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산물 도매시장가격 8 소비자물가 10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농산물 도매시장가격 8 소비자물가 10"

Copied!
2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중국농업 브리프 월간 2014 2

농정 이슈

농업부 가정농장 , ( 家庭農場 ) 발전 촉진에 관한 지도의견 발표 01 새로운 ⟪중국 식품과 영양 발전 강요(2014-2020)⟫ 발표 03 기타 주요 농정 6

가격 동향

농산물 도매시장가격 8 소비자물가 10

무역 동향

대 세계 농산물 수출입 11 대 세계 식량 수출입 13 대 한국 농산물 수출입 16

주요 단신

중국 농산물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 외 19~23

(2)

농업부 가정농장 , ( 家庭農場 ) 1) 발전 촉진에 관한 지도의견 발표

개요

¡ 농업부는 ⟪가정농장 발전 촉진에 관한 지도의견(關於促進家庭農場發展的指導意見 ⟫) 을 발표 농업의. 규모경영을 이루고 현대농업의 발전 과정에서 가정농장의 역할 확대를 위한 업무지도와 지원정책 포함

− 가정농장 발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가정농장의 기본 특징 업무지도에 관한 요구 관리서비스 , , 제도 사회화서비스 지원 인재지원정책 등 , , 10개 항목의 지도의견 을 제시

− 현행 농가토지도급경영제의 토대 위에서 규모화 경영을 실현할 수 있는 신형 농업경영의 주체로서 가정농장의 역할을 강조한 중앙 호 문건1 의 내용을 구체화

¡ 가정농장의 발전을 촉진시켜 농업경영의 새로운 중심축이 되도록 하기 위해 농업부문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2)의 해결 전통적인 소규모 농업경영방식의 혁신 선진적인 생산요소의 흡수 등을 통해 , , 농업발전을 선도하도록 유도

주요 내용 및 특징 □

¡ 신형 농업경영체계의 구축 과정에서 가정농장 발전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 정책지원과 업무지도를 강화할 것을 요구

− 농업의 겸업화 농촌 공동, (空洞) , 화 농민 노령화에 대응하고 누가 경작하고 어떻게 잘 경작하는가 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정농장 등의 신형 농업경영 주체가 중심이 된 농업경영체계의 빠른 구축 필요

1) 중국은 가정농장을 신형 농업경영주체로서 고용 노동자보다는 가족 구성원의 노동력에 의존하며 농업소득을 가정의 주요 소득원으로 하고 도급 토지 또는 유동 농지를 이용하여 규모화 집약화 상품화를 실현하는 농업경영주체라고 정의 농업부 . 조사에 따르면 2012년 말 기준 가정농장 수는 전국적으로 총 877,000여 개이며 그 경지면적은 억 , 1 7,600(

로 평균 경지면적이 1,173.3 ha) 200.2 ( 13.4ha) .

2) 공업화와 도시화가 빠르게 이뤄지면서 대량의 농촌 노동력이 도시와 공업부문으로 이전하였고 농업노동력의 노령화 문제가,

농정 이슈

(3)

− 지도의견 은 가정농장이 농가토지도급경영제에서 한 단계 발전된 형태라고 규정하고 중국의 기본 국정(國情)과 농업생산 발전단계에 부합하며 적정한 규모경영과 현대농업 발전의 유력한 동력이 라고 평가하고 가정농장의 발전을 위한 정책지원과 업무지도를 강화할 것을 강조,

¡ 가정농장의 특징에 대해 정의하고 각 지역별로 가정농장의 특징과 실제 현황 발전 단계에 근거하여, 합리적인 발전을 유도하도록 요구

− 가정농장 경영자는 농민 또는 농업생산에 장기간 종사한 인원으로 대부분 농업교육이나 기능훈련을 받았고 경영관리 수준이 비교적 높으며 선도능력이 강하고 상품농산물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음, .

− 가족 구성원의 노동생산능력과 경영관리능력에 맞게 적절한 경영규모를 갖추고 있으며 현지 , 도시주민의 소득에 상당하는 소득수준을 보이며 비교적 높은 토지생산성과 노동생산성 자원이, , 용률을 실현하고 있음.

¡ 가정농장의 발전을 통해 농업의 종합생산능력과 효율을 제고하고 가정농장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경영주체와 다양한 경영방식을 함께 발전시킬 것을 요구

− 중국은 가정농장의 발전을 통해 농업의 종합생산능력 제고 식량의 규모화 생산 농업의 효율증진, , , 농민의 소득확대를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음.

− 가정농장은 농촌의 기본경영제도를 유지하면서 신형 농업경영 주체의 배양과 농업의 적정한 규모경영 발전이 결합되고 정책지원 선도적 역할 서비스 지원 등을 통해 발전 촉진, ,

− 가정농장 외에 대규모 전업농 농민합작사 농업산업화 경영조직 농업기업 사회화서비스조직 등 , , , , 다양한 경영주체가 함께 발전할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가정경영 집체경영 합작경영 기업경영 , , , 등 다양한 경영방식의 발전을 요구

¡ 가정농장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조치로 가정농장 등록제도 건립 가정농장으로의 농지 집중 , 유도 재정보조 금융 및 보험서비스의 강화 농업에 대한 서비스업 발전 수준의 제고 인재지원 , , , , 등을 제시

− 가정농장의 등록제도를 마련하고 정책지원의 정확성을 강화하기 위해 현급 단위 이상의 농업부 서에서는 가정농장과 관련한 표준 경영자의 자격 노동력 구조 경영규모 관리수준 등 필요한 , , , , 기준을 확정하여 제시하도록 함.

− 농지거래와 관련된 제도 및 서비스를 완비함으로써 농지거래를 안정화시키고 도급토지가 거래를 통해 가정농장으로 집중됨으로써 규모경영을 이룰 수 있도록 하며 농지경영권에 대한 지분출자, 최저수익 보장 등의 이익분배방식을 유도함.

− 각급 단위의 농업부서는 가정농장을 농업지원정책의 지원범위에 포함시켜 가정농장의 안정적인 경영규모 생산조건의 개선 기술수준의 제고 경영관리 개선 등을 집중 지원할 수 있도록 함, , , .

(4)

− 각 지역별로 농업담보공사 및 리스크예방기금의 설립 대출담보 범위의 확대 등을 통해 가정농장에, 대한 금융 및 보험 서비스를 강화하도록 함.

− 농업기술보급기관을 통해 농업기술 보급 우량품종 도입 동식물 방역 품질검사 시장판매 등의 , , , ,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각종 농업 사회화서비스 조직을 통해 통일적인 병충해 예방과 관리, 집중 육묘와 육종 관개배수 신선저장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유도, ,

− 가정농장 경영자를 위한 교육을 강화하고 다양한 인재배양 프로그램을 계획하며 농업직업학교 , 졸업생 신형 농민 및 농촌 실용인재 귀향 농민공 등이 가정농장을 설립하는 것을 장려, ,

시사점 □

¡ 가정농장 발전의 촉진은 적정규모 체계적인 경영 정교한 관리 등이 유기적인 결합을 이뤄 농업의, , 효율을 증대시킴으로써 농촌지역이 당면한 농업 겸업화 농민의 고령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 위함.

