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9장 국민경제의 흐름과 성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제9장 국민경제의 흐름과 성장"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

9.1.1 국민경제의 이해

국민경제

√ 한 나라 안에 있는 모든 경제 주체(가계, 기업, 정부)가 모여 이루어진 하 나의 경제 단위

√ 분석 방법 : 한 나라 안의 모든 가계와 기업을 묶어서 이들을 변수로 잡고 이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함

가계

정부 기업

한 나라의 모든 가계들의 집합 가계 부문(household sector)

(3)

▣ 경제현상의 방법과 거시경제학

 미시경제학 : 개별 경제주체, 개별 상품의 생산과 소비 원리를 자세히 살핌 (개별 상품의 가격, 수요와 공급 등이 주요 변수임)

 거시경제학 : 국내 총생산량, 국민소득 등을 변수로 하고 전체 가계와 전체 기업을 단위로 하여 상호 작용을 분석함. 국민경제 분석은 거시경제학의 영역임

 국민경제 분석의 주요 지표 : 국민소득, 국내총생산(GDP), 국민총생산 (GNP), 경제 성장률, 총수요, 총공급, 물가, 실업률 등

※ 국민경제의 지표를 거시지표라고도 함

(4)

▣ 국민소득의 개념과 지표들

GNP(Gross National Product)

√ 일정 기간에 한 나라의 국민에 의하여 생산된 최종 생산물의 시장가치의 총합

√ GDP와 GNP의 차이는 ‘한 나라 안에서’와 ‘한 나라 국민에 의하여’의 차이임

국민소득

√ 일정 기간 동안(보통 1년)에 한 나라의 국민 전체가 벌어들인 소득

√ 국민소득 지표 : GDP, GNP, GNI, 1인당 국민소득 등이 있음

GDP(Gross Domestic Product)

√ 일정 기간에 한 나라 안에서 생산된 최종 생산 물의 시장가치의 총합

√ GDP 개념 구성 요소 (기간, 한 나라 안, 생산, 최종생산물, 시장가치의 합)

(5)

▣ 국민총소득(GNI)와 1인당 국민소득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

√ 한 나라의 국민이 일정 기간 생산 활동을 하여 벌어들인 소득의 합계

√ 실질적인 국민소득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

√ 실질적인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임

명목 GNI = 명목 GDP + 해외순수취요소소득

실질 GNI = 실질 GDP +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실 + 해외순수취요소 소득

1인당 국민소득

√ 1인당 국민소득은 각 나라의 복지지표로 쓰임

1인당 국민소득 = 실질 GNI / 인구수

(6)

9.1.2 국민경제의 순환

▣ 단순 국민소득 순환

민간 경제의 순환 모델 : 가계와 기업으로만 이루어진 경제 모델

√ 생산요소 시장(왼쪽): 생산 요소가 거래됨

√ 생산요소 공급자: 가계에 노동, 자본, 토지, 경영 등을 제공하고 대가를 받음

√ 생산요소 대가 (임금, 이자, 지대, 이윤): 가 계의 소득이 됨

√ 생산요소 수요자: 기업 (생산요소를 구입 하고 대가 지불)

√ 생산물 시장(오른쪽): 생산물이 거래됨

√ 생산물 공급자: 기업

√ 생산물 수요자: 가계 (생산요소를 제공한 대가로 받은 소득으로 생산물 구입)

(7)

▣ 확장된 국민소득 순환

확장된 국민소득 순환 모델 = 민간 경제의 순환 모델 + 정부 +해외

 정부의 역할

- 정부는 가계로부터 생산요소 구입, 조세 징수 - 기업으로부터 생산물, 조세 징수

- 가계와 기업에게 대가 지불

- 사회에 공공재, 사회간접자본 제공

 해외와의 관계

- 수출입을 통한 거래

- 해외는 원조와 차관 거래

(8)

▣ 국민소득 삼면 등가의 원칙

생산국민소득 = 분배국민소득 = 지출국민소득

√ 생산국민소득 = 분배국민소득 √ 생산국민소득 = 지출국민소득 - 생산국민소득 → 기업이 생산한

생산물의 가치

- 분배국민소득 → 가계가 기업으 로부터 받은 생산 요소의 대가 (임금, 이자, 지대, 이윤의 합계) - 가계가 얻은 소득을 전부 처분하

여 생산물을 구입한다면

‘생산국민소득 = 분배국민소득’이 성립

- 분배된 소득은 가계가 소비하거나 기업이 투자하는데 사용됨

- 생산물을 구입한 총액을 지출국민 소득이라 함

- 생산물 팔린 측면에서 측정한 것 → 생산물이 다 팔리면

‘생산국민소득 = 지출국민소득’ 성 립

- 기업에서 생산한 생산물이 다 팔리 지 않고 재고가 남았을 경우 재고는 기업의 자기 투자로 봄(기업 스스 로 산 것으로 봄)

