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6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l 이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l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동일조건변경허락. 귀하가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했을 경우 에는, 이 저작물과 동일한 이용허락조건하에서만 배포할 수 있습니다.

(2)

2015년 2월

교육학 석사(음악교육)학위논문

대안학교 고등학생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주 진 아

(3)

대안학교 고등학생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Self-Concepts in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and Smart-phone

Addiction

2015년 2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주 진 아

(4)

대안학교 고등학생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연구

지도교수 서 영 화

이 논문을 교육학석사(음악교육)학위 청구논문으로 제출함

2014년 10월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주 진 아

(5)
(6)

목 차

ABSTRACT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선행연구 ···5

Ⅱ. 이론적 배경 ···8

1. 음악적 자아개념 ···8

2. 대안학교 ···11

3. 스마트폰 중독 ···14

4. 음악교과와 정서문제 ···21

Ⅲ. 연구방법 ···26

1. 연구대상 ···26

2. 연구방법 및 기간 ···26

3. 연구절차 및 검사도구 ···27

4. 분석방법 ···28

5. 자료 분석 ···29

Ⅳ. 연구결과 ···30

1. 기술 통계량···30

2. 신뢰도 ···30

3. 성별차이분석 ···31

Ⅴ. 결론 및 제언 ··· · ···35

참고문헌

···

39

부록

···

48

(7)

표 목 차

<표 1> 연구 방법 및 기간 ···26

<표 2> 기술통계량 ···30

<표 3> 신뢰도 ···30

<표 4> 성별차이분석(T-TEST) ···31

(8)

ABSTRACT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Self-Concepts in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and Smart-phone

Addiction.

Jin-a Joo Advisor : Prof. young-hwa Seo Major in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usical self-concepts of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ir degree of smart-phone addi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sed how well the subjects formed musical self-concepts and their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using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al self-concepts of the subjects and smart-phone addiction was analysed. Interviews using a questionnaire were given in May, 2014 and three types of measurement instruments were used in the research. To identify how well the subjects understood the questions given, the time need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and problems in completing the questionnaire, a preliminary test was made in March, 2014 targeting 78 high school students in G city. As it was discovered that a total of twenty or thirty minutes were need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ults, a final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he period of data collection ranged from May 1st to 10th, 2014. The questionnaire developed was distributed only to 80 student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musical self-concepts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gender, the mean value for male students was 2.73 and that for female students was 2.48.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is indicates that the

(9)

degree of male students' musical self-concep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emale students.

Second, when the differences in smart-phone addiction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gender was investigated, the mean value for male students was 2.02 and that for female students was 2.24.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means that female students' addiction to smart-phones was more serious.

Third, although the causes and effects are not definitely known a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of the subjects and musical self-concepts was low, there was a difference in smart-phone addiction and musical self-concepts according to gender.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suggests that a rapidly-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bad influence of smart-phones on students should be investigated and it is expected that examining what relationship there is between the musical self-concept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will be meaningful to the healthy emotions of adolescents and for effective music education.

key word : alternative school, musical self-concepts, smart-phone addiction.

(10)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현대사회는 다양하고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살 아가고 교육은 변화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세계는 기존의 학 문으로는 만족하지 못하고 더 새로운 학문, 더 실용적인 학문, 더 창의적인 학문 을 요구하고 있다(김진희, 2014).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은 고학년으로 갈 수록 대학입시 위주의 주입식 교육에 치중되어있다. 그리고 입시교육과 교육과정 의 목표에 제시되어있는 창의성과 다양성에 대한 강조는 학교교육에 정착하지 못해 오히려 사교육을 부추기고 있다.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창의성 사고는 더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입시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오늘날 고등학교 교 육현장에서 음악교육의 비중은 점차 줄어들고 있는 안타까운 실정에 놓여있다.

특히 학교교육의 환경은 예전과는 달리 보편화되고 대중화될 뿐만 아니라, 학교 의 규모도 커지고 보다 조직화되고 있다.

음악교육에서는 국민 공통교육 기간 동안 음악과 관련된 자신의 능력을 키우고 음악의 역할과 가치를 이해하여 생활화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그중 고등 학교 음악교육은 초등학교로부터 시작된 음악교육이 마무리 되는 시점으로 이 시점에 갖게 되는 음악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들은 향후 능동적인 음악활동을 영 위하는데 있어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등학교에서는 학생들이 저마다의 음악성을 갖고 음악을 중시하는 태도와 가치관을 확립하는데 힘써야 한다. 그리고 음악을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생활에 접근하도록 교육되 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가장먼저 자신의 음악적 능력에 대해서 긍정적인 인 식을 가지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자신의 음악적 능력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음악에 대한 동기와 성취를 더욱 강화함으로써 자신의 음악적 기 호를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길혜영, 2006).

(11)

또한 영상매체와 관련된 영역의 확장은 텔레비전, 인터넷 그리고 컴퓨터 게임 등의 기술 중독(Technological addiction)도 생겨났다(한주리, 허경호, 2004 재인 용). 이러한 현실에서 기계에 대한 중독을 심리학 및 정신의학 분야의 관점에서 연구, 관찰하려는 노력이 커져가고 있다. 그러나 교육적으로 중독에 대한 개념 역시 아직도 논의되고 있으며, 중독(addiction)이란 용어는 의존(dependence)이라 는 용어와 동일한 의미로 쓰이고 있다.

더구나 IT기술의 발달로 인해 청소년들의 미디어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데 특히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상승함에 따라 생활의 편리함도 많아졌지만, 그에 따른 각 종 문제도 증가하고 있다. 2011년 행정안전부와 한국 정보화 진흥원의 인터넷 중 독 실태조사에 따르면, 청소년의 96.5%가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중독 고위험군의 43.8%가 PC가 아닌 스마트폰으로 인터넷을 이용한다고 나타났다. 최근 스마트폰에 중독된 청소년들의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문제들을 살펴보면 스마트폰 금단현상, 자기 통제력 약화 등의 현상을 보이고 있다(박훈미, 2013).

이처럼 자기 통제력이 부족한 청소년들에게 가장 밀접한 전자기기로 스마트폰 보급과 확산은 성인들보다도 더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게 한다. 스마트폰의 중 독에 따른 심각한 사회문제는 인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 건강을 해칠 수 있 을 뿐만 아니라, 과도한 요금 발생으로 인한 경제적 문제와 금단현상 등을 초래 하는 정신 병리적 문제,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를 유발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환 경에서 청소년들의 정서와 관련된 음악적 자아개념 형성을 위해서는 교육적으로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청소년시기의 음악적 자아개념은 느낌과 통찰을 통해서 이루어진 음악적 체험 과 음악과 관련되어 타인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그리고 음악적 행동에 대한 자 기의 평가를 통해서 형성된다. 또 계속해서 겪게 되는 새로운 음악경험들은 기본 적인 틀을 기준으로 하여 음악선호로 나타난다. 음악적 자아개념은 학습자의 행 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며 결국 학업성취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음악적 자아개념은 일반적으로 개인이 가지고 있는 향후 행동 방향 및 그 목표

(12)

를 결정하여 자신의 신념에 따라 다른 행동과정을 선택함으로써 앞으로의 행동 방향과 강도를 결정하여 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장래 개개인의 음악적 취향과 활동 및 음악적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이 기협, 1996). 즉, 음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단순히 음악적 활동에 따라 이루 어지기 보다는 타인 및 환경과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부분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즉 고등학교에서의 음악적 자아개념은 음악경험과 그에 따른 가치 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다. 따라서 긍정적인 음악인식은 음악에 대한 동기와 성취를 만듦으로써 음악적 자아개념을 향상 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학교에서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앞으로 계속 늘어날 전망이기 때문에 그들의 중 독성을 점검하고 또, 사용 연령대의 범위가 더 넓어지고 인하여 학교 내에서의 대처방안도 마련되어져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 한 관심과 예방은 앞으로 꼭 필요한 부분이며, 스마트폰이 가지고 있는 역기능이 크지만 이에 반하여 음악적인 차원에서 볼 때 음악의 순기능의 역할도 교육적 차원에서 중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교육환경과 학생들의 스마 트폰 사용에 따른 폐해의 심각성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에게 음악과 스마트폰 중독이 어떤 관계에 놓여있는 지를 살펴보는 것이며 청소년기의 건전한 정서와 음악적 자아개념에 대해 그 인 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안학교 고등학생 1학년을 대상으 로 하여, 이들의 음악적 자아개념이 어느 정도 형성되어 있는지와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검사지 를 통해 분석해 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학생들의 음악적 자아개 념과 스마트폰 중독이 서로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13)

2. 연구 문제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을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 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안학교 청소년들의 음악적 자아개념은 어떠한가?

