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공동 동 동주 주 주택 택 택 외 외 외부 부 부공 공 공간 간 간의 의 의 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공동 동 동주 주 주택 택 택 외 외 외부 부 부공 공 공간 간 간의 의 의 주"

Copied!
15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08 2008

2008 2008년 년 년 년 8 8 8 8월 월 월 월 박사학위논문 박사학위논문 박사학위논문 박사학위논문

공 공

공동 동 동주 주 주택 택 택 외 외 외부 부 부공 공 공간 간 간의 의 의 주

주 주거 거 거환 환 환경 경 경평 평 평가 가 가에 에 에 관 관 관한 한 한 연 연 연구 구 구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조선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대학원

건 건 건

건 축 축 축 축 공 공 공 공 학 학 학 과 학 과 과 과

임 임 임

임 경 경 경 경 희 희 희 희

(2)

공 공

공동 동 동주 주 주택 택 택 외 외 외부 부 부공 공 공간 간 간의 의 의 주

주 주거 거 거환 환 환경 경 경평 평 평가 가 가에 에 에 관 관 관한 한 한 연 연 연구 구 구

A A

A A Study Study Study Study on on on the on the the the Evaluation Evaluation Evaluation of Evaluation of of Residential of Residential Residential Residential Environment Environment Environment Environment of

of of

of the the the the Outdoor Outdoor Outdoor Space Outdoor Space Space Space in in in Apartment in Apartment Apartment Apartment

2 0 0 8 年 月 日

조선대학교 대학원 건 축 공 학 과

임 경 희

(3)

공 공

공동 동 동주 주 주택 택 택 외 외 외부 부 부공 공 공간 간 간의 의 의 주

주 주거 거 거환 환 환경 경 경평 평 평가 가 가에 에 에 관 관 관한 한 한 연 연 연구 구 구

지도교수 이 청 웅

이 논문을 공학 박사학위 신청논문으로 제출함.

2008년 월 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건 축 공 학 과

임 경 희

(4)

임경희의 박사학위 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대학교 교수 위원 대학교 교수 위원 대학교 교수 위원 대학교 교수 위원 대학교 교수

2008 년 월 일

조선대학교 대학원

(5)

목 목 목 목 차 차 차 차

1. 1. 1.

1. 서 서 서 론 서 론 론 론

1.1. 1.1. 1.1. 1.1.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배경과 연구의 배경과 배경과 배경과 목적 목적 목적 목적 ··· 1 1 1 1

1.1.1. 연구의 배경 ··· 1 1.1.2. 연구의 목적 ··· 3

1.2. 1.2. 1.2. 1.2.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범위 연구의 범위 범위 범위 및 및 및 및 방법 방법 방법 방법 ··· 3 3 3 3

1.2.1. 연구의 범위 ··· 3 1.2.2. 연구의 방법 및 내용 ··· 4

1.3. 1.3. 1.3. 1.3. 관련연구동향 관련연구동향 관련연구동향 ··· 7 관련연구동향 7 7 7

2.

2. 2.

2.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이론적 외부공간의 이론적 이론적 고찰과 이론적 고찰과 고찰과 주거환경평가 고찰과 주거환경평가 주거환경평가 ··· 11 주거환경평가 11 11 11

2.1. 2.1. 2.1. 2.1.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주거환경과 공동주택 주거환경과 주거환경과 외부공간 주거환경과 외부공간 외부공간 외부공간 ··· 11 11 11 11

2.1.1. 외부공간의 개념과 역할 ··· 11 2.1.2. 외부공간의 성격과 유형 ··· 12

2.2. 2.2. 2.2. 2.2.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계획특성 외부공간의 계획특성 계획특성 계획특성 ··· 14 14 14 14

2.2.1. 공동주택 외부공간 계획경향의 변화 ··· 14 2.2.2.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건축계획적 특성 ··· 15

2.3. 2.3. 2.3. 2.3.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주거환경평가 외부공간의 주거환경평가 주거환경평가 주거환경평가 ··· 20 20 20 20

2.3.1.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물리적 평가지표 ··· 20 2.3.2.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주거환경 평가 ··· 23

(6)

3.

3. 3.

3. 평가모형의 평가모형의 평가모형의 설정 평가모형의 설정 설정 및 설정 및 및 조사대상의 및 조사대상의 조사대상의 속성 조사대상의 속성 속성 ··· 31 속성 31 31 31

3.1. 3.1. 3.1. 3.1. 연구가설 연구가설 연구가설 및 연구가설 및 및 평가모형의 및 평가모형의 평가모형의 평가모형의 설정 설정 설정 설정 ··· 31 31 31 31

3.1.1. 연구모형의 구상설계 및 가설설정 ··· 31

3.1.2. 설문조사의 개요 ··· 33

3.2. 3.2. 3.2. 3.2. 조사대상지 조사대상지 조사대상지 및 조사대상지 및 및 및 대상자 대상자 대상자 대상자 특성 특성 특성 ··· 41 특성 41 41 41

3.2.1. 조사대상지의 물리적 특성 ··· 41

3.2.2. 조사대상지의 사회문화적 특성 ··· 54

4. 4. 4. 4.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공급유형별 외부공간의 공급유형별 공급유형별 주거환경 공급유형별 주거환경 주거환경 만족도 주거환경 만족도 만족도 분석 만족도 분석 분석 ··· 60 분석 60 60 60 4.1. 4.1. 4.1. 4.1. 외부공간에 외부공간에 외부공간에 대한 외부공간에 대한 대한 대한 거주자 거주자 거주자 만족현황 거주자 만족현황 만족현황 만족현황 분석 분석 분석 ··· 60 분석 60 60 60 4.2. 4.2. 4.2. 4.2.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부분별 외부공간의 부분별 부분별 부분별 거주자 거주자 거주자 거주자 만족현황 만족현황 만족현황 만족현황 분석 분석 분석 분석 ··· 62 62 62 62

4.2.1. 도로공간에 대한 만족현황 ··· 62

4.2.2. 순외부 공간에 대한 만족현황 ··· 65

4.2.3. 주거동 계획 및 단지경관에 대한 만족현황 ··· 69

4.2.4. 건축공간(부대시설)에 대한 만족현황 ··· 71

4.3. 4.3. 4.3. 4.3. 소결 소결 소결 ··· 72 소결 72 72 72 5. 5. 5. 5.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거주환경 외부공간의 거주환경 거주환경 만족도의 거주환경 만족도의 만족도의 구조방정식모형 만족도의 구조방정식모형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분석 분석 5.1. 5.1. 5.1. 5.1. 구조방정식 구조방정식 구조방정식 모형 구조방정식 모형 모형 모형 정의 정의 정의 및 정의 및 및 일반 및 일반 일반 ··· 74 일반 74 74 74

5.1.1. 구조방정식 모형 개요 ··· 74

5.1.2. 구조방정식의 모델의 장점 ··· 74

5.2. 5.2. 5.2. 5.2. 측정변수의 측정변수의 측정변수의 결정 측정변수의 결정 결정 결정 ··· 77 77 77 77

5.2.1. 신뢰성 분석 ··· 78

5.2.2. 타당성 분석 ··· 79

5.3. 5.3. 5.3. 5.3.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구조방정식 구조방정식 구조방정식 모형 구조방정식 모형 모형 모형 분석 분석 분석 ··· 85 분석 85 85 85

5.4. 5.4. 5.4. 5.4. 공동주택의 공동주택의 공동주택의 공급유형별 공동주택의 공급유형별 공급유형별 공급유형별 구조방정식 구조방정식 구조방정식 구조방정식 모형 모형 모형 분석 모형 분석 분석 분석 ··· 92 92 92 92

(7)

5.4.1. 분양(대)공동주택 외부공간의 분석 모형 ··· 92

5.4.2. 민간임대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분석 모형 ··· 98

5.4.3. 분양(중)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분석 모형 ··· 106

5.4.4. 국민임대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분석 모형 ··· 113

5.5. 5.5. 5.5. 5.5. 소결 소결 소결 ··· 120 소결 120 120 120

6. 6. 6.

