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朝 朝 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朝 朝 朝"

Copied!
2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2006年 8月 碩士學位論文

「 「

「御 御 御 御製 製 製 製內 內 內訓 內 訓 訓」 訓 」 」의 」 의 의 의 語 語 語 語彙 彙 彙 彙論 論 論 論 과 과 과 과 形 形 形 形態 態 態 態論 論 論 論

朝 朝 朝

朝鮮 鮮 鮮大 鮮 大 大學 大 學 學校 學 校 校 大 校 大 大學 大 學 學院 學 院 院 院

國 國 國

國語 語 語 語國 國 國文 國 文 文 文學 學 學科 學 科 科 科

方 方 方

方 香 香 香 香 玉 玉 玉 玉

(2)

「 「

「御 御 御 御製 製 製 製內 內 內訓 內 訓 訓」 訓 」 」의 」 의 의 의 語 語 語 語彙 彙 彙 彙論 論 論 論 과 과 과 과 形 形 形 形態 態 態 態論 論 論 論

Lexicology Lexicology Lexicology and Lexicology and and and Morphology Morphology Morphology Morphology of of of of 「 「 「EojeNaehun 「 EojeNaehun EojeNaehun EojeNaehun」 」 」 」

2006 2006 2006

2006年 年 年 年 8 8 8 8月 月 月 月 25 25 25日 25 日 日 日

朝 朝 朝

朝鮮 鮮 鮮大 鮮 大 大學 大 學 學校 學 校 校 大 校 大 大學 大 學 學院 學 院 院 院

國 國 國

國語 語 語 語國 國 國文 國 文 文 文學 學 學科 學 科 科 科

方 方 方

方 香 香 香 香 玉 玉 玉 玉

(3)

「 「

「 「御 御 御製 御 製 製 製內 內 內訓 內 訓 訓 訓」 」 」 」 의 의 語 의 의 語 語彙 語 彙 彙論 彙 論 論과 論 과 과 과 形 形 形態 形 態 態論 態 論 論 論

指 指 指

指導 導 導 導敎 敎 敎 敎授 授 授 授 李 李 李 李 晟 晟 晟 晟 衍 衍 衍 衍

이 이 이

이 論 論 論文 論 文 文을 文 을 을 文 을 文 文學 文 學 學碩 學 碩 碩士 碩 士 士學 士 學 學位 學 位 位申 位 申 申請 申 請 請 論 請 論 論文 論 文 文으로 文 으로 으로 提 으로 提 提出 提 出 出함 出 함 함.... 함

2006 2006 2006

2006年 年 年 年 4 4 4 4月 月 月 月 30 30 30日 30 日 日 日

朝 朝 朝

朝鮮 鮮 鮮大 鮮 大 大學 大 學 學校 學 校 校 大 校 大 大學 大 學 學院 學 院 院 院

國 國 國

國語 語 語 語國 國 國文 國 文 文 文學 學 學科 學 科 科 科

方 方 方

方 香 香 香 香 玉 玉 玉 玉

(4)

方 方 方

方香 香 香玉 香 玉 玉 玉의 의 의 碩 의 碩 碩 碩士 士 士 士學 學 學 學位 位 位 位 論 論 論文 論 文 文을 文 을 을 을 認 認 認 認准 准 准 准함 함 함 함

委 委

委 委員 員 員 員長 長 長 長 朝 朝 朝 朝鮮 鮮 鮮 鮮大 大 大 大學 學 學 學校 校 校 校 敎 敎 敎 敎授 授 授 授 최 최 최 최 재 재 재 재 희 희 희 희 委 委

委 委 員 員 員 員 朝 朝 朝 朝鮮 鮮 鮮 鮮大 大 大 大學 學 學 學校 校 校 校 敎 敎 敎 敎授 授 授 授 강 강 강 강 희 희 희 희 숙 숙 숙 숙 委 委

委 委 員 員 員 員 朝 朝 朝 朝鮮 鮮 鮮 鮮大 大 大 大學 學 學 學校 校 校 校 敎 敎 敎 敎授 授 授 授 이 이 이 이 성 성 성 성 연 연 연 연

2006 2006

2006 2006年 年 年 年 5 5 5月 5 月 月 月 30 30 30日 30 日 日 日

朝 朝 朝

朝鮮 鮮 鮮大 鮮 大 大學 大 學 學校 學 校 校 大 校 大 大學 大 學 學院 學 院 院 院

(5)

- - - 목 - 목 목 목 차 차 차 차 - - - -

ABSTRACT ABSTRACT ABSTRACT ABSTRACT

제 제 제

제 1 1 1 1 장 장 장 장 서 서 서 론 서 론 론 ··· 1 론 1 1 1

1.1. 연구 목적과 필요성 ··· 1 1.2. 연구 대상과 방법 ··· 3

제 제 제

제 2 2 2 2 장 장 장 장 어휘 어휘 어휘 특징 어휘 특징 특징 특징 ··· 7 7 7 7

2.1. 2.1. 2.1. 2.1. 어휘의 어휘의 계량적 어휘의 어휘의 계량적 계량적 특징 계량적 특징 특징 ··· 7 특징 7 7 7

2.2. 2.2. 2.2. 2.2. 어휘의 어휘의 체계적 어휘의 어휘의 체계적 체계적 특징 체계적 특징 특징 ··· 12 특징 12 12 12 2.2.1. 어종별 분류 ··· 12 2.2.2. 품사별 분류 ··· 13 2.2.3. 의미 영역별 분류 ··· 15

2.3. 2.3. 2.3. 2.3. 어휘의 어휘의 변이 어휘의 어휘의 변이 변이 양상 변이 양상 양상 ··· 41 양상 41 41 41

2.3.1 어휘의 위상적 변이 ··· 42

2.3.2 어휘의 화용적 변이 ··· 54

(6)

제 제

제 3 3 3 3 장 장 장 장 단어 단어 단어 형성법 단어 형성법 형성법 형성법 ··· 67 67 67 67

3.1. 3.1. 3.1. 3.1. 합성법 합성법 ··· 68 합성법 합성법 68 68 68

3.1.1. 명사 합성법 ··· 69

3.1.2. 대명사 합성법 ··· 79

3.1.3. 동사 합성법 ··· 79

3.1.4. 형용사 합성법 ··· 89

3.1.5. 관형사 합성법 ··· 91

3.2. 3.2. 3.2. 3.2. 파생법 파생법 ··· 93 파생법 파생법 93 93 93 3.2.1. 명사 파생법 ··· 93

3.2.2 대명사 파생법 ··· 101

3.2.3. 동사 파생법 ··· 101

3.2.4. 형용사 파생법 ··· 117

3.2.5. 부사 파생법 ··· 128

3.2.6. 관형사 파생법 ··· 141

제 제 제

제 4 4 4 4 장 장 장 장 결 결 결 론 결 론 론 론 ··· 145 145 145 145

【 【 【

【參 參 參 參考 考 考文 考 文 文 文獻 獻 獻】 獻 】 】 】 ··· 149 149 149 149

「 「

「어제내훈 어제내훈 어제내훈 어제내훈」 」 」 」의 의 의 의 어휘 어휘 어휘 어휘 목록 목록 목록 목록 ··· 153 153 153 153

(7)

ABSTRACT

Lexicology and Morphology of "EojeNaehun"

Fang, Xiang-yu

Advisor: Professor. Lee, Seong-yeon. Ph.D.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is to examine lexicon of < EojeNaehun > lexicologically and morphologically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lexicon and how to form words and expand understanding of language facts published in modern Korean language period.

Chapter 2 examines measurement, systems and aspects of lexicon in respect of lexicological characteristics.

Article 1 searches frequency of lexicon appeared in < EojeNaehun >and

identifies the most frequently found words in respect of lexicon

measurement. As a result of frequency search, it was found that gross

lexicon was 15,505 and individual lexicon was 3,612. For distribution

aspects in accordance with frequency, the most frequent found words are

categorized into 0.3 % of individual words and 11.4 % of gross words. The

lesser frequently-found words which were used less than five times are

categorized into 87 % of individual words and 34.4 % of gross words. As a

result of examining 50 most- frequently- found words, they include 14

verbs, 6 adjectives, 13 nouns, 9 adverbs, 8 others. The most- frequently-

(8)

found words generally consist of commanding words, which supports most of them are engaged in education.

Article 2 classifies lexicon according to kinds, parts of speech, and meanings to identify their aspects.

This study categorizes distribution of word kinds into native tongue, chinese tongue and hybrid tongue. The native tongue contains 45.3 % of individual words and 68.2 of gross words. The Chinese words contains 36.3 % of individual words and 20. 3% of gross words. The hybrid tongue consists of 18.4 % of individual words and 11. 5% of gross words.

