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뇌(腦) 반구에 기초한 아동미술심리 상담 사례 연구 및 제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뇌(腦) 반구에 기초한 아동미술심리 상담 사례 연구 및 제언"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20.06.10 심사기간_2020.07.01-14 게재확정일_2020.07.21

뇌(腦) 반구에 기초한 아동미술심리 상담 사례 연구 및 제언

A Case Study and Suggestion on the Psychological Art Therapy for the Children Based on Brain Hemisphere

백중열_대구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부교수

Baik, Jung Youl_Daegu National Univrsity of Education

차례 1. 서 론

2. 본 론 2.1. 뇌(腦) 2.2. 아동화

2.2.1. 인상주의적 해석 2.2.2. 구조주의적 해석 2.2.3. 주의할 점

3.1. 아동미술심리 상담 사례 3.1.1. 전뇌형 상담사례 3.1.2. 좌뇌형 상담사례 3.1.3. 우뇌형 상담사례

3.2. 뇌 성향 아동미술 특징 및 심리 3.2.1. 뇌 성향 아동미술 특징 3.2.2. 아동심리

4. 제언 5. 결 론 참고문헌

(2)

뇌(腦) 반구에 기초한 아동미술심리 상담 사례 연구 및 제언

A Case Study and Suggestion on the Psychological Art Therapy for the Children Based on Brain Hemisphere

백중열_대구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부교수

Baik, Jung Youl_Daegu National Univrsity of Education

요약 중심어

뇌 반구, 아동미술심리, 상담 사례, 제언

아동의 개인적 성향을 고려하지 않은 교육환경으로 인해 아동들 중에는 스트레스를 호소하거나 클리 닉 센터 상담을 권유 받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아동의 내재된 심리를 이해하고 치유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초등학교 1-2학년 아동 40명에게 뇌 반구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7명을 선별하여 12주 동안 지도하고, 상담을 통해 아동미술 특징과 심리를 사례 연구하였다. 연구 분 석 결과, 전뇌형 아동심리는 대인관계가 원활하고 좌뇌나 우뇌형 아동들과 잘 어울렸다. 그림 특징은 논리적이고 감성적인 내용이 혼합되어 나타났으며, 주변 환경에 알맞게 채색을 사용하였다. 주제는 선 택하거나 주어진 주제를 선택적으로 선호하였다. 죄뇌형 아동심리는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을 즐 거워했으며, 손을 활용한 수업은 관심이 부족했다. 그림 특징은 대칭적인 그림을 그렸으며, 경험을 표 현하였다. 그림 형태는 구체적이고 사실적이며, 색칠하거나 주어진 주제를 선호하였다. 우뇌형 아동심 리는 돌발적인 행동으로 산만하다는 오해를 받는 경우가 있었다. 그림 특징은 추상적이고, 직관적이었 으며, 만화적 요소를 선호했다. 그림 형태는 크고 색칠하는 것을 싫어했으며 주제를 선택하는 것을 선 호했다. 제언하면 첫째, 아동의 뇌 성향을 고려한 아동심리 이해가 필요하다. 둘째, 주변 환경을 활용 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그림에 대한 관찰과 평가가 중요하다. 넷째, 아동미술에 대한 질문이 신중해 야 한다. 다섯째, 아동의 생각을 존중해야 한다. 여섯째,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 연구 결과가 초등교육현장에 반영되어 외부로부터 아동의 행동이나 성격의 문제를 지적받거나 클리닉 센터 상담을 권유받게 된다면, 교사는 학급의 아동 심리 상태를 분석하여 클리닉 센터 상담을 받기 전 에 아동의 심리를 이해하고 치유할 수 있는 근거와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Keyword

brain hemisphere, psychology of children's art, counseling case, sugges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heal the children's inherent psychology, as there are some children complaining of stress or being asked to consult a clinic center due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children's personal tendencies are not considered. The research conducted a brain hemisphere test on 40 children in the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7 students were selected and studied the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y of children's art through guidance and counseling for 12 weeks. As the results of the study, psychology of the whole brain children have a goo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left or right brained childre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ainting showed a mixture of logical and emotional content and they used colors properly for their surroundings. They chose a topic or selectively preferred the given one. Left-brained child psychology enjoyed expressing their thoughts in language, and seemed to lack interest in classes using hands.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aintings were mainly symmetrical, and they expressed what they experienced. The forms of their paintings were detailed and realistic, and they preferred coloring or given subject. Right-brained child psychology have been misunderstood as distracting by their sudden behavior.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aintings were abstract and intuitive, and they preferred cartoon elements. The forms of their paintings were large, and they did not enjoy coloring and choose their own subject. To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child psychology considering children's brain tendencies.

Second, it should be able to utiliz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rd, it is important to observe and evaluate their paintings. Fourth, the questions about children's art should be discreet. Fifth, children's ideas should be respected. Sixth, they need a space to share their thoughts.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reflected in the primary education field to be pointed out the child’s behavior or personality problems from the outside or recommended to consult the clinic center, the teacher may be able to analyze the child's psychological state of the class and be able to provide evidence and present grounds and criteria for understanding and healing the child's psychology before receiving the clinic center's counseling.

(3)

1. 서 론

인간은 태어날 때 부모의 유전을 받게 되고, 성장 과정에서 환경의 영향을 받게 된다. 아동이 성장하는 주변 환경은 뇌가 발달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되고, 성격 형성에 반영되기 시작한다.

