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리나라와의 관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우리나라와의 관계"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우리나라와의 관계

1. 기본 관계 2. 정무 관계 3. 경제·통상 관계 4. 문화·관광 관계 5. 재외동포 현황

(2)

싱가포르개황

1. 기본 관계

• 1970. 11. 5 주싱가포르 대한민국 통상대표부 설치

•1972. 7. 5 총영사관 승격

•1975. 8. 8 외교관계 수립 (대사관 승격)

•1978. 11. 9 주한 싱가포르대사 신임장 제정 (도쿄 주재)

•1990. 10. 주한 싱가포르 상주대사 부임

2. 정무 관계

가. 양자 관계

• 1975년 8월 수교 이래 긴밀한 우호협력 관계 유지 - 정상 및 고위 인사의 활발한 교류

- 싱가포르는 아시아 대표 비즈니스·금융·교통·물류 허브이자 우리의 동남아 진출 교두보로서, 아세안 국가 중 해외 건설을 위해 우리 기업이 가장 많이 진출해 있는 국가이고, 아세안 국가 중 제3의 교역국이자 제1의 대 한국 투자국

• 양국은 각각 동북아 및 동남아의 중견국가로서 상호 간 상대 지역 진출을 위한 전략적 교두보 및 지역·국제협력 동반자로서 잠재력 다대

- 한-싱가포르 차관보급 정책협의회 개최(제1차 2017년 7월 싱가포르 개최,

(3)

우리나라와의 관계

- 한-싱가포르 양국은 18개월마다 양국 정부 인사와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한-싱 포럼(1.5트랙)을 개최하여 한-싱가포르 양자 문제 전반, 주변 지역 정세 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의 장을 마련

※ 2013년 8월 1차(싱가포르), 2015년 9월 2차(서울), 2017년 7월 3차(싱가포르), 2019년 3월 4차(서울)

나. 주요 인사교류 현황

•우리 주요 인사 싱가포르 방문

방문 일시 주요 인사

1979. 3. 박동진 외무장관 1979. 5. 최규하 국무총리 1981. 7. 전두환 대통령 1984. 2. 진의종 국무총리 1985. 7. 이원경 외무장관 1988. 4. 최광수 외무장관

1990. 7. 최호중 외무장관 (제2차 APEC 각료회의) 1991. 7. 이상옥 외무장관

1993. 4. 한승주 외무장관

1993. 7. 한승주 외무장관 (아세안-PMC) 1994. 9. 이영덕 국무총리

1995. 9. 이홍구 국무총리 1996. 2. 김영삼 대통령 1997. 2. 유종하 외무장관

2000.11 김대중 대통령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4)

싱가포르개황

방문 일시 주요 인사

2003.10. 노무현 대통령 (국빈 방문) 2006. 7. 반기문 외교장관 (공식 방문) 2007.11. 노무현 대통령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2008. 7. 유명환 외교장관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 2009.11. 이명박 대통령 (APEC 정상회의)

2010. 6. 이명박 대통령 2013. 6. 윤병세 외교장관

2013.10. 양승태 대법원장 (아시아·태평양 대법원장 회의) 2015. 3. 박근혜 대통령 (리콴유 전 총리 국장)

2017. 3. 윤병세 외교장관 2017. 3. 정세균 국회의장 2018. 3. 강경화 외교장관 2018. 7. 문재인 대통령 (국빈 방문)

2018. 7. 강경화 외교장관 (ARF 외교장관회의) 2018.11. 문재인 대통령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 싱가포르 주요 인사 한국 방문

방문 일시 주요 인사

1979.10. Lee Kuan Yew 총리

1981. 5. Goh Chok Tong 무역공업장관 1986. 7. Lee Kuan Yew 총리

1988. 2. Dhanabalan 외무장관 1988. 7. Lee Kuan Yew 총리

(5)

우리나라와의 관계

방문 일시 주요 인사

1990. 4. Lee Hsien Loong 상공장관 겸 제2국방장관 1990.11. Wong Kan Seng 외무장관

1991.11. Lee Hsien Loong 부총리 겸 상공장관 1993.11. Goh Chok Tong 총리

1995. 8. S.Jayakumar 외교장관 1999. 6. Goh Chok Tong 총리 1999.10. Lee Kuan Yew 선임장관

2000. 4. Abdullah Tarmugi 지역개발·체육부장관 2000. 5. Yew Cheow Tong 정부통신부장관

2000.10. Goh Chok Tong 총리, S.Jayakumar 외무장관 (제3차 ASEM 정상회의)

2002. 4. Sellapan Rama Nathan 대통령 2002. 5. Lee Kuan Yew 선임장관 2004. 5. Lee Hsien Loong 부총리