6. 결 결 결 론 결 론 론 ··· 123 론 123 123 123

■ ■ ■

■ 참고문헌 참고문헌 참고문헌 참고문헌

■ ■

■ 부록 부록 부록 부록

(8)

표 표 표

표 목 목 목 목 차 차 차 차

표 1. 관련선행연구문헌 연구유형 및 특징 ··· 9

표 2. 주거동의 적정배치 및 구성 ··· 19

표 3. 외부공간의 질 관련 제도적 규제항목 및 외부공간량 평가지표 ··· 22

표 4. 평가의 정의 ··· 24

표 5. 연구가설 ··· 33

표 6.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주거환경평가를 위한 샘플 및 표집대상 ··· 34

표 7. 조사대상지의 구성 ··· 35

표 8. 1차 설문항목 ··· 36

표 9. 1차 설문항목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 39

표 10. 2차 설문항목 ··· 41

표 11. 조사대상단지의 주요 물리적 현황의 비교 ··· 43

표 12. 조사대상의 물리적 특성현황 - A-1(국민임대) ··· 45

표 13. 조사대상의 물리적 특성현황 - B-1(분양-대) ··· 46

표 14. 조사대상의 물리적 특성현황 - B-2(분양-대) ··· 47

표 15. 조사대상의 물리적 특성현황 - B-3(분양-대) ··· 48

표 16. 조사대상의 물리적 특성현황 - C-1(분양-중) ··· 49

표 17. 조사대상의 물리적 특성현황 - C-2(분양-중) ··· 50

표 18. 조사대상의 물리적 특성현황 - D-1(민간임대) ··· 51

표 19. 조사대상의 물리적 특성현황 - D-2(민간임대) ··· 52

표 20. 조사대상의 물리적 특성현황 - D-3(민간임대) ··· 53

표 21. 표본의 특성 ··· 55

표 22. 소유유형별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만족 현황 ··· 61

표 23. 소유유형별 차량공간 평가항목의 만족 현황 ··· 63

표 24. 소유유형별 보행공간 평가항목의 만족 현황 ··· 64

표 25. 소유유형별 놀이 및 운동공간 평가항목의 만족 현황 ··· 66

표 26. 소유유형별 휴게공간 및 광장 평가항목의 만족 현황 ··· 67

표 27. 소유유형별 녹지공간 평가항목의 만족 현황 ··· 68

표 28. 소유유형별 주거동 평가항목의 만족 현황 ··· 69

표 29. 소유유형별 단지내 경관 평가항목의 만족 현황 ··· 70

(9)

표 30. 소유유형별 부대시설 평가항목의 만족 현황 ··· 72

표 31. 측정변수들의 신뢰도 분석결과 ··· 78

표 32. 개별 잠재요인의 측정모형 타당성 평가 ··· 83

표 33. 전체 잠재요인 대상 측정모형의 변수간 인과분석 결과 ··· 85

표 34.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 ··· 86

표 35. 측정모형의 분석결과 ··· 87

표 36. 구조모형 분석결과 ··· 91

표 37. 전체 잠재요인 대상 측정모형의 타당성 평가-분양(대) ··· 92

표 38. 측정모형의 분석결과-분양(대) ··· 94

표 39. 구조모형 분석결과-분양(대) ··· 98

표 40. 전체 잠재요인 대상 측정모형의 타당성 평가-민간임대 ··· 99

표 41. 측정모형의 분석결과-민간임대 ··· 101

표 42 구조모형 분석결과-민간임대 ··· 105

표 43. 전체 잠재요인 대상 측정모형의 타당성 평가-분양(중) ··· 106

표 44. 측정모형의 분석결과-분양(중) ··· 108

표 45. 구조모형 분석결과-분양(중) ··· 112

표 46. 전체 잠재요인 대상 측정모형의 타당성 평가-국민임대 ··· 113

표 47. 측정모형의 분석결과-국민임대 ··· 115

표 48. 구조모형 분석결과-국민임대 ··· 119

표 49. 분석모형별 적합지수 종합 ··· 120

표 50. 공급유형별 세부평가요인의 영향력 관계 ··· 121

표 51. 주요평가요인과 주거환경 만족간의 영향관계 ··· 121

(10)

그림 그림 그림 그림 목차 목차 목차 목차

그림 1. 연구 흐름도 ··· 6

그림 2. 공동주택의 생활공간의 구분 ··· 13

그림 3. 주거만족 결정과정 ··· 28

그림 4. 연구모형 ··· 32

그림 5. 표본의 성별 분포 특성 ··· 53

그림 6. 표본의 연령별 분포특성 ··· 56

그림 7. 표본의 연령별 분포특성 ··· 56

그림 8. 표본의 가족생활주기별 분포특성 ··· 57

그림 9. 표본의 가족수 분포특성 ··· 58

그림 10. 표본의 주택규모 분포특성 ··· 58

그림 11 표본의 공동주택 거주경험 분포특성 ··· 59

그림 12. 소유유형별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만족 현황 ··· 62

그림 13. 소유유형별 차량공간 평가항목의 만족 현황 ··· 63

그림 14. 소유유형별 보행공간 평가항목의 만족 현황 ··· 65

그림 15. 놀이/운동공간 평가항목의 만족 현황 ··· 66

그림 16. 소유유형별 휴게공간 평가항목의 만족 현황 ··· 67

그림 17. 소유유형별 녹지공간 평가항목의 만족 현황 ··· 68

그림 18. 소유유형별 주거동 평가항목의 만족 현황 ··· 69

그림 19. 소유유형별 단지내 경관 평가항목의 만족 현황 ··· 70

그림 20. 소유유형별 부대시설 평가항목의 만족 현황 ··· 72

그림 21. 연구모형의 평가과정 ··· 77

그림 22.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주거환경 만족도 분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전체) ··· 90

그림 23.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주거환경 만족도 분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양-대) ··· 97

그림 24.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주거환경 만족도 분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민간임대) ··· 104

그림 25.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주거환경 만족도 분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양-중) ··· 111

(11)

그림 26.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주거환경 만족도 분석을 위한

구조방정식 모형(국민임대) ··· 118

(12)

ABSTRACT ABSTRACT ABSTRACT ABSTRACT

A A

A A Study Study Study Study on on on the on the the the Evaluation Evaluation Evaluation of Evaluation of of Residential of Residential Residential Residential nvironment nvironment nvironment nvironment by

by by

by the the the Outdoor the Outdoor Outdoor Outdoor Space Space Space Space in in in in Apartment Apartment Apartment Apartment

BY Lim Kyung - Hee

Advisor : Prof. Lee Cheong-Woong Ph.D.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architectural planning factors and principles which are the foundation of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from the view of architectural planning of external space in apartment houses representing the residence in Korea and aims to suggest architectural planning model for improving the external space environment of apartment houses. It establishes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satisfaction analysis of the whole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o analyze decisive factors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with SPSS and MOS necessary for confirming influential factors o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f external space of apartment houses and then analyzes decisive factors of satisfac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causation of major and detailed planning factors of external space of apartment houses on satisfaction of the whole external space are as follows.

