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구절구조규칙은 문장과 관련된 인간의 언어능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구절구조규칙은 문장과 관련된 인간의 언어능력"

Copied!
3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0주차. 통사론 2: 변형생성문법

(2)

구절구조규칙은 문장과 관련된 인간의 언어능력 을 잘 반영하고 있을까?

① ‘호랑이가 토끼를 잡았다.’와 ‘토끼가 호랑이에게 잡혔다.’

는 구절구조가 다르다. 그렇다면 이 두 문장은 서로 관련 이 없는 것일까?

② “There was a man on the roof.”와 “A man

was on the roof.”는 구절구조가 다르다. 그렇다면 이 두 문장은 서로 관련이 없는 것일까?

(3)

③ “They are eating.”과 “Are they eating?”의 구조 가 달라 의미가 달라진다(묘사 vs. 질문).

➡ 문법은 구조와 의미의 상관관계에 대한 설명을 요구한다.

➡ 위의 세 경우 모두 구조는 다르지만 서로 관련이 깊은 문장들이다. 이러한 사실이 우리의 머릿속(정신문법, 언어능력) 안에 어떤 모습으로 자리하고 있을까?

(4)

다음 두 문장은 중의적이다. 직접성분분석으로는 어떻게 그 의미의 차이를 구별할 수 있을까?

① The woman hit the man with an umbrella.

② Flying planes can be dangerous.

통사론(syntax)

 이번 주 주제

문장 만들기(2): 문장을 만드는 규칙에 대한 연구

(5)

1. 구절구조규칙의 한계와 변형생성문법의 필요성을 안다.

2. 심층구조와 표층구조의 개념을 안다.

3. 언어능력의 개념을 재확인한다.

4. 보편문법과 그 속에 담긴 원리와 매개변이의 개념을 안다.

학습목표

(6)

10주차. 통사론 2: 변형생성문법

(7)

① The child is sleeping. Is the child sleeping?

② The child has slept. Has the child slept?

③ The child can sleep. Can the child sleep?

④ The child will sleep. Will the child sleep?

다음의 문장들은 문장구조에서 차이를 보인다. 즉, 어순에서 {주어-조동사} vs. {조동사-주어}의 차이를 보인다. 이들은 서 로 관계가 없는 문장일까?

구절구조규칙의 문제점

1

(8)

우리가 추구하는 통사규칙(즉, 문법)은 그 관계를 보여 주는 것이어야 한다. 그 관계는 어떤 것일까?

구절구조규칙의 문제점

1

⇒ 우리의 직관(또는 언어능력)은 이들이 문장구조에 있어 서로 관련을 갖는다고 말한다.

⇒ PS rule(구절구조규칙)은 그러한 관계를 보여주지 못한다.

다음의 문장들은 문장구조에서 차이를 보인다.

즉, 어순에서 {주어-조동사} vs. {조동사-주어}의 차이를 보인다. 이들은 서로 관계가 없는 문장일 까?

(9)

① 능동문과 피동문(수동문)

예: '호랑이가 토끼를 잡았다.’ ↔ ‘토끼가 호랑이에게 잡혔다.’

The tiger caught the rabbit. ↔ The rabbit was caught by the tiger.

위의 경우는 평서문과 의문문의 경우이다. 이와 같이 문장구조는 다르지만 서로 관계가 있는 다른 경우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구절구조규칙의 문제점

1

(10)

② 전치사구(부사구) 이동

예: ‘나는 친구를 도서관에서 만났다.’ ↔ ‘나는 도서관에서 친구 를 만났다.’

I met my friend at the library. ↔ At the library, I met my friend.

③ there 문장

예: There is a pen on the table. ↔ A pen is on the table.

구절구조규칙의 문제점

1

위의 경우는 평서문과 의문문의 경우이다. 이와 같이 문장구조는 다르지만 서로 관계가 있는 다른 경우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11)

1 구절구조규칙의 문제점

1

1) “The woman hit the man with an umbrella.”

[hit [the man with an umbrella]]

① ‘그 여자는 우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때렸다.’는 의미의 구조

(12)

1 구절구조규칙의 문제점

1

②‘그 여자는 우산으로 그 사람을 때렸다.’는 의미의 구조

[hit the man] [with an umbrella]]

(13)

1 구절구조규칙의 문제점

1

2) Flying planes can be dangerous.

<해석>

① To fly planes can be dangerous.

(비행기를 날리는 일은 위험하다.)