2005.11. Lee Hsien Loong 총리 (부산 APEC 정상회의) 2006. 5. Lee Kuan Yew 고문장관

2007. 6. George Yeo 외교장관 (ACD 외교장관회의) 2008. 1. Goh Chok Tong 선임장관

2008. 2. Goh Chok Tong 선임장관 2008. 9. Teo Chee Hean 국방장관

2009. 6. Lee Hsien Loong 총리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참석 및 공식방한) 2010.11. Lee Hsien Loong 총리(서울 G20 정상회의)

2011. 9. Goh Chok Tong 명예선임장관

(6)

싱가포르개황

방문 일시 주요 인사

2011.11. Goh Chok Tong 명예선임장관

2012. 3. Lee Hsien Loong 총리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2012. 6. Shanmugam 외교장관

2013. 2. Goh Chok Tong 명예선임장관 (대통령 취임식) 2013. 3. Lawrence Wong 문화공동체청소년장관 2013. 9. Lawrence Wong 문화공동체청소년장관 2013.12. Lee Hsien Loong 총리

2014. 3. Goh Chok Tong 명예선임장관

2014.12. Lee Hsien Loong 총리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2015. 1. Heng Swee Keat 교육장관

2015.11. Goh Chok Tong 명예선임장관 2015.12. Lee Hsien Loong 총리 (사적 방문) 2016. 3. Josephine Teo 선임국무장관 2016. 5. Goh Chok Tong 명예선임장관 2017. 6. Heng Swee Keat 재무장관 2017. 7. Josephine Teo 제2외교장관

2017. 9. Mohamad Maliki Bin Osman 선임국무장관

2018. 2. Tan Chuan Jin 국회의장 겸 싱가포르 올림픽위원회 회장 (평창동계올림픽)

2018. 3. Ng Eng Hen 국방장관 2019. 5. Goh Chok Tong 명예선임장관

(7)

우리나라와의 관계

2. 경제·통상 관계

가. 개 관

• 싱가포르는 동남아, 서남아, 중동을 잇는 지리적 요충지라는 특성을 바탕으로 동남아의 교역 중심지로 발전해 왔으며, 우리는 싱가포르와 교역·투자·건설 부문에서 긴밀한 경제협력 관계를 유지

나. 교역 현황

• 2018년 싱가포르는 우리의 13대 교역대상국(수출 9위, 수입 16위)이며, 우리도 싱가포르의 8대 교역 대상국(수출 8위, 수입 7위)

※ 우리나라의 10대 교역대상국(2018) : ① 중국, ② 미국, ③ 일본, ④ 베트남, ⑤ 홍콩,

⑥ 대만, ⑦ 호주, ⑧ 사우디아라비아, ⑨ 독일, ⑩ 러시아

※ 싱가포르의 10대 교역대상국(2018) : ① 중국, ② 말레이시아, ③ 미국, ④ 홍콩, ⑤ 대만, ⑥ 인도네시아, ⑦ 일본, ⑧ 대한민국, ⑨ 태국, ⑩ 인도

• 2018년 대 싱가포르 무역수지는 2017년의 28억 미달러 흑자보다 높은 39억 미달러 흑자로, 무역수지 규모 순위는 11위

※ 국가별 무역수지 규모(억 미달러) : ① 중국(442), ② 홍콩(372), ③ 베트남(316), ④ 미국(179), ⑤ 인도(102), ⑥ 필리핀(69), ⑦ 마셜제도(69), ⑧ 멕시코(65), ⑨ 터키 (54), ⑩ 노르웨이(34)

(8)

싱가포르개황

우리나라의 대 싱가포르 교역 현황

(단위 : 백만 미달러, %) 구 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총 교역량 (증가율)

32,658 35,053 22,953 19,265 20,557 19,828 (0.3) (7.3) (-34.5) (-16.1) (6.7) (-3.5)

