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우리나라도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25 kg/m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 우리나라도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25 kg/m"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pISSN 1226-4407 eISSN 2234-7631

서  론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비만은 치료가 필요한 비전염성 질 병”으로 규정하였으며 현재 세계 인구 중 약 20%인 15억 명이 비만이 라고 한다.

1

우리나라도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25 kg/m

2

이상인 성인 비만 유병률이 2009년 30. 7%로 성인의 1/3가량이 비만 으로 나타났으며

2

, 45-64세 여성의 경우 61.4%가 복부에 지방이 많은 내장지방형 복부비만 형태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3

내장지방형 복부

비만은 여러 가지 대사질환의 발현 가장 큰 위험인자이며 그 중 고혈 압과 허리둘레,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은 양의 상관성을 보이며, 고혈 압은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및 뇌경색을 포함한 주요 뇌 심혈관질 환의 발생위험을 높이게 된다.

4

고혈압의 발생기전은 아직 완전히 규 명되어 있지는 않으나 레닌 앤지오텐신 알도스테론계의 호르몬 반응 과 연관이 있으며 인슐린 저항성의 교감신경 항진, 혈관수축(vaso- constriction) 물질의 증가 및 신장 기능 감소로 인한 나트륨의 저류 (sodium retention) 등에 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5

비만한 사람은

중년비만여성들에게 영양교육과 운동, 혹은 운동만을 수행시켰을  때 다량영양소, 나트륨 섭취와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정순*, 김애정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The Effect of Nutrition and Exercise or Exercise Program alone on

Macronutrients, Sodium Intake and Physical Strength in Middle Aged Obese Women

Jung Soon Han*, Ae Jung Kim

Department of Alternative Medicine, Kyonggi University, Seoul, Korea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utrition and exercise or exercise program alone on macronutrients, sodium intake, and physical strength in overweight Korean middle aged women. Methods: The subjects were middle aged obese women (N=32) with body mass index (BMI) greater than 25 kg/m2. Thirty two participa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They were assigned to either the nutritional management and exercise (NME) program or the exercise management (EM) program. Both programs were conducted for 3 months. The dietary intake of macro-nutrients (carbohydrates, protein, lipid), sodium intake, dietary cholesterol, blood pressure, VO2, physical strength, and etc. were measured. Results: NME group showed decreased dietary cholesterol and significantly higher vitamin C intake than that of EM group. The dietary intake of macronutrients and sodium in NME group was lower than that of EM group,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 icant. In both NME and EM group, VO2 and physical strength were increased whereas blood pressure and pulse decreased, however no statisti- cal significance was evident.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continuous NME program, rather than the EM program alone, will help pre- vent obesity and manage hypertension in middle aged obese women.

Key words: Nutrition education program, Exercise program, Sodium intake, Macronutrients intake, Physical strength, Middle aged obese women

Corresponding author Jung Soon Han

Graduate School of Alternative Medicine, Kyonggi University, 63 Kyonggidae-ro 9-gil, Seodaemun-gu, Seoul 120-837, Korea

Tel +82-2-390-5044 Fax +82-2-390-5078 E-mail yohwa0620@nate.com Received Jul. 27, 2014 Reviewed Aug. 19, 2014 Accepted Aug. 27, 2014

Copyright © 2014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2)

체내에 잉여 지방이 많아 필요 없는 지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조직 에서 산소필요량이 증가하게 되며 이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체내를 순환하는 혈액의 양이 늘게 되고 말초혈관의 저항이 커져 혈압이 상 승하게 된다.

6

특히 복부비만인 사람은 내장세포에서 혈압에 미치는 호르몬과 여러 물질을 분비하여 혈압을 상승시킨다.

7

비만한 사람은 식생활에서 탄수화물과 지방의 섭취가 많아 총 에너지 섭취가 에너 지 소비량보다 많으며, 식이요인 중 나트륨의 과다섭취는 고혈압 발생 의 주된 요인이며

8

, 특히 우리나라 식생활은 구조적으로 곡류의 의존 도가 높으며, 부식으로 소금에 절인 채소와 젓갈류 등을 섭취하는 경 우가 많아 나트륨의 섭취가 많으며 패스트푸드나 인스턴트식품의 섭 취로 인해 나트륨의 과잉섭취는 전 연령층에서 줄어들고 있지 않다.

