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습도, 기류, 청정, 환기 등 의 조건을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하는 것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습도, 기류, 청정, 환기 등 의 조건을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하는 것 "

Copied!
8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공기조화시스템

(2)

 공기조화(Air conditioning): 실내 온

.

습도, 기류, 청정, 환기 등 의 조건을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하는 것

 냉난방도 일종의 공기조화임

 완전한 의미의 공기조화설비

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공기조화시스템이란?

(3)

 공조기의 4대 요소

 온도, 습도, 기류, 공기 정화

구 분 적정 범위

온 도 20-23℃(겨울), 23-26℃(여름) 습 도 50-60%(겨울 30% 이상)

기류속도 0.2-0.5m/s

공조기의 역할

(4)
(5)

습도조절

제습 가습

(6)

기류속도

(7)

공기정화

(8)

공조기

구조

(9)

공조기

- 여름철

(10)

공조기

- 겨울철

(11)
(12)

■ 공조기 구조

(13)

■ 열 교환기

(14)

■ 가습 및 제습 방법

(15)

냉난방기

구조

(16)

냉방/난방 부하량 산정법

▶ 열의 흐름 방향이 반대라는 것 외에는 냉방부하와 난방부하를 구하는 방식은 동일

(17)

1. 설계조건의 선정

▶ 외기조건

- 기상대에서 과거에 기록한 최고상태보다 5% 정도 낮은 값을 근거로 실내공간의 부하가 최대로 되는 시각의 외기조건을 사용

▶ 실내조건

- 주어진 외기조건 하에서 쾌감온도선도를 참고로 하여 실내조건이 결정 - 일반 공기의 경우 건구온도로 25~26℃, 상대습도로 50% 전후 값을 채택

2. 유리창에서의 복사열 산출

▶ 태양복사

- 직접 태양에서 일사로서 도달하는 것

▶ 천공복사

- 천공이 먼지나 오존 등에 부딪힌 태양광선이 반사하여 지상에 도달하는 것

(18)

3. 외벽이나 지붕에서의 전도열량 산출

▶ (외벽이나 지붕의) 면적 × (상당외기온도-실온) × (외벽이나 지붕의) 열통과율

※ 상당외기온도란???

- 태양으로부터의 복사열은 건물의 외벽에 부딪쳐 외벽의 온도를 높이므로 외기와 실내온도의 차이를 더욱 크게 함. 실제의 외기온도에 태양복사열에 의해서 외벽면에 생기는 온도 상승분을 가미하여 만든 것

4. 벽, 지붕이외의 전도열량 산출

▶ (유리, 칸막이 등의) 면적 × (실내외의) 온도차

× (유리, 칸막이 등의) 열통과율

(19)

5. 틈새 바람의 부하량 산출

▶ 여름철 실내의 부하가 최대로 되는 시각의 바깥 풍속은 보통 크지 않아 일반적으로 생략

▶ 적용 사례

- 실제 크기에 비해 창 면적이 넓은 실내에서 틈새바람의 부하가 점유하는 비율이 높을 것이라 예측되는 경우

- 회의실 등에서 담배연기 등을 강제적으로 배기하면 급기량보다 배기량이 많아 실내가 부압이 형성되는 경우

(20)

6. 도입외기량 산출

▶ 1인당 필요한 외기량에 재실인원수를 곱해서 구한 값과

도시에 따라 법규로서 정해진 최소외기량의 값을 비교한 뒤에 큰 쪽을 채용

7. 내부발생열 산출

▶ 실내에 있는 모든 발열체에서 발생되는 현열부하만을 계산

8. ②-⑦ 항의 소계 산출

▶ 지금까지 구해온 열 부하는 모두 현열

(21)

9. 안전율을 계산에 고려

▶ 덕트의 내외 온도차

▶ 시공불량에 의한 덕트의 공기누설 ▶ 예상치 못하게 발생한 부하

▶ 일반적으로 ⑧의 소계값에 안전율로서 10% 전후의 여유를 둠

(22)

10. 바이패스외기의 현열부하량 산출

▶ 바이패스 외기

- 외기 중 냉각코일에 접촉되지 않고 코일 사이를 그대로 통과하는 공기

▶ 바이패스팩터 (B.F.)