둘째, 대안학교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의 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대안학교 청소년들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선행연구

스마트폰 중독과 음악적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휴대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으로 자아 존중감, 우울증, 스트레스 등이 있으며 자 아존중감과 매체 중독과의 관련성은 경험적 연구들을 통해서 입증되었다. 대체로 중독자들이 비중독자들보다 자아존중감이 낮게 나타났으며(곽민주, 2004), 자아존 중감과 인터넷 · 휴대폰 중독이 높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안순영 외(2008)의 연구에서는 자아존중감은 인터넷 중독의 유의한 예측변인이 아니라고 보고하기 도 하였다(서지혜, 2012 재인용). 김학범(2013)은 스마트폰 중독관련 변인들을 원 인 관련 변인과 결과 관련 변인으로 분류하고, 이 스트레스는 원인 관련 변인으 로 연구가 진행되었음을 밝힌 바 있다.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인터넷, 휴대전화 중독과 관련한 연구 결과들을 보면,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중독수준도 높게 나타 났으며, 생활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김 남선, 이규은, 2012; 박지은, 최연희, 2011; Gharib, Homayouni,& Khatiri, 2010;

Velezmoro, Lacefield, & Roberti, 2010).

또한 정경아(2001)는 인터넷 중독집단과 비중독집단간의 스트레스를 비교한 결 과 인터넷 중독 집단의 스트레스 수준이 비 중독 집단에 비해 훨씬 높다는 것을

(14)

문경숙(2008)은 스마트폰 중독과 학업 스트레스가 자아존중감에 유의미한 영향 을 준다고 하였다. 그리고 학업 스트레스는 학업으로 주변의 지나친 기대를 받게 되고, 그것에 부담을 갖거나 만족시키지 못했다고 생각이 들었을 때 계속적인 실 패와 좌절을 반복하면서 점차적으로 자신감을 잃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는 학업의 실패로 인해 생기는 좌절감이 낮은 자아 존중감을 야기한다고 하였다. 스 마트폰의 경우는 사용 시간이 점차 늘게 되면서 공부할 시간과 흥미를 잃어 버 리고 학업 성적이 떨어져서 대내외적으로 인정을 받을 수 없는 환경 하에서 자 신감을 점점 잃는 것이라 보여 진다. 이는 스마트폰 중독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이 떨어짐을 나타낸다(신홍식, 2008). 또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살펴보 면 한 개인의 우울정도가 높을수록 인터넷의 중독사용이 높아진다고 보았다(김 교헌, 김윤후, 2006; 오효숙, 조민자, 2012;). 이처럼 다수의 연구들은 높은 우울 수준이 인터넷 중독뿐만 아니라 휴대전화의 중독적 사용도 높일 수 있는 위험요 인임을 실증으로 검증하여 제시해 왔다(이혜경, 한상훈, 2008;).

특히 우울은 다른 변수들에 비해 인터넷 휴대전화의 중독사용에 대한 설명력과 예측력이 강력한(이혜경, 2008)미디어 중독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볼 수 있다. 높 은 수치의 우울 이 인터넷 중독, 스마트폰의 중독사용 경향을 높이는 위험요인으 로 보고 있으며, 특히 다른 변인들에 비해 중독적사용에 대해 가장 잘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보고 있다. 인터넷 중독관련 연구들은 우울 성향이 높은 경우 현실 에서의 어려움을 피하고 자기 자신의 사회적 욕구를 인터넷이라는 가상공간에서 채우려고 하는 경향이 높아지며, 이는 과도한 인터넷 사용으로 이어지게 된다(손 혜선, 2014). 이처럼 스마트폰 중독관련 연구에서는 우울 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 향을 미치는 강력한 변수라고 주장 하면서 정신건강과 스마트폰의 중독적사용은 정상 사용 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울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간의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학생들의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우울한 성향이 높 은 경우 부정인 정서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손쉽게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중독적사용가능성이 높

(15)

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우울은 스마트폰 중독을 높이는 위험요인으로 스마트폰 불안, 특성 불안, 우울 모두 중독사용군이 정상사용군보다 높았다. 그리 고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강할수록 상태불안, 특성불안 및 우울 정도는 높았고 상 태불안 특성불안 우울 정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는 좋지 않았다는 것이다(황경 혜 외, 2012).

이상에서 살펴본 바에 의하면 스마트폰 중독과 자아개념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지배적이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줄이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중독과 음악적 자아개념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음악의 선호도는 여러 장르의 음악들 중 어느 한 장르를 좋아한다는 말 로 개인의 경험이나 인지 능력, 혹은 취향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것이고 주관적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특별히 한 장르를 좋아하게 된 동기가 무엇인지에 대해 음 악교육가, 음악치료사, 음악심리학자 등 많은 사람들의 관심대상이 되었다. 음악 적 선호에 관한 연구는 세 가지 이론이 있는데, 음악을 반복해 들음으로써 그 음 악을 좋아하게 된다는 이론(Heingartner,A & Hall, 1974), 청소년과 권위 형태인 성인과 교사의 태도 모방이 음악적 선호 형성에 강한 영향을 준다는 이론 (Greer,R.D.& Dorrow,L.G, 1974), 음악적 구성요소가 음악적 선호에 큰 영향을 준다는 이론이 있다(LeBlance,A.& McCrary,J, 1982).

서승미(2005)는 고등학생에게 있어서 음악이란 ‘스트레스 해소 및 기분전환’이 가장 높은 것을 통해 정서적 힘듦을 음악을 통해서 위로 받는 다고 하였다. 청소 년들은 성장 과정에서 음악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자라고 인터넷과 대중문화의 발달로 쉽게 음악을 접하고 들을 수 있는 현대사회에서 청소년은 음악으로 대화 하며 동질성을 찾을 수 있고 음악을 통해 공감대 및 사회적 의식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전희란, 2009).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가치나 중요성에 대한 자기 평가적 태도로서 청소년기의 심리 사회적 발달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고등학생은 청소년기의 특징이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시기로 대학 입시와 관련하여 학업에 대한 과도한 중압감,

(16)

취업 및 진로에 대한 준비, 가치관의 혼란 등 심리적으로 불안정하며 여러 가지 부적응 문제를 야기 할 수 있다. 실생활에서 자아존중감이 낮고 대인관계에 부적 응적인 사람들이 인터넷 에서는 신체적인 정보가 배제되고 익명이나 가명을 사 용하여 현실 도피의 수단으로 이용하게 되며, 낮은 자아 존중감을 보상받기 위하 여 인터넷 접속행동이 증가하고 보다 오래 머무르게 되므로 인터넷에 중독 될 수 있다.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이 더욱 확산되고, 그 역기능이 심각하게 우려되 는 상황에서 자아존중감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를 살펴보는 연구는 매우 필요하 고 의미 있는 일이라고 할 수 있겠다.