3

나트륨이 많은 음식은 싱거운 음식보다 음식섭취를 더 많이 유도해 열량을 많이 섭취하게 하며, 짠 음식을 지속적으로 오랜 기간 섭취하 면 고혈압, 뇌졸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9

체내에서 나트륨의 증가와 체 액의 확장은 신장의 나트륨 재흡수 증가에 의할 수 있으며, 이는 교감 신경의 항진, 인슐린, 레닌 앤지오텐신 알도스테론계(renin-angioten- sin aldosteron system, RAAS)의 과잉 작용 때문일 수 있다.

10

우리나 라 사람들의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2010년 발표된 국민건강통계

3

에 의하면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정한 충분섭취량 1.5 g에 비해 약 3 배 이상 섭취하고 있다고 한다. 충분섭취량의 근거로는 온화한 기후 에서 중등도 활동을 하는 건강한 사람들의 나트륨 필요량을 만족시 키는 수준이다. 또한 특이하게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영양섭취기준 대비 칼슘, 칼륨, 비타민 A, 리보플라빈, 나이아신, 비타민 C 등의 섭취 비율은 높았으나, 나트륨 섭취는 소득수준과 상관없다고 하여

3

짠 음 식에 길들여진 우리 식생활구조가 비만 뿐 아니라 고혈압이나 뇌졸 중 등 혈관계 질환을 유발하는 데 일조하는 원인이 되므로 나트륨 섭 취를 줄이는 식생활개선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령이 증 가할수록 고혈압 유병률이 증가하는데

11

, 이는 연령 자체의 요인도 작 용하지만 짜게 먹는 것이 습관화된 것과 나이가 들수록 육류 등의 단 백질 식품의 소화는 위산 분비 등이 감소하여 소화하기 어려워 탄수 화물 식품을 선호하게 되어 더 짜게 먹게 되는 것도 한 이유로 추정된 다. 그러므로 식생활에서 나트륨의 섭취를 줄이는 것은 고혈압을 예 방할 수 있는 매우 좋은 방법이며, 또한 전체적으로 음식의 섭취를 줄 여 체중감량에도 도움이 되어 비만예방과 관리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운동은 혈관을 튼튼히 하며 혈압을 강 하시키고 체지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12,13

비만을 개 선함과 동시에 혈압강하효과를 나타내 고혈압과 비만을 예방 및 관 리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만 인 중년여성들이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수행하거나 운동만을 수행 한 후에 나트륨과 다량영양소(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에 미치 는 영향과 혈압 및 체력 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그 결과를 보고

하는 바이다.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및 기간

대상자들은 경기도에 거주하며 병 ∙ 의원의 질병치료 및 약물복용 을 하지 않고 A시 소재 보건소에서 2012년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실시한 비만관리 교육프로그램인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수행한 군 (nutritional management + exercise, NME), 운동만 수행한 군(exer- cise management, EM)에 자원한 체질량지수(BMI) 25 kg/m

2

이상인 40-50대 중년여성 32명이었다.

2. 영양지도와 운동관리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한 군(NME)과 운동만 한 군(EM) 두 군 모두에게 수행된 프로그램은 비만에 대한 올바른 이해, 비만과 합병 증, 바람직한 체중조절, 운동요법 및 행동수정요법으로 구성되었다.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한 군의 영양교육은 영양소의 기능과 역할, 나의 식단구성(음식과 열량, 식품교환표), 잘못된 식습관 고치기(간식 의 열량비교, 잘못된 습관의 교정), 외식 시 식품선택요령, 조리방법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균형 잡힌 식생활을 실행하고 있는지 관찰하기 위해 매일 직접 식사일기를 쓰게 하였다.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한 군과 운동만 수행한 군의 운동프로그램은 운동전문가 지도하에 중 강도 걷기 운동을 기상 후 안정시 심박수를 측정하여 heart rate re- serve (HRR) 60% [0.6×(최대 심박수-안정시 심박수)+안정 시 심박 수]의 운동강도를 설정하여 목표 심박수를 제시하고 트레드밀에서 주 5회 1일 60분간 실시하고 근력운동은 1 repetition maxima (RM) 70% 강도로 10회씩 3 set 운동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운동의 이점, 비 만관리를 위한 운동의 실제, 열량소비를 위한 운동 등에 대한 내용을 지속적으로 꾸준히 할 수 있도록 흥미를 유발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 도록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3. 체질량지수, 혈압, 최대산소섭취량 측정

