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KISTI MARKET REPORT Vol.3 Issue 3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KISTI MARKET REPORT Vol.3 Issue 3"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Formulation room

Cultivation room

Air shower

Computer control room

Control of temperature, Light,

CO2 concentration, Fertilizer concentration, and pH

Lamps for supplemental lighting Extraction and

refining

2,000 1,600 1,200 800 400

0 2013

345 1,058

1,968

2014 2015 2017 2018 2019 2020

한국의 완전 인공광형 및 태양광·인공광 병용형 식물 공장 시장 규모

817 1,346

103 150

Vol. 3 Issue 3 March 2013

원예 작물 과학 식물 공장 / 신재생 에너지 조류 발전 / 그린 수송 시스템 리튬전지 에너지 저장 시스템 / LED 응용 LED 조명 / 신소재 SiC 웨이퍼

(단위: 억 원)

식물공장, 시장 현황과 향후 주요 과제

(2)

Vol. 3 Issue 3 March 2013

발행일 2013년 3월(통권 25호) ISSN 2233-8756 발행인 박영서 편집인 나도백 기획위원 손종구, 서진이, 최윤정, 나도백, 권이남 발행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다음 호(Vol. 3 Issue 4) 안내

분 야 주 제

방송 통신/IT 융합_차세대 무선 통신 펨토셀 시장 동향, 유무선 융합의 강자 펨토셀

IT 융합 시스템_차세대 센서 네트워크 MEMS 센서 시장 동향, 모바일 시장에서의 시장 기회 분석을 중심으로 탄소 저감 에너지_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CCS의 현황과 당면 과제

콘텐츠/SW_게임 고차원 기술이 결합된 체감형 모바일 게임 시장의 현황과 전망

창조 경제_국민 행복 국민 행복 기술은 무엇이고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원예 작물 과학

식물 공장

시장 현황과 향후 주요 과제

03 .

신재생 에너지

조류 발전

조류 발전의 전개 시장과 진입 전략

07 .

그린 수송 시스템

리튬전지 에너지 저장 시스템

새로운 블루오션 시장에 대처하는 중소기업의 준비 전략은 무엇인가?

12 .

LED 응용

LED 조명

경쟁 요인 및 융합 시장 성장

16 .

신소재

SiC 웨이퍼

전력 수급 조절, 에너지 절감 등의 해결 방안으로 수요 증대 기대

20 .

IT 융합 시스템

OLED TV 출시와 함께 찾아온 새로운 사업 기회 의료 기기

관련 주요 특허들의 기한 만료가 진행 중 차세대 IPTV

점진적 확대가 전망되는 스마트 TV 서비스 시장 제조 기반

터치스크린 사용 확대에 따른 지문 방지, 반사 방지 기술 개발 현황 바이오 제약(자원)·의료 기기

의료 기기 소비 구조와 이에 따른 시장 실현

전 호(Vol. 3 Issue 2) 안내

(3)

원예 작물 과학

발행일 2013년 3월(통권 25호) ISSN 2233-8756 발행인 박영서 편집인 나도백 기획위원 손종구, 서진이, 최윤정, 나도백, 권이남 발행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식물 배양에 필요한 환경 조건을 통제, 제어해 농작물을 생산하는 식물 공장

식물 공장의 개념

식물 공장은 기후 변화에 따른 대안 농법 및 토양 오염을 회피할 수 있는 안전 작물 생산 농법으로서, 일자리 창출, 농 촌 붕괴 등의 이슈들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식물 공장이란 일정한 시설 내에서 빛, 온도, 습도, 공기 (이산화탄소 농도), 물, 영양분 등 식물 배양에 필요한 모든 환 경 조건을 인공적으로 통제, 제어해 농작물을 생산하는 시스 템을 의미한다. 이른바 공장형 생산 시스템을 도입한 농업 방

식이다. 식물 공장형 농업 방식은 땅에서 이루어지는 노지 재 배, 비닐하우스나 유리온실 등의 시설 원예, 흙을 사용하지 않고 영양액 만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수경 재배 다음으로 등 장하였다. 따라서 기술적 발달 정도로 볼 때 환경제어 기술 이 고도로 발달한 정점에 있는 단계로 볼 수 있다.1)

식물 공장의 장점은, 1) 기후 등 불규칙한 자연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거나 이를 극복 가능한 상태의 농업 실현 가 능, 2) 지리적 입지 조건과 그 지역의 풍토에도 큰 영향을 받 지 않는 농업 가능, 3) 도심 혹은 근교에 식물 공장 건설 시 운송 시간과 운송비 절감 가능, 4) 계절에 관계없이 연중 안 정적인 농업 실현 가능, 5) 대부분 수경 재배 기반이므로 토 양 관리가 필요 없고 연작을 통한 지력 약화의 문제점 해결 가능, 6) 통제된 시설에서 첨단 녹색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생 육 기간 단축, 단위 면적당 높은 토지 생산성 가능, 7) 무농약 재배 등 친환경 농업 생산이 가능하고, 해충 방제, 생장 촉진 등 농업 생산물의 효능 향상 가능(LED를 이용하여 선택적 파장을 공급할 경우 식물의 색소 제어, 항산화 물질의 증강, 병해충 방제 효과가 발생) 등이다.

식물 공장의 구성은 먼저 식물 공장이 차려질 공간(건물이 나 온실 등)과 구조물이 필요하고, 인공조명 장치, 공기 조화 장치, 가스 조절 장치, 수경 재배 시스템, 이송 장치, 환경 제 어 자동화 설비 등이 있어야 한다. 또한, 식물 공장은 광원의 구성 요소와 제어 수준에 따라 부분 제어형(태양광 병용형)

1) 진석용, “농업과 제조업의 만남”, 식물 공장, 엘지경제연구소 LG Business Insight, 2010. 9. 15

식물 공장

시장 현황과 향후 주요 과제

산업정보분석센터 책임연구원 손종구 | Tel 02-3299-6037 e-mail jkson@kisti.re.kr

식물 공장 예시

자료: www.yonhapmidas.co.kr

(4)

원예 작물 과학

과 완전 제어형(완전 인공광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식물 공장의 역사

1957년 덴마크의 크리스텐센(Christensen) 농장은 새싹 채 소의 대량 생산 체계를 갖추었는데, 파종실, 발아실, 육성실, 출하실을 갖추고 무농약, 무공해로 새싹 채소를 생산하는 평 면 시설로서 컨베이어 시스템을 통해 작물을 운반하였고, 태 양광의 보광원으로 고압나트륨 램프를 사용하면서 식물 공 장이 가시화되었다. 이러한 식물 공장 방식은 네덜란드, 벨기 에, 오스트리아 등으로 확산되었는데, 1960년대 초 오스트리 아의 루스나(Ruthner)사는 입체 상하 이동 방식으로 상추와 토마토를 재배하였다.2)

1970년대 미국의 제네랄 일렉트릭사(General Electric), 제네 랄 밀즈사(General Mills), 제네랄 푸드사(General Foods) 등 이 차례로 완전 제어형 식물 공장 생산 시스템을 개발하였으 나 채산성 결여로 중단되었다. 이후 1980년대에 어그리시스 템사, 어그로노틱사 등은 자동화된 대형의 태양광 병용형 식 물 공장 생산 시스템을 실용화하였다.

일본에서는 1974년 히타치제작소의 중앙연구소에서 처음 으로 식물 공장에 관한 연구를 착수한 후 1985년 츠쿠바에 서 개최된 과학박람회에 상추 식물 공장 생산 시스템을 전시 한 것을 계기로 식물 공장 생산 시스템에 대한 연구 개발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고, 이때부터 기업체에서도 관심을 갖고 참여하기 시작하였다. 1992년부터 시설 채소 생 산 고도화 사업을 위해 식물 공장 생산 시스템의 설치에 대 한 보조금을 조성하여 지원하는 등, 식물 공장에 대한 연구 개발이 가장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2009년 3월 기준으로 50 개의 시설이 운영 중이며, 시설비의 50%까지 지원하여 2012 년까지 150개로 확대를 추진하였다.

