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아원에 다니는 소아에서의 감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유아원에 다니는 소아에서의 감염"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최근 사회 경제적 여건들의 변화로 부모들이 자 녀들을 가정에서 돌보는 대신 유아원(day care cen- ter) 등의 시설 환경에 맡겨 두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경우 소아는 소아의 특성, 돌보는 사람 들의 건강 및 환경 등으로 인해 감염성 질환의 위 험이 증가하게 된다1~ 5 ). 감염성 질환의 위험이 증 가하면서 항생제 내성을 가진 균에 의한 감염도 흔 하게 발생하는데1 , 6 , 7 ) 이는 유아원에 다니는 소아가 가정에서 지내는 소아에 비해 항생제 복용율과 복 용 기간이 길기 때문이다1).

소아 에 서 감 염과 관 련된 면역 학 적 요 인

소아가 감염성 질환의 이환이 보통보다 많거나 심한 감염에 이환되는 경우는 면역결핍 질환, 호흡 기 계통의 구조적 이상, 및 알레르기 질환을 의심 해 볼 수 있으며8 ) 이와 함께 유아원에 다니는 형 제자매로부터 혹은 본인이 직접 유아원에서 감염에 노출되는 기회가 많은 경우이다1~ 5 ).

감염성 질환의 이환이 높거나 심한 감염에 이환 되는 생리적 원인은 크게 두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9 ~ 17 ). 첫째, 항체 면역의 양과 표현의 차이이

다. 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에 대한 방어로 모체에 서 전달받은 항체와 출생 후 스스로 생산하는 항체 가 중요하다. 소아는 항체의 항원에 대한 친화력과 농도도 낮으며 다양성(repertoire)이 제한되어 있다.

둘째, 면역 반응의 질적, 기능적 차이로 소아는 성 인처럼 효과적 면역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T 세포 비의존적 항체 반응이 미성숙하므로 다당 질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이 약하고 폐구균, 인플

루엔자균, 수막구균 등의 미생물에 의한 감염 시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소아는 성인에 비해 여 러 가지 미생물에 의한 감염에 쉽게 이환되게 되고 특히 유아원 등의 환경에서 생활하는 경우 여러 미 생물에 노출되는 기회가 많으므로 감염의 빈도가 증가하며 그 정도가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감 염 과 관 련된 위 험 인 자

유아원에서 생활하는 소아가 감염성 질환의 이 환율이 높은 중요한 요인은 이들의 면역 반응의 특 징 때문이다. 또한 배변 습관의 훈련이 안되고 서 로 매우 가깝게 접촉하며 주변의 물건들을 무조건 입으로 빠는 등의 행동 습관은 일단 유아원 환경 내에서 감염이 시작되면 쉽게 전파되도록 만든다

1, 3 )

. 이들을 돌보는 사람들의 감염 조절에 대한 교 육이 부적절하거나 너무 많은 소아가 좁은 공간에 모여있는 환경이거나 여러 나이 군을 각각 구별하 여 돌보지 못하는 경우 등도 위험 요인들이 된다

5 , 18 )

(Table 1).

감 염 질 환 의 전 파

유아원에 다니는 소아에게 감염 미생물이 유입 되는 요인은 그 인구 집단에서의 원인 미생물의 보 급 정도와 질병에 걸릴 수 있는 소아의 숫자가 중 요하다. 미생물의 전파는 전파 양식, 미생물의 양, 환경에서의 생존도가 중요한 요인이 되며 무증상 감염이나 보균자의 빈도, 그 집단에서의 원인 미생 물에 대한 면역 정도도 중요한 요인이다3 ).

소아를 돌보는 사람이 손을 자주 씻는 것은 미 생물의 전파를 막을 수 있고 감염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다19 , 2 0 ). 일단 유아원에

유아원에 다니는 소아에서의 감염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2)

서 감염된 소아는 다시 가족과 주변 사회로 감염을 옮길 수 있다. 유아원에서 호흡기계 감염을 일으키 는 원인 질환을 관찰하면 그 지역 사회에서의 유행 가능하거나 현재 유행하고 있는 질환을 짐작할 수 있다2 1, 2 2 ).

유아원 환경에서는 여러 가지 미생물이 분변을 통해 경구로, 호흡기로, 피부 접촉으로, 혹은 혈액, 소변, 타액으로 쉽게 전파될 수 있다(Table 2).

감 염 질 환의 발 생 양 상

유아원에서는 몇 가지 다른 양상으로 감염 질환 이 발생한다1, 3 , 2 3 )

. 인플루엔자균, respiratory syn- cytial virus(RSV), 로타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염 질 환은 소아가 일차적인 임상 증상을 나타내지만 A 형 간염의 경우에는 오히려 소아에서는 무증상이고 소아와 접촉한 성인이 감염 시 심한 증상을 일으킨 다. 이질, giardiasis, 수막구균 감염은 소아와 성인

모두에서 비슷한 증상을 초래한다. 한편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cytomegalovirus, CMV), 풍진, parvo- virus B 19 감염, coxsackievirus A 16 감염 등은 소 아와 성인에서 모두 무증상 혹은 경증의 감염으로 지나가지만 임신한 여성에서 태아에 심한 부작용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어 주의를 요한다.