(9)

9.1.3 GDP의 내용과 의미

<그림 9.3>

<그림 9.3>을 보면, 밀이나

밀가루는 전부 다음 단계생산물의 원료로 들어갔고 최종생산물은 빵뿐임

GDP는 최종생산물의 합이므로

최종생산물인 빵 200만원이 GDP가 됨

GDP의 구성

√ GDP는 최종 생산물의 시장 가치의 총합으로 추계함

√ 이유: 중간 생산물을 넣으면 이중 계산되기 때문

(10)

부가가치

√ GDP는 부가가치의 총합이 됨

- 밀 → 밀가루 → 빵 단계를 거치면서 각 단계에서 부가가치가 창출됨 - 엄밀한 의미에서 순부가가치는 아님. 감가상각비 때문에 순부가가치는

국내순생산(NDP; Net Domestic Product)임 NDP = GDP

(감가상각비: 생산에 투입된 기계 등의 자본재가 소모된 비용) - NDP는 GDP에 비례하기 때문에 부가가치의 합을 GDP로 나타냄

(11)

▣ GDP의 유용성과 한계

경제후생지표(MEW: Measure of Economic Welfare)

√ GDP에 가정주부의 가사 서비스와 여가 등의 가치를 더하고 공해 등의 사회적 비용을 빼서 계산한 것

√ 현재 가사서비스나 여가, 그리고 공해 등은 객관적으로 측정이 어려워 쓰이지 못하고 있음

▣ GDP 한계에 대한 다른 지표로의 대안 주장

√ 유용성 √ 한계

- 각국의 경제력을 비교할 수 있음 - GDP를 기초로 다른 국민소득 지

표들을 계산해 냄

- GDP에는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재화와 용역 배제

- GDP에는 공해로 인한 비효용이 반 영되지 않음

- GDP에는 여가가 반영되지 못함 - 지하경제가 반영되지 않음

(12)

▣ 국부와 국민소득과의 관계

국부(National Wealth)

√ 일정 시점에서 한 나라가 가지고 있는 재산적 가치의 총합

√ 국민소득 : 일정한 기간 동안 국민들이 벌어들인 소득의 합계

√ 국민소득과의 관계

- 한 나라의 노동과 자본(국부)가 자연자원(토지)에 작용하여 국민소득 창출

- 국부가 크면 국민소득 커짐

- 국민소득 중 소비하고 남은 부분은 국부를 증대시킴

(13)

▣ GDP의 여러 가지 개념들

당해 연도 생산량을 당해 연도 가격으로 계산한 것 명목 GDP(nominal GDP)

당해 연도의 생산량을 기준 연도(일정하게 정해 놓은 연도) 의 가격으로 나타낸 것 (물가 상승분을 걷어낸 것)

실질 GDP(real GDP)

실제 생산해 낸 GDP 실제 GDP(actual GDP)

완전히 고용되었을 때 생산 가능한 GDP 잠재적 GDP(potential GDP)

잠재적 GDP와 실제 GDP의 차이 GDP 갭(gap)

(14)

9.2.1 고전학파 국민소득 결정 이론

 고전학파 국민소득 결정 이론의 핵심은 공급측 이론임

 생산을 많이 하면 국민소득 증대된다고 봄

 총생산 함수와 노동공급에 의해 국민소득이 결정

총생산함수

√ 생산요소의 투입량과 산출량과의 관계를 나타 내는 함수

√ 고전학파의 생산함수는 단기 생산만을 가정함

 단기총생산함수

- 단기에는 K(자본)이 고정되어 있음

- 단기 생산함수 곡선 : 오른쪽으로 오목한 곡 선을 취하는 우상향 곡선

(15)

▣ 노동 시장 균형 노동의 수요함수

실질임금의 감소 함수

(실질임금 = 구매력을 나타내는 임금 명목임금을 물가지수로 나눈 것)

LD = f( ) LW : 명목임금 D : 노동의 수요

P : 물가수준

노동의 공급함수

실질임금의 증가함수 LS = f( )