우리나라는 1990년 이후 농촌진흥청, 서울대학교, 전북대 학교 등에서 작물은 주로 상추를 포함한 엽채류와 화훼류인 장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고, 2000년 이후 서울대학교

2) 두홍수, “식물 공장 사업화 현황과 전망”, (재)전주생물소재연구소, 2011. 10

와 전북대학교에서 각각 작업 공정 자동화와 폐쇄형 묘 생산 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근 들어 인성테크(주), 와이즈 산전, 파루스, KAST, 전주소재생물연구소 등의 식물 공장 시 스템 및 요소 시스템 업체들이 상업적 목적으로 개발하였으 며, 그 중 인성테크는 롯데마트, 신세계백화점 등에 소규모의 매장형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설치하였다. 농심, CJ, 현대푸드 시스템과 같은 식품 업체, 롯데마트, 신세계와 같은 유통 업 체, 동부한농과 같은 농자재 업체, 그리고 포스코건설과 같은 건설 업체 등이 사업 진출을 검토하고 있고, 중앙정부에서는 산업 진흥 목적으로 관심을 표명하고 일부 지자체에서는 지 역 경제 활성화 측면에서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식물 공장의 대규모화, 고도화, 사업화가 이루어지며 시장 규모도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

네덜란드의 연구기관인 LEI Wageningen UR의 자료에 의 하면, 네덜란드의 식물 공장에서 재배된 식용 야채의 연간 생 산량은 150만 톤으로 13.3억 유로(약 2조 원)이고, 토마토, 파 프리카, 오이가 주요 생산 품종으로 전체의 90%를 점유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야채 생산은 커다란 수출 산업으로서, 토마 토·파프리카의 70~80%는 독일·영국 등 유럽 지역으로 수 출되고 있다.3)

네덜란드의 식물 공장은 대규모화와 고도화가 진전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네덜란드의 식물 공장은 대규모화가 최근 더한층 진전되고 있고 신공장의 경우 1공장당 면적이 10ha 이상인 경우가 일반화되고 있다. 최근에는 62~100ha 규모의 대규모 공장도 건설되고 있다. 또한, 산업 클러스터화 및 공장의 지역 집약화가 진전되어 있고, 품종마다 특화된 재 배 컨설턴트가 있어 이들은 상시적으로 계약처를 순회하면서 적절한 조언을 수행하여 높은 생산성에 기여하고 있다.

일본 후지경제연구소(富士経済研究所)가 2001년 1월 조

3) “日本とオランダにおける植物工場に関する調査結果”, 矢野経済硏究所, 2011. 1

일본의 식물 공장 시장 규모

구분 2009년 2015년 2020년

완전 인공광형 & 태양광·인공광 병용형 38 120 300

태양광 이용형 100 190 340

합계 138 310 640

자료: “日本とオランダにおける植物工場に関する調査結果”, 矢野経済硏究所, 2011. 1

(단위: 억 엔)

(5)

사한 결과에 따르면, 일본의 식물 공장 시장 규모는 2009년 138억 엔(1,587억 원)에서, 2015년 301억 엔(3,565억 원), 2020 년 640억 엔(7,360억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한편, 일본 후지경제연구소가 식물 공장, 재배 관리 등의 관련 시스템·기기·자재 등 5분야 20품목을 대상으로 2011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일본의 식물 공장 관련 시장 규모는 2011년 697억 엔(8,022억 원), 2012년 704억 엔(8,103억 원), 2019년 897억 엔(10,324억 원)에 달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물 공장은 식물 공장 구축 및 운영 유지 사업, 식물을 재배하는 식물 공장 운영 사업, 식물 공장에 필요한 종자, 양 액 등과 같은 제 재료를 공급하는 사업 그리고 식물 공장 생 산물을 가공, 저장, 유통하는 후방 사업으로 나눌 수 있다. 일 본의 경우는 현재 식물 공장 건설 및 식물 공장에 소요되는 시스템을 공급하는 기업 위주로 시장이 움직이고 있으며, 특 히 인공광의 하나인 LED 조명 업체가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식물 공장을 운영하는 사업자로는 농업법인과 같은 순수 재 배 업체, 식품 관련 업체 그리고 유통, 식물 연구와 같은 기 타 업체들이 운영 시장에 참여하고 있다.

한국의 식물 공장은 아직 연구 개발에서 사업화로 이행되 는 사업화 초기 단계에 있고 또한 여러 산업이 연관되어 있 어 식물 공장의 시장 규모를 정확히 예측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다만, 식물 공장에서 수확된 작물 시장으로부터 어 느 정도 객관적으로 규모를 유추할 수 있다. 일본의 예를 들 면 2007년 기준으로 과채류 시장이 3조 3천 엔이었고 이중

식물 공장으로부터 생산된 작물이 288억 엔으로, 0.9%에 불 과하였다. 앞으로 작목 다양화와 공장 증가로 3% 정도까지는 점유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를 근거로 일본 야채 시장의 1/2.4 수준인 우리나라의 경우로 환산해 보면, 한국은 연간 약 5,700억 원 정도의 식물 공장(작물 시장) 잠재 시장이 형 성될 것으로 KT종합기술원은 추산하였다.4)

일본 후지경제연구소(富士経済研究所)에서 2012년 4월 조 사한 결과에 의하면, 한국의 식물 공장은 2013~2014년에 실 질적으로 성장기에 진입하면서 2015년까지 성장해 나갈 것으 로 예측하였다. 한국의 식물 공장 시장 규모는 2013년 9억 엔 (103억 원), 2014년 13억 엔(150억 원), 2015년 30억 엔(345억 원)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한국 시장은 2017년 이후 이륙기를 맞이하면서 대규모화 시대에 진입하고 또한 2017년 경에는 LED 가격이 현재의 1/3 수준까지 저하될 것으로 예 측되어 LED를 활용한 재배 기술을 확립하게 되면 LED 식 물 공장 시스템을 주력으로 하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어 2017년 시장 규모는 92억 엔(1,058억 원)까 지 비약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후 2018년 71억 엔(817억 원), 2019년 117억 엔(1,346억 원), 2020년 171억 엔 (1,968억 원)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였다.5)

4) 배병숙, “스마트영농의 결정체: 식물 공장의 사업동향과 방향”, KT종합기술원 KT R&D Horizon, 2011. 3

5) “グローバル市場で急展開する韓国植物工場など新農業システム”, 矢野経済硏 究所, 2012. 4

일본의 식물 공장 관련 시장 규모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2015년 2019년

인공광형 식물 공장 20 21 32 45 67

양액 재배 식물 공장 - 73 - - 152

식물 공장 전체 - 697 704 - 897

자료: “植物工場など新農業システム”, 矢野経済硏究所, 2012. 4

(단위: 억 엔)

한국의 완전 인공광형 및 태양광·인공광 병용형 식물 공장 시장 규모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금액(억 엔) 9

(103억 원) 13

(150억 원) 30

(345억 원) - 92

(1,058억 원) 71

(817억 원) 117

(1,346억 원) 171 (1,968억 원)

면적(ha) 1 1.7 4 - 13.1 10.4 17.2 26.3

자료: “グローバル市場で急展開する韓国植物工場など新農業システム”, 矢野経済硏究所, 2012. 4

(6)

원예 작물 과학

식물 공장 기술 일본이 가장 발달, 우리나라는 아직 미흡 한 것으로 평가

식물 공장에 관한 연구는 세계적으로 현재 일본이 가장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1970년대에 식물 공장 관련 연구를 시작하여 최근에는 태양광 이용형부터 완전제어형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형태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엽채류를 중심 으로 식용 작물을 생산하는 식물 공장의 사업화도 가장 앞 선 것으로 보인다.6)

완전 밀폐형 식물 공장은 일본을 중심으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일본 Kagawa 대학의 Tanaka 교수를 중심으로 식물 재배용 인공 광원으로서의 LED에 대한 연구 가 활발하게 진행되기 시작하였고 LED가 식물 재배에 유효 하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일본의 경우, 아직은 대부분 자연광(태양광)과 인공광을 함 께 사용하는 단층 구조의 보광 재배 형태이고, 다층형 식물 공장에서는 인공광으로 주로 형광등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 이다. 형광등은 광변환 효율이 지금까지의 조명등 중에서 가 장 양호한 편이나, 근래 와서 관심을 가지게 된 식물의 촉성 재배용 광원으로는 LED 광원이 더 효율적이라는 것이 많은 시험을 통해 밝혀지고 있다. 다만, LED의 가격이 아직은 너 무 비싸다는 결점이 있으나 기술 발전 추세에 따르면 가격은 급속히 인하되어가는 반면, 광변환 효율은 더욱 개선되고 있 으므로 LED는 곧 식물 공장의 주된 광원으로 정착될 것으로 보인다.7)

식물 공장에서의 최대 이슈는 에너지 절감이다. 식물 공장 에서는 인공광을 사용하므로 이 문제는 아주 중요하다. 따라 서 전기와 물의 사용량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 또한 식물 공 장은 외부의 해충이나 바이러스의 침입을 막기 위해서라도 완전 밀폐형 건물이어야 하고, 단열 설비가 완벽해야 실내 온 도 조절에도 에너지의 소모가 적어진다. 완벽한 단열·차폐를 통해 식물 공장의 내부는 외부와 차단됨으로써 농약을 일체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고, 온도 조절을 위한 에어컨, 난방 설 비의 절전화가 가능하고, 탄산가스의 양도 식물 재배에 제일 적합한 800~1,200ppm으로 유지하고 습도 역시 60~70%