- 코일을 통과하는 공기 중 실제로 코일의 표면에 접촉하는 공기와 그대로 접촉하지 않고 지나쳐 버리는 공기와의 비율

예) 0.1 : 코일을 통과하는 공기 중 10%가 그냥 통과한다라는 의미

▶ (⑥에서 구한) 외기 × B.F. × (실내외의) 온도차 × 정수(0.29)

※ 정수, 즉 0.29의 의미

- 공기의 비열 0.24 kcal/kg • ℃를 표준공기(기압 760mmHg, 온도 20℃의 공기)의 비체적 0.83m3/kg로써 나눈 것

(23)

※ ①-⑨의 합계

☞ “실내현열부하”

※ ①-⑩의 합계

☞ “유효실내현열부하”

(24)

11. 실내잠열 부하량 산출

▶ 이제까지 계산에서 제외한 잠열부하를 모아 계산

가. 틈새바람의 열부하 : 보통 생략

- 열부하 = 틈새바람장 × (실내외의) 절대습도차 × 정수(720)

※ 정수, 즉 720의 의미

: 물의 증발 잠열 597 kcal/kg(물)을 표준공기의 비체적 0.83m3/kg (공기)로 나눔

나. 인간의 부하

- 사람 수를 기준으로 함 다. 기계 부하

- 실내의 기계기구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잠열을 산출

(25)

12. 안전율을 계산에 적용

▶ 보통 5-10%의 안전율을 계산에 적용

13. 바이패스 외기의 잠열부하량 산출

▶ 열부하 = 바이패스 외기량 × (실내외) 절대습도차 × 정수(720)

14. 유효실내전열 부하량 산출

▶ 유효실내현열부하 (①-⑩의 합계)

+ 유효실내잠열부하 (⑪-⑬의 합계)

(26)

15. 콘택트외기 부하량 산출

▶ 냉각코일에 의해 처리해야만 되는 장치부하

- 현열부하 = 외기량 × (1-B.F.) × (실내외의) 온도차 × 정수(0.29) - 잠열부하 = 외기량 × (1-B.F.) × (실내외의)절대습도차 × 정수(720)

※ 1-B.F. : contact factor

* 냉방부하의 소계

= 유효실내전열부하 + 장치부하

(27)

16. 그 외의 잡부하를 계산에 넣어 최종 냉방부하 산출

▶ 15에서 구한 냉방부하의 소계에 5%의 잡부하를 고려한 최종적인 냉방부하합계 산출

▶ 이것이 곧 냉방부하

(28)

● 송풍량 산출

유효실내현열부하 정수(0.29) × (실온-송풍온도)

유효실내현열부하

정수(0.29) × (1-B.F.) × (실온-장치노점온도)

※ 장치노점온도 : 냉각코일의 평균표면온도

=

=

(29)

● 왜 부하를 구하는 것일까?

▶ 실내의 부하 상태(현열과 잠열과의 비율)를 알기 위해 ▶ 실내에 송풍하는 공기의 양과 송풍온도를 알기 위해

▶ 송풍공기의 온도를 만족하도록 냉수 ․ 온수 혹은 증기를 공기조화기에 보내는 양을 구하기 위해

▶ 냉동기 ․ 보일러 ․ 냉수펌프 ․ 온수펌프 ․ 공기조화기 등 기기의 크기(용량)를 구하기 위해

▶ 송풍공기를 실내까지 보내기 위한 덕트의 크기를 알기 위해

▶ 냉동기 혹은 보일러로부터 공기조화기에 송수하기 위한 배관의

크기를 알기 위해

(30)

공기조화기의 종류

(31)

분 류 종류 세부 방식

열에너지 운반방식

전공기식 • 단일덕트 방식, 멀티존유닛 방식, 이중덕트 방식, 각층유닛 방식

전수 및 냉매

방식 • FCU (Fan Coil Unit) 방식 : 외기 공급되지 않고 열만 입,출입됨

공기-물 병용식 • 유인유닛방식, FCU 방식, 복사냉난방 방식

기기의 집중 및

분산 • 중앙식, 개별식 동시제어 규모

(온.습도 제어) • 전체(General) 제어, 존(Zone)제어, 개별(Local)제어

공기조화(AHU) 방식의 종류

(32)