− 가정농장에 대한 지원 강화는 농업의 규모화와 집약화 발전에 기여하고 적정규모의 농장경영을 통해 토지와 노동력의 생산성과 효율성 제고 농업기술의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농업현대화를 , 이룰 수 있으며 동시에 신형 도시화를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

¡ 농업분야에서의 집약화 전문화 조직화 사회화가 상호 융합된 신형 농업경영시스템이 점차 구축, , , 됨으로써 향후 가정농장의 발전 공간 역시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

¡ 가정농장에 대한 통일적인 기준과 함께 구체적인 정책이 가시화되어야 하며 가정농장 지원을 위 한 정부부문 간 유기적인 협력이 필요

− 가정농장에 대한 통일적인 기준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현재 각 지역마다 다르게 규정하고 있는 바 농지 규모 농업소득 비중 등 가정농장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음, .

− 가정농장 발전 지원을 위한 부문 간 유기적인 협력체계 구축과 함께 농업관련 투자 재정보조 및 , 세수우대 대출 지원 농업보험 등 관련 정책이 구체화됨으로써 가정농장의 발전을 촉진시킬 수 , , 있을 것임.

새로운 ⟪중국 식품과 영양 발전 강요(2014-2020)⟫ 발표 개요

¡ 국무원은 식품의 효과적인 공급 식품 품질의 보장 및 식품구조의 최적화 주민의 영양개선 강화, ,

(5)

를 주요 골자로 하는《중국 식품과 영양 발전 강요(2014-2020)(中國食物與營養發展綱要 2014-2020)》를 발표

− 본 강요 는 《90년대 중국 식품구조 개혁과 발전 강요(九十年代中國食物結構改革與發展綱要 》, )

《중국 식품과 영양 발전 강요(2001-2010)(中國食物與營養發展綱要2001-2010)》의 성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 내용을 더욱 발전시킨 것으로 소득 향상에 따른 소비구조의 변화와 , 식품소비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반영하였음.

− 식품안전이 전반적으로 호전되고 있고 주민의 영양과 건강 상태가 뚜렷하게 개선되었으나 중국의 식품 생산이 여전히 영양수요에 미치지 못하고 있고 주민의 영양 부족과 과잉이 병존하고 있으 며 영양과 건강에 대한 대중의 지식이 부족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강요 를 제정 ' '

¡ 새롭게 발표된 강요 는 전면적인 소강사회(小康社會) 달성 목표 원년인 2020년의 음식소비 영양, 개선 식단구성에서의 변화상을 담고 있으며 동시에 중국인의 음식소비 관념 영양 및 위생 지식, , , 식생활방식 등에 중대한 변화가 발생할 것임을 나타내고 있음.

− 중국에서는 2020년까지 전통적인 생산과 소비습관을 변화시키기 위해 영양이 식품소비를 유도 하고 소비가 식품생산을 지도하는 새로운 수급관계를 건립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본 강요 에서는 ' ' 식품 수량 식품 품질 영양개선의 대 보장체계를 확립하고자 함, , 3 .

¡ 본 강요 는 농업부 위생계획생육위원회 등 개 중앙부처가 참여하여 제정하였으며 지도사상, 7 , 기본 원칙 발전목표, , 3개 주요 임무, 3개 발전 중점, 6개 정책조치 등으로 구성

주요 내용 □

¡ 지도사상 및 개 기본 원칙4

− 보다 향상된 생활을 영위하고자 하는 국민적 기대에 호응하고 식품의 효과적인 공급 보장 영양, 균형 발전의 촉진 생산과 소비의 조화를 주요 임무로 삼아 , 2020년까지 식품과 영양 발전방식의 전환 전사회적인 절약풍조 조성 건강수준 향상 등에 주력, ,

− 식품의 수량과 품질을 함께 중요시하고 생산과 소비의 조화 발전을 이루며 우수한 전통음식문화, , 계승과 기술지원을 통한 식문화의 혁신을 이루며 힙리적인 식단을 유도하고 지역과 계층별 식품, 과 영양구조를 지도한다는 개 기본 원칙을 제시4

¡ 5개 분야에서 식품과 영양 발전을 위한 2020년까지의 목표치를 명확하게 제시

(6)

표 1 중국의 식품과 영양 발전을 위한 주요 목표

자료: 中國國務院 《. 中國食物與營養發展剛要(2014-2020)⟫

¡ 식품의 수량보장과 품질보장 주민의 영양개선을 위한 주요 임무와 개 발전 중점을 제시, 3

− (식품 수량보장체계 구축) 경지면적의 안정화 고표준 농지건설의 가속화 농업구조의 조정 주요 , , , 농산물에 대한 종합생산능력 제고 농산물 저장과 신선도 유지 등 산지의 초기가공 능력의 발, 전, 시장 네트워크와 배송서비스체계의 구축 강화 국제농산물시장과 농업자원의 적극적인 이용을 , 통한 국내 식품공급의 효과적인 조절과 보완 등을 추진함.

− (식품 품질보장체계 구축) 엄격한 식품 안전관리감독제도 건립 투입물 관리제도 완비 및 농산물 , 품질안전의 관리감독 강화 지방정부의 관리와 생산경영주체의 책임를 구체화 농산물 품질안전, , 감독관리 시범현 설립 식품안전 정보의 공유 및 공공관리체계 건설 강화 등을 추진 ,

− (주민 영양개선 체계 구축) 주민 식품과 영양에 대한 모니터링 및 관리제도 건립 중점지역 및 , 중점계층에 대한 영양지도 실시 다양한 형태의 영양교육 전개 과학적인 식단조성 유도 등, ,

− 3개 중점제품 우수 품질의 식용 농산물 인스턴트 가공식품 유제품 및 대두식품 에 대한 우선발전( , , ) , 대 주요 분야

5 주요 내용

식품생산량

년 전국 양식생산량 억 톤 이상 달성

2020 5.5

곡물의 기본적인 자급과 식량의 절대 안전을 확보

식품의 품질의 전면적인 향상 품종구조의 최적화 식품의 공급능력의 안정적인 증대, ,

식품공업

산업특색이 뚜렷하고 집적우위가 두드러지며 구조 및 배치가 합리적인 현대 식품가공산업

체계 구축

브랜드파워를 갖추고 제품의 품질이 우수하며 핵심경쟁력을 갖춘 대중형의 식품가공 및

배송기업 육성

년까지 식품공업 부가가치의 연평균 증가율을 이상으로 유지

2020 10%

식품소비량

다양한 건강식단을 보급 식용유와 소금의 소비량 통제,

년까지 인당 연평균 소비량 식량 식물성 식용유 콩류 육류

2020 1 : 135 , 12 , 13 ,

• ㎏ ㎏ ㎏

조란 유제품 수산물 채소 과일

29 , ㎏ 16 , ㎏ 36 , ㎏ 18 , ㎏ 140 , ㎏ 60㎏

영양소 섭취량

충분한 에너지와 단백질 섭취량의 보장 지방섭취량의 제어 적정량의 비타민과 미네랄 , ,

섭취량의 유지

•2020년 인당 일 에너지 섭취량 1 1 2,200~2,300㎉ 달성 그 중 곡물류 식품의 비중(

이상 지방의 비중 이하

50% , 30% )

•2020년 인당 일 단백질 섭취량 1 1 79g, 주민 건강수요를 만족하는 비타민과 미네랄 등의 미량 영양소(micronutrients) 섭취량 달성

영양성 질병 통제

영양결핍을 기본적으로 퇴치하고 영양성 질병의 증가를 통제

년까지 세 이하 어린이의 성장지연율을 이하에서 통제

2020 5 7%

전 계층의 빈혈율을 10% 이하에서 통제 임산부 빈혈율 ( 17% 이하 노인 빈혈율 , 15%

이하, 5세 이하 어린이의 빈혈율 12% 이하에서 통제)