감 염 질 환 의 종 류

대부분의 미생물은 유아원 환경에서 전파되어 여러 가지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Table 3). 이 중 호흡기계 감염이 가장 흔한 감염성 질환으로 유아 원의 소아 감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1 . 호 흡 기 전 파 감 염

호흡기 바이러스의 전파 방법은 에어로졸, 호흡 기 비말, 오염된 분비물, 장난감 등을 통한 직접적 인 손 접촉이다. 소아는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서 무증상 질환, 상기도염, 중이염, 인두염, 크 루프, 기관지염, 모세기관지염, 폐렴을 앓을 수 있 다. 소아는 한가지 원인에 의해서 여러 번의 감염 을 경험할 수 있는데 이는 한 바이러스 아형에서 항원의 종류가 다양하거나(A형 인플루엔자), 몇 가 지 아형이 있거나(rhinovirus), 한번 노출된 후에도 면역이 생기지 않는(RSV)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1). 바이러스는 임상증상이 생기기 전 결막이나 코, 인 두 등의 감염부위에서 분비되므로 유아원에서 감염 의 전파를 통제하는 것은 어렵다.

유아원에 다니는 소아는 집에 있는 소아보다 호 흡기 감염에 많이 이환되며 호흡기 감염 중 중이염 의 빈도가 훨씬 높고 튜브 삽관술을 시행 받는 빈 도도 높다2 5 ).

1 ) 바이러스에 의한 상기도염

경한 호흡기 감염을 갖는 경우 유아원에 오지 못하도록 제한할 필요는 없는데 이는 이를 통해 유 아원 소아의 감염 횟수를 줄일 수 없기 때문이다.

2 ) CMV

무증상의 감염 소아는 CMV를 엄마나 유아원에 서 어린이를 돌보는 사람에게 전파하는데 이것이 가장 중요한 유아원 관련 CMV 감염이다. 이런 경 Ta b le 1. Ris k Fa cto rs fo r Infe ct ious Dis e a s e

in Day Ca re Children

1. Immunologic susceptibility to infectious agents

2. Lack of toilet training 3. Natural tendency to intimacy

4. Frequent oral contact with environment 5. Lack of awareness and practice of good

hygiene Caregivers

1. Insufficient training in infection control 2. Lack of policy regarding immunization 3. Inadequate screening for infectious diseases Environmental and Economic Problems

1. Inappropriate staff : child ratios 2. Overcrowding

3. Failure to separate age groups 4. Poorly designed physical plant

5. Parental pressure to admit sick children to day care

From Wald ER. Infections in day care environ- ments. In : Feigin RD, Cherry JD, editors. Text- book of pediatrics infectious diseases. 4th ed.

Philadelphia : Saunders, 1998:2826-4 1

(3)

우 감염 소아들은 1~2%는 출생 전, 2~3%는 주 산기, 6%는 출생 후 모유 수유를 통해 엄마로 부 터 수직감염 되었다1). 유아원에 다니는 소아는 집 에 있는 소아보다 더 쉽게 CMV에 감염된다. 1~3 세의 소아에서 약 70% 정도의 바이러스 분비가 일 어나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며 이는 수년간 지속된 다1). 임신 전 항체 양성인 여자는 소아로 부터의 노출에 위험하지는 않으나 임신 중 CMV 감염의 재활성이 일어날 수 있어 1/500 정도로 선천성 CMV 감염 영아가 발생할 수 있다2 6 ). 이중 5%에서 합병증을 가지며 합병증은 중등도의 청력소실증상 등이고 대부분은 경미하다. CMV 감염은 바이러스 를 포함한 분비물에 직접적으로 접촉해 일어나므로 손을 씻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CMV 분비가 흔하 므로 CMV를 분비하는 소아를 격리하는 것은 적당 하지 않다. 또한 CMV를 분비하는지 검사하는 것 도 적당하지 않은데 이는 분비가 간헐적으로 일

어나며 검사 결과도 정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 이다1).

3 ) Parvovirus B 19

Parvovirus B 19에 의한 질환은 20%에서 무증상 이며 전염성 홍반이 가장 흔한 임상증상으로 소아 에서 주로 일어난다. 성인에서는 관절염, 면역 결핍 자에서는 만성빈혈과 골수형성부전발증(aplastic cri- sis)을 일으킬 수 있다. 정상 소아가 진단된 경우 유아원에 다닐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전염성 홍반의 발진 시기에는 호흡기 분비물에 바이러스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임산부도 격리할 필요는 없다. 바이 러스의 증식과 바이러스 혈증, 인두로부터의 분비 는 임상 증상이 나타나기 1주 전에 생긴다1, 4 ).