The aspect of distribution is examined as follows: 5,680 nouns (36.6 %), 5, 196 verbs (33.5 %), 2,164 adverbs (14.0 %), 1,608 adjectives (10.4 %), 465 pre-nouns (3.0 %), 348 pronouns (2.2 %), 42 rhetorics (0.3%), and 3 exclamations (0.0%) were found.

According to meanings of words, their standards are categorized into 8 as follows: words on people, those on food, clothing and housing, those on nature, those on education, those on music, those on movements, those on conditions, and those on colors.

Of them, dead language and court language that are not used in contemporary language, and the words whose meaning are changed are valuable for identification of history at that time and bibliographical nature of modern Korean language.

Article 3 speculates aspects of lexicon variation which are classified into topological variation and pragmatic variation. In respect to topological variation, this study examines court language. Most of the court language appearing in < EojeNaehun >are secret language that are not known to the public and at the same time words to show the highest respect. It confirms that lexicon was strictly classified according to class and regions in modern language period.

In respect to pragmatic variation, this study examines idioms, respectful

(9)

language, disrespectful language and euphemistical language.

Idioms and proverbs in appearing as phrases include variated forms of lexicon appealing great moral principle, humanity and justice, speech and behavior to be followed by women, filial piety and simplicity. They were used to focus on a function of education.

When respectful words and disrespectful words of < EojeNaehun >are examined, more respectful words appear than disrespectful words.

Respectful language were used to provide direct education and disrespectful language were used to emphasize contrasting techniques for education and acts not to do for women. Euphemistical words were just no more than five. It means that indicative mood was more frequently used for education of women because bibliographical data are instructive.

Article 3 speculates compound words appearing in < EojeNaehun >which is used as main bibliographical data. They are categorized into nouns, pronouns, verbs, adjectives, adverbs and idioms. This study identifies aspects of their synthesis and derivation and characteristics. The compound words discussed here are examined in terms of difference between the middle age language and modern language through comparison with modern language as follows:

1. This study find that word formation of < EojeNaehun > shows difference in orthography from the middle ages through modern period, and aspect of word formation in < EojeNaehun >is closer to that of contemporary language.

2. Through compounding in < EojeNaehun >, it is confirmed that what were

considered as synthetic words in the middle ages or modern ages are used as

noun phrases nowadays and vice versa. What were used as compound words or

derivative words in the middle ages or modern ages are generally fossilized

as single words in contemporary ages. It is believed that word formation of

contemporary ages are a result of diachronism and it is developing as more

regulative.

(10)

3. In respect to noun compounding, " Siott " was intervened in the middle ages, but in < EojeNaehun >, it was omitted which is maintained in contemporary language. It is an external evidence that they are fossilized as compound words.

4. While synchronized compounding of "verb + verb" in < EojeNaehun > is more productive than unsynchronized compounding, unsynchronized compounding prevailed in middle age language. For contemporary language, synchronized composition is general and unsynchronized composition is very limited, which is a result of fossilization of middle age language or modern language.

5. < EojeNaehun > shows active suffixes such as '-ri-', ' -oui/wei-', '-ho/hoo-' and passive suffix such as ' -ri-' that were not found in the middle ages while active suffixes such as ' -euky/ekyo-', and stress suffixes such as '-itt-. -pze-' were not found. Passive suffixes show the same distribution as those of current language, but active suffixes such as '-a-/eui-, -wei/wui-, -ho/hoo-' and stress suffixes were added. So derivation of modern language verb was more varied.

6. '-a-/eui-' that derivate adjectives that were not found in the middle ages appear in < EojeNaehun > and a suffix such as '-serup-' that appeared from the middle ages to current ages was not found.

7. Adverb derivative suffixes such as '-ee/hi-' were confusingly used in mass through adverb derivation of < EojeNaehun > in the period of the same lexicon or the same kind lexicon. In the middle age language, adverb derivative suffixes such as '-oh/woo-' were productively used and its productivity decreased in the modern language, which is well reflected in <

EojeNaehun >. It is general that suffixes have natures of status postposition or ending, which were rarely found in current language.

8. Through comparison of the types of derivation appearing in < EojeNaehun

>with types of parts of speech of derivation of modern language, it was

found that prefix derivation was very limited. Of the suffix derivations,

(11)

types of verb derivation, adjective derivation and adverb derivation are so

varied so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lists of derivations in

modern language was found. Here, the fact that types of adverb derivation

were more varied than those of modern language is worthy of attention. This

is because connective adverbs and adverbs whose period and suffixes can not

be analysed easily were not excluded. In addition, they are varied and

highly productive as they are directly related to many kinds of derivative

adverbs because of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bibliographical data. The

types of noun derivation show difference from those of modern language

because most of the nouns in < EojeNaehun > were single words and proper

nouns.

(12)

제 제

제 제 1 1 1 1 장 장 서 장 장 서 서 론 서 론 론 론

1.1.

1.1. 1.1.

1.1. 연구 연구 연구 연구 목적과 목적과 목적과 목적과 필요성 필요성 필요성 필요성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어제내훈」에 등장하는 어휘

1)

들을 어휘·형태론적으로 고찰하되 어휘의 특징과 단어 형성법을 밝히는 데 있다.

「어제내훈」은 1475년(성종 6년)에 펴낸 「내훈」의 중간본인데 1737년(영조 14 년)에 개주 갑인자(改鑄甲寅字)로 다시 간행한 3권 3책으로 된 규장각본이다.

「내훈」의 내용은 성종의 어머니인 소혜왕후 한씨

2)

가 궁중의 비빈과 부녀자들 을 교육하기 위하여, 부녀자들이 익혀야 할 덕목을 담고 있다. 각 장마다 중국의 교화서인 「소학」, 「명심보감」, 「여교」, 「열녀」에서 긴요한 부분을 가려 뽑아서 편 찬하였다. 「내훈」의 원본은 전하지 않고 여러 이본들만 전해 오고 있다

3)

.

본 논문에서 「어제내훈」을 연구 대상으로 삼은 까닭은 15세기 국어 문헌 자료

1) 김광해(1993)는 “어휘란 일정한 범위 안에서 사용되는 단어의 집합이다. 따라서 어휘를 이루는 하나하 나의 요소들은 어휘소 또는 어휘 항목, 경우에 따라서는 단어이다.” 라고 정의했다. 따라서 본 논문에 서는 어휘소와 단어를 같은 개념으로 사용한다.

2) 소혜왕후는 1455년 세자빈에 간택되어 수빈에 책봉되었으나, 남편인 의경세자가 스무 살에 요절하여 왕비가 되지 못하였다. 1469년 11월 성종이 즉위하여 의경세자가 덕종으로 추존되자 왕후에 책봉되었 으며, 곧 이어 인수대비에 책봉되었다.

3) 지금까지 밝혀진 「내훈」의 이본들은 다음과 같은 7가지이다(이선영 2003).

가. 초간본(初刊本): 전하지 않음. 성종 6년(1475) 나. 고본(古本): 오수열씨 소장본, 선조 6년(1573년 초) 다. 선본(宣本): 일본 호사[蓬左]문고 소장본, 선조 6년(1573년) 라. 광본(光本): 규장각본, 광해군 2년(1611년)

마. 효본(孝本): 순치 병신판(順治丙申板), 효종 7년(1656년, 소재 불명) 바. 영본(英本): 규장각본, 영조 14년(1737년)

사. 일사본(一蓑本), 가람본: 서울대 도서관, 간년 미상의 목판본

(13)

인 「내훈」이 18세기에 이르러 「어제내훈」으로 간행되면서 당시의 현실 언어가 반 영되어 번역문(언해문)의 표기법, 음운 현상, 어휘 , 문법, 문체 등이 많이 달라져 근대국어 시기의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어서 근대국어의 어휘·형태론적 특징을 공 시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내훈」과 「어제내훈」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전자는 우선 이본 에 대한 고찰에 해당되는 서지 사항 그리고 음운, 표기법, 어휘, 문법 등으로 나 눌 수 있다.

서지적 연구로는 김지용(1969), 안병희(1972), 이숭녕(1972), 허웅(1974), 홍 윤표(1990), 양명희(1993) 등이 있다. 음운과 표기법 연구로는 이청희(1969), 오 석란(1975), 정용수(1982), 강성철(1988), 이희숙(1989), 권선화(1992), 유승금 (1996) 등이 있다. 공시적인 입장에서 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표기법과 어휘 연구로는 이선영(2003)이 있다. 이선영(2003)에서는 1611년 광해군 2년에 간행된 규장각본 「내훈」을 대상으로 표기법과 어휘를 고찰했다. 표 기법에서는 ‘ㅸ, ㅿ’의 쓰임, 어간말 자음의 표기, 모음조화 등을 살펴보았고, 어휘 부분에서는 희귀어 17개와 궁중어 10개만의 뜻풀이를 위주로 하고 있으므로 제 한적인 고찰에 머물렀다

문법적 연구로는 조윤호(1987), 강성철(1988), 이경옥(1996) 등이 있다. 조윤 호(1987)에서는 조사에 대한 비교 고찰이 위주였고 강성철(1988)에서는 규장각본 만으로 활용 어미를 연구하였다. 이경옥(1996)에서는 조사와 어미를 제외하고도 조어법을 상세히 다루었지만 비교 연구로서 두 이본 간만의 차이점을 밝힘으로써

「어제내훈」에 나타나고 있는 사항을 전체적으로 다루지 못했다.

