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5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년 월 2017 8

교육학석사 특수교육 학위논문( )

(3)
(4)
(5)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6)

- i -

목 차

ABSTRACT ··· ⅳ

서 론

.

Ⅰ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1 연구 문제

2. ··· 3 용어 정의

3. ··· 3

이론적 배경 .

Ⅱ ··· 5 통합교육의 개념 및 발전

1. ··· 5 통합체육수업의 개념과 발전 및 효과

2. ··· 7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과 장애수용태도

3. ··· 10 선행연구고찰

4. ··· 11

연구방법 .

Ⅲ ··· 14 조사대상

1. ··· 14 조사도구

2. ··· 15 조사절차

3. ··· 17 자료처리

4. ··· 17

(7)

- ii -

연구결과 .

Ⅳ ··· 18 1. 고등학생들의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19 2. 고등학생들의 장애수용태도 ··· 24

논의 .

Ⅴ ··· 29 1. 고등학생들의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29 2. 고등학생들의 장애수용태도 ··· 32

결론 및 제언 .

Ⅵ ··· 35 결론

1. ··· 35 제언

2. ··· 37

참고문헌 ··· 39 부 록 ··· 45

(8)

- iii -

표 목 차

표 통합체육수업 관련 선행연구

< Ⅱ-1> ··· 12

표 장애수용태도 관련 선행연구

< Ⅱ-2> ··· 13

표 조사대상 학교 특성

< Ⅲ-1> ··· 14

표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 Ⅲ-2> ··· 15

표 척도의 구성내용 및 문항 수

< Ⅲ-3> ··· 16

표 설문지의 신뢰도 검사

< Ⅳ-1> ··· 18

표 성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Ⅳ-2> ··· 19

표 학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Ⅳ-3> ··· 20

표 통합체육수업에 참여 유무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Ⅳ-4> ··· 21

표 통합체육수업 참여기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Ⅳ-5> ··· 22

표 장애 친구 및 친지 유무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Ⅳ-6> ··· 23

표 장애 단체에서의 봉사경험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Ⅳ-7> ··· 24

표 성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 Ⅳ-8> ··· 25

표 학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 Ⅳ-9> ··· 25

표 통합체육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 Ⅳ-10> ··· 26

표 통합체육수업 참여기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 Ⅳ-11> ··· 26

표 장애 친구 및 친지 유무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 Ⅳ-12> ··· 27

표 장애 단체의 봉사경험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 Ⅳ-13> ··· 28

(9)

ABSTRACT

Park Hye-Jung

Advisor : prof. Jeong-youn Kim, Ph.D Major in Spa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stud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t up a detailed study on student's 'perceptions of high school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student's attitudes toward disability through high school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we surveyed 4 high schools with special classes in G-metropolitan area and distributed 400 copies of 100 questionnaires to each school.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22.0 program, and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ANOVA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ata.

The analysis results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by gender was not significa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n the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grade was not significant.

Third, the difference of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showed that the perception of integrated

(10)

physical education class was low when they had participated experience.

Fourth, the difference of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about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the period of participating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was higher when there was no participation period.

Fif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of friends and relatives with disabilities.

Six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ccording to experience of service for disabled group or facility.

Seven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disability through gender, participation in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duration of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of service in disabled group.

Eighth, the attitude toward acceptance of disability through the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by grade was found to decrease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Ninth, it was found that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disabled through the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friends and relatives of the disabled showed a high attitude of accepting the disabled through the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when there were friends and relatives of the disabled.

As a result,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volunteer activity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acceptance attitude and the effect of integrated physical education class. After students have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they have a consensus that they should provide support to the difficult people, while at the same time they understand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hange their attitudes. This shows that young people are able to carry out their assigned tasks on their own initiative, make prompt decisions on issues that require choice and judgment, and help these activities improve their inter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In other words, through voluntary volunteer activities, the attitude of acceptance to the disabled was improved, and it was found that it became the basis of social integration.

(11)

서 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미래사회의 특수교육은 학생 개개인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교육활동의 주체가 되어 스스로의 삶을 성공적으로 주도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중요한 관건이 된다 김정연( , 2006). 교육은 개인의 개성과 다양성을 인 정하고 수용하는 수요자 중심 교육에서 시작되어야 하며 능력과 지성의 가치와 함, 께 더불어 살아가는 덕목인 인성이 주요한 가치로 부각되어야 한다 교육부( , 2016).

체육교과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함께 어울려 통합수업을 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다고 여겨지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도 통합수업을 많이 실시하고 있는 교과, 중 하나이다 석경종( , 2016). 이에 따라 우리나라 통합체육의 패러다임은 장애학생 만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에서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동일한 교육시설에서 함께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교육환경을 추구하는 통합교육으로 변화되고 있으며 통합교육의 목표는 각각의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육환경과 내용을 제공함으로써 교 육의 효과를 높이고 궁극적으로 사회를 통합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김남순( ,

홍연종

2004; , 2016).

통합교육의 확산으로 인해 일반학교 내 특수학급은 2015년 10,924개에서 2016 년에는 11,512개로 증가하였고 이는 통합교육이 양적으로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 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교육부( , 2016). 한편 통합교육이 확산 되고 있음에도 불구, 하고 이에 대한 담당 교사들의 역량과 일반학생들의 태도가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합체육을 위한 충분한 시설과 여건이 마련되지 못한 상황에서 실. 시되는 통합체육수업은 체육교사와 일반학생들로 부터 외면당하고 수행 능력이 부, 족한 장애학생은 수업의 참여 학생으로서가 아니라 참관학생으로서의 역할만 하게 될 것이다 차률( , 2013).

이와 같은 통합교육의 문제점에서 벗어나 최근에는 장애학생이 일반학생과 함께 학교 구성원의 일원으로서 교육받을 수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들기 위한 통합교육관 련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통합교육에 있어 체육수업 환경은 모든, 장애학생들과 일반학생 간에 서로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상호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가장 적합한 학습 환경이며(Sherrill, 1986), 통합체육교육은 다른 교과와 달 리 학생들 간의 직접적인 상호관계를 바탕으로 교육이 진행된다는 점에서 사회통 합을 위한 준비로서의 큰 가치를 갖고 있다 노형규( , 2007). 이렇듯 통합체육수업을

(12)

통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들 간의 더불어 살아가는 협동심과 서로 이해할 수 있는 인식을 갖게 해준다.

지원과 조력 즉 역할 모델 혹은 동료교사로서의 역할을 통해 장애학생에 대한, 경험적 이해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김희규( , 2004), 장애학생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수용 정도는 통합체육의 성공여부 뿐만 아니라 통합교육 자체의 궁극적인 목적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다 노형규( , 2004). 이렇듯 통합체육수업에서 일반학생 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은 다른 어떤 사항보다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 다.

