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USDA 농업전망 2030: 농작물 부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USDA 농업전망 2030: 농작물 부문"

Copied!
2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USDA 농업전망 2030: 농작물 부문

김 경 호 *

1)

1. 미국의 8 대 농작물

1)

수급전망

식습관의 다양화와 단백질에 대한 세계수요의 증가로 인해 사료 곡물 및 대두에 대한 수입수요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 한편 , 이러한 곡물들과 함께 밀 , 쌀 , 면 (cotton) 수요도 역시 증가하여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EU 와 흑해권 국가들 간의 곡물시장 경쟁 역시 심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 또한 , 미국은 주요 교역국과의 지속적인 긴장상태와 달러화의 강세라는 어려운 여건이 직면해있다 .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 미국산 농산물은 국제 농업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 할 것으로 전망되며 , 미국산 옥수수 , 대두 , 그리고 면의 수출은 2030/2031 년 최고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된다 . 그리고 , 밀 , 면 , 쌀의 명목가격은 2021/22~2030/31 년 기간 안정적 으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

수수와 귀리를 제외한 주요 8 대 곡물의 에이커당 순수익은 향후 10 년간 전반적으로 상승

할 것으로 보인다 . 한편 , 미국 8 대 곡물 재배면적은 전망기간 2 억 5,120 만 ~5,310 만 에이커

선에 머무를 것으로 보인다 . 옥수수와 대두의 재배면적은 현 수준이 유지되는 한편 , 밀

재배면적은 완만하게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 육지면의 재배면적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2)

<그림 1> 미국 8대 작물 총 재배면적

단위: 100만 에이커

자료: USDA(2021), p.18.

<표 1> 미국 8대 작물별 재배면적

단위: 100만 에이커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옥수수 89.7 91.0 90.0 90.0 90.0 90.0 90.0 89.0 89.0 89.0 89.0 89.0

수수 5.3 5.8 7.0 7.0 7.0 7.0 7.0 7.0 7.0 7.0 7.0 7.0

보리 2.8 2.6 2.6 2.6 2.6 2.6 2.6 2.6 2.6 2.6 2.6 2.6

귀리 2.8 3.0 2.9 2.8 2.8 2.8 2.8 2.8 2.8 2.8 2.7 2.7

밀 45.5 44.3 46.0 46.0 46.0 45.5 45.0 45.0 45.0 44.5 44.5 44.5

쌀 2.5 3.0 2.6 2.7 2.7 2.7 2.7 2.7 2.7 2.7 2.7 2.7

육지면 13.5 11.9 11.2 11.8 12.0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대두 76.1 83.1 89.0 90.0 90.0 90.5 90.5 90.0 90.0 90.0 90.0 90.0 합계 238.2 244.8 251.3 252.9 253.1 253.3 252.9 251.5 251.6 251.2 251.2 251.3

자료: USDA(2021), p.29에서 재인용.

미국산 옥수수의 명목가격은 3.65 달러 / 부셀 (2021/22 년 ) 에서 2024/25 년에는 3.55 달러 / 부

셀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되며 , 이 가격 수준이 2030/31 년까지 유지될 것으로 예측된다 .

육류 생산 확대에 따른 사료용 옥수수 소비증대가 미국 내 옥수수 수요증가를 견인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한편 , 에탄올 생산에 사용되는 옥수수의 수요는 비교적 저조하지만 , 안정적으로

(3)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

옥수수의 단위 면적당 순수익은 생산비용이 유지되는 가운데 수확량이 증가하여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2020 년대 초반 안정적인 수요가 옥수수의 가격과 재배면적의 유지에 기여하나 , 점차 생산량의 증가가 수요를 추월하여 이후 기간에는 옥수수의 명목가격이 유지 되는 가운데 재배면적이 천천히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

미국산 대두의 명목가격은 2021/22 년의 10 달러 / 부셀에서 2025/26 년까지 하락한 후 , 이 후 전망기간 천천히 상승할 것으로 예측된다 . 브라질산 대두가 중국발 수입수요의 상당 부분을 충당할 것으로 보이나 , 중국의 수요증가는 미국산 대두의 수출량과 수출가격 호전에 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중국만큼 빠른 수준은 아니지만 , 개발도상국들의 대두 수요 역시 육류 소비의 증가로 꾸준히 증가할 전망이다 .

비교적 높은 대두 가격은 2021/22 년 동안의 경지면적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 또한 대두박 (Soybean meal) 와 대두유 (Soybean oil) 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로 인해 향후 대두 의 경지면적은 증가할 것이다 . 단수의 증가와 안정적인 가격으로 인해 대두의 순수익은 2030/31 년까지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미국산 밀의 수요는 전망기간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 코로나 19 관련 규제

로 2020 년 미국산 밀의 국내 소비는 잠시 진작되었다 . 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1 인당 소비감

소의 영향이 인구증가의 효과보다 우세하여 소비증가 추세는 점차 둔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

또한 , 개발도상국을 중심으로 한 밀 수입수요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EU 와의 가격경쟁으로 인해 미국산 밀의 수출은 크게 증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밀 재배면적은 2020 년대 초반에 일시적인 수요 회복에 의해 증가하였다가 , 이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이러한 밀 경지면적의 감소추세는 상대적으로 저조한 수익성에 따른 것으

로 판단된다 .