「내훈」과 「어제내훈」의 비교 연구로는 오석란(1975), 조윤호(1987), 이희숙 (1989), 권선화(1992), 유승금(1997) 등이 있다. 이러한 비교 연구들은 「어제내 훈」을 「내훈」의 비교 대상으로 삼아 음운, 표기, 형태, 통사 등 다양한 측면을 비교·고찰하여 그 차이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최근의 비교 연구로는 이성연(2000b), 정옥란(2001)을 들 수 있다. 이성연

(2000b), 정옥란(2001)에서는 호사문고본인 「내훈」과 규장각본인 「어제내훈」의 1

권과 3권의 전체 어휘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후기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어휘의

(14)

차이점과 특징을 꼼꼼히 밝히고자 하였다. 이들은 모두 통시적인 고찰에 중점을 두고 있다.

「어제내훈」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를 보면 「내훈」과의 비교가 대부분을 차지 한다. 「어제내훈」만을 공시적으로 다룬 연구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논 문은 공시적인 연구로서 「어제내훈」의 어휘를 어휘론적으로 계량하고 어휘의 분 포 양상을 조사하여 그 체계를 파악하고 어휘의 변이 양상을 살피며, 형태론적으 로 단어 형성법을 고찰함으로써 당시의 언어 사용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한다.

1.2.

1.2. 1.2.

1.2. 연구 연구 연구 연구 대상과 대상과 대상과 대상과 방법 방법 방법 방법

본 논문에서는 기본어휘

4)

를 영조 14년(1737년)에 간행한 규장각본인 「어제내 훈」의 내용을 기본어휘 조사 대상의 범위로 선정하였다. 「어제내훈」의 내용 구성 은 3권 7장으로 되어 있는데 서문과 발문의 어휘도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5)

. 그것

4) 이에 관련되는 용어들로 기초어휘, 기본어휘, 기간어휘 등이 있다. 이를 각각 구별하여, 기초어휘란 ‘특 정 언어에서 그 중추적 부분으로서 구조적으로 존재하는 단어의 부분 집단’이고, 기본어휘란 ‘어떤 목 적에 따라 인위적으로 선정되며 공리성을 가진 단어의 집단’이고, 기간어휘란 ‘어떤 특정 집단을 대상 으로 한 어휘조사에서 직접적으로 얻어지는 그 단어 집단의 골격적인 부분 집단’이라고 설명하기도 한 다(임지룡 1991). 그렇다면 본 논문에서는 어휘를 목적에 따라 인위적으로 선정한 것이기 때문에 기 본어휘라고 말할 수 있겠다.

5) 卷一의 ‘언행장, 효친장, 혼례장’ 卷二의 ‘부부장’ 그리고 卷三의 ‘모의장, 돈목장, 염검장’ 등이다. 언행 장에서는 부녀자로서 지켜야 할 언어, 음식, 행실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으며, 특히 남녀를 엄격히 구분 하고 남편에게 순종할 것을 역설했다. 효친장에서는 모든 대도와 인의의 발단은 효임을 밝히고, 문왕 ㆍ무왕ㆍ주공의 예를 인용하여 효의 중요성에 대해 훈계했다. 혼례장에서는 사례를 통해 혼례의 중요 성을 밝히고, 효의 기본적인 마음가짐에 대해 밝혔다. 부부장에서는 왕후와 그 밖의 유명한 부인들의 본받을 만한 고사를 인용하여 부부간에 지켜야 할 도리를 밝혔다. 모의장에서는 주 문왕의 어머니인 태임의 태교와 맹자 어머니의 삼천지교 등을 그 예로 들어 어머니로서 자식교육을 위해 지녀야 할 자 세를 밝혔다. 돈목장에서는 효우를 기본으로 수나라의 이부상서인 우홍과 그의 아우인 우필의 유명한 고사를 예로 들어 친척간 화목해야 함을 역설했다. 염검장에서는 공자가 제자인 안자의 청렴 검소함을

(15)

을 표로 보이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

< <

<표 표 표 1> 표 1> 1> 1> 조사 조사 조사 조사 대상 대상 대상 대상 작품 작품 작품 개요 작품 개요 개요 개요

본 논문에서는 「어제내훈」의 총 어휘 목록을 작성하기 위하여 먼저 어휘를 컴 퓨터에 입력하고 통계·처리하였다. 그리고 단어의 추출은 현행 맞춤법의 띄어쓰기 규칙을 적용하고, ‘가나다순’과 ‘빈도’순으로 각각 정리하며 빈도수를 조사하고 통 계를 냈다. 그 조사 단위는 단어(어휘소)로 한정하고 조사 기준을 세웠다. 본 논문 의 어휘 조사 방법의 기준은 다음의 (1)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어휘 조사 방법 기준

ㄱ. 모든 단어는 기본형이나 원형을 밝혀 조사한다. 체언은 조사를 제외하고 용언은 어미를 제외한다.

ㄴ. 품사 분류는 학교문법의 9품사 체계를 따르되, 다만 조사는 제외한다.

ㄷ. 동일 어휘의 표기가 다른 것은 각각 다른 표제어로 처리한다.

ㄹ. 보조동사와 보조형용사는 각각 동사와 형용사에 포함시켜 분류한다.

ㅁ. 동음이의어는 한자·풀이말 등을 기입하여 구별하고 각각 독립된 단어로 처 리한다.

ㅂ. 사전은 주로 <17세기 국어사전>(1995), <이조어사전>(1964), <우리말 큰 사전 4>(1992), <고어사전>(2006)을 참고한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예로 들어 호의호식을 금하고 부지런함과 청렴 검소하게 살 것을 권고했다. 서문은 소혜왕후가, 발문 은 상의 조씨가 붙였다.

序 文 第 一 卷 第 二 卷 第 三 卷 跋 文

御製內訓序 言行章第一 夫婦章第四 母儀章第五 恭惟我

孝親章第二 敦睦章第六

婚禮章第三 廉儉章第七

(16)

먼저 「어제내훈」의 총 어휘 목록을 ‘가나다’순으로 정리하여 빈도수를 조사하 고 통계를 냈다.

제2장 어휘론적 특징에서는 1차적으로 어휘 계량을 하였다. 여기에서는 「어제 내훈」의 총 어휘량 및 평균 빈도 분포, 어휘 빈도별 분포, 50위 이상의 고빈도어 를 고찰하였다. 2차적으로 어휘 체계와 어휘 양상을 고찰하였다. 어휘 체계에서는

「어제내훈」의 어휘를 어종별, 품사별, 의미 영역별로 분류하여 그 분포 체계를 파 악하였다. 어휘 양상에서는 위상적 변이와 화용적 변이로 분류하여 어휘의 변이 양상을 살펴보았다. 위상적 변이에서는 문헌에 등장하는 궁중어를 살펴보았다. 화 용적 변이에서는 관용표현, 공대어와 하대어, 완곡어를 고찰하였다.

제3장 단어 형성법에서는 「어제내훈」에 등장하는 복합어를 품사별로 합성법과 파생법의 양상을 살피고 근대국어와 관련하여 현대국어와 중세국어와의 차이점을 밝혔다. 제1절에서는 명사 합성법, 대명사 합성법, 동사 합성법, 형용사 합성법, 관형사 합성법의 순으로 항목을 분류하여 설명하고 특징을 밝혔다. 제2절에서는 파생어를 명사 파생법, 대명사 파생법, 동사 파생법, 형용사 파생법, 부사 파생법, 관형사 파생법의 순으로 항목을 분류하여 설명하고 특징을 밝혔다.

제4장은 결론으로서 앞서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하였다.

(17)
(18)

제 제 제

제 2 2 2 2 장 장 어휘 장 장 어휘 어휘 특징 어휘 특징 특징 특징

2.1.

2.1. 2.1.

2.1. 어휘의 어휘의 어휘의 어휘의 계량적 계량적 계량적 특징 계량적 특징 특징 특징

어휘를 대상으로 하는 조사 작업은 언어학적 지식과 통계학적 지식이 결합되 어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 되므로 독특한 하나의 학문 영역을 형성한다. 논의의 편 의상 본 논문에서는 어휘의 계량에서 사용하는 주요 용어들과 그 기본 개념을 다 음과 같이 설명하기로 한다(김광해 1993).