Apartment houses showed relatively higher causation coefficient in walking and vehicle space, which had a great influence on residential

(13)

satisfaction, followed by vehicle space, attached facilities and green zone. According to types of apartment houses, walking and resting space had a great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 apartment houses built for sale, apartment complex landscape, playing space, walking space, green zone had an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 apartment houses built for lease, residential building plan, walking space and attached facilities had an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 apartment house on sale, and walking space and attached facilities had a great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in apartment houses for lease to the poor.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planning factors having an influence on residential satisfaction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ypes of apartment houses and improvement of these influential factors enhanced satisfaction with residential environment. It was also confirmed that influential factors on satisfaction were varied depending on types of apartment houses and residents' social and economic factors i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f external space in apartment houses and improvement of these factors were related to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f external space.

Major improvements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external space of apartment houses included improvement of apartment complex landscape centering around pedestrian through comfort increase of environment around walking space and resting space must ensure various accessibilities and comfort by enhancing connection with central layout, green zone and play/exercise space.

Major items for improving residential environment of external space of apartment houses included pedestrian and vehicle separation and coexistence based on security of walking circulation of various routes, reinterpretation of relation to connection with other facilities, increase

(14)

of resting space area and activation of resting space through appropriate connection with green zone for ensuring comfort and safety in apartment houses built for sale. For apartment houses built for lease, planned layout for improving visual and perceptual quality of attached facilities and resting space within the complex and user-centered considerations through connection with play/exercise space and resting space are required. External space of apartment houses on sale must consider security of enough resting space and its comfort by pedestrian-centered planning and proper dispersion around walkways. Walking space in external space of apartment houses built for lease to the poor requires extension of walkway connected with green zone and maintenance of surrounding green zone and play/exercise space for ensuring comfort around walkway and also security of flexibility of space and sustainable planning by dispersed layout are needed.

This study is developed through operational definition centering around planning factors of external space of apartment houses by its types of social and economic factors, but it is considered that research through review of its relation to various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made for higher efficiency and these researches should be verified through follow-up researches.

(15)

1.

1.

1.

1. 서 서 서 서 론 론 론 론

1.1. 1.1.

1.1. 1.1.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배경과 배경과 배경과 목적 배경과 목적 목적 목적

1.1.1.

1.1.1.

1.1.1.

1.1.1.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배경 연구의 배경 배경 배경

주택보급율의 상승과 동반하여 미분양율이 증가함으로 인해 최근에는 주거환경 의 질적 측면의 제고라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하지만 대량공급의 논리와 시장 논리에 따라서 해결되어야 하는 까닭에 주거문제는 양적인 문제만으로 다룰 수 있 는 사한이 아닌 적절한 환경수준을 갖춘 주택공급의 문제라는 것이 최근의 인식이 다.

즉 주택보급의 양적확대에 따라 획일적이고 무미건조한 주거환경의 개선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증대와 업체간의 주택상품개발 경쟁이 고조되어 차별화 전략을 통한 공급자의 경쟁력 확보가 요구되는 한편 주택정책의 방향도 주거환경의 개선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주거환경개선수요에 대한 다양한 대응을 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 다.

그리고 이용자인 주택소비자들의 경우도 주거환경 선호도 역시 깨끗하고, 아름답 고, 쾌적한 환경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다른 조건이 같다면 녹지가 풍부한 곳, 공기가 깨끗한 곳, 경치가 좋은 곳, 조용한 곳, 외부공간 이 잘 계획된 곳의 토지나 주택가격이 상승하기 마련이다. 이런 경향은 인간은 누 구나 자연과의 조화 속에서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는 권리를 가짐으로 서 소비재로서의 주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1) 그러므로 쾌적 한 주거환경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을 주택정책이나 단지계획과정에 포괄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주거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달라지고 있고 대내·외적인 주택시 장의 변화에 따라서 주택사업에서 보다 높은 수익을 확보하며 지역사회의 호감을

1) 이재준, 공동주택 주거환경의 어메니티 평가와 계획적 함의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박론, 1998.

(16)

확보하기 위한 고부가가치화 전략제품개념의 하나로서 이른바 공동주택단지내 외 부공간의 만족도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우선적으로 최근 공동주택의 경우 사회적 전반의 여건과 긴밀한 관계 속에서 존재하며 단위주호를 중심으로 많은 질적 향상을 가져왔지만, 이에 뒤 따라 공동체 생활 관련요소로서 단지내 옥외공간과 단지경관과 같은 공동으로 관 리되는 사회재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이는 법적인 측면에서도 2 003년 주거지역 종세분화에 따른 관련법령의 제정으로 공동주택 단지의 밀도 및 규모가 감소되고, 이로 인해 공동주택단지의 외부공간계획에 대한 계획 관점도 많 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즉 공동주택단지의 주거환경에 대해 이제는 단위주호 의 질적내용이 아닌 공동체 생활과 관련된 주거환경의 질적 논의가 중요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듯 공동주택의 질적 향상이라는 시대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법적 기준 들이 계속 변하였지만 실제 기준들은 역할을 다하지 못한 가운데 전문가의 판단에 많은 영향을 받아왔다.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 뿐 아니라 지방의 중소도시 어느 곳 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공동주택은 단지 내외부적 시설, 단지의 형태 그리고 층수 등 대부분이 비슷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제법규가 지역의 여건을 반영하지 못하고 획일적이기 때문이고 최소한의 기준을 제시한 수 준이기 때문이며 또한 사업체의 이윤 극대화로 인하여 전문가의 판단이 중요한 설 계기준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라 생각된다2).

따라서 최근의 이러한 변화에 입각해 계획되어진 지방도시를 대상으로 공동주 택의 공동체 생활관련 요소들에 대한 거주자 의식평가를 통해 건축적 행위의 근간 이 되는 공동주택 외부공간계획요인들에 대한 원인을 규명하는 것은 향후 요구되 는 지역적 여건을 반영한 새로운 공동주택단지 계획의 방향성을 정립하고 정체성 을 밝히기 위한 기초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가장 사회적인 건축유형이라 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당면 쟁 점이 외부공간의 주거환경의 질에 대해서 거주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건축 계획적 요소를 해석, 평가하는 것은 사회적 인식과 제도 그리고 계획여건을 변화시 킬 수 있기에 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2) 김영하, 주거단지계획과 도시경관, 기문당, 2005.

(17)

1.1.2.

1.1.2.

1.1.2.