(4)

<그림 2> 미국의 옥수수, 대두, 밀 농가수취가격

단위: 달러/부셀

옥수수 대두 밀 자료: USDA(2021), p.18.

본 고에서 제시되는 미국의 농작물 수급전망은 2018 년 「농업법」에 따른 농업지원프로그 램 (farm program) 이 계속 유지된다는 가정 가운데 실시되었다 . 환경보존지원프로그램 (Conservation Reserve Program, CRP) 에 등록된 농지 면적은 2018 년 「농업법」의 최대한도 인 2,700 만 에이커 (2014 년 「농업법」의 승인 최대치 2,400 만 에이커보다 약 300 만 에이커 증가 ) 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2020 년 11 월 6 일 자료를 기준으로 추정할 때 , CRP 에 등록된 총 경지면적은 2,260 만 에이커 (2021 년 ) 에서 2,690 만 에이커 (2030 년 ) 로 증가할 것으 로 전망된다 .

<그림 3> 환경보전프로그램(CRP) 등록면적

단위: 100만 에이커

자료: USDA(2021), p.20.

(5)

2. 곡물별 주요 수급전망

2.1. 옥수수

향후 10 년간 미국의 옥수수 재배면적은 다소 감소하나 , 단수가 증가하여 생산량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 특히 , 육류 소비의 증가로 인해 사료용 옥수수의 생산 확대가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 옥수수 재배면적은 2021/22~2025/26 년 기간 9,000 만 에이커 선에서 유지되 나 , 2026/27 년 기간 이후에는 8,900 만 에이커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다 . 대부분의 전망기 간 단수 증가는 총생산량 증가에 기여하며 , 이는 재고율의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다 . 이에 따라 옥수수의 가격은 부셀당 3.65 달러 (2021/22 년 ) 에서 부셀당 3.55 달러 (2024/25 년 이후 ) 로 하락할 것으로 예측된다 .

전망기간 옥수수를 원료로 하는 에탄올의 생산량은 51 억 2,500 만 부셀에서 51 억 5,000 만 부셀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연료 효율화 추세에 따라 가솔린 소비량 감소가 예측되는 가운데 , 코로나 19 의 확산으로 가솔린의 최근 소비량은 급격하게 낮아졌다 .

2020 년대 중반에 식용 , 종자용 , 공업용 ( 에탄올 생산 외 용도 ) 옥수수 소비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 주원인은 고과당 옥수수 시럽 (HFCS) 의 생산량 감소로 판단된다 . 글루코 스 , 덱스트로스 , 녹말의 생산이 정체된 가운데에도 , 식품과 음료 생산에 소비되는 옥수수 양은 인구증가로 인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21/22 년 미국의 옥수수 수출량은 5,910 만 톤 (23 억 부셀 ) 이며 , 여타 주요 옥수수 수출국

의 수출량은 다음과 같다 ; 브라질 (4,130 만 톤 ), 아르헨티나 (3,360 만 톤 ), 우크라이나 (3,290 만

톤 ). 미국산 옥수수의 수출 여건은 달러화의 약세로 개선될 전망이나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우크라이나와의 가격경쟁 및 안정적인 국내 수요처 ( 사료용 , 에탄올용 ) 의 존재로 인해 미국의

옥수수 세계시장 점유율은 31% 선에서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

(6)

<그림 4> 미국 옥수수 소비(사료 및 기타용, 에탄올용, 수출용)

단위: 10억 부셀

사료 및 기타용 에탄올용 수출용 자료: USDA(2021), p.21.

<표 2> 미국 옥수수 수급전망

구분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2025/26 2026/27 2027/28 2028/29 2029/30 2030/31 면적(100만 에이커)

재배면적 89.7 91.0 90.0 90.0 90.0 90.0 90.0 89.0 89.0 89.0 89.0 89.0 수확면적 81.3 82.5 82.5 82.5 82.5 82.5 82.5 81.5 81.5 81.5 81.5 81.5 단수(부셀/에이커) 167.5 178.4 180.5 182.5 184.5 186.5 188.5 190.5 192.5 194.5 196.5 198.5 공급량 및 사용량(100만 부셀)

공급량 15,883 16,742 17,082 17,337 17,612 17,852 18,137 18,222 18,402 18,617 18,852 19,052 기초 재고량 2,221 1,995 2,167 2,257 2,367 2,442 2,562 2,672 2,687 2,742 2,812 2,847 생산량 13,620 14,722 14,890 15,055 15,220 15,385 15,550 15,525 15,690 15,850 16,015 16,180

수입량 42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25

전체 소비량 13,887 14,575 14,825 14,970 15,170 15,290 15,465 15,535 15,660 15,805 16,005 16,175 국내 소비량 12,109 12,250 12,500 12,595 12,745 12,815 12,940 12,960 13,035 13,130 13,280 13,400 사료 및 기타 5,827 5,775 5,950 6,050 6,200 6,275 6,400 6,425 6,500 6,575 6,725 6,850 식품, 종자, 조제품 6,282 6,475 6,550 6,545 6,545 6,540 6,540 6,535 6,535 6,555 6,555 6,550 에탄올 4,852 5,050 5,125 5,125 5,125 5,125 5,125 5,125 5,125 5,150 5,150 5,150 수출량 1,778 2,325 2,325 2,375 2,425 2,475 2,525 2,575 2,625 2,675 2,725 2,775 기말 재고량 1,995 2,167 2,257 2,367 2,442 2,562 2,672 2,687 2,742 2,812 2,847 2,877 재고비율(%) 14.4 14.9 15.2 15.8 16.1 16.8 17.3 17.3 17.5 17.8 17.8 17.8 가격(달러/부셀)

농가수취가격 3.56 3.60 3.65 3.60 3.60 3.55 3.55 3.55 3.55 3.55 3.55 3.55 변동 생산비

(달러/에이커) 339 341 338 337 336 336 337 338 337 337 335 333

변동 생산비 대비 수익

(달러/에이커) 257 301 321 320 328 326 332 338 346 353 362 372

자료: USDA(2021), p.29에서 재인용.