(1) 용어 및 기본 개념

ㄱ. 개별어휘(V): 중복되어 나타난 것을 헤아리지 않은 개별적인 어휘의 수.

ㄴ. 연어휘(N): 조사 대상이 되는 자료에 나타나 있는 모든 조사 단위 어휘의 수.

ㄷ. 빈도수(P): 하나의 조사 단위가 등장한 횟수.

ㄹ. 사용률(p): 빈도수의 백분율, p=P/V x 100.

ㅁ. 누적빈도수: 빈도 순위에 따라 누적된 빈도수.

ㅂ. 평균 빈도: 조사 단위 어휘의 평균 사용 횟수 즉 연어휘수를 개별어휘수로 나 눈 것.

어휘량이란 어떤 범위로 한정된 어휘를 구성하고 있는 어휘소의 총량을 말한 다. 따라서 「어제내훈」의 어휘량 및 평균 빈도 분포를 보이면 다음의 <표 2>와 같다.

어휘량

장 연어휘

개별어휘 평균빈도

(19)

<

< <

<표 표 표 2> 표 2> 2> 2> 「 「 「 「어제내훈 어제내훈 어제내훈 어제내훈」 」 」 」의 의 의 어휘량 의 어휘량 어휘량 어휘량 및 및 및 및 평균 평균 평균 빈도 평균 빈도 빈도 빈도 분포 분포 분포 분포

<표 2>를 보면, 「어제내훈」의 각 장과 서문 및 발문에 나오는 개별어휘는

<언행장> 779(20.0%)개, <효친장> 885(22.8%)개, <혼례장> 371(9.5%)개, <부 부장> 2,209(56.8%)개, <모의장> 938(24.1%)개, <돈목장> 467(12.0%)개, <염 검장> 487(12.5%)개, 서문 및 발문이 367(9.4%)개로 총 3,612개로 나타났고 연 어휘는 <언행장> 1,799(11.6%)개, <효친장> 1,909개(12.3%), <혼례장>

681(4.4%)개, <부부장> 6,844(44.2%)개, <모의장> 2,183(14.1%)개, <돈목장>

827(5.3%)개, <염검장>이 857(5.5%)개, <서문 및 발문>이 505(3.3%)개로 총 15,505개로 나타났다. 그 중 <부부장>의 어휘가 가장 많이 등장하는데 이것은 소 혜왕후가 교육의 초점을 남편을 섬김에 있어서 아내가 지켜야 할 도리를 밝히는 데 두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제내훈」의 각 장별 평균 빈도수는 <언행장> 2.30, <효친장> 2.16, <혼례 장> 1.83, <부부장> 3.09, <모의장> 2.22, <돈목장> 1.79, <염검장>이 1.85, 전 체가 4.29로 한 낱말이 평균 4번 정도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낱말의 빈도란 언어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의 통계적 특성과 언어사용 에서 출현하는 언어 현상의 확률적 특성을 구체적인 숫자로 밝힌 것을 말한다(조 선어빈도수사전:2). 「어제내훈」의 전체 어휘 목록의 빈도별 분포 양상을 살펴보면 다음의 <표 3>과 같다.

언 행 장 1,799 779 2.30

효 친 장 1,909 885 2.16

혼 례 장 681 371 1.83

부 부 장 6,844 2,209 3.09

모 의 장 2,083 938 2.22

돈 목 장 827 467 1.79

염 검 장 857 487 1.85

서문, 발문 505 367 1.37

전 체 15,505 3,612 4.29

어 휘 수

빈도 개별 어휘수 누적 어휘수 연어휘수 누적 어휘수

(20)

< < <표 < 표 표 3> 표 3> 3> 3> 「 「 「 「어제내훈 어제내훈 어제내훈 어제내훈」 」 」 」 100 100 100 100회 회 회 이상의 회 이상의 이상의 이상의 어휘의 어휘의 어휘의 어휘의 빈도별 빈도별 빈도별 빈도별 분포 분포 분포 분포

위의 <표 3>를 보면 빈도수 5회 이하로 쓰인 저빈도 어휘는 개별 어휘수가 85.8%나 되지만 연어휘수는 32.1%에 불과하고, 반면에 100회 이상의 고빈도 어 휘는 개별 어휘수는 0.3%에 불과하지만, 연어휘수는 12.1%이다. 이와 같은 결과 는 문헌 자료의 특성상 교화와 관련된 소수의 어휘만이 반복하여 쓰이고 빈도수 가 낮아짐에 따라 반복된 어휘가 적게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저빈도 어 휘의 백분율의 차이는 근대국어 시기의 표기 혼란과도 직접 관련된다.

어휘의 빈도가 높다고 어휘 가치가 높고, 빈도가 낮다고 하여 어휘 가치가 낮 다고 말할 수는 없다. 어휘 가치가 높다는 것은 기능적인 어휘, 즉 가치 획득에 필요한 효과적인 어휘를 뜻한다.

「어제내훈」에 등장하는 어휘 가운데 사용률이 높은 고빈도 50위 이상의 어 휘들을 품사별로 정리해 보면 <표 4>와 같다

6)

.

6) 여기에서 괄호 안의 숫자는 빈도수이다.

1회 2,076( 57.5%) 2,076( 57.5%) 2,076( 13.3%) 2,076( 13.0%) 2~5회 1,022( 28.3%) 3,098( 85.8%) 2,916( 18.8%) 4,992( 32.1%) 6~10회 244( 6.8%) 3,342( 92.6%) 1,824( 11.8%) 6,816( 43.9%) 11~50회 232( 6.4%) 3,574( 99.0%) 4,893( 31.6%) 11,709( 75.5%) 51~99회 27( 0.7%) 3,601( 99.7%) 1,930( 12.4%) 13,639( 87.9%) 100회 이상 11( 0.3%) 3,612( 100%) 1,866( 12.1%) 15,505(100%)

합 계 3,612( 100%) 3,612( 100%) 15,505( 100%) 15,505( 100%)

순위 순위 순위

순위 동 동 동 동 사사사사 형 형 형 형 용 용 용 용 사사사사 명 명 사명 명 사사사 부 부 사부 부 사사사 기 기 기 기 타타타타 1 다(355)

2 아니다(248)보동

3 사(191)

4 그(174)관

(21)

5 다曰(159)

6 (155)

7 잇다有(146)

8 다(124)보동

9 내(111)대

10 일事(103)

11 니다曰(101)7)

12 이(98)의존

13 후后(94)

14 (93)

15 말다(93)보동

16 엇디(92)

17 것(89)의존

18 못다(86)보동

19 아(83)

20 뎨帝(78)

21 없다(75)

22 이(73)대

23 반시(71)

24 녀기다(70)

25 집(69)

26 가히(68)

27 되다(65)

28 다(65)

29 비록(64)

30 보다(63)

31 몸(59)

32 죽다(57) 33 알다(56)

34 이시다(56)

35 어딜다(55)

36 (53)

37 능히(51)

38 이(50)관

39 후後(48)

40 아니다(48)

41 치다(48)

(22)

< <

< <표 표 표 표 4> 4> 4> 4> 「 「 「 「어제내훈 어제내훈 어제내훈 어제내훈」 」 」의 」 의 의 50 의 50 50 50위 위 위 위 이상 이상 이상 이상 고빈도어 고빈도어 고빈도어 품사별 고빈도어 품사별 품사별 품사별 분포 분포 분포 분포

<표 4>의 빈도 순위 50위까지의 어휘를 품사별로 분류하면 동사 14개, 형용 사 6개, 명사 13개, 부사 9개, 기타(관형사, 대명사, 의존명사) 8개이다. 여기에 나타나는 특징 두 가지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빈도어 1위 ‘다’, 8위 보조동사 ‘다’, 15위 보조동사 ‘말다’ 등은 명 령형 활용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아니다, 말다, 몯다, 아니(부사)’ 등 부정이 나 금지를 뜻하는 단어가 고빈도어에 많이 포함되었다. 그 이유는 「어제내훈」의 편찬 목적이 교육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명령이나 훈계’를 위해 자주 사용된 것 이다.

둘째, ‘가히, 능히, ‘’

8)

, ‘반시, 엇디’ 등 부사가 고빈도어로 나타났다. ‘가 히, 능히, ‘’ 등은 서술어와 호응하여 강조나 당부의 뜻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반시’는 청자에게 의무를 요구할 때, ‘엇디’는 서술어가 부정의 뜻을 지닐 때 주로 사용되었다. 「어제내훈」의 편찬 목적이 교육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7) ‘니다/동(101), ‘닐다/동(52)’와 ‘닐다/동(48)’는 다 ‘이르다(曰)’의 뜻인데 서로 다른 표제어이기 때 문에 고빈도어에 다 등장하게 되어 50위 이상의 고빈도어에서 한 단어로 보았다.