선을 쉽게 유지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식물 공장 관련 기술 수준은 전반적으로 아직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인공조명 설비, 수경 재배 기 술 등 개별 기술 수준은 세계 최고 대비 50~80% 수준에 그 치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식물 공장에 적합한 전용

6) 두홍수, “식물 공장 사업화 현황과 전망”, (재)전주생물소재연구소, 2011. 10 7) “식물 공장의 현황과 미래”, KAST 엔지니어링, 2012. 2. 14

품종의 개발 기술은 세계 수준의 20% 정도에 그쳐 현저하게 뒤처져 있는 실정이다. 또 개별 기술을 통합 제어하는 설비 제어 기술에 대한 연구도 아직 미진하다.8) 또한, 사업화 노력 은 일본과 마찬가지로 소수의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사업화 성공 여부는 시설 투자 및 비용 절감과 수익원 개 발 측면에서 접근해야 할 것

일본 돗토리 현이 발표한 일본 내 가동 식물 공장 50군데 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60%가 적자, 30%가 수 지 균형, 10%가 흑자 상황이다. 식물 공장 참가 기업이 많은 분야는 건설업이고 이어서 식품 관련 기업이다. 흑자화까지 대체적으로 7.6년이 소요되기 때문에 장기적인 시야가 필요 하고 자금적인 체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9)

식물 공장의 주요 코스트로서는 설비 투자비, 수도 광열 비, 인건비가 각각 1/3 정도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코스트를 삭감하는 것이 사업화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과제이다. 전기료 는 심야 전력을 사용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고 인건비는 종 업원 수를 줄이고 아르바이트 등을 활용하여 임금을 줄일 필 요가 있다. 또한 식물 공장 감독자는 농업뿐만 아니라 화학·

기계·경영 관리·영업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이 요구되지만, 식물 공장 관리 감독을 잘하는 우수 인재는 드문 편이다.10)

식물 공장의 사업화에서 관련 기술 개발을 전제로 한 식물 공장의 사업화 성공 여부는 경제성 확보에 있기 때문에 각 종 시설 투자 및 운용 비용 절감과 수익원 개발이라는 두 가 지 측면에서 접근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초기 설비 투자를 절감하고 운영 비용도 줄여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볼 때 고도의 기술이 적용되면 될수록 설비 투자비는 오히려 증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비용 절감의 핵심은 운영 비용 절감, 즉 식물 공장 설비 가동에 필요한 전기 사용량과 물 등 각종 자원 사용량을 줄이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고급 야채류 또는 의약용 식물과 같은 특수 작물 등 고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시장 발굴과 식물 공장에 적합한 종자 개발 등을 통해 수익성 높은 사업모델을 개발하는 것도 사업화 시기를 앞당 길 수 있을 것이다. 2013

8) 진석용, “농업과 제조업의 만남”, 식물 공장, 엘지경제연구소 LG Business Insight, 2010. 9. 15

9) “일본 및 전 세계 식물 공장의 향후 전개와 비즈니스 기회”, 산업연구원, 2011. 8. 10 10) 伊藤保, “植物工場の動向と事業化に向けた課題とリスク”, 三菱総合硏究所

Business Trend, 2011. 3. 9 7)

(7)

환경을 보호하면서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 높은 에너지 원, 조류 발전

우리는 지금까지 화석연료와 원자력을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서는 화석연료나 가스, 원자력 등 기존의 에너지원으로는 어 렵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자연현상에서 얻 을 수 있는 에너지원에서 대안을 찾을 수밖에 없으며, 환경을

보호하면서 활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 확보가 인류에게 주어 진 최대의 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해양 에너지는 몇 가지 대안 가운데 하나로 꼽을 수 있고, 무엇보다 이 분야 는 아직 뚜렷한 선두 기업이 없고 기술 개발의 여지가 많아 잠재력이 높은 블루오션의 새로운 사업 기회가 되고 있다. 해 양 에너지는 조력, 조류, 파력, 해양 온도차, 해상 풍력 등을 비롯하여 염분차 발전, 해양 바이오 에너지까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조류 발전은 다른 에너지원보다 가진 장점

조류 발전

조류 발전의 전개 시장과 진입 전략

산업시장분석실 책임연구원 나도백 | Tel 02-3299-6111 e-mail nahdb@kisti.re.kr

신재생 에너지

구분

회전축 종류 고정방식 종류

수평식(HAT) 수직축(VAT) 파일고정 계류고정 자중고정(착저식)

개념도

특성

·넓은 범위의 유속 효율 과 출력 안정적

·구조 간단하고 안정적

·블레이드 끝단 공동현 상 발생

·유지 및 보수 어려움

·유입 방향과 관계없이 발전 가능

·블레이드 진동 및 축계 비틀림 발생

·유지 및 보수 용이함

·해저에 강관파일 고정

·해저에 파일드릴, 그라 우팅 시공

·계류 라인에 따라 해저 앵커링

·시공 및 유지 관리 용이

·해저에 자중 앵커 고정

·연약 지반은 불리

·선박 운항이 빈번한 곳 불리

·유지 관리 불리

적용례 ·MCT(영국) ·Helical(미국)

·Davis 터빈(캐나다)

·MCT(영국)

·Verdant(미국)

·SMDhydrovision(영국)

·Enerma(이탈리아)

·Lunar energy(영국)

·Stingray(영국)

조류 발전의 분류

(8)

신재생 에너지

이 많아 활용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조류 발전은 기상 변화와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댐이 필요 없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친환경적인 특징을 가진 에너지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해양 에너지 가운데 조력 발전을 제외하고는 아직 상 용화에 이르지 못한 상태지만 조류 발전과 파력 발전은 상용 화 모델에 대한 실해역 시험이 진행되고 있으며, 실용화에 가 장 근접한 것으로 전문가들이 전망하고 있다. 그리고 조류 발 전은 기상 변화와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아 항상 정확한 예 측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계통 연계 관리와 최적 설계가 가능 하다. 또한 댐이 필요 없어 해수 유통이 자유로워서 생태계 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는 친환경적인 특징을 가진 에너지 로 평가받고 있으나 적용 방식에 따라 프로펠러와 선박이 충 돌할 우려가 있어 안전 규제 지침을 세부적으로 마련해야 한 다. 조류 발전은 조수간만의 차에 의해 발생하는 높은 유속 을 이용하여 수평 흐름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여 전력을 생 산하는 것으로 회전축에 따른 분류와 고정 방식에 따른 분류 로 크게 나누어지고 있다.

세계 조류 발전 용량 2017년까지 전체 5.5GW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

Pike Research는 2025년까지 전 세계 해양 에너지 개발을 200GW로 예상하고 있으며, 파력(115GW) 다음으로 조류 발 전(57GW) 개발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설치 유망 국 가로는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한국, 중국, 일본 등이 있고, 국내 개발 가능 규모는 1GW에 이를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국내 조류 발전 부존량 중 경제적 개발 가능량은 3.5TWh/

year로 추정되고 있으며 약 4조 원(사업비 규모)에 이를 것 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는 영국을 중심으로 상업적 개발이 가능한 수준의 기기들이 출현하고 있으며, 3~4년 정도가 지

나면 대규모 상업적 조류 발전 기기들이 등장하여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Pike Research는 세계 조류 발전 용량이 2017년까지 2.4GW(전체 5.5GW)에 도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유럽(EU)은 2020년까지 2GW 정도를 도입 목표로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영국이 1.6GW의 파력 및 조류 발전 참여 개발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 지고 있다.