4 ) Varicella zoster virus(VZV)

수두는 공기 미개와 호흡기 비말로 쉽게 전파된 다. 유아원에 다니는 소아는 일반 인구에 비해 수 두의 발병이 높다2 7 ). 수두에 걸린 소아는 발진 후 Ta b le 2 . Mode s of Tra ns mis s ion of Orga nis ms in Child Ca re S ett ing

Mode of transmission Bacteria Viruses Other

Fecal-oral

Respiratory

Person-to-person via skin contact Contact with blood,

Urine and/or saliva

Campylobacter organisms Clostridium diff icile E. coli O157 : H7 Salmonella organisms Shigella organism

Bordetella p ertussis H. inf luenzae type b M. tuberculosis N. meningitidis S. p neumoniae Group A streptococcus

Group A streptococcus S. aureus

Astrovirus, Calcivirus

Enteric adenoviruses Enteroviruses Hepatitis A virus Rotaviruses Adenovirus Influenza Measles Mumps Parainfluenza Parvovirus B 19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hinovirus

Rubella

Varicella-zoster virus Herpes simplex virus Varicella-zoster virus Cytomegalovirus Hapatitis B and C virus Herpes simplex virus

Cryp tosp oridium p arvum Enterobius vermicularis Giardia lamblia

Agent causing pediculosis scabies, and ringworm

From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hildren in out-of-home child care. In : Pickering LK, editor. 2000 Red book : Report of the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25th ed. Elk Grove Village, 2000:105-19

(4)

6일째 혹은 모든 피부 병소가 딱지가 앉을 때까지 격리해야 한다. 유아원에 있던 성인이 수두에 노출 될 경우 노출 3일 내에 예방 접종을 받도록 추천한 다. 대상 포진에 걸린 성인이나 소아는 병소를 가 리지 못할 경우 수두와 같이 격리를 요한다. 대상 포진은 수두와 달리 병소의 액체와 직접적 접촉에 의해서만 전파가 일어나므로 병소는 딱지가 않을 때 까지 덮거나 옷을 입어 가려야 한다1~ 4 ).

5 ) A군 연쇄구균 감염

A군 연쇄구균 감염은 유아원에서 흔한 문제는 아니나 집단 발병의 보고는 있다1). 이 감염으로 확 인된 소아는 항생제 치료 시작 후 24시간까지 격리 되어야 한다. 연쇄구균 인두염의 발병이 유아원에

서 보고되기는 했지만 한명의 환자가 있을 경우 2 차 전파의 발생율은 낮으므로 전체 유아원에서의 항생제 예방 요법은 추천되지 않는다4 ).

6 ) 세균성 뇌막염 등의 침습성 세균 감염 B형 인플루엔자균의 전파는 유아원에 다니는 예 방접종을 시행 받지 않은 영아에서 일어날 수 있 다. 무증상 보균자나 호흡기 감염 증상이 있는 사 람에서 전파가 시작된다. 예방접종을 통해 감염의 전파와 발생을 막을 수 있다. 1980년대 미국에서 유아원 내 인플루엔자균 감염 환자들이 많이 발견

되었으며2 8 ) 전체 환자의 28~40%가 유아원에 다니

는 소아에서 발생한 보고가 있다2 9 ). 인플루엔자균 의 감염의 위험은 2세 이하 소아가 유아원에 처음 Ta b le 3 . Infe ct ious Dis e a s e s in t he C hild- Ca re S e tt ing

Disease Increased incidence with childcar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Otitis media Yes

Sinusitis Probably

Pharyngitis Probably

Pneumonia Yes

Gastrointestinal tract infections Diarrhea* Yes

Hepatitis A Yes

Skin diseases Impetigo Probably

Scabies Probably

Pediculosis Probably

Tinea(ringworm) Probably

Invasive bacterial infections H. inf luenzae type b Yes

Neisseria meningitidis Probably

Strep tococcus p neumoniae Yes

Aseptic meningitis Enteroviruses Probably Herpesvirus infections Cytomegalovirus Yes

Varicella-zoster virus Yes Herpes simplex virus Probably Blood-borne infections Hepatitis B Few case reports

HIV No cases reported

Vaccine-preventable diseases Measles, mumps, rubella Not established Diphtheria, pertussis, tetanus Not established

Polio No

H. inf luenzae type b Yes

Varicella Probably

From Pickering LK, Laborde DJ. Child care and communicable diseases. In : Behrman RE, Kliegman RM, Jenson HB, editors. Nelson testbook of pediatrics. 16th ed. Philadelphia: Saunders, 2000:1092-4

*Diarrhea; rotavirus, Giardia lamblia, Shigella, E coli O157 : H7, and less commonly enteric adenoviruses, A eromonas, Campylobacter, Clostridium diff icile, and Bacillus cereus

(5)

들어간 첫 달에 가장 높으며 특히 큰 규모의 유아 원에 다니는 소아에서 높다2 9 ).