또한 아동의 뇌 구조는 유전자로 결정되지만, 주변 환경에 의해 시냅스의 능력이 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 하드웨어는 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지지만 미세한 구조와 기능은 교육과 환경에 의해 좌우된다.1) 아동은 환경에 잘 적응하는 경우도 있지만, 자신의 성향과 원활하게 소통되지 않으 면 심리적으로 위축되어 갑자기 돌발적인 행동으로 나타나게 되고, 그것으로 인해 주변으로부 터 문제아도 오해를 받기도 한다. 아동의 성향을 고려하지 않은 교육환경이나 무리한 사교육으 로 인해 아동들 중에는 스트레스를 호소하거나 클리닉 센터에서 상담을 권유 받는 경우도 있어 서 아동의 내재된 심리를 이해하고 치유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아동에게 내재된 심리는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밖으로 표출되지만 아동이 잠재된 스트레스를 언어나 행동으로 표현하지 않으면, 정서적으로 불안해지거나 틱 장애, 대인기피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기 표출되기 시작한다. 예들 들어 논리적인 교사는 학습이나 학생지도 에서 규칙적이고 원칙적인 것을 선호하지만, 감성적인 아동은 직접 만져보거나 행동으로 실천 하면서 때로는 교사에게 지적을 받거나 문제아로 오해를 받는 경우도 있다. 즉 학교 교사가 논리적인 좌뇌 성향이 우세하면, 감성이 우세한 아동들과 소통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교사가 아동의 성향이나 심리를 이해할 수 있는 방법 중에는 아동의 뇌 성향을 고려한 방법이 있다. 아동의 뇌 성향은 논리적인 좌뇌형과 감성적인 우뇌형, 감성과 논리력이 병행되는 전뇌형 으로 분류하여 심리를 분석할 수 있다.

아동들은 경험한 지식을 표현할 때 언어나 문자로 만족하지 못하면 행동이나 그림으로 표현한 다. 아동화는 아동 생각이나 발상, 경험 등이 내포되어 있어서 아동의 심리를 이해하는데 도움 이 된다. 아동화에 나타난 특징을 관찰하면 아동의 뇌 성향이 전뇌적인지 좌뇌적인지 우뇌적인 지 성향을 판단할 수 있는 준거가 된다. 이 같은 내용을 기초로 아동심리 상담을 통해 아동의 뇌 성향과 아동화와 연계하여 심리를 분석하고, 교육현장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뇌와 아동심리와 연관된 선행연구는 ‘초등학교 아동 분노의 심리적 과정에 대한 뇌과학적 이해 와 교육적 시사점’2) 등이 있지만 대부분 아동심리와 연관된 논문으로 아동미술심리와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뇌 반구에 기초한 아동미술심리 상담사례를 연구하기 위해 본문에서 뇌 반구를 전뇌 와 좌뇌, 우뇌로 분류하여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아동의 뇌 성향을 연구하기 위해 고영 희3)의 뇌 선호도 검사를 수정 ‧ 보완하여 서울에 위치한 S전당에서 미술을 수강하는 40명 아동 에게 적용하였으며, 연구 범주에 속하는 7명을 선별하여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12주 동안 매주 2시간 30분씩 지도하고 난 이후에 교사 3명과 함께 상담을 병행하며 심리를 연구하였다.

뇌 반구에 기초한 아동미술심리 상담사례를 통해 아동의 뇌 성향을 이해하고, 아동심리를 치유 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2. 본 론 2.1. 뇌(腦)

1970년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 신경생리학자인 로저 W. 스페리(Roger W. Sperry) 교수는 대뇌(大腦, Cerebrum)의 좌우 양반구를 연결하는 뇌량이 간질의 치료 등을 이유로 절단된 환 자를 관찰하면서 인간에게 있어서 좌우 대뇌의 상위점을 해명하였다. 그는 좌측대뇌는 주로 이성을 우측대뇌는 주로 감정을 창출하고, 이성과 감정으로 인간의 마음이 생겨난다는 사실을 분명히 밝힌 결과 1981년 노벨상을 수상하였다.4) 뇌는 반구(hemispheres)라 불리는 좌우 두

1) 서유헌(1997). 뇌의 세계. 서울: 중앙교육연구원. p,57

2) 조선하(2017). 초등학교 아동 분노의 심리적 과정에 대한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3) 고영희(1991). 당신의 양쪽 뇌를 사용하라. 경기: 양서원. p,30-38