주민의 과체중 비반 혈액지질 이상율, , (血脂 常率? )의 증가 속도를 뚜렷하게 저하시킴

(7)

개 중점지역 빈곤지역 농촌지역 유동인구 집중지 및 신형 도시화지역 에 대한 우선 주목 개

3 ( , , ) , 3

중점 계층 임산부와 영유아 어린이와 청소년 노인 에 대한 우선 개선 등을 추진 ( , , )

¡ 식품과 영양 발전을 위한 개 정책보장조치 제시6

− (영양식단과 건강지식의 전면 보급) 주민의 식품과 영양에 대한 지도와 영양과 건강에 대한 교육 강화 상이한 계층에 알맞은 특색있는 식단 가이드의 발표 및 배포 주요 언론매체를 통한 식품과, , 영양지식에 대해 공익광고 실시 식품과 영양 사업발전을 위한 투입 확대 식품 유통 및 서비스 , , 등 관련 인프라 건설 강화

− (식품 생산과 공급의 강화) 미대자 ' (米袋子)'의 성장책임제와 채람자' ( ? )'菜 子 의 시장책임제 전면 실시와 지방정부의 식품 안전책임 강화 식용농산물 생산에 대한 지원 강화와 농민의 생산 발전의, 적극성 유도 식품의 가공 및 유통영역에 대한 지원 확대 중대형 도시 식품가공배송센터 건설 , , 지원 주변국가와 상호 윈윈의 농업생산과 수출입 협력 전개,

− (영양에 대한 모니터링과 지도 강화) 주민 영양과 건강에 대한 모니터링 업무 전개 식품 소비와 , 건강상태에 대한 보고서의 정기적인 발표 노인과 청소년 등 취약계층의 식사환경 및 빈곤지역의 , 초중등 학교와 유치원의 식사환경을 개선을 위한 재정투입 확대

− (식품과 영양 관련 법제화) 식품 및 영양과 관련된 법률법규의 연구 식품과 영양에 대한 법 집행과 , 관리감독 혁신 행정감독의 효능 제고 근검절약의 전통미덕 발양과 전 사회적인 절약풍조 조성, ,

− (식품과 영양에 대한 기술혁신의 가속) 식품과 영양 발전을 위한 기업의 기술 투입 확대 유도와 중점 영역에 대한 연구 강화 새로운 식품 자원 개발과 식품 안전 및 리스크 분석기술에 대한 , 연구 강화 기술혁신을 통한 식품안전 수준의 제고 식품 안전 모니터링기술 연구 강화, ,

− (조직영도와 자문지도의 강화) 부처 간 협조기제를 건립 국가 식품과 영양자문위원회의 역할 강화, , 성급 정부의 책임 하에 각 지역의 실정에 맞는 구체적인 실시 계획 제정

기타 주요 농정

¡ 농업부는 자원의 비교우위를 충분히 발휘하고 지역특색의 산업을 빠르게 육성하며 농업의 효율증대 와 농민의 소득 증대를 위해 《특색농산물 지역배치 규획(2012-2020)》을 발표

− 본 규획 은 《우위농산물 지역배치 규획》의 내용을 보완하는 것으로 농업생산력 배치의 최적화, 를 위한 지도성 문건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

− 2007년에 발표된 《특색농산물 지역배치 규획(2006-2015)》을 현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새롭 게 발표하였으며 총 , 144종의 특색 농산물을 포함하고 있음.

(8)

− 본 규획 은 《전국 주체공능구(主體功能區) 규획》의 구 '7 23 (7 23 )' 대 區 帶 농업전략의 요구와 결 합되어 특색 농산물의 우위지역을 규획하고 있으며 현급 지역까지 자세하게 분석하고 있음.

− ⟪ 특색농산물 구역배치 규획‘ (2013-2020)' 하달에 관한 통지(關於印發 特色農 品區域佈局規' 產

' )

劃年 的通知 ⟫(農計發[2014]1 )호

¡ 국무원은 신형 농촌사회양로보험제도와 도시주민 사회양로보험제도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그 경 험과 성과를 종합분석한 결과 두 가지 양로보험제도를 통합하여 통일적인 도농 주민간 기본양로, 보험제도를 수립하기로 결정하고 국무원의 각 부처와 각 성 자치구 직할시 의 인민정부에 하달( , )

− 《국무원의 통일적인 도농 주민간 기본양로보험제도 건립에 관한 의견(關於 建立統一的城 居民' 鄉

' )

基本養老保險制度 的意見 》(國發[2014]8 ).호

(9)

가격 동향

농산물

3)

도매시장가격

¡ 2014년 월 농산물 도매시장가격은 지난 월 대비 2 1 1.8% 상승하였지만 지난해 같은 달보다는 1.1%

하락 상승폭은 월의 . 1 1.2%에 비해 0.1% 포인트 하락

− 채람자(菜 子篮 )농산물의 2014년 월 도매시장가격은 지난 월 대비 2 1 2.2% 상승하였지만 지난해 같은 달보다는 0.9% 하락 상승폭은 월의 . 1 1.2%에 비해 0.3% 포인트 하락

그림 1 중국의 농산물 도매시장가격지수 추이

주 농산물 도매시장가격지수는 : 2000 =100년 자료: 中國農業信息網(http://www.agri.gov.cn)

3) 식량 개 품목 중단립종쌀 장립종 쌀 옥수수 밀가루 대두 유지류 개 품목 유채씨기름 콩기름 땅콩기름 참기름5 ( , , , , ), 4 ( , , , ), 채소 26개 품목 시금치 배추 청경채 양배추 상추 가지 파프리카( , , , , , , (), 토마토 콩꼬투리, (豆角), , 무 당근 양파 감자, , , 아스파라거스 샐러리 연근 오이 동과 호박 주키니호박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부추 대파 화채, , , , , , , , , , , (花菜), 브로콜리 과일 ), 개 품목 부사사과 압리 감귤 바나나 수박 파인애플 거봉포도 축산물 개 품목 돼지고기 쇠고기 양고기

7 ( , (), , , , , ), 5 ( , , ,

닭고기 계란 수산물 개 품목 잉어 민물연어, ), 5 ( , (鲢鱼), 초어(), 붕어 갈치 등 총 , ) 52개 품목

(10)

¡ 품목별 월 도매시장가격을 보면 딸기를 제외한 모든 품목이 지난해2 같은 달보다 크게 상승하였으나 과일 과채와 버섯의 대부분 품목들은 전년 동월 대비 크게 상승,

표 2 주요 품목별 도매시장가격 추이 (2013 년 월 10 ~ 2014 년 월 2 )

단위 원: , %

주 전국 도매시장 평균가격:

자료: 中國農業信息網(http://www.agri.gov.cn) 품목

년 2013

‘14.1 ‘14.2월 증감률

10 11월 12월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식량 중단립종쌀(20kg) 16,733 16,707 16,641 16,841 19,329 14.77 15.09 콩

(1kg) 1,011 1,011 1,016 1,043 1,153 10.53 15.67

엽근 채소

배추(10kg) 2,323 1,849 1,616 1,638 2,039 24.44 -11.35 무

(18kg) 5,062 4,583 4,628 4,788 5,505 14.96 -10.44 양배추(8kg) 2,571 2,274 2,154 2,184 2,666 22.05 -14.61 당근(20kg) 7,127 7,324 7,400 8,244 10,429 26.50 37.29 감자(20kg) 8,000 8,336 8,547 9,090 10,664 17.32 26.47