(17)

Ⅱ. 이론적 배경

1. 음악적 자아개념

최근 예술적 자아개념 및 음악적 자아개념에 대한 논의는 자아개념의 다면적, 위계적 구조에서 비롯되었다. 자아개념은 다면적인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일반 자아개념의 그 하위 요소인 예술적 자아개념과 음악적 자아개념들을 대표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예술적 자아개념 및 음악적 자아 개념은 그 자체 로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학교에서의 음악적 자아개념이 강조되 어야 할 것이다. 즉, 음악은 멜로디, 하모니, 리듬의 세 가지 구성요소를 통하여 인간의 감정표출, 사고 그리고 신체에서 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예술이다. 음 악은 마음의 움직임을 많은 음들로 질서 있게 배열한 것이므로 인간의 기분을 바꾸어 주고 자기표현을 하게 해 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음악은 인간의 마음속 깊이 호소되어 정서에 작용하는 것이어서 인간성 형성에 많은 도움을 주 는 예술이라 할 수 있다(정혜진, 1996).

김진주(2008)의 연구에 따르면 자아개념은 다면적이고 위계적인 구조적 특성을 가진 개념으로 규명되고 있다. 다면적, 위계적 특성이란 다양한 영역과 요인이 위계모형의 저차원에 분화되어 있고, 분화된 자아개념의 하위 요소들은 상호관련 성을 가지거나 혹은 자아의 다양한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기협(1996)은 음악적 자아개념이란 음악에 대한 일단의 감정과 인지적 과정으 로서 자신의 음악적 기술 및 능력, 태도, 그리고 감정 등에 관해서 내리는 전체 적인 평가이며 이것은 음악 행위의 방향을 결정짓는 요인이 됨을 이야기 하였다.

또한 이것은 개인의 느낌과 통찰을 통해 이루어진 음악적 체험뿐 아니라 음악과 관련된 타인, 음악적 모든 환경 및 음악에 대한 자신의 지각에 의해 조직되는 것 으로 가치, 목표, 이상 등을 지닌다고 하였다. 신체적으로 극적인 변화를 겪으면 서도 동시에 지적 능력이 있어 본격적인 발달을 시작하게 된다. 이 시기에는 자

(18)

아개념이 발달하고 변화하는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문성주(1991)는 청소년기는 자아 존중감의 발달에 있어서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많다고 하였고, Barber, Chadwick & Oerter(1992)는 청소년 시기는 경험의 동적 인 특성 때문에, 이 시기의 자아존중감에 특별히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하 였다(전선제, 1997).

또한, 송명자(1995)는 청소년기에는 자아개념이 동요하는데 이는 타인에게 주는 인상이나 타인으로부터 받는 평가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어서 자신에 대해 일 관성 있는 자아개념을 갖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이시기는 긍정적 인 자아개념을 발달시킬 수 있는 중요한 시기이며, 또한 음악적 자아개념을 긍정 적으로 변화시키고 발달시키는데도 중요한 시기임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이 시기 의 학생들에게 음악 교과를 가르침에 있어 학생들이 긍정적인 음악적 자아개념 을 형성할 수 있도록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해 준다. 또, 음악적 인 특징 면에서도 이 시기에는 많은 발달과 변화가 있다. 따라서 이 시기의 긍정 적인 음악적 경험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음악적 자아개념을 심어주는 데 결정 적인 역할을 할 것이고, 반대로 부정적인 음악적 경험은 부정적인 음악적 자아개 념을 심어주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이 시기의 음악적 경험들이 학생들의 음 악적 자아개념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이 시기에 긍정적인 경험들을 통해 학생 들에게 긍정적인 음악적 자아개념을 심어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음악적 자아개념은 음악에서의 성취 및 기술 발달과 관련하여 개인이 그 자신에 게 내리는 주관적인 평가라고도 할 수 있다(Phillips, 2003).

Schmitt(1979)는 음악적 자아개념을 ‘음악 작업을 수행하고 음악적 역량을 달성 하는 능력에 대한 개인의 주관적인 평가’로서 정의하고 만 10세~15세 학생들의 음악적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음악적 자아개념 척도(Self-Esteem of Music Ability scale, SEMA)'를 개발하였다.

Vispoel(2003)은 예술 관련 영역에서의 자아개념의 측정에 대해 연구하면서 예 술적 자아개념을 구조화하였고, 예술적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예술적 자아 개념 측정도구(Arts Self-Perception Inventory)를 개발하였다. 그는 음악적 자아

(19)

개념을 ’가창, 악기, 연주, 독보, 음악 감상, 작곡, 음악에 따른 움직임 창조를 포 함한 자신의 음악적 능력을 묘사하고 평가하는 방식‘이라고 정의하면서 음악적 경험과, 그러한 경험을 통해 형성된 음악적 능력에 대한 자아인식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자아 인식은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평가나 강화, 음악에서의 성취 와 성공에 대한 귀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Vispoel의 예술 적 자아개념은 극예술, 무용, 음악, 미술을 체계적으로 융합하였으며, 영역별 자 아상을 뚜렷하게 구분하여 개념화하고 있다(이정희, 2003).

즉, 예술을 통한 인간적 발달과 내면세계를 표출하는 과정을 통해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데 주안점을 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음악적 자아개 념은 음악의 수용에 있어서는 여과지와 같은 역학을 하며 음악적 표현 행동을 통제하는 주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이기협, 1996), 음악교육에 있어서 동기유 발 및 성취와 강하게 연관되어 있다.

음악적 자아개념은 앞에서 언급한 자아개념의 다면적 특성에 따라 대두된 학업 적 자아개념과 예술적 자아개념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이 자아 개념의 다면적 특성에 따라 대두된 음악적 자아개념을 일반 자아개념에 대해 정 의한 Coopersmith(1967)와 Michel & Farrell(1973)에 근거해서 정의하면, 음악적 자아개념이란 음악에서의 성취 및 기술 발달과 관련하여 개인이 그 자신에게 내 리는 주관적 평가라고 할 수 있다.(Phillips, 2003). 위의 정의들을 종합해 볼 때, 음악적 자아개념은 학생들의 음악 태도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이며, 학생 들의 음악적 동기 유발과 음악 성취를 좌우하는 변수로써, 긍정적인 음악적 자아 개념을 가진 학생들에게는 미래에 지속적인 음악활동과 성공적인 음악학습을 기 대할 수 있다. 따라서 음악교육에서 이러한 긍정적인 음악적 자아개념을 심어주 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0)

2. 대안학교

1) 대안교육의 개념 및 배경

대안교육의 개념을 분명히 하기위해 대안(代案)이란 용어에 대한 정의가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대안이란 용어의 내용을 정형화 할 수 없기 때문에 대 안학교의 개념을 정의하는 일은 쉽지 않다. 대안이라는 단어는 영어의

‘Alternative'에서 비롯된 것으로, 사전적 정의는 “둘 혹은 셋 이상에서 하나를 택할 여지”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독자적인 하나의 안에 문제가 있을 때 이를 대치 내지 보완하기 위해 대신하는 새로운 안이 대안(代案)인 것이다. 대안학교 는 이러한 보완을 위한 안을 실천하는 학교로 현행 학교 체제의 문제점을 비판 하고 나아가서 그 해결책으로서 제시된 안을 실천하려는 새로운 형태의 학교라 고 할 수 있다(정유성, 2000).