8) ‘’에 대한 논의는 사전마다 다르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부사)’의 품사분류를 <홍윤표, 송기중 정광 송철의(1995), 「17세기 국어사전」한국정신문화연구원>을 따랐다. ‘’는 한자 ‘以’를 언해한 것 인데「17세기 국어사전」에서는 조사같이 쓰인 ‘’도 모두 부사로 처리했다. 예를 들면 ‘음식으로, 일로 ……’

42 아니(47)

43 듣다(47)

44 한(47)관

45 겨집(46)

46 왕(44)

47 아니다(44)보형

48 말(44)

49 바(43)의존

50 (43)

(23)

2.2.

2.2. 2.2.

2.2. 어휘의 어휘의 어휘의 어휘의 체계적 체계적 체계적 특징 체계적 특징 특징 특징

어휘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개방 집합이며, 한 언어의 어휘를 구성하는 어휘소 의 수는 대단히 방대하다. 그러나 어휘의 집합이 아무리 방대하다고 하더라도 그 것이 단지 산만하고 무질서하기만 한 집합이 아니라 적절한 기준을 가지고 처리 하면 그것의 면모가 질서 있는 모습으로 파악될 수 있기 때문에 어휘의 체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것이다. 어휘의 체계는 국어 어휘 전체적인 분포 양상을 조사 하여 그 체계를 파악하고 기술하기 위한 연구이다. 결국 이 연구는 어휘소들의 분 류에 관한 연구가 된다(김광해 1993).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어제내훈」에 등장하는 전체 어휘의 체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어종별, 품사별, 의미영역별로 분류하였다.

2.2.1.

2.2.1.

2.2.1.

2.2.1. 어종별 어종별 어종별 어종별 분류 분류 분류 분류

한 언어의 어휘 체계의 전모를 파악하기 위한 분류 작업의 수행은 수많은 개 별 어휘소들을 그것의 기원, 즉 그 출신 성분 같은 것에 근거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를 어종에 의한 분류라고 한다.(김광해 1993).

일반적으로 국어의 어종은 크게 네 가지 즉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혼종어

9)

’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어제내훈」어휘의 어종별 구성 분포를 표로 나타내면 <표 5>와 같다.

9) 일반적으로 혼종어는 ‘한자어+고유어, 고유어+한자어, 한자어+외래어, 외래어+한자어, 고유어+외래 어, 외래어+고유어’로 나누는데 「어제내훈」에는 ‘한자어+고유어, 고유어+한자어’만 혼종어로 등장한 다.

어 종 어 휘 개 별 어 휘 연 어 휘 평균빈도 고 유 어 1,635 ( 45.3%) 10,577 ( 68.2%) 6.47

(24)

<

<

< <표 표 표 표 5> 5> 5> 5> 「 「 「 「어제내훈 어제내훈 어제내훈」 어제내훈 」 」어휘의 」 어휘의 어휘의 어휘의 어종별 어종별 어종별 어종별 구성 구성 구성 구성 분포 분포 분포 분포

<표 5>에서 보듯 「어제내훈」의 고유어는 개별어휘 1,635(45.3%)개, 연어휘 10,577(68.2%)개로 가장 많고, 한자어는 개별어휘 1,312(36.3%)개, 연어휘 3,140(20.3%)개로 다음으로 많으며, 혼종어는 개별어휘 665(18.4%)개, 연어휘 1,788(11.5%)개로 어종에서 가장 낮은 비율로 나타난다.

「어제내훈」에 등장하는 한자어 1,312개 중 고유명사 343개를 제외한 의미를 갖는 한자어는 968개뿐이다. 고유명사에는 주로 인명, 지명, 서명, 관명 등으로 이루어졌 다. 이것을 통하여 「어제내훈」의 시기는 고유어가 주된 어종으로서 국어의 한자어 침 투가 심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어제내훈」에서 혼종어는 ‘한자어+고유어’, ‘고유어+한자어’의 결합 형태로 나타난다. 혼종어의 품사를 살펴보면 동사, 형용사, 부사, 명사이다. 동사나 형용 사인 경우 ‘한자 +-다’형, ‘한자 +-롭’형, ‘한자 +-답’형으로 등장한다. 부사의 경우 ‘한자 +-히/이’형, ‘한자 +-로’형, ‘한자+-혀’형, ‘한자+-야/여’형으로 등장 한다

10)

. 명사의 경우 ‘한자어 접두사 +고유어 어기’형, ‘한자어 어기 +고유어’형,

‘고유어 접두사 +한자어 어기’형 등으로 이루어졌다.

2.2.2.

2.2.2.

2.2.2.

2.2.2. 품사별 품사별 품사별 품사별 분류 분류 분류 분류

단어의 품사별 분류는 학교문법의 9품사 체계를 따르되 조사(助詞)는 제외했 다. 품사별 구성 분포를 표로 나타내면 아래 <표 6>과 같다.

10) 혼종어로서의 부사 구성 형식은 제3장의 부사 파생법에서 구체적으로 다루기로 한다.

한 자 어 1,312 ( 36.3%) 3,140 ( 20.3%) 2.40 혼 종 어 665 ( 18.4%) 1,788 ( 11.5%) 2.69 합 계 3,612(100.0%) 15,505 (100.0%) 4.29

(25)

< <

< <표 표 표 표 6> 6> 6> 6> 연어휘와 연어휘와 연어휘와 연어휘와 개별 개별 개별 어휘의 개별 어휘의 어휘의 어휘의 품사별 품사별 품사별 품사별 분포 분포 분포 분포

위의 <표 6>을 보면 연어휘 중 명사가 가장 많고, 동사, 부사, 형용사, 관형사, 대명사, 감탄사의 순위로 나타난다. 개별 어휘는 연어휘와 품사별 분포 순위가 그 대로 나타나는데, 다만 형용사와 부사의 순위가 바뀌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부사의 종류는 많지 않지만 반복적으로 쓰여 고빈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어제 내훈」에 명사와 용언이 많이 쓰인 것은 국어의 주술 구조를 만족시키기 위한 것 으로 보인다. 국어의 주어, 서술어, 목적어는 문장에서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성분 이다. 명사가 대부분 주어, 목적어로 쓰였고 서술격 조사 ‘-이다’와 결합하여 서술 어로도 쓰였다.

그런데 감탄사는 한자어인 ‘오호(嗚呼), 유(兪), 유(唯)’ 3개만 등장한다. ‘오호’

는 문장 주어의 감정이나 의지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서문과 발문에서 작자의 느낌을 표현하는 데 쓰였다. 교화적 성격을 띤 문헌이기 때문에 편찬자의 유교적 윤리 규범이 지켜지지 못한(혹은 윤리적 규범의 준수를 강하게 원함) 현실에 대한 편찬자의 감정의 반영으로 생각된다.

‘유(兪́)’와 ‘유(唯)’는 윗사람의 부름에 대답하거나 묻는 말에 긍정하여 대답할 때 쓰인 말이다. 현대국어의 ‘네/예’에 해당한다. 남자는 ‘유(唯)’라고 빨리 대답하 고 여자는 ‘유(兪́)’라고 공손히 대답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11)

. 어머니로서 자

문 장

성 분 체 언 수 식 언 용 언 독립언 합 계

품 사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동사 형용사 감탄사 합 계

연어휘

5,680 348 42 465 2,163 5,196 1,608 3 15,505 36.6% 2.2% 0.3% 3.0% 14.0% 33.5% 10.4% 0.0% 100%

개별 어휘

1,776 27 20 65 326 1,044 351 3 3,612

49.2% 0.8% 0.6% 1.8% 9.0% 28.9% 9.7% 0.0% 100%

평균빈도 3.2 13 2.1 7.2 6.6 5.0 4.6 1 4.3

(26)

식을 교육시키기 위해 씌어진 단어이다. 이것을 통하여 행실뿐만 아니라 언어 사 용에서도 남녀의 구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2.3.

2.2.3.

2.2.3.

2.2.3. 의미 의미 의미 의미 영역별 영역별 영역별 영역별 분류 분류 분류 분류

어휘들은 개방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무질서하게 보이는 어휘들을 의미 영역 별 기준

12)

을 세워 분류하면 어휘 체계를 밝히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어제내훈」에 등장하는 어휘의 의미 영역을 임지룡(1991)

13)

의 분류 방법을 바탕으로 하여 아래와 같이 8개 소항목으로 분류하였다.

1. 사람에 관한 어휘: 신체, 정신, 친족어, 사람 일반 등 4개 항목.

