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병원성 폐렴 감시를 위한 미국 질병관리본부의 1996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병원성 폐렴 감시를 위한 미국 질병관리본부의 1996"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접수일: 2008년 11월 28일 게재승인일: 2009년 3월 31일

교신저자: 정재심 138-736 서울시 송파구 아산병원길 86 서울아산병원 제1 연구동 울산대학교 임상전문간호학 Tel: 02-3010-5311 Fax: 02-3010-5332,

E-mail: jsjeong@amc.seoul.kr

* 이 논문은 2008년도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임

서 론

병원성 폐렴의 진단 기준은 1988년에 발표된 미국질병관리본부(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의 진단기준[1]이 있고 인공호흡 기 관련 폐렴의 진단으로 Pugin 등[2]의 Clinical Pulmonary Infection Score와 Memphis 진단기준[3]

등이 있다. 병원성 폐렴 감시를 위한 CDC의 진단

병원성 폐렴 감시를 위한 미국 질병관리본부의 1996년 진단기준과 2002년 진단기준의 비교

이효정1,2․정재심2․기현균3․이상일4

건국대학교 호흡기센터1,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전문간호학2,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3,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4

Comparison between the Surveillance Definitions for Nosocomial Pneumonia Published by the CDC in 1996 and 2002

Hyo Jung Lee1,2, Jae Sim Jeong2, Hyun Kyun Ki3, and Sang-il Lee4

Respiratory Center, Kun Kuk University Medical Center1, Department of Clinical Nursing, University of Ulsan2,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s,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unKuk University3,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4, Seoul, Korea

Background: This is a retrospective, descriptive study, evaluating the observed agreement between 1996 & 2002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DC) definitions of nosocomial pneumonia (NP) for medical intensive care unit (MICU) and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SICU) patients.

Methods: A total of 476 adult patients who were over 15 years of age and had been admitted to the MICU &

SICU of a university hospital between August 1, 2005 and August 1, 2007 were enrolled. Data were collected from electronic medical records according to the 1996 & 2002 CDC definitions of NP.

Results: According to the 1996 CDC definitions of NP, there were a total of 116 NP cases and incidence rate was 11.6 per 1,000 patient-days; when analyzed with the 2002 CDC definitions of NP, 75 cases met the criteria and the incidence rate was 7.5 per 1,000 patient-days. Kappa value measuring agreement between the two definitions was 0.67 (95% confidence interval 0.601-0.706). When 1996 CDC definitions were compared with 2002 CDC definitions,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ere 93.3, 88.5, 60.3, and 98.6%, respectively.

Conclusion: Even though the aforementioned NP criteria had been applied to the same study population, the number of patients that met the definitions changed depending on which criteria had been u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fferences when making a comparison.

Keywords: Intensive care unit, Nosocomial pneumonia, Surveillance definition

(2)

기준은 1988년에 발표된 이후 1996년에 수정과 보완이 되었으며, 2002년에 새로운 진단 기준으로 변경되었다[4]. Beck 등[5]의 연구에 따르면 1996 년 진단 기준과 2002년 진단 기준을 임상 진단과 비교해 보았을 때 1996년 진단 기준의 kappa값은 0.62인데 반해, 2002년 진단 기준은 0.98로 임상 진단과의 일치도가 더 높았다.

국내 병원들에서는 감염관리가 시작된 1990년 대 이후부터 1996년 CDC 진단 기준을 사용해 오 다가, 최근 2-3년 전부터 2002년의 새로운 기준을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국내 병원에서의 2002년 진단기준을 1996년의 기준과 비교하여 병 원성 폐렴의 진단 기준이 변경되기 이전의 병원 감염률과 현재의 병원감염률을 비교하기 위한 근 거 자료가 필요하며, 어떤 세부 기준에서 차이가 있게 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일 대학병원 중환자 실에 입원한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병원성 폐렴 발생률을 1996년 진단 기준과 2002년 진단 기준 으로 비교하여 두 진단 기준에 의한 발생률의 차이와 세부 항목의 특성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 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일 대학병원 내과계 중환 자실과 외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 CDC의 1996년 병원성 폐렴 진단 기준과 2002 년 병원성 폐렴 진단 기준을 비교하여 그 일치도 를 후향적으로 분석한 조사 연구이다.