수막구균 감염은 유아원 환경에서 이차 감염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한 보고에 의하면 집에 있던 소아보다 유아원에 있던 소아에서 76배 이상 감염 의 위험이 증가 되었다고 하였다3 0 ). 수막구균 감염 은 모든 나이에서 생길 수 있지만 특히 1세 미만에 서 발병율이 가장 높다. 수막구균 감염을 가진 환 자와 장기간 접촉한 소아와 성인에서는 감염의 위 험성이 증가한다1).

폐구균 감염은 중이염, 부비동염, 폐렴을 포함한 상하기도 감염의 가장 흔한 세균성 질환이다. 유아 원에 다니는 소아에서 폐구균에 의한 일차성 침습 성 질환의 위험은 증가한다. 유아원에서 이차적인 폐구균 전파가 보고되었지만 그 위험률은 알려져 있지 않다. 페니실린 내성 폐구균의 전파는 유아원 에서 쉽게 이루어진다고 증명되었다3 1). 또한 유아 원에서 폐구균에 의한 침습성 질환의 발생이 보고 되고 있다. 특히 항생제를 예방적으로 복용하거나 항생제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 항생제 내성 폐구균 의 비인두 보균의 위험요인이 된다. 최근 유아원의 어린 소아들에서 폐구균 12F에 의한 집단 발병의 보고가 있었다3 2 ).

7 ) 결 핵

영아와 어린소아의 결핵은 성인에서처럼 전염성 이 있지 않다. 그 이유는 소아는 동공을 가진 폐 결핵이 드물며 공기 중으로 많은 수의 결핵균을 배 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단 항결핵제를 시작하면 소아는 유아원에 다닐 수 있다4 ).

그러나 HIV와 결핵 감염을 동시에 갖고 있는 영 아나 소아는 유아원에 다녀서는 안된다4 ). 결핵을 가진 성인은 유아원의 소아에게 위험하기 때문에 유아원에서 일하는 성인은 반드시 결핵반응 검사를 먼저 받아야 한다. 활동성 결핵이 있는 경우 항결 핵제 치료를 받고 다른 사람에게 감염성이 없다는 것이 확인 될 때까지 소아를 돌보아서는 안된다.

2 . 위 장 관 감 염

많은 미생물들이 유아원의 소아에게 설사를 일 으킬 수 있다. 이중 사람과 사람으로 전파되는 것

은 로타바이러스, 장 아데노바이러스, astrovirus, calicivirus, 이질, 대장균, giardia lamdlia 등이 있다.

살모넬라균은 거북이 등의 파충류를 통해서 소아에 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보통 어린이들은 대소 변을 가릴 수 없으므로 주위 환경에 분변이 오염되 는 것이 흔하다. 장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은 직접 적으로 사람과 사람간에 전파가 되거나 간접적으로 장난감이나 주위환경, 음식물을 통해 전파되는 등 분변-경구 경로를 통해 전파된다. 로타바이러스와 A형 간염 바이러스 등을 포함한 몇가지 장병원균 은 환경에서 수시간부터 수주간의 기간동안 살아있 을 수 있다.

분변-경구 전파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하고 유일한 방법은 유아원에 종사하는 사람들 이 손을 철저히 씻는 것이다. 설사가 있는 환자를 격리 할 경우에는 설사가 그칠 때까지 격리해야 하 며 이질에 걸린 소아는 다시 유아원에 들어오기 전 에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한다. A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증상이 있는 소아는 질병 시작 후 1주일까 지 격리해야 한다. 대장균 O157 : H7이나 이질을 제외한 다른 장병원균을 분비하는 설사가 없는 무 증상의 소아는 치료가 필요 없고 유아원에도 다닐 수 있다.

1 ) A형 간염

유아원은 A형 간염 바이러스의 중요한 근원지가 될 수 있다. A형 간염 바이러스는 주로 증상이 성 인에서 나타나고 소아에서는 무증상으로 나타나는 특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유아원에서 일하는 성인 들은 A형 간염 바이러스 백신을 접종 받도록 해야 한다.

2 ) 로타바이러스 감염

로타바이러스는 1~3일 간의 짧은 잠복기를 갖 고 있으며 증상이 발현되기 전 48시간 전부터 바이 러스를 분비 할 수 있다. 무증상의 바이러스 분비 율은 높은 빈도를 보이며 평균 4일까지 분비하지만 면역 결핍 소아에서는 30일 이상 분비할 수 있다.

로타바이러스는 분변-경구 경로를 통해 사람과 사 람으로 전파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분변으로 오염된 물을 통해 전파 될 수 있다. 또한 바이러스로 오염 된 유아원 사람의 손으로 감염되어 전파 될 수도

(6)

있다3 3 ).