(7)

2.2. 밀

미국의 밀 재배면적은 4,600 만 에이커 (2021/22 년 ) 에서 4,450 만 에이커 (2030/31 년 ) 로 감 소할 것으로 보이며 , 이는 최근 5 년간 평균 재배면적인 4,670 만 에이커보다 낮은 수준이다 . 이러한 재배면적의 감소는 밀의 낮은 수익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 전망기간 국내시장 과 수출시장 모두에서 밀의 수익성이나 가격조건이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측된다 . 미국 내 밀 소비량은 인구증가의 효과가 1 인당 소비량 감소 효과를 상쇄함에 따라 천천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그러나 , 국제시장에서는 미국산 밀 수출량이 일정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경쟁국들의 생산량과 수출량이 증가하여 , 미국산 밀의 시장점유율은 점차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

코로나 19 관련 규제에 따른 미국산 밀가루 , 파스타의 소비증가로 2020 년 4 월부터 식용 밀의 월간 소비량이 단기적으로 증가하였다 . 그러나 추가 수요처를 찾기 어려운 시장 여건과 1 인당 소비량 하락으로 식용 밀 소비의 성장세는 둔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밀 - 옥수수 가격 비율은 전망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으로 보이며 , 옥수수의 풍부한 공급으로 인해 밀 사료가 선호되는 상황은 조성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사료용 및 기타용 밀 소비량은 밀 사료에 대한 제한된 수요로 인해 2030/31 년까지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

미국의 밀 교역에 대한 전망은 다음과 같다 . 먼저 , 수입의 경우 , 미국의 밀 수입량은

소비 증가로 인해 다소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 캐나다산 듀럼종 밀과 봄밀을 주로 수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 수출의 경우 , 개발도상국의 국민소득 증가로 수입수요가 확대됨에도 불구

하고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EU 와의 가격경쟁으로 인해 미국의 밀 수출량은 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

(8)

<그림 5> 미국 밀의 국내 소비량 및 수출량

단위: 10억 부셀

국내 소비량 수출량 자료: USDA(2021), p.22.

<표 3> 미국 밀 수급전망

구분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2025/26 2026/27 2027/28 2028/29 2029/30 2030/31 면적(100만 에이커)

재배면적 45.5 44.3 46.0 46.0 46.0 45.5 45.0 45.0 45.0 44.5 44.5 44.5 수확면적 37.4 36.7 38.5 38.5 38.5 38.1 37.7 37.7 37.7 37.3 37.3 37.3 단수(부셀/에이커) 51.7 49.7 49.1 49.5 49.9 50.3 50.7 51.1 51.6 52.0 52.4 52.8 공급 및 사용량(100만 부셀)

공급량 3,117 2,979 2,893 2,861 2,842 2,817 2,790 2,776 2,779 2,776 2,786 2,808 기초 재고량 1,080 1,028 883 830 796 776 749 720 704 706 701 709 생산량 1.932 1.826 1.890 1.906 1.921 1.916 1.911 1,926 1,945 1,940 1,955 1,969

수입량 105 125 120 125 125 125 130 130 130 130 130 130

전체 소비량 2,089 2,096 2,063 2,065 2,066 2,068 2,070 2,072 2,073 2,075 2,077 2,088 국내 소비량 1,123 1,121 1,113 1,115 1,116 1,118 1,120 1,122 1,123 1,125 1,127 1,138

식품 962 960 961 963 965 967 969 971 973 975 977 979

종자 60 61 62 62 61 61 61 61 60 60 60 59

사료 및 기타 102 100 90 90 90 90 90 90 90 90 90 100

수출량 965 975 950 950 950 950 950 950 950 950 950 950

기말 재고량 1,028 883 830 796 776 749 720 704 706 701 709 720 재고비율(%) 49.2 42.1 40.2 38.5 37.6 36.2 34.8 34.0 34.0 33.8 34.1 34.5 가격(달러/부셀)

농가수취가격 4.58 4.70 4.90 4.95 5.00 5.10 5.10 5.10 5.10 5.10 5.10 5.10 변동 생산비

(달러/에이커) 132 132 131 131 131 132 133 134 134 135 135 134

변동 생산비 대비 수익

(달러/에이커) 105 101 109 114 118 125 126 127 129 130 133 135

자료: USDA(2021), p.32에서 재인용.