(4)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좌뇌와 우뇌 모두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사고하고 학습하며 행동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각 반구는 특정 기능을 갖고 있어 서로 전혀 다른 방식으로 작용한다. 좌반구는 정보를 계열적이고 분석적인 방식으로 처리하는 반면, 우반구는 정보를 좀 더 전체적이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처리한다.5) 우뇌 성향의 행동 특성은 감성적이고 활동적 인 성향을 갖고 있으며, 좌뇌 성향의 행동 특성은 섬세하고 규칙적인 생활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대뇌는 두 개가 있지만, 뇌량에 의해 하나의 정신을 이루게 된다. 출생 시에는 대뇌가 좌·우 뇌로 내부의 조직과 구조가 같고 우뇌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좌뇌도 가지고 있어서 한 뇌 속에 중복된 기능을 가지고 태어나지만, 성장 과정에 따라서 어떤 특수한 자극에 대하여 같았던 반응 능력이 한편으로 치우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대뇌의 기능편중 또는 기능분화라고 한다.6) 뇌는 일의 종류에 따라서 관여하는 정도가 차이는 있지만 모든 활동에서 양쪽 뇌가 서로 협력한 다. 건축가는 창조하려는 아름다움의 공간적 관계를 표현하기 위해 우뇌를 사용하지만, 건축의 면적이나 하중, 건물 부호들은 좌뇌를 사용한다. 과학자도 추론적인 논리 설정을 위해 좌뇌를 사용하지만, 통찰력은 직관적인 우뇌에 의존한다. 하지만 우리 사회와 교육정책은 종합적인 사고보다는 분석적인 사고를 강조하면서 좌뇌는 용도면에서 우세하게 되었다.7) 우뇌 우세형 아동들 중에는 정상이하라거나 지체아로 분류되는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한다. 휴스턴 대학교 에서 이루어진 연구에서 ‘정신적으로 지체된’것으로 분류된 아동들 중에는 실제로 예술적 능력 에서 정상적이거나 우수한 능력을 나타내고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8) 우뇌는 재미없는 딱딱한 문장을 읽을 때보다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읽을 때 더 자극을 받는다. 좌뇌는 세밀한 운동 조절 과 관계가 깊고 우뇌는 달리기나 던지기와 같은 운동 기능과 관계가 깊은 것 같다.9) 인간에게 만 특별하게 발달된 언어 중추가 있는 좌뇌는 언어적, 계열적, 시간적, 논리적, 분석적, 이성적, 디지털적이다. 우뇌는 비언어적, 시·공간전, 동시적, 형태적, 종합적, 직관적, 아날로그적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10) 어느 한쪽 뇌가 다른 쪽 뇌 보다 우월한 것은 아니다. 효율적인 사고는 양쪽 뇌의 활동 모두를 요구하는 것이다.

2.2. 아동화

아동이 자신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교사는 아동화를 관찰하고 분석하여 아동에 대한 정보를 읽어낼 수 있어야 하는데 이것이 그림을 해석하는 방법이다. 그림의 해석은 다른 심리검사와 마찬가지로 심리검사 결과 나타난 행동관찰, 과거기록, 면담자료를 참고하여 아동에게 적용하기에 가장 적절한 것을 판단하여 이론적 배경에 따라서 종합적이고 전체적으 로 이루어져야 한다.

아동화에 내재된 심리를 이해하기 위한 여러 가지 해석방법이 있지만, 본 연구는 뇌 과학적인 측면에서 전체적인 직감력과 경험에 의존하는 인상주의적 해석 방법과 그림 내용의 구조와 형태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구조주의적 해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2.2.1. 인상주의적 해석

인상주의적 해석은 아동화를 보고 교사의 주관적인 인상에 근거하여 아동화의 심리적 특성을 해석하는 방법이다. 아동화를 관찰하고 “즐거워 보인다”, “재미있다”, “답답해 보인다”, “불안정 한 느낌이 든다”, “스트레스가 많아 보인다” 등과 같은 첫 인상에 가치를 둔다. 또한 직관적이고 정서적인 관점에서 “집이 공중에 떠 있는 것 같다.”와 같이 비유적인 인상을 받을 수도 있다.

4) 김수용·하종덕 역(1996). 뇌로부터 마음을 읽는다. 서울: 전파과학사. p,103 5) 정종진, 임청환, 성용구 역(2008). 뇌기반 교수-학습전략. 서울: 학지사. p,65 6) 강호감(2001). 창의력 계발을 위한 두뇌 개발. 서울: 생활지혜사. p,43 7) 김유미(1996). 인간의 두뇌. 서울: 교육과학사. p, 84

8) Brain-Mind Bulletin 2 (24).

9) 서유헌 역(1995). 놀라운 뇌의 세계. 서울: 사이언스북스. p.133 10) 강호감(2001). 6세에서 12세 두뇌개발. 서울: 생활지혜사. p,28

(5)

교사는 풍부한 공감능력과 직관력, 예민한 관찰과 많은 임상적 경험이 필요하고 임상경험이 풍부할수록 효과적이다. 아동은 그림을 그리는 당일 컨디션에 따라서 그림 내용이나 형태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서 단편적인 관찰보다는 지속적인 관찰과 분석이 이루어져야 정확한 해석이 가능해 진다.

2.2.2. 구조주의적 해석

구조주의적 해석이란 그림의 구조적 요소인 그림의 크기, 형태, 위치 등과 같은 요소들이 의미 하는 것이 무엇인가 분석하는 방법이다. 즉 그림에 나타난 특징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 가설 을 도출하고, 그것이 다른 구조적 요소와 비슷하게 일치하는지를 관찰하며, 그림이 주는 인상과 의 관계와 다른 심리자료와 임상적 관찰, 면담자료와 비슷하게 일치 되는지, 등에 근거하여 가설을 세우는 것이다. 예를 들어 그림을 너무 크게 그렸다면 첫째, 그림 형태가 단순한지 구조 적인지를 분석해야 한다. 둘째, 그림이 너무 작으면 소심한 성격일 수도 있다. 셋째, 그림 내용 이 사실적인지 추상적인지 분석해야 한다.

구조적 해석에서 가장 주의해야 될 것은 구조적 요소에 “A이면 B이다”와 같이 일대일로 대응되 는 의미로 해석하면 오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집이나 나무를 그리고 기저선을 그릴 경우

“안정감에 대한 욕구가 있는 것이므로 내적 불안정감이 있을 수 있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이 가설은 다른 임상자료와 함께 고려되어야 하며, 그와 같은 선을 그렸다고 “아동이 불안정하 다”고 해석하면 안 된다. 기저선을 그리는 것은 교육기관에서 배우거나 발달단계에 나타나는 점을 배제할 수 없다.