■ 전수방식 (실내 환기 없음)

(33)

■ 냉매방식(실내 환기 없음)

(34)

■ 전공기 방식 (실내 환기 가능, 외기 유입정도)

(35)

■ 병용식 (공기-물)

(36)

■ 전공기 단일덕트 방식 – 일정풍량 방식

(37)

■ 전공기 단일덕트 방식 – 재열방식

(38)

■ 전공기 각층 유닛 방식

(39)

CO 2 센서를 이용한 실내 공조

: 유해물질의 제어

 CO2 는 실제 생활에서 CO, 미세분진의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

 비교적 다른 물질 센서에 비해 감도가 우수함

㎥/hr

ppm

(40)

■ 전공기 – 가변풍량(VAV: Variable Air Volume) 방식

 제어공간별 오염물질 발생량에 따른 제어는 가능함

 하지만 온도 제어는 어려움

 사무실 공조용으로 적합함

S S S

S

(41)

■ 전공기 멀티존(Multi-zone) 유닛 방식

• 각 존의 온도 설정값에 따라 냉온풍의 혼합비를 바꾸어 공급 가능 (온도 조절 가능)

• 급기덕트에 가변 풍량이 가능한 댐퍼 설치한다면 유해물질 발생량에 따른 공기량 조절가능

• 주택별 설정온도 변화와 유해물질 발생량에 따른 공기량 변화에 동시 대처가능

• 하지만 주택이 많아질수록 덕트의 분할수가 많아져야 하기 때문에 중소규모에 적합

유해물질 센서와 연결

사무실별 설정온도 센서와 연결

(42)

■ 전공기 이중덕트(Dual duct) 방식

 각 존의 온도 설정 값에 따라 냉온풍의 혼합비를 바꾸어 공급 가능 (온도 조절 가능)

 급기덕트에 가변 풍량이 가능한 댐퍼 설치한다면 유해물질 발생량에 따른 공기량 조절가능

 주택별 설정온도 변화와 유해물질 발생량에 따른 공기량 변화에 동시 대처가능

유해물질 센서와 연결

주택별 설정온도 센서와 연결

(43)

공기조화기 관리방법

(44)

외기 유입구로 부터 고농도의 오염물질 유입

외기 유입을 하지 않음으로 인해 실내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고농도로 정체되는 경우

필터, 덕트, 냉각 코일, 가습 장치 등의 청소 미비로 미생물 성장

부적절한 필터 선택 및 필터 청소와 교체를 하지 않아 필터 자체가 실내 오염원으로 작용

공조기에 의한 오염

(45)

외기 유입구

외기 유입구를 통해 오염물질 및 악취가 유입되지 않도록 해야 함

외기의 오염물질 농도

피해야 할 장소 : 대로변, 소각로 또는 보일러 주변, 냉각탑 주변 (레지오넬라균, 습도)

(46)

공장내 사무실

(47)

외기 급기구 위치 이동

(48)

급기 취출구의 속도 및 위치가 중요

사무실에 파티션 등이 기류를 방해하기 때문에 기류 흐름을 잘 고려해야 함

급기는 설계 유량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공간 전체에 효율적인 급기가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함

연기발생기를 이용한 테스트 등을 통해 기류 흐름을 조절할 필요가 있음

오염물질 발생원인 화장실 등은 음압으로 유지하는 것이 효율적임

. 배기 방법

(49)

취출구 형태

(50)

■ 취출구와 설치위치

(51)

■ 취출구와 흡입구의 상대위치

<유니버셜형 취출구와 언더컷> <아네모형 취출구와 그릴>

(52)

■ 창문 앞에 라디에터가 설치된 이유는?