2. 의식주에 관한 어휘: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생활필수품 등 4개 항목.

3. 자연에 관한 어휘: 자연현상, 동물, 식물 등 3개 항목.

4. 교육에 관한 어휘: 충, 효, 인, 의, 예, 훈, 도, 덕, 기타 등 9개 항목.

5. 음악에 관한 어휘: 악기, 음악 일반 2개 항목.

6. 동작에 관한 어휘: 지각·심리, 생활, 이동, 의례·예절, 교육, 병 등 6개 항목.

7. 상태에 관한 어휘: 길이·두께, 수량·무게, 감각, 정서, 비교, 성품·인상 등 6개

11) 「어제내훈」에 등장한 예를 보이면 '나히 유(唯) 고 겨집은 유(兪) 며(3:1b)' 이다. 그런데 협 주에 ‘유(唯) 람이라, 유(兪) 느즉홈이라’는 설명이 덧붙여 있다. 이때 ‘람’과 ‘느즉홈’은 대답 하는 말의 장단을 의미할 것이다. 중국의 ‘「現代漢語辭典」(2005)은 ‘유(唯)’와 ‘유(兪)’는 문어체에서 다 른 사람의 부름에 긍정적으로 대답할 때 쓰이는 감탄사다. 그렇다면 「어제내훈」에서는 중국어를 번역 하면서 운소적 설명을 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한자어 감탄사로 처리했다. 물론 더 깊은 연구를 필요로 함을 전제로 한다.

12) 의미별 분류의 선행 연구로는 「한국방언사전」(김형규 1974 / 27부문 1,485항목), 「우리말 분류사 전」(남영신 1987 / 대분류 18, 소분류 163, 총21,272항목), 「우리말 갈래 사전」(박용수 1989 / 33부문 33,721항목),「국어의 기초어휘에 대한 연구」(임지룡 1991 / 대분류 9, 소분류 35, 총 1,500 항목) 등이 있다.

13) 임지룡(1991)은 9개의 대항목을 다시 35개의 소항목으로 하위 분류하면서 1,500개의 표제어를 설정 하고 있다. 그 분류 항목은 사람, 의식주, 사회 생활, 교육 및 예체능, 자연계, 감각 및 인식, 동작, 상 태, 기타 등이다.

(27)

항목 8. 색채에 관한 어휘: 1항목

2.2.3.1.

2.2.3.1. 2.2.3.1.

2.2.3.1. 사람에 사람에 사람에 사람에 관한 관한 관한 관한 어휘 어휘 어휘 어휘

본 논문에서는 사람에 관한 어휘를 ‘신체에 관한 어휘, 정신에 관한 어휘, 친족 에 관한 어휘, 사람 일반

14)

’ 등 네 가지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2.2.3.1.1.

2.2.3.1.1. 2.2.3.1.1.

2.2.3.1.1. 신 신 신 신 체 체 체 체

신체에 관한 어휘는 신체어와 준신체어로 분류할 수 있다. 준신체어란 직접적 으로 신체 기관을 지칭하지는 않더라도 신체와 관련된 일련의 행위 내지는 그 결 과물 등을 지칭하는 개념이다(손평호 1994:30). 본 논문의 신체어는 머리, 구강, 경부, 상체, 하체, 겸용 등 여섯 가지로 분류하고, 준신체어는 위의 정의에 따라 가나다순으로 분류했는데 용례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2) (2)(2)

(2) ㄱㄱ. ㄱㄱ. . . 신체어신체어신체어신체어

a. 머리15): 머리, 귀, 코(鼻), 입(口), 눈(眼), 니마, 이(頤), , 나롯 (鬚), /, 면(面), 머리털, 얼굴/얼굴(容)

b. 구강: 닛믜옴, 니/이(齒) c. 경부(頸部): 목(頸)

d. 상체: 가, (腹), (臂), 손(手), 졋(乳), 등(背), 손당(掌) e. 하체: 발(片足), 다리(腿), 발(足), 죡(足)

f. 겸용: (肌), 몸(身), (骨), 골육, 톄(體), 터럭

14) ‘사람 일반’은 손평호(1994)의 명칭을 따랐음을 밝힌다.

15) 여기에서는 사람의 목 위 부분 가운데서 얼굴을 포함한 뇌·눈·입·코·귀가 있는 부분을 통틀어 머리로 한정한다.

(28)

ㄴ ㄴ ㄴ

ㄴ. . . . 준신체어 준신체어 준신체어 준신체어

a. 긔운 b. 눈물, 빗

c. /마, 목숨, 몸소, 몸가짐, 뫼왈(響) d. 발/발치(足), 병(病)

e. 소(聲), 신(神色)

f. 안(顔色), 용모(容貌), 우움(笑) g. (睡), 자최(跡), 잠(寢), 질병 h. 춤(唾)

i. 킈(키)

j. 한숨, 혈긔(血氣), 힘

위에서 보듯 신체에 관련된 어휘들은 거의 고유어인 동시에 신체의 기관 (器官)이라는 것을 볼 수 있다. 신체에 관한 어휘들을 보면 「어제내훈」에 쓰 이던 어휘들이 현대에도 거의 변함없이 쓰이고 있는데 다만 음운 표기가 다를 뿐임을 알 수 있다.

2.2.3.1.2.

2.2.3.1.2. 2.2.3.1.2.

2.2.3.1.2. 정 정 정 정 신 신 신 신

「표준국어대사전」의 정신의 뜻풀이를 보면 ‘① 생각이나 감정 등을 지배하는 능력, ② 마음을 쓰는 방향, ③ 물질적인 것을 초월하는 실재, ④ 사물의 근본적 의의나 목적’ 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정의를 바탕으로 「어제내훈」에 등장하는 정신 관련 어휘를 ‘마음·생각, 성품, 상태·상황, 기타’ 등으로 분류하였다.

(3) ㄱㄱㄱ. ㄱ. . . 마음마음····생각마음마음생각생각: 생각: : : 졍(情), 랑(愛), 심상(心喪), 원망(怨望), , 디혜(智 慧), 분노(忿怒), 생각, 의심, 짐쟉, 시름, 욕심, (謀), , 알픔(痛), 쟝락(長樂)

ㄴㄴㄴ

ㄴ. . . . 성품성품:::: 딕(直), 거즛(僞), 거즛말, (慈), 악(惡), 본(本), 션(善), 셩경성품성품

(29)

(誠敬), 신(信), 셩(性)품, 강(剛), 셩(性), 셩(性)식, 셜(媟), 션악(善惡), 질, 실

ㄷ ㄷㄷ

ㄷ. . . . 상태상태····상황상태상태상황상황:::: 상(喪), 상(喪事), 죄(罪), 병셰(病勢), 형용(形容), 형상황 상, 딋글(티끌), 허믈, 흠(欠), 닐/일(事), 읏듬(冠), (生),

, 셰(勢), 영화(榮華)

ㄹ ㄹㄹ

ㄹ. . . . 기타기타:::: 욕(辱), 지람, 싸홈기타기타

「어제내훈」에 나타나는 정신 관련 기본 어휘

16)

들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한자 어이고 부정적인 의미를 지니는 어휘가 많이 등장한다. 한자어가 많이 등장한 것은 당시의 한자어 사용의 확대를 반영하고

17)

성품, 상태·상황 관련 어휘 중 긍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어휘와 부정적 의미를 나타내는 어휘들이 동시에 등장 한다. 긍정적 의미를 뜻하는 어휘들은 정면적인 교육을 뒷받침하고 부정적 의미 를 뜻하는 어휘들은 「어제내훈」에서 대부분 비유, 부정적인 사례를 통하여 정면 적인 교화를 하는 데 목적을 둔 것이다.

2.2.3.1.3.

2.2.3.1.3. 2.2.3.1.3.

2.2.3.1.3. 친족어 친족어 친족어 친족어

친족어는 혈연이나 혼인으로 이루어지는 인간관계를 나타내는 어휘 배우자·

혈족·인척 등을 통틀어 이르는 말을 가리킨다. 본 논문에서 친족의 범위를 ‘배우 자, 8촌 이내의 부계혈족, 4촌 이내의 모계혈족, 남편의 8촌 이내의 부계혈족, 남

16) 김광해(1993)는 기본 어휘의 개념을 두 가지로 정의한다. 첫째는 좀더 포괄적이 개념으로서 작품이 나 또는 한정된 언어 사용 국면에서 몇 개인가의 층을 형성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경우, 여러 층에 걸쳐서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어휘소의 집합을 가리킬 수 있다. 둘째, 좀 범위가 좁혀진 개념으로서 언 어 사용의 국면이 다양한 여러 영역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그 영역의 전개를 위하 여 가장 기본이 되는 어휘의 집합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본 논문의 기본 어휘는 범위가 좁혀진 개념을 가리킨다.