그림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첫째, ‘어떤 정보’를 ‘어떻게’ 읽어낼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전자 는 ‘무엇을’ 읽어낼 수 있는가 하는 해석의 틀을 이루는 이론 및 구성개념에 대한 문제와 관련되 며, 후자는 이를 ‘어떻게’ 읽어낼 수 있는가 하는 방법적인 문제와 관련된다. 둘째,심리학적 측면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인상주의적 해석방법은 교사가 주관적 인상에 근거하여 해석하는 방법이고, 구조주의적 해석방법은 그림의 여러 가지 구조적 요소인 그림의 크기, 위치, 형태 등이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에 근거하여 해석하는 방법이다11).

2.2.3. 주의할 점

아동들에게 나타나는 문제점을 찾아내고 해결하기 위한 아동화 해석방법에서 주의해야 할 점 은 첫째, 아동화 해석은 신중해야 한다. 대부분 책에 인용된 아동화 해석은 특정한 부분에 문제 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 많아서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해석해야 한다.12) 둘째, 아동의 그림은 가끔씩 기계적으로 해석되거나 단일한 심리학적 관점에서 의미가 왜곡되 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아동이 X-ray 사진처럼 물고기 속이 보이도록 그렸을 경우에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잡아먹히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나(engulfment fear), 어떤 대 상을 먹고 싶은 잠재적 욕구로 해석할 수 있지만 과학이나 물고기를 선호하는 아동이 그렸다면 의미 부여가 무의미 한 경우도 있다.

3.1. 아동미술심리 상담 사례

뇌는 좌뇌와 우뇌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뇌량을 통해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뇌 성향이 서로 다르게 나타나기 시작한다. 본 연구는 아동의 뇌 성향을 분석하기 위해 고영희 교수의 좌·우뇌 검사지를 수정∙보완하여 연구 대상에게 적용하였다. 연 구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S전당에서 40명을 대상으로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7명을 선별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12주 동안 매주 2시간 30분 동안 지도하고 난 이후에 교사3명과 함께 심리를 상담하였다. 그림 분석은 인상주의적 관점에서 매주 아동의 작품 내용

11) 신민섭 외(2003).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서울: 학지사.

12) 백중열(2020). 아동심리 미술치료. 서울: 창지사. p,66-68

(6)

과 성향을 직관적으로 관찰하여 분석하고,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매주 그림의 주제와 형태, 위 치, 색채, 내용 등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였다.

3.1.1. 전뇌형 상담사례

상담사례 1) 9세 남학생이며,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재구성하여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아동은 뇌 성향 테스트 결과 전뇌형으로 판별되었다. 아동은 학교에서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해서 교사로부터 클리닉센터 상담을 받아 보라고 권유를 받아서 부모가 걱정하고 있었다.

인상주의적 관점에서 아동은 상담과정에서 책을 많이 읽어 상식이 풍부했으며, 친구들과 어울 릴 때는 친구들 이야기를 듣기 보다는 자기주장이 강했다. 아동은 자신의 생각이 강해서 대인관 계에 문제가 있었지만 자신이 경험했거나 읽은 책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능력은 탁월했다. 구조 주의적 관점에서 아동의 그림은 여러 가지 경험이나 내용을 표현하는 특징이 있었으며, 그림의 구조가 자신이 경험한 내용을 새롭게 패러디하여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그림 1)과 같이 표현하 였다. 또한 아동은 가족과 함께 여행을 갔던 베네치아의 풍경을 1492년과 2019년을 (그림 2)와 같이 비교하여 표현하였다.

<그림 1> 9세, 남 <그림 2>

아동은 자신의 그림을 이해하지 못하는 친구들을 무시했으며, 친구들은 잘난척하는 아동의 모 습을 싫어하면서 서로 관계가 원활하지 못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아동의 그림에 내포된 논리적인 생각을 친구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교사가 중간에 그림 내용을 설명하면서 친구들과 관계성이 좋아졌다.

상담사례 2) 8세 여학생이며, 사람의 형태를 직관적이고 구조적으로 표현하였다. 아동은 뇌 성향 테스트 결과 전뇌형으로 판별되었다. 아동은 성격이 꼼꼼하고 논리적이며, 친구들과 잘 어울리는 대기만성형 성격이었다.

인상주의적 관점에서 아동의 그림은 대부분 사람의 동작이나 행동, 환경과 연관지어 그림을 그렸으며, 읽었던 책이나 경험했던 내용을 그림으로 재구성하여 (그림 4)와 같이 만화적인 요소로 표현하였다.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아동의 그림은 형태가 디지인적이고 감각적인 측면 이 있어서 양쪽 뇌가 고르게 발달하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 아동은 사람을 많이 그렸는데, 사람의 동작이나 행동이 각각 개인의 성향에 알맞게 (그림 3)과 같이 독특한 형태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었다.

<그림 3> 8세, 여 <그림 4>

아동은 전뇌적 성향으로 좌뇌적 성향의 교육에 편중되거나 논리적 성향 위주로 인정을 받게 되어 잠재적 직관이나 감성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면 재능의 반쪽은 감소하거나 스트레스를

(7)

받게 된다. 아동이 경험하고 배운 지식을 자신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합하여 창의적으로 표현하 는 활동이 (그림 4)와 같이 만화적 요소를 가미하여 표현하면 좌뇌와 우뇌를 효율적으로 사용 할 수 있어서 아동이 선호하는 사람형태와 만화 그림을 꾸준히 그리는 것이 두뇌 발달에 효율적 이다. 아동 주변에 친구들이 만화를 감상하기 위해 모여 들고, 아동은 더욱 자신감 있게 생각을 표현하면서 대인관계가 향상되었다.