이러한 일반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여러 번 연구된 바 있다 이에 장애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한 통합수업 연구뿐만 아니라 장애. 학생과 함께 수업을 하는 일반학생들의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 되어 왔으며 선행연구에서는 일반학생이 통합체육수업 경험횟수가 많을수록 장애, , 친지 및 친구가 있을 경우 통합체육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는다고 하였다

석경종 오광진 윤동환 이미영 이러한 연구결과는

( , 2016; , 2007; , 2015; , 2000).

일반학생이 통합체육수업을 통해 장애학생에 대한 충분한 경험과 이해를 가진 경 우 장애학생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가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또한 통합체육수업, 을 통해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합교육을 통해 일반학급 아동에게는 장 애아동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자세를 길러주며 여러 유형의 사, , 람이 더불어 살아감을 이해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준비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인 식을 함으로써 수용태도를 발달시킬 수 있다 정도영( , 2012; 차률, 2013)

현재 연구의 동향은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및 사회성과 관련된 연구는 활발 히 진행되고 있으나 장애학생들과 더불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일반학생들의 장애, 수용태도와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선행연구들은 초등학생이나 중학. 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에 가장 중. 요한 시기인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고등학교 시기의 교육은 졸. 업 후의 지역사회 적응과 학생의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른 사람과의 대화의 유용성과 기술을 촉진시킬 수 있는 사회적 환경의 질에 영 향을 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김정연( , 2006). 자신의 정체감을 갖고 자기만의 철학으로 사물이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는 시기이기 때문에 장애학생들과의 통합 체육 수업에 대한 주관적이고 독립적인 사고를 조사하기에 적합하다 김영희( , 따라서 본 연구는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고등학생들들의 인식 및 장애수용 2014).

태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학생과. 비장애 학생이 더불어서 함께 배우며 서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통합체육

(13)

수업에 대한 개인적 변인에 따른 일반학생들의 인식과 장애수용태도의 차이를 규 명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 2.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 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 성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가

1) ?

학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가

2) ?

현재 통합체육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차이가 있 3)

는가?

통합체육수업 참여기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가

4) ?

장애인 친구 및 친지 유무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 5)

가?

장애인 단체에서의 봉사경험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 6)

는가?

둘째 고등학생들의 장애수용태도는 어떠한가, ? 성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1) ?

학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2) ?

현재 통합체육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3) ?

통합체육수업 참여기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4) ?

장애인 친구 및 친지 유무에 따른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5) ?

장애인 단체에서의 봉사경험에 따른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6) ?

용어 정의 3.

통합체육수업 1)

통합체육수업이란 체육교과목에 있어서 통합교육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학생이, 장애학생과 함께 일반학교 정규학급 체육수업에 참가하여 같은 환경 내에서 교육 받는 것을 의미한다 최승권( , 2011).

(14)

일반학생 2)

일반학생이란 특수교육진흥법에서 밝힌 특수교육 대상자가 아닌 학생으로서 일, 반학교에서 장애학생과 함께 정규 체육수업에 참가하며 같은 환경 내에서 교육을 받고 생활하는 학생을 일반학생 이라 정의한다 신유진' ' ( , 2014).

장애학생 3)

장애학생이란 특수교육 대상자이면서 일반학교에서 정규 교육과정을 받고 있는 학생으로 일반학생과 함께 체육수업에 참가하여 같은 환경 내에서 교육을 받고 생, 활하는 학생을 장애학생 이라 정의한다 국립특수교육원' ' ( , 2009).

장애수용태도 4)

장애수용태도는 장애 및 장애인에 대하여 가지게 되는 개인의 일관된 성향으로 단순한 행동적 반응뿐만 아니라 장애라는 개념이나 장애인이라는 대상에 대한 정 서적 인지적 수용태도를 포함한다 신유진· ( , 2014). 본 연구에서의 장애수용태도는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이 한 교실에서 함께 완전통합수업을 받았을 때 일반학생이, 가질 수 있는 전반적인 수용성 및 활동 태도를 말한다.

(15)

이론적 배경 .

통합교육의 개념 및 발전 1.

통합교육의 개념 1)

통합교육의 개념은 학자들마다 약간의 차이를 두고 있으나 대부분 일반 교육과 정에 장애학생을 포함시키는 것을 공통적인 내용으로 하고 있으며 “통합이란 장애 아동이 일반아동과 정규 일반학교의 프로그램 속에서 교육의 전부나 일부분을 수 행할 때 장애아동이나 교사를 지원해 주는 선택된 프로그램 이다” (Clark, 1975). 통 합교육은 다양한 교육적 요구와 능력을 지닌 장애학생들이 수업시간의 일부나 전 부를 일반학생들과 함께 교육받는 프로그램으로 정의하며 그 특징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사회적 활동이나 교수활동에서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하는 것을 의미 한다 이소현 박은혜( , , 2011). 장애학생과 통합교육은 단순히 같은 장소에 있다는 물리적 차원을 넘어서 학생 상호간에 의미 있는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 하며 결코 한 학생이 다른 학생을 위해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학생에게 서로, 도움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 엄익명( , 1996). 그러므로 통합은 교수 시간과 교육받는 장소 및 교육내용을 포함한 일반학급에서의 사회적 접촉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우리나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 (Kauffman, Gottlieb, Agard & Kukic, 1975).

육법에서는 “특수교육대상자가 일반학교에서 장애유형 장애정도에 따라 차별을 받· 지 아니하고 또래와 함께 개개인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을 말한 다 라고 정의하여 완전통합을 위한 제도적 토대를 마련해 놓았다” .

통합교육의 발전 2)

통합교육은 지난 반세기 동안 수많은 교육적 논쟁과 시행착오를 겪으며 발전해 왔다 특히 정상화의 원리와 같은 철학적 믿음 탈수용 시설화와 같은 사회적 움직. , 임 제한적 환경의 최소화와 같은 법률의 제정 등에 의해서 그 속도가 가속화되었, 다 이소현 박은혜( , , 2011). 통합교육을 지칭하는 용어도 정상화(normalization), 물 리적 통합(integration), 주류화(mainstreaming), 일반교육 주도(regular education 완전통합 등의 개념으로 변화되었다 국립특수교육원 initiative), (full inclusion) ( , 2015).

