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화농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처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화농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처치"

Copied!
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114 ─ Corresponding Author : Young Lae Moon,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osun University

#588 Sosuk-dong, Tong-gu, Kwangju, 501-140, Korea

Tel : 062-220-3140, Fax : 062-226-3379, E-mail : orthoped@hitel.net

*본 논문은 조선대병원 2001년 임상학술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연구하였음.

大韓膝關節學會誌・第 1 3卷・第 1 Volume 13, Number 1, June 2001

서 론

화농성 슬관절염의 치료로 사용되고 있는 관절경적 세척술 및 변연절제술은 기술적으로 쉽고 효과가 인 정 되고 있기에 자주 사용되고 있다3 , 8 ).

본교실에서는 급성 화농성 슬관절염으로 진단받고 치료한 2 5례를 대상으로 관절경적 세척술 및 변연절제 술을 시행하고 적혈구 침강속도 및 C -반응성 단백수치 의 정상화와 관절운동범위 회복에 걸리는 시간을 관찰 하여 그 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및 방법

총 2 5례 중 남녀 비율은 2 . 1 : 1로 남자에서 더 많 이 발생하였다. 환자의 연령은 3세에서 6 8세까지 다 양한 분포를 가지고 있었다. 추시 기간은 1 6개월에 서 3 7개월로 평균 2 3 . 7개월이었다.

발병에서 내원까지의 기간은 최단 1일에서 최장 4 5일까지로 평균 1 0일이었다. 슬관절 주변부 외상의 병력이 있는 경우가 1례, 침술시료 후 발병한 경우가 3례, 스테로이드 주사 후 발생한 경우가 2례 등이었 고, 혈행성으로 추정되는 경우가 1 9례였다.

내원 당시 이학적 검사상 관절의 부종, 국소 발열, 운동제한 및 전신 발열을 호소하였으며, 방사선 소견

화농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처치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문영래・유재원・심형준

= 국문 초록 =

목적 : 화농성 슬관절염에 대한 관절경적 처치를 시행하고 그 효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5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증상 발현으로부터 수술 시행까지의 기간은 1일에서 4 5 일로 평균 1 0 . 2일이 소요되었다. 수술 시 관절경하에서 괴사된 활액막 제거술과 세척술을 동시에 시행하였 다. 정맥내 항생제 투여 기간은 평균 1 0 . 3일이 소요되었고 경구 항생제 투여는 정맥내 항생제 투여 종료일 로부터 3주를 추가하여 투여하였다.

결과 : 추시 기간은 1 6개월에서 3 7개월로 평균 2 3 . 7개월이었다. 25례 중 2 3례에서 동통이 없는 관절 운 동으로 발병 전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었으며 나머지 간경변증 1례와 신부전증 1례에서는 감염상태가 조절 되지 않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결론 : 화농성 슬관절염에 대한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 및 세척술은 타 술식에 비하여 관절 내부의 병변을 관찰하면서도 주변의 구조물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좋은 술식 중의 하나로 사료된다. .

색인단어 : 슬관절, 화농성 관절염, 관절경, 세척술, 변연 절제술

(2)

상 대부분 정상이었으나 2례에서 저명한 관절강 확 대, 연부종창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관절 천자에 서 혼탁하고 점도가 떨어진 천자액 소견이 보이고, 혈액 검사상 다형핵 백혈구가 나오면 화농성 관절염 으로 간주하고 응급으로 당일 관절경 세척술 및 변연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이때 관절경을 통해 슬관절 내부를 검사후 괴사된 활액막 조직과 부유물을 제거하면서 9 , 0 0 0 ~ 1 0 , 0 0 0 c c의 생리식염수로 세척 후 수술을 마치면 배 액을 위해 200cc 혈 진공 낭( H e m o v a c )을 삽입하였 다. 술후 4 8시간에서 7 2시간 사이에 배출액이 1 0㎖

이하로 줄어들고 삼출액이 투명해지면 혈 진공 낭을 제거하였다. 이 때 별도의 균 배양검사는 시행하지 않았다. 술 후 2 ~ 3일간 부목 고정 후 능동 관절 운 동을 시행하고, 정맥내 항생제 투여 기간은 환자의 전신 및 국소 증상이 완화되고 적혈구 침강 속도와 C -반응성 단백질 수치중 한 요소가 정상화 될때까지 평균 1 0 . 3일간 투여하였으며, 다음 경구 항생제로 대치하여 3주간 추가로 투여하였다.

