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연구 목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2. 연구 목적"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공공병원의 공공보건의료사업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담당자들의 교육요구도

황은정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팀 선임연구원

Educational Needs for Consideration in Developing Curriculum for Staff in Charge of Public Health Services in Public Hospitals

Hwang, Eun Jeong

Senior Researcher, National Medical Center, Public Health Policy Development Team, Seoul, Korea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assess the educational need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curriculum for staff in charge of public health services in public hospital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staff in charge of public health services in 130 public hospitals. The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which analyzed the relation of ‘required com- petence level’ and ‘present competence level’, was utilized.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07 using a structure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return rate was 66.9%. The Cronbach’s alpha score was 0.959. Results: The mean scores for ‘required competence level’, ‘present competence level’ and Borich’s need were 4.02, 3.44, and 2.30 respectively.

According to public health service items, ‘strategies to recognize the present condition and analyze problems’ had the high- est score for Borich’s need, but ‘establishment of annual or monthly objectives’ had the lowest score for Borich’s need. Con- clusion: Education was found to be very important for staff carrying out public health services. Ultim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tilized to develop education program for staff carrying out public health services in public hospitals.

Key words: Education, Need, Health services, Public hospital

주요어: 공공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 교육프로그램, 교육요구도

*본 논문은 2007년도 보건복지부 연구비 지원사업의 일부를 활용하여 작성한 것임.

*This article is a revision of the study supported from Ministry of Health & Welfare in 2007.

Address reprint requests to: Hwang, Eun Jeong

National Medical Center, Public Health Policy Development Team, 243 Eulji-ro, Jung-gu, Seoul 100-799, Korea Tel: +82-2-2260-7246 Fax: +82-2262-4740 E-mail: eejhhh@naver.com

투고일: 2010년 9월 27일 심사의뢰일: 2010년 10월 5일 게재확정일: 2011년 6월 7일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공공병원은 공공보건의료사업을 통해 지역주민에게 진료업무 외에 의료보호환자를 위한 진료, 공공진료사업 등 민간병원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공익적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한다(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KHIDI], 2001). 공공병원은 ‘공공보건 의료에관한법률’에 의거 공공보건의료사업에 대한 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매년 그 시행결과를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보고하게끔 되

어 있다(Public Health Act, 2010). 동법 제5조에 의하면 공공보건의료 기관이 우선 제공해야 할 7가지 보건의료를 제시하고 있다. 1) 의료 보호환자 등 취약계층에 대한 보건의료, 2) 노인·장애인·정신질환 자 등 타 분야와의 연계가 필수적인 보건의료, 3) 감염병 예방 및 진 료, 4) 아동과 모성에 대한 보건의료, 5) 응급환자의 진료, 6) 민간보 건의료기관이 담당하기 어려운 예방보건의료, 7) 기타 보건의료기 본법 제15조의 보건의료발전계획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 는 보건의료로 되어 있다. 이러한 공공보건의료사업의 궁극적인 목 적은 국민들에게 양질의 공공보건의료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 하여 국민보건의료 향상에 기여하기 위함이다(Ministry of Health &

(2)

Welfare [MH&W], 2005). Park (2002)에 의하면 공공보건의료사업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질병예방과 건강증진을 제공함으로써 의료 수요를 감소시켜 의료비 증가를 억제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하 였다.

공공보건의료사업 계획 수립은 2000년 제1기 공공보건의료계획 (2001-2005년)을 시작으로 하여 현재 제2기 공공보건의료계획이 2010년까지 시행 중에 있다. 제2기 공공보건의료계획 지침에 따르면 공공보건의료계획에는 기관현황, 지역현황과 보건의료수급전망, 사업추진계획이 포함되게 되어 있다(MH&W, 2005). 매년 보고하는 시행결과도 기본적으로 이에 따라 보고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공 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로 하여금 계획수립, 수행, 평가, 환류의 순환과정을 보다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지지해 줌으로써 사업 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공공보건의료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획, 사업수행, 평가 전 영역에 걸쳐 전문가 수 준의 높은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이를 수행하는 담당 자들에게 교육은 매우 필수불가결한 요소라 할 것이다. Strohschein, Hagler과 May (2002)에 의하면 의료기관 전문인력들은 전문적 실무 를 위해서뿐 아니라 전문성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도 교육은 필요하 다 하였다. 하지만 많은 연구에서 우리나라 공공보건의료기관 직원 들에 대한 질적인 전문교육 부족에 대해서 지적하고 있다(Kim, Kim, Chung & Choi, 2002; Park et al., 2004). 공공병원 공공보건의료 사업 담당자들의 교육과 관련해서도 많은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 다. 보건복지부의 공공보건의료사업 평가결과에 의하면 미흡한 부 분에 대한 지적사항이 전혀 개선이 되지 않고 매년 반복되는데, 이 러한 현상은 담당자의 빈번한 교체와 교육 부족에서 기인한 것으 로 보고하고 있다(MH&W, 2007).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보고서에 의 하면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 중 전혀 공공보건의료사업 관련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다고 답한 경우가 62명(62.0%)으로 2/3를 차지 하였으며,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한 경우도 대부분 지침 설명 회 수준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답하였다(KHIDI, 2007). 또한, 응답자들은 주기적 체계적인 교육을 제공해 줄 것으로 요구하여 직무관련 높은 교육 요구를 보여주었다. Kim, Park, Yun과 Han (2004) 의 연구에 의하면 병원 종사자들의 교육요구와 직무만족도 간에 정 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그러므로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 들의 높은 교육 요구는 직무만족과 연결됨으로써 이를 충족시켜주 어야 할 것이다.