1.1.2.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목적 연구의 목적 목적 목적

위와 같은 연구의 배경하에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내 공동주택 외부공간을 대상 으로 건축계획적 관점에서 외부공간의 건축계획적 요인들과 거주자의 주거환경 만 족도간의 관계성을 규명함으로서 그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탐구해 나감으로서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주거환경에서 구명되는 다양한 건축계획적 요인들의 설계 적 용상의 구체적인 방향을 단지계획적인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공동주택의 외부공간에 대해 주거환경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그 계획요인들 에 대해 기존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서 향후 공동주택 단 지 외부공간의 설계시 적합한 이론의 정립을 하고자 한다.

둘째,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만족도는 주거환경의 건축계획적 요인들과 관계되고 이들 상호간의 관계에 의해 여러 가지 환경수준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러한 외부 공간의 만족도와 건축계획적 요인들의 인과관계를 조사 분석함으로서 외부공간의 만족도 개선을 위한 본질적 의미와 수준을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 외부 공간의 만족도에 대한 거주자의 인식 평가를 통해 그 인과구조를 파악하여 공동주 택단지의 외부공간에서 우선적으로 개선이 요구되는 요인들을 도출하고자 한다.

셋째,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전체적인 만족도와 건축계획요소 및 원리들간의 인과 관계를 바탕으로 향후 공동주택 외부공공간의 주거환경평가모형을 주택공급유형별 로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1.2.

1.2.

1.2.

1.2.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범위 범위 범위 및 범위 및 및 및 방법 방법 방법 방법 1.2.1.

1.2.1.

1.2.1.

1.2.1.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범위 연구의 범위 범위 범위

본 연구의 범위는 공동주택단지내 외부공간으로 한정시켜 적용하였고, 일반적으 로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근린환경과 단지환경, 사회적 환경, 심리적 환 경 등을 포함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단지내 외부공간의 건축 및 단 지계획적 측면의 단지환경만을 다루고자 해서 동선계획관련의 도로공간(보행공간,

(18)

차량공간), 공동생활과 관련된 순생활공간(놀이 및 운동공간, 휴게공간 및 광장, 녹 지공간), 주거동계획, 단지내 경관, 부대시설에 한하여 다루었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최근 준공된 500세대 정도3)의 공동주택 중 주거지역 종세분화로 인해 밀도 및 규모에 대한 법적기준이 강화된 2 003년 7월을 이후 사업승인을 받고 입주 후 6개월이상된 공동주택단지 9개를 공 급형태별로 구분하여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공동주택단지내에서 만족도를 측정하는 공간적 범위는 주택 구조물 자체 의 질보다는 단지내 외부공간에서의 단위주택과 단지환경 즉 건축 및 단지계획적 인 측면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는 공동주택의 주거환경은 자연발 생적으로 이루어진 주거군이 아니라 계획적으로 조성한 주거군이기 때문에 주거환 경의 문제점파악과 도출되는 연구결과 적용이 용이한 점을 들 수 있다.

최근 준공되어 이용되고 있는 공동주택 외부공간에 대해 공급형태별 현재 거주 자의 인식 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향후 계획설계시 반영되거나 개선되어 야 할 요소를 밝힘으로서 미래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현 거주자를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설문조사는 2단계로 구분하여 조사대상단지의 외부공간 주거환경 만족과 관련한 건축 및 단지계획적 요소 등에 대한 평가항목 도출을 위한 1차 설문조사는 2007 년 10월에, 2차 설문조사는 2007년 10월 15일-31일까지 17일간에 실시하였다.

1.2.2.

1.2.2.

1.2.2.

1.2.2. 연구의 연구의 연구의 방법 연구의 방법 방법 방법 및 및 및 내용 및 내용 내용 내용

본 연구는 선행연구문헌 및 사례분석을 기초로 하여 공동주택 거주자의 외부공 간 주거환경 만족도에 대한 실증적 조사분석을 통한 개선방향을 체계적으로 접근 하고자 한다.

첫째, 공동주택 외부공간에 대한 관련문헌을 바탕으로 한 문헌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공동주택의 외부공간 계획에 대한 연구동향과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기초 로 선정한 주요 건축 및 단지계획요소별 설문항목에 대해 거주자를 설문조사를 실

3)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기본적으로 시 심의대상인 60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단지가 대상이나, 대형평형 (40평형 이상) 혼용단지의 경우 세대수는 적더라도 500세대 정도의 경우는 중형평형대(30평형대)의 600세대 이상과 유사한 규모를 갖추고 있다고 판단되어 대형평형 혼용의 경우 500세대 전후를 공동주 택 단지를 조사대상으로 포함하였다.

(19)

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설문문항의 요약화 및 신뢰도를 검증하고 평가한 다.

둘째, 건축 및 단지계획 요소에 대한 거주자의 의식구조를 평가하기 위한 표본 추출은 목적표본추출법에 의해 조사대상지역에서 주거지역 종세분화 이후 최근의 계획적 방향이 적용되어 이용되고 있는 500세대 이상, 그리고 주택공급형태별로 구분하여 총 9개 조사단지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2007년 10월 15일-10월 31일 까지 17일에 걸쳐 실시하였다. 총 1000매를 조사하였고 작성이 부실한 70부를 제 외한 930부로 분석하였다.

또한 거주자 의식 평가방법은 일반적으로 지금까지 주거환경을 평가하기 위해 접근하는 거주후평가4)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만족도를 평가수단으로 사용하였 다. 그 이유는 만족도 평가의 활용은 주어진 환경의 질 수준을 직접 정량적으로 측 정가능하다는 점을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방 법론의 장점을 살리고 기존의 방법론의 단점인 평가지표의 주관성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다양한 평가인자를 추출하고 신뢰성 및 타당성에 대한 검증을 통해 평 가인자를 재 추출하여 평가에 적용하였다.

셋째, 이와 같이 표집된 거주자 표본의 조사결과는 SPSS 14.0과 AMOS로 분석 하였다. 자료의 분석단계에서 가설을 입증할 수 있는 통계적 방법의 주요 분석내용 은 빈도, 평균등의 기술통계와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구 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의 추리통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거주자의 인식조사를 통해 공동주택단지 외부공간의 만족도와 단지계 획적 요소간의 관계를 종합하여 현 주거환경에 대한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내용은 연구목적에 입각하여 크게 이론정립단계, 평 가분석단계, 평가해석단계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세부적 내용은 총 6개의 장으 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4) 거주후 평가는 계량적인 방법과 비계량적인 방법이 모두 이용되는데 현재의 문제 상황을 진단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강구하는 것으로 매우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되나 “목표설정을 위한 평가연구”와 “개별적 설계요소의 개선을 위한 평가연구”등으로 주로 지금까지 계량적인 방법에 의존해 왔다.(박영기 1984, 강인호 1993)

(20)

그그그림림림 111연연연구구구 흐흐흐름름름도도도

제1장은 연구전체의 배경과 목적 연구범위와 내용 연구방법과 내용 그리고 관련 연구동향으로 구성되었다. 제2장은 본 연구의 주요 고찰대상인 공동주택단지의 주 거환경과 단지계획의 개념정의와 요소의 특징 그리고 거주후 평가에 대한 내용을 선행연구문헌을 참조로 체계적으로 정리 한 후 거주자 만족도와 관련한 단지계획 요소를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분석한다. 제3장은 조사대상 주거단지에 대한 개요 및 물리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제4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에 입각하여 설 문조사항목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고 검증된 설문항목에 대해 수집된

(21)

원자료를 바탕으로 조사대상 주거단지 거주자의 단지계획요소에 대한 만족현황을 파악한다. 제5장은 전체 또는 소유유형별로 공동주택단지의 외부환경에 대한 만족 도와 단지계획요소와 그 하부 항목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이들을 비교함으 로서 향후 주거단지 계획의 개선방향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한다. 마지막으로 제6장 은 본 연구의 결과와 앞으로의 전망과 과제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1.3.