3.1.2. 좌뇌형 상담사례

상담사례 3) 8세 여학생이며, 사물을 대칭적으로 표현하였다. 아동은 뇌 성향 테스트 결과 좌뇌 형으로 판별되었다. 인상주의 관점에서 아동은 수업시간에 조용하고, 때로는 친구들의 행동이 나 모습을 관찰하고 난 후에 천천히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였다.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아동의 그림 특징은 (그림 5)와 같이 대칭적으로 표현하였다. 특히 아동은 도형 형태를 (그림 6)과 같이 정확히 그렸는데, 사교육 시간에 도형에 대해 배웠다고 하였다.

<그림 5> 8세, 여 <그림 6>

아동은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이 우수했지만, 언어적인 표현을 많이 하지 않고 친구들과 어울리기 보다는 친구들이 하는 대화를 경청하거나 행동을 관찰했지만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해 대인관계가 원활하지 않았다. 처음에는 그림 형태가 작고 소심하게 표현하거나 그리는 것을 주저하는 경우가 있었다. 아동의 성격이 소심하고 꼼꼼한 성향을 갖고 있다고 판단되어 그림 주제를 스스로 선택하고, 그리는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였다. 그 결과 그림에 관심을 가지 기 시작하면서 대칭적인 표현에 자신감을 갖게 되었고, 그 과정에서 교사의 칭찬으로 인해 그림 실력이 향상되었으며, 친구들과 관계성도 좋아졌다.

상담사례 4) 9세 남학생이며, 학교 수업과 연관시켜 그림을 그렸다. 아동은 뇌 성향 테스트 결과 좌뇌형으로 판별되었다. 아동은 학교에서 성실하고 친구들과 잘 어울리는 편이지만 성격 이 꼼꼼하고 규칙적인 성향이 있었다. 인상주의적 관점에서 아동은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그림 으로 표현하는 것을 즐거워했다. 예를 들어 학교 사회시간에 나라별 상징에 대해 배운 지식을 활용하여 프랑스 상징이라며 (그림 7)과 같이 에펠탑과 프랑스 국기를 그렸다.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아동은 자동차에 대한 책을 읽고 난 다음에는 (그림 8)과 같이 자동차가 움직이는 원리를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림 7> 9세, 남 <그림 8>

아동과 같이 학교에서 배운 논리적인 지식을 그림으로 표현하면, 좌뇌의 지식을 우뇌로 구현하 여 양쪽 뇌를 고르게 발달시킬 수 있으며, 전뇌를 활성화 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아동이 배운 지식을 그림으로 자유롭게 표현하도록 지도하면서 그림 내용이 더욱 다양해지고 창의적인 발

(8)

상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3.1.3. 우뇌형 상담사례

상담사례 5) 8세 남학생이며, 공룡과 비슷한 우주괴물을 반복해서 그렸다. 아동은 뇌 성향 테스 트 결과 우뇌형으로 판별되었다. 아동은 성격이 밝고 명량했지만, 자신이 갖고 싶은 것을 가져 야 하는 고집이 세고, 때로는 산만한 행동으로 지적을 받고 있었다. 인상주의적 관점에서 아동 의 그림 형태는 크고 공룡 같은 괴물을 많이 그렸다. 친구들이 아동의 그림을 보고 공룡이라고 지칭하면 친구들에게 화를 내면서 우주에 사는 공룡괴물(그림 9)이라고 주장 했다.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우주공룡 괴물의 발과 꼬리를 완벽하게 그리기 위해 지우개로 지운 흔적을 (그림 10)에서 발견할 수 있다. 꼬리 부분의 구부러진 부분은 선을 사용하여 입체적인 효과로 표현하 고 있다.

<그림 9> 8세, 남 <그림 10>

아동은 외동으로 아빠의 직장이 지방이이서 일주일에 한번 만나면 아동이 원하는 것을 대부분 받아주면서 주는 것 보다는 받는 것에 익숙해져 있었다. 또한 아동은 개성이 강한 우뇌형으로 판단되어, 아동을 이해할 수 있는 전뇌형 친구를 함께 수업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친구가 수업 에 참여한 3주 후에는 아동이 친구와 친해지면서 그림에 대해 친구에게 설명하고, 즐겁게 수업 에 참여하고 있지만, 때로는 자기 생각이 강해서 논쟁을 하는 장면이 보였다. 아직 그림 표현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산만한 행동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수업 참여도는 조금씩 좋아지고 있다.

상담사례 6) 9세 여학생이며, 수업시간에 그림을 그리지 않고 친구 그림을 관찰하였다. 아동은 뇌 성향 테스트 결과 우뇌형으로 나타났다. 인상주의적 관점에서 아동은 성격이 밝고 명량해서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만 수업시간에 그림을 그리기 보다는 친구 그림을 관찰하고, 집에서 그림 을 열심히 연습하는 성향이 있었다. 구조주의적 관점은 친구가 새의 진화 과정을 그린 그림을 관찰하고 자신은 여러 가지 동물의 눈을 (그림 11)과 같이 단계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친구가 건물을 입체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보고 (그림 12)와 같이 동물원에 갔던 경험을 살려 입체적으 로 표현하고 있다.