사람에서 증명된 것은 아니지만 호흡기 전파가 의심되고 있다3 4 ). 이에 대한 근거로는 잠복기가 1~3일의 짧은 기간이라는 것과 바이러스 감염이 간혹 폭발적인 발생을 일으킨다는 것이다. 로타바 이러스는 환자의 호흡기 분비물에서도 발견되었으 며 폐렴 환자도 보고된 바 있다3 5 , 3 6 )

. 로타바이러스 환자의 50%에서 호흡기 증상과 중이염을 앓았다는 보고도 있다. 또한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입원실에 서 채취한 공기로부터 로타바이러스 RNA를 발견 했다는 보고는 로타바이러스의 전파 경로로 공기 전파가 가능하다는 것을 암시한다3 7 ).

3 . 혈 액 및 체 액 에 의 해 전 파 되 는 감 염 1) B형 간염 바이러스 (HBV)

소아 HBV 보인자는 전파의 위험이 낮으므로 유 아원에 들어갈 수 있다4 ). HBV는 소아에서 상처 후 혈액에 직접 노출되거나 물거나 피부를 손상시키는 상처로 전파되는데 이를 통해 보균자로부터 혈액이 나 체액이 다른 사람에게 들어갈 수 있어 유아원에 서의 전파 보고가 있다3 8 , 3 9 )

. 혈액이나 타액의 환경 오염을 통한 간접적인 전파도 가능하지만 아직 규 명된 바는 없다. 타액이 혈액보다 바이러스를 적게 가지고 있으므로 타액의 감염력은 낮다. 소아가 유 아원에 들어가기 전 HBV 보인자를 선별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잘 무는 습성을 가진 소아는 문제 가 될 수 있는데 현재까지의 검사에 의하면 HBV 보인자가 물 경우 HBV의 전파 위험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3 9 ). 보인자에게 물린 사람은 HBIG와 예방접종으로 예방하도록 추천한다4 ). 항체가 없는 소아가 보인자를 물었을 때 HBV 획득 위험은 알 려지지 않았지만 대부분 구강 내 점막질환이 없는 항체를 가지지 않은 소아에게는 HBIG를 주지 않도 록 추천한다. 유아원 내 소아에서 칫솔을 공유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2 ) 인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유아원에서 소아의 HIV감염 전파율은 극히 낮으 므로 유아원에 들어가기 전 HIV 검사는 필요하지

않다4 0 ). 그러나 모든 유아원 소아에서 혈액이나 혈

액에 오염된 체액을 만질 때에는 기본적인 주의를

요한다. 무는 것이 HIV 감염의 전파방법이 될 수 는 있지만 전파율은 매우 낮다. 그러나 물어서 출 혈이 되었을 경우에는 노출 후 예방을 포함한 검사 와 조치를 시행해야 한다1 , 4 ).

3 ) C형 간염(HCV)

유아원에서 HCV 감염의 전파 위험률은 알려져 있지 않다. 감염된 혈액을 통해 피부로 노출된 후 HCV 감염의 일반적인 위험은 HIV 감염의 위험보 다 10배 높으나 HBV 감염의 위험률 보다는 낮다.

점막이나 피부상처를 통한 감염의 위험도 마찬가지 이다4 ).

4 ) Herpes simplex virus(HSV)

HSV에 의한 구내염이 있는 소아는 활동성 병소 가 있는 동안 경구 분비물을 조절 할 수 없는 경우 유아원에 나오지 못하도록 한다. 유아원에서 HSV 에 임산부가 노출되었을 경우 태아에 대한 위험은 없다4 ). HSV 감염 환자에서 침이나 조직액, 피부병 소로부터의 액체를 만졌을 경우 감염될 수 있으므 로 아기를 돌보는 사람들은 손을 잘 씻어야 한다.

감 염 의 예 방과 처 치

1 . 격 리

영유아 및 소아는 고열, 기면, 보챔, 지속적인 울 음, 호흡 곤란 등의 심한 질환을 암시하는 증상이 있는 경우와 구토, 구강 내 병변, 발열을 동반한 발 진 등이 전염성 질환의 소견일 때 유아원 환경에서 격리되어야 한다1). 그밖에 다음과 같은 질환이 있 을 때 격리가 필요하다1, 4 ).

혈액이나 점액을 포함한 설사

E. coli O157 : H7 감염이나 이질은 설사가 멈 추고 대변 배양 검사가 2회 음성이 될 때까지

화농성 결막염

농가진은 치료 시작 후 24시간까지

연쇄구균성 인두염은 치료 시작 후 24시간 까지

머릿 이(pediculosis)의 경우 치료 시작할 때 까지

옴(scabies)은 치료가 된 후

수두는 모든 피부 병변이 말라서 딱지가 앉을

(7)

때까지(대개 6일)

백일해는 적절한 항생제 치료 시작 후 5일 까지

볼거리는 이하선의 부종 후 9일까지 홍역은 발진 후 4일까지

A형 감염은 질환의 시작이나 황달 시작 후 1

주까지

그러나 면역 기능이 정상인 사람에서의 parvo- virus B 19 감염, CMV 감염, HBV 보인자, HIV 감 염인 경우는 격리가 필요하지 않다1 , 4 ).