양념 채소

건고추(600g) 2,331 2,524 2,650 2,480 2,784 12.28 8.13

양파(kg) 295 307 323 361 433 19.96 -33.69

마늘(kg) 763 755 726 729 833 14.24 -30.39

대파(kg) 486 490 530 558 629 12.68 -1.85

쪽파(kg) 936 919 855 861 992 15.15 -6.20

과일

사과 부사( , 15kg) 17,397 16,977 17,145 18,391 21,230 15.44 31.88 배 풍수

( , 15kg) 10,559 11,379 12,299 13,582 16,349 20.37 64.63 복숭아(kg) 1,025 1,059 1,110 2,269 2,999 32.19 46.89 포도 거봉( , 5kg) 6,559 7,542 8,746 9,865 11,625 17.84 50.11 감귤 만다린( , kg) 643 565 587 703 947 34.71 30.64 감

(10kg) 5,153 5,179 5,316 6,095 7,978 30.90 29.36

과채

딸기(2kg) 15,619 18,206 11,850 8,216 7,175 -12.68 7.52 토마토(10kg) 7,249 7,970 7,087 9,090 10,527 15.81 44.55

오이(kg) 638 633 615 740 1,051 42.01 -14.09

수박(kg) 445 586 789 1,085 1,259 15.98 43.04

축산물

쇠고기(kg) 9,226 9,361 9,405 9,648 10,817 12.11 21.08 돼지고기(kg) 3,839 3,810 3,790 3,659 3,813 4.21 -5.01 닭고기(kg) 2,508 2,487 2,453 2,475 2,768 11.83 5.64

버섯

느타리버섯(2kg) 2,079 1,873 1,841 1,892 2,207 16.67 36.53 새송이버섯(2kg) 3,354 3,143 3,221 3,414 4,411 29.19 10.07 팽이버섯(2kg) 3,224 2,986 2,950 3,347 4,297 28.38 43.90 표고버섯(2kg) 3,843 3,732 3,641 3,826 4,493 17.43 16.38

(11)

소비자물가

¡ 1월 소비자물가는 지난 12 월에 비해 1.0% 상승 전년 . 동월 대비 2.5% 상승

− 이 중 식품가격은 지난 월에

12 비해서는 2.4%

상승, 지난해 같은 달에 비 해서는 3.7% 상승

¡ 1월 식품가격 상승은 신선 과일이 주도(23.0% 상승).

수산물, 식량, 신선채소, 육류의 가격 상승률도 각각 6.3%, 3.1%, 2.1%, 로 식품가격 상승에 0.3%

기여

표 3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 (CPI) 증감률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13.10 11월 12월 14.1월 13.10월 11월 12월 14.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0.1 -0.1 0.3 1.0 3.2 3.0 2.5 2.5

식품

∘ -0.4 -0.2 0.6 2.4 6.5 5.9 4.1 3.7

식량

- 0.3 0.4 0.3 0.2 3.8 4.0 3.8 3.1

육류

- 0.0 0.0 0.5 0.0 5.8 5.5 3.6 0.3

조란

- (鸟卵) -5.9 -1.4 0.6 1.7 -0.7 -1.7 -4.1 -3.8

수산물

- -0.9 -0.4 1.1 4.3 6.4 6.5 5.5 6.3

신선채소

- -2.8 -3.8 -1.5 12.1 31.5 22.3 2.6 2.1

신선과일

- -0.9 0.5 5.3 11.0 8.8 10.6 15.6 23.0

담배 주류 및 그 용품

∘ ・ 0.0 0.1 0.0 -0.3 -0.2 -0.2 -0.4 -0.7

의류 및 복장

∘ 1.0 0.6 0.1 -0.5 2.4 2.0 2.1 1.9

가정설비 용품 및 서비스

∘ 0.1 0.1 0.1 0.4 1.5 1.3 1.4 1.5

의료보건 및 개인 용품

∘ 0.1 0.1 0.0 0.3 1.0 1.0 0.9 1.1

교통 및 통신

∘ -0.3 -0.2 0.3 0.3 -0.6 -0.5 -0.1 0.2

∘ 오락 교육 문화용품 및 서비스・ ・ 0.8 -0.6 -0.1 1.0 2.5 2.8 2.9 3.3 주택 거주( )

∘ 0.2 0.2 0.3 0.2 2.6 2.6 2.8 2.8

자료: 中國國家統計局(http://www.agri.gov.cn)

그림 2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 (CPI) 변화 추이

(12)

무역 동향

대 세계 농산물 수출입

¡ 2014년 월 농산물 수출액은 1 51.9억 달러로 지난 12월에 비해 6.7% 감소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 , 증가 년 월까지 누적 수출액은 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

12.6% . 2014 1 51.9 12.6%

표 4 중국의 농산물 수출 추이 (2013 년 월 11 ~2014 년 월 1 )

단위 백만 달러: , % HS

코드 품목명 2013

'14.1 '14.1 누적액

월 증감률 1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전년동기대비

11 12

01 산동물 52 94 10 10 -89.4 -44.4 -44.4

02 육과 식용설육 92 120 90 90 -25.0 40.6 40.6

04 낙농품 조란 천연꿀· · 56 50 55 55 10.0 27.9 27.9

05 기타동물성 생산품 207 206 282 282 36.9 77.4 77.4

06 산수목 꽃· 24 32 72 72 125.0 176.9 176.9

07 채소 695 842 732 732 -13.1 22.4 22.4

08 과실 견과류· 584 576 517 517 -10.2 7.5 7.5

09 커피 차 향신료· · 198 220 227 227 3.2 24.0 24.0

10 곡물 56 33 27 27 -18.2 -40.0 -40.0

11 제분공업제품 51 59 51 51 -13.6 18.6 18.6

12 채유용종자 공업용 약용식물 사료, · , 347 357 340 340 -4.8 18.9 18.9

13 식물성엑스 102 112 123 123 9.8 21.8 21.8

14 기타식물성 생산품 9 9 9 9 0.0 0.0 0.0

15 동식물성유지 55 55 56 56 1.8 21.7 21.7

16 ·육 어류조제품 805 854 842 842 -1.4 -7.1 -7.1

17 당류 및 설탕 과자 127 140 129 129 -7.9 12.2 12.2

18 코코아 및 그 제품 47 50 49 49 -2.0 36.1 36.1

19 곡물 곡분의 주제품과 빵류, 141 146 147 147 0.7 7.3 7.3

20 채소 과실 조제품· 742 788 778 778 -1.3 10.7 10.7

21 기타 조제식료품 222 227 246 246 8.4 30.9 30.9

22 음료 주류 및 식초, 96 187 74 74 -60.4 42.3 42.3

23 조제사료 178 210 271 271 29.0 -11.7 -11.7

24 담배 133 193 60 60 -68.9 -3.2 -3.2

합 계 5,019 5,560 5,187 5,187 -6.7 12.6 12.6

(13)

¡ 1월 농산물 수입액은 97.9억 달러로 12월에 비해 2.6% 감소했지만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증가 년 월까지 누적 수입액은 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

22.4% . 2014 1 97.9 22.4%

− 1월 주요 수입품목군은 HS 12 (39.9%), HS 04 (10.2%), HS 15 (9.9%), HS 08 (6.6%), 류 류 류 류 류