이렇듯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은 공 감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을 위한 체 계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교육프 로그램 개발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의 지식정도와 교육요구도에 대한 연구는 거의 발견하기 어려웠다.

Kister과 Gritzmacher (1986)는 교육요구도 조사는 교육과정 개발의 첫 단계인 개념화 부분에서 주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하였다.

교육요구도는 바라는 상태(what should be)와 현재의 상태(what is) 간의 격차(gap) 또는 차이(discrepancy)를 의미한다(Kaufman, 1972).

또한, Altschuld, Talylor와 Canelos (1982)는 인지 필요평가를 현 상태 와 바람직한 상태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그 차이점의 크기에 따라 순위를 정하는 것이라 하였다. 현재 대부분 관련분야 교육요구도 연구에서는 대상자들의 현재 지식정도와 교육요구도를 분리하여 단편적으로 조사되고 있었다. 특히, 대부분 교육요구도 조사는 대 상자들의 직접적인 답변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는 교육 대상자 들의 현 지식정도와 요구되는 지식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으며, 따라서, 이 두 변수 간의 차이를 통해 산정되는 교육요구도 분석은 어려울 것이다.

Borich (1980)는 두 상태 간의 차이를 활용하여 Borich’s Needs As- sessment Model를 개발하였다. Borich의 교육요구도 분석은 요구되 는 능력수준(Required Competence Level)과 현재의 능력수준(Pres- ent Competence Level)의 차를 각 사례마다 모두 합산하기 때문에 결 과값의 범위가 넓어져 항목들 간 변별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Baeg, 2003). 현재 Borich 모형은 교육학, 공학, 음악학 등 다양한 학 문 분야에서 교육대상자들에게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 한 교육요구도 연구에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Cho, 2009; Jung, 2008;

Kim, Choi, & Kim, 2008; Kim, Jung, Lee, & Choi, 2001; Lee, 2009).

교육대상자들의 교육에 대한 요구가 파악되지 않고서는 교육의 효과적인 결과를 기대하기 힘들 것이다. 더욱이, 공공보건의료사업 은 의사, 간호사 등 다양한 전문직종들이 참여하며, 팀형태로 수행 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전문직종과 직급 들에게 보다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하기 위해서 는 이들의 다양한 교육요구도를 조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궁극 적으로 본 연구는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에게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병원에 근무하는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 자들을 대상으로 공공보건의료사업과 관련하여 스스로가 인지하 는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현재 능력수준을 조사하여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궁극적으로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에게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고자 한다.

첫째, 공공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의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담당자 전문직종별(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행정직) 교육요 구도를 분석한 후 차이를 비교한다.

(3)

셋째, 담당자 직급별(팀장 이상, 팀원) 교육요구도를 분석한 후 차 이를 비교한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을 활용하여 공공병 원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의 업무관련 교육요구도를 확인하 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의 교육요구도를 분석 하기 위하여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을 사용하였다. 이는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의 현 지식정도와 바라는 지식 수준 간 의 차이를 이용하여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방식이다. 자세히 설명 하면,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이 스스로 인지하는 ‘요구되는 능 력수준 Required Competence Level, RCL’과 ‘현재 능력수준 Present Competence Level, PCL’을 각 조사하여 Borich의 수식을 적용하여 교 육요구도를 산정하는 방식이다. 이때 ‘요구되는 능력수준’ 점수가 높 을수록, ‘현재 능력수준’ 점수가 낮을수록 교육요구도 값은 커진다.

따라서 교육요구도 값이 클수록 교육요구도가 높은 문항에 해당된 다.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Borich, 1980)은 다음과 같다.

식에서 RCL (Required Competence Level)은 응답자가 생각하는 요구되는 능력수준이고, PCL (Present Competence Level)은 응답자가 현재 알고 있는 수준이다. Σ (RCL—PCL)은 각 사례마다 두 수준의 차이를 모두 합산한 값이다. RCL은 각 요소에 대하여 전체 응답자 가 생각하고 요구하는 능력 점수의 평균값이다. 이 둘의 값을 곱한 다음, 사례 수(N)로 나눈 값을 교육요구도로 구한 것이다. 이 공식에 의하면 내가 생각하는 능력 수준의 값 RCL이 클수록, 또는 현재 알 있는 능력 수준의 값 PCL이 적을수록 교육요구도 점수는 크게 나오게 된다.