(16)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에 영향을 준 것은 미국의 통합교육에서부터 시작한다 주류. 화란 용어는 1975년에 제정된 미국전장애인교육법공법 94-142에서 장애학생을 따로 분리하여 교육을 시키지 말고 제한적 환경을 최소한으로 줄일 것을 강조하는, 최소제한환경(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LRE)이 언급되면서부터 본격적으 로 등장한다 경도정신지체 학생이 완전분리 특수학급에서 수업하는 것이 인권적으. 로 부당하며 교육적으로 비효율적이라고 하였으며 현존의 바람직하지 않는 분리환, 경 대신 최소한 일정시간은 일반학급에서 교육 받도록 하고 필요에 따라 특수교육' ' 을 받도록 하는 모델의 필요성이 있다(Dunn, 1968). 이에 주류화는 주류를 이루고 있는 일반학교에서 장애의 종류와 정도에 관계없이 모든 장애학생에게 일반학생들 과 함께 적절한 교육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하고 즉 장애학생을 가능한 많이 일반, 학교에 사회적으로나 학업적으로 통합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인경( , 2003, 재인 용).

일반교육주도(Regular Education Initiative: REI)는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 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최선의 교육배치를 통해 서로가 최대의 교육 효과를 얻게 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일반교사와 특수교사가 이 두 집단에게 교육적인 이익, 을 최대로 보장해 주기 위해 공동으로 책임지고 교육을 시킨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최근에는 일반교육과 특수교육간의 기본적인 체제의 벽을 허물, 고 상호 제휴 및 변환을 강조하며 좀 더 적극적이고 광범위한 통합 교육의 개념으 로 완전 통합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국립특수교육원( , 2015).

완전통합은 1990년 일반교육 주도의 특수교육이라는 용어가 나오게 된 시기와 비슷하게 대두되었으며 통합을 장애정도에 따른 교육적 배치로 정의하는 것이 아 니라 학생이 필요로 하는 특수교육 서비스 정도로 정의하고 모든 장애학생이 주거, 지 근처의 일반학교에 통학하고 장애에 따른 특수 교육적 배려가 일반 학급 내에 서 실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김상욱( , 2008). 이는 일반교육 주도의 특수교육보다 한층 진보된 용어이며 이전의 통합교육 개념보다 더 포괄적인 용어로서 적극적인 장애학생의 교육권을 보장하고 있으며 특수학급의 설치가 통합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전형적인 모형은 아니라 할지라도 우리나라의 교육 환경에서 통합교육을 실, 천할 수 있는 제도적 여건이 구축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김상욱( , 2008).

특수교육통계(2016)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특수교육대상자는 87,905명이다 특수. 교육대상자가 가장 많이 배치된 교육기관은 일반학교의 특수학급(46,645 )명 으로 전체 중 53.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반학교의 일반학급 학생은, 15,344 (17.4%)명 으로 이 두 가지 형태를 합하면 일반학교에서 교육을 받는 특수학생은 전체 학생 중 70.5%(61,989 )명 를 차지하고 있다 특수교육통계( , 2016). 한편 특수학교의 학, 생은 25,961명으로 전체의 29.5%이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은 주로 통.

(17)

합의 형태로 교육과정이 편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통합체육수업의 개념과 발전 및 효과 2.

통합체육수업의 개념 1)

통합체육이란 체육교과목에 있어서의 통합교육을 의미하는 것으로 장애학생이 일반학생들과 함께 정규체육수업시간에 참여하여 교육을 받는 것을 말하며 이는 모든 학생들이 다른 수준차이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필요 요구에 기초하, 여 적절한 신체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성지은( , 2011).

신체활동의 기회가 부족하고 제한되어 있는 장애학생에게 있어서 체육은 체력을 유지시키고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체육과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하는 것은 장애인의 생활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것으 로 간주되고 있다(Churton, 1988).

통합체육교육의 의의는 단순히 일반학생과 장애학생을 같은 생활환경에서 지내 도록 하는 물리적 통합에 있는 것이 아니라 독특한 요구를 지닌 장애아동들로 하, 여금 체육통합교육을 통하여 자신의 기술과 능력을 발견함으로 인해 자신감을 갖 게 되어 장애아동은 어떤 어려움이나 장애를 극복하고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능력 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데에 있다 이인경( , 2004). 또한 장애학생에게 통합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분리 교육을 실시했을 때 보다 일반학생과 장애학생 모두에게 동일 한 경험을 공유하게 함으로서 서로 간의 차이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고 미래에 장애학생에게는 정상적인 사회 적응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일반학생, 에게는 장애학생을 보다 잘 이해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가지게 하여 장애학생에게 호의를 갖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성지은( , 2011).

따라서 통합체육교육은 장애학생에게 최소한의 제약 환경에서 기능발달을 극대 화 할 수 있으며 최대한 많은 교육기회를 주어 체육수업에 있어서 일반학생들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이익을 얻게 하는데 있다 유정애 권민정( , , 2015).

통합체육수업의 발전 2)

미국에서는 통합교육의 당위성과 함께 체육교육에서의 통합교육의 중요성을 주 장하고 있고 1975년 미국에서 재정된 전장애아교육법인 공법 94-142에서는 체육 교과를 특수교육 교과목 중 유일하게 언급함으로써 장애학생의 교육에 있어서 체

(18)

육교과는 반드시 제공되어야 할 교육서비스임을 강조하였다 김의수 이인경 최승( , , 권, 1992). 이 법은 후에 통합체육을 포함하여 특수체육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장애인 교육법(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Education Act; IDEA) 공법 으로 발전하였고 공법 에서 체육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면 체육

101-476 94-142 ,

을 체력과 운동적성의 발달 기초운동기술과 운동유형의 발달 수중운동 무용 개, , , , 인경기 단체경기 대내경기와 평생스포츠를 포함한 스포츠의 발달로 정의하면서, , 체육을 포함한 특수교육 (Department of Health, Education, & Welfare, 1977)

이 장애학생에게 유용해야 하고 필요하다면 장애학생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특별히, 고안된 체육을 포함시킬 것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최소제한환경에서 교육이 이루. 어지도록 규정함과 동시에 장애학생이 육상경기 대내 서비스 여가 서비스를 포함, , 한 과외활동에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미영( , 재인용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정책이 특수학교에서의 분리교육에서 일반학 2000, ).

교로의 통합교육을 지향하고 있으나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다 김의수 등( , 1992). 통합교육의 성공은 지속적이고 계속적인 지도와 관심 그리고 노력이 함께하여야 할 것이다 장애학생의 요구와 필요에 따른 다양한. 지원과 서비스 이에 따른 최적의 배치의 노력으로 교육환경과 교육과정의 적절한, 수정과 보완이 함께 이루어지는 점진적인 통합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인경( , 2004).