교육 백과사전에서는 대안학교를 “표준적인 공립학교들이 제공하는 것과 다른 경험을 추구하는 아동과 학부모들을 위하여 특별한 교수법과 프로그램, 활동, 여 건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안된 학교“라고 정의하고 있다.

대안학교의 기본적인 철학배경은 유사할 지라도 대안교육의 직접적인 등장원인 은 1970~80년대의 획일성과 비인간화로 특정 지어지는 학교제도에 대한 문제의 식에서 비롯되었다. 기존 학교교육의 획일성과 경쟁 중심의 비인간화로 특정 지 어지는 학교제도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또한 자연환경 파괴에 따른 자연과 더불어 살아야 하는 후손들을 위한 교육방법의 모색으로, 인간성 회복과 창의적이고 자율적인 인간교육성 교육의 방안모색으로 대안교육이 등장하였다 (김지연, 2007).

(21)

2) 대안교육의 의미와 특성

대안교육의 의미 파악에 있어 많은 사람들이 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의미로 이 해하는 경향이 있으나 명백히 말해 대안교육은 대안적 교육으로서 “어떤 교육에 대한 또 다른 어떤 교육”의 의미이다. 그것은 기존의 교육과는 무언가 다른 새로 운 교육을 의미하는 개념이며, 대안학교는 이러한 대안교육을 수행하는 유 · 무 형의 교육 실천과 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고병헌, 1997). 대안교육운동의 모습과 방법은 지역, 나라, 실천현장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교육의 역사 속에 기존의 교육을 비판하고, 존재하는 현실교육을 대신하고자 하는 대안적 교육들은 언제나 있어 왔지만 대안교육이라는 특정의 이름으로 인식되는 새로운 대안적 교육이 대두된 것은 최근의 일이라 할 수 있 다.

현대사회에서 새롭게 나타난 대안적 교육은 다음과 같은 의미로 이해될 수 있 다(권현숙, 1999).

첫째, 대안교육은 교육을 대신하는 개념이나 교육을 부정하는 개념이 아니라 기 존의 교육형태-학교라는 기관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획일적이고 관료화되고 경직화되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교육 형태와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교육을 의 미한다. 이미 기존의 제도교육을 대시하는 교육을 실천하고 있거나 장차 대신할 가능성이 있는 실천 지향적 교육의 한 흐름이다.

둘째, 대안교육은 기존의 교육을 비판하고 새로운 교육을 모색하고자 하는 일종 의 교육 개혁적 노력이라 할 수 있으며 사회 운동적 성향이 강하므로 궁극적으 로는 교육을 통한 사회개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셋째, 대안교육의 대상은 단지 학생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모든 인간 즉, 나이 · 성별 · 직업 등과 상관없이 모든 사회구성원이 대안교육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고병헌(1997)에 의하면 대안학교에서 말하는 대안은 기존의 학교교육에 터 하고 있는 이념적인 성향이나 인간관, 자연관, 사회관, 세계관들에 대한 근본적인 문제제기를 근거로 하고 있다. 즉, 문제 해결 적 이고 미래 지향적인 가치의 선

(22)

택이라는 적극적 의미를 담고 있다. 한편, 좀 더 한정적인 의미를 지닌 대안교육 은 “20세기말의 상황에서 표출된 근대 공교육제도의 근본적인 문제들, 예컨대 획 일화와 경직성, 경쟁과 물질적 가치지향 등에 주목하고 그것들을 극복하기 위해 전개하는 일련의 교육적 노력들“(권현숙, 1999)이라고 할 수 있다. 대안교육은 기 존의 학교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공립학교나, 정부통제 학교에서 제안하 는 전통적인 것보다 특별한 교육, 프로그램, 활동 등 다른 경험을 추구하기 때문 에 가족과 아동의 배경을 바탕으로 하는 기존의 관점과는 다른 학교이다. 이상에 서 알 수 있듯이 대안교육은 기존의 정형화된 또는 표준화된 공교육과는 다른 형태, 이념, 내용, 방법, 또는 조직 및 운영을 추구하는 교육을 의미한다. 공교육 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기존의 제도적인 틀 속에서 새로움을 추구하는 교육 과 그러한 제도적인 틀에 얽매이지 않으면서 교육의 본질을 찾거나 대안적인 가 치에 입각하여 새로움을 추구하는 교육을 모두 포함한 확산적인 의미이며, 제도 권 안과 밖의 교육을 모두 포함하는 대안적 형태의 교육을 의미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전개되고 있는 대안학교의 특성들은 학교마다 매우 다양한 가치체계를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한두 가지로 요약하기는 어렵지만 다음과 같 은 특성들이 있다. (심성보, 1998).

첫째,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한다. 고도의 지식산업으로 인해 비인간화 되어가고 있는 인간성을 회복시켜 나가는 것이 교육의 과제이다. 특히 제도권 내의 일반학 교들의 인간성 상실 심각한 한계이다. 일반학교가 다양한 욕구를 지닌 학생들의 잠재적인 능력과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지식위주의 암기교육, 획일 적인 평가 등으로 가장 중요한 인간성 교육을 도외시하고 있는데 반해 대안학교 는 인간성 존중의 가치를 지향한다.

둘째, 개인의 능력을 존중한다. 기존의 일반학교에서는 개인의 자유로운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음에 반해 대안학교는 학습자 개개인의 요구에 최대한 부응할 수 있는 자유로운 형식의 학교를 추구한다.

셋째, 공동체 활동을 강조한다. 공동체란 남을 존중하고 남과 더불어 사는 태도 를 말한다. 대안학교는 경쟁보다는 협동을 강조하기 위해 기숙사 생활을 통해 혼

(23)

자가 아니라 여럿이 모여 기쁨도 슬픔도 함께 나누는 공동체 정신을 강조하고 있으며 학교 운영의 전반에 경쟁보다는 협동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넷째, 경험중심의 교육을 지향한다. 대안학교는 대중매체에 의해 제안된 유사- 경험으로 경험을 빈약하게 하는 것을 반대한다. 교과 지식보다는 다양한 체험을 통한 감성교육을 중시한다. 대안학교는 학생들이 적절히 준비된 교실과 학교 운 동장에서 자신의 경험을 갖도록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학생들은 체험을 통해 자 신의 창의력과 상상의 나래를 펼 수 있으므로 대안학교는 성인기의 삶을 위한 훈련이 아니라 현재의 삶에 충실한 학교생활을 보내도록 한다.

김명수 · 김흥태(1998)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대안적 교육과정은 행동을 통한 학 습, 실험적 학습, 문제 해결 적 학습 등을 중시하며, 효과적인 대안교육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학생들 간의 경쟁보다는 협동을 강조하고 학습낙오자와 학 교 중도탈락자들을 배려하여, 학생들의 학습욕구를 만족시켜 주려고 한다. 마지 막 기회를 부여하는 성격을 갖는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대안교육에서는 일반적으로 기존 일반학교에서 도 외시되었던 인간성 회복의 가치를 지향하고 개인의 자유를 최대한 허용한다. 또 한 생명존중과 자연생태계 회복을 지향하며, 교과 지식보다는 다양한 체험을 통 한 자연과의 공존을 중시하는 반면에, 한편 개인 간의 공동체적 유대를 강조하며 지역사회에 뿌리를 두는 작은 규모의 형태를 지향한다.