최근 신재생 에너지 산업은 국제적으로 당분간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2012년 12월 제18차 유엔기후 변화협약(UNFCCC) 당사국 총회에서 일본, 캐나다 등 교토체 제 참여국의 탈퇴로 협상이 지연되면서 온실가스 배출 감축 의무가 약화되었으며, 주요국의 재정 위기로 신재생 에너지 정책 지원이 감소되고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신재생 에너지 산업 교역이 위축되고 있다. 또한 셰일가스(Shale gas)와 같 은 비전통 에너지 개발이 확대되면서 석탄과 가스 원료 가격 하락(전년 대비 각각 30%, 23%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구산 업의 기술 발전 속도가 신산업보다 빨라 신기술 혁신을 저해 하는 이른바 기술 패러독스(구산업의 셰일가스 개발 기술 발 달→가스 및 석탄 가격 하락→화력 발전 확대→신산업인 신 재생 에너지 기술 개발 둔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로 인 한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성장 둔화는 관련 기업에 어려움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6,000

5,000 4,000 3,000 2,000 1,000 -

해양 에너지 추정 시장 규모

자료: “Hydrokinetic and Ocean Energy Research Report”, Pike Research, 2012. 2

(MW)

Wave Tidal Barrage Tidal River Hydrokinetic

조류 에너지 추정 세계 시장 규모(2012~2017년)

국별 한국 영국 캐나다 인도 중국 뉴질랜드 호주 기타 합계

규모(MW) 750 529 300 200 200 200 100 121 2,400

자료: “Ocean Energy Research Report”, Pike Research, 2012, KISTI 재작성

(9)

조류 발전의 각국 개발 기업 참여 현황

국별 개발 기업(관련 기술 제품)/장치 형식

영국

·Atlantis Resources Co(AR-1000)/A

·Aquascientific(Aquascientific Turbine)/G

·Current2Current(Tidal Turbine)/B

· Edinburgh Designs(Vertical-axs, variable pitch tidal turbine)/B

·Edinburgh University(Polo)/B

·Firth Tidal Energy(Sea Caisson and Turbine System)/A

·Greener Works Limited(Relentless™ Turbine)/G

·Greenheat Systems Ltd(Gentec Venturi)/G

·Hales Energy Ltd(Hales Tidal Turbine)/B,D

·Hydromine(The Hydro Mine)/G

·Hydroventuri(Rochester Venturi)/D

·Kepler Energy(THWAT)/B

·Lunar Energy(Rotech Tidal Turbine)/A, D

·Marine Current Turbines(Seagen, Seaflow)/A

·Nautricity Ltd(CoRMat)/A

·Neptune Renewable Energy Ltd(Proteus)/B

·Ocean Flow Energy(Evopod)/A

·OpenHydro(Open Center Turbine)/A(+아일랜드)

·Pulse Tidal(Pulse-Stream)/C

·Robert Gordon University(Sea Snail)/A

·Rotech(Rotech Tidal Turbine)/A

·Rugged Renewables(Savonius turbine)/G

·Scotrenewables(SR250)/A

·SMD Hydrovision(TiDEL)/A

·Starfish Electronics Ltd(StarTider)/A

·Sustainable Marine Technologies(PLAT-O)/A

·Swanturbines Ltd(Swan Turbine)/A

·Tidal Energy Ltd(Delta Stream)/A

·TidalStream(TidalStream Triton Platform)/A

·Tidal Electric(Tidal Lagoons)/G(+미국)

·The Engineering Buisiness(Stingray)/C

·Tidal Generation Ltd(Deep-gen)/A

· University of Southampton(Southampton Integrated Tidal Generator)/

A

미국

·Aquantis Inc(C-Plane)/B

·Bourne Energy(CurrentStar/TidalStar/OceanStar)/A

·Fieldstone Tidal Energy(Fieldstone Tidal Energy)/G

·Free Flow 69(Osprey)/A

·Free Flow Power Corp(SmarTurbine)/A

·GCK Technology(Gorlov Turbine)/B

·Hydro Green Energy(Hydrokinetic)/D

·HydroCoil Power, Inc(HydroCoil)/G

·Hydrokinetic Laboratory(HyPEG)/A

·Hydrovolts Inc(Hydrovolts )/B

· Kinetic Energy Systems(Hydrokinetic Generator, KESC Bowsprit Generator, KESC Tidal Generator)/A

·Lucid Energy Technologies(Gorlov Helical Turbine)/B

·Neo-Aerodynamic Ltd(Neo-Aerodynamic)/B

·Natural Currents(Red Hawk)/G

·Ocean Renewable Power Co(OCGen)/G

·Ocean Energy Com(TIDES)/A

·Offshore Islands Ltd(Current Catcher)/A

·Tidal Energy Systems Co(Foil Rotor III)/D

·UEK Co(Underwater Electric Kite)/C

·Verdant Power(Various)/A

· Vortex Hydro Energy(Vortex Induced Vibrations Aquatic Clean Energy)/G

·Water Wall Turbine(WWTurbine)/G

노르웨이

· Flumill(Flumill Power Tower)/E

· Hammerfest Strom(Tidal Stream Turbine)/A

· Hydra Tidal Energy Technology AS(Morild)/A

· Ing Arvid Nesheim(Waterturbine)/G

· Norwegian Ocean Power(The Pulsus Turbine)/G

· Statkraft(Tidevanndkraft)/A

· Tidal Sails(Tidal Sails AS)/G

네덜란드 · Bluewater(BlueTec)/A, B

· Ecofys(Wave Rotor)/A

· Teamwork Tech(Torcado)/A

·Tocardo BV(Tocardo Turbines)/A

호주

·BioPower System Pty Ltd(bioStream)/C

·Cetus Energy(Cetus Turbine)/A

·Elemental Energy Technologies Ltd(SeaUrchin)/A, D

·Tidal Energy Pty Ltd(DHV Turbine)/B

·Woodshed Technologies-CleanTechCom Ltd(Tidal Delay)/G(+영국)

캐나다 · Blue Energy(Davis Hydro Turbine)/B

·Clean Current Power Systems(Clean Current Tidal Turbine)/D ·New Energy Crop.(EnCurrent Vertical Axis Hydro Turbine)/B 프랑스 ·Alstom Hydro(Clean Current Tidal Turbine)/D

·BluStream(MegaWatForce)/G

·Hydro-Gen(Hydro-gen)/G

·SABELLA SAS(Hydro-Helix)/A 독일 ·Atlantisstrom(Atlantisstorm)/A · Voith Hydro(Hytide)/A

스웨덴 ·Current Power AB(Current Power)/B ·Minesto(Deep Green Technology)/G 덴마크 · Tidebg(Tideng)/A

* 조류 발전 장치 형식

A: Horisontal Axis D: Venturi B: Vertical Axis E: Archimedes Screw C: Oscillating Hydrofoil F: Tidal Kit

G: 기타 스페인 ·Magallanes Renovables(Magallanes Project)/A

뉴질랜드 ·Crest Energy/G

이탈리아 ·Ponte di Archimede(Kobold Turbine, Enermar)/G, B 자료: www.emec.org.uk/marine-energy 기초로 KISTI 재작성, 2013. 1

(10)

신재생 에너지

가져다줄 뿐만 아니라 조류 발전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 로 전망되고 있다.

영국을 중심으로 미국, 캐나다, 노르웨이 등이 지속적으로 조류 발전 연구 개발을 진행

현재 조류 발전은 본격적인 대규모 발전이 실현되지 못하 고 있다. 이는 해수 흐름이 빠른 지역의 해역으로 제한되어 있고 사용할 수 있는 발전기의 발전 효율도 경제성을 확보하 기에 아직 미흡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최 근 영국을 중심으로 미국, 캐나다, 노르웨이 등이 지속적으 로 연구 개발을 진행함으로써, 상당히 향상된 성능의 발전기 를 선보이고 있다. 3~4년 후에는 이들 국가가 조류 발전 사 업 시장을 선도해 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영국은 조류 발 전 분야에서 가장 연구 개발이 활발하며, 특히 유럽해양에너 지센터(EMEC)를 중심으로 해상 및 성능 데이터 관측, 환경 및 생태 영향 평가, 해양 조사 및 운항 영향 평가, 설계 기준 제정 등을 비롯하여 다년간 운영 및 유지 보수를 통해 실해 역 터빈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해양 에너지 이용 계획이 갯벌 생태계 보전과 맞물려 적지 않은 진통을 겪고 있는 가운데 조류 발전에 대 한 추진은 조금씩 진전을 보이고 있다. 진도조류발전은 2012 년 전남 진도군, 한국전력공사, 한국중부발전, 한국서부발전, 현대엠코, 레네테크 등과 조류 발전 공동 사업 개발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 이 사업은 2001년 진도 장죽수도에 상업용 110kW 조류 발전기를 설치, 운전해 온 레네테크 제 안으로 시작되었으며, 본 사업의 참여 기업들은 기술 협력으 로 획득한 독일 Voith Hydro의 성공 노하우를 활용하여 장 죽수도 및 맹골수도 인근에 우선 1단계 실증 사업으로 1MW

급 조류 발전기 설치를 2014년 중반까지 완료하고 2016년까 지 장죽수도에 200MW(18만 가구 전력 공급) 규모의 조류 발 전(MW급 발전기 200대, 사업비는 약 1조 원)단지를 건설 운 영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인천시는 2012년 8월에 유럽해양에 너지센터(EMEC)와 양해각서를 체결하였으며, 조류 발전 단지 조성과 테스트베드 사업을 위한 기술 지원 및 해양 에너지 시설 설치에 따른 주변 해양 환경에 미치는 영향 연구 등을 협력함으로써 세계 해양 에너지 시장 진출을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고, 앞으로 덕적도 부근 해역에 200MW 규모 조류 발 전 단지 조성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밖에 국내에서 개발 진행 중인 울돌목 조류 발전은 해양연구원이 2003년에 소형 헬리 컬 수차 방식의 조류 발전 시스템을 시작으로 2009년에 이를 확장한 Gorlov형 헬리컬 터빈 1MW 수직축 조류 발전 장치를 설치하였으며, 이 사업에 삼호조선, 현대건설, 에코오션 등이 참여했다. 2006년에는 남동발전, 삼호중공업, 인하대 등이 참 여하여 삼천포 방수로형 25kW급, 100kW급 수평축 부유식 실증 플랜트의 실해역 설치를 수행하였으나, 몇 가지 문제로 운용이 중단되었으며, 2010년부터는 1MW급 수평축 터빈을 사용한 고정식 조류 발전 시스템이 개발 중에 있다.