② Planes that are flying can be dangerous.

(날아가는 비행기는 위험하다.)

(14)

이 두 해석에 대한 문장구조를 구절구조규칙으로 다르게 나타낼 수 있을까?

구절구조규칙의 문제점

1

우리가 추구하는 통사규칙(즉, 문법)은 해석에 따른 문장구조의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어야 한다.

 의미의 차이를 보이는 문장은 의미 습득 과정이 다르 고 그것은 기본적으로 문장구조의 차이에 있다.

[[flying] [planes]] || [[can be] [dangerous]].

어떤 의미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분석된다.

(15)

구조적 중의성을 가진 한국어 문장을 3개 정도 찾아보자.

생각해 봅시다 1

(16)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변형문법)

2

① Bloomfield의 구조주의에 반대:

20세기는 구조주의(構造主義, structuralism) 언어학의 시대라 할 수 있다.

구조주의 언어학은 ‘언어 체계’에 관심을 가진다. 구체적인 언어 사실 속에서 구조적인 질서를 찾아내는 것이다. 언어학에서 구조주의를 처음으로 제시한 학자는 스위스의 언어학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이다. (중략) 미국의 구조주의 언어학은 언어 구조의 유형을 탐구한 에드워드 사피어(Edward Sapir, 1884~1939)에 의해 시작되어, 언어 단위의 분포에 관심을 기울인 레너드 블룸필드(Leonard Bloomfield, 1989~1947)에 의해 확립되었다.

특히 미국의 구조주의 언어학은 기술언어학(記術言語學, descriptive linguistics)이라고도 한다. 기술언어학은 원래 아메리카 토착인들의 문화를 연구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그래서 언어 자료를 정확하게 관찰하고 이를 분석하여 기술하는, 철저히 귀납적이고 객관적인 방법론을 성립하였다.

그러나 언어의 본질을 밝히는 데에는 여러 문제점을 드러냈다.

(17)

② 변형생성문법 수립:

변형생성문법 이론은 기술언어학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1957년 에이브럼 놈 촘 스 키 (Avram Noam Chomsky) 가 『 통 사 구 조 (Syntactic Structures)』라는 책을 출판함으로써 제안된 언어 이론이다. 이 이론은 인간의 언어능력을 설명하기 위하여 문장구조의 적격성을 설명하고, 정확한 문장 의미를 해석하려 한다. 그래서 가설-검증적이고 수리-논리적인 방 법 을 도 입 하 였 다 . 변형 생 성 문 법 이 론 은 언 어 학 에 일 대 혁 신 을 불러일으켰으며, 물론 60년 가까이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이 이론은 비판을 받기도 하였지만, 다른 어떤 언어 이론들보다 설득력 있고 강한 영향력을 가진 이론으로 발전하였다. 그래서 변형생성문법 이론은 언어과학의 여러 분야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학문 분야에까지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인간의 마음을 해명하려는 인지과학(認知科學, cognitive science)의 형성과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언어학 [Linguistics] (학문명백과 : 인문학, 형설출판사)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변형문법)

2

(18)

The basis to Chomsky's linguistic theory is that the principles underlying the structure of language are biologically determined in the human mind and hence genetically transmitted. He therefore argues that all humans share the same underlying linguistic structure, irrespective of socio- cultural difference. (중략)

Chomskyan linguistics, beginning with his Syntactic Structures, a distillation of his Logical Structure of Linguistic Theory (1955, 75), challenges structural linguistics and introduces transformational grammar.

This approach takes utterances (sequences of words) to have a syntax characterized by a formal grammar[≒ generative grammar/YH]; in particular, a context-free grammar[=PS grammar/YH] extended with transformational rules.

Perhaps his most influential and time-tested contribution to the field is the claim that modeling knowledge of language using a formal grammar accounts for the "productivity" or "creativity" of language.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변형문법)

2

Noam Chomsky <Linguistic theory>

(19)

In other words, a formal grammar of a language can explain the ability of a hearer-speaker to produce and interpret an infinite number of utterances, including novel ones, with a limited set of grammatical rules and a finite set of terms. (중략)

Chomsky has argued that linguistic structures are at least partly innate, and that they reflect a "universal grammar" (UG) that underlies and can account for all human grammatical systems (in general known as mentalism). Chomsky based his argument on observations about human language acquisition. For example, while a human baby and a kitten are both capable of inductive reasoning, if they are exposed to exactly the same linguistic data, the human will always acquir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produce language, while the kitten will never acquire either ability. Chomsky labeled whatever the relevant capacity the human has that the cat lacks as the language acquisition device (LAD), and he suggested that one of the tasks for linguistics should be to determine what the LAD is and what constraints it imposes on the range of possible human languages. The universal features that would result from these constraints are often termed "universal grammar" or UG.(Wikipedia)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변형문법)