2. 연구 대상

2005년 8월부터 2007년 8월까지 2년 동안 서울 소재 일 대학병원 내과계 중환자실과 외과계 중 환자실에 입원한 15세 이상 성인 환자 716명 중 중환자실 재원 일수가 2일 미만인 240명을 제외 4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3. 연구 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도구는 연구자가 개발한 조사 기록지를 사용하였다. 조사 기록지는 문헌고 찰을 통해 중환자실 병원감염 발생에 관계된 위 험요인을 근거로 나이, 성별, 진료과, 재원일수, 중환자실 입실 이유, 질병의 중증도, 의식수준, 기 저질환 등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이 포

PNEUMONIA FLOW DIAGRAM 1996

Patient has rales or dullness

To percussion on physical examination of the chest

Patient has a chest radiographic examination that shows new or progressive infiltrate, consolidation, cavitation, or pleural effusion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a. new onset of purulent sputum or change in character of sputum

b. organisms cultured from blood

c. isolation of an etiologic agent from a specimen obtained by transtracheal aspirate, bronchial brushing, or biopsy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a. new onset of purulent sputum or change in character of sputum

b. organisms cultured from blood

c. isolation of an etiologic agent from a specimen obtained by transtracheal aspirate, bronchial brushing, or biopsy

d. isolation of virus from or detection of viral antigen in respiratory secretions

e. diagnostic single antibody titer (IgM) or fourfold increase in paired sera (IgG) for pathogen f. histopathologic evidence of pneumonia.

PNEUMONIA

(3)

함되었다. 그리고 병원성 폐렴을 진단한 두 가지 진단 기준(1996년과 2002년 CDC 병원성 폐렴 진 단 기준)의 내용을 표로 만들어서 체크 리스트 형 식으로 기록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소아에 대한 병원성 폐렴의 진단 기준은 제외하였다(Fig. 1).

4. 자료 수집 방법

2005년 8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내과계 중환자

실과 외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하였다가 퇴실한 환 자의 전자 의무기록을 연구자 1인이 검토하여 2007년 9월부터 11월까지 2개월간 자료를 수집하 였다.

질병의 중증도는 병원간호사회에서 발표한 중환 자분류도구(Nursing Severity Index Score, NSIS)[6]

를 사용하였다. 이는 활력징후, 투약, 시술, 호흡 기 치료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1점이 간호시간 7.5분에 해당되는 점수를 매겨 1군에서 PNEUMONIA FLOW DIAGRAM 2002

Fig. 1. Pneumonia flow diagram 2002.

(4)

6군으로 분류할 수 있고 6군으로 갈수록 중증도 가 높다. 이 점수는 입실 시점을 기준으로 하였 다. 의식 수준은 Glasgow coma scale을 사용하였 고 입실 시점을 기준으로 하였다. 신체 검진 상의 수포음, 탁음이나 객담 양상의 변화, 산소요구량 및 인공 호흡기 요구도 증가에 대한 내용은 중환 자실 간호 기록을 참고하였다. 흉부 엑스선의 소 견은 방사선의사의 판독을 기준으로 하였다.

폐렴 진단에 부합하는 모든 검사 결과 및 증상 에 대한 내용은 감염이 의심되는 날짜를 중심으 로 전, 후 7일 이상을 검토하였고 확인이 필요한 경우 K 대학병원 감염관리간호사에게 자문을 받 았다. 연 환자 일수는 총 대상 환자의 재원 일수 를 모두 더한 값으로 하였고 중환자실 연환자일 수와 병원 입원 연환자일수의 두 가지로 산정하 였다.

5. 자료 분석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 였다. 1996년과 2002년의 병원성 폐렴 진단 기준 별 감염률은 1,000 중환자실 재원 일수 당 병원 성 폐렴 건수로 구하였다. 1996년과 2002년의 병 원성 폐렴 진단 기준별 일치도 백분율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구하였다: (1996과 2002년 두 진단 기준에서 모두 병원성 폐렴으로 진단된 환자 수+ 두 진단 기준에서 모두 음성으로 진단된 환자 수)/총 환자 수×100. 1996년 CDC 병원성 폐렴 진 단 기준과 2002년 진단 기준의 일치도는 kappa 값과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로 표 현하였다[7]. 2002년 병원성 폐렴의 진단 기준을 중심으로 1996년도 진단 기준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음성예측도, 위양성도, 위음성도를 구하였다.