(9)

2.3. 대두

미국의 대두 재배면적은 2019/20 년 이후 반등하였으며 , 대두의 높은 가격과 수익성으로 인해 전망기간 9,000 만 에이커 수준까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 미국산 대두의 가격은 많은 생산량에도 불구하고 재고량의 감소로 인해 2019/20 년 이후 상승하고 있다 . 전망기간 대두 의 명목가격은 2020 년대 초반에는 높으나 , 이에 따른 생산량의 증가로 인해 2020 년대 중반 까지 점차 하락할 것으로 예측되며 , 이후 기간에는 다시 소폭 반등할 것으로 전망된다 . 미국 내 대두박과 대두유 시장의 성장세는 안정적일 것으로 보이며 , 이에 따라 전망기간 분쇄된 대두 생산량도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이러한 증가는 낮은 사료가격과 동물성 생산품의 생산증가 , 바이오디젤용 대두유 수요의 기록적인 증가 , 그리고 수입수요의 꾸준한 증가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

미국의 대두 수출량은 2019/20 년의 침체 이후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 중국을 중심으로 대두 소비수준이 회복됨에 따라 예상 수출량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 그러나 , 미국산 대두의 시장점유율은 34.2%(2021/22 년 ) 에서 29.5%(2030/31 년 ) 로 하락할 전망이다 . 대두박 수출량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 남미 국가들과의 시장경쟁으로 인해 미국산 대두박 의 시장점유율은 18% 에서 17% 로 근소하게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 전망기간 아르헨티나산 대두박의 시장점유율은 45%(2030/31 년 ) 까지 커질 것으로 예측되며 , 브라질산의 시장점유율 또한 25% 로 상승할 전망이다 .

바이오디젤 생산에 사용되는 대두유의 생산량은 81 억 5,000 만 파운드 (2021/22 년 ) 에서

86 억 파운드 (2030/31 년 ) 로 증가할 전망이다 . 이에 따라 , 연간 11 억 갤런의 바이오디젤을

대두유로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

(10)

구분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2025/26 2026/27 2027/28 2028/29 2029/30 2030/31 면적(100만 에이커)

재배면적 76.1 83.1 89.0 90.0 90.0 90.5 90.5 90.0 90.0 90.0 90.0 90.0 수확면적 74.9 82.3 88.2 89.2 89.2 89.7 89.7 89.2 89.2 89.2 89.2 89.2 단수(부셀/에이커) 47.4 51.9 50.6 51.2 51.7 52.3 52.8 53.4 53.9 54.5 55.0 55.6 공급 및 사용량(100만 부셀)

공급량 4,476 4,806 4,770 4,835 4,896 4,985 5,049 5,078 5,122 5,170 5,214 5,261 기초 재고량(9/1) 909 523 290 255 271 285 299 303 297 300 294 291 생산량 3,552 4,268 4,465 4,565 4,610 4,685 4,735 4,760 4,810 4,855 4,905 4,955

수입량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전체 소비량 3,953 4,516 4,515 4,565 4,611 4,686 4,746 4,781 4,822 4,877 4,922 4,978 국내 소비량 2,277 2,316 2,340 2,370 2,401 2,431 2,456 2,486 2,517 2,547 2,577 2,603 분쇄 2,165 2,180 2,200 2,230 2,260 2,290 2,315 2,345 2,375 2,405 2,435 2,460 종자 및 기타 112 136 140 140 141 141 141 141 142 142 142 143 수출량 1,676 2,200 2,175 2,195 2,210 2,255 2,290 2,295 2,305 2,330 2,345 2,375 기말 재고량(8/31) 523 290 255 271 285 299 303 297 300 294 291 284 재고비율(%) 13.2 6.4 5.7 5.9 6.2 6.4 6.4 6.2 6.2 6.0 5.9 5.7 가격(달러/부셀)

농가수취가격 8.57 9.80 10.00 9.90 9.80 9.65 9.65 9.70 9.70 9.75 9.80 9.90 변동 생산비

(달러/에이커) 162 164 161 161 161 161 162 162 162 162 162 162

변동 생산비 대비 수익

(달러/에이커) 244 345 345 345 346 343 348 356 361 369 377 388

<그림 6> 미국 대두의 국내 소비량 및 수출량

단위: 10억 부셀

국내 소비량 수출량 자료: USDA(2021), p.23.

<표 4> 미국 대두 수급전망

(11)

구분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2025/26 2026/27 2027/28 2028/29 2029/30 2030/31 대두유(100만 파운드)

공급량 26,990 27,355 27,725 28,055 28,345 28,720 29,020 29,430 29,850 30,230 30,625 30,920 기초 재고량(10/1) 1,775 1,740 1,755 1,725 1,655 1,770 1,770 1,820 1,880 1,900 1,930 1,925 생산량 24,890 25,265 25,520 25,880 26,240 26,600 26,900 27,260 27,620 27,980 28,345 28,645 수입량 325 350 450 450 450 350 350 350 350 350 350 350 전체 소비량 25,250 25,600 26,000 26,400 26,575 26,950 27,200 27,550 27,950 28,300 28,700 29,000 국내 처분량 22,450 23,000 23,500 24,000 24,275 24,550 24,800 25,050 25,300 25,550 25,800 26,050 바이오디젤 7,850 8,100 8,150 8,200 8,250 8,300 8,350 8,400 8,450 8,500 8,550 8,600 식품, 사료, 기타 조제품 14,600 14,900 15,350 15,800 16,025 16,250 16,450 16,650 16,850 17,050 17,250 17,450 수출량 2,800 2,600 2,500 2,400 2,300 2,400 2,400 2,500 2,650 2,750 2,900 2,950 기말 재고량(9/30) 1,740 1,755 1,725 1,655 1,770 1,770 1,820 1,880 1,900 1,930 1,925 1,920 대두유 가격