1.3.

1.3.

1.3. 관련연구동향 관련연구동향 관련연구동향 관련연구동향

본 연구와 관련하여 주거환경에 대한 평가와 관련된 연구들은 크게 주관적인 만 족도를 이용한 거주환경평가의 정성적 지표5) 관련연구와 객관적인 정량적 지표6) 관련연구로 분류 할 수 있다.

먼저 주거환경의 질에 대한 객관적인 접근은 객관적으로 측정가능한 정량지표를 개발하는 것으로 현행 주거단지 계획과정에서 각 단계별로 계획내용을 수치로서 표현하는 몇 가지 지표들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즉 주택규모, 용적율, 호수밀도, 층수, 건폐율, 인동계수, 세대별 주차계수, 공용 면적비, 주호의 깊이, 입면건폐율, 휴게공간율, 녹지율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표들로서 현재에도 많은 관련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본질적으로 거주 자 중심의 주거환경의 주관적 객관적인 측면에서의 총체적인 질적지표로서는 여전 히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관적 만족도를 이용한 거주환경평가와 관련한 연구는 기존의 주거환 경평가 연구는 대체로 평가방법에 따라 크게 다음의 3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 각 평가 항목에 대한 거주자의 만족수준을 측정하여 만족 수준이 낮은 항목을 찾아내고 만족수준을 높이려는 연구유형이다.

5) 실제 주거환경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되 정량적 지표들이 평가할 수 없는 디자인의 차이를 평가하는 지 표를 정성적 지표라 한다.

이유미, 공동주택단지에서 옥외환경 질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박론, 1998, p.23.

6) 정량적 평가 지표란 일반적으로 어떤 상황을 양으로 평가하는 지표라고 정의되며 옥외공간에서는 확보 된 총량을 평가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량적 지표만으로는 해당 주거환경이 거주자 들이 원하는 주거환경의 질과 일치하는지 판단 할 수 가 없다. 또한 주거환경의 질에 있어서 계량화가 가능한 물리적 환경 뿐만 아니라 계량화가 불가능한 디자인의 수준 또한 매우 중요하므로 정량적 지표 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유미, 공동주택단지에서 옥외환경 질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박론, 1998, p.23.

(22)

- 개발평가요소에 대한 만족수준이 총체적인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요도 로 판단하고 중요도가 높은 항목을 중점적인 설계요소로 고려할 것을 제안하는 유 형이다.

- 거주자의 만족도 반응과 중요도 개념을 동시에 고려하여 개선필요도를 다루는 연구유형이다.

이러한 상기 연구의 경우 그동안 많은 성과를 이룩하였지만 만족도를 평가지표 로 사용하는 경우 단순히 항목별 만족도에 대한 평가가 주를 이룸으로 전체 만족 도에 미치는 영향력의 검증이 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고 전체 만족도에 대 한 항목별 영향력 또는 중요도를 검증하는 경우는 만족도와 동시적 검토가 이루어 지지 않아 필요성을 확인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따라서 세 번째 상기연구유형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족도와 영향력 또는 중요도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다.

하지만 동시에 기본적으로 변수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방법으로 단순상관이나 다중회귀 같은 통계기법이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만을 분석함으로서 동시추 정에 의한 체계적 인과관계의 규명이 미흡하고 단일항목을 사용한 측정오류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고, 공동주택의 외부공간의 주거환경에 영향을 주는 단지계획요소 의 인과구조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지 않아 단지계획시 건축적으로 외부공간의 환경을 통제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궁극적으로 공동 주택 외부공간의 단지계획요소를 통제하여 보다 쾌적한 주거환경을 이루기 위해서 는 외부공간 주거환경의 만족도가 어떤 요인에서 기인하는지 그 인과구조를 구체 적으로 찾아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주거환경 만족도와 단지계획요소들 을 전통적인 인과관계에서 직선적인 관계만을 규명하는 한계를 극복하고, 측정오류 를 감소시키며 만족도와 단지계획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하고 이들 간의 동시추정에 의한 인과관계를 밝힘으로서 향후 설계시 외부공간의 주거환경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유효한 통제요소를 찾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앞으로 차별화된 옥외공간을 평가하는 지표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참고가 된 정량적 지표와 정성적 지표에 관한 연구들을 정리하면 다음 표1과 같다.

(23)

연구자 세부내용

정량적 지표에 관한 연구

박인석 (1992)

물리적 환경의 질 지표에 의한 공동주택단지 계획방향 분석 연구 -주호내부공간의 질적 지표:주택규모,층수,개구벽면개수 -주동과 주호 주변 옥외공간의 질적 지표:인동계수,공공공간계수 서울특별시

(1997)

공동주택단지의 환경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주호 내부공간,주호 외부공간,환경친화로 구분

-옥외공간 확보 지표:대지면적당 용적율,생활가능공간에 따른 용적율 김영환(1997) 재개발,재건축 아파트 단지의 주거환경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용적율,옥외공간율,휴게공간율,개구벽면개수,지하주차율,대지경사율 등 최찬환(1997)

공동주택단지의 환경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건폐율,용적율,호수밀도,평균층수,옥외공간비,세대당 옥외공간면적,녹지율,보도율,생활 가능공간비,세대당 생활가능면적,입면건폐율,평균인동계수

신훈(1998)

공동주택단지의 물리적 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호당 옥외공간면적,옥외공간율,입면건폐율,평균인동계수,생활가능공간비,세대당 생활가 능공간,레크레이션 공간비,세대당 바닥면적,공지율,녹지율,보도율

이유미 (1998)

공동주택단지에서 옥외환경 질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옥외공간의 양적확보

전체옥외공간:옥외공간율,호당옥외공간면적,망토공간계수,공공공간계수 생활기능옥외공간:생활가능 옥외공간율,호당 생활가능 옥외공간면적 휴게용 옥외공간:휴게용옥외공간율,호당 휴게용 옥외공간면적 녹지공간:순녹지 공간율,녹피율,녹지공간율,호당 녹지공간면적 도로 및 주차공간:호당 주차대수,지하주차율,거주자용 주차비,도로율

-개방적 경관계획:입면적 기준,입면 건폐율,입면적 차폐도 기준,평균 층수,평균인동계수, 주개방면 동간계수

최병선 (2005)

공동주거단지 외부공간 지표선정을 위한 개선 산정갑솨 기존 지표산정값과의 비교분석에 관 한 연구

전체외부공간:외부공간율,세대당 외북공간면적

휴게용외부공간:휴게용외부공간율,세대당 휴게용 외부공간면적

최현주 외3인 (2007)