수 출 (증가율)

22,289 23,750 15,011 12,459 11,652 11,850 (-2.6) (6.6) (-36.8) (-17.0) (-6.5) (1.7)

수 입 (증가율)

10,369 11,303 7,942 6,806 8,905 7,976 (7.2) (9.0) (-29.7) (-14.3) (30.8) (-10.4) 무역수지 11,920 12,447 7,069 5,653 2,747 3,873 출처 : 한국무역협회

• 싱가포르를 통한 중계무역(수입품의 재수출)의 영향으로 양국의 교역 품목은 석유제품, 반도체, 공업제품 등으로 유사하며, 특히 2018년 상위 5대 수출 품목이 총 수출액의 약 75.5% 차지

우리나라의 대 싱가포르 10대 수출품

(단위 : 백만 미달러, %, MTI 3 단위) 순

위 품목명 2014

(금액) 2015

(금액) 2016 (금액) 2017

(금액)

2018

금액 증가율

총 계 23,750 15,011 12,459 11,652 11,850 1.7 1 석유제품 10,405 4,941 3,638 3,792 3,850 1.5 2 반도체 4,641 4,024 3,441 3,145 2,825 -10.2 3 선박 해양 구조물 및부품 5,409 2,827 2,408 1,682 1,744 3.7

4 반도체 제조용 장비 116 169 205 253 254 0.5

(9)

우리나라와의 관계 순

위 품목명 2014

(금액) 2015 (금액)

2016 (금액)

2017 (금액)

2018

금액 증가율

6 자동차 149 139 138 150 148 29.8

7 컴퓨터 129 116 99 128 142 -5.6

8 합성수지 95 112 125 114 134 4.9

9 전력용기기 89 98 103 110 132 26.2

10 비누치약 및 화장품 48 66 94 105 131 18.4

출처 : 한국무역협회

우리나라의 대 싱가포르 10대 수입품

(단위 : 백만 미달러, %, MTI 3 단위) 순

위 품목명 2014

(금액) 2015

(금액) 2016 (금액) 2017

(금액)

2018

금액 증가율

총 계 11,303 7,942 6,806 8,905 7,974 -10.4

1 반도체 461 590 921 2,644 2,260 -2.6

2 반도체 제조용장비 5,208 2,685 1,862 2,320 1,815 -31.4

3 석유제품 2,103 1,002 839 884 779 -11.9

4 컴퓨터 443 515 529 549 524 -4.7

5 광학기기 215 241 235 262 261 125.6

6 기타 정밀화학제품 309 263 219 233 260 -0.8

7 계측제어분석기 173 219 552 165 254 9.2

8 합성수지 228 193 154 155 171 10.3

9 무선통신기기 216 106 115 121 133 -19.6

10 농약 및 의약품 22 26 30 115 108 -10.7

출처 : 한국무역협회

(10)

싱가포르개황

2018년 싱가포르의 주요 교역국 현황

(단위 : 백만 미달러)

순 위

수 출 수 입

국명 금액 국명 금액

1 중국 68,012 중국 67,008

2 홍콩 65,676 말레이시아 57,747

3 말레이시아 60,582 미국 56,564

4 인도네시아 44,467 대만 42,415

5 미국 41,345 일본 29,902

6 일본 26,981 인도네시아 20,537

7 대만 22,886 한국 19,161

8 한국 21,126 사우디아라비아 17,053

9 태국 20,993 프랑스 15,420

10 호주 17,099 스위스 13,664

출처 : 싱가포르 통계청

다. 투자 현황

(1) 싱가포르 → 한국

• 2018년 싱가포르의 대 한국 투자액은 신고 금액 기준 14.7억 미달러로, 싱가포르는 제4위 대한 투자국

- 누적 기준으로도 4위(197억 미달러), 아시아에서는 일본 다음의 최대 투자국

- 2006년 3월 한·싱가포르 FTA 발효 이후 증가 추세였던 대 한국 투자는 2009년 금융위기 여파로 주춤했으나, 2010년부터 확대 추세

(11)

우리나라와의 관계

• 싱가포르의 대 한국 투자는 기존의 물류, 부동산, 사모펀드 간접투자(LP) 에서 국내 스타트업 지분투자 등으로 확대 중(싱가포르 국부펀드 GIC는 2018년 부터 토스, 배달의민족, 야놀자 등 국내 유니콘 기업에 투자 중)