통합체육수업의 효과 3)

(1) 장애학생의 관점

장애학생이 일반학생과 함께 일반학급에서 학습을 하게 되고 적절한 학습경험과 지원이 주어진다면 통합된 상황이 분리된 상황보다 장애학생의 학습에 더 효과적, 이라는 점이 여러 연구들에서 꾸준히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통합 환경 안에서 일, 어나는 과정이 장애학생의 발달적 성장에 크게 도움이 되며 사회적 정서적인 발달, 과 언어발달 측면에서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Guralnick, 1990). 또한 장 애를 가진 학생들은 분리된 환경보다 통합된 환경에서 또래와 관련된 사회적 행동 에 더 많이 참여했으며 구조적인 놀이 수행도 증가한다(Guralnick & Groom, 통합교육은 장애학생에게 사회성 발달 측면 뿐 아니라 다른 발달 영역 및 1998).

행동에 있어서도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 중에서도 행동적 측면에서 살펴, 보면 장애학생들이 일반학생들과 통합되었을 때 부적절한 놀이행동을 보이는 빈도 가 감소되었고 자유놀이 시간에 교사주도의 행동이 줄어들었으며 또래 주도의 놀, 이행동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현( , 1998).

(19)

체육교육에 있어서의 통합교육은 장애학생의 신체적인 능력 향상뿐만 아니라 인 지적 정의적 행동에 변화를 도모할 수 있다 김해미 최승권, ( , , 2001). 또한 장애인의 운동 참가는 취미생활의 기회나 신체적인 운동 능력 향상 혹은 습관이나 행동의, 변화와 같은 개개인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사회 복귀에 도움을 주고 있어 학교의 체육교육과정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은 그 가치 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장경호( , 1996).

일반학생의 관점 (2)

통합체육수업을 위한 환경 조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적 요소 중 하나 는 수업에 함께 참가하는 일반학생들이며 특히,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통합체육 의 성공 여부뿐만 아니라 통합교육 자체의 궁극적인 목적에 영향을 주는 부분이기 도 하다 노형규( , 2004).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대한 내용은 통 합교육 환경에 있어 긍정적인 상호작용의 경험이 장애학생에게는 큰 도움이 되며, 이는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이해와 배려가 뒷받침되어야 가능한 것이라 하 였다 김상욱( , 2008).

체육은 타 교과에 비해 일반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차별적 거부감을 줄이고 보, 다 많은 상호작용 행동을 경험할 수 있는 기능적 교과로써 여러 연구에서 일반학 생들이 장애학생의 체육수업 참여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일반학생들이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긍정 (Block, 1994; Block & Malloy, 1998).

적인 태도를 갖기 위해서 첫째 장애학생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알아야한다 둘째, . , 장애학생을 긍정적인 태도로 대하는 방법을 학습해야 한다 셋째 체육수업에서 어. , 떤 방식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를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Block, 2000).

체육교사의 관점 (3)

성공적인 통합교육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태도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는 연구(Rizzzo & Kirkendall, 1995; Tripp & Sherrill, 1991)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통합에 대한 교사의 태도 는 교육과정보다도 통합교육의 성공여부를 결정하. ' ' 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였으며(Larrivee, 1981), 통합 목표를 위해서는 장애아에 대한 교사의 태도가 중요함을 강조하였다(Warren & Marshall, 1979). 통합체육과 관련된 연구자들의 연구 결과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된 요인은 일반학생과 교사의 편견 특수체육의 질 저하 통합체육 현장에서 장애학생의 방치 교사의 자질 부족, , ,

(20)

및 준비 부족 한동기( , 2004), 장비나 기구 부족, 평가 방법의 부적절성 조재훈( , 등 다양한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2003) .

이 중에서 체육교사는 수업프로그램을 계획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체 육 수업의 질과 수준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자원이다 이재원 김대현( , , 2004). 통 합체육수업에서 장애학생을 일반학생들과 함께 지도한다는 것은 교사에게 부담으 로 작용하는 쉽지 않은 과정이며 통합체육수업을 직접 운영하는 체육교사의 역할 은 수업의 성패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노형규( , 2004). 그러므로 체 육교사는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함께 통합체육의 효과적인 접근과 기본적인 시행 지침을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수업 환경을 조성하고 학습 지도 전, 략과 행동 관리 및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에 관한 사항을 충분히 준비해야 한다 노형규( , 2004).

통합체육수업의 체계적인 접근을 위해 일반학교의 체육교사와 체육부장 및 학교 장 등 관련 담당자의 인식변화와 함께 장애학생을 수용할 수 있는 교과과정의 적 용을 강조하면서 체육교사들이 장애학생들의 교육적 요구를 받아들일 수 있는 준, 비가 부족하다고 하였다(Block, 1995). 이러한 문제는 교사들이 대학의 교사 양성 과정에서 장애학생을 위한 특수체육이나 통합체육에 대한 교육을 충분히 받지 못 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였다(Block, 1995). 또한 장애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게 긍정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위하여 체육교사의 장애학생을 위한 개별화 교육프로그 램 준비를 강조하였으며 수업 시간 중 긍정적인 학습 분위기와 교사와 학생 사이, 에 강력한 유대 관계 가장 낮은 수준의 학생에게도 성취에 대한 희망을 가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Block, 2000).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과 장애수용태도 3.

장애수용태도란 일반학생이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로서 앞서 밝혔던 세 가지의 요소에 따라 장애를 어떻게 인식하고 장애학생에게 어떤 감정을 느끼며 장애학생 과 함께 어떻게 행동하고 싶은지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백영태( , 2011). 장애 학생과 일반학생 사이의 사회적 관계 형성이 특수교육의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 잡 게 되자 장애학생에 대한 일반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 작하였다 백영태( , 2011).

인식은 자신이 받아들이는 주관적 감정에 의한 판단 기준이고 장애아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비장애아동이 장애에 대하여 어느 정도 잘 알고 있느냐에 따라 판 단되는 것이다 김은영( , 2016). 그리고 인간은 그가 처한 환경에서 접촉하게 되는

(21)

모든 사물과 사람들과의 의사교환과 상호작용을 통해 태도를 결정하고 새로운 태 도를 형성하기도 하며 기존의 태도를 강화하기도 하는데 인식은 좁은 의미로는 태 도의 구성요소로 정의할 수 있으며 넓은 의미로는 태도 그 자체로 보는 견해도 있 고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장애인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하는 것이고 장애인에 대한 행동이 인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방승란( , 2007).

선행연구고찰 4.