주거복합건축물의 주거환경 질적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옥외공간:옥외공간율,생활가능옥외공간율,휴게용옥외공간율,녹지공간율,도로율 녹지공간:녹지공간율

도로공간:도로율 보행공간:보행자 공간율 주동공간:입면건폐율,주동간격비

공용시설:이용거리,시설밀도,시설용량,호당시설용량 김수미,

심우갑 (2004)

호수밀도를 고려한 옥외부대복리시설 기준과 옥외공간에 관한 연구

호수밀도,녹지율,옥외공간비,놀이터/운동시설 면적비,도로 및 지상주차장 면적비

정성적 지표에 관한 연구

서울시정 개발연구원 (1995)

서울시 주택지표 재설정에 관한 연구

-안전성:보차분리,안전표시,가로조명,긴급차량 접근성 -위생성:보행로의 일조,지하도의 환기,도로의 청소 용이성

-쾌적성:보행로의 쾌적성,안정감,보행동선의 구성,조명,가로수,가로시설물,산책로,자전거 도로

-편리성:교통기관 이용,도심 접근시간,보행경로,거리,차량동선경로,안내표지,주차장,자전 거도로

서울특별시 (1997)

공동주택 단지의 환경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옥외공간의 질:보행자를 위한 도로계획,오픈스페이스의 집합과 분산,옥외 공간의 영구음영, 일조재해의 배제,옥외공간의 개방감과 안식감

단지내부 및 외부경관성:공동주택의 스카이라인 고려,주동의 색채구성에 의한 내부경관의 질,주동지붕 및 굴뚝,계단실의 디자인,경관을 고려한 주동의 분절

친환경적 단지조성:단지내 수경공간Pghlr,생태환경을 위한 단지내 비오톱 조성,실용녹화산책 로 설치여부,쾌적성,벽면녹화,주차장 상부녹화 등 단지내 녹화,보행공간과 연계된 녹도 조

표표표 111...관관관련련련선선선행행행연연연구구구문문문헌헌헌 연연연구구구유유유형형형 및및및 특특특징징징

(24)

구분 연구자 세부내용

정성적 지표에 관한 연구

이재준

공동주택 주거환경의 어메니티 평가와 계획적 함의에 관한 연구 안전성:자연재해,교통사고,범죄,구조안전

편리성:교육일상행동,여가행동,주택내부 사회경제성:교육,일상행동,여가행동,주택내부 자연친화성:치안유지,복잡,이웃관계,투자가치

위생보건성:공해방지(대기오염,수질오염,소음,진동,관리청결) 문화성:개성,활기,문화행사

양승우(1997) 수도권 신도시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비교연구

건물외관 및 경관,단지내 조경 및 녹지,옥외시설,상가,공공시설,목리시설 이용 이시영(1997)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거실전망,거실일조,건물향,사생활 침해,배치형태,동주변 소음,동간격,전체적인 외관,소속 감,방범상태,단지크기,근린의식,거주 자부심,인구밀도,옥외면적크기,혼잡도

최병선, 정무웅

(2005)

공동주택 외부공간 환경의 질적 평가를 위한 전문가와 거주자 의식에 관한 연구 휴게공간:연계성,접근성,시설의 질,시설관리

놀이공간:시설배치,향,동선체계,세대당면적율,동선체계,유지관리 녹지공간:수목관계,연계성,조경면적율,공원유무,면적배분 보행공간:접근성,산책로,연계성,해당공간과 이용관계성,보차분리 주차공간:진출입동선,단지내 레벨관계

개방적 경관:색채,층별높이,주거동 사이의 외부공간,시설물과의 관계 백혜선,

박영기 (2002)

공동주택단지내 옥외공간에 대한 거주자 의식조사 및 이용행태 분석연구 이웃주민과의 교제:이웃교류수준,이웃교류 동기,이웃교류 정도

옥외생활공간:주거동내 공용공간,주거동 주변,광장,놀이터,휴게소,운동공간,녹지공간,산책 로,보행전용도로,자전거 도로,주차장

최성필 외7인 (2006)

공동주택 친화경 계획요소의 거주자 만족수준 향상을 위한 중요 영향인자분석에 관한 연구 일반공동주택단지:생활환경,녹지/휴게공간,자연친화,자원절약,환경오염 최소화,편리성,지역 환경,에너지 절약,자연에너지 이용,노약자/장애자 배려

친환경인증 공동주택단지:자연친화,편리성,에너지 절약,수자원 절약,녹지/휴게공간,생활환 경,녹지공간,자원절약,환경오염의 최소화,절약형 설비,노약자/장애자 배려

서지은 외2인 (2006)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활용증대를 위한 계획기법에 관한 기초연구 주거동계획:입면,지붕디자인,주동형태,배치

도로체계:동선,이동로,주차

환경녹화:벽면녹화,주동주변식재,녹도,조경/식재,수경공간

커뮤니티계획:보행동선 연계/분리,소단위시설분산배치,공원,놀이터,공동시설,휴게시설 경관계획:도시경관,가로경관

조성희, 박지혜

(2006)

아파트 단지공간구성에서 차별화 계획요소에 대한 거주자 만족도 및 태도에 관한 연구 주동형태,아파트 외관,주동배치 및 간격,녹지 및 휴게공간,단지내 공동시설,운동공간 및 조깅로,방범 경비상태,단지환경,이웃관계

최열,공윤경

공동주택 단지설계요소 및 거주자 특성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단지설계요소:전체단지배치,동선체계,단지 주출입도로,내부도로체계,조경 및 녹지,주민생 활공간,주민운동공간,보안 및 방범

최정민 (2005)

영구임대아파트에 대한 불만도 및 인식 평가 안전성:천재지변,범죄문제,노후정도 보건성:폐기물,청결,위생

쾌적성:단지외관,조경시설,주차시설 편리성:교통시설,복지후생,근린시설

(25)

2.

2. 2.

2.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이론적 이론적 이론적 고찰과 이론적 고찰과 고찰과 고찰과 주거환경평가 주거환경평가 주거환경평가 주거환경평가

2.1.

2.1.

2.1.

2.1.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주거환경과 주거환경과 주거환경과 외부공간 주거환경과 외부공간 외부공간 외부공간 2.1.1.

2.1.1.

2.1.1.

2.1.1.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개념과 외부공간의 개념과 개념과 개념과 역할 역할 역할 역할

공동주택의 물리적 외부공간은 공적공간으로서 생활, 서비스, 주차, 놀이, 휴양, 오락, 이웃과의 친교등의 목적을 가지며 사회적 접촉을 유도하여 공동의 생활욕구 를 담는 사회적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요시노부 아시하라는 “외부공간을 인간에 의 해서 창조된 목적 있는 외부환경이며 자연이상으로 의미있는 공간”7)으로 말하고 있다. 이와같은 의미있는 공동주택단지의 외부공간은 1차적으로 주거동의 배치에 따라서 그 형태가 결정되고, 2차적으로 옥외부대시설의 공간 활용에 의해 구성된 다.