결 과

1. 연구 대상자의 특성

대상자는 총 476명으로 남자 272명(57.1%), 여 204명(42.9%)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4.4±16.2세 이었다. 내과계 중환자실 환자가 324명(68.1%), 외 과계 중환자실 환자가 152명(31.9%)이었으며 중환 자실 재원 일수는 평균 16.0±24.1일이었다. 대상자

의 진료과는 신경외과 101명(21.2%)으로 가장 많 았고, 호흡기 알레르기 내과 95명(20.0%), 심장혈 관내과 93명(19.5%) 등의 순이었다. 진단명은 뇌 혈관 및 신경계 질환이 149명(31.3%), 호흡기 질 환이 97명(20.4%), 심혈관질환 85명(17.9%), 기타 78명(16.4%) 등이었고, 입실이유는 의식 변화 171 명(35.9%), 호흡 곤란, 저산소증 등의 호흡기적 원 인이 108명(22.7%) 등이었다. NSIS는 4군이 187명 (39.3%)으로 가장 많았고, 의식 수준은 명료 149 (31.3%), 기면 109명(22.9%), 혼미 100명(21.0%) 등의 순이었다(Table 1).

2. 병원성 폐렴 발생률

1996년 진단 기준에 의한 병원성 폐렴 발생률 은 총 중환자실 재원일수 7,603일에 116건으로 1,000 중환자실 재원 일수 당 15.3건(95% CI, 12.7~18.3) 이었다. 2002년 진단 기준에 의한 병원 성 폐렴 발생률은 총 중환자실 재원일수 7,603일 75건으로 1,000 중환자실 재원 일수 당 9.9건 (95% CI, 7.9~12.4)이었다(Table 2).

3. 병원성 폐렴 진단 기준별 빈도

1996년 CDC 병원성 폐렴 진단 기준으로 병원 성 폐렴이 진단된 환자에서 농성 객담이 새로 생 기거나 객담의 양상이 변화한 항목이 116건 중 110건으로 가장 많았고 새로 생기거나 진행하는 침윤이 75건, 폐경변 35건, 신체 검진상 흉부 청 진 시 수포음 11건, 늑막액 7건, 혈액 배양에서 균이 분리된 경우가 7건, 경기관지 흡인술, 기관 지 브러싱 또는 조직검사로 얻은 검체에서 원인 균이 분리된 경우가 1건이었다(Table 3).

2002년 CDC 폐렴 진단 기준의 경우에는 새로 생기거나 진행하며 지속적인 침윤 43건, 폐 경변 32건, 공동 2건, 새로운 농성객담, 객담 양상의 변화, 호흡 분비물 증가, 흡인요구량이 증가된 항 목이 68건, 가스교환악화, 산소요구량 증가, 인공 호흡기요구도 증가가 66건, 백혈구 감소 또는 증 45건, 고열 34건, 수포음 또는 기관지 호흡음 16건, 새롭게 발생하거나 지속적인 기침, 호흡곤 , 빈호흡이 7건, Candida spp.가 있는 혈액과 객 담 배양이 양성인 경우 1건, 최소한으로 오염된 하 부 기관지 검체에서 진균 또는 Pneumocytis carinii

(5)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Characteristics (N=476) N (%)

Gender Male 272 (57.1)

Female 204 (42.9)

Age (year) Mean±SD 64.4±16.2

Ward MICU 324 (68.1)

SICU 152 (31.9)

ICU day Mean±SD 16.0±24.1

Total hospital day Mean±SD 21.0±30.7

Service Neurosurgery 101 (21.2)

Pulmonary/Allergy 95 (20.2)

Cardiology 93 (19.5)

Gastroenterology 58 (12.2)

Neurology 47 (9.9)

Nephrology 25 (5.3)

Hemato-oncology 21 (4.4)

General surgery 15 (3.2)

Endocrinology 9 (1.9)

Thoracic surgery 6 (1.3)

Orthopedic surgery 2 (0.4)

Rhematology 2 (0.4)

Infection 1 (0.2)

Urology 1 (0.2)