신장(cm)과 체중(kg)은 자동측정기(DS-102, Dongsahn Jenix Co.,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체질량지수는 체중(kg)/신장

(m

2

)의 공식을 이용해 산출하였다. 혈압은 혈압계(Baumanometer,

W.A. Bauman Co., Copiague, NY, USA)로, 30분 이상 안정한 상태에

서, 상완동맥에서 수축기 혈압(systolic blood pressure, SBP)과 이완기

혈압(diastolic blood pressure, DBP)을 측정하였으며 5분 간격으로

두 번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최대산소 섭취량(VO

2

값)은 트레

드밀(Medtrack ST 65, Quinton, USA)에서 가스 분석기(True-one,

Quinton,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4. 나트륨과 영양소 섭취 조사

영양교육을 받는 대상자들은 주 7회씩 매일 본인이 섭취한 식사를 중량과 함께 식사일지에 기입하게 한 후 Can-Pro version 2.0을 사용 하여 1일 평균 나트륨과 다량열량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 과 비타민 C, 식이 콜레스테롤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5. 통계분석

모든 자료는 Kolmogorov-Smirnov의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Kolmogorov-Smirnov 정규성 검정 결과 정규성 가정을 만족하여, 중재 프로그램 실시 사전 및 사후 모든 측정변인의 변화 정도는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모든 자료에 대한 통계 분석은 SPSS-PC 컴퓨터 프로그램(version 18.0)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도 수준(α=

0.05)에서 가설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영양관리와 운동

을 함께 한 군의 평균연령은 48세이고 키는 157.91±5.96 cm, 체중은 76.03±11.00 kg, 체질량지수는 30.38±3.04 kg/m

2

이었다. 운동만 수 행한 군의 평균연령은 46세이고 신장은 157.66±5.05 cm, 체중은 70.51±7.46 kg이며, 체질량지수는 28.17±3.95 kg/m

2

이었다.

2. 체질량지수와 혈압, 맥박, 최대산소 섭취량에 미치는 변화 체질량지수, 체중, 혈압, 맥박, 최대산소섭취량에 미치는 변화는 Ta- ble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영양관리와 운동을 함께 한 군은 체중 76.03±11.00 kg에서 67.88±10.14 kg으로 감소하였으며, 체질량지수 는 30.38±3.04 kg/m

2

에서 27.14±3.08 kg/m

2

로 감소하였다. 운동만 수행한 군은 체중 70.51±7.46 kg에서 68.81±11.11 kg으로, 체질량지 수는 28.17±3.95 kg/m

2

에서 27.48±4.14 kg/m

2

으로 감소하였다. 두 군 간의 비교에서는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하는 프로그램이 체중 과 체질량지수를 좀 더 감소시켰다. 수축기 혈압은 영양교육과 운동 을 함께 한 군은 133.71±13.66 mmHg에서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끝 난 후에 121.88 ±13.82 mmHg로 감소하였으며, 운동만 한 군도 128.06 ±9.55 mmHg에서 118.75±10.59 mmHg로 두 군 모두 유의적 으로 감소하였다. 이완기 혈압은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한 군은 82.59±8.40 mmHg에서 77.29±10.05 mmHg로 유의적으로 감소하 였으며, 운동만 한 군은 79.50±7.94 mmHg에서 77.63±7.11 mmHg 로 감소하였다. 맥박은 영양과 운동을 함께 한 군은 81.53±11.54에서 71.12 ±7.71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운동만 한 군은 75.67±8.89 에서 72.44±7.80로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최대산 소섭취량은 영양과 운동을 함께 한 군은 23.98±3.58 mL/kg/min에 서 26.64±4.11 mL/kg/min로 증가하였으며 운동만 한 군은 23.48±

2.89 mL/kg/min에서 26.31 ±2.82 mL/kg/min로 두 군 모두 유의적 으로 증가하였다. 두 군 간의 비교에서는 맥박이 통계적 유의성을 나

Table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Variable NME Group EM Group

t P

M SD M SD

Age (year) 47.56 6.21 45.69 9.37 -0.508 0.615

Height (cm) 157.91 5.96 157.66 5.05 -1.063 0.296

Body weight (kg) 76.03 11.00 70.51 7.46 0.862 0.395 BMI (kg/m2) 30.38 3.04 28.17 3.95 1.880 0.070 Data are mean± SD. P values by ANOVA.