고전학파의 노동 시장은 노동의 수요곡 선과 공급함수의 교차점에서 균형 실질 임금과 균형 노동 공급량 결정됨

LS 는 노동 공급량

(16)

▣ 고전학파 국민소득의 결정

고전학파는 노동시장에서 노동량 결정

→ 이 노동량에 해당하는 생산함수에서 국민소득 결정

(17)

9.2.2 케인스의 국민소득 결정 이론 유효수요

소비수요(C) : C = f(Y)

투자수요

국민경제에 공급된 산출물을 사려는 것

유효수요 = 소비수요(C) + 투자수요(I) +정부지출수요(G) + 수출수요(X)

C = ɑ + bY (ɑ; 절대소비, ɑ>0, b; 한계소비성향, 0<b<1)

투자(investment)란 기업이 자본량을 늘려나가는 과정

공장이 기계설비 갖추고 늘리는 것, 장사하는 사람이 물건을 사놓는 것 등 투자 = 설비투자 + 재고투자

(18)

정부지출 수요(G: Government expenditure)

수출수요(X: eXport)

생산물이나 노동 등을 구입하기 위해 쓰여진 지출

정부가 지급한 실업수당, 각종 보조금 같은 이전 지출은 재정지출에는 포함되지만 정부지출에는 포함되지 않음

해외에서 우리 상품을 사가는 것

수출 수요는 ‘수출’로 볼 때도 있고 순수출(NX, net export)로 볼 때도 있음 총공급을 GDP로 볼 때는 NX, 총공급을 GNP로 몰 때는 수출(X)로 봄

YD=C+I+G+NX(X-M) (여기서 X; 수출 M; 수입)

(19)

▣ 유효수요 함수 곡선 민간경제 함수 곡선

유효수요 중 소비수요(C) + 투자수요(ID)만의 함수 곡선 Y D = C + I₀

독립투자수요(I D)

ID= I₀ , (여기서 I₀는 이자율과 관계없이 일정한 투자수요) C = ɑ + bY

∴ Y D = ɑ + I₀ + bY

정부와 해외부문까지 포함한 수요함수 YDCIGNX(X-M)

(여기서 NX; 순수출, M ; 수입)

(20)

▣ 케인스의 균형국민소득 결정 모형 기본 가정

- 총산출량과 이 총산출량에 대한 총수요 가 같은 점에서 균형국민소득 결정

YD = YS = Y

- 총산출량은 GDP로 봄

- 총산출량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봄 균형국민소득 결정 과정 그래프

- 오른쪽 그래프에서 45⁰선은 보조선으로 서 45⁰선 위의 모든 점은 총생산량과 총 수요가 같은 균형점임

- 이 균형점 중에서 특정한 유효수요 곡선 과 만나는 점에서 균형국민소득이 결정 됨

(21)

▣ 경제성장과 경제발전

경제성장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국민경제 활동의 성과가 커지는 현상 실질 GDP증대 현상

경제발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국민경제의 산출량 수준뿐만 아니라 산업구조 등 질적 측면도 발전되는 현상

경제성장률

실질 경제 성장률로 측정

참조

관련 문서

§ 재정정책은 정부지출이나 조세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총수요를 조절하여 국민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도모 하는 정책.. ® 정부지출과 조세를 변화시켜

주어진 여건하에서 원하는 것을 극대화 또는 원하지 않는 것을 극소화하는 것으로 경제주체가 주어진. 여건하에서 목적의 극대화 또는 극소화를 달성하는데 여러 가지 대안

망각곡선처럼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회상이 줄어듬(기억의 일시성, 기억은 영원하지 않다), 그러나 잊고 싶지만 잊지 못하는 지속적 기억도 있음(부정적 기억은

시간의 흐름과 고객상태의 변화에 따라 누가 다음 영향을 받을지 기반으로 churn/acquisition prediction, fraud, product recommendation 등에

○ 예술가 창작환경 안정화 및 질적 성장 지원을 위하여 입주작가 맞춤형 창작 환경 지원 , 입주작가 맞춤형 창작 역량 강화 프로그램 지원 , 경기창작센터 내 소통 활성화

중소기업은 한국 경제의 근간이자 원동력이다. 정 부 입장에서 녹색성장과 탄소시장 활성화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국민경제의 하부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중소

동일한 양의 저농도 용액과 고농도 용액을 반투막 (Semi-permeable Membrane) 을 사이에 두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 농도 용액의 양이 점점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일정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업무적 특성에 따른 윤리적 갈등 경험 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질적 연구를 하고자 한다 현상학적 질적 연.. 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