한국 해안 특성에 적합한 조류 발전 도입 전략

해양 에너지의 상용화를 막는 걸림돌은 막대한 설치비로 경제성 확보가 어렵다는 점을 꼽고 있으나 이 부분은 어느 정도 기술 발전으로 극복해 갈 수 있다. Douglas Westwood 에너지 분석 기관에서는 해양 에너지 시장의 지속적 성장을 위해 발전 단가 하락, 민간 투자 유치, 수요 공급 조절, 지속 발전 프로젝트(국가) 발전량(MW) 예정 및

완료 시기 Strangford Lough(북아일랜드) 1.2 2008

CORE Project(캐나다) 15 2011

Wando Hoenggan Waterway(한국) 300 2015 Kaipara Harbour(뉴질랜드) 200 2018 Pentland Firth Tidal Energy(스코틀랜드) 10 고려 중

Islay(스코틀랜드) 2 고려 중

현재 진행 중인 조류 발전 프로젝트

지역 발전량(MW) 기간 비고

완도 300 2015 계획 추진 중

울돌목 50 2018 실증 시험 후 보류

대방 20 2011~ 예비 타당성 조사 후

보류

인천 200 2012~2015 타당성 조사 중

신안 260 2012~2015 타당성 조사 중

맹골 250 2018 계획

장죽 200 2016 계획

현재까지 발표된 국내 조류 발전 현황

자료: http://renewableenergydev.com/red/tidal-energy

자료: “Green-Tech Research”, KISTEP, 2011. 8

(11)

적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안정적 시장 구조 조성 등을 지적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조류 발전 진입 전략들을 구체화하여 실현해 나간다면 뒤늦게 시작한 국가적 신재생 에너지 산업을 선도적 위치로 도약시킬 수 있는

시장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 국내 조류 발전의 도입을 위해서는 첫째, 현재 진행 되고 있는 조류 발전 개발 및 진행에 대해 취약한 실증 및 기 반 시설은 해외 협력(영국 및 미국)을 통해 강화하면서 독자 적인 실증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둘째, 해외 업체와의 기술 협력을 강화하여 국내 도입 기술의 시장 지배력을 높여야 한 다. 셋째, 조류 발전 개발 비중이 가장 높은 설치(Installation) 비용을 조선 해양 기술과 연계하여 최소화시켜야 한다.

넷째, 기존의 조력 발전으로 인한 갯벌 생태계를 둘러싼 갈 등과 대립을 불식시키고 한국 연안 특성에 적합한 조류 발전 을 도입해야 한다. 다섯째, 해양 에너지 복합 이용 및 단지화 를 최종 목표로 조류 발전 계획을 탄력적으로 운용해야 한 다. 여섯째, 조류 발전 상용화에 중소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s) 가중치와 발전 차액 지원 및 해역 활용 을 위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일 곱째, 정부의 체계적인 연구 개발(대형 및 중소형 구분) 지원 을 통한 효과적인 산업화 및 상용화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 서 이러한 진입 전략들을 구체화하고 실현해 나간다면 뒤늦 게 시작한 국가적 신재생 에너지 산업을 선도적 위치로 도약 시킬 수 있는 시장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013

멕시코에 서식하는 구아율 고무나무의 진액(분비물에 함 유된)은 목재를 썩게 하는 균류나 흰개미를 퇴치하는 작용 을 한다. 구아율 고무나무 추출물을 다른 목재에 흡수시키 면 그 목재는 흰개미나 균류가 접근하지 않게 되며, 많은 양 을 흡수시키면 흰개미가 죽고 균에 대한 저항력도 증가한다 는 것을 알게 되었다. 실험에서 목재를 용기에 넣고 구아율 고무나무 진액 추출물을 스며들게 한 결과, 10% 정도의 추 출물에서는 갈색 부후균에 대한 저항을, 50% 이상이 되자 흰개미에 대한 저항을, 60% 이상이 되면 강한 항균성을 갖 게 되고, 97%가 되면 흰개미가 죽는 현상을 발견하게 되었 다. 현재 이 진액 성분에 대한 해석이 진행되고 있으며 해석 이 완료되면 흰개미로 인한 목재 가옥의 피해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목재 건축자재에 대한 보호 물질의 개발이 기대되고 있으며 새로운 곰팡이 방지 제 개발도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야생 고무나무 수지의 흰개미·세균 퇴치력 응용

자연에서 배우는 아이디어 세계

자료: J-Net21

▶ 구아율 고무나무 ▶

(12)

그린 수송 시스템

생산된 전력을 저장했다가 필요할 때 공급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은 생산 된 전력을 전력계통(Grid)에 저장했다가 전력이 가장 필요한 시기에 공급하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시스템으로 리튬이 온전지와 같은 기존의 중소형 2차 전지를 대형화하거나 회전 에너지, 압축 공기 등 기타 방식으로 대규모 전력을 저장해 두는 기술을 말한다. 따라서 ESS는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 와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주는 관련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기존 중앙 집중형 송배전 시스템은 전력 수요-공급의 불일치 로 에너지 관리의 효율성에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신재 생 에너지(태양광, 풍력 등)에서 생산되는 전기는 품 질 문제로 전력망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저하시키고 있다. 또한 여름과 겨울의 급격한 전력 수요로 인해 대규모 정전 사고가 빈번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앞 서 서술한 문제들을 해결하여 효율적인 전력 활용, 고품질의 전력 확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라는 목 표를 달성하기 위해 스마트 그리드 ESS는 그 필요 성이 증대되고 있다.

『효율적인 전력 활용, 고품질의 전력 확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라는 목표를 달성하 기 위해 스마트 그리드 에너지 저장 시스템

(ESS)은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ESS는 크게 배터리 방식과 비배터리 방식으로 구분된다.

배터리 방식은 리튬이온, 니켈, 납축전지와 같이 화학 에너지 형태로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사용하는 방식이고, 비배터리 방 식은 양수 발전, 압축 공기 저장 등과 같이 물리적 에너지 형 태로 저장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에너지 저장 기술 들 중 리튬이온 배터리를 활용한 ESS가 경쟁 기술에 비해 생 산 기반 및 기술적 완성도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시장을 주도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중앙 집중형 시스템의 단점 을 극복하기 위해 소규모의 에너지 저장 장치의 설치 수요가 높기 때문에 50MW급 이하 규모의 에너지 저장 장치 분야에 서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리튬이온 배터리 분야에서 선도적인 행보를 나타내고 있는 국내 기업들이 준

리튬전지 에너지 저장 시스템

새로운 블루오션 시장에 대처하는 중소기업의 준비 전략은 무엇인가?

경인지원 선임연구원 김근환 | Tel 031-888-9843 e-mail khkim75@kisti.re.kr

그린 수송 시스템

자료: “에너지 저장 산업 현재와 미래”, 한국수출입은행, 2012. 9. 22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개념

발전

·화력, 수력

·원자력

·신재생 等

송전, 배전 수요처

(주택/빌딩/공장/Infra 等)

에너지 저장 장치(ESS)

[리튬이온 전지(LIB)] [납축전지] [NaS 전지] [양수발전] [플라이 휠]

(13)

비해야 할 리튬이온전지 기반 ESS에 관해 이 글에서 다루고 자 한다.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 초기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판단

전 세계적으로 각국 정부는 기존의 화석 에너지 자원을 대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계기로 신재 생 에너지 산업이 추진되었고, 효율적인 에너지 분배와 저장 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게 되었다. 특히, 2011년 대지진으 로 발생한 일본의 핵발전소 사고는 핵 중심의 에너지 정책에 대한 심각한 파장을 일으켰으며, 2012년 미국 뉴욕 북동부를 강타한 허리케인 ‘샌디’로 인해 발생한 심각한 정전 사태는 에 너지 정책에 대한 고찰의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이와 같은

일련의 문제들은 국가 에너지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하 는 계기가 되었으며 국가 안보 차원에서 중장기적으로 해결 되어야 할 과제가 되었다. 따라서 높은 시장 잠재력을 보유하 고 있는 리튬전지 ESS는 경제성의 문제로 정부의 정책적 지 원을 통해 초기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판단된다.

