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생각톡톡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생각톡톡"

Copied!
1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생각톡톡

식물도 감기가 들까?

본 저작물의 저작권은 담당 교수자에게 있음

(2)

식물 재배와 보호

식물병의 역사와 식물병의 원인 등을 이해하고 설명 할 수 있다.

- 식물병의 역사와 병의 성립 이해 - 식물병의 종류

학습목표

(3)

식물병리학(1)

식물병이란?

부적당한 환경요인에서 병원과 기주가 서로 어울려 일어나는 상호반응

식물의 생리적•형태적 이상으로 계속적인 장애의 과정

급성적으로 고사, 만성적으로는 생산성과 이용가치 하락

※ 상대병 (대나무), 절대병 (튜울립, 카네이션)

(4)

식물병리학(1)

식물병리학의 역사

식물병의 역사적 피해 사례

예1) 감자 역병 (Phytophthora infestans) : 1845~1860 예2) 벼 깨씨 무늬병 ( Cochliobolus miyabeannus) : 1942 예3) 커피 녹병 ( Hemileia vastatrix) : 1869~

예4) 수박 덩굴 쪼김병 ( Fusarium oxysporum )

(5)

식물병리학(1)

식물병리학의 역사

식물병리학의 발달

- de Bary : 식물 병원학의 開祖, 깜부기병 식물기생(1853) 감자 역병균이 곰팡이임을 증명(1861)

맥류 줄기 녹병균이 기주교대 증명

- KUHN : 식물 치병학의 開祖, “작물의 병과 그 원인 및 방제법”(1861)

- Millardet : 포도 노균병 예방 석회 보로도액 개발(1885)

- Burrill : 사과 화상병이 세균임을 밝힘(1878~1884)

- Doi : 마이코플라즈마 유사미생물 발견

– 뽕나무 오갈병, 대추나무 빗자루병 (1967)

(6)

식물병리학(1)

병의 성립

병의 원인 – 병원, 병원성

- 병원(病原) :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원인

- 병원성(病源性) : 병원체가 기주 식물에 대해 기생체로서 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

(침략적 및 발병력을 가진 병원체의 상태)

협의의 뜻 : 기생성병을 유발시키는 생물성 병원체(세균, 진균, Virus 등)

광의의 뜻 : 식물에 병을 일으키는 생물적, 비생물적(환경 등) 모든 원인

(7)

식물병리학(1)

병의 성립

병의 요인

- 주인(主因) : 식물병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요인

- 유인(誘因) : 발병을 촉진시키는 환경요인

(8)

기주(寄主, host) : 기생을 당하는 것으로 병원체가 이미 식물을 침해한 상태

소인(素因) – 식물체가 처음부터 가지고 있는 병에 걸리기 쉬운 성질 (종속소인, 개체소인)

종속소인 : 어느 종 또는 품종이 병에 걸리기 쉬운 유전적 성질

개체소인 : 같은 종 또는 품종 중에서도 개체간 발병의 정도가 다른 성질

감수성(또는 이병성) : 식물이 어떤 병원체와 서로 접할 때 기주가 병에 걸리기 쉬운 성 ↔ 저항성

식물병리학(1)

기주와 감수성

(9)

생물성 병원(기생성 병)과 비생물성 병원(비기생성, 비전염성 병)

생물성 병원(기생성병)

진균 ( 眞菌, fungus)

세균 ( 細菌, bacteria)

점균 ( 粘菌, slime mold)

선충 ( 線蟲 )

식물병리학(1)

병원의 종류

바이러스 (virus )

바이로이드 (viroid)

마이코플라스마 (mycoplasma)

기생성 종자

비생물성 병원 - 양∙수분의 결핍 또는 과다, 온도, 광, 대기오염,

부적절한 환경요인 등

(10)

진균 (眞菌, fungus) – 곰팡이

식물병리학(1)

생물성 병원의 종류(1)

-

조균류 (藻)菌類 ) : 유주자균류(난포자) 와 접합균류(접합포자)

-

자낭균류 (子囊菌類 ) : 자낭포자

-

담자균류 (擔子菌類 ) : 담포자

-

불완전균류 (不完全菌類 ) : 유성포자가 없다.

세균 ( 細菌, bacteria)

-

간균(桿菌) – 막대모양,

-

구균( 球菌 ) – 공모양

-

나선균(螺旋菌) - 나사모양

-

사상균(絲狀菌) – 실모양

※ 약 1,600여종 (식물은 180종,

대부분 동물에 발병한다.)

