량 분석 ··· 59

<표 12> 유아의 리더십에 대한 집단별 사전 및 사후검사의 평균 및 표준편차 ··· 60

<표 13> 유아의 리더십에 대한 공변량 분석 ··· 61

(9)

그 림 목 차

[그림 1] 연구절차 ··· 43

[그림 2]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의 교수⋅학습모형 ··· 48

(10)

ABSTRACT

The Effect of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on Children’s Personality and Leadership

Kang Myoung-hee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Seo Hyeon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on the personality and leadership of children aged five.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cooperative art activity which can improve children’s personality and leadership and for the development of relevant program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set in the study,

1. What effect does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have on children’s personality?

2. What effect does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have on children’s leadership?

In the study,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what effect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has on the personality

(11)

and leadership of children aged five.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36 children aged five attending K child care center in G metropolitan city.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18 children in A class and the comparison group included 18 children in B class. A total of 16 sessions of activity were carried out for eight weeks from October 4 to November 24, 2016. For the experimental group, a life theme of Nuri curriculum was selected and then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was conducted. For the comparison group, art activity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life theme of Nuri curriculum which was the same as the class method which had been used in K child care center.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personality, the children’s personality test instrument for teachers which Bae Yun-jin (2007) produced by modifying the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parents Kwon O-jeong made based on the personality scale by Conners (1970) was used. In order to test children’s leadership, the children’s leadership test instrument for teachers developed by Lee Chae-ho and Choi In-su (2008) was used.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on children’s personality and leadership, the data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al and the comparison group were analyzed through ANCOVA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reason ANCOVA was carried out was that, after controlling the pretest as covariate in order to minimize differences which might exist between the groups before the experiment, the study wanted to examine whether there was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post test score.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been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12)

on children’s entire personality and all the sub-areas. This indicates that children can establish themselves properly while sharing materials and experiencing cooperation activity through cooperative art activity. In addition, they can develop positive and desirable personality while they socially develop and grow in community. Second,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entire leadership and all the sub-areas. This indicates that, through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children well guide their thoughts and emotions, leading play situations, and understand their and others’emotions while experiencing compliments and encouragements. It also indicates that the activity has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leadership while they are concentrating on play and accomplishing common goals through positive interactions within peer groups.

In conclusion,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is consider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children’s personality and leadership.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that cooperative art activity based on collage can be used in the child education field for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personality and leadership.

(13)

Ⅰ. 서 론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미래사회에서는 냉철한 경쟁과 지식 속에서 정보의 창출을 위한 높은 수준의 지적 창조능력과 더불어 가장 인간다운 가치를 가진 사람을 필요로 한다. 최근 교육계에서는 4차 혁명기를 맞아 인공 지능과 로봇, 생명과학 등의 급속한 발전 이 가져올 사회 경제구조의 변화에 학교 교육이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라는 질문 이 하나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박남기, 2017). 미래사회에서 인간만이 가지는 가장 강력한 경쟁력으로 인간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미래 사회의 융합적 인재 의 핵심 역량이다(김영옥, 2014). 또한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는 다양 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타인과 서로 도움을 주고받으며 함께 살아가는데 필요한 사회적 능력이 요구된다.

더불어 살아가는 긍정적 사회관계를 맺는 유아기의 협동활동은 타인과의 적극 적이고 긍정적인 교류를 통해 다양한 능력을 습득해 나가며, 집단에 참여하고 협력하도록 돕는다. 뿐만 아니라 나누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여러 활동을 공유하게 되고, 자신, 타인, 사회에 대한 학습에 도움을 받는다. 이는 유아가 공동 체의 구성원으로서 인정받게 되고 자신에 대한 만족감을 느끼며 집단생활에 적극 적으로 동참하도록 한다. 이에 누리과정에서는 생활주제와 연관하여 또래와의 관계를 통해 역할을 수행하고 사회적응력을 향상시키는 기초가 되는 협동활동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3).

특히 유아들은 또래들과 협동적인 미술활동을 통해 타인의 느낌과 생각, 미적 감각과 취향을 함께 나누면서 공동미술표현을 즐긴다. 협동미술활동은 다양한 자료 의 특성을 탐색해보고 나누어보고 공유하기를 통해 학습뿐만 아니라 또래 및 성인 과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다른 유아의 독특한 생각, 감정, 느낌을 알며, 서로의

(14)

생각을 바탕으로 교류, 보안, 절충, 합의해 보는 기회를 제공한다(김영옥, 엄정애, 최윤경, 박경희, 2001). 즉, 여러 명의 유아가 함께 표현하는 협동미술활동은 유아 에게 흥미를 갖게 하고 쉽게 만족감을 주며, 협의 과정을 거쳐 창의적으로 표현하 여 공동의 목표를 함께 이루어 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협동미술활동은 서로의 생각을 교류하고 보완하는 가운데 절충과 합의의 기회를 제공하고(김영옥·오숙현, 2001), 함께 탐색하거나 나누어 생활하며,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유발하여, 협동하 고 차례를 기다리며 타인으로부터 여러 지식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박순자, 2010). 이는 유아들이 협동미술활동 과정에서 또래와 더불어 생각을 나누고, 다 양한 재료를 같이 사용하며, 사회 정서적 상호작용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과정 에서 상대방을 인정하며 협력하게 되므로 사회생활과 인성에 필요한 다양한 가치, 태도, 기술을 갖게 된다(김영옥·엄정애·최윤경·박경희, 2001).

미술표현 활동 중에서 그림으로 표현하기를 불편해 하는 유아들도 어려움 없 이 활동에 참여할 수 있고, 쉬운 기법으로 인해 여러 유아들에게 적용이 용이한 것이 콜라주이다(변윤연·권요한, 2010). 유아에게 있어 콜라주는 새로움이라는 호기심의 발상으로 주어진 재료를 통하여 오감을 자극하는 활동이며, 다양한 재 료들을 직접 만져보고 구성하면서 유아들이 거부감 없이 참여할 수 있다. 또한, 눈과 손의 협응이 잘 이루어지는 찢기, 오리기, 붙이기, 만들기 등의 활동을 통해 유아의 소근육 발달에도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콜라주 표현은 그래픽 이미지 와 사진, 기타 여러 가지 재료 등으로 오브젝트의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 우연의 현상을 창조한다(장성숙, 2015). 즉, 미술활동에서 콜라주기법은 다양한 문화자 극과 환경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여러 가지 재료에 관심을 가지면서 쉽게 동기유 발을 시켜 유아의 창의적 사고를 확장시키고 만족감과 목표감을 갖게 해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유아들이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또래와 함께 여러 가지 재료와 다양한 방법으로 자유롭게 탐색하고 재료의 감각적 자극을 활용할 수 있는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은 유아들에게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를 주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콜라주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콜라 주 활동의 특성 때문에 미술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보다는 특수아동에 대한