싱가포르의 대 한국 투자 동향

(단위 : 억 달러, 건, 신고 기준) 연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1962~2018

누계

투자액 (건 수)

4.31 (116건)

16.7 (161건)

25.2 (149건)

23.4 (180건)

17.9 (166건)

14.7 (213건)

197.2 (2,472건)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 대 한국 투자는 부동산, 항만, 물류, 창고 등 서비스 분야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최근에는 사모펀드, 벤처캐피탈 등이 우리나라 중소·

중견기업에 대한 재무적 투자에 관심

※ 대 한국 주요 투자 기업 : GIC(금융, 부동산, 스타트업 지분투자), 테마섹(금융, ICT), PSA(항만), Capitaland(부동산), Prestige Bio(바이오), ESR(물류)

(2) 한국 → 싱가포르

• 2018년 한국의 대 싱가포르 투자액(송금액 기준)은 15.7억 미달러로, 동남아에서 베트남에 이어 2번째 큰 해외투자국

• 2018년 한국의 대 싱가포르 직접투자 분야는 금융보험업, 도소매업, 운수창고업 등 싱가포르가 허브로서 강점을 가진 산업에 집중

(12)

싱가포르개황

우리의 대 싱가포르 투자 동향

(단위 : 억 달러, 건, 신고 기준) 연 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1980~2018

누계

투자액 5.33 (210건)

9.8 (224건)

14.58 (237건)

11.79 (261건)

10.5 (335건)

15.7 (335건)

117.1 (3,567건)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 싱가포르가 우리의 9대 수출시장이자 동남아 시장의 거점 지역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무역, 해운·물류, 에너지, 전자, 건설,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200여 개(한국 상공회의소 기준) 기업이 현지에 진출하여 활동 중

- 무역 : 삼성, 현대, LG, 대우, 포스코, 대림 등 종합무역상사를 비롯해 중소 무역 업체들이 다수 진출, 동남아 거점 본부를 두고 활동 중 - 해운·물류 : 싱가포르는 세계 2위의 컨테이너 항만으로 전통적으로

해운업체(현대, 고려, 흥아, SK 등) 및 물류업체가 다수 진출

- 에너지 : 싱가포르는 아시아 최대의 오일 허브로서 SK, GS, 현대, S-Oil 등이 진출해 있으며, 수많은 오일 트레이더들이 활동 중 - 전자 : 삼성, LG, 하이닉스 등이 동남아 지역 본부를 싱가포르에

설치하고 동남아 지역 외에 인도·대양주까지도 관장

- 건설 : 삼성, 쌍용, 현대, GS, SK, 대림, 동아지질, 삼보E&C, 한국특수, 대우 등 10개 건설회사가 진출

- 금융 : 세계 4위, 아시아에서는 홍콩을 이어 아시아 2대 금융 허브로 평가받는 싱가포르에는 국민연금, 한국투자공사, 한국벤처투자와 산업은행, 우리, KEB하나, 신한은행 등 주요 은행과 미래에셋대우, 한국투자증권, 한화자산운용 및 코리안리 등이 진출

(13)

우리나라와의 관계

라. 건설 분야 협력 현황

• 싱가포르는 중동 지역을 제외한 우리나라 최대 해외건설 시장으로, 2018년까지 355건의 건설공사를 수주(1972~2018년 누계 기준 4위)

※ 1위 사우디아라비아, 2위 아랍에미리트, 3위 쿠웨이트

우리나라의 대 싱가포르 건설 수주 현황

(단위 : 건, 억 달러) 구 분 ~20131972 2014 2015 2016 2017 2018 누계

수주 건수 289 17 16 12 6 15 355

수주 금액 311.2 17.7 25.8 27.9 9.4 25.8 417.8 출처 : 해외건설협회

• 1990년대 후반까지는 싱가포르 주요 건물(Raffles City, Suntec City)과 기간시설(창이공항 제2터미널, 파시르판장 컨테이너 부두) 건설, 국토매립사업