(달러/파운드) 0.297 0.325 0.340 0.345 0.350 0.350 0.353 0.355 0.355 0.358 0.360 0.363 대두박(1,000 톤)

공급량 52,050 52,200 52,775 53,425 54,100 54,775 55,450 56,125 56,800 57,475 58,150 58,825 기초 재고량(10/1) 402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생산량 51,028 51,400 51,975 52,625 53,300 53,975 54,650 55,325 56,000 56,675 57,350 58,025 수입량 62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전체 소비량 51,650 51,800 52,375 53,025 53,700 54,375 55,050 55,725 56,400 57,075 57,750 58,425 국내 처분량 37,750 38,300 38,725 39,225 39,750 40,275 40,800 41,325 41,850 42,375 42,900 43,425 수출량 13,900 13,500 13,650 13,800 13,950 14,100 14,250 14,400 14,550 14,700 14,850 15,000 기말 재고량(9/3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대두박 가격(달러/톤) 300 335 350 347 345 341 341 344 345 348 350 355 분쇄대두 단수(파운드/부셀)

대두유 11.47 11.59 11.6 11.361 11.61 11.62 11.62 11.63 11.63 11.64 11.64 11.65 대두박 47.02 47.15 47.20 47.19 47.19 47.18 47.18 47.17 47.16 47.16 47.15 47.15 분쇄 이윤(달러/부셀) 1.87 1.86 2.20 2.29 2.40 2.46 2.49 2.54 2.56 2.62 2.64 2.69

자료: USDA(2021), p.33에서 재인용.

(계속)

(12)

2.4. 쌀

미국 내 쌀 생산은 2020/21 년 약 20% 증가한 이후 2021/22 년 14% 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며 , 2022/23 년 다시 약 4% 가 증가한 후 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미국에서 주로 생산되고 있는 장립종 (long grain) 은 2022/23 년 재배면적이 약 5% 증가한 이후 해당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 중립종 (midium grain) 및 단립종 (short grain) 의 재배면적은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며 , 해당 품종은 주로 캘리포니아에서 생산될 것이다 . 매년 단수 가 조금씩 개선될 것으로 보이며 , 이에 따라 생산량이 증가할 전망이다 .

미국 내수 및 기타용 쌀 수요는 인구증가와 소비자의 수입 아시안 향미 (Asian aromatic varieties) 선호 증가에 따라 매년 0.7% 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수입 수요는 매년 2% 씩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 주로 태국 , 인도 , 파키스탄 , 베트남 등 아시아의 장립종 쌀이 수입될 전망이다 .

미국산 쌀의 수출은 매년 조금씩 증가하여 향후 10 년간 4.1% 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장립종 수출은 4% 이상 증가하며 , 주로 라틴아메리카의 수요증가에 기인할 것으로 전망된 다 . 라틴아메리카 지역으로의 미국산 쌀 수출은 남미 지역의 공급자들과 경쟁하며 , 이로 인해 판매 증가가 일부 제한될 것으로 예상된다 . 중립종 및 단립종 수출은 2030/31 년까지 약 3%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 동아시아로의 수출은 변화가 없으나 북아프리카 및 중동으로 의 수출이 개선될 전망이다 .

미국 쌀 수출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 글로벌 시장에서 미국산 쌀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1/22 년 6.8% 에서 2030/31 년 6.1% 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이는 미국산 쌀이 아시아 국가 대비 가격 경쟁력이 낮아 가장 크고 빠르게 증가하는 시장인 사하라 이남 시장으로의 수출량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

미국산 쌀의 명목가격은 2030/31 년까지 약 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 특히 캘리포니아

산 중립종 및 단립종의 가격은 5% 이상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13)

<그림 7> 미국 쌀 내수, 기타용 수요 및 수출 전망(2020~30)

단위: 100만 cwt

내수, 기타용 수요 수출량 주: cwt는 백중(hundredweight)으로 미국 기준 100파운드(약 45.4kg)임.

자료: USDA(2021), p.24.

구분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2025/26 2026/27 2027/28 2028/29 2029/30 2030/31 면적(1,000 에이커)

재배면적 2,540 3,037 2,600 2,700 2,700 2,700 2,700 2,700 2,700 2,700 2,700 2,700 수확면적 2,472 2,991 2,552 2,650 2,650 2,650 2,650 2,650 2,650 2,650 2,650 2,650 단수(파운드/에이커) 7,471 7,567 7,645 7,668 7,702 7,732 7,762 7,796 7,823 7,853 7,887 7,917 공급량 및 사용량(100만 백중)

공급량 266.8 292.2 282.3 283.0 284.1 285.6 287.7 290.1 292.4 294.2 296.6 298.5 기초 재고량 44.9 28.7 47.7 39.3 38.5 38.2 38.5 39.2 40.1 40.3 41.1 41.4 생산량 184.7 226.3 195.1 203.2 204.1 204.9 205.7 206.6 207.3 208.1 209.0 209.8 수입량 37.3 37.3 39.5 40.5 41.5 42.5 43.5 44.3 45.0 45.8 46.5 47.3 전체 소비량 238.2 244.5 243.0 244.6 245.9 247.2 248.5 250.0 252.1 253.1 255.2 256.7 국내 소비량 144.0 145.5 145.0 145.6 146.9 148.2 149.5 150.5 151.6 152.6 153.7 154.7 수출량 94.2 99.0 98.0 99.0 99.0 99.0 99.0 99.5 100.5 100.5 101.5 102.0 가격