Diagnosis Cerebrovascular or neurologic disease 149 (31.3)

Pulmonary disease 97 (20.4)

Cardiovascular disease 85 (17.9)

Gastrointestinal disease 67 (14.1)

Others 78 (16.4)

Cause of ICU Altered mentality 171 (35.9)

admission Pulmonary problems 108 (22.7)

Cerebrovascular or neurologic problems 47 (9.9)

Accident or others 35 (7.4)

Hepato-gastrointestinal problems 32 (6.7)

Cardiovascular problems 28 (5.9)

Sepsis or multi organ failure 20 (4.2)

Cardiac arrest or apnea 19 (4.0)

Post operation 16 (3.4)

Severity* Grade 1 1 (0.2)

Grade 2 4 (0.8)

Grade 3 108 (22.7)

Grade 4 187 (39.3)

Grade 5 174 (36.6)

Grade 6 2 (0.4)

Mental status Alert 149 (31.3)

Confusion 35 (7.4)

Drowsy 109 (22.9)

Stupor 100 (21.0)

Semi coma 47 (9.9)

Coma 36 (7.6)

* Severity: Nursing Severity Index Score by Korean Hospital Nurses Association (2007).

†Mental status: Glasgow coma scale.

Abbreviations: MICU, medical intensive care unit; SICU,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Table 2. Nosocomial pneumonia incidence (%) by 1996 & 2002 CDC definitions Variable

Number of NP in 1996 CDC definitions 116

Number of NP in 2002 CDC definitions 75

Number of patient-days in ICU 7,603

NP incidence in ICU

NP incidence (%) by 1996 CDC definitions 1.5

NP incidence (%) by 2002 CDC definitions 1.0

NP 1,000 patient-days incidence by 1996 CDC definitions 15.3

NP 1,000 patient-days incidence by 2002 CDC definitions 9.9

Abbreviations: NP, nosocomial pneumonia; ICU, intensive care unit.

(6)

가 나온 경우가 1건 이었다(Table 4).

4. 진단 기준의 일치도와 정확도 1) 병원성 폐렴 진단 기준의 일치도

1996년 CDC 진단 기준과 2002년 진단 기준의 일치도는 kappa 값 0.67 (95% CI 0.601-0.706) 이 었다. 2002년 진단 기준을 확진 기준으로 보았을 1996년 진단 기준의 민감도는 93.3%, 특이도 88.5%, 양성예측도 60.3%, 음성예측도 98.6%, 위 양성률 11.4%, 위음성률 6.6%이었다(Table 5, 6).

2) 1996년과 2002년 CDC 진단 기준에 의한 사례 비교

2002년 진단 기준에 의하면 병원성 폐렴 음성 인데 1996년 진단 기준에서 양성으로 진단된 46 명의 사례를 살펴보면, 2002년 진단 세부 항목 중 확인된 다른 원인 없는 고열, 백혈구 감소 또 는 증가, 70세 이상에서 다른 원인 없는 의식 변 화의 세 가지 항목 중 한 가지를 만족하지 못하 여 음성으로 확인된 사례가 29건(63%)으로 가장 많았다. 새로운 농성 객담, 객담 양상의 변화, 호 흡분비물 증가, 흡인요구량 증가, 새롭게 발생하 Table 5. Comparison of 1996 & 2002 CDC nosocomial pneumonia definitions

2002 CDC definitions

Total

Yes No

1996 CDC definitions Yes (No.) 70 46 116

No (No.) 5 355 360

Total (No.) 75 401 476

Table 4. Frequency of criteria in patients with nosocomial pneumonia diagnosed by the 2002 CDC definitions

Criteria (N=75) N (%)

X-ray

New or progressive and persistent infiltrate 43 (57.3)

Consolidation 32 (42.6)

Cavitation 2 (2.7)

Signs and Symptoms

New onset of purulent sputum, or change in character of sputum or increased respiratory secretions or increased suctioning requirements

68 (90.6)

Worsening gas exchange 66 (88.0)

Leukopenia (<4000/mm3) or leukocytosis (>12,000/mm3) 45 (60.0)

Fever (>38℃) with no other cause 34 (45.3)

Rales or bronchial breath sounds 16 (21.3)

New onset or worsening cough, or dyspnea, or tachypnea 7 (9.3)