(24)

3. 스마트폰 중독

1) 중독의 개념

중독이란, 인간의 기분을 변화시키기 위해 특정 물질에 의존하는 물질중독과 특정한 활동이나 사건에 의존하는 행위중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 려져 있는 물질중독으로는 니코틴 중독, 알코올 중독 및 다양한 불법적인 약물중 독 등이 있으며, 행위중독에는 도박중독, 성 중독, 일중독, 운동중독, 쇼핑중독 및 TV중독 그리고 인터넷 중독 등이 포함된다(양돈규, 2000). 신체가 내성을 발달시 켜 종전과 같은 만족을 경험하려면 더 강한 강도나 지속 기간의 자극을 요구하 고 그로 인한 패해가 발생한다. 자극이 중단되었을 때 불쾌한 상태나 고통이 초 래되는 금단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이제는 금단현상에 따른 고통을 해소하기 위해 행동을 반복하게 된다(손혜선, 2014).

중독의 대부분의 행동은 그 결과에 따라 적응적인 조절이 이루어지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 만성중독이 발달한다. 만성중독(addiction)을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 로 폐해가 많아 이를 중단하려고 함에도 불구하고 통제력을 잃고 반복하게 되는 행동으로 정의한다(김교헌, 2006).

청소년에게서 중독이 위험한 이유는 신체적 발달과 정서적 발달이 고루 이루어 져 인격형성이 되어야 하는 중요한 시기에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고등학교 시기는 성인기 직전의 과정임으로 더욱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행위중독은 시대가 바뀜에 따라 영상매체인 TV로부터 시작하여 컴퓨터 게임과 인터넷, 스마트폰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고 있다(김태익, 김원중, 2009).

최근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이란 용어는 용어의 적절성에 대한 논의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고, 아직까지는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합의된 정의 가 존재하지 않으며 연구자들마다 스마트폰 중독, 스마트폰 몰입, 스마트폰 과다 사용이란 용어가 함께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폰 중독의 개념은 주로 기존의 pc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 중독의 개념에서부터 시작해서 휴대전화 중독, 인터넷과 휴

(25)

대폰 기능이 결합된 스마트폰 중독의 개념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를 바탕으로 기존 연구에서 정의내린 스마트폰 중독의 개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스마트폰 중독이란, 스마트폰을 과다 사용하여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금단 과 내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일상생활의 장애가 유발되는 상태를 말한다 (한국 정보화 진흥원, 2011).

스마트폰 중독은 스마트폰의 과도한 몰입으로 인하여 생기는 초조, 불안과 같은 일상생활에서의 장애(강희양, 박창호, 2011)이며,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몰입한 나 머지 스스로를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른 것(박용민, 2011; 박지선, 2011)이라 고 할 수 있다. 이코노믹리뷰(2011)에서는 스마트폰 중독을 정신적 중독이면서 과정 중독에 해당된다고 보고 습관적으로 혹은 과도하게 스마트폰에 의존하며 스마트폰이 없을 때 견디기 어려운 불편과 불안, 정신적 긴장감을 느끼는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엄민경, 2013 재인용).

신영미(2012)의 연구에서는 이동통신매체를 이용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의 목적뿐 만 아니라 뚜렷한 목적 없이 스마트폰을 과도하게 사용함으로써 의존적이고 강 박적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휴대폰이 부재 시 불안, 초조 등의 강박적인 증상을 느끼며 휴대폰 사용에 지나치게 몰입하여 일상생활에 문제가 발생함에도 휴대폰 사용을 조절하지 못하는 상태로서 일상생활과 학업에서 문제를 경험하는 정도가 높은 것을 스마트폰 과다사용이라고 정의하였다. 전민(2012)은 스마트폰 과다사 용을 4가지 증상으로 정의하였다. 첫째, 생활 장애는 휴대폰의 과도한 사용으로 개인적,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결과가 나타남을 의미한다. 둘째, 의존은 나도 모르 게 습관적으로 휴대폰을 사용하게 되며 휴대폰을 사용하게 되며 휴대폰을 사용 하지 않으면 불안하거나 초조한 상태를 의미하고, 셋째, 내성은 휴대폰을 더 많 이 사용해야 만족을 느끼게 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넷째, 집착은 휴 대폰을 계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상태를 의미한다(박훈미, 2013).

(26)

2) 일반적인 중독의 요인

(1) 스트레스

스트레스란 유기체의 적응과 조절에 가해진 압력이나 외부의 요구적인 힘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홍설화, 2006), 그 개념은 학자들마다 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논 의되고 있다. Selye(1985)는 스트레스를 외적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심리적 혹은 신체 생리적 장애반응으로 정의하고, 태어나면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계속되 는 삶의 일부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Lazarus와 Folkman(1984)은 개인이 가진 자 원을 초과하여 개인의 안녕을 위협하는 것으로 평가되는 개인과 환경 사이의 특 정한 관계를 스트레스라고 정의하였다. 스트레스는 일반적으로 반응으로서의 스 트레스, 자극으로서의 스트레스, 상호 작용으로서의 스트레스로 구분되는데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응으로서의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유기체의 생리적, 심리적 반응상태를 말한다.

둘째, 자극으로서의 스트레스는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사건을 말한다.

스트레스 자극은 중대한 생활사건과 일상적 생활사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중대 한 생활사건은 개인에게 큰 변화를 주는 사건을 말하고, 일상적 생활사건은 대부 분의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흔히 경험하는 사건을 말한다.

셋째, 상호작용으로서의 스트레스는 개인과 환경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를 말 한다.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사건은 모든 사람에게 동일하게 스트레스 요인이 되 지 않으며, 사건의 특성 뿐 아니라 개인의 특성에 의해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정 도의 차이가 발생한다(Lazarus & Folkman, 1984).

청소년기는 신체적, 인지적, 사회적 변화가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기로, 새로운 성장 과정과 변화된 환경 속에서 다양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또한 2010년 한국 청소년정책연구원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청소년들이 최근 1년간 스트레스를 느꼈던 빈도를 한국, 미국, 일본, 중국 국가별로 조사한 결과 한국 청소년들의 스

(27)

교육제도로 인한 과도한 학업성취 압력, 부모나 교사의 높은 기대와 요구, 또래 와의 치열한 경쟁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들로 인해 스트레스 상황에 많이 노출 되어 있다(한희진, 2009). 하지만 청소년들을 위한 건전한 놀이문화가 부족하며, 충분히 스트레스를 풀 수 있는 여건이 미흡하다. 이 같은 상황에서 스마트폰은 청소년들에게 환경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해소해주거나 스트레스 상황을 회 피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가 될 수 있다. 엄옥연(2011)과 최희정(2011)의 연구에 의하면 청소년들은 인터넷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거나 과도하게 몰입하면서 스트 레스를 푸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된 스트레스와 그로 인한 과도한 인터넷이나 스마트폰 사용은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에서 긴장과 불안, 우울 등 심리적 문제와 가출, 폭력, 중독 등 다양한 문제행동을 일으킬 수 있다. 개인이 속한 환경 속에 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행동을 일으킬 수 있다. 개인이 속한 환경 속에서 발생 하는 다양한 스트레스를 잘 극복한다면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극이 될 수도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로 전환될 수 있다.

Young(1996)은 생활의 특정영역에서 불만족스러운 사람들이 다른 대처방법을 이 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중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많다고 지적하였다. 이런 과정 의 반복을 통해 생활은 전반적으로 통제력 밖에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정서적 우 울감이 심해지며, 문제를 해결하거나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실제적인 대안 을 생각하기보다 현실적인 문제에서 도피하려고 하게 된다(이형초, 안창일, 2002).

서승연과 이영호(2007)의 연구에서도 스트레스는 알코올이나 인터넷 중독과 같 은 행위중독에 깊이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처럼 청소년들이 경험 하고 있는 다양한 스트레스는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며(김준걸, 2004; 김효순, 2009; 아영아, 2010; 이은수, 2012; 조정선, 2004; 홍설화, 2006), 스 마트폰 중독을 예측하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8)

(2) 학교 부적응

청소년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는 사회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다.