Ta b le 4 . Immunizat io ns for Da y Ca re Employe e s

Vaccine Personnel Schedule

Diphetheria. tetanus All Every 10 years

Measles, mumps, rubella All Evidence of prior infection

or two doses at least 1 month apart Varicella Nonimmune Two doses 1 month apart

Polio All Primary immunization with inactivated polio vaccine if needed

Consider booster if previously immunized Influenza A/B If older than 55 years of age Annually

Hepatitis B Advised 0, 1, and 6 months or 0, 1, and 2 months

Hepatitis A All Two doses 1 month apart

From Wald ER. Infections in day care environments. In : Feigin RD, Cherry JD, editors. Textbook of pediatrics infectious diseases. 4th ed. Philadelphia : Saunders, 1998:2826-41

Ta b le 5 . Indica t ions a nd Guide line s for Rifa mpin Che mo pro phyla x is for Conta ct s of Inde x Ca s e s of Inva s ive Ha e mophilus influe nza e Type b (Hib ) Dis e a s e

Chemoprophylaxis not recommended

Occupants of households with no children younger than 4 years of age other than the index patient Occupants of households when all household contacts younger than 48 months of age have completed their Hib immunization series*

Nursery and child care center contacts of 1 index case, especially those older than 2 years of age Pregnant women

Chemoprophylaxis recommended

All household contacts(except pregnant women), irrespective of age, with at least 1 contact younger than 4 years of age who is unimmunized or incompletely immunized*

The index patient also should receive chemoprophylaxis

All members of a household with a child younger than 12 months of age, even if the primary series has been given

All occupants of a household with an immunocompromised child, irrespective of the child's Hib immunization status

Nursery and child care center contacts, irrespective of age, when 2 or more cases of invasive disease have occurred within 60 days

*Complete immunization is defined as having had at least 1 dose of conjugate vaccine at 15 months of age or older; 2 doses between 12 and 14 months of age; or a 2- or 3-dose primary series when younger than 12 months with a booster dose at 12 months of age or older

Defined as persons residing with the index patient or nonresidents who spent 4 or more hours with the index case for at least 5 of the 7 days preceding the day of hospital admission of the index case

(8)

2 . 예 방 접 종

영아와 소아는 나이에 적절한 예방 접종을 받아 야 한다. 결핵, B형 간염,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 풍, 소아마비, 홍역, 볼거리, 풍진, 및 일본 뇌염에 대한 예방 접종은 우리나라 소아가 금기 사항이 없 는 한 기본적으로 접종 받아야 할 예방 접종들로 지정되어 있으며 Hib와 수두는 2002년 수정된 예 방 접종 지침서에서 권장 접종에 속하고 그밖에 독 감, A형 간염 등에 대한 예방 접종도 필요한 경우 에는 추천된다. 실제로 유아원에 다니는 소아는 집 에만 있는 소아 보다 더 최신 정보에 의한 예방 접 종을 받아야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4 1).

소아 뿐 아니라 유아원에서 종사하는 성인도 적 절한 예방 접종이 필요하다(Table 4).

유아원에 다니는 소아나 유아원에서 종사하는 성인에서 HIV, HBV 및 CMV에 대한 감염 여부를 반드시 검사할 필요는 없다1 , 3 ). 결핵의 경우 소아 의 결핵은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위험성이 거의 없 으므로 결핵 치료를 받는 소아가 유아원에 다니는 것은 제한할 필요는 없으나 유아원에서 종사하는 성인은 반드시 결핵에 대한 검사를 받아 감염성이 있는 경우로 판단되면 유아원에서 일하는 것이 금 지되어야 한다1 , 3 ).

3 . 감 염 질 환 에 노 출 후 예 방 적 화 학 요 법 수막구균과 Hib에 의한 뇌막염이나 침습성 감염

환자가 유아원에서 발생한 경우 유아원내의 접촉자 는 Table 5와 Table 6의 지침대로 항생제 예방 요 법을 시행 받는다4 2 , 4 3 )

. 만약 백일해 환자가 있었다 면 erythromycin 복용이 추천되며 홍역이나 A형 간 염에 노출 시 감염의 위험성이 있는 경우라면 면역 글로불린 근육 주사로 예방이 가능하다.

참 고 문 헌

1) Wald ER. Infections in day care environments.

In : Feigin RD, Cherry JD, editors. Textbook of pediatrics infectious diseases. 4th ed. Philadel- phia : WB Saunders, 1998:2826-41.