2.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연구대상자는 2006년 기준 군병원을 제외한 전국 130개 공공병 원에 근무하는 공공보건의료사업 구성원이었다. 공공보건의료사

업 구성원인 팀장, 직원 등 모두 동일한 설문지를 각각 답하도록 하 였다. 공공보건의료사업 구성원의 직급별 전문직종을 보면, 팀장급 이상은 행정직이 15명으로 가장 많았고, 의사와 간호사가 각 4명 순 으로 많았다. 직원은 행정직이 34명, 간호사 17명, 의료기사 6명 순 으로 많았다. 전국 130개 공공병원은 크게 3가지 즉, 국립병원, 시도 립병원, 기타 병원으로 분류하였다. 국립병원은 총 24개소인데, 국 립대병원 12개소, 국립정신병원 5개소, 국립결핵병원 2개소, 국립의 료원, 국립암센터, 국립재활원, 원자력병원, 국립소록도병원 각 1개 소가 포함되었다. 시도립병원은 총 84개소인데, 지방의료원 34개소, 시도립 노인병원 34개소, 시도립 정신병원 12개소, 시립병원 4개소 가 포함되었다. 기타 병원은 총 22개소인데, 적십자병원 6개소, 산재 병원 9개소, 보훈병원 5개소, 경찰병원 1개소, 공단일산병원 1개소 가 포함되었다. 전체 공공병원의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 앞으로 설문지를 소포와 이메일을 통해 배포하였다. 연구의 취지에 대해 서 면으로 설명한 후 자료 수집이 이루어졌다. 기간 내 회수되지 않은 병원에 대해서는 전화를 통해 연구의 취지를 충분히 설명하여 동 의를 득한 후 회수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자료 수거 기간은 2007 년 10월부터 11월까지였다. 전체 130개 공공병원 중 응답한 기관은 87개소(66.9%)이며, 응답자는 총 104명이었다. 이 중 팀장 이상은 28 명(27.0%), 직원은 76명(73.0%)이었다.

3. 연구 도구

공공보건의료사업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한 공공보건의료사업 관련 교육요구도 연구 도구는 제2기(2006-2010) 공공보건의료사업 지침(MH&W, 2005)을 바탕으로 하여 관련 전문가, 학계 교수들, 본 연구자에 의해 개발되었다. 공공보건의료사업 관련 교육요구도 연 구 도구는 6개 분야와 22항목으로 구성되었다. 6개 분야는 지역사 회 진단, 사업선정, 사업목표 수립, 사업과정, 지역사회 자원연계, 사 업평가로 구성되었다. 각각의 분야를 구성하는 22개 항목은 지역사 회 진단에는 자료 수집 방법, 지역보건의료현황 및 문제점 분석으 로 구성되었다. 사업선정에는 공공보건의료사업의 개념 및 종류, 우 리병원의 설립목적 및 기능에 부합한 공공보건의료사업 선정, 우리 병원의 공공보건의료사업이 담당해야 할 지역범위 및 지역 내 역할, 우리지역의 공공보건의료사업 및 정책방향, 우리 지역의 공공보건 의료 수요에 부합한 사업 선정, 사업선정 시 우선순위 적용방법, 주 요사업 선정방법으로 구성되었다. 사업목표 수립에는 목적 및 목표 개념(투입, 산출, 결과 목표), 목표수립(투입, 산출, 결과 목표로 분류 하여 사업목표 수립), 연차별 또는 월별 사업목표 수립으로 구성되 었다. 사업과정에는 사업수행 시 현황 파악 및 문제점 진단 분석 기 술,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전략, 사업진행관리, 사업홍보 및 마케팅, Borich’s Model

RCL (Required Competence Level): 요구되는 능력수준 PCL (Present Competence Level): 현재 능력수준 RCL : 각 영역별 요구되는 능력수준의 평균점수 n : Total cases

= {Σ(RCL−PCL)}× RCL n

(4)

재정 관리로 구성되었다. 지역사회 자원 연계에는 지역사회 자원 발 굴, 자원의 효과적 연계 전략으로 구성되었다. 사업 평가에는 공공 보건의료사업 평가이론, 평가의 실제, 평가결과 적용 및 환류방법 으로 구성되었다.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현재 능력수준’은 각 Likert 5점 척도로 구성되었다. ‘요구되는 능력수준은 전혀 필요 없다, 필요 없다, 보통이다, 필요하다, 매우 필요하다로 구성되었다. ’현재 능력 수준은 전혀 모른다, 모른다, 보통이다, 안다, 잘 안다로 구성되었다.

연구도구의 타당도는 공공보건의료사업 지침개발 및 평가에 참여 한 경험이 있는 교수, 관련 분야 연구원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 으로부터 설문지 문항별로 3회에 걸쳐 타당도를 검토 받고 내용타 당도를 확보하였다. 신뢰도는 전체적으로 Cronbach’s alpha .959이었 으며, 각 분야별로는 지역사회 진단 .852, 사업선정 .903, 사업목표 수 립 .942, 사업과정 .900, 자원연계 .918, 사업평가 .957로 나타났다.

4. 자료 분석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WIN 12.0 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 하였다.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기술통계로 분석하였다.

2) 연구 대상자들의 전문직종별(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행정직) 요구되는 능력수준, 현재 능력수준, 교육요구도 점수와 순위를 확 인한 후 ANOVA로 차이를 비교하였다.