공동주택의 외부공간은 단독주택의 마당과 같은 휴식, 오락, 운동 등의 활동공간 을 제공하며 특히 사회적 교류의 장으로서 주민 및 지역사회와 연관을 맺어 다양 한 활동을 유도하는 측면에서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이 외부공간은 건축물에 의해 점유되지 않는 모든 토지를 포함하는데 즉, 녹지, 주차장, 놀이터, 공원, 도로, 주거동 사이의 공간 등 주거생활에 필수불가결한 구성 요소들을 활용하여 공간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욱이 이 외부공간은 건축물이 들어서지 않는 공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됨으로서 주민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영역이므로 계획과정에서 고려된다면 그 공간은 주 거환경의 질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8)

공동주택의 외부공간은 고립되고 개인주의적인 사고방식 내에서 공동체 의식을 위한 교류의 장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며 공동체 사회생활의 욕구를 담 는 활동 공간으로서 거주자에게 다양한 경험과 활동의 가능성을 부여하고 사회와 밀접한 연관을 맺어 거주자의 행동에 다른 활동을 충족시킨다.

또한 외부공간은 사회적 의미를 담고 있는 물리적 환경으로 장소와 사람들간의 관계는 물론 다른 문화·사회적 배경을 가진 다양한 특성의 사람들의 일상적 행동을

7) 요시노부 아시하라 저, 김정동 역, 건축의 외부공간, 신학사, 1992, p.16.

8) 이영석, 주거환경계획, 대우출판사, 1998, p.233.

(26)

파악해 이를 근거로 다양한 행위들을 발생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물리적 장소로 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발생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물리적 장소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일상적인 삶의 내용과 연계된 생활공간의 조성은 사 용자로 하여금 그 공간에 대한 반복적 사용과 활동영역 확장이라는 과정을 거쳐 심리적 장소성, 정체성을 느끼게 해준다. 그리고 외부공간은 녹지, 주차장, 놀이터, 공원, 보도, 도로, 주거동의 사이공간 등 거주생활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활용하여 공간의 다양성을 부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외부공간의 역할은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다.9)

첫째, 경관 및 어메니티에 관련된 요소로서 시냇물, 연못, 동산, 골짜기, 녹도, 유 게소와 같은 경관적 요소뿐만 아니라 흙, 잔지, 꽃, 나무 등으로 구성된 시각적 요 소들을 제공한다.

둘째, 자연환경을 보존·향상 시켜줄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외부공간은 환경적 장애요소들에 대한 완충시설이며, 동식물을 위한 휴식처를 제공함으로서 적정한 생 태적 균형을 유지시켜준다.

셋째, 기후 환경유지 역할로서 공기정화를 위한 순환통로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미기후의 형성에 직접영향을 준다.

넷째, 실내 환경보존역할을 한다. 생활환경을 좌우하는 요소로서 일조, 채광, 분 위기, 접근도로, 주차장, 녹지 순으로 외부환경요소보다는 실내환경요소가 많은 비 중을 차지하는데 이는 곧 외부공간 확보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섯째, 사회적인 역할로서 주거에 대한 소유의식과 영역성을 향상시키며 관리의 식을 높이고 주민들의 공동체 행위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주거생활에 대한 향상을 기여한다.

여섯째, 산책, 독서, 자전거, 휴식 등의 자유로운 옥외활동을 위한 공간을 제공함 으로서 어린이 성장발달, 휴식, 운동, 이웃과의 교제 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 다.10)

2.1.2.

2.1.2.

2.1.2.

2.1.2.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성격과 외부공간의 성격과 성격과 성격과 유형 유형 유형 유형

9) 오정혜, 순외부공간비 도입을 통한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개선방안, 서울대석론, 2001 10) 대한주택공사, 주거단지 공동체시설 활성화를 위한 배치계획 연구, 1994.

(27)

인간은 감각을 통하여 장소를 체험하며 직접적으로 그 영향을 받는다. 어떤 장소 의 감각적인 질은 그 장소의 형태와 어떻게 누구에 의해 지각되는가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케빈린치에 의하면 근본적으로 장소의 지각적 체험은 오감을 통한 공간의 체험 이다. 외부공간이 빛과 소리에 의해 확인될 수 있는 실체로서 존재한다는 점이나 사람의 머리 위 혹은 발 아래의 닫힘과 열림에 의해 한정(규정)된다는 점은 건축적 공간(내부공간)과 유사하다. 그러나 외부공간은 내부공간에 비해 독특한 특성을 지 니며 단지계획기술에 있어서 기본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그

그림림림 222공공공동동동주주주택택택의의의 생생생활활활공공공간간간의의의 구구구분분분

※ 오정혜, 순외부공간비 도입을 통한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질 개선방안, 서울대학교박론, 2001.

공동주택단지의 외부공간은 대표적으로 사적공간, 반사적공간, 공적공간으로 구 분할 수 있다. 그리고 아파트의 생활공간에 대하여 주거내부, 외부의 사생활 공간, 집단구성원이 함께 이용하는 공동생활공간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사적공간은 주거내부공간으로서 의·식·주의 1차적인 욕구충족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고 타인에게는 배타적인 성격이 강한 공간이다. 반사적공간은 주거동 사이의 인동 구간에서 주로 나타나는 주차장, 놀이터, 주거동 앞의 녹지 및 휴게공간 등의 공간으로 주거동의 거주자들이 주로 휴식·이웃과의 친교·어린이 놀이 등이 이루어 지는 약간의 소유의식을 갖는 곳이며, 일반대중에게는 사용상의 제한을 주는 공간

(28)

이다. 공적공간은 일반대중에게도 사용이 허용되어지기도 하며 그 지역주민들에 의 해 유지·관리되는 공간으로서 상가·노인정·유치원·근린공원 등의 부대복지시설이 위 치하고 있는 공간이다.

2.2.

2.2.

2.2.

2.2.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계획특성 외부공간의 계획특성 계획특성 계획특성 2.2.1.

2.2.1.

2.2.1.

2.2.1.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외부공간 공동주택 외부공간 외부공간 계획경향의 외부공간 계획경향의 계획경향의 계획경향의 변화 변화 변화 변화

주택시장 공급환경의 변화에 따라 미분양 공동주택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를 방 지하기 위해 단지별 차별화가 요구되어지면서 품질개선에 의한 경쟁력을 확보라는 차원에서 생활공간으로서의 쾌적성과 관련된 요구가 증대되고, 녹지공간과 주차공 간의 확대로 외부공간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설계개선에 대한 관심이 증대 되었다. 즉 외부공간에 대해 양적 확보가 아닌 다양한 시설의 구성과 유기적인 배 치로 계획이 진행되어지고 있으며 기존의 개별 시설위주가 아닌 전체 옥외 공간환 경적 차원에서의 접근을 통한 경쟁력 확보와 단지개발을 실현하기 위하여 현실여 건에 맞는 목표지향적, 종합적인 외부공간의 조성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공동주택 외부공간 관련 계획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공동주택 주거환경의 공동생활에서 거주성의 증진은 물적 환경의 조작을 통한 사회공학적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단지내 외부공간 구성 및 필요한 생활시설을 법적으로 관여하는 주택건설기준등에관한규정과 관련한 개념변화와 주택실수요자 들의 가치판단과 이에 근거하는 건설업체의 이윤추구 의식에 의한 건축가나 계획 가들의 공간적 창의에 의존하는 비제도적 개념변화라 할 수 있다.11)