학교에서 경험하는 학교환경과 학교생활, 교사, 또래와의 관계, 수업에 대한 적응 정도는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과 관련이 있고 사회 적응 능력을 평가할 수 있 는 기준이 될 수 있다(구혜경, 이수진, 2011).

학교생활의 부적응은 다양한 부적응 행동특성이 학교생활이라는 삶의 영역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학교생활에 부적응하게 되면 개인의 욕구가 학교 환경과의 관 계에서 수용되지 못해 갈등과 부적절한 행동을 보이게 되고, 소극적이고 자신감 이 결여된 상태에서 문제행동을 나타내기도 하면서 불안, 절망, 소외감을 느낀다 (이미라, 2001; 최민희, 2009). Bierman(1994)은 학교생활적응(School adjustment) 이란 학교라는 환경 안에서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환경을 변화시키는 한편, 학교 환경의 요구에 따라 자신을 변화시킴으로써 학교환경과 개인 사이에 균형을 이루려는 적극인 과정이라 하였다(이재선, 나승일, 2011). 적응은 학교를 비롯하여 새롭게 접하는 집단과 환경에서 누구나 꼭 거치는 과정이다. 적응 (Adjustment)은 개체와 환경 간의 균형 있고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해 나가는 행 동과정이며, 욕구좌절과 갈등을 합리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행동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윤성민, 2006). 또한 학교적응은 청소년과 학교 특성에 비추어볼 때 청소년 의 교육적, 발달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청소년이 학교에 적응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요인으로 가족이나 친구와 같은 의미 있는 타인들과의 대인관계 임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관계는 청소년의 자아개념이나 부적응인 심 리적 특성이 학습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상호작용 함으로써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결정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지식정보화 사회의 급격한 사회변화 속에서 빠르게 적응하고 새로움을 창출 할 수 있는 힘과 원활한 인간관계를 길러 나가는 중요한 역할을 행하고 있 는 기관을 학교라 할 때 청소년들의 학교적응은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다루어져 야 할 것이다.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인터넷 휴대폰 중독을 연구한 결과들을

(29)

살펴보면 청소년의 인터넷 휴대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 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영미, 2012; 김광수 외, 2001; 김선미, 2005; 김정숙, 2010; 조은숙, 2003). 고등학생의 경우 휴대폰 중독 수준이 높으면 학교생활적응 수준은 낮다 고 나타났다(김선희, 2005).

인터넷, 휴대폰 중독 수준이 높은 청소년은 또래나 교사와의 관계가 조화롭지 않고, 학교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등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볼 수 있다(김정숙, 2010; 이연미 외, 2009).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학교생활적응과 관련한 선행 연구를 보면 청소년과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으면 학교만 족도는 낮다 고 나타났고(박지선, 2012), 황승일(2013)이 중학생을 대상으로 조사 한 결과 교사의 지지가 낮으면 스마트폰 중독 수준은 높다 고 나타났다. 학습자 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과 교사와의 관계는 학교생활적응을 구성하는 요소이며, 학교생활의 만족이 낮고 교사와의 관계가 원만하지 않을 때 학교생활적응의 수 준이 낮기 때문에(이규미, 2005),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으면 학교생활적응의 수준은 낮다고 볼 수 있다. 김혜주(2013)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스마 트폰 중독 집단은 비 중독 집단보다 학교생활적응 수준이 더 낮다 고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스마트폰중독 수준과 학교생활적응 수준 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들에 대한 관점은 연구자마다 조금씩 차이를 보이지만 대체적으로 학교적응의 영역은 학교(학교생활, 학교환경 포함)에 전반적인 만족도, 교사에 대한 적응, 또 래 친구들과의 관계, 수업적응 및 참여도, 문제행동이나 방해 행동의 부재 등이 핵심을 이루며, 학업성취 및 학교에서의 유능감도 중요한 영역으로 볼 수 있다.

(3) 의사소통의 부재

의사소통은 의미를 창출하고 공유하는 상징적인 상호교류과정으로 인간관계에 서 가장 보편적이고 기본적인 것이며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상호 반향 적 과정의 유기체들이 기호를 통해 서로 정보나 메시지를 전달하고 수신해서 서로

(30)

공통된 의미를 수립하고 나아가서는 서로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및 행동 이다(Galvin & Brommel, 1990). 가정에서의 의사소통은 가족 간의 감정을 정화 시켜 주고 서로의 정보 교환과 이해를 가능케 하며 청소년의 사회화 교육에 중 요한 역할을 한다(이희자, 김경원, 2000). 특히 청소년기의 부모와의 의사소통은 인성이나 행동 발달 등에 관계되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청소년 시기에는 부 모자녀 간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건설적이고 개방적인 의사소통이 매우 중요 하며(Ginott, 1961),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은 청소년기 자녀의 역할 조망과 자 아정체감 형성, 도덕성 발달, 자녀의 인성이나 행동 발달 및 성숙에 결정적인 영 향을 미친다(민하영, 1991). 자녀는 부모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상호간의 공통적 이해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가치를 부모에게 표현하고 자신 의 의사를 왜곡됨이 없이 전달함으로써 내적 긴장을 완화시키고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켜 나갈 수 있다. 또한 의사소통을 통한 부모와의 경험 공유를 통해 상호 관계 확립 혹은 관계 확인에 자신감 및 안정감도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부모자 녀 간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은 청소년 자녀의 인터넷 중독 위험성을 높이는데 유 의미한 영향을 미치며(김경신, 김진희, 2003; 김연화, 정영숙, 2005; 이시형, 이세 용, 김은정, 오승근, 2000), 부모와의 부정적인 관계는 인터넷 중독과 정적인 상관 관계가 있다(이상주, 이약희, 2004).

김현정(1995)은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수록 비행성향이 낮고, 폐쇄 적일수록 비행수준이 높다고 보고하였고, 이정숙과 명신영(2007)은 휴대폰 중독 정도에 따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유형과 대인관계 성향에 대한 연구에서 폐쇄적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휴대폰 중독 성향이 높다고 밝혔다.

반면에 홍설화(2006)는 부모자녀의 역기능적 의사소통이 인터넷게임 중독을 조 절하는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부모와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면 인터넷에 중독될 위험성이 낮아지며, 중독된 경우에도 이를 쉽게 극복할 수 있고, 부모 관 련 요인과 중독의 과정 및 경로를 잘 이해하면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다. 이처럼 여러 연구를 통해 부모의 역할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스마트폰 중독의 주요 예측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31)

4. 음악교과와 정서문제

정서란 기쁨, 쾌감, 두려움, 화냄, 우울 등의 느낌이나 감정의 표현, 태도 행동 등으로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김정오 외, 1994). 청소년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정 신적, 육체적 특징으로 인해 정서가 불안해지기 쉬우며 마음속 깊이 내재해 있는 감정을 표출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에게 다 양한 음악을 접하게 하여 인지구조의 발달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미적 감각을 길러주고 감성을 계발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청소년기의 음악적 특징은 그들의 정서함양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청소년기는 신체적, 생리적 성장만이 아닌 정서적, 심리적, 사회적 성숙 등 다양한 변화와 발달로 인하여 정신생활에서 급격한 변화와 혼란을 경험한다. 그 들은 신나고 흥분을 느낄만한 일과 모험을 좋아함으로 새롭고 다양한 세계를 제 공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성들 때문에 이시기의 청소년들은 음악수업 이나 음악교사에 대해 극단에 치우친 반응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으며, 감성적으 로 충족감을 느끼고 깊이 감동받을 만한 다양한 요소와 조건들이 갖춰진 음악 수업에서 열정적으로 이를 분출시키며 음악학습이나 활동에 참여하는 경향을 나 타낸다. 음악활동을 통해 청소년들은 그들의 정서와 정신세계에 풍요를 가져오 며, 이상의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무엇인가를 지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청소 년기의 음악은 매우 중요한 것이며, 청소년들은 더욱 음악을 가까이 하고 생활화 하게 되는 것이다(박진규, 2010). 또한 음악은 인간의 가장 고조된 감정을 나타낼 수 있는 예술인 동시에 인간의 마음속 깊이 호소되어 정서에 작용하는 것이어서 인간성 형성에 많은 도움을 주는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학교에서 이루 어지는 음악교육 역시 가창, 기악, 창작, 감상 등의 학습을 통해 자신의 느낌과 감정을 능동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을 길러주며, 다양한 음악 작품을 감상하 게 하여 풍부한 음악적 감수성과 음악에 대한 올바른 가치판단 능력을 기르도록 하고 있으며, 그 가치를 바르게 인식하며, 이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려는 태도의 함양에 힘을 쏟고 있는 것이다. 정서는 가장 기본적인 자기 체험이다. 특히 청소