Laboratory

Matching positive blood and sputum cultures with Candida spp. 1 (1.3) Evidence of fungi or Pneumocytis carinii from minimally contaminated lower respiratory tract

specimen from direct microscopic exam or culture of fungi

1 (1.3) Table 3. Frequency of criteria in patients with nosocomial pneumonia diagnosed by the 1996 CDC definitions

Criteria (N=116) N (%)

New onset of purulent sputum, or change in character of sputum 110 (94.8)

New or progressive and persistent infiltrate 75 (64.7)

Consolidation 35 (30.2)

Rales or bronchial breath sounds 11 (9.5)

Pleural effusion 7 (6.0)

Positive blood culture not related to another infection 7 (6.0)

Positive quantitative culture from minimally contaminated lower respiratory tract specimen or histopathologic exam

1 (0.9)

(7)

거나 심해진 기침, 호흡 곤란, 빈호흡, 수포음 또 는 기관지 호흡음, 가스교환악화, 산소요구량 증 , 인공호흡기요구도 증가 중 두 가지 항목을 모두 만족하지 못하여 음성으로 확인된 사례가 14건(30%)이었고, 흉부 엑스선 검사에서 항목에 부합되지 않은 사례가 3건(6%)이었다. 반대로 1996년 진단 기준에서는 병원성 폐렴 음성이었으 2002년 진단 기준에서 양성으로 진단된 5건은 모두 1996년 진단 세부 항목에서 흉부 엑스선상 변화 소견이 있지만 임상적으로 객담의 양상 변 화나 혈액배양이나 경기관지 흡인술 등으로 원인 균을 증명하지 못한 경우이었다.

고 찰

본 연구와 동일한 주제의 선행 연구가 많지 않 아서, Beck 등[5]이 독일의 대학병원에서 임상진 단과 1996년, 2002년 CDC 병원성 폐렴 진단 기 준의 일치도를 규명한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 다.

Beck 등[5]의 연구에서는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1,8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50%

가 관상동맥 질환 환자였고 나머지가 호흡기 질 환 환자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과계 중환자실과 외과계 중환자실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뇌혈관 및 신경질환 환자가 30%, 호흡기 질환 환자가 20%, 심혈관 질환 환자가 17% 가량이었는데 이 는 외과계 중환자실에 신경외과 환자가 많아 질 환 및 입실 이유의 분포에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Beck 등의 연구[5]에서 각 진단 기준에서 차이 를 보인 사례는 1명의 환자에서 흉수가 있는 방 사선 결과와 농성 객담으로 1996년 진단 기준에

서 병원성 폐렴으로 진단되었지만 임상 진단 기 준에서는 병원성 폐렴이 아니었고, 11명의 환자 에서는 수포음과 탁음, 새로운 농성 객담의 발생 소견으로 폐렴이 아닌 환자를 병원성 폐렴으로 진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1996년 기준에 의한 병원성 폐렴이 116건, 2002년 진단 기준에 의한 병원성 폐렴이 75건으로 41건의 차이를 보였다.

2002년 진단 기준에 의하면 폐렴이 아닌데 1996 년 진단 기준에서 폐렴으로 진단된 46명의 사례 의 대부분이 흉부 엑스선의 변화와 객담 양상의 변화가 있어 1996년 진단에서 폐렴으로 진단되었 지만 2002년 진단 기준에서는 증상 및 징후의 세 부 항목이 많아져 이를 만족하지 못한 경우이었 . 반대로 1996년 진단 기준에서는 폐렴이 아니 었으나 2002년 진단 기준에서 폐렴으로 진단된 5 건을 살펴보면 모두 1996년 진단 기준에서 흉부 엑스선상 변화 소견이 있지만 임상적으로 객담의 양상 변화나 혈액배양이나 경기관지 흡인술 등으 로 원인균을 증명하지 못한 경우이었다. 이는 Beck 등의 연구[5]에서와 같이 1996년 진단 기준 이 흉부 엑스선의 변화와 객담 양상의 변화의 단 순한 두 가지 항목만 만족되면 병원성 폐렴으로 진단하게 되어 있어 2002년 진단 기준에서 폐렴 이 아닌 경우를 폐렴으로 측정하게 된 이유로 추 측된다.