지식경제부는 2010~2020년까지 10년간 6.4조 원 규모의 기술 개발 및 설비 투자를 추진하고 있다. 기술 개발에 2조 원(정부: 0.5조 원, 민간: 1.5조 원)을 투자할 계획이고, 설비 부분은 민간을 중심으로 4.4조 원이 투자될 예정이다. 이러 한 정부 정책에 따라 향후 리튬전지 기반의 에너지 저장 장 치 프로젝트가 진행될 것이며, 이를 통해 충분한 검증 작업 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ESS의 설치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전력 요금 개선, 전력 공 급량의 일정 비율 의무 설치화 등 다양한 방안을 통해 국내 ESS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도 적극적으로 추진하

에너지 저장 유형의 개요 및 특성

구분 유형 개요

물리적 에너지로

전환 운동

Flywheels

원리: 전기 에너지를 회전하는 운동 에너지로 저장했다가 다시 전기 에너지로 변환 장점: 높은 에너지 효율, 긴 수명, 단위 용량당 저비용

단점: 초기 구축 비용 과다, 낮은 에너지 밀도, 베어링이 미치는 영향이 큼, 투자 효율성 검증의 어려움

열역할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원리: Off-peak load 시, 공기를 동굴이나 지하에 압축, Peak load 시, 압축된 공기를 가열하여 터빈을 돌리는 방식

장점: 대규모로 장시간 저장 가능, 가스 발전에 비해 약 60% 가스 절감, 정지에서 가동까지 적 은 시간 소요, 낮은 발전 단가

단점: 초기 구축 비용 과다, 지리적 제약, 화석연료 사용 불가피

위치

Pumped Hydro Storage

원리: Off-peak load 시, 물을 높은 곳에 저장, Peak load 시, 저장된 물을 이용하여 발전 장점: 대용량 저장에 우수, 성숙된 기술로 높은 안정성, 75~80%의 효율

단점: 지리적 제약, 지질에 따른 설계의 어려움, 대규모로 초기 투자 비용이 큼

화학적 에너지로

전환 전기 화학

이 차 전 지

Li-ion

원리: 리튬이온이 양극과 음극을 오가며 전위차 발생 장점: 높은 에너지 밀도, 높은 에너지 효율, 폭넓은 적용 단점: 안전성 및 수명 미검증, 리튬전지의 높은 가격

NaS

원리: 300~350℃의 온도에서 용융 상태의 나트륨 이온이 전해질을 이동하면서 전위차 발생 장점: 높은 에너지 밀도, 대용량화 용이

단점: 높은 생산 비용, 소재 부족과 높은 방전율, 낮은 에너지 효율 자료: 스마트그리드 ESS 기술 동향 보고서, 지능형전력망협회(지식경제부), 2012. 9

(14)

그린 수송 시스템

고 있다. 따라서 국내 리튬전지 기반 ESS 시장은 실증을 통 한 사업화 및 제도적 기반 조성이 완료되는 2014년부터 서서 히 개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세계적으로는 실증 사업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 이다. 주요 선진국들은 ESS 산업에 대한 주도권 확보를 위 해 활발한 연구 개발과 실증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사업 화 단계로의 진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리튬이차전지 업체 들과의 협력을 통한 시장 창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일본 은 2012년 3월부터 360억 엔 규모의 ESS 설치 보조금 사업 을 추진하고 있으며, 주요 전자회사가 ESS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미국은 공공기관(ARPA-E, EPRI 등) 및 대형 전력회사 (AES 등)를 중심으로 기술 개발과 실증 연구에 집중하고 있 다. 유럽은 국책과제인 Solion 프로젝트에 프랑스의 Saft 및 독일의 Conergy 등이 참여하여 태양광 주택의 리튬이온 전

지 도입 타당성 평가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정부 중심의 리튬전지 ESS 세계 시장은 2012년 8억 달러 규모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2015년부터 본 격적인 성장으로 2020년에는 19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해 외 시장 전문 기관에서 낙관적으로 전망하고 있다. 해당 기간 동안 연평균 약 50%의 고성장이 예상되고 있으나, 이는 리튬 이차전지의 가격이 규모의 경제를 통해 가격이 현재의 절반 으로 하락한다는 것을 전제로 추정한 것이다. 지난해 전기차 확대를 위한 목표치인 300달러/kWh 달성은 상당 기간 동안 어려울 것으로 보고되었다.1) 따라서 현재 800달러/kWh를 상 회하고 있는 리튬전지 가격이 2년 내에 목표 가격을 달성하 는 것은 현재의 세계 경제 환경과 기술적 제한성을 고려한

1) “KISTI MARKET REPORT”, 전기차, 2012. 4

년도 개요

시장 규모 연평균

2012 2013(F) 2014(F) 2015(E) 2016(E) 성장률

세계 시장

비상 전력용 0.1 0.2 0.5 1.0 1.2 86%

전력용 0.5 0.7 0.9 1.1 1.2 24%

가정용 0.2 0.3 0.4 0.6 0.7 38%

소계 0.8 1.2 1.7 2.7 3.1 41%

국내 시장 264 380 567 882 1,031 41%

(단위: 십억 $, 억 원)

자료: “에너지 저장 산업 현재와 미래”, 한국수출입은행, 2012. 9. 22, KISTI 재작성

※ 산출 근거: 상기 보고서가 인용한 Pike Research의 ESS용 리튬이차전지 시장 규모를 바탕으로 기술적 한계성과 세계 경제 환경을 고려하여 Application별로 긍정(0.7~0.9)-보통(0.5)-보수(0.3) 로 구분하고 2012~2015년과 2015~2020년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각각 보정하여 시장 규모를 추정함. 국내 시장은 세계 시장의 3%를 가정함 (환율 1100KRW/USD 적용)

리튬이온전지 ESS 시장 규모 전망

주요 선진국의 ESS 진출 사례

국가 업체 주요 내용

일본

파나소닉 - ECO Solution을 위한 ESS 실증 강화 (2011년부터 1.6MWh 실증 진행 중) NEC - 가정용 리튬이차전지 ESS 판매 개시 (2012년 1만 대 판매 목표) 미쯔비시 - EV용 배터리 활용을 위한 스마트그리드 실증

GS Yuasa - 백업용 전원 등 산업용 리튬이차전지 사업 강화 (미국 애틀란트에 ESS 제조 거점 신설)

미국

AES - PGE 전력 회사와 Peak 시간대 안정적 전력 공급을 위한 200MWh급 ESS 검토 중 IBM - 혼다, PG&E는 전기차와 전력 계통 연계를 통한 ESS 실증 연구

S&C - 중국 BYD와 4MW급 리튬이차전지 ESS 설치 (2012년 5월) 유럽 Saft,Conergy - 독일 환경부와 프랑스 경제성이 공동으로 지원하고 Saft, Conergy,

Tenesol 등이 참여하여 태양광 주택의 리튬이온전지 도입 타당성 평가 자료: “스마트그리드 ESS 기술 동향 보고서”, 지능형전력망협회(지식경제부), 2012. 9

(15)

다면 실현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리튬전지 ESS의 응용 시장별 전망을 다르게 보는 시각이 필요하다. 비 상전원용 시장은 기존의 납축전지에 비해 가격 경쟁력 측면 에서 열세에 있지만, 높은 공간 활용성, 항온 비용 절감 효과, 친환경성으로 인해 수요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향후에 높 은 성장이 예상된다. 중소(1~100kW)규모의 가정/빌딩용 ESS 시장은 전기자동차 및 버스의 개발을 통해 일정 수준 기술이 검증된 상태이다. 따라서 ESS 설치에 대한 보조금 지급 등을 통한 시장 창출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수 MW급의 전력용 ESS는 높은 리튬전지 가격, 안전성 검증 문제, 경쟁 기술들의 우수성 등으로 시장에 대해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 하다.