17) 이성연(2000)은 「내훈」이 「어제내훈」으로 오면서 고유어가 한자어로 바뀐 어휘가 28개로서 한자어가 고유어로 바뀐 7개 어휘보다 훨씬 많은 것을 통하여 근대국어 시기의 한자어 사용의 확대를 반영한다 고 했다.

(30)

편의 4촌 이내의 모계혈족, 처의 부모’ 등으로 한정하고, 「어제내훈」에 나타나는 친족어 관련 어휘들을 성을 중심으로 ‘여성을 지칭하는 친족어, 남성을 지칭하는 친족어와 겸용’으로 분류하고 여성과 남성을 다시 지칭과 지칭·호칭으로 재분류하 였다.

(4) (4) (4)

(4) ㄱㄱ. ㄱㄱ. . . 여성여성여성여성

a. 지칭: 싀어마님, 누의/누의, 며느리/며느리, 며리, 싀어 미, 겨집(妻)18), 친어미, , 아비쳡, 식, 고(姑姊), 안해(妻), 셔모(庶母), 빈(嬪), 수(嫂), (姒), 뎨(娣), 아

누의

b. 지칭·호칭: 어마님/어머님, 누의님/누의님, 누의, 아믜/아

미, 어믜/어미/엄의, 가(家)19), 쳐(妻), 부인(婦人), 집사

ㄴ ㄴㄴ ㄴ. . . . 남성남성남성남성

a. 지칭: 오라비/오라비, 아/아으/아이(弟), 남진, 남편, 슉 (叔), 아아들, 싀아비, 부(父), 이(二子), 이(姨)형, 댱

(長子), 뎨(子弟), 뎨(弟), 댱손(長孫), 손(孫子), 남 진20), (子)

b. 지칭·호칭: 아바님, 부마(駙馬), 지아비/지아븨, 사회(壻), 형님, 아븨/아비, 아자비/아자, 오라비, 형, 대인(大人)

ㄷㄷㄷ ㄷ. . . . 겸용 겸용 겸용 겸용

어버의/어버이, 식, 구고(舅姑), 싀부모, 부모, 쳐(妻子), 형뎨

친족어에 나타난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제내훈」의 친족어에 지칭어만 등장하고 호칭어가 등장하지 않는다.

18) 「어제내훈」에서 ‘겨집’은 ‘안해’를 가리킨다.

19) ‘가(家)’는 「어제내훈」에서 황후를 부르는 지칭어로 쓰였다.

20) 본 논문에서 ‘남진’은 남편을 일컫는다. 용례를 보이면 ‘남진(夫)은 가마와 실 지고 겨집(妻)은 질삼 그르슬 이고(3:57b)’ 이다.

(31)

이것은 「어제내훈」이 교화서이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말을 인용함에 있어서 간접 적인 인용이 대부분인 것과도 관련된다. 「어제내훈」에서 지칭으로만 쓰였지만 현 대국어에 쓰임을 봐서는 근대국어에서도 (4ㄱb)나 (4ㄴb)와 같은 어휘들은 지칭뿐 만 아니라 호칭으로도 쓰였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21)

.

둘째, 그리고 지칭어도 대체로 여자를 기준으로 이루어졌다. 구고(舅姑), 오라 비, 싀부모, 싀아비,

싀어마님,

싀어미, 지아븨/지아비, 남편, 남진

22)

등은 여자를 기준으로 하여 불린 대표적인 지칭이라 할 수 있다. 반대로 여성을 지칭하는 지칭 어가 적다는 것도 반영하는데 이것은 편찬 목적이 여성을 교육하는 데 두었기 때 문이라고 생각된다.

셋째, 근대국어의 친족어의 지칭어가 사라진 흔적을 볼 수 있다. ‘남진, 오라 비, 아아들, 아누의’ 등은 현대국어에 쓰이지 않는 사라진 단어들이다.

넷째, 한자를 그대로 음역하여 씌어진 지칭어도 현대국어와의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다. 구고(舅姑),

부마(駙馬),

이(二子),

부(父), 뎨(子弟),

뎨(弟), 이(姨), 숙 (叔), 수(嫂), 고

(姑姊)

, (姒),

(子),

빈(嬪) 등이 그러하다. 그리고 같은 의미 로 쓰인 한자어 ‘싀부모(媤父母), 구고(舅姑)’가 동시에 등장하는 것이 주목될 만 하다.

2.2.3.1.4.

2.2.3.1.4. 2.2.3.1.4.

2.2.3.1.4. 사람 사람 사람 사람 일반 일반 일반 일반

본 논문에서는 친족어 이외에 사람을 지칭하는 어휘들을 ‘사람 일반’으로 칭하 기로 하고 친족어와 마찬가지로 성(性)을 기준으로 ‘남성

23)

, 여성, 겸용’으로 분류

21) (4ㄱb)나 (4ㄴb)의 어휘들의 <지칭·호칭>은 「어제내훈」에서는 모두 지칭으로만 쓰였다. 그러나 호칭 으로도 쓰일 수 있으므로 따로 분류하였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중세나 근대국어의 문학작품 또는 문 헌자료들을 통한 좀더 깊은 연구를 필요로 한다.

22) 「어제내훈」에서 ‘남진’은 ‘남편’으로만 쓰였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여자를 기준으로 불린 지칭어로 보 았다.

23) 우리의 언어 습관상 남성을 지칭할 때에는 남성이라는 수식어를 붙이지 않는 반면, 여성에게는 여성 임을 나타내는 수식어가 붙거나 의미상 여성임이 드러난다. 예를 들면 여왕, 여종, 비(婢子), 시녀, 시비(侍婢)가 그러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님금, 어쟈, 쟈’ 등을 남성을 지칭하는 사람 일반에 넣었다.

(32)

하였다.

(5) (5) (5)

(5) ㄱㄱ. ㄱㄱ. . . 남성남성남성남성

부로(父老), (士), 나, 남(男子), 댱사숙(張思叔), 뎨(帝), 뎨 왕(帝王), 왕(王), 원(임금), 님금, 어쟈(御者), 쟈(使者), 쟝(將 士), 쟤샹(宰相), 졍승(宰相), 태(太子), 셔인(庶人), 션븨, 션인(先 人), 알쟈(謁者), 쟝사(將士), 죵놈

ㄴ ㄴ ㄴ ㄴ. . . . 여성 여성 여성 여성

겨집, 겨집죵(婢), 비(婢子), 시녀, 시비(侍婢), 쳡잉(妾媵), 여

(女史), 부인(夫人), 젼쳐(前妻), 쳔쳡(賤妾), 첩(妾), 젼모(前母), 우 부(愚婦), 비쳡(婢妾), 뎡녀(貞女), 렬녀(烈女), 쳐쳡(妻妾), 모(慈 母), 닌부인(藺夫人), 홀어미, 문모(文母)24), 마귀인, 인(才)25), 의 고(義姑姊)

ㄷ ㄷㄷ ㄷ. . . . 겸용겸용겸용겸용

람, 인(人), 쇼경, 남녀(男女), 아랫사, 밋사(뭍사람), 박(博 士), 벋(벗), 부로(父老), 손(客), 죄인(罪人), 죵/쭁(僕), 쥬인(主人), 현쟈(賢者), 아, 스승, 얼운(長者), 댱쟈(長者), 모(母子), 졈은이, 신(臣), 신하(臣), 모(母子)

사람 일반의 어휘들을 살펴보면, 당대의 사회 현실을 반영하는 유교적 성격을 띤 어휘, 궁중용어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어휘들을 보면 「어제내훈」에서 모두 지칭어로만 쓰였다. 이러한 어휘들을 통하여 궁중에서의 사람 관련 어휘들의 쓰임을 알 수 있다.

24) 「어제내훈」에서 ‘문모’는 문왕의 부인 태사를 지칭한다. 본문의 예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태(太 姒)- 일홈야 니로 문모(文母)-시니 문왕(文王)은 밧글 다리시고 문모(文母) 안 다리시 니’(3:9b)

25) 「어제내훈」에서 ‘인’은 후궁을 지칭하므로 여성 관련 어휘에 포함시켰다.

(33)

2.2.3.2.

2.2.3.2. 2.2.3.2.

2.2.3.2. 의식주에 의식주에 의식주에 의식주에 관한 관한 관한 관한 어휘 어휘 어휘 어휘

의식주에 관한 어휘는 다시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생필품 등 네 가지로 나누 어 분류·정리하였다.

2.2.3.2.1.

2.2.3.2.1. 2.2.3.2.1.

2.2.3.2.1. 의생활 의생활 의생활 의생활

본 논문에서는 의생활 관련 어휘의 범위를 머리에 쓰는 것, 몸에 입는 것, 몸 에 매는 것, 발에 신는 것, 기타 등 다섯 가지로 재분류하였다.