(11)

점균 (粘菌, slime mold) – 끈적균과 변형균

동물과 식물의 특징을 모두 가졌다.

선충 (線蟲) – 동물성 병원체

1년간 30cm정도 이동(물, 농기구, 묘목뿌리 등)

바이러스(virus) – 화학적 방제가 어렵다. (매개충 방제)

바이로이드(viroid) – 가장 작은 병원체(virus RNA의1/10)

감자 걀쪽병(접촉전염)

파이토플라스마 (phytoplasma) – 바이러스와 세균의 중간정도

대추나무 빗자루병

기생성 종자식물 – 줄기(겨우살이과, 메꽃과-새삼) 뿌리(열당과-오리나무)에 기생

식물병리학(1)

생물성 병원의 종류(2)

(12)

주요 식물병원세균 속의 구분

식물병리학(1)

생물성 병원의 종류(2)

그람반응 배양적특성 식물병원세균 속

음성 양 호

Acidovorax, Agrobacterium, Erwinia Burkholderia, Pantoea, Ralstonia, Pseudomonas, Xanthomonas, Xylophilus 불 량 Rhizomonas, Xylella

양성 양호 Bacillus, Clavibacter, Clostridium, Streptomyces

배양 안됨 Rickettsia lie bacteria(RLB)

기타 불량 Spiroplasma,

배양 안됨 Phytoplasma

(13)

식물병리학(1)

비생물성 병원의 종류(1)

토양조건 토양습도의 과부족, 토양 보수력, 통기성 등 부적당한 물리적 구조 등

기상조건 광선부족, 고온건조, 과습, 바람 등

영양장해 양분부족에 의한 결핍증과 영양불균형 장해 등 농사작업 농기구에 의한 상해, 농약에 의한 약해 등 공업부산물 광독, 연기, 가스, 시멘트 가루 등 식물대사산물 수송, 저장 중에 생기는 유해물질 등

(14)

식물병리학(1)

비생물성 병원의 종류(1)

영양 장해

양분결핍증 (불균형)

칼륨결핍 : 벼 적고병, 보리 흰무늬병

칼슘결핍 : 토마토 배꼽썩음병, 샐러리 검은 썩음병 마그네슘 결핍 : 감귤 대황병, 보리 힌깁병

망간과잉 : 사과 적진병(조피병) 망간결핍 : 감귤류 위황병

붕소 결핍 : 무 ∙ 배추 속썩음병, 사과 축과병 병 별 증상은 탐구과제…………

(15)

강의 Orientation

식물병 성립 이해 하기

학습정리

참조

관련 문서

* Pseudomonas aeruginosa, Enterobacter spp., Klebsiella pneumoniae, Escherichia coli, Serratia marcescens, Proteus spp. Staphylococcus aureus (MRSA)

결과: 조직 검사 결과 분화도가 나쁜 편평 상피 암으로 진단되었으며, 면역 화학 염색에서 P63 양성, D-PAS 양성, Mucicarmine 양성, PAS (Periodic acid Schiff) 양성, Chromogranin

간호사 개개인이 전문직업인으로서 간호의 본질적 가치 에 기초한 간호정신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간호사 개개인이 사고나 행동에 있어 전문인다운 모습을 드러낼,

핵심특성 페라이트 규소강판 Fe-Ni계 합금 나노결정립 합금. 포화자속밀도 미흡

6 Phospholipase C Bacillus licheniformis Bacillus thuringiensis 7 Xylanase Trichoderma reesei Thermopolyspora flexuosa 8 Glucoamylase Aspergillus niger Gloeophyllum

Melioidosis는 동남아 및 호주 북부의 토양에 존재하는 그람 음성균인 Burkholderia pseudomallei에 의한 풍토병으로 지역사회 획득 패혈증을 일으킨다.. pseudomallei가 접종, 흡입,

* (우리나라 시장점유율) Eng.. 전문가 양성) 금융, 계약, 사업관리 등 고부가가치 엔지니어링 영역에 대한 학위 과정 등을 통해

원리 : 기판에 특정 방향(ellipsometer)으로 편광된 빛을 입사시키고 이에 반사된 빛을 다시 특정 방향으로 편광시켜 패턴부와 불 량 부위의 계조차이에 의해 defect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