(창이 지역, 주롱섬) 등에 참여

• 2000년대 들어 싱가포르 건설 경기 침체와 중국 기업의 저가 수주로 2005년까지 우리나라 건설업체의 수주가 크게 부진

• 2006년 하반기 이후 건설 경기 회복과 함께 우리 건설업체의 활동도 활발해져 주요 항만 및 국책사업을 수주하면서 우리나라의 핵심적인 해외건설 시장으로 재부상

- 2007년 싱가포르 국책사업인 마리나 베이 샌즈 복합리조트의 핵심인 호텔 건설과 파시르 판장 터미널 3~4단계 사업을 수주한 데 이어, 2008년에는 해안 고속도로 6개 공구 중 4개를 우리 업체가 수주 - 주롱섬 암반 유류 저장시설(2009)과 주롱 LNG 인수기지(2010), 센토사

터널(2011), 마리나 사우스(2012) 공사뿐 아니라 마리나 고속도로, 도심 지하철 공사 및 차량기지 건설 등 다수의 공공건설 공사와 복합건물

(14)

싱가포르개황

- 2015년 삼성물산이 창이공항 제3활주로 공사를 수주한 데 이어, TEL(Thomson East Line) 라인 MRT 13개 구간 중 일부 구간과 남북 회랑도로(NSC) 11개 공구 중 5개 공구를 한국 건설사들이 수주하였고, 2018년 우드랜드 헬스 캠퍼스(약 8천억 원 규모)를 우리 건설사(쌍용건설,

대우건설)가 주도한 컨소시엄이 수주하는 등 도로 등 교통 인프라 외 병원까지 수주 영역을 확대 중

- 현 싱가포르 컨테이너항을 투아스(Tuas) 항으로 이전·통합하는 초대형 항만 건설 프로젝트 건설이 진행 중에 있으며, 1·2단계 공사에서 우리나라 건설사(현대·대림)가 포함된 컨소시엄이 수주했으며, 3단계 공사도 우리나라 건설사(현대)와 외국 기업(일본·네덜란드) 합작 컨소시엄이 수주

- 최근 건설 경기 둔화로 민간업체 발수 물량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싱가포르 건설시장은 공공 발주 중심으로 우리 건설사와 일본/중국 업체와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으며, 우리 건설사(현대·삼성·GS·SK·쌍용 등)들은 중국 등과 비교 시 수익성을 보다 중시

마. 기타 경제협력 관계

• 경제 분야 협정 체결 현황

- 항공협정(1972.2.), 이중과세방지협정(1979.11.), 해운협정(1981.5.), 통신 협력 양해각서(1995.5.), 과학기술협력협정(1997.2.), 중소기업협력약정

(2000.11.), 표준협력약정(2000.11.), 자유무역협정(2006.3.)

• 민간경제협력위원회

- 1983년 이래 7차례 개최(7차 회의는 1996.2.29 싱가포르 개최)

- 양국 간 경제협력 및 통상 증진 방안, 제3국 합작진출 방안 등 협의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 양국 경제인들 간의 교류협력 증진을 위해 한국무역협회와 싱가포르 기업연합(SBF)이 공동 주관이 되어 정례적으로 교류 모임 개최

(15)

우리나라와의 관계

- 2003년 11월 싱가포르에서 제1회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을 개최 했으며, 지금까지 총 7차례의 회의를 싱가포르와 서울에서 번갈아 개최

1. 한ㆍ싱가포르 FTA 협상 경과

• 1999. 9. APEC 정상회담 시 고촉통 총리가 양국 간 FTA 체결 제안

• 2002.11. FTA 체결을 위한 산·관·학 공동연구회 발족 합의

• 2003. 3.~10. 3차례의 공동연구 개최 및 최종보고서 발표

• 2003.10. 한·싱가포르 정상회담 시 정부 간 협상 개시 선언

• 2004. 1.~11. 5차례의 공식 협상 및 수차례의 실무협의 개최

• 2004.11. 아세안+3 계기 양국 정상회담 시 FTA 협상의 실질적 타결 선언

• 2005. 4. 협정문 가서명(싱가포르)

• 2005. 8. 협정문 서명(서울)

• 2006. 3 . 협정 발효

2. 한ㆍ싱가포르 FTA의 전반적 효과

• 싱가포르와의 FTA는 단기적 교역 확대보다는 동남아 진출을 위한 교두보로서의 싱가포르의 지정학적 위치, 금융 및 비즈니스 중심지로서의 싱가포르의 역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추진