통합체육수업에 관한 선행연구 1)

정상화의 원리가 강조되면서 통합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 이래 미국에서 시작된, 통합교육의 연구는 약 40년 동안 다양한 영역과 주제에서 그 결과가 보고되고 있 으며 통합체육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이후로 볼 수 있다 노형규( , 2004). 통합체육수업은 다른 교과에 비하여 장애를 가지고 있 는 학생들에 대한 일반학생의 거부감이나 부정적인 인식을 줄이고 유기적인 상호 작용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며 여러 연구에서 장애학생의 체육수업 참여에, 대해 일반학생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고 알려져 있다 주영엽( , 2009; 차률, 2013;

윤동환, 2015). 또한 통합체육수업에서 뇌성마비학생에 대한 일반학생들의 수용태 도를 알아본 결과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정도영· · ( , 2012).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및 장애인식 개선의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볼 때 통합체육수업을 통해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 이고 바람직한 태도로 변화한다는 결과를 <표 Ⅱ-1>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22)

표 통합체육수업 관련 선행연구

< Ⅱ-1>

연구자 연도

( ) 연구대상 독립변인 종속변인 연구결과

주양엽 (2009)

중학생 명 273

장애수용프로 그램

통합체육수업 수용태도

장애수용프로그램이 통합체육수업에 긍정적

정도영 (2012)

뇌성마비학생 명 2 일반학생

명 48

통합체육수업 프로그램

뇌성마비 학생 수용태도

통합체육수업 프로그램 실시 후 뇌성마비 학생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 수용태도가 모두 긍정적 형성 차률

(2013)

고등학생 명

458 통합체육수업

장애인식, 통합인식, 사회성

통합체유수업을 통해 장애학생들에 대한 관념 편견,

벗어나 새로운 인식 형성 윤동환

(2015)

일반학생 명 617

통합체육수업 참여

인식과 사회성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 교육프로그램 필요

연지원 (2015)

지적장애

고등학생 1명 . .

바람직한 통합체육수업의 운영을 위해 지도교사는 개인성향 이해 환경요인,

파악하여 참여기회 보장 석경종

(2016)

일반학생 명 280

장애인식 정도

통합체육수업 몰입

담당교사가 장애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긍정적 장애인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유도 필요

장애수용태도에 관한 선행연구 2)

성지은(2011)의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장애이해교육보다는 학생들이 좋아하는 종 목으로 통합체육수업으로 운영한다면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도가 높아져 신체적 자, 기개념과 학교적응력을 제고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정도영. (2012)과 박소희 도 통합체육수업 참여가 일반학생의 장애수용태도에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2016)

보고하였다 반면 김동선. (2005)의 연구에서는 통합체육수업의 효과와 일반학생들 의 수용태도에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나 수업환경 측면에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 인다고 <표 Ⅱ-2>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이 주는 시사.

(23)

점을 통하여 청소년 시기에 중요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른 통합체육수업과 장애수용태도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표 장애수용태도 관련 선행연구

< Ⅱ-2>

연구자 연도

( ) 연구대상 독립변인 종속변인 연구결과

김동선 (2005)

중학생 명

382 체육통합수업 수용태도

수용태도 통합수업의 효과는, 긍정적 태도 수업환경은,

부정적 태도 성지은

(2011)

고등학생 명

385 통합체육수업 장애학생 수용태도

통합체육수업 상황에서 일반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학교적응력 제고

정도영 (2012)

뇌성마비학생 명 2 일반학생

명 48

통합체육수업 프로그램

뇌성마비 학생 수용태도

통합체육수업 프로그램 실시 후 뇌성마비 학생에 대한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 수용태도가 모두 긍정적 형성

정미현 (2014)

장애학생 명 4 일반학생

명 67

통합체육활동 장애학생 수용태도

통합체육활동은 장애학생의 태도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론은 얻지 못함

박소희 (2016)

중학생 명 499

통합체육수업 참여도

장애수용태도, 대인관계형성

통합체육수업 참여도는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대인관계성향에 중요한 변인

(24)

연구방법 .

조사대상 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과 통합체육수업을 통 한 장애수용태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사대상. 은 G광역시 지역에 특수학급이 설치되어있는 4개 고등학교의 일반학생이다 조사. 대상 학교의 특성은 다음 <표 Ⅲ-1>과 같다.

표 조사대상 학교 특성

< Ⅲ-1>

학교 지역 구분 특수학급 유무 통합체육수업

유무

A 동구 일반고 유 유

B 북구 특목고 무 무

C 북구 특성화고 유 유

D 광산구 일반고 유 유

학교 선정 후 각 학교의, 1, 2,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남녀학생을 편의표집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각 학교마다

(convenience sampling) . 100

부씩 총 400부를 배포하였다 수집한 자료 중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응답이 있는. 설문지를 제외한 335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대상비율은. 83.8%이다.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은 <표 Ⅲ-2>와 같다.

(25)

표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 Ⅲ-2>

개인적 특성 구분 대상인원 명( ) 백분율(%)

성별 남학생 104 31.0

여학생 231 69.0

학년

학년

1 116 34.6

학년

2 81 24.2

학년

3 138 41.2

통합체육수업참여 있음 241 71.9

없음 94 28.1

통합체육수업 참여기간

년 미만

1 109 32.8

년 이상

1 142 42.8

없음 81 24.4

장애 친구 및 친지 있음 104 31.2

없음 229 68.8

장애 단체 봉사 경험 있음 141 42.1

없음 194 57.9

변인별로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면 남학생은, 104 (31),명 여학생 231 (69)명 이고

학년은 명 학년 명 학년 명 으로 총 명이었다

1 116 (34.6), 2 81 (24.2), 3 138 (41.2) 335 . 통합체육수업 참여 유무의 경우 유경험자, 71.9, 무경험자 28.1, 통합체육수업 참 여기간의 경우, 1년 미만 32.8, 1년 이상 42.8, 없음 24.4로 나타났다 장애 친구. 및 친지 유무의 경우 있음, 31.2, 없음 68.8, 장애 단체 봉사 경험의 경우 있음,

없음 로 조사되었다 42.1, 57.9 .

조사도구 2.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기술적 연구 방법 중에서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구성 1)

본 연구의 설문지는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 6개 문항 통합체육수업, 14개 문 항 장애수용태도, 16개 문항으로 총 3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의 응답형식을 5단계 Likert 척도로 "전혀 그렇지 않다 =

(26)

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 점 보통이다 점 대체로 그렇다 점 매 1 ", " = 2 ", " = 3 ", " = 4 ", "

우 그렇다 = 5 "점 의 5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척도의 구성내용, 문항 수 및 Cronbach`s ⍺ 값은 <표 Ⅲ-3>과 같이 구성하였다.

표 척도의 구성내용 및 문항 수

< Ⅲ-3>

변인 구성내용 문항 수 Cronbach`s ⍺

개인적 특성

성별 학년, , 통합체육수업 참여, 통합체육수업 참여기간 장애 친구,

및 친지 장애 단체 봉사 경험,

6 .

통합체육수업

통합체육수업의 효과 5 .918

통합체육수업의 환경 5 .810

통합체육수업의 교육과정 4 .847

장애수용태도 장애수용태도 16 .905

합계 36 .