3) 연구 대상자들의 직급별(팀장 이상, 직원) 요구되는 능력수준, 현재 능력수준 교육요구도 점수와 순위를 확인한 후 t-test로 차이 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가 54명(51.9%), 여자는 50명 (48.1%)이었다. 연령은 평균 38.8세였으며 23세에서 57세까지였다. 최 종 교육 형태는 대졸이 53명(51.0%)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으로 는 석사졸업이 22명(21.2%)으로 많았다. 전문직종은 행정직이 57명 (54.8%)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으로는 간호사가 21명(20.2%)으 로 많았다. 직급은 직원이 57명(54.8%)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다음 으로는 팀장(과장)급이 22명(21.2%)으로 많았다. 현재 병원에서의 근무기간은 평균 116개월(9.7년)이며 3개월에서 353개월(29.4년)까지 였다. 공공보건의료사업을 담당한 기간은 평균 28.1개월(2.3년)이며, 1개월에서 94개월(7.8년)까지였다. 병원의 소재 지역 유형별 연구대 상자 수는 중소도시 소재 병원 직원이 58명(55.8%)으로 가장 많았으

며, 그다음으로는 서울 소재 병원 직원이 20명(19.2%)으로 많았다.

병원특성별 연구대상자 수는 국립병원이 9명(8.6%), 시도립 병원이 71명(68.3%)이며, 기타 공공병원은 24명(23.1%)이었다(Table. 1).

2.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을 활용한 연구 대상자들의 교육요구도 분석결과

공공보건의료사업 관련 요구되는 능력수준, 현재 능력수준, Bo- rich 모형을 적용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공보건의 료사업 담당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평균 요구되는 능력수준은 4.02 점, 현재 능력수준은 3.44점, Borich 모형을 적용한 교육요구도는 2.30점이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공공보건의료사업의 사업선정 분야의 ‘우리병원의 설립목적 및 기능에 부합하는 공공보건의료사 Table 1. Characteristics of Study Respondents

Variables n % M±SD Range

Gender

Male 54 51.9

Female 50 48.1

Age in years 38.8±7.6 23-57

Education

High school or below 4 3.8

College 20 19.2

University 53 51.0

Master 22 21.2

Doctoral degree 5 4.8

Disciplines

Physicians 8 7.7

Nurses 21 20.2

Health technicians 11 10.6

Office workers 57 54.8

Others 7 6.7

Position

Head of division 6 5.8

Team leader 22 21.2

Senior staff 17 16.3

Staff 57 54.8

Others 2 1.9

Period in present work area (months) 116.4±92.4 3-353 Period for present task (months) 28.1±23.0 1-94 Location

Capital City (Seoul) 20 19.2

Large cities 16 15.4

Middle-sized cities 58 55.8

Rural areas 10 9.6

Type of Hospital

National Public Hospitals 9 8.6 Local based Public Hospitals 71 68.3 Other Public Hospitals 24 23.1

(5)

업 선정’ 이 요구되는 능력수준 4.28점으로 가장 높았고, 현재 능력 수준도 3.84점으로 가장 높았다. Borich 모형을 적용한 교육요구도 는 ‘사업수행 시 현황파악 및 문제점 진단분석 기술’이 3.23점으로 가장 높았다. 반면에 요구되는 능력수준에서 평가분야의 ‘공공보건 의료사업 평가이론’이 3.70점으로 가장 낮았다. 현재 능력수준에서 는 평가분야의 ‘평가결과 적용 및 환류방법’이 3.15점으로 가장 낮 았다. Borich 모형을 적용한 교육요구도는 ‘연차별 또는 월별 사업목 표수립’이 0.97점으로 가장 낮았다(Table 2).

1)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의 전문직종별(의사, 간호사, 의료 기사, 행정직) 교육요구도 분석결과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의 전문직종별 4가지 즉, 의사, 간호 사, 의료기사, 행정직으로 구분하여 요구되는 능력수준, 현재 능력 수준, Borich 모형을 적용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Table 3). 그 결 과, 공공보건의료사업을 담당하는 의사가 인식하고 있는 평균 요구 되는 능력수준은 3.89점, 현재 능력수준은 3.22점, Borich 모형을 적

용한 교육요구도는 2.86점이었다. 공공보건의료사업을 담당하는 간 호사가 인식하고 있는 평균 요구되는 능력수준은 4.18점, 현재 능력 수준은 3.41점, Borich 모형을 적용한 교육요구도는 2.74점이었다. 공 공보건의료사업 담당 의료기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평균 요구되는 능력수준은 3.44점, 현재 능력수준은 3.25점, Borich 모형을 적용한 교육요구도는 0.70점이었다.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 행정직들이 인 식하고 있는 평균 요구되는 능력수준은 3.93점, 현재 능력수준은 3.37점, Borich 모형을 적용한 교육요구도는 2.28점이었다. 4집단 간에 교육요구도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공 공보건의료사업 관련 교육요구도는 의사(2.86±1.43)가 가장 높은 반 면에 의료기사(0.70± 0.90)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항목별로 교육요구도를 살펴보면 의사는 ‘사업홍보 및 마케 팅’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은 반면에 ‘사업선정 시 우선순위 적용방법’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낮았다. 간호사와 의료기사의 경우는 ‘지역사회 현황 및 문제점 분석’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은 반면에 ‘공공보건의료사업 개념 및 종류’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Table 2. Required Competence Level (RCL), Present Competence Level (PCL) and Educational Needs (Need) Related to Public Health Services