(32)

년기에는 다양한 감정이 발달하므로 더욱 정서의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하게 된 다. 이에 따라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음악은 절대적인 존재로서 그들의 정서생활 을 다스리고 인간성을 풍부하고 조화롭게 완성시키는데 기여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음악의 감화력은 청소년들에게는 특히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이성에 근 거한 가치판단의 능력이 확정되기 이전의 청소년들에게는 감정이 이성에 우선한 다.

다음은 음악이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것이다.

첫째, 음악은 인간의 감정을 풍부하게 한다. 음악은 또 다른 언어이며 세계의 공용어이다. 인간에게 있어 음악은 감정의 발로이며 표현이며 모든 자연을 표현 할 수 있는 매체라고 할 수 있다.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적인 상황, 현상 등 을 음악으로 자유롭게 표현함으로써 같은 느낌을 공유하게 되고 이해하게 됨으 로써 점점 더 감정이 풍요로워지고 자유교감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경험하게 된 다.

둘째, 음악은 인간으로 하여금 지적능력을 향상하게 한다. 음악은 감정을 표현 하는 데 있어 높은 지적 능력을 요구한다. 창의력 없이는 작곡할 수 없으며 역사 적, 철학적, 음악 이론적 연주능력이 없이는 감정을 제대로 전달할 수 없다. 같은 이유로 감상 역시 작곡가의 의도 철학, 시대적 배경, 연주자의 표현 방법, 악기의 음색 등 많은 정보를 이해하고서야 느낌을 전달받고 이해하며 다시 개인의 느낌 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작곡자와 연주자는 음악을 표현하는 언어인 악보를 독보하는 능력과 악기를 연주하는 능력과 음악을 작곡자의 의도대로 표현하는 능력과 그 음악을 본인의 감정으로 잘 전달 하고자 하는 의지가 동시에 이루어 져야한다. 또한, 두뇌 활동이 빠른 속도로 활성화되고 자연스럽게 표되어야 하는 고도의 두뇌 활동을 요구하는 것이다.

셋째, 음악은 창의력 신장에는 더할 나위 없는 교육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 같 은 느낌과 상황이라 할지라도 작곡자의 표현 방법은 제각각이다. 또한, 곡을 표 현한 연주자에 따라 그 느낌과 소리도 전혀 다를 수 있다. 감상자 역시 같은 곡 을 같은 연주자를 통해 감상했다 할지라도 전달받은 느낌은 상황, 시간, 조건에

(33)

따라 개인차가 크다. 이것은 모두 시간적, 공간적 감정이 다르기에 새로운 감정 과 느낌으로 새롭게 표현하는 것을 원하기 때문이며, 새로운 것이란 창의력을 요 구하는 강력한 메시지를 갖고 있다. 창의력이 없이는 작곡은 물론, 연주나 감상 에 이르기까지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한다.

넷째, 음악은 사회 적응력을 향상시킨다. 음악의 표현은 자신을 향한 독자적인 행위가 아니며 전달의 대상이 있어서 작곡자, 연주자, 감상자 모두 서로의 생각 을 알 수 있어야 하고 느낌을 공유해야 할 필연인 관계이다. 따라서 서로 이해하 려는 노력이 뒤따르며 음악 자체가 여러 가지 사회 양식을 만들어 내며 사회의 상태 속에서 행해진다. 작곡자는 연주자가 본인의 의도를 충분히 파악하고 이해 할 수 있도록 창작해야 하고 기보해야 하며 연주자는 작곡자의 의도를 충분히 이해하고 공유한 다음 감상자에게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특히 독 주가 아닌 중주는 호흡을 같이 하거나 눈빛을 교환하면서 공동체 의식을 갖게 된다. 감상자는 연주자의 음악을 공감할 수 있다.

다섯째, 음악은 생리적인 면에 영향력을 미치며 체력을 향상 시킨다.

연주에서 호흡은 굉장히 중요하다. 호흡이 있어야 노래를 부를 수 있고, 악기를 연주할 수 있다. 이때의 호흡은 긴장을 완화하고 인체 내의 산소 활용을 증가하 게 한다. 즐겁게 노래하여 스트레스를 해결하거나 복식호흡을 통하여 복근을 기 르거나 말초신경을 자극하게 하는 악기의 연주만으로도 질병을 예방하는데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는 질병들이 많은 현대에서는 음 악의 자극 때문에 대부분 환자는 맥박이 촉진된다. 음악은 심장, 위 등의 순환기 나 소화기 계통에 강한 영향을 주고 분노와 증오의 감정을 생리적으로 안정시키 는 효능이 있으며 생리적 긴장을 해결하는 작용을 한다(이용일, 1998).

여섯째, 음악은 자연 친화적이며 환경에 유해하지 않기 때문에 인간에게 있어 자연을 느끼게 하고 자연을 되돌아보게 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수많은 작곡가가 자연의 현상을 음악으로 표하고자 했으며 만족할 만한 결과물들이 많다. 자연에 더욱더 가까운 소리와 자연스럽게 표할 수 있는 소리를 찾고자 많은 연주자가 고심하는 가운데 악기의 발전도 있었으며 감상자들 역시 귀 기울여 자연을 느끼

(34)

고자 노력할 때 공감할 수 있는 것이 음악이다(이지은, 2005). 이러한 이론들을 살펴보면 음악교육은 단순히 음을 소재로만 이루어지는 교육이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음악이 직접 인간에게 적용되어 인간성 향상에 강한 추진력을 주고, 풍부 한 감정을 가질 수 있게 함으로써 음악을 통하여 사회성을 배운다. 더욱 넓은 의 미로 바라보면 음악은 국제적인 이해도 가능하게 하고, 음악을 국제 공용어라 말 할 수 있을 만큼 하나의 곡만으로도 세계에 있는 사람과 함께 공감할 수 있다.

그리고 음악을 통하여 자연을 느끼고 되돌아볼 수 있는데 이는 음악을 통해 인 간 스스로에게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닌 인간이 살아가는 모든 환경을 공감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박신영, 2013).

(35)

조사기간 2014년 5월 1일 ~ 5월 10일

대상 고등학교 학생

표본 G광역시에 소재한 대안고등학교 1학년학생 전체 78명

설문자수 78부

설문조사방법 자기기입식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중독의 성향을 알기 위하여 연구를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D대안고등학교이며, 이 학교는 교육 부로부터 인가된 대안학교이다. 대안학교를 선택한 이유는 일반 고등학교에 비해 학교 부적응으로 인하여 전학 온 학생들이 많아서 음악적 자아개념과 스마트폰 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용이할 것으로 예측한 것과 연구자가 재학했었던 학교이 기 때문이다. G광역시에 소재한 D고등학교 1학년 전체학생 78명을 대상으로 하 였다.