2

(20)

2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변형문법)

1) 심층구조

① 어떤 한 문장의 생성을 밑받침하고 있는 내부적인 특성을 총칭 한 문법이론. 이것은 한 문장의 의미론적인 해석과 밀접한 관련 을 맺는 것으로 인식적이며 논리적인 것이 특징이다. 흔히 #S#

로부터 한 문장을 유도해 내는 경우, 통사부의 최종 생성체에 대한 유도과정에 대하여 심층구조라는 말을 적용한다.[국어국 문학자료사전]

② the abstract syntactic representation of a sentence – an underlying level of structural organization which

specifies all the factors governing the way the sentence

should be interpreted.[Crystal, 2008]

(21)

2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변형문법)

③ 표층구조는 같지만 의미가 다른 경우(구조적 중의성)의 다양한 해석에 대한 정보 제공

예: “Flying planes can be dangerous.”

④ 표층구조는 다르지만 의미가 같거나 매우 유사한 경우의 문장 구조의 상관관계 제시

예: 호랑이가 토끼를 잡았다. ~ 토끼가 호랑이에게 잡혔다.

(22)

2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변형문법)

⑤ Transformational grammars would derive one of these alternatives from the other, or perhaps both from an even more abstract (‘deeper’) underlying structure.

⑥ D-structure, underlying structure(기저구조), base

structure(기본구조), remote structure, initial structure 등

으로도 불린다.

(23)

2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변형문법)

2) 표층/표면구조(surface structure)

① 실제의 구체적인 언어활동에 쓰이는 문장의 구조[국어국문학자 료사전]

② 통사구조에 있어 최종 단계의 문장구조(the final stage in the syntactic representation of a sentence)

③ 음운 규칙이 적용되는 단계로, 발화되고 청취되는 문장

④ 구조적 중의성을 가진 문장을 어떻게 구별하고, 능동문과 피동문 의 상관관계를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못한다.

- ‘심층구조’의 개념의 필요성 대두

(24)

2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변형문법)

3) 심층구조 → 표층구조

① “Will you help Cathy?”의 수형도(Yule 2006)

S

Aux NP

Will you

VP

help

Cathy

Det N

a. S

NP Aux

you will

VP

help

Cathy

V NP b.

⇒ (a)가 독자적인 문장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b)로부터

변형된 것으로, 두 문장의 심층구조는 같다.

(25)

2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변형문법)

② What will Max chase?

a. 심층구조(❶)

CP

S

NP VP

Max Aux VP

V NP

will

chase what

C

(참고: CP:

Complementizer Phrase, 보문소구)

❷ (a&b)

(26)

2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변형문법)

b. 표층구조(❸)

CP

S

Aux S

Max VP

chase what

C

NP VP

will

(27)

2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변형문법)

D-구조 ➜➜➜➜➜➜➜➜➜➜ S-구조 ❶ ❷ ↑ ↑ ↑

구조구절규칙 변형규칙 음운규칙 (추상적) (X1 + V + X2 → X2 + X11 + V)

a. 조동사 이동규칙(Move Aux) 적용: 조동사를 S로 이동 b. 의문사 이동규칙(Move wh) 적용: wh-구를 C로 이동

(28)

2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변형문법)

③ Did the blind dog chase the cat?

(Rowe & Levine 2009: 144)

문장①: Did the dog chase the cat?

+

문장②: The dog was blind.

⇒ Did the blind dog chase the cat?

(29)

2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변형문법)

심층구조

(Deep Structure) 1. [Q the dog [the dog was blind] chased the cat]

대치변형

(Substitution T)

관계절 변형(Relative transformation) 2. [Q the dog [which was blind] chased the cat]

삭제변형 (Deletion T)

be-삭제변형(be-Deletion transformation) 3. [Q the dog [blind] chased the cat]

이동변형 (Movement T)

형용사 이동변형(Adjective Movement transformation) 4. [Q the blind dog chased the cat]

이동변형

(Movement T) 의문문 형성 변형(Question Formation transformation)

표층구조

(Surface Structure) 5. Did the blind the dog chase the cat?