두 진단 기준의 세부 항목을 보면 병원성 폐렴 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두 진단 모두 새로운 농성 객담의 발생 및 객담 양상의 변화 항목과 흉부 엑스선상 침윤이 발견된 항목이 높은 빈도를 보 여 이 두 가지 세부 항목이 폐렴을 진단하는 주 요 징후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병원성 폐렴을 진단하는 임상 진단을 Table 6. Accuracy of 1996 CDC nosocomial pneumonia definitions compared to 2002 CDC nosocomial pneumonia definitions

Variables Value (%)

Sensitivity 93.3

Specificity 88.5

Positive predictive value 60.3

Negative predictive value 98.6

False positive rate 11.4

False negative rate 6.6

(8)

기준으로 하여 두 진단을 비교하지 못해 1996년 2002년 병원성 폐렴 진단 기준 각각의 민감도 와 특이도를 측정할 수 없었다. 둘째로, 일개 대 학병원 중환자실 환자 476명만을 대상으로 하여 결과를 전체 중환자실 환자에게 일반화 할 수 없 었으며, 셋째로, 후향적인 방법으로 의무기록을 수집하여 진단에 일부 오류가 있을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감염률을 계산할 때 전체 환자의 총 재원일수의 합을 사용한 것은 병원 감염으로 인 해 연장된 재원일수가 포함된 것이므로 감염률이 실제보다 낮게 측정된 경향이 있어 결과를 해석 할 때 주의가 요망된다.

결론적으로 2002년 병원성 폐렴 진단 기준을 적용하면 1996년 진단 기준에 비해서 폐렴 건수 가 적게 진단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2002년 진 단 기준이 1996년 진단 기준에 비해 병원성 폐렴 을 진단하는 기준이 세분화되어 위양성률이 감소 되기 때문에 진단의 정확성이 높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요 약

배경: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의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병원성 폐렴의 1996년 진단 기준과 2002년 진단 기준과의 일치도를 규 명하기 위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서울에 소재한 K대학병원에서 2005년 8 월부터 2007년 8월 까지 내과계 중환자실과 외과 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15세 이상 성인 환자 716 명 중 중환자실 재원 일수가 2일 미만인 240명을 제외한 4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자료 1996년에 발표된 미국질병관리본부의 병원성 폐렴 진단기준과 2002년 진단기준을 적용하여 전 자의무기록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특성 은 빈도와 백분율로, 두 진단 기준의 일치도는 kappa 값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병원성 폐렴 발생률은 전체 대상 환자 476명 중 1996년 진단 기준에 의한 폐렴이 116명 으로 중환자실 재원일수 1,000일 당 11.6건이었 . 2002년 진단 기준에 의한 폐렴이 75명으로 중환자실 재원일수 1,000일 당 7.5건이었다. 1996 년 진단 기준과 2002년 진단 기준의 일치도는

kappa값 0.67 (95% CI 0.601~0.706)이었다. 1996년 진단 기준에서 양성이었으나 2002년 진단 기준에 서 음성으로 진단된 사례는 46건으로, 그 중 63%

가 고열과 백혈구 증가를 증명하지 못한 경우이 었고 30%는 객담의 양상 변화나 호흡기적 증상 의 악화, 산소 및 인공호흡기의 요구도 증가를 증명하지 못한 경우이었다. 2002년 진단 기준에 서 양성이었으나 1996년 진단 기준에서 음성으로 진단된 사례는 5건으로 모두 임상적으로 객담의 양상 변화나 원인균의 분리를 증명하지 못한 경 우이었다.

결론: 2002년 병원성 폐렴 진단 기준을 적용하 1996년 진단 기준에 비해서 폐렴 건수가 적게 진단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2002년 진단 기준 1996년 진단 기준에 비해 병원성 폐렴을 진단 하는 기준이 세분화되어 위양성률이 감소되기 때 문에 진단의 정확성이 높아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1. Garner JS, Jarvis WR, Emori TG, Horan TC, Hughers JM. CDC definitions for nosocomial infections, 1988. Am J Infect Control 1988;16:

128-40.

2. Pugin J, Auckenthaler R, Mili N, Janssens JP, Lew PD, Suter PM. Diagnosis of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by bacteriologic analysis of bronchoscopic and non-bronchoscopic “blind”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m Rev Respir Dis 1991;143:1121-9.