(15)

집단치료와 적응 등을 중심으로 활용되었다(변윤연, 2010; 김석준, 2012; 권지혜, 2013; 안미숙, 2013; 신동진, 2015). 이렇듯 선행연구를 보면 집단미술치료나 초·중·고 학생들과 관련된 연구들이 대부분이고, 일반 유아를 대상으로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을 통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또래들과 협동미술활동을 통해 상호 작용을 촉진하며, 서로 격려하고 도움을 주고 받는 콜라주를 활용한 수업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교수매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첨단 영상 기기의 발달은 청소년들과 유아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컴퓨터, TV, 스마트 폰과 같은 최신 기기들을 놀이도구로 사용하고 있으며, 유 아들은 타인과의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충실히 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교육 현장에서 역시 인지적 발달 영역은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인성적 영역은 느리게 발달되었다. 이에 현대사회 교육은 인간가치의 중요성과 인성교육을 등한시함으 로써 반인륜적인 현상을 초래하고 인간의 가치를 등한시하는 사회적 현상에 직면 하게 되었다. 미래사회에서는 기술의 고도화로 인한 냉철한 경쟁과 지식 속에서 정보의 창출을 위한 높은 수준의 지적 창조능력과 더불어 가장 인간다운 가치를 가진 사람을 필요로 한다. 또한, 미래사회에서 인간만이 가지는 가장 강력한 경 쟁력은 인간성이다. 인간성 즉, 인성은 미래사회의 융합적 인재의 핵심 역량이다 (김영옥, 2014). 따라서 미래사회에서 중요한 것은 인간다운 미래사회로 나아갈 수 있는 인간의 가치, 즉, 인성이라고 할 수 있다.

어느 시대의 교육에서나 강조되어 온 인성교육은 특히 급변하고 있는 현대 사 회에서 유아에게 행복하고 가치 있는 삶과 안정적인 사회발전을 위해 필요성이 점점 커져가고 있다. 유아기는 인성 형성의 중요한 시기일 뿐만 아니라 행동의 결정적 시기이므로, 이 시기에 형성된 기본적인 인성과 가치, 습관과 태도는 평생 동안 지속된다. 따라서 유아기부터 기본생활습관, 예절, 배려, 협력 등 실천위주 의 인성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한미향, 2012). 따라서 유아기의 적절한 인성교육 은 인간의 인간다움을 평생토록 유지하고, 건전하고 올바른 성품을 갖춘 성숙한 인간을 육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누리과정에서는 다른 사람 및 공동체와 바람직한 관계를 맺기 위한 올바른 인성은 자신의 일을 스스로 하고

(16)

다른 사람을 배려하며, 정해진 규칙을 준수하고 공동체 구성원이 공유하는 행위의 기준과 도덕적 가치를 내면화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하고, 실천 위주의 인성교육 실시를 강조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2013).

유아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또래들과 함께 활동하면서 자신들에게 필요한 질 서를 통해 민주주의의 주요 이념 및 법칙들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이를 실천하게 된다. 따라서 유아들로 하여금 집단생활을 통해 여러 사람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사이좋게 지내며 타인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문제해결 과정에 있어서 상호 합의를 통한 생산적인 의사결정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가게 된다(최은주, 2016). 이처럼 유아기부터 인성교육을 실시해야하는 필요성을 근거로 조사한 많 은 연구를 통해,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또래와 다양한 활동을 경험하며 관 계의 중요성을 알고, 공동체 안에서 서로 협력하며 인지, 정서, 사회성 발달 등 통합적 인성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아들이 또 래들과 상호 작용을 촉진하며 타인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문제해결과정에 있어서 서로 의견을 나누며 배려하는 등 공동체 안에서 협동미술활동을 통해 콜라주를 활용한 수업은 유아의 인성교육에 중요할 것이다.

21세기는 서로가 존중받으며 살아가는 평등한 사회를 지향하고 있으므로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고 있는 인재는 변화의 상황을 스스로 판단할 줄 알며 스스로 자신을 리드할 수 있는 개인의 역량과 함께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남을 배려하 면서 구성원들 간의 협력을 통해 자질과 능력을 키워 나갈 줄 아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서기남, 문혁준, 2009). 리더란 조직이나 단체 등에서 목표의 달성 이나 방향을 이끌어 가는 중심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이며, 리더가 가져야할 덕목인 리더십은 무리를 다스리거나 이끌어 가는 지도자가 갖추어야할 능력으로 지도력, 통솔력과 같은 의미로 쓰기도 한다(국립국어원, 2014). 유아에게 있어 리더의 개념은 또래와의 놀이에서 새로운 놀이를 제안하고 즐거운 분위기를 조성하며 타인의 생각에 귀를 기울이면서 먼저 시범을 보이고 자신의 생각을 지지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친구들의 마음을 변화시키면서 적절한 협력관계를 유지해 공동 의 목표를 이루어 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전효정, 2013; 허태근, 2015).

(17)

한편, 리더십교육은 전반적인 인간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유아기부터 리더십을 육성해야한다고 강조하고 있으며(박현정, 2008; 이소희, 2010), 개인 의 경험을 통해 발달됨으로 유아의 사회생활에 필요한 리더십의 중요성이 인정 되고 있다(강은아, 2010). 유아리더십의 중요성이 사회적으로 부각되면서 리더 십 발달의 초점에 따라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통해 긍정적 효과를 다루는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리더십의 선행연구가 진행되었 으나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과 관련한 유아의 리더십을 살펴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유아들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고 타인의 견해를 인정 하며, 서로의 잠재적 유능성을 발휘하여 공동의 작품을 만들어 가는데 있어 콜 라주를 매개로 활동하였을 때 적극적인 참여와 흥미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종합해보면 유아들은 다양한 재료들을 탐색하고 나누며, 생각을 교환하고 타인과 함께 상호작용하는 경험은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을 통해 공동체 안에서 또래문화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타인을 이해하고 배려하면서 생각, 의견, 대립, 갈등 등을 경험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럽 게 인성이 향상될 것이다. 더불어 공동체 안에서 구성원들의 협력을 이끌어 내어 서로의 유능성을 발휘할 수 있는 리더십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가 또래와 서로 격려하고 도움을 주는 상호작용을 통 해 유아의 인성과 리더십을 함께 길러주는 협동미술활동으로 콜라주를 활용하여 나타날 수 있는 영향을 밝혀 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현 장에서 유아들이 큰 거부감 없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콜라주의 장점을 활용하 여, 바람직한 협동미술활동의 방향과 교수학습방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18)