(6) (6)(6)

(6) ㄱㄱ. ㄱㄱ. . . 머리에 머리에 머리에 머리에 쓰는 쓰는 쓰는 쓰는 것것것것

듀건(頭巾), 갓(冠), 관(冠)

ㄴㄴㄴ

ㄴ. 몸에 몸에 몸에 입는 몸에 입는 입는 입는 것것것것

조복(朝服), 관복(冠服), 관(冠帶), 포의(布衣), 치마, 뵈(布)치마, 아래옷, 의복(衣服), 금의(錦衣), 구(褠)

ㄷ ㄷㄷ

ㄷ. 몸에 몸에 몸에 매는 몸에 매는 매는 매는 것것것것 다회(紃), (鞶)

ㄹ ㄹㄹ

ㄹ. 발에 발에 발에 신는 발에 신는 신는 신는 것것것것 보션(襪), 신(신발)

ㅁㅁㅁ ㅁ. 기타기타기타기타

뵈(布), 복식(服飾), 의식(衣食), 삼(麻), 매(소매), 옷깃(襟), 깃 (領), 폐(幣), 깁(帛), 잡(雜帛), 션(緣), 목깁(幣帛)

의생활 관련 어휘에서 선비나 관리 관련 어휘, 즉 ‘(冠), 관(冠), 관(冠帶),

됴복(朝服), 관복(冠服), 포의’ 등이 등장하는 동시에 비단 관련 어휘 ‘폐(幣), 깁

(34)

(帛), 잡(雜帛), 목깁(幣帛)’ 등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문헌의 특징상 궁중의 생 활이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2.2.3.2.2.

2.2.3.2.2. 2.2.3.2.2.

2.2.3.2.2. 식생활 식생활 식생활 식생활

식생활 관련 어휘는 말 그대로 사람이 먹고 마시는 것 또는 사람이 먹을 수 있도록 만든 밥이나 국 따위의 어휘를 중심으로 분류하였다. 먹는 것을 다시 육 류, 탕, 과일, 죽, 밥, 반찬, 기타로 재분류하였다.

(7) (7) (7)

(7) ㄱㄱ. ㄱㄱ. . . 먹는 먹는 먹는 먹는 것것것것

a. 육류: 고기(肉), 고기즙(肉汁), 돝고기(豬肉), 묻고기(肉), 포육(脯 肉), 고기

b. 탕: 고기(羹), 국(羹), 탕(湯), 탕(鷄臛), (羹) c. 과일: 과실(果實), 실과(實果), 감(柿), (梨), 대쵸(棗) d. 죽: 곳쥭(콩죽), 쥭(粥), 쥭(粥)

e. 밥: 기장밥, 밥, 밥, 뫼(飯), 밥, 슈라(水刺), 보리밥 f. 반찬: 젓국, 쟝(醬), 안쥬, 젓(醢), 팀, 소음식(素飮食)

g. 기타: 음식, 차반, 졋(乳), 초(醋), 냥식(粮食), 어션(御膳), 어챤 (御饌), (羹)리, (菜), (米), 미(滋味), 반찬 (饌), 엿(飴), 소곰(鹽)

ㄴ ㄴㄴ

ㄴ. . . . 마시는 마시는 것마시는 마시는 것것것

a. 술: 술(酒), 술(醴)

b. 음료: 식혀(식혜), 차(茶), 즙(汁)

식생활 관련 어휘를 보면, 먹는 것과 마시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뫼, 팀

, , 고기’은 현대에 쓰이지 않는 사어(死語)이고, ‘슈라(水刺), 어션, 어찬’ 등

은 궁중어이다. 특히 ‘젓(醢), 젓국, 엿, 식혀, 보리밥’이 현대에도 이어지는데, 우

리 민족의 식생활을 잘 보여주는 단어라고 할 수 있겠다.

(35)

2.2.3.2.3.

2.2.3.2.3. 2.2.3.2.3.

2.2.3.2.3. 주생활 주생활 주생활 주생활

주(住) 관련 어휘의 대상 범위를 집부터 뜰 안까지로 한정하고 ‘방, 문, 마당, 기타’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8) (8) (8)

(8) ㄱㄱ. ㄱㄱ. . . 방방방방26)26)26)26)

침실(寢), 별실(別室), 텽(廳), 당(堂), 부고(府庫)

ㄴ ㄴㄴ ㄴ. . . . 문 문 문 문

규문(閨門), 지게(房門), 문(門), 문호(門戶)

ㄷ ㄷㄷ ㄷ. . . . 마당 마당 마당 마당

문밧ㄱ(門外), 방소(方所), ㅎ(庭), 문(門)안ㅎ27), 섬(階)

ㄹ ㄹㄹ

ㄹ. . . . 기타기타 기타기타

지도리(樞), 문쎄(문빗장), 집

주생활의 어휘를 보면 ‘문쎄, 지게’를 제외하고는 현대국어에 쓰이는 단어들이 다. ‘문쎄’는 현대의 ‘문빗장’을, ‘지게’는 ‘방문’을 일컫는다.

2.2.3.2.4.

2.2.3.2.4. 2.2.3.2.4.

2.2.3.2.4. 생필품 생필품 생필품 생필품

(9) (9)(9)

(9) ㄱㄱ. ㄱㄱ. . . 주방 주방 주방 주방

그릇(器), 나모그릇, 사긔(瓷), 듀댱(廚帳), 상(皿), 대그릇(竹器), 대 통(竹), 독(甕), 가마(釜), 박(瓢), 바고니(簞), 긔명(器皿)

26) 여기에서 말하는 ‘방’은 사람이 살거나 일을 하기 위하여 벽 등으로 만든 칸을 말한다.

27) 「어제내훈」에서 ‘문안ㅎ’은 대문 안을 가리키는데 그 용례를 보이면 다음과 같다. ‘셔모(庶母)ㅣ 문 (門)안해 미처  이고(1:68a)’

(36)

ㄴ ㄴㄴ ㄴ. . . . 침구침구 침구침구

돗ㄱ(席), 니블(이불), 바(箴), 보ㅎ(褓), 요(褥),

ㄷ ㄷㄷ ㄷ. . . . 기타기타 기타기타

실(絲), 도츼(斧), 빈혀(笄), 댱(帳), 옷걸이, 소옴(絮), 빗(梳), 슈건(手 巾), 믈, 사리(살림살이)

생활필수품 관련 어휘는 주방, 침구, 기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는데 현대국어 에 쓰이지 않는 ‘

듀댱(廚帳)’과 ‘도츼’가 등장하는 이외에 기타 어휘들은 지금까지 이 어지고 있다. ‘도츼’는 ‘도끼’를 의미하는데 현재 방언에만 남아있고,

듀댱(廚帳)’은

‘식기장’이라는 뜻인데 사전에서 찾아 볼 수 없는 것으로 보아 중국어를 그대로 차용 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위의 의·식·주에 관한 어휘들은 어종별로는 고유어가 대부분인데 이것은 근대 국어 시기에도 필수적인 생활 용어로는 고유어가 위주였음을 알 수 있다.

2.2.3.3.

2.2.3.3. 2.2.3.3.

2.2.3.3. 자연에 자연에 자연에 자연에 관한 관한 관한 관한 어휘 어휘 어휘 어휘

자연에 관한 어휘는 자연 현상, 동물, 식물 등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2.2.3.3.1.

2.2.3.3.1.

2.2.3.3.1.

2.2.3.3.1. 자연 자연 현상 자연 자연 현상 현상 현상

자연 현상이란 인간의 의지와 관계없이 자연계에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자 연 현상에 관한 어휘는 다시 ‘계절, 일기, 시간, 천문, 지리, 방위, 재앙, 기타’로 재분류할 수 있다.

(10) (10) (10)

(10) ㄱㄱㄱㄱ. . . . 계절계절계절계절

겨을(冬), 츈(春), 츈츄(春秋), 녀름/녈음(夏)

참조

관련 문서

And in this study, I intended to examine problems concerns to financial budget that is expenses of public funds, and next management of public funds, financial law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tuation of online classe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to find out the actual situation and

Therefore this study is to examine various characteristics of Doseon, extract the truth of tale inherent in the tale and show the aspects of Doseon ta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welded sculpture in history of sculpture, which changed the concept of moder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pecific features of a poem and to enhance the prestige of history of literature through analyzing the

□ The least-upper-bound property (sometimes called completeness or supremum property) is a fundamental property of the real number system. The least-upper-bound

□ The least-upper-bound property (sometimes called completeness or supremum property) is a fundamental property of the real number system. The least-upper-bound

이것은 가 위로 유계가 아니라는 문제의 가정에 모순이다... 유리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