농가수취가격

<표 5> 미국 쌀 수급전망

(14)

2.5. 육지면화

육지면화의 연평균 명목가격은 2021 년 파운드당 63.0 센트에서 2030 년 파운드당 69.5 센 트로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 베이스라인 전망에 따르면 , 2021/22 년 재배면적은 1,120 만 에이커가 될 것으로 예상되며 , 2030 년 1,280 만 에이커로 재배면적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 다 . 미국 내 방직용 육지면화 수요는 2019/2020 년 214 만 포 (bale)

2)

를 기록하였으나 , 2026/27 년 300 만 포로 점차 증가한 후 2030/31 년까지 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육지면화 수출의 경우 , 1,485 만 포에서 2030/31 년 1,735 만 포를 기록하여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

미국 내 방직용 육지면화 수요는 1960 년 이후 가장 낮은 수요를 기록한 2019/20 년에서 회복할 것으로 예상되며 , 미국 육지면화 소비량 (disappearance) 의 약 15% 를 차지할 것으로 보인다 . 1990 년대 후반에는 방직용 소비가 전체 육지면화 소비의 약 60% 를 차지하였으나 , 육지면화 , 합성섬유 등을 생산하는 해외 제조업체와의 경쟁 심화로 최근에는 방직용 수요가 감소하였다 . 육지면화 수요는 소득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 최근 코로나 19 로 인한 글로벌 경기 둔화에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 .

미국 육지면화 수출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미국은 세계 최대 육지면화 수출국 지위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 연간 약 1,485 만 포에서 1,735 만 포를 수출할 전망이다 . 세계 면화 ( 육지면화 및 ELS 면화 ) 교역량 중 미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브라질 , 호주 , 인도 , 서아프리카 등의 수출 증가로 인해 2021/22 년 36% 에서 2030/31 년 33% 로 일부 감소할 전망이다 . 구체적으로 브라질 , 인도 , 서아프리카경제공동체 (Economic Community of West African States) 의 수출량은 2019/20 년 1,610 만 포에서 2030/31 년 2,490 만 포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2) 1포(bale)는 약 226.8kg임(National Cotton Council of America, https://www.cotton.org/tech/bale/bale- description.cfm)(검색일: 2021. 05. 20.).

(15)

<그림 8> 미국 육지면화 방직용 수요 및 수출 전망(2020~30)

단위: 100만 포

국내 방직용 수요 수출량 자료: USDA(2021), p.25.

<표 6> 미국 육지면화 수급전망

구분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2025/26 2026/27 2027/28 2028/29 2029/30 2030/31 면적(100만 에이커)

재배면적 13.5 11.9 11.2 11.8 12.0 12.2 12.3 12.4 12.5 12.6 12.7 12.8 수확면적 11.4 8.8 9.5 10.0 10.2 10.4 10.5 10.5 10.6 10.7 10.8 10.9 단수(파운드/에이커) 810 899 850 855 860 865 870 875 880 885 890 895 공급량 및 사용량(1,000 포)

공급량 23,863 23,368 23,845 24,265 24,435 24,630 24,980 25,280 25,580 25,830 26,080 26,305 기초 재고량 4,636 6,868 6,940 6,360 6,130 5,925 5,975 6,075 6,075 6,125 6,075 6,000 생산량 19,227 16,500 16,900 17,900 18,300 18,700 19,000 19,200 19,500 19,700 20,000 20,300

수입량 0 0 5 5 5 5 5 5 5 5 5 5

전체 소비량 17,156 16,430 17,430 18,080 18,455 18,600 18,850 19,150 19,400 19,700 20,025 20,350 국내 소비량 2,135 2,480 2,580 2,630 2,655 2,800 2,900 3,000 3,000 3,000 3,000 3,000 수출량 15,021 13,950 14,850 15,450 15,800 15,800 15,950 16,150 16,400 16,700 17,025 17,350 가격

농가수취가격

(달러/파운드) 0.596 0.610 0.630 0.655 0.660 0.665 0.670 0.675 0.680 0.685 0.690 0.695

(16)

2.6. 설탕

미국 내 설탕 수요는 인구증가와 함께 향후 10 년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 2021/22 년 1,250 만 STRV(short ton,

3)

raw value) 에서 2030/31 년 1,330 만 STRV 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된다 . 또한 이처럼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미국 내 설탕 생산량 및 수입량 ( 주로 멕시코산 ) 또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미국 내 설탕 생산량은 2021/22 년 940 만 STRV 에서 2030/31 년 970 만 STRV 로 증가할 전망이다 . 무설탕 (beet sugar) 생산량은 520 만 STRV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사탕무 (sugar beet) 재배면적은 높은 투입재 가격으로 인해 2021/22 년 이후 점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 단수 증가와 제조 자당 (factory sucrose) 의 회복세가 재배면적 감소의 효과를 상쇄할 것으로 보인다 . 사탕수수 (sugar cane) 생산은 투입재 가격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 2021/22 년 420 만 STRV 에서 2030/31 년 450 만 STRV 로 생산량이 증가할 전망이다 .