B. 연구문제

본 연구에서는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인성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2.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C. 용어의 정의

1. 협동미술활동

협동미술활동은 다양한 자료의 특성을 함께 탐색하거나 나누어 사용하며 협동미술작업에 대한 서로의 생각을 교류하고 보완하는 가운데 절충과 합의의 기회를 제공하여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게 한다(김영옥, 오숙현, 2001), 또한,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집단 구성원들이 각자의 역할과 책임을 가지고 서로 격려하고 도움을 주는 미술활동이다(박순자, 2010). 본 연구에서 협동미 술활동은 유아가 공동체 안에서 서로 재료, 도구,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교대하 고 양보하는 공동체를 경험하면서 개인의 자제력과 협동심의 중요성을 인식하 고(박순자, 2010), 작업을 분담하여 공유하기를 통해 또래 및 성인과의 상호작 용을 촉진하며, 공동목표를 위해 작품을 협동하여 완성하는 미술활동으로 정의 하고자 한다.

(19)

2. 콜라주

콜라주란 본래 프랑스어 coller에서 유래된 말로 화면에 인쇄물, 천, 쇠붙이, 나무 조각, 모래, 나뭇잎의 여러 가지를 붙여서 구성하는 회화 기법을 말한다(김 수기, 2001). 즉, 새로운 호기심의 발상으로 화면에 주어진 재료를 통하여 오감을 자극하고, 다양한 재료들을 구성하면서 유아들이 거부감 없이 참여하며 눈과 손의 협응력을 통한 찢기, 오리기, 붙이기, 꾸미기 등의 모든 활동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3. 유아 인성

인성의 사전적 개념은 사람의 품성이다. 우리말의 사람 됨됨이, 개성, 인격, 성 품, 기질 등과 동의어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인성이란 자신의 내면적 요구와 사회 환경적 필요를 지혜롭게 잘 조화시킴으로써 세상에 유익함을 미치는 인간 의 특성이라고 정의하였다(조연순, 2007). 인성의 개념을 어떤 관점으로 보든 인성이란 생득적으로 형성되며, 모든 것에 앞서 결정적 시기인 유아기에 반드시 이루어져야한다. 누리교육과정에서도 인성형성의 결정적시기인 유아기의 중요성 을 강조하여 타인을 배려하고 더불어 존중하며 협력적으로 살아가는 능력을 배 양하도록 도와주기 위해 바른 인성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어 구성하였다. 본 연구 에서는 유아가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할 줄 알며 공동체에서 더불어 살아 갈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느끼고 실천하는 것으 로 정의하고자 한다. 유아 인성의 하위영역으로는 기본생활습관, 자아확립, 공동 체의식, 신체발달, 사회성발달로 구성되어 있다.

(20)

4. 유아 리더십

유아 리더십은 다양한 방식으로 친구들의 마음을 변화시키면서 적절한 협력관 계를 유지해 공동의 목표를 이루어 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허태근, 2015; 전 효정, 2013). 스스로 의지를 가지고 뜻을 이루어 나가며,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서로의 잠재적 유능성을 발휘하며 인간다운 삶을 살아가는 기반을 마련하고, 공 동체 의식을 가지고 남을 배려하면서 구성원들 간의 협력을 조정하여 목표를 이루어가는 것이다(서기남, 문혁준, 2009).

본 연구에서 유아 리더십은 일상생활 속에서 또는 협동활동을 통해서 유아가 또래와 자연스럽게 활동을 계획하고 진행해가는 과정에서 의견을 조정하며 모 둠과 타인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유아 리더십의 하 위영역은 주도성, 사교성, 민감성, 자발적 몰입 네 가지로 구성하였다.

(21)

Ⅱ. 이론적 배경

A. 협동미술활동

1. 협동미술활동의 개념 및 교육적 가치

a. 협동미술활동의 개념

협동(Cooperation)의 사전적 의미로는 서로 마음과 힘을 하나로 합하고, 협력은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힘을 합하여 돕는다고 하였다(국립국어원, 2014). 협동은 인간의 가장 기본적이고 긍정적인 상호작용 형태의 하나로서 인간 사회를 유지 발전시키는데 필수적인 기술이다(김영옥, 오숙현, 2001). 이와 같은 맥락에서 협동활동은‘공유된 학습목표를 위해 학습자들끼리 협력하며 자신과 다른 학습자의 성취를 위해 함께 노력하는 작업’(Johnson, S, & Johnson, D, W, 1994)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Cohen(1994)는 협력학습을‘모든 학습자들이 집단 과제를 가지고 소집단에서 함께 학습한 것이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협동은 인 간의 가장 기본적이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형태로서 우리가 살아가는 사회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데 필수적인 기술이다. 한국교육심리학회(2000)에서는 협동 학습(cooperative learning)이란 집단 구성원 사이에 상호작용을 하며 학습하게 하는 교수법이라고 정의하였고, 협동활동(cooperative activity)이란 어떤 목표 를 공유해 함께 힘을 합하여 활발하게 움직여서 행동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였 다. 협동학습, 협동활동, 협력활동 등 다양한 표현으로 혼용되고 있으나 이를 모 두 같은 맥락으로 여겨 협동활동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즉, 유아의 협동활동은 유아교육현장에서 또래와 함께 설정한 공동 목표를 달 성하기 위해 서로 협력하며, 자신과 타인의 성공을 극대화하기 위해 또래들과 함 께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유아에게 타인과의 협동은

(22)

성인과의 활동과 또래와의 활동 등에서 근접발달 영역 내에서 적절한 인지발달 을 유도한다.

Vygostky의 ZPD 이론에 의하면 유아는‘성인의 지도보다 유능한 유아와의 협동작업’으로 현실적 발달 수준이 잠재적 발달수준으로까지 높아진다고 하였고, 유능한 또래는 성인에 준하는 역할을 하며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연적인 교수관계가 이루어진다고 하였다(김미숙, 1999). 유아기는 부모나 친구, 교사와 의 상호작용을 통해 대상이 확대되는 시기이므로 다양한 사회, 문화적적 인지적 경험을 포함한 긍정적이고 다양하게 타인과의 교류가 지원되어야 하며, 또래와의 협동활동을 통해 잠재적 발달 수준을 높이고 자신의 삶을 확장시켜 나갈 수 있 도록 유도해야 한다. Piaget(1965)도 유아가 자아중심성으로 인해 자신의 관점에 서만 사물을 이해하고 타인의 생각이나 관점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인지발달단계 에 따라 다른 사람의 의견을 받아들이는데 어려움을 갖고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또래 간의 협동 활동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렇듯 유아는 집단에 참여하 고 협력하는 활동을 통해, 양보하고 배려하는 경험을 갖고 공동체의 구성원으로 서 인정받으며, 스스로 만족함을 느끼고 집단생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된다.