NME, nutrition management+exercise; EM, exercise management;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BMI, body mass index.

Table 2. The comparison of BMI, blood pressure, and VO2max between NME and EM group in middle aged obese women

Pre Post

t P* P

M SD M SD

Body weight (kg) NME 76.03 11.00 67.88 10.14 8.184 0.001 < 0.001

EM 70.51 7.46 68.81 11.11 5.823 0.001

BMI (kg/m2) NME 30.38 3.04 27.14 3.08 7.535 0.001 0.001

EM 28.17 3.95 27.48 4.14 5.932 0.001

Systolic Blood Pressure (mmHg) NME 133.71 13.66 121.88 13.82 3.584 0.002 0.521

EM 128.06 9.55 118.75 10.59 3.342 0.004

Diastolic Blood Pressure (mmHg) NME 82.59 8.40 77.29 10.05 2.551 0.021 0.488

EM 79.50 7.94 77.63 7.11 1.152 0.267

Pulse NME 81.53 11.54 71.12 7.71 4.853 0.001 0.019

EM 75.67 8.89 72.44 7.80 1.789 0.111

VO2max (mL/kg/min) NME 23.98 3.58 26.64 4.11 -2.338 0.033 0.672

EM 23.48 2.89 26.31 2.82 -3.447 0.004

Data are mean± SD. P values by ANOVA.

NME, nutrition management+exercise; EM, exercise management;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BMI, body mass index.

*Pre vs post; NME vs EM.

(4)

타내어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수행한 군이 운동만 수행한 군보다 맥박이 더 감소함을 보였다.

3. 체력에 미치는 변화

비만관리프로그램이 체력에 미치는 변화는 Table 3과 같다. 영양교 육과 운동을 함께 한 군의 근력은 참여 전 29.26±3.7 kg에서 비만관 리 프로그램 끝난 후에 31.45±3.14 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 며, 운동만 한 군은 25.71±5.37 kg에서 28.17±4.47 kg으로 증가하여 두 군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유연성은 영양과 운동을 함께 한 군은 참여 전 11.85±8.79 cm에서 14.96±7.63 cm로 증가하였으며, 운 동만 한 군은 6.93±4.80 cm에서 12.11±4.96 cm로 증가하여 두 군 모

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지구력은 영양과 운동을 함께 한 군은 10.76 ±5.14 Reps/min에서 14.12±4.90 Reps/min으로 증가하였으며 운동만 한 군은 9.87±6.57 Reps/min에서 14.31±4.89 Reps/min으로 증가하였다. 두 군 간 비교에서는 근력, 유연성, 지구력이 통계적 유의 성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영양교육을 받고 운동을 하던 운동만 수행 하던 간에 운동을 통해 체력은 증강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4. 에너지, 다량 영양소, 식이 콜레스테롤, 나트륨, 비타민 C 섭취의 변화

비만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중년여성들의 에너지, 다량영양소 섭 취율의 변화, 식사로 섭취한 콜레스테롤, 나트륨, 비타민 C의 섭취량

Table 3. The comparison of NME and EM group of physical strength in middle aged obese women

Pre Post

t P* P

M SD M SD

Muscular strength (kg) NME 29.26 3.70 31.45 3.14 -3.416 0.004 0.864

EM 25.71 5.37 28.17 4.47 -2.912 0.011

Flexibility (cm) NME 11.85 8.79 14.96 7.63 -3.846 0.001 0.690

EM 6.93 4.80 12.11 4.96 -5.710 0.001

Muscular endurance (Reps/min) NME 10.76 5.14 14.12 4.90 -6.348 0.001 0.913

EM 9.87 6.57 14.31 4.89 -3.919 0.002

Data are mean± SD. P values by ANOVA.

NME, nutrition management+exercise; EM, exercise management;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BMI, body mass index.

*Pre vs post; NME vs EM.