HS 10 (6.0%)

− HS 04 , HS 10 , HS 11 , HS 21 , HS 23 , HS 24류 류 류 류 류 류는 전년 동월 대비 수입액이 50% 이상 크게 증가

표 5 중국의 농산물 수입 추이 (2013 년 월 11 ~2014 년 월 1 )

단위 백만 달러: , %

자료: 中國海關總署. 「中國海關統計 月刊( )」 第281 , 291 , 292 , 293期 第 期 第 期 第 期 HS

코드 품목명

2013

'14.1 '14.1 누적액

월 증감률 1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전년동기대비

11 12

01 산동물 53 60 37 37 -38.3 19.4 19.4

02 육과 식용설육 498 561 554 554 -1.2 -4.3 -4.3

04 낙농품 조란 천연꿀· · 725 749 1,002 1,002 33.8 115.0 115.0

05 기타동물성 생산품 34 37 43 43 16.2 0.0 0.0

06 산수목 꽃· 13 8 11 11 37.5 -21.4 -21.4

07 채소 255 231 268 268 16.0 27.6 27.6

08 과실 견과류· 254 354 651 651 83.9 16.9 16.9

09 커피 차 향신료· · 20 28 30 30 7.1 11.1 11.1

10 곡물 688 563 586 586 4.1 53.8 53.8

11 제분공업제품 97 112 112 112 0.0 86.7 86.7

12 채유용종자 공업용 약용식물 사료, · , 3,985 4,693 3,905 3,905 -16.8 13.5 13.5

13 식물성엑스 16 15 23 23 53.3 27.8 27.8

14 기타식물성 생산품 16 17 20 20 17.6 5.3 5.3

15 동식물성유지 931 1,003 974 974 -2.9 6.9 6.9

16 ·육 어류조제품 13 15 18 18 20.0 -10.0 -10.0

17 당류 및 설탕 과자 226 208 152 152 -26.9 0.0 0.0

18 코코아 및 그 제품 92 78 61 61 -21.8 5.2 5.2

19 곡물 곡분의 주제품과 빵류, 227 285 221 221 -22.5 31.5 31.5

20 채소 과실 조제품· 54 71 68 68 -4.2 13.3 13.3

21 기타 조제식료품 105 145 125 125 -13.8 52.4 52.4

22 음료 주류 및 식초, 238 274 294 294 7.3 -13.8 -13.8

23 조제사료 380 260 324 324 24.6 62.0 62.0

24 담배 137 289 313 313 8.3 94.4 94.4

합 계 9,057 10,056 9,792 9,792 -2.6 22.4 22.4

(14)

대 세계 식량 수출입

¡ 2014년 월 대 세계 곡물 쌀 밀 옥수수 수출량은 1 ( , , ) 23.6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8.0% 감소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39.2% 감소

− 품목별로 보면 쌀이 전월 대비 4.9% 증가했지만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38.4% 감소. 옥수수는 전월 및 전년 동월 대비 각각 99.7%, 98.1% 감소 밀은 수출 실적이 없음. .

− 중국의 최대 쌀 수출대상국인 한국으로의 수출량은 전월 및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68.2%, 증가 제 위의 수출대상국인 북한으로의 수출량은 전월 대비 감소

8.1% . 2 84.4%

− 중국의 최대 옥수수 수출대상국인 북한으로의 수출량은 전월 및 전년 동월 대비 각각 99.6%, 98.1% 감소

¡ 2014년 월 대 세계 대두 수출량은 1 12.8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33.3% 증가했으나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37.6% 감소

표 6 중국의 식량 수출 추이 (2008 년 ∼ 2014 년 월 1 )

단위 천 톤: , %

자료: 国家粮油信息中心. 「谷物市场进出口 告 第报 」 133 , 期 第157 , 期 第168 , 期 第169 ; 期 「油脂油料市 供需场 状 140 , 168

月 第 期 第 期

况 报」

품목 국가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1

월 증감률 1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쌀 전체

한국 161.7 170.4 181.7 238.9 101.5 323.0 17.7 168.2 8.1

북한 20.1 79.4 83.9 92.2 49.0 49.5 0.9 -84.4 -

일본 32.9 82.7 47.2 27.5 49.8 31.6 - - -

기타 732.0 428.3 283.4 156.9 78.8 74.3 4.9 -49.3 30.5

합 계 946.7 760.8 596.2 515.5 279.1 478.4 23.5 4.9 -38.4

중단립종쌀 백미 ( )

북한 20.1 79.1 83.9 79.0 49.0 49.5 0.9 -84.3 -

일본 29.2 72.5 42.8 25.5 39.6 30.9 - - -

홍콩 35.2 31.3 28.5 26.9 22.7 22.6 1.5 16.5 -

기타 475.8 217.5 239.3 112.7 86.1 136.9 2.8 -74.5 -89.4 합 계 560.2 400.4 394.4 244.1 197.3 239.9 5.2 -71.3 -80.1

장립종쌀 백미( ) 239.3 220.9 76.9 70.6 13.8 5.4 - - -

126.0 8.4 0.0 39.8 - 2.5 - - -

옥수수

북한 98.6 102.0 87.6 135.7 257.1 76.6 0.01 -99.6 -98.1

기타 153.7 27.0 39.6 0.3 0.2 1.1 0.00 - -

합 계 252.3 129.0 127.2 136.0 257.3 77.6 0.01 -99.7 -98.1

대두 466.2 346.6 163.6 208.3 320.1 209.0 12.8 33.3 -37.6

(15)

표 7 중국의 식량 수입 추이 (2008 년 ∼ 2014 년 월 1 )

단위 천 톤: , %

자료: 国家粮油信息中心. 「谷物市场进出口报告」 第133 , 期 第157 , 期 第168 , 期 第169 ; 期 「油脂油料市场供 140 , 168

需状况月报 第」 期 第 期

¡ 2014년 월 대 세계 곡물 쌀 밀 보리 옥수수 수입량은 1 ( , , , ) 1,676.0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3.8%

증가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 67.3% 증가

− 품목별 수입량을 보면 밀 725.9천 톤(43.3%), 옥수수 650.9천 톤(38.8%), 쌀 199.7천 톤 (11.9%), 보리 99.5만 톤(5.9%) 순

품목 국가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1

월 증감률 1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쌀 전체

태국 286.4 316.9 299.1 325.6 175.4 299.8 50.4 -17.3 92.5 베트남 1.3 2.9 56.1 233.8 1545.1 1481.0 50.9 -42.5 -64.5

파키스탄 0.0 0.0 0.0 8.7 579.6 417.0 90.2 105.4 -29.8

기타 7.9 17.8 11.0 10.3 44.6 46.6 8.2 -44.2 35.5 합 계 295.6 337.5 366.2 578.4 2344.6 2244.3 199.7 -4.0 -34.3

장립종쌀 백미 ( )

태국 n.a. n.a. n.a. 255.6 120.8 159.0 33.0 -21.2 98.5 베트남 n.a. n.a. n.a. 228.5 1308.7 998.4 4.7 -78.3 -96.3 파키스탄 n.a. n.a. n.a. 8.7 178.2 245.0 43.8 201.0 -56.0

기타 n.a. n.a. n.a. 0.1 314.3 19.9 7.1 332.3 -

합 계 n.a. n.a. n.a. 492.8 1921.9 1422.3 88.5 11.3 -64.0

중단립종쌀 백미 ( )

