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ow Visualization Laboratory Hydrodynamics experiments

11  Download (0)

전체 글
(1)

Hydrodynamics experiments

(2)

실제 유체의 흐름을 층류와

불안정층류(천이영역)과 난류로 Reynolds의 수를 통해 구분한다.

각 흐름의 Reynolds의 수를 구한다.

(3)

 레이놀드 수(Reynold number)란?

 레이놀드 수는 유체흐룸의 형태를 나타내는 무차원군 (Dimensionless group).

 층류유동과 난류유동을 구별하는 기준으로 사용

 영국의 공학자 Osborne Reynolds(1842~1912)에 의해 창안 됨.

 유체 유동문제에서 관련된 변수로 유체의 밀도ρ, 점성계수μ, 특성길이 L, 속도 V 일때,

𝑅𝑒수 = 𝜌𝑉𝐿

𝜇 = 관성력

점성력

(4)

 유동 형태의 구분

 층류(Laminar flow): 유체의 규칙적인 흐름으로, 흐트러지지 않고 일정하게 흐르는 것

 난류(Turbulent flow): 유체의 입자가 불규칙하게 흐름

𝑅𝑒수 < 2100

𝑅𝑒수 > 4000

(5)

층류 유동 난류 유동

(6)

① Reynolds 실험장치

소조내의 물이 유리관을 통하여 흐르는 동시에 착색액도 작은 모세관을 통하여 물과 같이 흐르게 하며, 유량 조절 밸브로 관속의 물의 속도를 조절하여 층류와 난류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② 희석한 검정 잉크

③ 초시계

④ 메스실린더

⑤ 온도계

(7)

 레이놀즈 실험장치의 제원

 수조내용적: 1200(W) X 210(D) X 350(H) mm

 측정유리관: ϕ21.5 mm X 1000(L) mm

(8)

본체를 수평하게 설치하고 급수부에 물을 공급하면서 과류부에 물이 넘칠 때 유량 조절 밸브를 조금 열어 유리관 내에 흐름을 이루게 하고, 수면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수면이 일정하게 유지되었을때, 색소 액 주입밸브를 열어 관내에 색소 액을 흐르게 해서 색소 액의 상태를 관찰한다.

유속이 적을때 착생 액은 관의 축선 상에 평행하게 선상으로 흐르는데 이러한 흐름이 층류이다.

유리관 내의 유속을 점차 크게 하면 색소액이 흔들리게 된다.

유속을 증가시키면 색소액은 흐트러져 관속에 충만하게 흐르게 된다.

(9)

참 조 (A) 참 조 (B) 참 조 (C)

(10)

유량의 변화에 따라 유동의 흐름이 각각 층류, 천이, 난류가 되었을때 유량을 측정한다.

온도계로 수온을 측정한다.

위 과정이 끝나면, 측정치를 기록하고 유리관의 단면적과 유량으로 부 터 유속을 구하고, 실험 수온에 대한 동점성 계수를 도표에서 찾는다.

(11)

수치

Updating...

참조

관련 주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