<그림 11> 9세, 여 <그림 12>

아동의 부모는 자녀가 수업에 대한 결과물이 잘 나오지 않은 것을 보고, 자녀가 수업에 잘 참여 하지 않은 것으로 오해하고 있었다. 부모에게 수업 시간에 자녀의 행동과 그림 내용에 대해 소개하였으며, 집에서 친구들 그림과 행동을 연계하여 그림을 연습하는 이유에 대해 구체적으 로 상담한 결과 자녀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지게 되었고, 아동은 더욱 자신의 능력을 그림으로 표현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상담사례 7) 9세 여학생이며, 그림 내용이 시적이고, 직관적인 느낌을 표현하였다. 아동은 뇌

(9)

성향 테스트 결과 우뇌형으로 판별되었다. 인상주의적 관점에서 아동은 국제학교를 다니고 있 으며, 성향이 조용하고 친구들이 하는 행동을 지켜보거나 그림에 몰입하는 경향이 있었다. 구조 주의적 관점에서 일반적인 아동들은 발레하는 전신을 그리지만 아동은 자신이 발레하는 모습 에서 발을 강조하기 위해 (그림 13)과 같이 표현하였다. 또한 학교에서 친구들과 즐거웠던 장면을 주변환경을 의식하지 않고 여러 가지 재미있는 동작으로 (그림 14)와 같이 표현하였다.

<그림 13> 9세, 여 <그림 14>

아동은 수업 시간에 거의 말을 하지 않고 멍하니 생각에 잠기는 행동으로 교사들은 대인관계가 원활하지 않은 것으로 문제를 제기하였다. 아동을 수업 시간에 관찰 한 결과 친구들이 말을 걸지 않으면 말을 거의 하지 않았지만 그림에 몰입하는 모습과 그림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인관 계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아동은 조용하지만 자신의 독특한 발상을 그림으로 표현 하면서 표정이 밝아지는 경향을 관찰하고, 그림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주변을 조용하게 만들어 주면서 더욱 그림에 몰입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3.2. 뇌 성향 아동미술 특징 및 심리

본문에서 7명 아동의 뇌 성향을 전뇌형, 좌뇌형, 우뇌형으로 분류하고, 아동화에 나타난 특징과 심리를 인상주의적, 구조주의적 관점과 연계하여 분석한 특징과 심리는 다음과 같다.

3.2.1. 뇌 성향 아동미술 특징

뇌 성향에 기초한 아동미술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전뇌형 특징은 첫째, 논리적이고 감성적인 내용이 혼합되어 나타났다. 둘째, 환경의 상황에 맞게 채색을 사용하였다. 셋째, 주제는 선택하거나 주어진 주제를 선택적으로 선호하였다.

2) 좌뇌형 특징은 첫째, 대칭적인 그림을 많이 그렸다. 추상적인 내용보다는 구체적인 내용으 로 표현하고 대칭적인 그림을 선호하였다. 둘째, 학교나 가정에서 배우거나 경험한 지식을 그림 으로 표현하였다. 좌뇌형 아동들은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그림을 활용하였다. 셋째, 그림 형태가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좌뇌형 아동들 그림은 무엇 을 그렸는지 알 수 있는 형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그림 형태가 규칙적이거나 색칠 하는 것을 선호했다. 좌뇌형 아동들은 그림에 색을 칠해야 완성이 된다는 선입견이 있었다.

다섯째, 주어진 주제를 그리는 것을 선호했다. 좌뇌 성향 아동들은 자신이 스스로 주제를 선택 하기 보다는 주어진 주제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다.

3) 우뇌형 특징은 첫째, 그림 내용이 추상적인 경우가 많았다. 현실적인 내용 보다는 미래 지향 적 그림이 많았다. 둘째, 그림이 직관적이었다. 우뇌형 아동은 잠재적 생각을 그림으로 표현하 거나 남들이 보지 못한 것을 관찰하고 표현하는 것을 즐거워한다. 셋째, 그림 형태가 크고 색칠 하는 것을 즐거워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우뇌형 아동들은 그림 형태가 틀리면 지우면서 그리 는 것을 좋아하지만 색칠을 통해 형태가 망가지는 것을 우려해 색칠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았다.

넷째, 스스로 주제를 선택하는 것을 선호했다. 우뇌형 아동은 주어진 주제 보다는 자신들이 스스로 주제를 선택하여 표현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다섯째, 만화적 요소를 선호했다. 우뇌형 아동들은 대상을 전체적으로 보지만,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인상 깊은 장면을 만화로 표현하 는 것을 선호했다.

뇌 성향에 따른 아동미술 특징은 아래 <표 1>과 같다.

(10)

3.2.2. 아동심리

1) 전뇌형 아동심리는 친구들과 대인관계가 원활하고 좌뇌형이나 우뇌형 아동들과 잘 어울리 는 경향이 있었다. 그림 특징도 전체적으로 좌·우뇌형이 혼합되어 나타났으며, 언어와 그림을 병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었다. 대부분의 아동들은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친구들과 관계 성도 원활해 보였다.

2) 좌뇌형 아동심리는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을 즐거워하지만 손을 활용한 수업은 관심이 부족한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좌뇌형 아동들은 생각이나 표현을 언어에 의존하는 경향이 우세했 으며, 복잡한 생각이나 경험을 언어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을 때 답답해하는 경우도 있었다.

언어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그림을 활용하면 아동들의 지식이 창의성으로 확대되고, 스 트레스가 줄어드는 것으로 관찰 할 수 있었다.