태국 n.a. n.a. n.a. 3.5 15.0 27.2 1.9 106.5 113.7

베트남 n.a. n.a. n.a. 3.9 94.5 263.4 42.7 -16.5 545.4

파키스탄 n.a. n.a. n.a. - 0.1 13.6 6.2 -20.2 204.7

기타 n.a. n.a. n.a. 1.6 1.2 2.0 1.0 -27.5 -

합 계 n.a. n.a. n.a. 8.9 110.7 306.1 51.8 -15.3 444.5

호주 31.5 324.8 760.1 637.1 2425.1 611.4 327.1 758.5 1882.4

미국 0.4 395.8 129.5 434.9 645.1 3820.4 256.9 -13.3 -

캐나다 - 122.3 283.6 172.3 401.5 866.8 83.4 - -47.4

기타 0.0 50.8 45.5 4.5 216.9 208.5 58.5 6.9 1260.5

합 계 31.9 893.7 1218.7 1248.8 3688.6 5507.1 725.9 86.6 304.6

보리

호주 733.1 826.3 1361.8 1254.9 2078.4 1759.3 59.1 168.6 3.8 캐나다 219.2 490.7 484.6 103.7 313.8 376.9 34.5 -73.2 -44.2 프랑스 81.2 416.3 502.3 239.3 23.0 133.3 4.8 -89.5 60.0

기타 42.8 5.2 18.5 177.6 112.5 65.8 1.1 - -

합 계 1076.3 1738.5 2367.2 1775.5 2527.7 2335.3 99.5 -49.3 -18.2

옥수수

미국 4.9 6.1 1501.8 1685.6 5113.3 2967.7 641.8 0.8 62.9

라오스 19.6 39.2 42.0 35.2 52.7 81.8 8.3 -85.2 361.1

미얀마 24.5 27.0 19.4 28.4 18.5 26.1 0.0 - -

기타 0.1 11.2 8.9 3.5 22.9 189.3 0.8 -99.3 -20.0

합 계 49.1 83.5 1572.1 1752.7 5207.4 3264.9 650.9 -20.7 64.0

대두 37431 42552 54797 52640 58384 63375 5914 -20.1 23.6

(16)

¡ 최대 수입 품목인 밀의 수입량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지난해 5,507.1천 톤으로 최고치 기록. 년 월 수입량은 천 톤으로 전월 대비 증가했으며 전년 동월 대비 증가

2014 1 725.9 86.6% , 304.6%

− 수입대상국별 수입량을 보면 호주 327.1천 톤(45.1%), 미국 256.9천 톤(35.4%), 캐나다 천 톤 로 개 국가가 전체 수입량의 를 차지

83.4 (11.5%) 3 92.0%

¡ 중국은 축산업의 발전에 따른 사료 수요 증가로 옥수수 수입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며 2012년 천 톤으로 최고치 기록

5,207.4 . 2014년 월 1 수입량은 650.9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20.7%

감소했지만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는 , 64.0% 증가

− 수입대상국별 수입량을 보면 미국이 641.8천 톤으로 전체 수입량의 98.6%를 차지

¡ 중국의 쌀 수입량은 2008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 2012년과 2013년 년 2 연속 200만 톤 이상 수입.4) 2014년 월 수입량은 1 199.7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4% 감소했고,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도 34.3% 감소

− 최근 중국의 쌀 수입이 급격히 증가한 것은 공급부족에 따른 구조적인 현상이라기보다는 국내 쌀 가격의 지속적인 상승과 위안화 가치 상승으로 주요 쌀 수출국과의 가격차가 역전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5)

− 중국의 쌀 수입은 전통적으로 남부지역의 고급 장립종 쌀 주로 향미( 香米) 소비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장립종 쌀 위주였으나 최근 중단립종 쌀의 수입이 증가하는 추세 전통적으로 장립종 쌀, ( 소비지였던 남부지역에서 소비가 증가하는 데다 국내 중단립종 쌀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주요 쌀 수출국의 중단립종 쌀 가격과의 격차 확대)

− 1월 수입량 중 백미(精米)는 140.3천 톤으로 70.3%를 차지하며 나머지 현미 쇄미 등이 ‧ 29.7%

차지 수입 백미 중 장립종과 중단립종의 비율은 각각 . 63.1%, 36.9% 차지

− 중국의 쌀 수입대상국은 전통적으로 고급 장립종 쌀 향미 을 수출하는 태국 위주였으나 ( ) 2012년 이후 국내외 가격차에 따른 쌀 수입 수요가 증가한 가운데 파키스탄과 베트남으로부터 쌀 수입이 크게 증가하여 태국을 제치고 수입량 위1 , 2위 국가로 부상.6) 1월 쌀 수입량 중 국가별 비중은 파키스탄 45.2%, 베트남 25.5%, 태국 25.2% 순

¡ 2014년 월 대 세계 대두 수입량은 1 5,914천 톤으로 전월에 비해 20.1% 감소했으나 지난해 , 같은 달에 비해서는 23.6% 증가

4) 쌀은 국가발전개혁위원회가 관리하는 수입관세할당 품목으로 국영무역 지정된 국영무역기업이 수입 쿼터가 ( ) 50%, 비국영 무역 대외무역권을 가진 기업이나 개인이 수입 쿼터가 ( ) 50%를 차지. 2013년도 수입쿼터 총량은 532만 톤으로 이중 장립종이 50%(266만 톤 중단립종이 ), 50%(266만 톤 를 차지하며 ) 2014년에도 동일하게 적용.

5) 徐春春 李 博 周‧ 凤 ‧ 锡跃‧方副平. 2012. 近期我 大米 口量大幅增加及其影 分析 「 国中 稻米18(5): 1-3; 韩俞. 大米进 300%

口量大增主因是价差 第一农经 http://news.1nongjing.com/Depth/2013031827039.shtml)(

6) 국가별 2014년 월 톤당 평균 수입가격1 (FOB)은 태국산 388.7달러 베트남산 , 410.5달러 파키스탄산 , 392.4달러 미국산 ,

(17)

대 한국 농산물 수출입

¡ 1월 대 한국 농산물 수출액은 2.2억 달러로 12월에 비해 17.1% 감소했으며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 , 감소 년 월까지 누적 수출액은 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

14.5% . 2014 1 2.2 14.5%

− 품목류별 농산가공품 : 33.0%, 채소 21.2%, 식량 8.9%, 특용잠사 ․ 8.2%, 축산물 3.7%, 과실 3.0%

− 상위 10개 품목 혼합조제식료품: (8.2%), 전분박(8.2%), 고추(5.5%), (4.5%), 쌀 대두박(4.4%), 김치

기타채소 한약재 기타 당면 땅콩

(4.1%), (3.9%), (3.5%), (3.5%), (2.5%), → 48.3%

표 8 대 한국 농산물 수출 추이 (2013 년 1 2 월 ~ 2014 년 월 1 )

단위 천 달러: , %

자료: aTkati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www.kati.net)