2) Pickering LK, Laborde DJ. Childcare and com- municable diseases. In : Behrman RE, Kliegman RM, Jenson HB. Nelson Textbook of Pediat- rics. 16th ed. Philadelphia : WB Saunders, 2000:

1092-4.

3) Churchill RB, Pickering LK. Infection control challenges in child-care centers. Infect Dis Clin North Am 1997;11:347-65.

4)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Children in out-of-home child care. In : Pickering LK, edi- tor. 2000 Red book : Report of the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25th ed. Elk Grove Vil- lage, 2000:105-19.

5) Osterholm MT, Reves RR, Murph JR, Pick- ering LK. Infectious diseases and child day Ta b le 6 . Indica t ions a nd G uide line s for Co nta cts of Inde x Ca s e s of Inva s ive Me ningococca l Dis e a s e Chemoprophylaxis recommended

Household contact: especially young children

Child care or nursery school contact during previous 7 days

Direct exposure to index patient's secretions through kissing or sharing toothbrushes or eating utensils, markers of close social contact

Mouth-to-mouth resuscitation, unprotected contact during endotracheal intubation during 7 days before onset of the illness

Frequently sleeps or eats in same dwelling as index patient Chemoprophylaxis not recommended

Casual contact : no history of direct exposure to index patient's oral secretions, eg, school or work mate

Indirect contact : only contact is with a high-risk contact, no direct contact with the index patient Health care personnel without direct exposure to patient's oral secretions

(9)

care. Pediatr Infect Dis J 1992;11:S31-4 1.

6) Henderson FW, Gilligan PH, Wait K, Goff DA. Nasopharyngeal carriage of antibiotic-resis- tant pneumococci by children in group day care. J Infect Dis 1988;157:256-63.

7) Barnes DM, Whittier S, Gilligan PH, Soares S, Tomasz A, Henderson FW. Transmission of multidrug-resistant serotype 23F Streptococcus pneumoniae in group day care : evidence sug- gesting capsular transformation of the resistant strain in vivo. J Infect Dis 1995;17 1:890-6.

8) Wasserman RL, Sorensen RU. Evaluating chil- dren with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 the role of immunization with bacterial polysaccharide vaccine. Pediatr Infect Dis J 1999;18:157-63.

9) Lawton AR. IgG subclass deficiency and the day-care generation. Pediatr Infect Dis J 1999;

18:462-6.

10) Lawton AR, Cooper MD. Ontogeny of immu- nity. In : Stiehm ER, editor. Immunologic dis- orders in infants and children. 4th ed. Philadel- phia : WB Saunders, 1996:1-13.

11) Abbas AK, Lichtman AH, Pober JS. Cellular and molecular immunology. 4th ed. Philadel- phia : WB Saunders, 2000:143.

12) Schroeder HW Jr., Mortari F, Shiokawa S, Kirkham PM, Elgavish RA, Bertrand FE, 3rd.

Developmental regulation of the human anti- body repertoire. Ann NY Acad Sci 1995;764:

242-60.

13) Wilson CB, Lewis DB, English BK. T cell development in the fetus and neonate. Adv Exp Med Biol 1991;310:17-27.

14) Wilson CB, Penix L, Weaver WM, Melvin A, Lewis DB. Ontogeny of T lymphocyte function in the neonate. Am J Reprod Immunol 1992;

28:132-5.

15) Schelonka RL, Raaphorst FM, Infante D, Kraig E, Teale JM, Infante AJ. T cell receptor rep- ertoire diversity and clonal expansion in human neonates. Pediatr Res 1998;43:396-402.

16) Lewis DB, Yu CC, Meyer J, English BK, Kahn SJ, Wilson CB.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s for reduced interleukin 4 and in- terferon-gamma production by neonatal T cells.

J Clin Invest 1991;87:194-202.

17) Hayward AR, Lawton AR. Induction of plasma cell differentiation of human fetal lymphocytes : evidence for functional immaturity of T and B cells. J Immunol 1977;119:1213-7.

18) Osterholm MT. Infectious disease in child day care : an overview. Pediatrics 1994;94:987-90.

19) Hendley JO, Wenzel RP, Gwaltney JM. Trans- mission of rhinovirus colds by self-inoculation.

N Engl J Med 1973;288:1361-4.

20) Gwaltney JM, Hendley JO. Rhinovirus trans- mission : one if by air, two if by hand. Trans Am Clin Climatol Assoc 1977;89:194-200.

21) Hurwitz ES, Gunn WJ, Pinsky PF, Schonberger LB. Risk of respiratory illness associated with day-care attendance : a nationwide study. Pediat- rics 199 1;87:62-9.

22) Schwartz B, Giebink GS, Henderson FW, Reichler MR, Jereb J, Collet JP. Respiratory in- fections in day care. Pediatrics 1994;94:10 18- 20.

23) Goodman RA, Osterholm MT, Granoff DM, Pickering LK. Infectious diseases and child day care. Pediatrics 1984;74:134-9.