Table 4. The comparison of NME and EM group of daily Nutrient intake in middle aged obese women

Pre Post

t P* P

M SD M SD

Energy intake (Kcal) NME 1,234.83 278.56 1,088.39 133.17 2.552 0.021 0.596

EM 1,522.85 179.87 1,182.48 149.10 6.359 0.001

Carbohydrate (g) NME 191.36 52.05 163.88 24.76 2.567 0.021 0.846

EM 236.03 22.85 175.07 21.95 8.559 0.001

Carbohydrate (%) NME 69.49 4.33 65.42 17.14 1.027 0.320 0.505

EM 72.85 5.14 55.90 15.99 2.460 0.030

Protein (g) NME 51.91 12.85 44.45 6.42 2.903 0.010 0.485

EM 58.29 9.52 48.98 6.90 3.129 0.007

Protein (%) NME 19.22 2.22 21.24 10.25 -0.793 0.439 0.547

EM 24.83 12.20 30.00 13.21 -1.054 0.313

Fat (g) NME 29.67 8.28 27.65 4.78 1.171 0.259 0.519

EM 36.89 9.76 30.23 6.63 2.653 0.018

Fat (%) NME 11.29 3.18 13.34 7.00 -1.371 0.189 0.267

EM 17.25 9.21 11.04 2.60 1.946 0.075

Cholesterol (mg) NME 222.02 105.04 203.30 50.56 0.873 0.396 0.043

EM 223.92 81.66 218.81 53.85 0.235 0.817

Sodium (mg) NME 3,470.56 1,271.88 2,623.00 688.54 2.945 0.010 0.561

EM 3,294.80 818.01 2,843.84 561.42 2.253 0.040

Vitamin C (mg) NME 113.48 53.09 90.65 26.34 2.472 0.025 0.029

EM 110.22 54.32 73.50 24.82 3.500 0.003

Data are mean± SD. P values by ANOVA.

NME, nutrition management+exercise; EM, exercise management;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BMI, body mass index.

*Pre vs post; NME vs EM.

(5)

변화는 Table 4와 같다. 에너지 섭취량은 영양교육과 운동을 수행한 군과 운동만 수행한 군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두 군 간의 비 교에서는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수행한 군이 운동만 수행한 군보 다 에너지를 10% 정도 더 적게 섭취하였다. 탄수화물이 총 에너지에 서 차지하는 비율은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한 군은 69.49±4.33%에 서 참여 후 65.42±17.14%로 낮아졌으며 운동만 수행한 군은 72.85±

5.14%에서 55.90 ±15.99%로 유의하게 낮아졌다. 단백질이 총 에너지 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수행한 군은 19.22±

2.22%에서 21.24 ±10.25%로 높아졌으며 운동만 수행한 군도 24.83±

12.20%에서 30.00±13.21%로 증가하였다. 지방이 총 에너지에서 차 지하는 비율은 영양교육과 운동을 수행한 군은 11.29±3.18%에서 13.34 ±7.00%로 다소 증가하였으나 운동만 수행한 군은 17.25±

9.21%에서 11.04 ±2.60%로 다소 감소하였다. 식이콜레스테롤의 섭취 량은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수행한 군은 222.02±105.04 mg에서 203.30±50.56 mg으로 낮아졌으며 운동만 수행한 군은 223.92±

81.66 mg에서 2,18.81±53.85 mg으로 낮아졌다. 두 군 간의 비교에서 는 영양교육과 운동을 수행한 군이 운동만 수행한 군보다 식이 콜레 스테롤 섭취량이 유의하게 낮아졌다. 나트륨은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 께 수행한 군은 3,470.56±1271.88 mg에서 2,623.00±688.54 mg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운동만 수행한 군도 3,294.80±818.01 mg에 서 2,843.84±561.42 mg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항산화 영양소 의 대표 영양소인 비타민 C 섭취량은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수행한 군은 113.48±53.09 mg에서 90.65±26.34 mg으로 낮아졌으며, 운동 만 수행한 군은 110.22±54.32 mg에서 73.50±24.82 mg으로 두 군 모두 낮아졌다. 두 군 간의 비교에서는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한 군 이 운동만 수행한 군보다 유의적으로 비타민 C의 섭취량이 많았다.

고  찰

비만관리교육프로그램 중 영양교육과 운동이 함께 이루어진 군이 운동만 수행한 군보다 체질량지수가 유의적으로 더 감소한 것은 다른 연구

14

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비만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혈압이 정상보다 높았는데 프로그램 참여 후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한 군의 수축기혈압과 이완기 혈압, 맥박이 모두 유의하 게 감소하였으며, 최대산소섭취량(VO

2

max)은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 로 나타났다. 운동만 한 군의 맥박은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최 대산소섭취량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최대산소섭취량은 호흡 순환 기능을 가장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척도로 최대산소섭취량이 뛰어날수록 일상생활에서 높은 활동을 가능하게 한다.