3) 우뇌형 아동심리는 성향이 조용해 보이지만, 때로는 돌발적인 행동이나 과격한 행동으로 산만하다는 오해를 받는 경우가 있었다. 아동의 생각이 그림으로 표현되고 주변으로부터 인정 받을 때에는 집중력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뇌형 아동에게 그림은 언어적 한계를 극복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

4. 제언

본문에서 뇌 테스트 결과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7명의 아동미술 특징과 심리를 상담 사례로 분석하였으며, 그 내용을 토대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뇌 성향을 고려한 아동심리 이해가 필요하다. 인간은 전뇌, 좌뇌, 우뇌 성향의 유전적 요인을 갖고 태어나지만 성장 과정에서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에 의해 한쪽이 우세 한 뇌 성향을 갖게 된다. 아동의 우세한 뇌 성향은 아동이 성장하는데 중요한 가치의 기준이 될 수 있다. 즉 교육현장이나 가정에서 아동의 뇌 성향을 고려하여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개인의 잠재적 재능을 육성하는데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주변 환경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로댕은 어린시절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했다. 어머니 가 단골로 다니던 식품점의 주인은 말린 매실을 담아주는 봉투로 그림이나 판화가 찍힌 종이를 사용했다. 그것을 열심히 모사했으며, 그것은 훌륭한 교과서가 되어주었다. 미술학교 입학시험 을 세 번이나 치렀지만 세 번 모두 낙방하고 말았다. 하지만 쉬는 시간에 학급의 친구들은 내 주위에 모여서 내 습작을 구경했다.13) 아동은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하 기 때문에 교사가 그림 내용을 주변 친구들에게 알려주거나 인정해 준다면 아동의 자존감 향상 에 도움이 될 것이다.

셋째, 그림에 대한 관찰과 평가가 중요하다. 아동들은 배운 지식이나 경험을 구상하고 구현할 때 그림으로 표현하다. 아인슈타인은 ‘나는 상상력을 자유롭게 이끌어 낼 수 있는 예술가다.

상상력은 지식보다 더 중요하다. 지식은 한정되어 있으나 상상력은 무한하다.’14) 고 하였다.

13) 오귀스트 로댕(2000). 예술의 숲. 서울: 돋을새김. p,26-28 14) 이모영 역(2008). 예술가가 되려면.... 서울: 학지사. p,135

<표 1> 뇌 성향 아동미술 특징

(11)

아동들이 아인슈타인과 같이 교육을 통해 축적된 좌뇌의 정보를 그림으로 활용하여 우뇌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아동의 그림을 주변에 붙여주거나 칭찬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아동화에 대한 질문이 신중해야 한다. 아동이 상상하여 호랑이를 그렸는데, 어른들이 고양이 아니냐고 질문을 한다면 아동은 자신의 그림에 실망감을 가지게 될 것이다. 아동의 독특 한 그림 형태와 내용이 서로 존중되고 소통될 수 있도록 질문하는 형식이 바뀌어야 된다. 추상 적인 주제를 그리는 아동, 경험을 주제로 그리는 아동, 사실적인 형태를 선호하는 아동 등 아동 의 다양한 생각을 존중할 수 있는 어른들의 질문이 필요하다.

다섯째, 아동의 생각을 존중해야 한다. 아동이 그림을 그릴 때 질문을 하면 짜증을 내는 경우가 있다.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것을 표현하고 있는데, 어른들은 그림에 대해 설명을 요구한다.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의 스튜디오를 방문했던 한 여성이 마티스가 완성한 작품을 살펴 본 후에 ‘여성의 팔이 너무 기네요’라고 하자 마티스는 ‘부인, 한 가지를 잘못 보셨군요. 이것은 여성이 아니라 그림입니다.’15)라고 하였다. 아동화는 아동의 생각에 대한 표현이다. 아동의 생각을 어른들이 자주 지적하는 것은 아동의 생각을 부정하는 것과 연계되어 아동은 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므로 아동의 생각을 존중해야 한다.

여섯째,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피카소는 어린 시절 수학을 싫어했지만 성인 이 되어 프랭세라는 아마추어 과학자를 만나 과학적 원근법을 거부하고 자유로운 예술가를 꿈꾸게 되었으며 ‘하늘을 날려고 할 때 가장 적절한 방법은 새의 겉모습을 모방하는 것이 아니 라 날개 짓의 작동원리를 적용하는 것이다’라는 명언을 작품으로 증명했다.16) 출생 후 뇌가 최적의 상태로 발달하기 위해서는 안전하면서 아이에게 너무 부담이 되지 않을 정도의 자극적 인 환경이 필요하다.17) 즉 아동들의 뇌 성향에 따라서 교육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피카소와 같이 우뇌적인 성향이 우세한 피카소가 좌뇌적 성향이 우세한 프랭세를 만나 발상과 작품에 영향을 미쳤듯이 아동의 성향을 분석하고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중요하다.

신경과학자 조나 레러(Jonan Lehrer)는 우리가 실제로 경험하는 현실이야말로 과학이 환원적 으로 설명할 수 없는 유일한 현실이라는 사실이기 때문에 우리는 예술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우리는 실제 경험을 표현함으로써 예술가는 우리에게 과학의 불완전함을 제아무리 물질을 규 명한다 해도 우리 의식의 비물질성을 설명할 수 없다는 사실을 상기시켜준다.18) 고 하였다.

즉 논리적인 과학과 직관적인 예술이 상호 공존을 의미하듯이 전뇌형, 좌뇌형, 우뇌형의 성향을 고려한 교육정책이 필요하다.

5. 결 론

인간이 우수한 유전을 갖고 태어나도 성장 과정에서 주변 환경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능력을 인정받기 쉽지 않다. 하지만 아동기에 뇌 성향을 분석하면, 아동에게 알맞은 적기교육이 가능하 다. 이에 본문에서 뇌 테스트를 통해 선별된 7명의 아동을 전뇌형, 좌뇌형, 우뇌형으로 분류하 였으며, 아동미술의 특징과 심리를 연구하고, 제언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동화에 나타난 전뇌형 아동심리는 친구들과 대인관계가 원활하고 좌뇌형이나 우뇌형 아동들 과 잘 어울리는 경향이 있었다. 그림도 전체적으로 좌·우뇌형이 혼합되어 나타났으며, 언어와 그림을 병행할 수 있는 능력이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그림 특징은 첫째, 논리적이고 감성적인 내용이 혼합되어 나타났다. 둘째, 환경의 상황에 맞게 채색을 사용하였다. 셋째, 주제는 선택하 거나 주어진 주제를 선택적으로 선호하였다.