본 설문지의 신뢰도 검사 결과, Cronbach`s ⍺ 계수는 .810에서 .918로 분포되어 평균 .867로 나타나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개인적 특성에 대한 조사 (1)

연구대상자의 개인적 특성으로 성별 학년 현재 통합체육수업 참가 유무 통합체, , , 육수업 참여 기간 장애친지 및 친구 유무 장애인 단체의 봉사경험유무 각각, , 1문 항 씩 총 6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2)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설문 문항은 비장애중학생의 통합체육수업 태도 측정 도구‘ 개정을 위한 탐색적 확인적 요인 분석 도구와 정신지체 학생과의 통합체육수업에· ’ ‘ 대한 비장애학생의 태도가 관여도 및 상호작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현수’( , 통합체육에 관한 교사의 태도 유형 분석 임경희 및 장애인 통합

2006)), ‘ ’( , 2003) ‘

체육에 관한 생활체육 지도자의 태도 연구 에서 사용된 문항 조영록’ ( , 2003)을 바탕

(27)

으로 김상욱(2008)과 윤동환(2015)이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문항을 사용하였다 통· . 합체육수업의 효과를 묻는 5문항 통합체육수업의 환경을 묻는, 5문항 통합체육수, 업의 교육과정을 묻는 4문항으로 총, 1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장애수용태도에 대한 조사 (3)

본 연구에서는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장애수용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Voeltz 등 이 개발한 척도를 장지원 이 다시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총

(1980) (2015) · .

개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에서 번 문항이 중복 내용으로 판단하여 삭제 후 본

17 17

연구에서는 총 16문항을 사용하였다.

조사절차 3.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과 장애수용태도를 조사 하기 위해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 학교의 체육교사들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고 학생들이 설문을 작성하기 전에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도록 한 뒤 통합체육수업을 실시하는 학, 급과 실시하지 않는 학급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배부하였다 설문조사는 자기평가기. 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실시하였고 설문 작성이 끝난 후 곧바로, 회수하였다 조사기간은. 2017. 4. 3부터 4. 14까지 약 2주 동안 실시하였고 응답 소요시간은 개인차는 있었으나 약 10~15분 정도 소요되었다.

자료처리 4.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과 장애수용태도를 분석하기 위해 설문문항을 5단계 Likert척도법의 채점절차에 따라 코딩작업 후 SPSS 22.0 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성별 현재 통합체육수업 참가 유무 장애인 친지 및 친구 유무 장애인 단, , , , 체의 봉사경험 유무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과 통합체육수업을 통한 장 애수용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검증을 실시하였다.

둘째 학년별 통합체육수업 참여 기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과 통합, , 체육수업을 통한 장애수용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을 실시하였다.

(28)

연구결과 .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과 장애수용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고등학생들의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1.

고등학생들의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전체적인 평균과 표준편차, Cronbach`s ⍺ 값은 다음 <표 Ⅳ-1>와 같다.

표 설문지의 신뢰도 검사

< Ⅳ-1>

평균 표준편차 Cronbach`s ⍺ 통합체육수업의 효과 3.21 .921 .918 통합체육수업의 환경 2.88 .773 .810 통합체육수업의 교육과정 3.48 .818 .847 통합체육수업 전체( ) 3.17 .601 .854

본 설문지의 신뢰도 검사 결과, Cronbach`s ⍺ 계수는 .810에서 .918로 분포되 어 평균 .867로 나타나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성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차이 1)

고등학교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성별로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결과는. <표 Ⅳ-2>과 같다.

(29)

표 성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Ⅳ-2>

N 평균 표준편차 t p

통합체육수업의 효과

남자 104 3.35 1.117

1.900 .058 여자 231 3.14 .807

통합체육수업의 환경

남자 104 2.88 .814

-.173 .863 여자 231 2.89 .747

통합체육수업의 교육과정

남자 104 3.56 .989

1.149 .251 여자 231 3.45 .727

통합체육수업 전체 ( )

남자 104 3.24 .709

1.396 .164 여자 231 3.14 .543

* p<.05, ** p<.01, *** p<.001

성별에 따라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통합체육수업의 효과에서 남, 자 3.35 ,점 여자 3.14점으로 나타나 남자의 경우에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통합. 체육수업의 환경에 대하여 살펴보면 남자 2.88 ,점 여자 2.89점으로 나타나 비슷하 게 나타났다 통합체육수업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남자. 3.56 ,점 여자 3.45 점으로 나타나 남자의 경우에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살펴보면 남자 3.24 ,점 여자 3.14점으로 나타나 남자의 경우 에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 .

학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차이 2)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학년별로 분석하였다 학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결과는. <표 Ⅳ-3>와 같다.

(30)

표 학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Ⅳ-3>

N 평균 표준편차 F p scheffe

통합체육수업의 효과

학년

1 116 3.31 .890

1.515 .221 학년

2 81 3.22 .953 학년

3 138 3.11 .916

통합체육수업의 환경

학년

1 116 3.01 .648

5.712** .004 a>c>b 학년

2 81 2.65 .938 학년

3 138 2.92 .721

통합체육수업의 교육과정

학년

1 116 3.44 .743

.349 .705 학년

2 81 3.47 .941 학년

3 138 3.53 .804

통합체육수업 전체 ( )

학년

1 116 3.24 .551

1.618 .200 학년

2 81 3.09 .670 학년

3 138 3.16 .595

* p<.05, ** p<.01, *** p<.001

학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통합체육수업의 효과에서, 1 학년 3.31 , 3점 학년 3.11점으로 나타나 1학년의 경우에 3학년보다 높게 나타났으 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통합체육수업의 환경에 대하여 살펴보면, . 1학년 점 학년 점으로 나타나 학년이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은 낮게 나타났

3.01 , 2 2.65 1 , 2

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1). 통합체육수업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학년 점으로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3.53 , .

전체적으로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학년별로 살펴보면 유의한 차이 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통합체육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차이 3)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통합체육 수업 참여 유무에 따라 분석하였다 통합체육수업에 참여 유무에 따른 통합체육수.

(31)

업에 대한 인식 결과는 <표 Ⅳ-4>과 같다.