• 싱가포르는 이미 대부분의 물품에 대하여 무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추가적인 관세 철폐로 인한 우리 상품의 대 싱가포르 수출 확대 효과는 크지 않으나 상품 외에 서비스·

투자·정부 조달 등 분야에서 무역·투자 확대 방안을 추진함으로써 우리 기업의 對 싱가포르 진출 및 싱가포르 기업의 對한 투자 확대 예상

• 싱가포르 GDP에서 농·수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0.1% 미만이며 우리의 농·수산업 부문을 상당히 보수적으로 양허(66.5% 품목에 대해 최대 10년 내 철폐)하였으므로, 우리 농·수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

한ㆍ싱가포르 FTA

(16)

싱가포르개황

• 싱가포르는 협정 체결 이전부터 알코올류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우리 상품에 대해 무관세를 적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한ㆍ싱가포르 FTA 발효 시 우리는 수출보다 수입 증가가 우려되었으나, FTA 발효 이후 오히려 우리의 對싱가포르 수출이 확대되어 무역수지 흑자가 크게 증가

3. 한ㆍ싱가포르 FTA의 의의

• 국제적 비즈니스 거점과의 전략적 연계

- 세계적인 물류·금융 및 비즈니스의 중심지이며, 다국적 기업의 유망 투자 대상 지역인 싱가포르와의 전략적 연계 강화로, 우리나라의 경제시스템을 선진화하고 서비스 부문 경쟁력 강화 및 대 한국 투자 확대 기대

• 동북아 및 동남아 허브를 연결하는 FTA

- 최근 FTA 논의가 가장 활발한 동아시아에서 우리나라가 체결한 첫 번째 FTA로, 우리 기업의 동남아 진출 기반 강화 및 한·아세안 FTA 협상 추진을 위한 전략적 디딤돌 역할

• 다양한 무역 원활화 및 확대 방안을 규정한 포괄적 FTA

- 상품 외에도 서비스, 투자, 기술 표준 적합성 상호 인정, 정부조달, 협력 분야 등에 서 다양한 무역 원활화 및 확대 방안을 규정한 포괄적 FTA

- 또한 개성공단 등 북한 경제특구 생산 제품에 대한 FTA 상의 특혜관세 부여 규정을 마련한 선례를 구축, 향후 개성공단 생산 제품의 해외 판로 개척에 기여

(17)

우리나라와의 관계

4. 문화·관광 관계

가. 문 화

• 한류의 인기에 힘입어 싱가포르인들의 한국어 수강도 확대 추세 - 싱가포르국립대(NUS), 난양공대(NTU), 싱가포르경영대(SMU)의 국립

대학과 Ngee Ann, Singapore 폴리테크닉 등에서 선택과목 형태의 한국어 강좌를 운영하고, 다수의 사설학원이 한국어 강좌 개설 - 싱가포르국립대는 2018년 한국어 과목을 부전공으로 개설, 매년 약

1,500명의 학생이 한국어 과목 수강 중

- 한국어를 매개로 한 취업대상자가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어 능력시험(TOPIK) 응시 인원은 증가하는 추세

※ 2011년 269명 → 2012년 458명 → 2013년 599명 → 2014년 454명 → 2015년 581명

→ 2016년 538명 → 2017년 581명 →2018년 474명

• 다민족·도시국가 형태의 싱가포르는 외국 문화에 대한 높은 수용성과 개방성을 바탕으로 K-Pop, K-Drama, K-Movie에 이르기까지 한류 전반에 걸쳐 높은 관심을 표출

- 거의 매달 한국 연예인들의 K-Pop 공연, 팬미팅 등이 개최되고 있으며, 2016년 <태양의 후예>, <부산행> 등 K-Drama와 K-Movie가 큰 호응 - 태권도의 경우 280개 이상 클럽에서 25,000명 이상의 싱가포르인들이

수련하고 있으며, 매년 9월경 대사배 태권도대회 개최 중

- 한국 식당도 200여 개를 상회하며, 싱가포르 현지인이 직접 운영하는 식당도 계속 늘어날 정도로 K-Food에 대한 관심 다대

- K-Beauty, K-Fashion, K-Travel 등 다양한 분야로 한류 지속 확산 추세

※ 2014년 1월 싱가포르 창이공항 제3터미널에 신라면세점 오픈, 2015년 7월에 아모레 퍼시픽(설화수)이 100번째 글로벌 매장 개장

(18)