품목명 '13.12 '14.1 '14.1 누적액

월 증감률 1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전년동기대비

곡류 24,879 10,695 10,695 -57.0 -21.0 -21.0

서류 499 605 605 21.2 57.1 57.1

두류 12,484 6,239 6,239 -50.0 -40.1 -40.1

전분 4,312 1,711 1,711 -60.3 39.0 39.0

42,174 19,249 19,249 -54.4 -24.7 -24.7

채소 56,017 45,756 45,756 -18.3 -26.4 -26.4

과실 7,192 6,500 6,500 -9.6 14.8 14.8

화훼 1,382 1,554 1,554 12.4 17.5 17.5

버섯 1,378 45,756 45,756 3,220.4 4,071.0 4,071.0

채유종실 26,719 12,640 12,640 -52.7 -23.7 -23.7

차류 534 1,174 1,174 119.8 397.3 397.3

연초류 784 200 200 -74.5 -68.9 -68.9

인삼류 181 237 237 31.2 -72.0 -72.0

한약재 1,555 1,240 1,240 -20.3 19.5 19.5

잠사류 2,150 2,112 2,112 -1.7 -26.2 -26.2

31,923 17,603 17,603 -44.9 -20.7 -20.7

농산가공품 110,192 71,277 71,277 -35.3 -43.2 -43.2

소 계 250,258 207,695 207,695 -17.0 -14.7 -14.7

산동물 457 318 318 -30.4 22.7 22.7

육류 3,388 1,931 1,931 -43.0 -32.5 -32.5

난류 139 111 111 -20.0 -17.6 -17.6

낙농품 1.4 144 144 10,177.9 91.9 91.9

기타 축산물 5,908 5,499 5,499 -6.9 0.2 0.2

소 계 9,893 8,003 8,003 -19.1 -9.3 -9.3

합 계 260,151 215,698 215,698 -17.1 -14.5 -14.5

(18)

¡ 1월 대 한국 농산물 수입액은 5,385만 달러로 12월에 비해 29.8% 감소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서도 , 감소 년 월까지 누적 수입액은 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

35.1% . 2014 1 5,358 35.1%

− 품목류별 농산가공품 : 75.9%, 축산물 11.4%, 과실 6.6%, 화훼 3.8%, 특용 잠사 ․ 1.4%, 채소 식량

0.6%, 0.2%

− 상위 10개 품목 자당: (13.3%), 혼합조제식료품(11.3%), 커피조제품(8.9%), 기타베이커리제품(6.6%), 비 스킷(5.6%), 라면(5.2%), 난초(3.7%), 단일과실조제품(3.7%), 가죽(3.5%), 기타음료(3.2%) → 64.9%

표 9 대 한국 농산물 수입 추이 (2013 년 1 2 월 ~ 2014 년 월 1 )

단위 천 달러: , %

자료: aTkati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www.kati.net)

품목명 '13.12 '14.1 '14.1 누적액

월 증감률 1

전월대비 전년동월대비 전년동기대비

곡류 245 102 102 -58.5 -66.3 -66.3

서류 30 14 14 -52.3 257.7 257.7

두류 0 0 0 - -100.0 -100.0

전분 9.1 0 0 -100.0 - -

284 116 116 -59.1 -68.7 -68.7

채소 653 334 334 -48.8 -78.3 -78.3

과실 6,949 3,534 3,534 -49.1 -15.7 -15.7

화훼 4535 2,030 2,030 -55.2 -60.4 -60.4

버섯 37 24 24 -34.8 - -

채유종실 47 1 1 -98.4 - -

차류 140 206 206 47.1 202.8 202.8

연초류 0 105 105 - -92.7 -92.7

인삼류 3,486 365 365 -89.5 -76.4 -76.4

한약재 0 81 81 - 8022.1 8022.1

잠사류 74 21 21 -72.2 - -

3,747 778 778 -79.2 -74.4 -74.4

농산가공품 47,450 40,886 40,886 -13.8 -27.3 -27.3

소 계 63,655 47,703 47,703 -25.1 -32.4 -32.4

산동물 0 0 0 - -90.0 -90.0

육류 368 325 325 -11.7 -60.1 -60.1

난류 0 0 0 - - -

낙농품 7,360 2,665 2,665 -63.8 -66.6 -66.6

기타 축산물 5,354 3,156 3,156 -41.0 -13.7 -13.7

소 계 13,082 6,147 6,147 -53.0 -50.6 -50.6

합 계 76,737 53,849 53,849 -29.8 -35.1 -35.1

(19)

표 10 2014 년 월 품목별 대 한국 수출입액 순위 1

단위 천 달러: , %

자료: aTkati 농수산식품수출지원정보(www.kati.net)

순위 대 한국 수출 대 한국 수입

품목명 금액 비중 품목명 금액 비중

1 쌀 17,727 8.22 자당 7,142 13.26

2 전분박 17,596 8.16 혼합조제식료품 6,089 11.31

3 혼합조제식료품 11,782 5.46 커피조제품 4,788 8.89

4 고추 9,798 4.54 기타 베이커리제품 3,580 6.65

5 참깨 9,409 4.36 비스킷 2,989 5.55

6 기타채소 8,798 4.08 라면 2,803 5.20

7 김치 8,440 3.91 난초 2,009 3.73

8 대두 7,630 3.54 단일과실조제품 1,970 3.66

9 들깨 7,521 3.49 가죽 1,877 3.49

10 당면 5,416 2.51 기타 음료 1,709 3.17

11 기타과실 5,346 2.48 유자 1,235 2.29

12 채소종자 5,338 2.47 조제분유 1,186 2.20

13 한약재 기타 4,833 2.24 생우유 955 1.77

14 땅콩 3,663 1.70 기타 소오스제품 939 1.74

15 기타 소스제 3,477 1.61 소원피 819 1.52

16 기타 사료용조제품 3,152 1.46 초코렛 799 1.48

17 당근 3,064 1.42 캔디 747 1.39

18 택스트린과 기타 변성전분 2,787 1.29 기타 식물성점질물 715 1.33

19 고구마 전분 2,399 1.11 소주 628 1.17

20 대두박 2,217 1.03 기타 조제식료품 479 0.89

21 개 사료 2,200 1.02 글리세롤 조상의것( ) 459 0.85

22 마늘 2,047 0.95 기타 설탕과자 400 0.74

23 기타 당 2,005 0.93 곡류조제품 388 0.72

24 기타 양모 섬수모 조수모 등, , 1,989 0.92 기타 양모 섬수모 조수모 등, , 388 0.72

25 기타식물성액즙 1,963 0.91 맥주 370 0.69

26 배합사료 1,962 0.91 인스탄트면 364 0.68

27 효소 1,931 0.90 기타 당 352 0.65

28 보리 1,912 0.89 면 348 0.65

29 기타 사료 1,881 0.87 기타 파스타 319 0.59

30 캔디 1,878 0.87 소시지 283 0.53

31 비스킷 1,804 0.84 기타 과실 276 0.51

32 생사 1,651 0.77 혼합조미료 271 0.50

33 초코렛 1,564 0.72 옥수수유 263 0.49

34 토마토 1,412 0.65 연유 262 0.49

35 기타 근채 1,306 0.61 방향성물질 252 0.47

합 계 167,899 77.84 합 계 48,455 89.98

(20)

주요 단신

중국 농산물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

¡ 2003~2013년간 중국 식품가격의 연평균 상승률은 CPI보다 2.5배가 높은 수준이었음.

− CPI와 비교했을 때 육류 및 그 제품 채소류의 가격 상승률은 , 3.06배에 달했으며 식량 수산물, , 조란 과일의 가격 상승률은 각각 , 2.8 , 2.6 , 2.5 , 2.1배 배 배 배에 달함.

¡ 중국 농산물 가격이 빠르게 상승한 원인으로 수급요인 생산비 상승 투기자본의 농산물시장 진입, , , 정부정책의 영향 등이 있음.