Category Variables RCL PCL Need

Rank M±SD Rank M±SD Rank M±SD

Overall - 4.02±0.58 - 3.44±0.73 - 2.30±0.89

Community assessment

1. Data collection 4 4.15±0.73 6 3.53±0.71 8 2.54±0.78

2. Analysis of present health conditions and problems in the community 2 4.18±0.73 11 3.46±0.75 3 3.02±0.85 Selection

of services

3. Acknowledgement of concepts and types of public health services 17 3.97±0.74 3 3.60±0.72 21 1.43±0.83 4. Selection of public health services corresponding to established

objectives and function of the hospital 1 4.28±0.69 1 3.84±0.70 16 1.89±0.75 5. Range of community and roles in area to be provided with public

health services by the hospital

5 4.14±0.64 2 3.71±0.69 19 1.70±0.71 6. Selection of adequate public health services and health policy for the

community 8 4.05±0.69 9 3.48±0.66 13 2.24±0.75

7. Selection of adequate public health services corresponding to needs of the community

6 4.10±0.73 12 3.42±0.71 6 2.74±0.89

8. Priority in selection of public health services 14 4.00±0.78 4 3.55±0.70 18 1.75±0.85 9. Selection of primary health services 8 4.05±0.75 9 3.48±0.72 14 2.22±0.95 Objective of

services

10. Concept of goal and objectives (input, process, output) 15 3.98±0.80 5 3.54±0.70 17 1.80±0.93 11. Establishment of goal and objectives 8 4.05±0.77 8 3.51±0.71 15 2.10±0.81 12. Establishment of annual or monthly objectives 20 3.84±0.88 6 3.53±0.67 22 0.97±0.85 Process of

services

13. Strategies of recognition of present condition and analysis of problems

3 4.16±0.73 14 3.38±0.74 1 3.23±0.86

14.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18 3.95±0.76 18 3.32±0.74 11 2.46±0.84

15. Management of process 12 4.01±0.69 13 3.41±0.72 10 2.49±0.85

16. Advertisement and marketing 15 3.98±0.84 16 3.37±0.73 9 2.51±0.96

17. Management of budget 12 4.01±0.77 18 3.32±0.76 7 2.57±1.01

Community networking

18. Seeking community resources 11 4.04±0.75 14 3.38±0.79 5 2.86±1.19

19. Effective network of community resources 7 4.07±0.76 16 3.37±0.80 4 2.87±1.16 Evaluation 20. Evaluation of theory of public health services 22 3.70±0.79 20 3.23±0.74 20 1.69±1.01

21. Practice of evaluation 21 3.82±0.75 21 3.17±0.75 12 2.41±0.90

22. Application of results of evaluation and feedback 19 3.93±0.77 22 3.15±0.76 2 3.05±0.91

(6)

Table 3. Required Competence Level (RCL), Present Competence Level (PCL) and Educational Needs (Need) Related to Public Health Services according to Discipline Category Variables

Physicians (N=8)Nurses (N=21)Health technicians (N=11)Office workers (N=57) RCLPCLNeedRCLPCLNeedRCLPCLNeedRCLPCLNeed RankMRankMRankMRankMRankMRankMRankMRankMRankMRankMRankMRankM Overall-3.89-3.22-2.86-4.18-3.41-2.74-3.44-3.25-0.70-3.93-3.37-2.28 Community 1. Data collection 84.11 53.43132.37 14.41 63.59 83.39 63.57133.14 31.55143.88113.38122.07 assessement 2. Analysis of present health conditions and problems in the community 24.32 23.57 83.59 24.36 93.45 13.80 23.75143.13 12.61123.92143.33102.44 Services selection 3. Acknowledgement of concept and types of public health services 84.11 113.14 191.70 194.09 33.67 221.44 163.25 13.50 22-0.99 74.04 43.54 141.99 4. Selection of public health services corresponding to established objectives and function of the hospital

14.36 13.71201.22124.18 13.75191.75 23.75 13.50 61.07 14.29 13.88171.78 5. Range of community and roles in area to be provided with public health services by the hospital 44.21 23.57181.77104.19 23.71211.50 13.88 33.38 22.07 24.13 23.63122.07 6. Selection of adequate public health services and health policy for the community104.07113.14 93.47164.10 53.60201.66 43.63 93.25 41.52 74.04 83.42 82.53 7. Selection of adequate public health services corresponding to needs of the community 54.21173.00 44.10144.14 43.62181.86 43.63 33.38 81.02 24.13 83.42 52.90 8. Priority in selection of public health services203.96 23.5722-0.57 214.05113.43142.18 73.50143.13 51.50 44.08 23.63161.83 9. Selection of primary health services104.07 73.33 34.63154.10123.33172.02 73.50 93.25 91.01 44.08 73.46 82.53 Objective of services10. Concept of goal and objectives (input, process, output)104.07 53.43 122.84 84.23 123.33 113.26 73.50 33.38 140.50 183.71 53.50 220.83 11. Establishment of goal and objectives 64.18 83.29112.89 74.23123.33103.31 73.50 33.38120.51123.92 53.50181.69 12. Establishment of annual or monthly objectives174.00 83.29162.19134.14 73.52152.09203.13 33.3821-0.96213.65103.39210.96 Process of services13. Strategies of recognition of present condition and analysis of problems 34.29 113.14 24.76 114.18 163.29 63.41 73.50 93.25 71.04 44.08 173.25 33.47 14.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134.04 83.29152.26224.00193.24132.69203.13143.13170.00104.00153.29 62.80 15. Management of process134.04113.14142.29 94.23163.2943.46163.25 93.25170.00 74.04113.38 72.67 16. Advertisement and marketing 134.04212.83 15.12 34.32 83.48123.08163.25143.13140.50193.67153.29201.49 17. Management of budget134.04222.71 74.01 64.23163.29 43.46133.43143.1320-0.50163.83113.38151.84 Community networking18. Seeking community resources174.00 113.14 64.04 44.29 153.30 33.49 163.25143.13 140.50143.88 203.13 23.53 19. Effective network of community resources 74.15173.00 54.07 54.25103.45162.03 73.50 33.38120.51104.00183.18 13.73 Evaluation20. Evaluation of theory of public health services223.79 113.14 210.53 204.09 203.10 93.37 203.13143.13 170.00 223.58 193.17 191.54 21. Practice of evaluation 213.86173.00172.18184.09223.05 23.64143.38143.13110.95193.67213.08112.23 22. Application of results of evaluation and feedback174.00173.00103.37174.09203.10 73.40143.38143.13100.98163.83223.00 43.28