이렇게 협동활동은 유아의 사회적⋅정서적 발달, 수학적 능력 및 논리적 추론, 언어적 발달, 자아개념, 문제 해결능력, 창의성, 다중지능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여 긍정적인 학습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이수기, 2005; 조미령, 2007).

유아의 협동활동은 유아교육현장에서 과학활동, 모래놀이, 미술활동, 요리활동, 역할놀이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유아교육에서 미술활동은 단순한 기능습득만이 아니라 인격을 육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그리기, 꾸미기, 혹은 만들기를 활용하여 유아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지적·신체적·정 서적인 면에서 원만한 인격을 형성하는 것이다(박정아·안미정, 2006). 유아는 또래들과 협동적인 미술활동을 통해 서로의 느낌과 생각 그리고 미적 감각과 취향 을 나누면서 공동미술표현을 즐긴다. 미술활동은 협동활동 가운데 다양한 자료의 특성을 탐색해보고 나누어보고 공유하기를 통해 학습뿐만 아니라 또래 및 성인

(23)

과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며, 다른 유아의 독특한 생각, 감정, 느낌을 알며, 서로의 생각을 바탕으로 교류, 보안, 절충, 합의해 보는 기회를 제공한다(김영옥·엄정애·

최윤경·박경희, 2001). 특히, 협동미술활동은 미술이라는 매개체에 협동활동을 도입한 것으로 미술활동이 가지고 있는 교육적 효과와 협동을 경험하며 타인의 감정과 입장을 이해하고, 주어진 문제를 함께 해결해 가는 과정을 통해 유아의 성장, 발달을 돕는 여러 효과를 가지게 된다. 협동미술활동이란 공동의 작품을 성취하기 위해 집단을 구성하여 그리기, 만들기, 꾸미기 등의 미술활동을 수행하 며, 각 집단별로 또래들과 주제에 대해 서로 의견을 나누고 다양한 자료를 사용 하면서 함께 협동하여 공동의 작품을 완성하는 것을 의미한다(정주선, 2010).

또한 협동미술활동은 서로의 미술적 표현에 대해 상호작용하고 감상이 이루어지 며 다양한 재료를 공유하거나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있 는 활동이다(김영옥·오숙현, 2001). 유아는 미술활동을 혼자서 활동하는 경우 보다 협동활동을 함으로써 더 많은 것을 학습할 수 있고, 다른 유아가 가지고 있 는 학습방법을 관찰하고 배울 기회가 주어지며, 무슨 일이든 서로 나누어 함께 해결하고 그 결과에 대해 보람을 갖는 협력적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 협동미술 활동은 또래 유아들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제공함으로써 서로의 입장을 존중하 고 사회적, 정서적 발달을 향상시키는 등 유아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교육인적자원부, 2006).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협동미술활동이란 개별미술활동에 비해 또래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지고 유아들이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나누는 과정을 통해 타인을 이해하고 자신을 표현하면서 공동의 작품을 만들어가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여러 명의 유아가 함께 표현하는 협동미술활동은 유아에게 흥미를 유발하 고, 토의과정을 거쳐 창의적으로 표현하여 공동의 목표를 함께 이루어 가는 것이 라고 할 수 있다.

(24)

b. 협동미술활동의 교육적 가치

유아기는 점차 삶의 범주를 넓혀가는 시기이므로 타인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이 필요하며, 특히 또래와 함께 하는 협동활동은 유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다. 미술활동은 유아가 일상생활 속에서 자신의 욕구나 호기심을 갖고 탐색하며 창의적인 표현을 경험해 볼 수 있는 활동으로서 유아의 표현 능력을 발휘할 기 회를 주고 유아의 언어, 인지, 사회, 정서, 신체 발달을 돕고 유아의 자아개념을 발달시킨다(박화윤, 1997). 유아교육에서 미술활동은 단순한 기능습득만이 아니 라 인격을 육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기, 꾸미기, 혹은 만들기를 활용하여 유아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지적, 신체적, 정서적인 면에서 원만한 인격을 형성 하는 것이다(박정아·안미정, 2006).

Mayesky(2004)은 유아가 같은 또래와 협력하여 작업하는 협동미술활동은 유아의 또래관계를 보다 역동적으로 이끌어 나가도록 돕는다고 하였고, 협동과정 에 따른 결과물을 직접 눈으로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들은 흥미를 가질 수 있으며 유아들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신문정, 2016).

협동미술활동은 개별적인 미술활동에 비해 또래들과 함께 공동으로 작품을 구상 하기 때문에 서로의 역할을 분담하여 작품을 완성해 가는 과정 속에서 자아를 발견하고 또래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사회성의 기초 능력을 발달하게 한다 (조을순, 2008). 또한, 유아가 다른 유아와 함께 협동하는 상황에서 활동에 집중 하는 능력이 생기고, 순서를 기다리고 다른 유아와 재료를 나누어 사용하는 능력 을 기르게 하며, 또래와 상호작용 속에서 지식을 얻는 등 사회적 관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해 준다(Koster, 2001). 이러한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에게 주는 교육 적인 가치를 인지적, 정서적, 사회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협동미술활동은 인지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Vygotsky(1986)는 각 기 다른 이해의 정도를 가지고 있는 유아들이 보다 유능한 또래나 성인과 함께 활동하면서 그들과 동일한 수준으로 이해하기 위해 서로의 생각과 이해를 공유 하는 기회를 가지면서 사회적 갈등이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다 고 하였다. 또한 협동활동은 유아의 사회적⋅정서적 발달, 수학적 능력 및 논리

(25)

적 추론, 언어적 발달, 자아개념, 문제 해결능력, 창의성, 다중지능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여 긍정적인 학습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 는 활동이다(조미령, 2007). 또한, 협동미술활동은 유아들과 함께 토론하는 과 정을 경험하고 학습을 위한 인지전략을 개발하며 성취동기를 증가시키는 효과 (이상희, 2000)가 있으며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문 제와 언어적으로 의사소통하는 과정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이상민, 2012).