설탕 수입량은 매년 1.6% 씩 증가할 전망이며 , 주로 양자 간 또는 다자간 자유무역협정을 통해 수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 미국과 멕시코 간 무역은 2014 년 미국 상무부 , 멕시코 정부 , 멕시코 산업 간 체결된 합의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 멕시코산 설탕 수입량은 전망기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미국 사탕수수 및 사탕무 생산자 수취 가격은 명목 기준 2030/31 년까지 점점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3) 1미톤(short ton)은 2,000파운드, 907.18474kg임(김민주 2016).

(17)

<그림 9> 미국 설탕 유통, 생산, 수입 전망

단위: 100만 미톤

국내 유통 생산 수입 자료: USDA(2021), p.26.

<표 7> 미국 설탕 수급전망

구분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2025/26 2026/27 2027/28 2028/29 2029/30 2030/31 사탕무

재배면적(1,000 에이커) 1,132 1,165 1,188 1,172 1,171 1,160 1,153 1,144 1,135 1,126 1,117 1,108 수확면적(1,000 에이커) 979 1,149 1,167 1,151 1,150 1,139 1,132 1,123 1,115 1,106 1,097 1,088 단수(톤/에이커) 29.2 31.2 31.7 32.1 32.4 32.7 33.0 33.3 33.6 33.9 34.1 34.4 생산량(100만 미톤) 28.6 35.8 37.0 36.9 37.2 37.3 37.4 37.4 37.4 37.4 37.4 37.4 사탕수수

수확면적(1,000 에이커) 869 887 884 884 885 885 886 887 888 889 889 890 단수(톤/에이커) 34.9 36.6 36.6 36.8 37.0 37.2 37.4 37.6 37.8 38.0 38.2 38.4 생산량(100만 미톤) 30.3 32.5 32.3 32.5 32.7 32.9 33.1 33.3 33.5 33.8 34.0 34.2 공급량 및 소비량(1,000 미톤)

공급량 14,047 14,089 14,243 14,356 14,465 14,571 14,673 14,770 14,864 14,954 15,039 15,119 기초 재고량 1,783 1,702 1,749 1,694 1,708 1,721 1,733 1,745 1,757 1,768 1,779 1,789 무설탕 생산량 4,293 5,206 5,215 5,189 5,223 5,216 5,226 5,224 5,225 5,219 5,218 5,211 감자당 생산량 3,835 4,062 4,152 4,189 4,226 4,265 4,305 4,345 4,386 4,427 4,468 4,509 수입량 4,136 3,120 3,127 3,284 3,308 3,369 3,409 3,456 3,497 3,539 3,574 3,610

(18)

2.7. 과일 , 견과류 , 채소

과일류 , 나무 견과류 (tree nuts), 채소류 , 두류 (pulse crop) 를 합한 총생산액은 2020 년 514 억 달러에서 2030 년 651 억 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2030 년 과일류가 총생산액 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38%, 나무 견과류가 약 21%, 채소류 및 두류가 약 41% 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 총생산량의 경우 2020 년 1,860 억 파운드에서 2030 년 1,890 억 파운드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채소류와 두류 생산액은 2030 년까지 상대적으로 더딘 속도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 이는 기술적 측정 문제와 수입 농산물과의 경쟁 심화에 기이한다 . 기술적 측정 문제는 크게 시설채소 , 도심 내 수직농장 등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주요 노지 채소 생산을 대체하는 것과 관련 있다 . 그러나 시설채소와 수직농장의 성장은 일부를 제외하면 미국 농무부 자료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고 있으며 , 이는 채소류 및 두류 생산액의 증가 속도를 낮추게 된다 . 채소류는 크게 다섯 가지 주요 분류 ( 신선 , 가공 , 감자 , 두류 , 기타 ) 로 구분된다 . 신선채소류 시장의 생산량은 전체 채소류 생산의 약 31% 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 가공채소류 생산 비중은 26% 에서 2030 년 27% 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감자의 경우 , 수출 둔화와 미국 내 수요 감소로 인해 시장점유율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두류는 2030 년 채소류 생산의 약 5% 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한편 , 가격이 높은 유기농 채소 생산증가에 따라 , 2028~2030 년 신선 채소류 생산액은 2018~2020 년 대비 약 1/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또한 이에 따라 신선채소류 생산액이 채소류 및 두류 생산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0 년 57% 에서 2030 년 약 60% 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신선채소류의 주요 품목은 상추 , 토마토 , 양파 , 고구마 등이다 .

가공채소류는 채소류 및 두류 생산액의 약 25% 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 가공토마토가 2020 년 가공채소류의 약 72% 를 차지하였으며 , 2030 년에는 약 80% 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된다 . 가공토마토의 생산량은 큰 변화가 없으나 , 생산액의 경우 2010 년대에 비해 약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한편 , 가공토마토 외 기타 가공채소류의 경우 소비자들이 신선채소

류와 수입 제품을 더 선호하여 미국 내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감자 생산은 미국 내 및 해외 수요 감소에 따라 향후 10 년간 소폭 상승하는 데 그칠 것으로

보인다 . 미국의 감자 산업은 특히 냉동감자 등을 포함한 해외 수입 감자와의 경쟁이 더

(19)

심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2028~2030 년 두류 생산은 2018~2020 년 대비 약 1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특히 건조콩 (dry bean) 생산이 2020 년 최고점을 기록하였음에도 향후 두류 생산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미국의 과일 및 나무 견과류 생산량은 전망기간 연간 0.35% 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 2030 년에는 총 590 억 파운드가 생산될 전망이다 . 감귤류 (Citrus) 생산량은 연간 0.65% 씩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 감귤류를 제외한 과일류는 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감귤류 생산액은 생산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 가격 상승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 과일류 및 나무 견과 류의 생산액은 연간 2.7% 씩 증가하며 , 나무 견과류가 3.0%, 감귤류 2.9%, 기타 과일류가 2.5% 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림 10> 미국 과일류, 견과류 및 채소류 생산액

단위: 10억 달러

채소류 과일류 및 견과류 자료: USDA(2021), p.27.