(7)

Table 4. Required Competence Level (RCL), Present Competence Level (PCL) and Educational Needs (Need) of This Study Related to Public Health Services according to Position Category Variables

Team leaders and higher (N=28)Staff (N=76) RCLPCLNeedRCLPCLNeed RankMRankMRankMRankMRankMRankM Overall-4.09-3.67-1.58-4.07-3.38-3.43 Community assessment 1. Data collection 84.11113.67 81.76 24.19 33.53 83.75 2. Analysis of the present health conditions and problems in community 24.32 83.75 22.47 24.19113.37 54.34 Service selection 3. Acknowledgement of concept and types of public health services 84.11 23.89210.73193.96 53.49212.23 4. Selection of public health services corresponding to established objectives and function of the hospital 14.36 14.04141.40 14.25 13.71182.68 5. Range of community and roles in area to be provided with public health services by the hospital 44.21 43.78101.66 44.18 23.65202.27 6. Selection of adequate public health services and health policy in for the community104.07143.59 91.74 64.16 43.50143.28 7. Selection of adequate public health services corresponding to needs of the community 44.21113.67 62.11 44.18143.33 64.03 8. Priority in selection of public health services203.96113.67190.99144.07 53.49172.71 9. Selection of primary health services104.07103.70151.31134.09123.35133.37 Objective of services10. Concept of goal and objectives (input, process, output)104.07 43.78181.02154.02 93.47162.75 11. Establishment of goal and objectives 64.18 43.78131.49154.02 73.48153.03 12. Establishment of annual or monthly objectives174.00 73.77220.71213.81 73.48221.34 Process of services13. Strategies of recognition of present condition and analysis of problems 34.29143.59 12.76 64.16123.35 34.52 14.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134.04193.52 71.87184.00163.26113.58 15. Management of process134.04173.58 32.16114.12103.39123.54 16. Advertisement and marketing 134.04173.58 32.16124.11143.33103.60 17. Management of budget134.04143.59121.59104.13163.26 73.98 Community networking18. Seeking community resources174.00 93.74200.86 94.14183.24 14.87 19. Effective network of community resources 74.15 33.85171.04 84.15203.20 24.73 Evaluation20. Evaluation of theory of public health services223.79203.44161.08223.75193.21192.57 21. Practice of evaluation 213.86223.37111.65203.95213.19 93.67 22. Application of results of evaluation and feedback174.00213.41 52.14154.02223.05 44.51

(8)

Table 5. Differences in Educational Needs by Disciplines and Position

Category Variables M SD F/t p

Disciplines Physicians 2.86 1.43 21.039 <.001

Nurses 2.74 0.81

Health technicians 0.70 0.90 Office workers 2.28 0.79

Position Team leaders and higher 1.58 0.57 -8.047 <.001

Staff 3.43 0.91

가장 낮았다. 행정직의 경우 ‘자원의 효과적 연계 전략’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가장 높은 반면에 ‘목적 및 목표 개념(투입, 산출, 결과 목 표)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낮았다.

2)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 직급(팀장 이상, 일반직원)에 따른 교육요구도 분석결과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의 직급을 2가지 즉, 팀장 이상, 일반 직원으로 구분하여 요구되는 능력수준, 현재 능력수준, Borich 모형 을 적용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Table 4). 그 결과, 공공보건의 료사업 팀장 이상이 인식하고 있는 평균 요구되는 능력수준은 4.09 점, 현재 능력수준은 3.67점, Borich 모형을 적용한 교육요구도는 1.58점이었다. 공공보건의료사업을 담당 일반직원들이 인식하고 있 는 평균 요구되는 능력수준은 4.07점, 현재 능력수준은 3.38점, Bo- rich 모형을 적용한 교육요구도는 3.43점이었다.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 일반직원들의 교육요구도가 팀장 이상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Table 5).

세부항목별로 교육요구도를 살펴보면 팀장 이상은 ‘사업수행 시 현황파악 및 문제점 진단 분석 기술’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 은 반면에 ‘연차별(또는 월별) 사업목표 수립’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낮았다. 일반직원은 ‘지역사회 자원발굴’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은 반면에 ‘연차별(또는 월별) 사업목표 수립’에 대한 교육요 구도가 가장 낮아 팀장 이상과 동일하였다.