결 과

본 연구의 전례에서 시행했던 관절 천자액은 혼탁 하고 점도가 저하된 전형적인 화농액의 소견을 보였 으며, 활액 분석상 2 2례에서 백혈구 수가 8 0 , 0 0 0 /㎖

이상으로 나타났고, 활액막 조직 검사상 다형핵 백혈 구의 침착 소견을 보였으며, 관절경 소견상 과간 절 흔 주변의 관절연골에 혈관 침착과 슬개상와( s u p r a- patellar pouch)와 내외측 연골판 기저부에서 괴사 된 농양 물질과 활액막을 관찰할 수 있었다.

배양 검사상 1 3례( 5 2 % )에서 양성의 소견을 보였으 며 7례에서 황색 포도상 구균으로 가장 많았고, 연쇄상 구균 4례, 엔테로 박터 1례, 녹농균 1례로 나타났다.

내원 당일 검사한 적혈구 침강속도와 C -반응성 단 백검사는 전례에서 증가되어 있었으며 이중 적혈구 침강 속도의 평균수치는 8 7㎜/ h r이었고 C -반응성 단백질검사는 평균 7 . 4 3㎎/㎗수치를 보였다.

시술 후 혈액 검사상 적혈구 침강 속도의 정상화는 1 5 . 7일, C-반응성 단백은 평균 1 2 . 3일이 소요되었 다. 최종 추시 상 2 3례( 9 2 % )에서 발병 전과 같은 상태로 복귀할 수 있었다. 감염의 치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전신 병변으로는 당뇨병이 5례로 가장 많았 고 신부전증 3례, 말기 간경변증 환자 1례가 있었으 며, 이중 만성 신부전증 환자 1례와 간경변증 환자 1 례에서 감염상태가 조절되지 않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없었다.

고 찰

화농성 관절염에 대한 관절경적 세척술은 관절내 감압을 얻을 수 있으며, 괴사 조직을 제거함으로써 관절연골의 파괴를 막아주는 효과를 갖는다1 , 3 , 6 - 9 ). 관 절경하 세척술은 특히 혈행성의 경우에 효과적이라 하였는데7 ), 본 연구에서도 혈행성의 경우 적혈구 침 강 속도의 정상화가 빠름을 관찰할 수 있었다.

화농성 슬관절염의 임상적 증상으로는 동통, 압통, 부종, 국소발열, 관절 운동 장애, 전신 발열 등을 관 찰할 수 있다3 ). 본 연구의 경우 환자 대부분이 오한 과 관절부 동통 및 부종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화농성 관절염이 의심되면 시행하는 관절 천자는 중요한 진단 방법으로 천자액 검사 상 백혈구 수가 5 0 , 0 0 0 /㎣ 이상과 함께 다형핵 백혈구 수의 비율이 9 0 %로 증가하게 되는데, 면역 능력이 떨어진 환자라 면 2 8 , 0 0 0 /㎣ 이하의 백혈구 수를 보일 수도 있다5 , 9 ). 본 연구의 경우에서는 2 2례( 8 8 % )에서 5 0 . 0 0 0 /㎣ 이 상의 백혈구 수를 보였다.

적혈구 침강속도와 C -반응성 단백의 정량 검사를 시행하면 7 0 ~ 8 0 %이상이 증가한다고 하였으며 치료 에 대한 반응을 평가할 때 역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 례에서 증가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원인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가 가장 흔 하며 그 다음으로 연쇄상 구균으로 알려져있다4). 본 연구에서는 1 3례( 5 2 % )에서 배양 검사상 양성의 소 견을 보였으며 이중 7례에서 황색 포도상 구균으로 가장 많았고, 연쇄상 구균 4례, 엔테로 박터 1례, 녹 농균 1례로 나타났다.

수술 시 활액막 제거는 부분적 또는 괴사된 조직만 을 제거하는 것으로 되어있으며 저자들의 경우 괴사된 활액막 만을 제거하였다. 관절강 세척시 3 , 0 0 0 ~ 20,000cc 까지의 생리 식염수나 R i n g e r’s lactate 용액을, 각 구획 모두에 혼탁한 시야가 맑아질 때까지 높은 압력으로 주입하는데1 , 3 , 6 ), 저자들의 경우 주입기 ( p u m p )의 압력을 높이고 9 , 0 0 0 ~ 1 0 , 0 0 0 c c의 생리 식염수로 세척하였다.