뿐만 아니라 협동미술활동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는 학습자 주도적인 활동이며(오혜진, 2016), 유아의 언어표현력(공영애, 2008)과 유아의 친사회적 언어능력과 그리기 표상능력을 증진하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양새롬, 2013). 즉, 협동미술활동은 또래관계 속에서 유아들이 스 스로 토론하고 판단하고 결과를 완성하는 활동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는 유아의 인지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협동미술활동은 정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협동미술은 유아의 자기 인식 및 자기조절능력에 효과가 있으며(김영주·안혜숙, 2004), 협동미술활동을 통해 집단구성원들은 내면에 간직된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고, 또래 관 계에서 서로 부딪치는 감정의 위기를 경험하며 자신의 감정을 완화시켜 표현하 며 카타르시스 효과를 가질 수 있다(이재윤, 2004). 또래와 함께 하는 협동미술 활동은 개인의 느낌과 감정을 단순하게 표현하는 과정에서 벗어나 유아들이 스 스로 자신들이 하고 있는 작업에 대한 흥미를 가지도록 하며 이를 통해 유아들 의 긴장감이 완화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림책을 통한 협동미술활동(지숙영, 2012)과 소집단으로 이루어진 협동미술을 경험한 유아들이 정서지능에 효과가 있으며(김정신, 2004), 상상력 확장과 상상의 즐거움을 경험하였다(한상미, 2002). 또한 오혜진(2016)은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자기 정서조절능력 및 배 려행동에 긍정적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셋째, 협동미술활동은 사회화를 촉진할 수 있다. 협동미술활동은 아동이 공동 으로 작품 활동을 함으로써 타인을 인지하고, 자신의 감정을 집단 속에서 바르게 통제해 가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는데 교육적 가치가 있다. 또한 협동미술활동은

(26)

다른 아동의 감정이나 생각에 대해 느껴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서로가‘함께’

인 것에 대해 생각할 기회의 폭을 넓혀준다(석미진, 2008). 미술활동을 경험하 는 중에 친구들과 돕는 경험을 하고 재료를 나누어 쓰고 협동을 경험하며 사회 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이기숙·조경자·채종옥·김소양, 1992). 또한 협동미술 활동을 통해 또래와 서로 돕고 나누는 경험을 함으로써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협동미술활동을 통한 다양한 사회성 발달, 인지적 발달 과 정서적 경험은 유아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협동미술활동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아가 자료의 특성을 탐색해보고 서로의 작업과정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생각을 공 유함으로, 타인의 역할을 이해하고 사회적 기술을 기르는 기회를 제공하며 원만 한 사회적 관계를 갖게 된다. 또한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하며 정서적 안 정감을 길러 자신과 또래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행동을 배우게 되며, 유아의 사회적, 인지적, 정서적 발달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유아 미술활동이 질적인 협동 활동으로 이루어지면 유아의 발달에 더욱 교육적인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c. 협동미술활동의 지도방법

유아에게 미술은 최초의 언어이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표현 능력을 발휘할 기 회를 제공하며 유아의 신체적, 정신적, 인지적, 사회적 발달을 돕는 수단이 된다 (김영옥, 오숙현,2001). 미술활동은 유아가 주변에 대해 이해하고 자신의 적절 한 감정을 표현해 볼 수 있는 중요한 교육활동이며 특히 협동미술활동은 유아들 이 다른 사람과 의견을 조율하고 타인의 감정이나 입장을 이해하고 배려하며 주 어진 문제 상황을 함께 해결해 가는 과정을 제공한다(장미선, 2015). 김경옥 (1988)도 미술활동이 사회적 발달이나 친사회적 행동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주 기 위해서는 그 활동과정에 돕기 나누기 협동 등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포함 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개별 작업보다는 협동 작업이 더 적합하며,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협동적 태도와 기술을 습득하게 한다고 하였다.

(27)

협동미술활동은 여러 명의 유아가 한곳에 모여 함께 표현하고, 유아들에게 공 통된 흥미를 가지게 하며 서로의 다른 느낌이나 생각을 표현하고 함께 의논하고 합의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해보는 기회를 제공하는 미술 교수방법의 한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Mayesky, 1998). Koster(2001)는 잘 계획된 협동미술활동은 연령과 개인 수준이 다른 유아들이 자신이 할 수 있는 것과는 다른 무엇인가를 창조하기 위해 협동 작업을 하도록 한다고 하였으며, 잘 계획된 협동미술활동에 참여하는 느낌은 유아에게 큰 만족감을 준다고 하였다. 또한 협동미술활동은 유 아가 다른 사람이 함께 하는 상황에서 일에 집중하는 집중력을 발달하게 하고 차례를 인내하며 기다리는 능력, 다른 사람과 재료를 나누어 쓰는 능력, 다른 사 람과 함께 작업하면서 타인으로부터 지식을 얻는 경험을 갖게 한다고 하였다. 교 사는 유아들이 협동미술활동에 참여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또래간의 상호활동과 또래학습이 활발하게 되므로 여유를 갖고 모둠 내 유아를 관찰하여 능력에 맞는 교수활동을 효율적으로 전개할 수 있다(이명희, 2016).

누리과정 지도서(2013)에 따르면 예술경험 영역에서는 미술적 요소 탐색하기, 미술활동으로 표현하기, 다양한 예술 감상하기, 전통예술 감상하기 내용으로 제시 하고 있다. 또한 정문자, 지혜련, 이숙재, 김온기(2003)는 미술활동의 방법으로 그리기, 칠하기, 만들기, 콜라주, 염색, 바느질, 직조 짜기, 찰흙활동, 감상하기 등 으로 구성하였다. 이 외에도 김영희(2004), 박미희(2015), 이명은(2006), 정은재 (2014)의 연구에 의하면 공통으로 협동미술활동의 내용을 꾸미기, 만들기, 그리 기가 포함되도록 활동을 구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를 종합해보면 교사는 협동미술활동의 계획을 수립할 때 그리기, 꾸미기, 만 들기를 통합적으로 포함하여 유아들이 평면적 표현과 입체적 미술 표현이 가능 할 수 있도록 계획하고, 협동미술활동을 실시 할 때 유아의 발달 수준과 협동에 대한 경험의 유무에 따라 난이도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유아들이 또래와 함께하 는 협동미술활동의 경험 속에서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협동하여 작품을 구성하 고 완성한 뒤, 그 작품에 대해 서로 평가하고 감상해 볼 수 있는 내용을 포함하 도록 계획하여야 한다.