12

본 연구에서 최대산소섭취량이 두 군 모두 증가한 것은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하거나 운동만을 수행해도 최대산소섭취량이 증가하여 바람직한 결

과로 사료된다. 두 군 모두 비만관리교육프로그램 참여 후 혈압이 교 육전보다 감소하여 고혈압 예방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비만인의 경 우 대부분이 고혈압이나 경계성 고혈압인 경우가 많은데 이는 인슐린 저항성, 교감신경계 항진 및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IL-6나 TNF-al- pha 등이 관여되어 말초혈관저항의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지방조직 의 과량으로 산소요구도가 증가하면 심박출량이 증가되어 혈압이 상 승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체중을 감소시키면 그 정도에 따라 수 축기 혈압 및 확장기 혈압도 감소되며 식사요법에 의한 체중감소도 혈 압을 강하시킬 수 있다는 다른 연구결과

15

와 유사하여 비만을 치료하 는 데 있어 영양과 운동으로 이루어진 관리프로그램은 혈압을 강하 시키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판단되나 이에 대한 연 구는 더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한 군 이나 운동만 수행한 군 모두 근력, 유연성, 근지구력이 유의하게 증가 하는 바람직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비만인에게 유연성의 감소는 운동 수행능력의 감소를 초래하여 운동자체를 꺼려하는 운동습관으로 변 화될 우려가 있는데 유연성의 증가는 관절의 운동범위를 증가시키고 근손상에 대한 위험성을 감소시켜 운동수행 능력을 증진시키는 바람 직한 변화로 다른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16

운동은 고혈압을 가진 동 물모델과 사람에서 혈관을 이완시키며, 혈관내피기능을 향상시켜 동 맥탄력성을 증가시키며 심혈관계와 관련된 관상동맥경화증, 제2형 당뇨병 및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등의 질환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 져 건강증진과 질환예방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으므로

17,18

본 연구결과는 비만관리에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

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3개월 동안의 운동은 단기적인 효과로서 비만

에 대한 장기적인 효과를 위해서는 1년 이상의 장기간 운동이 필요하

다고 사료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수행한 군

이 운동만 수행한 군보다 두 군 모두 동일한 운동을 수행하면서 총 에

너지 섭취량이 10% 가량 더 낮았는데 이는 영양교육의 효과로 사료되

는 바이다. 비만치료에서는 총 에너지 섭취량 뿐 아니라 탄수화물, 지

방의 섭취비율이 중요한데 총에너지에서 차지하는 탄수화물의 비율

은 비만관리교육프로그램 참여 전에는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한 군

에서 69.49%, 운동만 한 군에서는 이보다 더 높은 72.85%로 높은 경

향이었으나, 교육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는 65.42%, 55.90%로 각각 감

소하여 두 군 모두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제시하는 탄수화물 섭

취비율을 나타내는 바람직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우리 식단은 탄수

화물의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큰데 그 원인은 우리 식생활자체가 곡

류가 주식이고 곡류에서 대부분의 에너지를 얻기 때문이다. 탄수화

물은 단백질이 열량원으로 쓰이는 것을 줄이고 케톤증을 예방할 수

있게 하루 100 g 정도는 섭취해야 하나 과잉 섭취는 체내에서 중성지

방으로 전환되어 고지혈증의 한 원인이 되며 체중증가에 일조하게 되

므로

19

탄수화물의 섭취가 감소한 것은 매우 바람직한 경향이다. 다른

(6)

연구

20

에 의하면 여성의 비만은 고탄수화물 섭취가, 남성의 비만은 알 코올섭취와 관련이 있다고 하며 특히 여성은 탄수화물을 공급하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과일이나 채소로부터 섭취한 탄수화물은 허리둘 레와 음의 연관성을 보이나 곡류에서 섭취한 탄수화물은 허리둘레와 양의 연관성을 보인다고 하는데

19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수행한 군 이나 운동만 수행한 군 모두 탄수화물의 섭취가 줄어든 것은 거의 알 코올을 섭취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의 섭취량이 총 에너지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영양과 운동을 함께 한 군은 약간 증가 하였으며, 운동만 수행한 군은 감소하였다. 단백질비율은 두 군 모두 증가하였는데 이는 단백질의 섭취 증가는 체중감소와 복부비만을 감 소시키며 체중 감량 후 이를 유지하는데도 효과적이며 복부비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21

는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 과에서 탄수화물의 섭취비율은 줄고 단백질의 섭취비율이 증가하였 는데 이는 단백질은 다른 영양소에 비해 식이성 발열이 많아 에너지 소비가 많으며, 단백질은 많이 섭취해도 저장이 되기보다는 이를 산 화시키는데 이러한 산화증가는 열 발생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해 체중감량에 일조한 것으로 생각된다.