(30)

다음은 호문쿨루스(homunculus)로, 뇌 속에 있는 우리 의 모습이다. 우리의 실제 모습과 호문쿨루스 중 어떤 것 이 진짜 우리의 모습일까?

호문쿨루스와 관련된 자료(예: 아래)들을 바탕으로 ‘본질 과 현상’ 등에 대해 생각해 보자.

생각해 봅시다 2

(31)

생각해 봅시다 2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6/10/2013061003166.

html

(우리의 뇌는 어떻게 나와 세상이 다르다는 것을 아나?)

http://nstckorea.tistory.com/407

(뇌를 통해 또 다른 인간을 보다, 호문쿨루스)

(32)

2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변형문법)

▶ 언어수행(linguistic performance): 실제 대화 상황에서 사용하 는 언어(the actual use of language in concrete situations)

▶ 언어능력(linguistic competence): 머릿속에 저장되어 있는 언 어지식(the mental knowledge that a speaker or listener has of language)

➜ 대화 시 잘못 말할 수도 있고 잘못 들을 수도 있다(언어수행). 그

러나 우리가 모국어를 모르는 것이 아니라 정확히 알고 있다(언

어능력).

(33)

2 변형·생성문법

(transformational-Generative grammar, 변형문법)

개념 주창자 의미

랑그(langue) vs.

파롤(parole)

Saussure (1916)

랑그: 언어라는 기호체계에 대한 정신적 지식 파롤: 랑그의 실제 사용

언어능력 vs.

언어수행

Chomsky (1965)

언어능력: 언어에 대한 무의식적이고 내재적인 지식 언어수행: 언어의 실제 사용

I-language vs.

E-language

Chomsky (1986)

I-language: internalized innate knowledge of language

E-language: externalized observable output (Wikipedia,

Linguistic performance

)

→ 언어연구는 랑그/언어능력/I-language에 대한 연구

(34)

심층구조가 갖는 본질에 대한 개념과, poverty of the stimulus의 개념을 바탕으로 모어습득의 궁극적 목표가 언어수행이 아니라 언어능력임에 대해 간단히 논증해 보자.

(즉, 어린아이는 본질을 습득하는 것일까, 아니면 현상을 습득하는 것일까?, 입력이 불충분함에도 완전한 문장을 부족함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은 현상의 습득에 의한 것일까, 본질의 습득에 의한 것일까?)

생각해 봅시다 3

(35)

생각해 봅시다 3

변형문법의 일반적 특징(이철수·김준기 2000: 186f.)

① 유한한 문법규칙으로 무한한 문장을 생성해 낼 수 있는 언어능 력의 창조성을 해명하려는 문법이다.

② 문법은 그 언어의 모든 문법적 연쇄를 생성하는 장치라는 관점 에서 유기적 규칙체계의 유한문법(finite grammar)의 성격을 띠고 있다.

③ 잠재적 언어능력은 어느 민족이건 인간이면 누구나 선천적으로 지니고 있다는 가설에 입각하고 있다.

④ (생략)

⑤ 언어분석의 목표는 문법적인 문장을 비문법적인 문장으로부터 구별하고, 문법적인 문장의 구조를 보이는 데 있다.

⑥ 반드시 기호와 규칙으로 추상화된 가설적 구조를 세워, 경험이

아닌 생성능력과 계시적 예보능력의 해명, 기저형식에서 파생된

관계 등을 일정한 공식으로 전개한다.

참조

관련 문서

1)Poverty of the stimulus: The idea that human language cannot be learned by young children with what information they are given, unless they already have an

(1.1 points) Which of the following is the best example of the great damage in (a) The damage they do is particularly great when they are relied upon as guide in the process

Illustration of the sample connections used for taking van der Pauw transport data configuration (a)-(d) are employed for collecting resistivity data while

The used output data are minimum DNBR values in a reactor core in a lot of operating conditions and the input data are reactor power, core inlet

Particles are especially dangerous because they’re not always visible to the human eye, allowing the pollution to go easily unnoticed.. Particle pollution

Two matrices A=[a jk ] and B=[b jk ] are equal, written A=B, if and only if they have the same size and the corresponding entries are equal, that is, a 11 =b 11 , a 12 =b 12 ,

The present era makes the demand for a creative human character who presents the original solutions with the original thoughts that are one’s own only. And

~ In steady flow, Lagrangian path lines are the same as the Eulerian streamlines, and both are the same as the streak lines, because the streamlines are then fixed in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