2. 연구방법 및 기간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 기간은 2014년 5월 1일부터 5월 10일 까지였으며 G광역 시에 소재한 대안고등학교 1학년 학생 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방법은 자기기입식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에 사용된 표집 현황과 연구대상은 다음에 제 시한 <표 1>과 같다.

<표 1> 연구 방법 및 기간

(36)

3. 연구절차 검사도구

본 연구의 조사는 고등학생들의 스마트폰 사용정도와 음악적 자아개념에 대한 관계를 알기위하여 G광역시소재 대안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먼저 기초사항 질문지를 제외한 2종의 측정도구들을 이 해할 수 있도록 문항수정을 하였다. 또한 설문지 문항의 이해도, 작성에 소요되 는 시간, 설문지 작성상의 문제점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G시내 고등학생 80명을 대상으로 2014년 3월에 예비조사를 수행한 결과 작성소요시간은 총 20~30분 정 도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본 조사는 2014년 5월 중 연구자가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학급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설문에 동의하는 학생들에 한하여 담임교사를 통하여 설문지를 배부하 였다. 그리고 10일 후에 재방문하여 수거하였다. 본 조사 실시기간 동안 자료수 집기간은 2014년 5월 1일부터 10일까지였으며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조사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80명의 학생들에게만 집단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배부 한 총 80부의 설문지 중 78(98%) 를 회수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응답자의 반응을 검토하여 불성실한 것으로 판단된 설문지를 무효자료로 처리하였다. 불성 실한 것으로 판단된 설문지의 기준은 질문지의 한 페이지 이상에서 한 가지 반 응에만 편향 표기하거나 응답하지 않은 문항이 있는 경우, 그리고 그 외 신뢰성 이 의심되는 반응이었다. 그 결과 최종 유효자료로 확정된 78부(98%)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논문에 사용된 문항들 중 음악적 자 아개념은 ‘음악적 자아개념’(Self-Esteem of Musical Ability) Schmitt(1979)를 한 글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스마트폰 중독은 표준화된 검사지 를 사용하였다. 한 국 정보화 진흥원(2011)의 원 검사지에서는 Likert Scale 5점 척도로 이루어 졌 으나. 연구를 위한 사전조사에서 중간에 답하는 경향이 강하여 4점 척도로 수정 하여 조사하였다. 음악적 자아개념은 총 43문항, 스마트폰 중독은 총 15문항이다.

(37)

4. 분석방법

1) 음악적 자아개념

본 연구는 대안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음악적 자아개념에 대한 현황을 알 아보기 위해 Schmitt(1979)의 ‘음악적 자아개념(Self-Esteem of Musical Ability)’

검사지 를 한글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Schmitt의 측정 도구는 만 10~15세 학생 들의 음악적 자아개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이 측정도구는 높은 수준의 음악 능력과 연관된 평소의 행동, 학생들의 음악 능 력에 대한 부모, 교사 및 친구들이 반응, 그리고 학생들이 미래에 지향하는 음악 적 성향들에 관한 요소들을 기초로 제작되었다.

본 검사지 는 총 43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가는 ‘전혀 그렇지 않다’의 1점 에서부터, ‘그렇지 않다’의 2점 ‘그렇다’의 3점 ‘매우 그렇다’의 4점까지로 된 Likert Scale을 사용하였으며 부정문항은 역 환산 처리 하였다. 본 검사지의 신 뢰도는 .91로 높게 나타났으며(Schmitt, 1979) 음악적 자아개념은 평균 점수가 높 을수록 자아개념이 높음을 의미한다.

2) 스마트폰 중독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한국 정보화 진흥원 (2011)이 개발한 표준화된 청소년용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일상생활장애, 가상세계지향성, 금단, 내성 4개요인 총 15문항으로 구 성되어 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 4점 Likert형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정적인 문항은 역 채점 하였다.

이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85.로 나타났으며 스마트폰 중독 평균 점수가 높을수 록 중독의 정도가 강함을 나타낸다.

(38)

5.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IBM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통계값의 유의도 검증은 .05 수준에서 이루어졌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 음악적 자아개념, 음악경험의 측정변인들에 대한 기술 통 계 값(평균, 표준편차, 최대값, 최소값, 왜도, 첨도)을 산출하였고, 상관분석을 통 해 각 측정변인 간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또한, 자료의 정규성을 판단하기 위 해 왜도(skewness)와 첨도(kurtosis)를 검토하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변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SPSS프로그램을 통 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두 독립표본 t 검정(two-independent sample: t-test)이 란 각기 다른 두 모집단의 속성인 평균을 비교하기 위하여 두 모집단을 대표하 는 표본들을 독립적으로 추출하여 표본 평균을 비교함으로써 모집단간의 유사성 을 검정하는 방법이다. t-test는 두 표본 집단의 등분산성을 기본 가정으로 한다.

그러므로 두 독립표본 t-test전에 두 집단의 분산이 동일한지 확인해야 한다.

t-test는 두 집단의 평균 비교이나 두 종속표본의 짝 비교가 아니므로 한 모집단 에서 추출한 표본의 평균과 다른 모집단에서 추출된 평균을 비교한다. 그러므로 두 표본의 평균차이가 크면 두 모집단의 평균이 같다는 영가설을 기각하게 된다 (성태제, 2010).

자료 분석에 있어 유의수준은 인문사회과학에서 일반적으로 정하는 수준에서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t-test에 적용하는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 음악적 가아개념, 음악성취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모형 간의 상관을 분석하였다. 즉, 변인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어서 용의하다.

(39)

Ⅳ. 연구결과

1. 기술통계량

대안학교 고등학생들의 음악적 자아개념과 스마트폰의 중독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설문에서는 스마트폰의 최소값(1.06), 최대값(2.94), 표준편차 (.45835)로 나왔다. 그리고 음악적 자아개념에서는 최소값(1.78), 최대값(3.55) 표 준편차(.37108)로 나왔다.

<표 2> 기술통계량

N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

스마트폰 78 1.06 2.94 2.1253 .45835 -.315 -.398 음악

자아개념 78 1.78 3.55 2.6178 .37108 .140 -.374

2. 신뢰도

본 연구를 위한 검사지의 신뢰도는 <표3>과 같은데, 스마트폰에서는 ( =.79), 음악적 자아개념에서는(=.69)로 안정적인 신뢰도를 보이고 있다.

<표 3> 신뢰도

변수 신뢰도

스마트폰 =.79

음악자아개념 =.69

참조

관련 문서

본 연구는 임상 간호사의 멘토링 기능과 심리적 안녕감을 파악하고, 멘토링 기능 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임

아로마테라피 처치가 심리적 안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 처치 후에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후검사(심리적 안정감 검사) 결과를

심리적 행복감은 심리적 안녕감을 연구한 Br adbum( 1 969) 의 연구를 시작으로 사 용 되었으며,백경숙과 권용신( 20 05) 은 노인이 지각한 스트레스,대처방법과

메이커스(1인 창조기업)의 창의성과 심리적 특성이 기술사업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세먼지의 원인은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쇼핑몰 만족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인터넷 쇼핑몰 에서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사이트 디자인,

본 연구에서는 부모 애착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심리적 독립과 자아정체감 이 각각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할 뿐만 아니라, 심리적 독립과

유형2는 제1요인,제2요인,제3요인이 색채 이미지 선호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 치고 있으며 가장 영향력이 높은 요인은

본 연구를 통해 미용전공 여대생들의 두피· 모발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모발상태,계란,깨,콩류,식습관상태,자각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