(28)

2.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

a. 콜라주의 개념 및 교육적 가치

콜라주는 프랑스어로 Coller 즉,‘풀로 붙이다’에서 유래된 말로‘풀칠’,

‘풀칠하여 붙이기’라는 뜻으로, 화면위에 질(質)이 다른 여러 가지 헝겊, 비닐, 타일, 나뭇조각, 종이, 상표 등을 붙여 구성하는 기법이다(김수기, 2001). 또한

‘바탕위에 이질적인 재료들 즉, 사진, 오려낸 여러 종이, 잡다한 물건이나 사물 등이 붙여지고 결합되는 기법’을 말하기도 한다.

콜라주 기법이란 잡지책이나 사진, 혹은 프린트 된 그림을 손으로 찢거나 박스에 이미 오려놓은 사진과 그림 중에 마음에 드는 것을 선택하여 종이에 붙이는 기법을 말한다(이근매,

2008).

콜라주는 피카소와 브라크가 작품의 표현효과를 강조하기 위해 캔버스

에 물감 대신 신문지, 우표, 벽지, 상표 등의 실물을 붙여 화면을 구성하는 방식 의 기법(Papier Colle)을 시도하였고, 콜라주 기법을 통해 우연의 효과를 갖게 되는 표현예술의 새로운 미학적 가치를 갖게 되었다. 유아들에게 그림을 그리거 나 만들기를 통해 타인과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자연스럽게 나눌 수 있는 표 현활동은 중요한 매체가 될 수 있다. 이에 다양한 미술표현 활동중에서 그림으로 표현하기를 불편해 하는 유아들도 어려움 없이 활동에 참여할 수 있고, 쉬운 기 법으로 인해 여러 유아들에게 적용이 용이한 것이 콜라주이다(변윤연, 권요한, 2010). 콜라주란 본래 프랑스어 coller에서 유래된 말로‘풀칠’,‘바르기’의 의미였으나 화면에 인쇄물, 천, 쇠붙이, 나무 조각, 모래, 나뭇잎의 여러 가지를 붙여서 구성하는 회화 기법, 또는 그러한 기법에 의해 제작되는 회화를 말한다 (박현일, 2012). 즉, 콜라주는 생활 속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여러 재료들을 선택하고 모아서 화면위에 신문지, 헝겊, 사진, 나뭇잎, 나무 조각, 인쇄물, 폐품 등 여러 가지 재료를 붙이고 결합하여 구성하는 회화 기법을 말한다. 본 연구에 서는 새로운 호기심의 발상으로 주어진 재료를 통하여 오감을 자극하며, 다양한 재료들을 구성하면서 유아들이 거부감 없이 참여하고 눈과 손의 협응력을 통한

(29)

찢기, 오리기, 붙이기, 꾸미기 등의 모든 활동을 말한다.

콜라주는 20세기 미술 기법 중 가장 획기적인 발명의 하나로 미술 분야뿐 아 니라 건축, 사진, 컴퓨터, 그래픽, 광고, 일러스트 디자인 등 다양한 장르에서도 폭 넓은 변화를 가져다주었다(이지연, 2005). 무엇보다도 우리 생활 속에서 쉽 게 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다양한 재료들을 작품에 도입했다는 점에서 종전의 미술개념을 변화시켰다는데 큰 의미를 둔다고 할 수 있다. 일본에서 사용되었던 콜라주 기법은 1990년 전후를 기점으로 모래놀이 치료를 모체로 하여 상담 및 심리 치료에서 하나의 기법으로 사용되어 왔다고 한다(이근매 외, 2010). 콜라 주의 기법으로는 다양한 형태가 있는데 여러 가지 방법들 중 유아들에게 쉽게 접할 수 있는 기법으로 프로타주와 데칼코마니, 포토몽타주 등의 기법들이 표현 되고 있다(이야록, 2009). 특히 재료에서 느껴지는 감각을 중시하여 촉감적으로 표현해 내는 방법으로 재료위에 종이를 덮어 원하는 도구로 문지르는 형태의 프 로타주(Frottage)와 두 면으로 접은 종이의 한 면에 물감을 마음대로 그려 놓고 접었다가 펴서 좌우 대칭의 모양을 만드는 데칼코마니(Decalcomanie), 서로 아 무런 관계가 없는 사진들을 자신이 원하는 대로 조립하여 인간의 내면 세계나 잠재 의식을 심리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인 포토몽타주(Photomontage) 등의 새로 운 기법을 탄생시켰다(이정재, 1996). 이를 종합하면 콜라주는 서로 다른 여러 가지 재료나 사진, 인쇄물 등의 그림을 활용한 우연에서 얻어지는 다양한 표현 과, 재료가 지닌 원래의 모습과는 전혀 다른 이미지와 독창적인 표현이 형성되는 새로운 기법의 탄생으로, 유아들의 다양한 재료들을 구성하면서 거부감 없이 참 여하고, 시각경험이 감각능력의 발달과 미적 경험이 된다는 측면에서 상상력과 창의력을 자극할 수 있는 매체가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콜라주는 유아들이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재료의 획일성에서 벗어나 주변의 다양한 재료와 방법으로 탐색하는 활동을 통하여 이제까지의 일반적인 표현방법 에 얽매이지 않는 창의적인 표현활동을 체험하도록 한다(이야록, 2009). 또한 콜라주 기법을 통하여 쉽게 동기유발을 시킬 수 있으며 유아의 손 근육을 발달 시키는데 바탕이 될 수 있다(신정은, 2011). 이러한 콜라주 표현활동의 교육적인

(30)

효과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이지연, 2005).

첫째, 콜라주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기법과 재료에 대한 탐색은 유아에게 있어 특별한 재능이 없어도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어떤 재료라도 부담 없이 수업 에 도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유아들에게 재료에 대한 탐색과 실험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고, 평면이나 입체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탐색하는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둘째, 재료의 선택에 있어서 우리 주변에 흔히 있는 모든 대상들이 작품의 소 재로 선택되고 표현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다. 아름답고 쓸모 있는 물건 에서부터 우리들의 생활속에서 버려지는 폐품과 재활용품에 이르기까지 모든 대상 들이 미술재료로 활용될 수 있고, 콜라주 작품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유아들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의식의 전환으로 유아들은 우리 주변 에 있는 사물을 좀 더 세밀히 관찰하여 작품에 필요한 소재를 찾으려고 노력하 게 되고, 결과적으로 유아들의 사물에 대한 관찰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예사 롭게 지나치던 주변사물을 객관적으로 바라보고, 사물에 대한 색체, 모양, 구성에 대한 인식이 새로워지며 다양한 조형미술표현력을 기를 수 있다(신정은,2011).

셋째, 콜라주는 조각으로 자르거나 면으로 나눌 수 있고 그것을 움직여서 화면 을 구성하거나 조합할 수 있기 때문에 화면구성 능력을 키우는 데 효과적이다.