논  의

Borich (1980)는 교육대상자들이 인지하는 현재 능력수준과 교육 내용별 요구되는 능력수준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교육요구도를 산 정하는 방식을 개발하였다. 이는 특정 항목에 대해 요구되는 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교육대상자의 현재 보유하고 있는 능력수준이 낮을수록 그 항목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커지는 방식이다. 따라서, Borich의 모형은 교육대상자가 생각하는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현 재 보유하고 있는 능력수준을 토대로 예견할 수 있는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적 요구를 의미한다(Kim et al., 2008).

본 연구에서 Borich 모형을 적용하여 공공병원 공공보건의료사 업 담당자들의 교육요구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대상자들 은 ‘사업수행 시 현황파악 및 문제점 진단분석 기술’에 대한 교육요 구도가 3.23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 항목에 대한 응답자들이 인식 하는 요구되는 능력수준은 3위로 높은데 반하여 현재 능력수준은 14위로 낮았다. 이는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은 사업수행과정 에서 발생하는 여러 현황 및 문제점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 도 문제해결을 위한 능력이 낮으므로 이에 대해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이다. 이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7) 보고서에서 공공보건의료 사업 담당자들은 이론적 부분보다는 실제로 사업수행에서 부딪치 는 문제에 대한 해결법에 더 큰 교육요구도가 있음을 보여준 결과 와 일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대상자들은 평가분야에서 ‘평가결과 적용 및 환류방법’

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연구에서 도 공공보건의료사업에 대한 평가지표 및 평가방법에 대한 미흡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KHIDI, 2006; KHIDI, 2007; MH&W, 2007;

MH&W, 2009). 사업의 평가는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 체계적으 로 정보를 수집, 분석, 보고하는 과정으로 이를 통해 담당자들은 효 과적으로 행동하고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한다(Bae, 2004). 이처럼 사업의 평가 및 환류는 사업성과를 확인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 해 매우 필수적인 과정이라 할 것이다. 본 연구대상자들에게 이 부 분에 있어 능력수준이 매우 떨어진다는 것은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이에 대한 집중적인 교육과정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할 것이다.

한편, ‘연차별 또는 월별 사업목표수립’에 대해서는 교육요구도가 0.97점으로 가장 낮았다. 이는 이 문항에 대한 응답자들이 인식하 는 중요도는 20위로 낮은데 반하여 능력수준은 6위로 높았다. 결국 응답자들은 ‘연차별 또는 월별 사업목표수립’에 대해 요구되는 능력 수준이 높지 않다고 생각하며, 이에 대한 지식이나 기술 등 능력수 준은 높다고 인식하고 있어 교육에 대한 요구도가 낮게 나타난 것 이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은 공공보건 의료사업과 관련하여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현재 능력수준의 순위 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보여주었다. 이는 본인들 스스로 요구되는 능력수준이 높은 업무에 대해서는 스스로 능력수준을 갖추고 있 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연구결과에서는 교육 제공이 미흡하다는 것으로 미루어보면, 업무와 관련하여 필요한 지 식과 기술 습득을 스스로 해결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7) 보고서에서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로 구성된 교육 참석자들의 38.7%가 독학으로 업무관련 지식을 획득한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를 전문분야별로 보면 의사(2.86)들의

(9)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의료기사(0.70)의 교육요구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간호사는 요구되는 능력수준이 평균 4.18, 현재 능력수준이 평균 3.41로 타 전문분야와 비교하여 가장 높 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사들이 공공보건의료사업에 있어 높은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공공보건의 료사업에 의료기사들이 참여하는 경우는 낮은 반면에 간호사들은 전담인력이나 지원인력 등으로 많이 참여하고 있어(KHIDI, 2007) 교육요구도에 이러한 상황이 반영된 듯하다. 특이한 점은 의사들은 겸임인력으로 검진 등 서비스를 지원하는 역할을 주로 담당함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높은 교육요구도를 보여주고 있음은 매우 고무적 이다 할 것이다.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를 직급별로 비교해 본 결과, 팀장 이상 (1.58)이 직원(3.43)에 비해 절반 이하로 교육요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07) 보고서에 의하면 만성질환관 리와 건강증진사업 교육과정 참석자들의 교육 후 성취율에서 팀장 이상이 일반직원들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자들이 직 접 계획을 수립하고 사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임을 감안할 때 실무 직원들을 위한 공공보건의료사업 관련 교육 강화가 필요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에서 공공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의 전문분 야, 직급에 따라 다양한 교육요구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그러므로 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전문자격 분야 별, 직급별 다양한 인력들의 요구를 반영한 수준별, 영역별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자가 평가식 설문 결과를 분석함으로 인해 요구되는 능력수준과 현재 능력수준에 있 어 인위적인 조작이 가능하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결  론

본 연구는 Borich’s Need Assessment Model을 활용하여 공공병원 에 근무하는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전문직종별 (의사, 간호사, 의료기사, 행정직), 직급별(팀장 이상, 일반직원)로 공 공보건의료사업과 관련하여 스스로가 인지하는 요구되는 능력수 준과 현재 능력수준을 조사하여 교육요구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전문분야별, 직급별 다양한 교육요구도가 조사되었다. 이를 활용하여 공공병원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 의 업무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교육프로그램 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는 공공병원 중 대학병원, 지방의료원, 적십자병원에서 근무하는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만을 대상으로 교육프로그램이 적용

되었다. 이들 공공병원 외에 산재병원, 보훈병원 등 다른 유형의 공 공병원에서 근무하는 공공보건의료사업 담당자들을 위한 교육프 로그램이 개발되고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전문직종별, 직급별 다양한 공공보 건의료사업 담당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및 그에 대한 지속적인 효과 측정 연구를 제언한다. 또한, 공공보건의료사업 담 당 간호사들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

REFERENCES

Altschuld, J. W., Talylor, W. D., & Canelos, J. (1982, October). Classifying needs assessment strategies for teaching purpos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Evaluation Research Society, Baltimore, Mary- land.