『리튬전지 ESS 시장은 초기 시장으로 2012년 8억 달러에서 연평균 41%의 성장률을

나타내며 2016년 31억 달러의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리튬전지 ESS에서 중소기업의 역할

리튬전지 ESS 중 소재 부문과 리튬배터리 팩 제조 부분

에서 중소기업 참여 가능성이 가장 높다. 일반적으로 신소재 개발 이후 상용화에 최소 2~3년의 기간이 소요되므로 셀 제 조사에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중소기업들만의 참여가 가 능할 것이다. 리튬 배터리 팩 제조 분야는 지금까지 핸드폰과 노트북 분야에서 활동해왔다. 그러나 ESS용 리튬전지 팩은 기존의 소형 응용 제품들과는 달리 제품의 신뢰성과 높은 개 발 비용이 요구된다. 정부는 대·중소기업의 동반 성장을 유 도하기 위해 중소기업은 부품 소재, 시스템 운영, 금형 분야 를, 소재(원천 기술) 개발의 경우는 연구소 및 대학과의 공동 개발을 집중적으로 지원할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따라서 소 재 분야에 속한 중소기업들은 적합한 연구소 및 대학과의 협 력을 추진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추진해야 할 것이며, 팩 제조 분야에 속한 중소기업들은 향후 높은 성장이 예상되 는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기술 개발과 실증 사업에 참여해서 새로운 ESS 시장에 신속하게 진입하여 고객을 확보할 수 있 는 준비를 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하다. 2013

『중소기업들은 소재 분야의 경우 연구소 및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팩 제조 분야의 경우 자체 기술 개발과 실증 사업 참여를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supply chain 분석

공급망 단계 소재 공급

(양극, 음극 등)

리듐 배터리 셀 제조

리듐 배터리 팩 제조

에너지 저장 시스템 통합

주요 내용 양극, 음극, 전해질 리튬이온/폴리머 BMS, 금형, Terminal 인버터, 충전 방법

해외 기업

니치아(JP), BTR(CN), 히타치(JP),미쓰비시화학 (JP), 우베(JP),

SONY(JP), Panasonic(JP), A123(US), BYD(CN)

SONY(JP), Panasonic(JP), A123(US), BYD(CN)

Saft(FR), Concergy(DE), A123(US)

국내 기업

한국 유미코아, 소디프신소재, 테크노세미켐, PANAX, 에코프로

삼성SDI, LG화학, 코캄, SK에너지, 에너텍

삼성SDI, LG화학, SK에너지, 에너텍, 코캄

LS산전, 삼성SDI, LG화학, 아이셀시스템즈,

중소기업 참여 정도

◕ ◐ ◕ ◐

, , , : 중소기업의 점유 정도에 따라 검은색으로 표현(●: 중소기업이 대부분 차지함을 의미)

(16)

LED 응용

LED를 이용한 조명 기구와 시스템, LED 조명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은 LED를 이용한 조명 기 구(LED 모듈과 방열 및 광학 기구로 구성)와 시스템(전원 장 치, 구동 회로, SW 및 시스템 제어)을 통칭한다. LED 조명은 기존 광원인 백열등 및 형광등과 비교 시 저전압에서 구동하 므로 전력 소비가 적은 반면 수명이 길고 수은, 납 등 유해 물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아 세계 각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녹색 성장 정책의 핵심 아이템이다. 또한 광원이 작아 설치와 모양에 제한이 없기 때문에 디자인의 유연성이 보장되고, 외 부 충격에 강하며, 특정 색상을 표현할 때 적합한 동시에 색 표현 특성이 우수하고, 자외선과 적외선이 방출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1)

『LED 조명은 저전압에서 구동하므로 전력 소비가 적은 반면 수명이 길고 수은, 납 등 유해 물질을 함유하고 있지 않아 세계 각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녹색 성장 정책의 핵심 아이템이다』

LED 조명은 조명 시장의 유통 체계를 따르지만 제품은 IT 제품이라는 특수성을 가진다. 기존 전통 조명은 사업 분야 가 광원, 안정기, 등 기구로 분리되어 분업 구조가 형성돼 있

1) “기존의 광원시장으로 영역을 확대하는 LED 조명 기술”, 월간 조명기술, 2011

LED 조명

경쟁 요인 및 융합 시장 성장

기술사업화분석실 선임연구원 노현숙 | Tel 02-3299-6093 e-mail hsroh@kisti.re.kr

LED 응용

LED 조명 시스템 개요

Components System

Chip

LED Components Modules + Optics Accessories Power Supplies Heatsick / Housing Package Optics Board Heat-sink Driver Control SW Power

Supply

Housing

Fixture Service

 + + +

(17)

고, 기술적 측면에서는 등 기구의 조립 및 가공 기술과 양산 기술이 중요하다. 반면 LED 조명은 광원과 제어 구동 회로를 결합한 엔진 단위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등 기구까지 통합된 형태로 제품 개발이 이루어지며 기술적 측면에서 광효율, 광 학설계, 형광체, 방열 등의 고도 기술이 요구된다. 즉, LED 조 명은 LED 칩, 방열, 렌즈, 회로 등 IT 관련 기술이 성능을 좌 우한다. 이에 따라 LED 시장의 경쟁 구도는 Philips, OSRAM, GE 등 전통적 글로벌 조명 업체들과 삼성전자 등 LED 사업 을 내재화한 글로벌 IT 업체 간의 경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

망하고 있다.

2015년 LED 조명 시장 207억 달러로 성장 예상

조명 시장은 백열등에서 고효율 조명으로, 전통 조명에서 반도체 조명으로, 단품 경쟁에서 솔루션 경쟁으로 진화 중에 있다. LED 조명 시장의 성장 요인으로는 세계 각국 정부의 고효율 조명에 대한 장려 정책 시행, 기술 개발을 통한 광효 율 증가, 원재료 절감과 유통 마진 축소를 통한 가격 인하 등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미국

·100W 백열등 사 용 금지

·75W 백열등 사용 금지

·40W 및 60W 백열등 사용 금지

·모든 조명 기구 효 율성 25~30% 달 성, 2020년까지 효율성 70% 향상 목표

EU

·100W 백열등 사 용 금지

·8월: 60W 백열등 사용 금지

·9월: 백열등 생산 및 수입 전면 금지

영국

·9월: 60W 백열등 사용 금지

·9월: 45W 및 25W 백열등 판매 금지

일본

·8월: LED 전구 시 장 점유율 백열등 추월

·백열등 생산 및 판 매 금지

중국

·21개 시범 도시에 대해 100만 개의 LED 조명 기구 사 용

·LED 주요 부품 의 국산화율 목표 60%

·50개 시범 도시 선 정, 200만 개 LED 조명 기구 사용

·LED 주요 부품 의 국산화율 목표 70%

·LED 핵심 공정장 비인 MOCVD를 도입할 경우 비용 의 최소 70%, 평 균 150만 달러 지 원 + 세제 혜택과 전기 수도료 할인

·800억 위안 정부 자금을 투입, 400 만 개의 LED 조명 구매 계획

·LED 조명 업체별 입찰 실시해 간접 보조 방식의 지원 금 지급(5개년 지 원 정책과 별도)

·10월: 100W 백 열등 수입 및 판매 금지

·10월: 60W 백열 등 수입 및 판매 금지

·LED 설비 관련 정 부 보조금 종료

·중국 도심의 62%

에 해당하는 가로 등을 LED 조명으 로 교체

·전체 조명 시장 30% 이상 LED 조 명으로 교체

·중국 내 조명 시장 11조 원 규모로 예 상

대만

·백열등 생산 금지 ·1.1만 개 거리 조

명을 LED로 교체

·LED 조명 채택률 을 높이기 위한 보 조금 지급 연장

러시아 ·국가의 백열등 구

매 금지

·100W 백열등 사 용 금지

·75W 이상 백열등 생산 및 판매 금지

·형광등과 백열등 판매 금지

주요국 정부의 백열전구 규제 및 LED 조명 활성화 정책

자료: “Veyond Strategy” 기초로 KISTI 재작성, 2013

(18)

LED 응용

을 들 수 있다. 특히, 백열전구 금지나 LED 조명의 보급 정책 은 LED 조명 시장의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LED 시장 조사 기관인 Strategies Unlimited에서는 LED 조명 시장이 2011년 74억 달러에서 향후 5년간 연평균 34%

씩 성장해 2015년에는 20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LED 조명의 보급 순서는 초기에는 정부 및 공공기관 주도 로 시장이 열리면서 신호등, 가로등, 보안등 등 인프라용 조명 이 주축이 되었고, 장시간 조명이 필요한 대형매장, 병원, 박 물관 등 특수 용도로 확산되었으며, 현재는 B2B 영업이 활성 화되고 있는 가운데 신축 건물용 평판 조명, 다운라이트 등 상업용 조명이 활성화되고 있고, 본격적인 성장기가 접어드 는 과정에서 소비자용 조명, 즉 주거용 조명까지 확산될 것이 다. 최종적으로는 자동차, 의료, 환경, 농수산 등 고부가 융합 제품이 개발될 것으로 전망된다.

Strategies Unlimited에 의하면 LED 조명 시장의 구성은 교 체형 조명 20%, 휴대용 20%, 건축용 18%, 상업용 5%, 옥외 용 8%, 보안용 7%, 소매 매장용 4%, 주거용 3% 순이다. 향후 LED 조명 시장은 교체형 조명 > 상업용 > 휴대용 > 건축용 >

옥외용 > 소매 매장용 순으로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LED 조명은 교체 비용이 중요한 주거용 조명보다는 수익 성(투자 회수 기간)이 중요한 상업용 조명이나 저전력이 중요 한 인프라용 조명에서 채용률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된다. 이에 따라 인프라용과 상업용 LED 조명 시장은 주거용 LED 조명 시장에 비해 빠른 속도로 성장하여 2015년에는 상

업용과 인프라용 조명의 각각 27.2%, 25.8%가 LED 조명으로 대체될 것으로 전망된다.