표 통합체육수업에 참여 유무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Ⅳ-4>

구분 N 평균 표준편차 t p

통합체육수업의 효과

있다 241 3.15 .917

-1.668 .096 없다 94 3.34 .910

통합체육수업의 환경

있다 241 2.77 .760

-4.841*** .000 없다 94 3.20 .694

통합체육수업의 교육과정

있다 241 3.40 .857

-2.977** .003 없다 94 3.69 .667

통합체육수업 전체 ( )

있다 241 3.09 .594

-4.291*** .000 없다 94 3.39 .564

* p<.05, ** p<.01, *** p<.001

장애학생과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경험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 하여 살펴보면 통합체육수업의 환경에서 경험이 있는 경우에, 2.77 ,점 없는 경우

점으로 나타나 경험이 없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3.20 , (p<.001). 통합체육수업의

교육과정에서 경험이 있는 경우에 3.40 ,점 없는 경우 3.69점으로 나타나 경험이, 없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p<.01). 전체적으로 통합체육수업의 교육과정에서 경험 이 있는 경우에 3.09 ,점 없는 경우 3.39점으로 나타나 경험이 없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p<.001). 이러한 결과는 장애학생과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이 낮음을 알 수 있다.

통합체육수업 참여기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차이 4)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통합체육 수업 참여기간별로 분석하였다 통합체육수업 참여기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 한 인식 결과는 <표 Ⅳ-5>와 같다.

(32)

표 통합체육수업 참여기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Ⅳ-5>

N 평균 표준편차 F p scheffe

통합체육수업의 효과

년 미만

1 109 3.17 .878

.989 .373 년 이상

1 142 3.15 .940 없음 81 3.32 .937

통합체육수업의 환경

년 미만

1 109 2.76 .860

7.311*** .001 c>b>a 년 이상

1 142 2.84 .744 없음 81 3.16 .607 통합체육수업의

교육과정

년 미만

1 109 3.43 .879

3.617* .028 c>a,b 년 이상

1 142 3.40 .838 없음 81 3.69 .666 통합체육수업

전체 ( )

년 미만

1 109 3.10 .598

6.172** .002 c>a,b 년 이상

1 142 3.11 .625 없음 81 3.37 .525

* p<.05, ** p<.01, *** p<.001

장애학생과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기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 하여 살펴보면 통합체육수업의 환경에서 참여 기간이 없는 경우에, 3.16 , 1점 년 미 만인 경우 2.76점으로 나타나 없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p<.001). 통합체육수업 의 교육과정에서 참여한 기간이 없는 경우에 3.69점으로, 1년 이하인 경우 3.4점 대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전체적으로 통합체육수업에서 참여한 기간이 없는 경우에 3.37점으로, 1년 미만인 경우 3.10점보다 높게 나타났다(p<.01). 이러한 결 과는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기간이 없는 경우에 높은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을 보였음을 알 수 있다.

장애 친구 및 친지 유무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차이 5)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장애 친구 및 친지 유무에 따라 분석하였다 장애 친구 및 친지 유무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결과는 <표 Ⅳ-6>와 같다.

(33)

표 장애 친구 및 친지 유무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Ⅳ-6>

N 평균 표준편차 t p

통합체육수업의 효과

있다 104 3.36 1.020

2.011* .045 없다 229 3.14 .865

통합체육수업의 환경

있다 104 2.81 .850

-1.197 .232 없다 229 2.92 .729

통합체육수업의 교육과정

있다 104 3.56 .883

1.069 .286 없다 229 3.45 .789

통합체육수업 전체 ( )

있다 104 3.22 .683

.956 .340 없다 229 3.15 .562

* p<.05, ** p<.01, *** p<.001

장애가 있는 친구나 친지에 유무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살 펴보면 통합체육수업의 효과에서 지인이 있는 경우에, 3.36 ,점 없는 경우 3.14점으 로 나타나 지인이 있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는 장애가 있는 지인이 있는 경우에 통합체육수업의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전체적으로 통합체. 육수업에서 지인 유무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애 단체에서의 봉사경험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차이 6)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서 장애 단체 에서의 봉사경험에 따라 분석하였다 장애 단체에서의 봉사경험 유무에 따른 통합.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결과는 <표 Ⅳ-7>과 같다.

(34)

표 장애 단체에서의 봉사경험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 Ⅳ-7>

N 평균 표준편차 t p

통합체육수업의 효과

있다 141 3.34 .909

2.322* .021 없다 194 3.11 .913

통합체육수업의 환경

있다 141 2.89 .715

-.025 .980 없다 194 2.89 .804

통합체육수업의 교육과정

있다 141 3.55 .720

1.228 .220 없다 194 3.44 .881

통합체육수업 전체 ( )

있다 141 3.24 .526

1.725 .086 없다 194 3.12 .646

* p<.05, ** p<.01, *** p<.001

장애 단체나 시설에 봉사한 경험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살 펴보면 장애 단체나 시설에 봉사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 3.34 ,점 없는 경우 3.11점 으로 나타나 봉사경험이 있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는 장애 단체나 시설에 봉사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 통합체육수업의 효과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고등학생들의 장애수용태도 2.

고등학생들의 장애수용태도의 전체적인 평균은 3.49이고 표준편차는, .589이다. 변인 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차이 1)

고등학생들의 장애수용태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성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결과는 <표 Ⅳ-8>과 같다.

(35)

표 성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 Ⅳ-8>

성별 N 평균 표준편차 t p

남자 104 3.45 .689

-.866 .387 여자 231 3.51 .539

* p<.05, ** p<.01, *** p<.001

성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를 살펴보면 남자, M=3.45 ,점 여자 M=3.51점으로 나 타나 여자의 경우에 남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 러한 결과는 성별에 따라 장애수용태도에 차이는 보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학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차이 2)

고등학생들의 장애수용태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학년에 따라 분석하였다 학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결과는 <표 Ⅳ-9>과 같다.

표 학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 Ⅳ-9>

학년 N 평균 표준편차 F p scheffe

학년

1 116 3.65 .562

8.930*** .000 a>b>c 학년

2 81 3.52 .596 학년

3 138 3.35 .576 합계 335 3.49 .589

* p<.05, ** p<.01, *** p<.001

학년에 따라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면, 1학년 M=3.65 , 2점 학년 점 학년 점으로 나타나 학년이 상대적으로 높고 학년이 높은 학년은

3.52 , 3 3.35 1 , 3

낮음을 알 수 있다(p<.001). 이러한 결과는 학년이 높을수록 장애수용태도가 낮음 을 알 수 있다.

(36)

통합체육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차이 3)

고등학생들의 장애수용태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통합체육수업 참여 유무에 따라 분석하였다 참여 유무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결과는. <표 Ⅳ-10>와 같다.

표 통합체육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 Ⅳ-10>

참여 유무 N 평균 표준편차 t p

유 241 3.51 .605

1.007 .315 무 94 3.44 .547

* p<.05, ** p<.01, *** p<.001

현재 통합체육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면, 있다 M=3.51 ,점 없다 M=3.44점으로 나타나 현재 통합체육수업 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높은 장애수용태도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통합체육수업 참여 기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차이 4)

고등학생들의 장애수용태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통합체육수업 참여 기간에 따라 분석하였다 참여 기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결과는. <표 Ⅳ-11>과 같다.