넷째,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묘사가 어려운 유아들이 실제 사진이나 잡지 등을 이용하여 작품을 제작해봄으로써 미술에 대한 관심 및 흥미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다. 유아들은 다양한 표현기법으로 새로운 형태를 만들고 변형함으로써 표현력 에 자신감이 생기고, 더불어 미술에 대한 흥미를 갖고 만족할 수 있는 미술수업 을 전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다양한 콜라주를 활용한 표현은 자기표현, 자기완성을 통해 창의력을 계발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조형적 경험은 창조성과 감성이 풍부한 개성적 인간 을 육성한다(백중렬, 2007).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기 효능감 및 정체성을 형성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콜라주 다양한 기법은 새로움이라는 호기심의 발상으로 유아의 오감을 자극하는 활동이다(이경연, 2016). 또래 관계에서 감각적 소통은

(31)

유아의 창의적이고 확장적 사고를 신장시킬 뿐 아니라 다양한 경험에 의한 새로 운 세계를 표현하게 된다. 유아들은 자기 자신에 대해 인식하고 표현하면서, 타 인의 정서를 경험하고 타인을 배려하기 위해 자기 자신을 스스로 관리하고 통제 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며,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에 있어 콜라주기법의 우연한 효 과는 유아의 만족감과 성취감에 큰 영향을 미친다. 유아기의 만족감과 성취감을 통해 얻게 되는 긍정적인 자아감형성은 창의적이고 올바른 인성을 갖춘 전인적인 인간으로 성장하게 되는 밑거름이 된다(공은희, 2012).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콜라주는 유아들에게 성취감이나 표현력 향상에 중요 한 요인이 되며,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여러 가지 재료와 방법으로 자유롭게 탐색하고 재료의 감각적 자극을 활용하여 미술표현에 적용하여 사물에 대한 관 찰력이 향상과 미술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 자기표현, 자기완성을 통해 창의력을 계발할 수 있다. 더불어 작품의 용이성을 통해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제작 방 법을 통한 긍정성을 유발하며,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고, 자기이해를 증 진시킨다. 또한, 작품 활동을 진행하면서 또래와 의사소통을 함으로써 공감능력 과 소통능력이 증진되며, 긍정적 자기개발과 사회적지지, 대인기술의 향상이라는 교육적 가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b.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의 지도방법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은 유아에게 그림을 그리는 부담감이 없고, 거부 감이나 획일적인 재료 선택으로부터 벗어나 다양한 콜라주의 재료를 접할 수 있 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표현활동에 있어 끊임없이 변화되는 창조의 기쁨을 줄 수 있다. 콜라주 기법의 장점을 이용하여 유아들의 긍정적인 자아개념과 정서적 안 정감을 느끼며 또한 협동 미술활동을 하는 경험 속에서 자신에 대한 긍정적 자 아개념과 또래와의 긍정적인 피드백을 통해 집단의 역동성과 친밀감 형성에 유 용한(권지혜, 2013; 이근매, 2010; 이현주, 2007; 정은재, 2014) 활동을 콜라 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이라고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제에 따라 재료를 다양하게 제시해 주고, 모둠활동을 통해 주제표현에 적합한 재료를 유아들이

(32)

스스로 탐색하여, 서로 협력하고 이야기를 나누며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 고, 평면과 입체의 전환이나 그림에 여러 가지 재료를 붙여 입체적으로 나타내기 등 자유롭게 탐색하여 표현하는 활동으로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을 정의 하고자 한다.

유아는 직접적인 생활경험을 활용하여 현실의 여러 가지를 직접 표출하고, 유 아의 성장과정에서 경험을 쌓게 하기 위해서는 제재발견과 재료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갖게 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재료와 방법으로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는 그리기, 만들기, 구성하기, 꾸미기 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상상력이 자극되고 이 전과 다른 새로운 생각, 남과는 다른 자신만의 독특한 생각을 유발하게 되고, 다 양한 재료는 유아들의 미술표현에 대한 동기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따 라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하는 콜라주에 기초한 협동미술활동을 통해 유아들은 공동체 안에서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배우면서, 변화된 자신을 발견하며 타 인의 생각과 다른 문화도 접하게 해야 한다(김윤형, 2007). 미술활동에서 콜라 주기법은 다양한 환경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여러 가지 재료에 관심을 가지면서 쉽게 동기유발을 시켜 유아의 창의적 사고를 확장시키고 만족감과 목표감을 갖 게 해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콜라주에 기초한 미술활동 지도는 유아들에게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여러 가지 재료와 방법으로 자유롭게 탐색하고, 재료의 감각을 활용한 미술표현에 적용하여 긍정적인 교육적 효과를 주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아미술 교육현장에서도 다양한 재료를 수집하고 또 그것 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교사의 부단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교사는 유아가 주변 환경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다양한 재료들을 찾아보고, 그리고 만들고 꾸미면서 자신의 생각과 느 낌을 자유롭고 창의적으로 표현해 보는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한다.

이를 통해 유아가 재료의 특성을 파악하고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 추고, 적절한 동기유발을 통해 창의적인 표현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활 동의 목표에 부합한 적절한 동기유발은 유아들이 협동미술활동에 흥미와 호기심을 갖기에 충분하다. 또한, 교사의 융통성 있는 상황 대처 능력과 전문적인 지식은

(33)

유아들의 활동을 흥미롭고 창의적인 결과물로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 적으로 교사는 콜라주와 관련한 협동미술활동을 통해 유아 스스로 자신의 작품 을 마음껏 표현해 보고, 또래와의 즐거운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

B. 유아 인성

1. 유아 인성의 개념 및 교육적 가치

첨단 기기의 발달은 청소년들과 유아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컴퓨터, TV, 스마트 폰과 같은 기기들을 놀이도구로 사용하고 있으며, 유아들은 타인과 의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충실히 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교육현장에서 역 시 인지적 영역의 발달은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인성적 요소는 느리게 발달되었 다. 이에 현대사회 교육은 인간가치의 중요성과 인성교육을 등한시함으로써 반인 륜적인 현상을 초래하고 인간의 가치를 등한시하는 사회적 현상에 직면하게 되 었다. 이러한 현상은 교육의 본질과 인성, 관계의 소중함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미래사회는 냉철한 경쟁과 높은 수준의 지적 창조능력, 또한 가장 인간다운 가치를 가진 사람을 필요로 한다. 또한, 미래사회에서 인간만이 가지는 가장 강력한 경 쟁력은 인간성이다. 인간성 즉, 인성은 미래사회의 융합적 인재의 핵심 역량이다 (김영옥, 2014). 따라서 미래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간의 가치, 인성이라 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인성이란 무엇인가? 인성의 사전적 의미는‘사람의 성 품’또는‘인간이 생득적으로 타고난 자연적인 성질’,‘다른 사람과 구별되는 사고와 태도 및 행동의 특성’으로 정의한다, 인성은 인간의 바람직한 성품이다.