22

본 연구결과에서 단백질 섭 취비율이 증가한 것은 우리 식단 자체가 육어류나 유제품 위주가 아 니어서 단백질식품을 많이 섭취하지는 않으나 탄수화물식품, 특히 곡 류의 섭취가 줄면서 상대적으로 단백질식품의 섭취비율이 다소 증가 하였으며, 단백질식품은 탄수화물 식품보다는 포만감을 증가시키므 로 식사량을 줄이는 효과를 나타내어 총 에너지 섭취도 감소한 것으 로 사료된다. 그러나 아직까지도 탄수화물을 줄이는 것이 체중 감량 에 더 도움이 되는지 지방의 섭취를 식사에서 감소시키는 방법 혹은 단백질식품의 섭취를 증가시키는 것이 복부비만이나 체중감소에 더 효과적인지는 계속 연구되고 있으며

23

, 앞으로도 계속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나트륨의 섭취는 두 군 모두 비만관리교육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에 감소하여 바람직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면 나트륨 이온이 체내에 과잉 축적되어 세포외액량이 증 가되며 세동맥 벽의 흥분성과 저항을 높이므로 혈압이 상승하는 것 으로 알려져 있으나 고혈압에서의 식염의 역할은 여전히 논란이 많 다.

24

본 연구에서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수행한 군이 운동만 수행 한 군보다 나트륨섭취가 더 감소하였는데 이는 영양교육이 나트륨 섭 취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고혈압예방 가능성을 나타내는 결과로 사료된다. 영양관리와 운동을 함께 한 군 이 운동만 한 군보다 항산화영양소인 비타민 C 섭취량은 유의하게 많 았으며, 식이로 섭취한 콜레스테롤의 양도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한 군에서 운동만 수행한 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본 연구에서 영 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한 군이 운동만 수행한 군보다 항산화 영양소 인 비타민 C 섭취가 많고 식이 콜레스테롤, 나트륨의 섭취가 감소한 것은 비만을 관리 치료함과 동시에 고혈압과 심혈관계 질환예방 가능

성을 보여주는 바람직한 결과로 판단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로는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병행하여 수행하는 것이 운동만을 수행하 는 것보다는 균형 잡힌 영양섭취와 비만과 동반된 고혈압 같은 대사 질환을 관리하는 데 좀 더 긍정적인 프로그램일 것으로 사료된다.

요  약

배경: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이 영양관리와 운동을 함께 수행하거나, 운동만 수행하였을 때 다량영양소(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와 나트륨 섭취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체질량지수 25 kg/m

2

이상인 중년 비만여성 32명을 2군으로 나 누어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수행하거나 운동만을 수행하게 하였으 며 기간은 3개월이었다. 식이성분으로 다량영양소(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와 나트륨 섭취량, 식이콜레스테롤을 조사하였으며, 혈압, 최대 산소섭취량 및 체력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한 군이 운동만 한 군 보다 식사로 섭 취하는 콜레스테롤 양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비타민 C의 섭취량 은 유의하게 많았다. 다량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과 나트륨 의 섭취는 두 군 모두 감소하였으나 두 군 간의 유의성은 나타내지 않 았다. 두 군 모두 최대산소섭취량과 체력이 증가하였으며 혈압은 낮아 졌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결론

: 이 같은 결과로 영양교육과 운동을 함께 하는 것이 운동만 하는 것 보다 중년여성들의 비만관리 및 고혈압 예방 가능성이 있음을 시 사하였다.

중심단어

: 영양교육과 운동프로그램, 운동프로그램, 나트륨 섭취, 다 량영양소 섭취, 체력, 비만중년여성

References

1. Korean Endocrine Society,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 ty. Management of obesity, 2010 Recommendation. Endocrinol Metab 2010;25:301-4.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 trol and Prevention; 2012.