좌뇌형 아동심리는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을 즐거워하지만 손을 활용한 수업은 관심이 부족한 경우가 있었다. 또한 생각이나 표현을 언어에 의존하는 경향이 우세했으며, 복잡한 생각

15) 이모영 역(2008). 예술가가 되려면.... 서울: 학지사. p, 38

16) 이명옥(2008). 미술에 대해 알고 싶은 모든 것들. 서울: 다빈치, p,17-18 17) 신순림 역(2015). 우리는 우리뇌다. 경기도: 열린책들. p,58

18) 최애리, 안시열 역(2007). 프루스트는 신경과학자였다. 서울: 지호. p,14

(12)

이나 경험을 언어로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을 때 답답해하는 경우도 있었다. 언어의 한계를 극복 하는 방법으로 그림을 활용하면서 스트레스가 줄어드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그림 특징은 첫째, 대칭적인 그림을 많이 그렸다. 둘째, 학교나 가정에서 배우거나 경험한 지식을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셋째, 그림 형태가 구체적이고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넷째, 그림 형태가 규칙적 이거나 색칠하는 것을 선호했다. 다섯째, 주어진 주제를 선호했다.

우뇌형 아동심리는 성향이 조용해 보이지만, 때로는 돌발적인 행동이나 과격한 행동으로 산만 하다는 오해를 받는 경우가 있었다. 아동의 생각이 그림으로 표현되고 주변으로부터 인정을 받게 되면 집중력이 향상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우뇌형 아동에게 그림은 언어적 한계를 극복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그림 특징은 첫째, 그림 내용 이 추상적인 경우가 많았다. 둘째, 그림이 직관적이었다. 셋째, 그림 형태가 크고 색칠하는 것을 즐거워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넷째, 스스로 주제를 선택하는 것을 선호했다. 다섯째, 만화적 인 요소를 선호했다.

제언하면, 첫째, 아동의 뇌 성향을 고려한 아동심리 이해가 필요하다. 둘째, 주변 환경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그림에 대한 관찰과 평가가 중요하다. 넷째, 아동화에 대한 질문이 신중 해야 한다. 다섯째, 아동의 생각을 존중해야 한다. 여섯째, 생각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 하다.

연구 결과가 교육현장에 적용되어 아동의 뇌 성향이나 개성을 교사들이 이해할 수 있다면 아동 과 소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강호감(2001). 6세에서 12세 두뇌개발. 서울: 생활지혜사.

강호감(2001). 창의력 계발을 위한 두뇌 개발. 서울: 생활지혜사.

고영희(1991). 당신의 양쪽 뇌를 사용하라. 경기: 양서원.

김수용·하종덕 역(1996). 뇌로부터 마음을 읽는다. 서울: 전파과학사 김유미(1996). 인간의 두뇌. 서울: 교육과학사.

백중열(2019). 아동의 뇌(腦) 성향과 그림 특징에 나타난 심리 분석 및 제언. 기초조형학연구 20권 3호.

한국기초조형학회

서유헌 역(1995). 놀라운 뇌의 세계. 서울: 사이언스북스.

서유헌(1997). 뇌의 세계. 서울: 중앙교육연구원.

신민섭 외(2003).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서울: 학지사 신순림 역(2015). 우리는 우리뇌다. 경기도: 열린책들

이모영 역(2008). 예술가가 되려면.... 서울: 학지사

이명옥(2008). 미술에 대해 알고 싶은 모든 것들. 서울: 다빈치, 오귀스트 로댕(2000). 예술의 숲. 서울: 돋을새김.

정종진, 임청환, 성용구 역(2008). 뇌기반 교수-학습전략. 서울: 학지사.

조선하(2017). 초등학교 아동 분노의 심리적 과정에 대한 뇌과학적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최애리, 안시열 역(2007). 프루스트는 신경과학자였다. 서울: 지호.

Brain-Mind Bulletin 2 (24)

참조

관련 문서

그림을 보고 보기와 깉이 제시하는 단어를 이용해서

직선적이고 평면적으로 구성된 한복은 착용함으로써 곡선적이고 입체적인 다양한 선을 이루게 된다.외형에 나타나는 유연한 한복의 선은 무엇보다도 한복의 아름다

다른 친구들이 만든 상표를 보고 비슷한 점과 다른 점을 찾아내 비교할 수 있도록 합니다. 먼저, 비슷한 이미지의 상표를 찾아 이름과 비슷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언어 및 인지적 특성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정의 및 언어특성 고기능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인지적 특성

유아기 때부터 이런 표현의 욕구는 선을 긋거나,그림을 그리는 등의 자유스러운 놀이 형태로 나타난다.미술의 기본적인 것들은 이렇듯 놀이의 형태로 나타난다.아동들의

국내·외 STEAM 교육 사례 및 자료 분석을 통한 교육 연구 토대 마련 개정2009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주제 제시 및 적용..

이를 통해 사람과 컴퓨터가 어떻 게 그림을 인식하는지에 대한 비슷한 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며 호기심을 유발 한다.. 이를 바탕으로 좀 더 복잡한 그림을 주고 그림

1)본 제품 납품 중 관련공사 (건축, 전기, 위생설비 등)로 인하여 진행이 어렵다고 판단 되는 부분은 감독관에게 보고 협의하여야 하고 이미 시공된 건물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