1960년대는 최초로 단지계획을 주거환경에 도입한 시기로 대형아파트가 건설되 기 시작하여 1970년대에는 본편적인 단지계획이 관행적으로 형성되면서 주민들에 게 대체적으로 주거기능에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시설로서 어리이 놀이터와 주민운동시설만의 제공과 소음이나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했다. 1980 년대는 실험적인 설계공모전을 통해 공동주택 계획을 실시했다. 1989년부터 시작 된 주택건설 200만호 사업을 기점으로 주택보급율이 급격히 상승하고 쾌적한 주거

11)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단지계획, 보성각, 1998

(29)

공간과 건강한 생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소비자의 주택선택 기준이 주거단 지의 질적인 측면으로 전환되어 갔다. 그로 인하여 신규 공동주택에 대한 공급이 항상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웠던 과거의 상황이 역전되어 미분양사태가 빈번해 지 고 자금난이 악화되자, 소비자의 향상된 가치요구에 부응하고 타사와 차별화 되는 상품개발이 필연적이어서 분양가에 대한 규제를 해제하게 되었다. 이에 1998년대 분양가 자율화 시행이후 시설기준과 달리 업체와의 차별화, 주거만족도 및 주거환 경 개선을 중요한 요소로 보고 외부공간 조성에 대한 차별화와 변화를 모색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피로티나 지하주차장을 설치하게 되며 건설 업체 자체적으로 외부공간에 대해 조경시설 조성, 전통미 강조, 운동공간 조성 등 을 중심으로 테마공원을 조성하여 휴식공간을 제공하며 외부공간의 확대를 통해 한 단지 내 자연환경을 적극 이용하여 녹지공간의 다양성을 주제로 숲과 물을 설 계하며, 지하공간을 설치하여 활성화하고 주민 참여 공간을 확대시켜 참여공간 및 공동체 공간을 구현하는 등 본격적인 차별화를 추구하고 있다.

한편 주택시장에서의 차별화 전략에 의한 옥외공간계획과 더불어 바람직한 주거 문화유도와 변화발전을 위해 주택연구소, 학계 등지에서 관련보고서와 논문을 내고 있으며 주거환경평가를 위한 각종 인증지표도 개발 및 활용하고 있다. 이들이 다루 는 옥외공간의 주요대상은 옥외부대복리 시설기준이 변화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한 다고 할 수 있다12)

2.2.2.

2.2.2.

2.2.2.

2.2.2. 공동주택 공동주택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외부공간의 건축계획적 외부공간의 건축계획적 건축계획적 건축계획적 특성 특성 특성 특성

1) 1) 1)

1) 보행 보행 보행 보행 및 및 및 차량공간및 차량공간차량공간차량공간

과거에는 단지내 도로가 주호로의 접근성 제공과 도로의 소통이라는 단지 두가 지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잘못된 시각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의 결과로 디자 인방향은 원활한 교통소통에 지나치게 치중하였고, 주거지역 도로의 다른 많은 기 능들은 무시되었다. 그러나 단지의 도로는 교통 기능 뿐 아니라 지역 커뮤니티의 생활환경으로써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주거지역내 도로는 이러한 기능에

12) 인증제도: 주거환경 우수주택 인증제도, 2000.

백혜선, 공동주택 옥외공간의 일상생활공간화에 관한 연구, 연세대박론, 2002.

이재준, 공동주택 주거환경의 어메니티 평가와 계획적 함의에 관한 연구, 서울대박론, 1997.

김수미, 공공임대 아파트의 옥외부대복리시설 기준연구, 서울대박론, 2006.

(30)

맞게 디자인 되어야 한다.

보행공간과 차량공간계획13)은 단지계획연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크지 않지만 단지 계획연구의 주요 관심사가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 확연히 보여준다. 주요이슈 는 보행자 공간의 영역성, 밀도 규모와 연계한 도로의 유형분류, 도로활성화를 위 한 연계성 확보, 주차수요 제어로 정리될 수 있다.

기존의 주거단지는 시설물과 연계 부족, 사회적 접촉공간 부족, 아이덴티티 결여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잇다. 보행공간계획은 보행자 전용로의 종합계획이 필요 하다. 필로티 도입을 통한 목적동선 축소, 주차공간 주간활용, 주동자체의 디자인화 가 요구된다.

사회적 특성과 통행량의 관계를 살펴볼때 공간구문론에서 통합성이 좋은 도로는 이용률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성이 강한 시설배치가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 로 기대된다. 통행량을 많이 유발하는 시설은 상가, 교통시설, 공공공간 등인데 상 가의 배치가 단지 활성화, 밀도조성에 중요한 계획요소가 된다.

보차분리된 도로는 가로의 활력이 부족하며 이용정도가 낮다. 보차공존이 상대적 만족도가 높다. 동선체계와 시설물 배치의 연계가 도로활성화에 중요하다. 보행로 의 안전성을 전제로 한 경우, 보차공존의 도입이 타당하다.

단지규모는 보차혼용, 보차병행, 보차분리의 순으로 커진다. 도로율은 보차분리 단지가 조금 높다. 그리고 유치원은 보행자 전용로와 연계계획이 필요하며 인접시 설이 적극적으로 연결된 가로에서 정지행위가 증가하고, 소극적 연결된 가로에서 이동행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체류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다고 여겨지는 정지행 위의 증가를 위해서는 인접시설과의 적극적 연계가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주차공간은 주택규모가 클수록 수요는 증가하고, 주택규모가 적을수록 단위 전용 면적당 주차수요는 많아진다. 따라서 소형주택에 대한 주차공급이 상향조정이 필요 하다.

2) 2)

2) 2) 순외부공간순외부공간순외부공간순외부공간

공동주택에서의 휴게공간은 벤치 및 파고라 등을 갖춘 공간으로 계획되고, 휴게 공간의 종류 및 다양성 보다는 위치나 개수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인데, 휴게 공간 즉 벤치와 파고라 등을 갖춘 공간의 위치에 대한 요구는 주동 주변과 어린이 놀이

13) 오정은, 공동주택계획연구의 전개 특성, 서울대학교박론, 2004.

참조

관련 문서

점검 정비를 할때는 반드시 폐사 순정부품을 사용 하시고 차량에 대한 특별한 지식과 장비를 갖춘 폐 사 서비스센터 또는 지정 정비 협력업체에서 실시

한명은 수술적 절제 (nephrectomy)후 보조항암약물 치료(etoposi de/ci spl ati n + i ri notecan/ci spl ati n)를 하였으며 한명은 수술적 절제(subtotal gastrectomy) 후

The number of the sample apartment houses is 949, the sale price was determined as the subordinate variabl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Sixth, the influence of sports confidence and s chool satisfac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 n satisfaction, class

이 보고서 내용을 대외적으로 공개하거나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한국 과학창의재단과

71로 낮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간기능상태 및 혈청지질대사상태 를 나타내는 AST,ALT,r-GTP,TG,Totalchol esterol ,LDL 및 HDL은 골다공증

Competence had a positive (+)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human relationships and self-confidence also had the positive (+) influence. However, in attractiveness,

After the vehicle has become a large-formation and high-speed, loud noise from an express highway is coming to be higher and the number of large-sc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