Bae, S. S. (2004). Public health plan. Seoul: Kaechukmunhwa-Sa.

Baeg, J. H. (2003). Needs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techno- logical literacy cont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cheon.

Borich, G. D.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 39-42.

Cho, D. Y. (2009). Exploring how to set priority in need analysis with sur- vey. A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35, 165-187.

Jung, J. H. (2008). The educational needs analysis and design education in practical arts, practical arts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1, 223-240.

Kaufman, R. A. (1972). Educational system plann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Inc.

Kim, J. S., Choi, Y. H., & Kim, S. K. (2008).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 ing faculti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11, 50-64.

Kim, T. S., Park, Y. H., Yun, T. Y., & Han, D. U. (2004, November). Relation- ship between employees’ job satisfaction, education demand and intention to leave in health care sector.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 rean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on Public Health Budgets and Tasks, Seoul.

Kim, Y. I., Jung, J. H., Lee, C. S., & Choi, M. S. (2001). Educational needs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for technological literacy. Journal of Ko- 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4, 93-107.

Kim, Y. L., Kim, S. W., Chung, E. K., & Choi, J. S. (2002). Education need of the visiting health service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pub- lic health facilities. Korean Journal of Rural Medicine, 27, 51-64.

Kister, J., & Gritzmacher, J. (1986). Curriculum research alternatives. In J. F.

Laster, & R. E. Dohner (Eds.), Vocational home economics curriculum:

State of the field (pp. 136-145). Illinois: Bennett & McKnight.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1, November). Methods to develop the functions of public health. Seoul: Author.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April). A study on the public healthcare plan and evaluation for enhancing public interest in pub- lic hospitals. Seoul: Author.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7, November). The de- 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public health service workforce in public hospitals. Seoul: Author.

(10)

Lee, J. G. (2009).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preliminary tea- chers about education contents of 2007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 lum.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2, 37-5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5, December). 2nd public health services plan (2006-2010) guideline. Seoul: Author.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7, July). Evaluation of 2006 public health plan & results. Seoul: Author.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May). Evaluation of 2008 public health plan & results. Seoul: Author.

Park, J. H. (2002). Strategies for public health service development in the

times of local autonomy. Korean Journal of Health Policy and Adminis- tration, 12, 1-22.

Park, N. R., Jeong, I. S., Lee, J. G., Kim, Y. T., Chun, J. H., Kim, K. S., et al.

(2004). Evaluation of field epidemiology specialist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satisfaction and the changes of educational needs.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7, 80-87.

Public Health Act. (2010).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Retrieved Jan- uary 18, 2010, form http://www.law.go.kr/main.html

Strohschein, J., Hagler, P., & May, L. (2002). Assessing the need for change in clinical education practices. Physical Therapy, 82, 160-172.

수치

Table 3. Required Competence Level (RCL), Present Competence Level (PCL) and Educational Needs (Need) Related to Public Health Services according to Discipline Category  Variables
Table 4. Required Competence Level (RCL), Present Competence Level (PCL) and Educational Needs (Need) of This Study Related to Public Health Services according to Position Category  Variables
Table 5. Differences in Educational Needs by Disciplines and Position Category Variables M SD F/t p Disciplines Physicians 2.86 1.43 21.039 &lt; .001 Nurses 2.74 0.81 Health technicians 0.70 0.90 Office workers 2.28 0.79

참조

관련 문서

본 연구에서 치매노인에 대한 태도 정도는 총 수입이 많을수록,노인요양병원 보다 전문요양원에서 근무하는 경우,보수교육을 받은 경우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

본 연구는 다문화 수학교사교육을 통해 수학교사들의 다문화적 역량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고 자 연구 참여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학교사의 다문화적 역량에 대한

간사 대학원

지( s yne r gy) 효과가 극대화 되면서 몸을 이완시켜주고 피로를 풀어 수면을 증진 시켜주는 것으로 확인됐다.실제로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했던 본 논문의 연구 기 간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G광역시 한 개 상급종합병원의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 였기 때문에 본 연구를 일반화 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또한 본 연구는 단면연구

셋째,본 연구는 문학 작품 J ame sJ oyce 의 Ar aby를 선정하였고,문학 텍스 트를 활용하여 위 쓰기 지도 유형 단계들을 고려하여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할 수 있는

이것은 이용허락규약 (Legal Code) 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ABSTRACT.. A Study on Wongyo Yi Gwangsa s

이러한 연구 결과와 몇 가지 연구의 제한점에 불구하고,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저성취 학생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자 아존중감을 향상시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