항생제는 혈액 균 배양 결과에 따른 항생제를 적혈 구 침강 속도 및 C -반응성 단백이 정상화 될 때 까 지 정맥 투여하고 다음 경구 항생제로 전환을 권유하 고 있으며 최근에는 정맥내 투여기간이 단축되는 경 향이 있다2 ).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전신 및 국소 증 상이 완화되고 적혈구 침강 속도와 C -반응성 단백질 수치중 한 요소가 정상화 될 때까지 평균 1 0 . 3일 동

─ 115 ─

— 문영래 외 : 화농성 슬관절염의 관절경적 처치 —

(3)

─ 116 ─

— 대한슬관절학회지 제 13 권 제 1 호 —

안 정맥내 항생제 투여하고, 다음 경구 항생제로 대 치하여 추가로 3주간 투여하였다.

결 론

본 교실에서는 화농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세척술 및 변연 절제술 후 배농술을 시행함으 로써 좋은 결과를 얻었으며, 관절경하 처치술은 시술 이 쉽고 관절내 병변의 관찰이 가능하여 예후를 예측 할 수 있어 수술 자체의 합병증은 줄이면서 좋은 결 과를 기대할 만큼 권장할 만한 방식중의 하나로 사료 된다.

REFERENCES

01) Gainor BJ : Instillation of continuous tube irrigation in the septic knee at arthroscopy. A technique. Clin Orthop, 183:96-98, 1984.

02) Goodman SB, Chou LB and Schurman DJ : Man- agement of pyoarthrosis. In : Chapman MW ed.

Operative Orthopaedics, 3rd ed, Philadelphia, J B Lippincott co :3569-3570, 2001.

03) Ivey M and Clark R : Arthroscopic debridement of the knee for septic arthritis. Clin Orthop, 199:201- 216,1985.

04) Kelly PJ, Martin WJ and Coventry MB : Bacteri- al(suppurative) arthritis in the adult. J Bone Joint Surg, 52A:1595-602, 1970.

05) McCutchan HJ and Fisher RC : Synovial leukocy- tosis in infectious arthritis, Clin Orthop, 241:245, 1989.

06) Ohl MD, Kean JR and Steensen RN : Arthroscop- ic treatment of septic arthritic kne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Orthop Rev, 20:894-896, 1991.

07) Thiery JA : Arthroscopic drainage in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a multicenter study. Arthroscopy, 5: 65- 69, 1989.

08) Travers V, Norotte G, Augereau B and Gaudillat C : Arthroscopy in the treatment of primary acute pyogenic arthritis of the knee in adults. J Pediatr Orthop, 7:647-651, 1987.

09) Vincent GM and Amirault JD : Septic Arthritis in the Elderly. Clin. Ortho., 251 :241-245, 1990.

─ Abstract ─

Arthroscopic Management of The Septic Gonitis

Young Lae Moon, M.D., Jae Won You, M.D., Hyoung Joon Shim,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osun University

Purpose : To determine the place and the limit of the arthroscopic management of septic gonitis.

Materials and Methods : Twenty-five patients were treated for pyogenic gonitis. The duration of symp- toms prior to arthroscopic debridement was 10.2 days(range, one to 45 days). The surgical treatment con- sisted in a arthroscopic irrigation with debridement of infected necrotic tissue, and the medical treatment consisted in a intravenous antibiotics for an average duration of 10.3 days, followed by oral treatment for 3 weeks.

R e s u l t s : The average follow up was 23.7 months(15 to 37). Twenty-three out of 25 patients had regained their activity as painless full range of motion.

Conclusion : Arthroscopic drainage is a valuable procedure for the treatment of the septic gonitis.

Arthroscopic drainage is a method that has proved effective, with minimal morbidity, in attempts to cure septic arthritis of the knee

Key Words : Knee, Septic arthritis, Arthroscopy, Irrigation, Debridement

참조

관련 문서

Grunder U, Hürzeler MB, Schüpbach P, Strub JR: Treatment of ligature-induced peri-implantitis using guided tissue regeneration: A clinical and histologic study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water is an economical green technology, however, the effluent water quality of a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i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basic data for the activation of aromatherapy pimple treatment program with the pimple skin care and treatment by testing the actual

Clinical evaluation of the use of decalcified freeze-dried bone allograft with guided tissue regen- eration in the treatment of molar furca- tion invasions.. Wallace SC,

In this study, it look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cs,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with HRT for advanced sewage treatment in field plant

A comparison of the cleaning efficacy of short-term sonic and ultrasonic passive irrigation after hand instrumentation in molar root canals.. Ultrasonic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arthroscopic-assisted implantation of Cartistem®, an articular cartilage

Direct potable reuse (DPR): The introduction of reclaimed water (with or without retention in an engineered storage buffer) directly into a drinking water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