3. Lee KS and Kim JM.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Korean J Nosocomial Infect Control 2002;7:1-12.

4. Horan TC and Gaynes RP. Surveillance of nosocomial infections. In: Mayhall CD, ed.

Hospital epidemiology and infection control.

3rd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4:1659-89.

5. Beck KD and Gastmeier P. Clinical or epidemiologic diagnosis of nosocomial pneumonia: Is there any difference? Am J Infect Control 2003;31:331-5.

(9)

6. Hospital Nurses Association (Korean). Nursing severity index. 2007.

7. Landis J R and Koch GG.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eal data. Biometrics, 1977;33:159.

8.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nosocomial pneumonia. MMWR Recomm Rep 1997;3:1-79.

9. Tablan OC, Anderson LJ, Arden NH, Breiman RF, Butler JC, McNeil MM. Guideline for prevention of nosocomial pneumonia. The Hospital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1994;15:587-627.

10. Tablan OC, Anderson LJ, Besser R, Bridges C, Hajjeh R; CDC;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Guidelines for preventing health-care-associated pneumonia, 2003:

recommendations of CDC and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MMWR Recomm Rep 2004;26:1-36.

11. Wunderink RG, Woldenberg LS, Zeiss J, Day CM, Ciemins J, Lacher DA. The radiologic diagnosis of autopsy-proven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Chest 1992;101:458-63.

12. Chastre J and Fagon JY. Ventilator-associated pneumonia.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2;

165:867-903.

13. Gastmeier P. Evidence-based infection control in the ICU (except cathters). Curr Opin Crit Care 2007;13:557-62.

14. Kofteridis DP, Papadakis JA, Bouros D, Nikolaides P, Kioumis G, Levidiotou S, et al.

Nosocomial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prevalence and risk factors in 14 Greek hospitals. Eur J Clin Microbiol Infect Dis 2004;23:888-91.

15. Lefcoe MS, Fox GA, Leasa DJ, Sparrow RK, McCormack DG. Accuracy of portable chest radiography in the critical care setting.

Diagnosis of pneumonia based on quantitative cultures obtained from protected brush catheter.

Chest 1994;105:885-7.

16. Luna CM, Vujacich P, Niederman MS, Vay C, Gherardi C, Matera J, et al. Impact of BAL data on the therapy and outcome of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Chest 1997;111: 676-85.

17. Murray T and Goodyear-Bruch C.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improvement program.

AACN Adv Crit Care 2007;18:190-9.

18. Rosenthal VD, Maki DG, Salomao R, Moreno CA, Mehta Y, Higuera F, et al. Device -associated nosocomial infections in 55 intensive care units of 8 developing countries.

Ann Intern Med 2006;145:582-91.

19. Wojkowska MJ, Bulanda M, Rozanska A, Heczko PB. Hospital acquired pneumonia at the intensive care units. The active nosocomial infections surveillance programme of Polish Society of Hospital Infections. Przegl Epidemiol 2006;60:225-35.

20. van der Zwet WC, Kaiser AM, van Elburg RM, Berkhof J, Fetter WP, Parlevliet GA, , et al. Nosocomial infections in a Dutch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surveillance study with definitions for infection specifically adapted for neonates. J Hosp Infect 2005;61:300-11.

(10)

수치

Fig. 1. Pneumonia flow diagram 2002.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able 4. Frequency of criteria in patients with nosocomial pneumonia diagnosed by the 2002 CDC definitions

참조

관련 문서

John Miller (1996) Public Infrastructure Development Systems.?. 401.649 Cost Planning for Constr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performances, which is a part of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A Retrospective Study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Neonatal Occipital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방부에서 제공하는 취업정보가 낮은 임금이나 낮 은 직급에 편중되어 있는 관계로 연령이 높을수록 계급이 높을수록 국방부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it as a basis for the health care guidelines for the muscle mass and cardiovascular disease of Korean population by

And for the case the entrapment is permitted, this study examines a few academic assumptions on the tolerance field, its theoretical grounds, ways to

surveillance study of patients with Emergency Department injuries under the control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Statisti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ckground,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in Chapter 1, and the second part of the theoretical study is related to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