24) Huskins WC. Transmission and control of in- fections in out-of-home child care. Pediatr In- fect Dis J 2000;19:S106-10.

25) Kvaerner KJ, Nafstad P, Hagen JA, Mair IW, Jaakkola JJ. Early acute otitis media and sib- lings' attendance at nursery. Arch Dis Child

1996;75:338-4 1.

26) Adler SP. Cytomegalovirus transmission and child day care. Adv Pediatr Infect Dis 1992;

7:109-22.

27) Foscarelli P. Infectious conditions in day care : There is more than enteritis and rhinitis. Am J Dis Child 1990;144:955-6.

28) Fleming DW, Leibenhaut MH, Albanea D, et al. Secondary Haemophilus influenzae type b in day care facilities : Risk factors and prevention.

JAMA 1985;254:509-14.

(10)

29) Istre GR, Conner JS, Broome CV, et al. Risk factors for primary invasive Haemophilus influ- enzae disease : Increased risk from day-care at- tendance and school age household members. J Pediatr 1985;106:190-5.

30) DeWals P, Hertoghe L, Borlee-Grimee I, et al.

Meningococcal disease in Belgium : Secondary attack rates among household, day-care nursery and pre-elementary school contacts. J Infect 1981;1(Suppl):53-61.

31) Henderson FW, Gilligan PH, Wait K, et al.

Nasopharyngeal carriage of antibiotic resistant pneumococci by children in group day care. J Infect Dis 1988;157:256-63.

32) Cherian T, Steinhoff MC, Harrison LH, Rohn et al. A cluster of invasive pneumococcal dis- ease in young children in child care. JAMA 1994;271:695-7.

33) Dennehy PH. Transmission of rotavirus and other enteric pathogens in the home. Pediatr Infect Dis J 2000;19(10 Suppl):S103-5.

34) Prince DS, Astry C, Vonderfecht S, Jakab G, Shen FM, Yolken RH. Aerosol transmission of experimental rotavirus infection. Pediatr Infect Dis 1986;5:218-22.

35) Fragoso M, Kumar A, Murray D. Rotavirus in nasopharyngeal secretions of children with up- 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Diagn Microbiol Infect Dis 1986;4:87-8.

36) Zheng B, Chang R, Ma G, et al. Rotavirus

infection of the oropharynx and respiratory tract in young children. J Med Virol 199 1;34:

29?37.

37) Dennehy PH, Nelson SM, Crowley BA, Sara- cen CL. Detection of rotavirus RNA in hospital air sample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Pediatr Res 1998;43:143A.

38) Desoda CC, Shapiro CN, Carroll K, et al. Hep- atitis B virus transmission between a child and staff member at a day care center. Pediatr In- fect Dis J 1994;13:828-30.

39) Shapiro CN, McCaig LF, Gensheimer KF, et al. Hepatitis B virus transmission between chil- dren in day care. Pediatr Infect Dis J 1989;8:

870-5.

40) Jones DS, Rogers MF. Human immunodefici- ency virus infection in children in day care.

Semin Pediatr Infect Dis 1990;1:280-6.

41) Hinman AR. Vaccine-preventable diseases and child day care. Rev Infect Dis 1986;8:573-83.

42)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Haemophilus influenzae infections. In : Pickering LK, editor.

2000 Red book : Report of the Committee on infectious diseases. 25th ed. Elk Grove Village, 2000:262-72.

43)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Meningococ- cal infections. In : Pickering LK, editor. 2000 Red book : Report of the Committee on infec- tious diseases. 25th ed. Elk Grove Village, 2000:396-40 1.

참조

관련 문서

대표적으로 PERC(Passivated Emitter and Rear Cell), PERL(Passivated Emitter Rear Locally Diffused), IBC(Interdigitated Back Contact), HIT(Heterojunction with

원리 : 기판에 특정 방향(ellipsometer)으로 편광된 빛을 입사시키고 이에 반사된 빛을 다시 특정 방향으로 편광시켜 패턴부와 불 량 부위의 계조차이에 의해 defect 검사.

8 No attenuation of light by semi-transparent metal electrodes, 8 Absorption of wave-guided light is dramatically reduced through. the use of highly reflective metallization

Parallel light rays that pass through and illuminate the specimen are brought to focus at the rear focal plane of the objective, where the image of the

원하는 형상의 회로 선을 얻기 위한 목적이나 배선(Interconnection)용 접촉(Contact)을 이루기 위한 구멍(Contact Hole)을 형성하기 위한 용도로 대상

Conventional ECP is a non-contact surface polishing method used to improve surface quality without leaving the mechanical scratch marks often encountered

Occlusal contact patterns of digitalized casts articulated with six interocclusal records were compared to the occlusal contact of accurately articulate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service contact and passengers' emotions, this study classified service contact quality factors into four groups based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