(53)

새로운 급기 방법(바닥취출)

<전통적인 천장공조시스템에 의한 실내공기환경 분포>

(54)

■ 국내 S건물의 층고절감 설계 사례

(55)

■ 일본 이토키 빌딩의 층고절감 사례

(56)

■ 바닥공조시스템에 의한 실내공기환경 분포

(57)

AHU

실외기 및 보일러 외기급기

배기

주방 배기 (수동)

욕실 및 화장실

욕실 및 화장실

. 배기 방법

(58)

. 배기 방법

주방 배기 (수동)

AHU 실외기

및 보일러 외기급기

배기

주방 배기 (수동)

욕실 및 화장실

욕실 및 화장실

(59)

. 배기 방법

주방 배기 (수동)

AHU 실외기

및 보일러 외기급기

배기

주방 배기 (수동)

욕실 및 화장실

욕실 및 화장실

일반배기

(60)

일반배기

(61)
(62)

외기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

필터 : 저차압 고효율재질 선정

필터 관리 불량시 분진 재유입 및 악취 발생원으로 작용

필터 관리

(63)

일반적인 필터

(64)

필터 관리 예

완전오염 부분오염

(65)

특수 필터

(66)

2단 필터 시스템

(67)

전향 날개형 (forward curved blade fan)

특징

• 일명 sirocco fan (혹은 다익팬)이라고도 함

• 날개 깃이 회전방향으로 기울어져 있음

• 다(多)풍량 저(底)정압에 적합

• 동일 송풍량을 형성시키기 위한 임펠러 회전속도가 낮음

• 저소음

• 저가(低價) 제작

단점

• 높은 압력손실에 송풍량이 급격히 감소

• 다량의 분진 함유 공기에 적용 할 경우 효율 감소 및 소음/진동 초래

• 풍량이 증가하면 축동력이 급격히 증가하여 오버로드 (over-load) 발생

• 압력손실이 높은 경우 서어징(surging) 현상 발생

공조기용 팬

(68)

전향 날개형(시로코형)

- 필터 오염시 필터 차압이 증가하여 서징존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음

(69)

재향군인회병 (legionnaires’ disease)

– 1976년 7월 미국 필라델피아

– 미재향군인회 참석자 중 34명 사망

– 1977년 원인균을 레이오넬라균(Legionella Pneumophila)으로 규명

레지오넬라 질병

– 세균에 오염된 물방울의 흡입으로 감염

– 샤워기, 가습기, 냉각탑과 증발식 응축기 등에서 발생

– 비산중 세균생존률은 상대습도 65%이상이고, 직사광선을 받지 않으면 증가 – 예방은 냉각탑 소독이 필수적

– 소독 후 약 10일간 냉각탑 방치시 소독전 상태로 돌아감 – 주기적인 청소 및 소독이 반드시 필요함

냉각수 관리

(70)

■ 레지오넬리 질병 발생지역 및 전염원

*

발생지역 전염원

병 원

냉각탑 음료수 계통 호흡기 치료장치

샤워헤드

호텔 등 숙박업소

냉각탑 음료수 계통

에어컨 냉각탑 에어컨 음료수 계통

식료품 상점 식료품 진열 및 보관 MIST 기계

온 천 소용돌이 물거품

주거시설(아파트, 주 택)

에어컨 샤워헤드 분무식 가습기

* 1984~1959년 사이에 미국에서 발생한 것임

(71)

대책범위 균 수 소독 기준

바람직한 범위 1×102 미만 -

관찰을 요하는

범위 1×102 ~ 1×103 미만

 2~3주 후 재검사를 실시하여 균수의 상승 경향이 없는 것을 확인함

 상승할 경우 관리강화

주의를 필요로

하는 범위 1×103 ~ 1×105 미만  균수가 상승할 때 살균 내지는 청소 등의 대책 강구

긴급처치를

필요로 하는 범위 1×105 이상  즉시 화학적 청소 실시, 약제처리를 계속 하면서 균수 감시

■ 레지오넬라균의 소독기준(CFU/100ml)

*

* CFU : Colony Forming Unit - 레지오넬라증 방지지침, 1999년 11월, 일본 후생성감수

(72)

구분 처리방법 비고

염소처리  부식방지제와 함께 널리 사용

 온도가 높아지면 염소성분이 분해

 배관공의 부식, 발암성분 생성(THM)