표 통합체육수업 참여기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 Ⅳ-11>

참여기간 N 평균 표준편차 F p

년 미만

1 109 3.59 .484

2.551 .080 년 이상

1 142 3.43 .663

없음 81 3.47 .575 합계 332 3.49 .591

* p<.05, ** p<.01, *** p<.001

장애학생과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기간에 따른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37)

를 살펴보면, 1년 미만 M=3.59 , 1점 년 이상 M=3.43점으로 나타나 현재 통합체육 수업 참여 경험이 1년 미만인 경우에 상대적으로 높은 장애수용태도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통합체육수업 참여기간에 따른 장애. 수용태도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장애 친구 및 친지 유무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차이 5)

고등학생들의 장애수용태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장애 친구 및 친지 유무에 따라 분석하였다 장애 친구 및 친지 유무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결과는. <표 Ⅳ-12>과 같다.

표 장애 친구 및 친지 유무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 Ⅳ-12>

유무 N 평균 표준편차 t p

있다 104 3.60 .649

2.143* .033 없다 229 3.45 .558

* p<.05, ** p<.01, *** p<.001

장애 친구 및 친지 유무에 따른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면 있다 M=3.60 ,점 없다 3.45점으로 나타나 있는 경우에 상대적으로 높은 장애수용태도를,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는 장애 친구 및 친지가 있는 경우에 장애수용태도가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장애 단체에서의 봉사경험에 따른 장애수용태도에 차이 6)

고등학생들의 장애수용태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장애 단체에서의 봉사경험에 따 라 분석하였다 봉사경험 유무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결과는. <표 Ⅳ-13>와 같다.

(38)

표 장애 단체의 봉사경험에 따른 장애수용태도

< Ⅳ-13>

봉사경험 N 평균 표준편차 t p

있다 141 3.56 .553

1.806 .072 없다 194 3.44 .611

* p<.05, ** p<.01, *** p<.001

장애 단체에서의 봉사경험에 따른 장애수용태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면 있 다 M=3.56 ,점 없다 M=3.44점으로 나타나 있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장애 단체에서의 봉사경험에 따른 장애수용태도에. 차이는 없음을 알 수 있다.

(39)

논 의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과 장애수용태도를 조사 하기 위해 G광역시 소재의 4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 사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의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고등학생들의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1.

성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1)

성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통합체육수업의 효과 통합, , 체육수업의 교육과정의 경우에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전반적으로 통합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유의하지는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 한 결과는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일반중학생의 인식과 사회성 발달 연구에서 성별 에 따른 차이가 보이지 않은 연구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김경영( , 2009). 반 면에 학교생활 개인생활에 대해 장애학생 통합에 대한 일반학생들의 성별 차이를, 알아본 연구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하였다 김정( 연, 2002).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통합체육의 효과에 대해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영( , 2000). 통합체육 에 대한 태도 연구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내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오광진 외( , 2002).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교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이 성별 변인에 따라 달라지 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다른 변인과의 관계로 인해 그 효과가 증감될 수, 있는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은 성별에 따라 단. 정할 수 있는 요소가 아닌 것을 알 수 있다.

학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2)

학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통합체육수업 효과의 경우에, 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통합체육수업의 환경에 대하여 살펴보면, 1학년 이 높게 나타났으며, 2학년은 낮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통합체육수, . 업의 교육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통합.

(40)

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학년별로 살펴보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선행연구와 비교하면 안승자. (2002)는 비장애학생 의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과 수용태도에서 학년이 높을수록 통합체육수업의 필요성, 시설 프로그램에서 인식수준이 더 낮게 나타났다고 한 연구와 통합교육 경험에서, 학년이 높을수록 장애아동 및 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난 연구 김종삼( , 2000)와 본 연구는 일치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의 인식은 행동적 특성이나 학습적인 특성 기타 변수를 설정하, 여 통합체육수업 인식에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통합체육수업 참여 유무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3)

통합체육수업에 참여 유무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살펴보면, 통합체육수업의 환경에서 경험이 있는 경우보다 경험이 없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 다 통합체육수업의 교육과정에서 경험이 있는 경우보다 없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 다 전체적으로 통합체육수업의 교육과정에서 경험이 있는 경우에 없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윤동환. (2015)과 박기호(2015)의 연구결과와 일치함 을 알 수 있다 윤동환. (2015)과 박기호(2015)는 통합체육수업의 경험여부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의 환경에 대한 인식에는 경험이 없는 집단이 있는 집단에 비해 인식 수준이 높다고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에서도 나타났듯이 장애학생과.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통합체육수업의 환경과 교육과정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것은 통합체육수업 기자재 및 시설 프로그램 등에서 통합교육을 완전히 뒷받침해, 주지 못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통합체육수업 참여 기간에 따른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 4)

장애학생과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기간에 따라서는 통합체육수업의 환경에서 참여 기간이 없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통합체육수업의 교육과정에서 참여한 기. 간이 없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통합체육수업에서 참여한 기간이 없. 는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합체육수업에 참여한 기간이 없는 경우에 높은 통합체육수업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통합체육을 경험한 일반학생이 통. 합체육을 경험하지 않은 일반학생보다 더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는 보고와 일

참조

관련 문서

- 전문자격증 소지자 및 농촌개발사업에 참여 경험이 있는 전문가를 발굴하 여 , 전문인력의 능력향상을 위해 교육 훈련 등을 통한 인력풀을 구축하여 수요처에

특히 SPEC태클의 경우, 전형과정 중 학교, 학력 등을 일체 묻지 않기 때문에, 스펙보단 해당 직무에 대한 경험이 많은 지원자들 중심으로 지원이 이뤄지고

본 연구는 성인 발달장애 자녀를 둔 일하는 여성이 경험한 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고, 그 삶의 경험이 사회적으로도 장애인 가족지원 상담의 현실화, 장애 인

본 연구는 Fitness-Sharing 운동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매체인 스마트폰을 활용한 Fitness-Sharing 어플리 케이션

이는 교단이라고 할 수 있는 세력이 무력화되어 서일 수도 있고, 東學 이래 민중 중심의 다양한 종교 경험이 있었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어쨌든

참여 실태에 따른 인식과 만족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대중무용에 관 한 인식도는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참여 동기에 따 른

통합학급 경험이 없는 아동들의 &lt;표 Ⅳ-31&gt;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우 장애아 동의 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수용태도에서는 신체적 외양과 관련한 수용태도

변호사 또는 「고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학교에서 법학을 담당하는 조교수이상으로서 동물보호연구 또는 생명윤리연구 경험이 있거나 동물 보호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