싱가포르개황

나. 인적 교류

• 한국인 싱가포르 방문객 수는 63만여 명, 싱가포르인 방한객 수는 23만 여 명을 기록(2018년 기준)

한국-싱가포르 인적 교류 현황

(단위 : 명) 구 분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한국→싱가포르 471,768 536,975 577,082 566,503 631,359 629,451

싱가포르→한국 157,696 201,337 160,402 221,844 216,574 232,359

합 계 629,464 738,312 737,484 788,347 847,933 861,810 출처 : 싱가포르관광청, 한국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 양국 국민에 대해서는 90일간 비자를 면제(1982.11. 비자면제협정 체결)하고 있으며, 양국 간 관광교류 확대를 위해 한국관광공사 싱가포르지사

(1978년 개소)를 중심으로 주요 한국 관광지 소개, MICE 지원, 테마 관광상품 개발 등으로 관광외교 활동 전개 중

• 2019년 싱가포르~부산 간 직항로가 개설되어, 싱가포르 Silk Air(5월~)와 한국의 제주항공(7월~)이 직항노선 운영 중

(19)

우리나라와의 관계

5. 재외동포 현황

가. 재외동포 수 : 총 21,406명 (2019년 기준, 외교부)

• 싱가포르 내 한국 국민 : 20,959명 - 일반 체류자 : 15,615명

- 영주권자 : 2,646명 - 유학생 : 2,698명

• 싱가포르 시민권자 : 447명

나. 주요 동포단체 현황

(1) 재싱가포르 한인회

• 1963년 한인회 발족(현 회장 : 윤덕창 고려무역 대표)

• 동포사회 특성상 회원 대부분이 지·상사 주재원으로 구성

(2) 싱가포르 한국상공회의소(KOCHAM : Korean Chamber of Commerce)

• 1997년 창립한 한국경제인협회(Korean Business Association)를 2002년 싱가포르 한국상공회의소로 개편(현 회장 : 봉세종 SJJ Marine 대표)

• 지상사: 약 180개 업체

(3) 제19기 민주평통 싱가포르 지회

• 2019년 9월 출범(지회장 : 최남숙 재동 코퍼레이션 매니징디렉터)

(20)

싱가포르개황

다. 싱가포르 한국국제학교

• 1973년 설립된 한글학교를 모태로 1993년 초등학교 과정으로 개교 하였고, 개교 24주년인 2019년 현재, 유치원 4학급, 초등학교 11학급, 중학교 3학급, 고등학교 3학급을 갖춘 종합적인 학교로 성장

- 2010년 캠퍼스를 확대하여 이전하고, 2011년 3월 유치원 및 중학교 과정과 2012년 3월 고등학교 과정을 추가 개설하여 종합학교로 성장 - 부설 토요한글학교 및 현지인 대상 한국어 강좌(2019년 9월 기준 학생

222명)도 운영 중

• 2019년 9월 현재 총 92명(교장 1명, 교사 65명, 사무직원 26명)의 교직원 재직 중

참조

관련 문서

한-태국 농산물 교역 동향과 관련 정책 변화. Sitanon Jesdapipat

무단 전재하거나

- 이를 위해서는 농축산물 소비시장 실태 파악과 소비자 수요조사를 기초로 국가별 맞춤형 수출전략 수립이 필요.. - 또한, 국내 수출업체에

[r]

6) 미국과의 농축산물 교역에서 FTA 수출 특혜관세 활용률이 수입 특혜관세 활용률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는 ① 사후 검증에 대한 부담, ② 수출

FTA 발효 전/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당월 EU산 수입량은 전월뿐만 아니라 2~3개월 전 수입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어, FTA 발효 이후 EU산 수입량

FTA 이행에 따른 국내 농축산물의 파급 영향은 이행 초기에는 관세감축률 이 작아 영향이 매우 제한적이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피해 품목과 규모가 확 대될

- 이번 회의에서는 테러 등 위기상황이 발생했을 시 우리 공관에서 어떻게 대처할 것인 지와 관련 정보를 동포들에게 효율적으로 알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