 염소에 내성이 있는 레지오넬라균 발생이 가능

오존처리

 오존처리 후 염소처리 병행

 냉각수에 오존 0.2-0.3mg/L 첨가시 살균 효과

 독립 소독이 아니므로 비경제적인 방법임

자외선처

 탁도 및 화학성분에 따라 투과율 이 달라지기 때문에 여과후 자외 선 처리 실시

 레지오넬라균 및 기타 세균중 일부는 자외선 에 의해 손상 후 태양광에 의해 복구될 수 있음

 냉각탑 하부에 태양광 차광 기타방법  고온멸균법, 전기분해법 등

냉각탑 소독 방법

(73)

■ 레지오넬라 질병 방재를 위한 냉각탑 점검표

(74)

공조기 청소 방법

공조시스템 내부에 미생물 증식 및 필터를 통한 분진 유입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조시스템의

주기적인 청소 및 관리가 필요

(75)

규제완화 조치로 현재

시행되지 않고 있음

(76)
(77)

청소방법(에어를 이용)

(78)

청소 방법(솔을 이용)

(79)

청소 장비

(80)

TAB

TAB: 시험, 조정, 평가(Testing, Adjusting and Balance)기술

공기조화설비의 에너지 반송매체인 공기와 물에 대하여 시공된 설비시설에 출입하는 양이나 질이 설계 값에 합당한가를 시험 (testing)하고, 오차가 있는 경우 조정(adjusting)하여 최종적으 로 설비계통의 유량을 배분(balancing)하는 분야

(81)

시험, 조정, 평가란?

시험 (Testing) 각 장비의 정량적인 성능 판정

조정 (Adjusting) 터미널 기구에서의 풍량 및 수량을 적절하게 조정하는 작업

평가 (Balancing) 설계 치에 따라 분배 시스템 (주관, 분기관, 터미널)내에 비 율적인 유량이 흐르도록 배분

(82)
(83)

모사무실 공조 급기량 측정`

구 분 설계치(CMM) 측정치(CMM) 유량비(%)

공조급기

(AHU 095-10301)

33.6 12.3 36.6 276.7 30.2 10.9 310.0 42.5 13.7

(84)

구 분 구조물에 의해 눌림 밟혀서 찌그러짐 덕트에 의해 찌그러짐 덕트 탈락

사진

문제점

 대부분의 공조용 플렉시블 덕트가 구조물이나 가지덕트에 의해 눌러져 있어 과다 압력발생

 플렉시블 덕트가 가지덕트에서 떨어져 있음

 덕트 설계사양에 비해 효율이 14%에 불과

개선방안

 가지덕트나 급기구의 위치를 변경하여 플렉시블덕트가 눌려 과다 압력이 발생하지 않게 함

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파손되거나 탈락된 덕트를 확인하여 보수

 송풍기 점검 실시

■ 공조라인 문제점 및 개선방안

참조

관련 문서

• 서비스 전달조직이 관료제적인 특성이 강하여 전문성 발휘가 곤란한 경우 전문가로 하여금 조직을 떠나 개업하게 함으로 써 전문성 발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건을

개구부를 통 과하는 풍량 은 양쪽의압 력차에

(6) 차선이론(theory of the second best) : 파레토 최적의 조건을 모두 만족시킬 수 없다면, 가급적 많은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차선(second best)의 결과를

조명 디자이너라는 새로운 직업에 대하여 학생들이 알게 되고 악기제 작자 되어보기 등 다양한 직업세계를 경험해 보는 계기가 되며 , 창의적인 조형물과 조명

본 연구의 목적은 교실의 천장형 냉난방기의 최적의 난방효과와 설계 조건을 찾기 위해 천장형 냉난방기와 제어용 온도센서의 위치 최적화를 하고, 성층화를 해소하는

1)본 제품 납품 중 관련공사 (건축, 전기, 위생설비 등)로 인하여 진행이 어렵다고 판단 되는 부분은 감독관에게 보고 협의하여야 하고 이미 시공된 건물 및

현재 우리나라 에너지 소비 구조를 파악하고 에너지 별 특징과 역할 , 문제점과 효율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에너지 사용이 환경에 영향을 미칠

¡ 현재의 설계점에서 주어진 목적 함수와 제약 조건을 선형화 하여 선형 계획 문제(LP problem)로 만든 후,.. ¡ 이를 풀어 설계 변수의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