(20)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생산량(100만 파운드)

과일류 및 견과류 56,772 57,484 55,635 56,201 56,458 56,919 57,332 57,763 58,191 58,623 59,057 59,493 감귤류 16,280 15,560 14,184 14,602 14,475 14,514 14,502 14,505 14,504 14,505 14,505 14,505 감귤류 외 과일류 33,861 34,600 34,220 34,220 34,457 34,733 35,011 35,291 35,573 35,858 36,145 36,434 나무 견과류 6,631 7,324 7,231 7,378 7,525 7,672 7,819 7,966 8,113 8,260 8,407 8,554 채소류 123,552 128,213 130,687 128,234 129,026 128,735 129,032 128,943 129,323 129,348 129,704 129,447 신선시장 37,974 40,476 39,639 39,595 39,115 39,339 39,278 39,322 39,411 39,566 39,648 39,586 가공 31,615 33,214 34,050 33,223 33,399 33,562 33,740 33,887 34,025 34,155 34,277 34,390 감자 42,442 41,548 45,393 43,637 44,189 43,407 43,573 43,121 43,124 42,792 42,789 42,398 두류 5,478 6,391 5,385 5,601 6,095 6,160 6,193 6,291 6,447 6,526 6,652 6,738 기타 6,042 6,584 6,219 6,179 6,229 6,267 6,248 6,322 6,316 6,309 6,337 6,335 생산액(100만 달러)

과일류 및 견과류 28,770 29,453 30,247 31,071 31,919 32,790 33,685 34,604 35,549 36,519 37,517 38,542 감귤류 3,400 3,398 3,490 3,593 3,699 3,809 3,922 4,038 4,157 4,280 4,407 4,537 감귤류 외 과일류 15,446 15,833 16,228 16,634 17,050 17,476 17,913 18,361 18,820 19,291 19,773 20,267 나무 견과류 9,924 10,222 10,528 10,844 11,170 11,505 11,850 12,205 12,571 12,949 13,337 13,737 채소류 20,466 21,941 21,690 22,411 22,757 23,302 23,788 24,383 24,866 25,421 25,945 26,573 신선시장 11,716 12,532 12,609 12,921 13,296 13,606 13,973 14,350 14,709 15,083 15,471 15,886 가공 1,614 1,784 1,862 1,858 1,891 1,922 1,962 1,994 2,025 2,057 2,089 2,120 감자 4,138 4,275 3,899 4,131 4,025 4,164 4,131 4,216 4,215 4,279 4,288 4,354 두류 1,017 1,176 1,188 1,329 1,334 1,359 1,427 1,488 1,537 1,576 1,626 1,695 기타 1,981 2,174 2,131 2,173 2,212 2,252 2,295 2,335 2,380 2,425 2,470 2,518

<표 8> 미국 과일류, 견과류 및 채소류 장기 전망

자료: USDA(2021), p.38.

(21)

참고문헌

김민주. 2016. “USDA 농업전망 2016: 면화 및 설탕부문.” 「세계농업」 제 189호. 한국농촌경제연 구원.

USDA. 2021. USDA Agricultural Projections to 2030. Interagency Agricultural Projections Committee.

World Bank. 2014. The World Bank Group and The Global Food Crisis: An Evaluation of The World Bank Group Response. World Bank.

참고사이트

National Cotton Council of America(https://www.cotton.org/tech/bale/bale-description.cfm)

참조

관련 문서

아태지역 많은 농가는 혼합농경체계(농작물 경작과 가축 사육을 혼합한 체계)의 한 부분으로 가축을 사육하고 있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가계소득 증가로 촉발된 수요 증 가로

세계 1 인당 양고기 소비량은 예측기간 동안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프리카 , 북아메리카와 라틴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의 1 인당 양고기 소비량은 소폭

지속적으로 농업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는 민간 부문 특히 생산자와 공공 부문 및 민간 부문 간의 공동 협력의 결과로 자금이 지원되었다.. 그러나 이 자료에는 화학회사나

수출 증가는 주로 유기농 및 다른 차별화된 제품에 대한 관심 증대에 따른 것으로 특히 이러한 추세는 음용유와 요구르트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 가정 내

미국의 경우, 통조림에 대한 소비 지출액은 증 가하지만 전체 과일과 채소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추세는

미국에서는 대부분의 과학강좌가 정형화되어 있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그러나 재생에너지 발전비용은 지역 간 편차가 심하고 전력 믹스에서 재생에너지 증가로 인한 간헐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전력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됨...

‒ 산업부문의 전력수요 증가는 개발도상국, 특히 중국과 인도의 전력 수요 증가에 의해 주도될 전망이나, 중국의 산업구조가 점차 서비스산업 위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