인성이란 사람이 갖추고 있어야 할 성품 중 바람직한 것을 말한다. 성품은 사람 의 타고난 성질로 정의할 수 있고, 성품은 성격과 품격으로 구분한다. 성격은 사 람의 기분·태도·의견을 포괄하며,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에서 가장 뚜렷이 드러

(34)

나며, 품격은 사물 따위에서 느껴지는 가치나 위엄으로 정의한다. 인성이란 개인 의 독특한 특성을 바탕으로 길러지는 그 사람의 사람됨(고여훈, 2013)이며, 다른 생명체와 구별되는 인간의 본성이다(오인탁, 2016). 즉, 인성이란 사람의 성품 각 개인이 가지는 사고와 태도 및 행동 특성을 말한다. 인성교육진흥법에서는 건전하 고 올바른 인성을 갖춘 시민 육성을 목적으로 한고, 이 법에 명시된 인성교육의 정의는 "자신의 내면을 바르고 건전하게 가꾸며 타인, 공동체, 자연과 더불어 사는 데 필요한 인간다운 성품과 역량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으로 정의하 고, 국가에서도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미래교육의 핵심과제로 제시하였다 (교육부, 2015). 고민지(2015)는 인성은 사람의 성질,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지 니고 있는 본성을 의미한다고 정의하였고, 인성은 사람이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마음, 사람이 타고난 경향을 뜻하며, 이는 우리 인간이 지향하고 성취해야할 인간 다운 면모, 성질, 품성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강선보·박의수·김귀성·

송순재·정윤경·김영래·고미숙, 2008). 이효정(2004)은 인성이란 개인이 사회 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개인적으로는 자아를 살현하고, 사회적으로는 더불어 살기 위한 도덕적이며 친사회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적인 본성을 지닌 개인특성이라 고 정의하였고, 원인숙(2010)은 인성은 사람됨을 나타내는 것으로 각 개인이 가지 고 있는 사고와 태도 및 행동 특성을 말하며 인간다운 품성, 도덕적 인격으로 인간이 지향하고 실현해야할 바람직한 품성 이라고 정의 하였다.

어느 시대의 교육에서나 강조되어 온 인성교육은 특히 급변하고 있는 현대 사회 에서 유아에게 행복하고 가치 있는 삶과 안정적인 사회발전을 위해 필요성이 점점 커져가고 있다. 유아기는 인성의 기초가 형성되는 시기일 뿐만 아니라 교육의 효 과도 매우 커서 이 시기에 형성된 습관과 태도는 평생 동안 지속된다. 따라서 유 아기부터 기본생활습관, 예절, 배려, 협력 등 실천위주의 인성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한미향, 2012). 유아기에 학습된 개념, 태도, 가치관 등은 생애 전체에 걸쳐 계속된다. 또한 유아기가 도덕적 가치 판단이나 자아개념, 타인에 대한 인식이 발 달하는 중요한 시기이다(김숙자 외, 2012). 따라서 유아기에 적절한 인성교육은 인간의 삶에 인간다움을 평생토록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35)

유아 인성교육의 목적은 오늘날 사회에서 요구하는 바람직한 인간상을 함양 하는 것으로 유아기의 인성교육을 통하여 유아는 긍정적인 자아감을 형성하고 남을 배려하면서 서로가 다름을 인정할 수 있는 소양을 함양하고 더불어 즐겁 게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품성의 기초를 형성함에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0).

누리과정에서는 다른 사람 및 공동체와 바람직한 관계를 맺기 위한 올바른 인 성은 자신의 일을 스스로 하고 다른 사람을 배려하며, 정해진 규칙을 준수하고 공동체 구성원이 공유하는 행위의 기준과 도덕적 가치를 내면화하는 것을 포함 한다고 하고, 실천 위주의 인성교육 실시를 강조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보 건복지부, 2013). 유아들은 유아교육기관에서 또래들과 함께 생활하면서 자신들 에게 필요한 규칙을 통해 타인, 자유, 평등, 다수결의 원칙, 합리적인 의사 결정 과정 등 민주주의의 주요 이념 및 원리들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이를 실천 하게 된다. 따라서 유아들로 하여금 집단생활을 통해 여러 사람과의 관계를 이 해하고 사이좋게 지내며 타인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문제해결과정에 있어서 상 호 합의를 통한 생산적인 의사결정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아가게 된다(최은 주, 2016). 올바른 인성은 타인 및 공동체와 바람직한 관계를 맺는데 필요하다.

또한 자신의 일을 스스로 하고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배려하며 정 해진 규칙을 준수하고 공동체 구성원이 공유하는 행위의 기준과 도덕적 가치를 내면화 하는 것도 인성에 포함된다. 특히 유아기는 뇌의 구조와 기능이 활발하게 되는 민감기이므로 감성의 뇌를 열고 인성의 씨앗을 가꾸어 주어야 할 결정적 시기이다(김영옥, 2014).

이를 정리해보면 유아기는 또래와 상호관계를 통해 지속적인 우정을 맺을 수 있는 기초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며, 도덕적 발달과 사회적 약속을 인지하는 시기이다. 유아기의 인성교육은 교사가 유아의 발달 특성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자아감을 형성하고 남을 배려하면서 타인과 함께 어울리는 공동체 속에서 바람 직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력하며, 또래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의사소통하 고 공감하며 종합적으로 사고하는 지식을 형성하여 바람직한 인간상을 함양하도 록 도와야 할 것이다.

참조

관련 문서

To learn about the necessity of textile art education and tapestry technique, to study the value of tapestry education and to utilize it in art education

Injury is a burden on athletes, but the rehabilitation exercise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mprovement of knee muscle function and knee function

Among the many educational methods of Waldorf Kindergarten, art activities for infants are centered on the process-oriented emotional color education that

Therefore, if Solution-focused Group Art Therap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ntinue to provide child-care center teacher in the next scene, their infants and young

A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rough play in modern children's education is emphasiz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art education program through play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the possibility that art can contribute to effective personality education and develops art program for personality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materials used in students' art works presented in existing textbooks and speculated on the current status of... what

In this context,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 emphasis of art education was changing from expression-oriented practical classes to systema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