LED 조명 시장 확대의 걸림돌 및 경쟁 요인

LED 조명 시장 확대의 걸림돌

최근 중국에서 100W급 백열등의 수입 및 판매 금지 조치 가 시행되는 등 LED 조명의 개화를 위한 각국의 지원 정책이 단계적으로 펼쳐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LED 조명 시장 확대는 더딘 편인데 이는 1) LED 조명의 높은 가격, 2) 경기 불황에 따른 보수적 투자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LED 조명의 가격 하락 속도도 예상보다 더딘 편이며, 여전히 기타 조명과 비교해 비싸다(60W급 기준으로 동급 형 광등의 14배, 백열등의 49배). 전력 소모량을 고려한 총 소유 비용(cost of ownership) 기준으로도 동급 형광등 대비 6.4배 에 달한다. 이에 따라 LED 조명은 당분간 B2B, B2G 위주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이며, 글로벌 경기의 불확실성, 기업 및 공공기관들의 보수적인 투자는 시장 확대에 있어 걸림돌 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LED 경쟁 요인

LED 조명의 경쟁 요인으로서 1) 가격, 2) 광효율 및 칩 성 능, 3) 제어 구동 기술, 4) 유통 채널 장악력 등을 들 수 있다.

LED 조명의 보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격과 광효율이다. 가격이 낮아지고 광효율이 높아질수록 투자 회 수 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LED 조명의 경우 현재 같 은 광효율에서 가격이 10% 낮아질 때 투자 회수 기간은 약 15.5% 단축되며 같은 가격에서 광효율이 10% 상승하면 투자 회수 기간은 약 20% 단축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주거용 LED 조명의 투자 회수 기간이 2011년 9.7년에서 2015 년에는 3.4년 수준까지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LED 조명 산업의 경쟁 요인으로는 가격, 광효율 및 칩 성능, 제어 구동 기술, 유통 채널

장악력을 들 수 있으며, 웨이퍼의 대구경화, 교류형 LED 기술 및 표준화는 시장 활성화를 위한

선결 조건이라 할 수 있다』

상업용 LED 조명 시장은 가격과 광효율이 10% 개선 시 각 각 13.6%와 9.1%의 투자 회수 기간이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 며, 이에 따라 LED 조명의 투자 회수 기간이 2011년 4.4년에

자료: * Fuji Chimera Research Institute, 2009, 재작성

** BCC Research, 2010. 1, Nano technology in Coatings and Adhesive Applications, 재작성

※ 산출 근거: 100엔=1,350원, 1$=1,100원. 전체 기능성 필름 시장을 디스플레이용 기능성 필름이 주도하고 있다는 판단 아래, 두 분야의 성장률을 동일하게 가정. FPD 기능성 필름 시장=0.726*전체 기능성 필름 시장. 흠집 개선 코팅제 국내 시장=디스플레이용 기능성 필름 국내 시장 점유율

구분 단위

시장 규모

연평균 성장률

2011 2012 2013 2014 2015 (%)

디스플레이용 기능성 필름*

세계(억 엔) 19,052 20,276 21,794 23,189 24,441 6.4

국내(억 원) 67,129 71,443 76,790 81,705 86,117 6.4

디스플레이용 흠집 개선 코팅제**

세계(만 $) 1,300 2,000 3,100 4,724 6,700 52.4

국내(억 원) 37.7 57.9 89.8 136.9 194.1 52.4

기타, 7.8%

25,000 20,000 15,000 10,000 5,000 0

16%

14%

12%

10%

8%

6%

4%

2%

0%

자료: Strategies Unlimited, 2011

LED 조명 시장 전망

(단위: 백만 $)

2008 2009 2010 2011E 2012E 2013E 2014E 2015E Rwplacement Lamp

Luminaines LED 조명 침투율(우)

(19)

서 2015년에는 2.4년 수준까지 단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상업용 LED 조명 시장은 경제적으로 민감하기 때문에 투자 회수 기간 축소가 보급률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 단된다.2)

향후 시스템 조명 시장이 커질수록 제어 구동 회로 기술력 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시스템 조명은 개별, 중앙 제어 시 스템을 통해 에너지 절감의 극대화를 추구한다. 이에 적합한 지능형 제어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LED 조명 시스템은 단순 LED 조명에 비해 50%의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유통 채널 장악력 또한 LED 조명 보급에 중요한 요인이다.

이는 글로벌 조명 업체 대비 국내 IT 업체들이 갖는 약점이다.

즉, 조명의 유통 채널은 IT 제품에 비해 훨씬 복잡하며 건설 및 주택, 인테리어 산업과 연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가격과 성 능이 뒷받침되면 단시일 내에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B2B 시장과 달리 B2C는 기존 조명 유통망에서 안착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과 투자가 필요하다.

향후 기존 산업과 LED를 융합한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 으로 전망

2) “LED 조명 빛은 반도체를 타고온다”, 키움증권, 2011

미래에는 LED 조명의 진화 형태로서 기존 산업과 LED를 융합한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Strategies Unlimited에서 이들 융합 분야의 시장 규모는 2020년에 자동 차 분야 213억 달러, 의료 및 환경 분야 210억 달러, 농수산 분야가 10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LED 조명은 IT-BT-NT 기술과 융합되어 전통 산업(건축/의 료/수송/농업/해양)에서 새로운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하 고 있다. 예를 들어 IT 기술과 LED 조명과의 결합을 통해 획 기적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고 친환경, 사용자 요구 환경에 부 합되는 콘텐츠가 내장된 다기능 솔루션을 맞춤형, 실시간으 로 제공하는 스마트 LED 시스템 조명이 부상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 분야에서는 센서 및 통신 기술을 활용한 인지형 복합 LED 전조등이 개발될 것이고 가전제품 분야에서는 LED가 공기와 물의 살균 기능을 구현할 것이다. 농수산 분야에서는 LED 광원과 제어 시스템을 결합해 기후나 지역적 영향을 받 지 않고 맞춤형 연중 생산이 가능한 식물 공장이 생겨날 것 이고 의료 분야에서는 LED 수술용 및 내시경 조명으로 사용 되는 한편 자외선, 적외선 등 특수 LED 파장을 활용해 질병 을 치료하게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 절 약형 그린 홈 조명 시스템을 중심으로 방열 및 광학의 최적 화 기술, 저 전력 SOC 개발이 활발히 진행될 전망이다.

2013

물속에서 생활하는 개구리는 인간보다 많은 미생물이 피부 전체를 공격할 가능성이 큰 환경에 있다. 그러나 피부 에서 분비되는 템포린에 의해 안전하게 살아가고 있다. 템포린은 균류나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 세포막에 구멍을 내 어 세포 내의 물질을 밖으로 나오게 해 미생물을 죽게 한다. 인공적 으로 조작한 템포린의 농도에 따라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 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기도 하였다. 템포린의 양이 많아질수록 미 생물 세포막에 대한 침투성이 향상되어 세포막이 더 잘 파괴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또한 템포린의 상처 회복과 같은 새로운 능력 에 관한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양서류가 갖는 항균성 펩티드는 여 러 종류의 미생물에 항균 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람에게 적용할 수 있는 신약 개발도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물 도색을 오래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개발과 함께 건축 자재의 수명을 연장 할 수 있는 코팅 기술, 목재 부패 방지제 개발도 기대된다.

개구리가 가진 항균성 펩티드 ‘템포린’에 대한 기대

자연에서 배우는 아이디어 세계

자료: J-Net21

▶ 개구리 ▶

참조

관련 문서

[r]

산출 자료에

그러므로 ㉥ ‘김 선생님’은 현재의 담화 상황에 참여하지 않는 인물을 지칭하는 표현이라는 설명은 적절하다.. 그러므로 ㉤이 아버지가 지금까지 은주와 나눈 대화의 화제

우리는 국제화시대로 최근 브랜드의 중 요성이 부각되면서 브랜드에 대한 개념 이해와 네이밍 전략 및 네이밍 기법등 에 대해 서술하였고 브랜드 요소 중 중 요한

[r]

도시 근교를 중심으로 봄철은 딸기 철인데 역병으로 인해 사람들이 딸기체험농장 에 갈 수 없고, 운송 인력 부족으로 딸기를 시장이나 슈퍼마켓 등에 공급하 지

[r]

(Taekwondo, Weight Lifting Players) (90 min × 6 days/week) War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