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 Seoul: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4. Hahn D, Payne W, Lucas E. Focus on health. 11th ed. New York:

(7)

McGrow Hill Humanities; 2012.

5. Kotsis V, Stabouli S, Papakatsika S, Rizos Z, Parati G. Mechanisms of obesity-induced hypertension. 2010;33:386-93.

6. Kang JK. Relationship between abdominal obesity and hyperten- sion [dissertation]. Busan: Kosin Univ.; 2009.

7. The sixth report of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 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Arch Intern Med 1997;157:2413-46.

8. Muntzel M, Drüeke T.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salt and blood pressure relationship. Am J Hypertens 1992;5:1-42.

9. Alderman MH. Dietary sodium and cardiovascular health in hy- pertensive patients: The case against universal sodium restriction.

J Am Soc Nephrol 2004;15 Suppl 1:47-50.

10. Intersalt Cooperative Research Group. Intersalt: an international study of electrolyte excretion and blood pressure. Results for 24 hour urinary sodium and potassium excretion. BMJ 1988;297:319- 28.

11. Midgley JP, Matthew AG, Greenwood CM, Logan AG. Effect of reduced dietary sodium on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AMA 1996;275:1590-7.

12. Pescatello LS, Franklin BA, Fagard R, Farquhar WB, Kelley GA, Ray CA, et al. American college of sports and medicine position stand. Exercise and hypertension. Med Sci Sports Exerc 2004;36:

533-53.

13. Yi KN, Kwon OH. Clinical pathology file. 3rd ed. Seoul: Medrang, Inforang; 2000. p. 14-62.

14. Christensen JR, Faber A, Ekner D, Overgaard K, Holtermann A, Søgaard K. Diet, physical exercise and cognitive behavioral train-

ing as a combined workplace based intervention to reduce body weight and increase physical capacity in health care workers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MC Public Health 2011;11:671.

15. Reeves WG. Insulin antibody determination: theoretical and prac- tical considerations. Diabetologia 2011;24:399-403.

16. Wang F, McDonald T, Reffitt B, Edington DW. BMI, physical ac- tivity, and health care utilization/costs among Medicare retirees.

Obes Res 2005;13:1450-7.

17. Stamford BA, Shimer P. Fitness without exercise. New York: War- ner Books; 1990. p. 137-41.

18. Kim MS, Ahn HS. Dietary intakes and serum component in mid- dle aged abdominal obese women. Korean J Obes 2003;12:124-36.

19. Lee JH, Jang YS, Park HY, Kim OY, Ryu HJ, Chae JS. Beneficial effect of weight reduction in overweight middle-aged men. Kore- an J Obes 1999;8:154-63.

20. Kotchen TA. Obesity-related hypertension: epidemiology, patho- physiology, and clinical management. Am J Hypertens 2010;23:

1170-8.

21. Savica V, Bellinghieri G, Kopple JD. The effect of nutrition on blood pressure. Annu Rev Nutr 2010;30:365-401.

22. Campbell NR, Willis KJ, L

Abbe M, Strang R, Young E. Canadian initiatives to prevent hypertension by reducing dietary sodium.

Nutrients 2011;3:756-64.

23. Kotchen TA, Kotchen JM, Boegehold MA. Nutrition and hyper- tension prevention. Hypertension 1991;18(Suppl 3):115-20.

24. Hackam DG, Anand SS. Emerging risk factors for atherosclerotic vascular disease: a critical review of the evidence. JAMA 2003;290:

932-40.

수치

Table 2. The comparison of BMI, blood pressure, and VO 2 max between NME and EM group in middle aged obese women
Table 4. The comparison of NME and EM group of daily Nutrient intake in middle aged obese women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8 weeks trampoline exercise on health promotion (health related fitness, blood lipid)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Da Vinci body board exercise program affects the body balance and physical stress of women with body imbalance.. For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8-week GX complex exercise program on the stress index, blood lipid and AP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BOSU Ball exercise, which can develop core muscles in middle-aged women, affects body composition and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body strength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was applied to measure health fitness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participation in 8-week swimming and resistance exercise programs affects changes in health fitnes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8-week aerobic exercise program affects the physical strength and stress of obese women in the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actic acid fatigue and body oxidation through myofascial relaxation exercise using small t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