¡ 수급 원인

− 수요측면: ① 인구구조의 변화 농촌인구와 도시인구의 비중은 . 1995년의 70.96 : 29.04에서 년의 로 변화 이는 한편으로 도시인구에게 농산물을 제공하는 농촌인구가 2012 47.43 : 52.57 .

상대적으로 부족해졌음을 의미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도시인구의 식품소비량이 농촌인구보다 배 많아져 농산물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킴을 의미 음식 소비구조의 변화 년에

2~3 ② . 2001~2011

식용 곡물에 대한 소비량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돼지고기 가금알 가금육류 우유의 소비량은 , , , 각각 20%, 21%, 37%, 223% 증가했음 또한 식용 곡물보다 동물의 사료용 곡물에 대한 수요가. 많아짐.

− 공급측면 농지 부족 농지 품질 하락 농업 노동력의 부족 등이 공급에 영향을 미침: , ,

¡ 생산비 원인

− 인금비용의 증가 농촌노동력이 도시지역으로 유출됨에 따라 농촌지역 임금이 인상되는 결과를 : 초래

− 유통비용 증가. ① 물류비용 상승. 2005년 이후 중국의 물류비가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정도로 선진국의 에 비해 큰 비중을 보이고 있음 또한 중국의 물류체계가 아직

18% , 8~10% .

완비되지 못하고 원활하지 못한 문제가 있음. ② 생산지에서 소비지에 이르기까지 많은 유통단계를 거치게 됨. ③ 농자재 가격 상승. 2003~2011년 농자재 가격이 1.78배 인상되어 생산비의 증가를 초래

(21)

¡ 투기자본이 농업부문과 농산물 시장에 대거 투입됨에 따라 농산물 가격의 파동을 초래

¡ 정부정책의 영향

− 농산물 가격의 상승은 CPI를 상승시키는 반면 농업 발전이나 농산물 공급에 유리한 조건을 형성 하였음 또한 주요 농산물이 겨우 수급균형을 이루는 상황에서 농산물 가격이 상승함으로써 농민의. 생산에 대한 적극성을 자극시키는 계기가 됨.

− 최근 몇 년간 중국정부는 쌀 밀 등 주요 농산물에 대해 최저수매가격을 인상하는 정책을 실시한 후, 농민의 인당 수익이 1 0.6% 증가함.

<中國證券報, 2014.02.08>

식량의 생산 후 손실량 매년 3,500 만 톤

¡ 중국정부는 식량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식량생산 제고 식량의 저장과 물류 건설 강화 등 몇 가지 , 조치를 실시할 예정

¡ '식량의 저장 및 공급 안전보장 공정 의 실시로 식량의 손실량 감소'

− 중국은 지난 10년간 지속적인 증산을 이뤘지만 낙후된 식량 저장시설과 원활하지 못한 물류체계로 인해 식량의 생산 후 손실 역시 막대한 수준인데 국가식량국, (國家糧食局)의 통계에 따르면 식량의 생산 후 손실량은 매년 3,500만 톤에 달함.

− 2013년 식량의 저장 및 공급 안전보장 공정(糧食收儲供應安全保障工程 량안공정 ) 을 실시한 , 이후 식량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저장하는 농가가 677만 호 누계 기준 에 달했으며 매년 ( ) 75만 톤의 손실량이 감소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음.

¡ 량안공정 은 복잡하고 체계적인 공정으로 국가발전개혁위원회(國家發展改革委員會), 재정부(財政部 ) 등의 중앙부처 지방정부를 비롯하여 식량기업과 사회자본 등의 다원화된 투자가 필요하며 중국, , 정부도 이를 적극 장려하고 있음.

¡ 국가식량국의 한 인사에 따르면 중국은 향후 3~4년간 저장량이 5,000만 톤에 달하는 저장시설들이 점차 완공되고 북량남운, ' (北糧南運: 북방지역의 식량을 남방지역으로 운송 의 물류체계가 원활히 )' 이뤄지고 식량 가공기술의 제고 식량의 정보화 건설이 적극 추진됨으로써 저장 및 공급 수준이, , 제고될 것으로 기대

<經濟日報, 2014.02.07.>

(22)

년 화학비료 생산량 만 톤 기록

2013 7,153.7

¡ 국가통계국에서 발표한 데이터에 의하면 2013년 중국의 화학비료 생산량은 2012년에 비해 증가한 만 톤을 기록 이는 역사상 최고 수준임

4.9% 7,153.7 , .

¡ 화학비료 생산량 상위 개 지역5 ( )省은 호북성 산동성 하남성 귀주성 산서성이며 이들 지역의 , , , , 생산량은 각각 1,186.7만 톤, 826.3만 톤, 535.9만 톤, 511.7만 톤, 446.1만 톤임.

¡ 2012년 대비 칼륨비료의 생산 증가율은 16.3%로 가장 크게 증가했으며 칼륨비료의 자급률도 로 상승함

53% .

<中國化肥網, 2014.02.10>

벼 최저수매가격 연속 회 인상 7

¡ 2014년에도 식량주산지에서 최저수매가격정책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

¡ 올해 생산하는 조생종 장립종벼 중만생종 장립종벼 중단립종벼의 최저수매가격은 , , 50㎏당 각각 위안 위안 위안으로 작년에 비해 각각 위안 위안 위안 인상되었음

135 , 138 , 155 3 , 3 , 5 .

− 2004년부터 벼에 대한 최저수매가격정책을 실시한 후 수매가격이 여섯 차례 인상되었으며, 년의 수매가격은 년보다 인상되었음

2013 2012 10% .

<人民網, 2014.02.12>

중국 식량정책의 전환 식량 수입규모 적절히 확대 :

¡ 중국 정부는 향후 육류 채소 과일 등 농지를 많이 점유하지 않으면서 상대적으로 많은 일자리를 , , 창출할 수 있는 농산물 품목을 우선적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며 농지자원이 풍부한 미국 호주, , , 캐나다 우크라이나 등으로부터 곡물 수입을 확대할 예정,

− 중국은 향후 보다 유연한 농업정책을 실시하고 식량의 양보다 식품의 품질에 더 중점을 두는, 정책으로 변화될 전망

¡ ⟪중국 식품과 영양 발전 강요(2014-2020)(中國食物與營養髮展剛要(2014-2020))⟫에 의하면 년까지 중국의 식량생산량 목표치를 억 톤으로 정했으나 이는 년의 억 톤보다

2020 5.5 2013 6.02

낮은 수준임.

− 동시에 중국은 식량자급 원칙을 유지하지만 이전과 달리 자급률 95%의 기준을 제시하지 않음.

(23)

식량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중국은 미국 동남아 아프리카의 농지를 구입한 바 있으며 이밖에도 , , 우크라이나에서 300만 ㏊의 농지 우크라이나 국토의 ( 1/20)를 구입할 예정

<華爾街見聞, 2014.02.12.>

돼지고기 수입 증가가 국내시장에 영향 초래

¡ 농업부 발표에 의하면, 2013년도 중국의 축산물 수입액은 195.1억 달러에 달해 전년 대비 증가하였으며 수출액은 억 달러로 전년에 비해 증가

30.9% , 65.2 1.3%

− 돼지고기 수입량은 58.4만 톤에 달해 전년에 비해 11.7% 증가하였고 양고기 수입량은 전년에 , 비해 108.8% 증가한 25.9만 톤이었음

− 분유 수입량은 86.4만 톤으로 전년에 비해 49.3% 증가

¡ 중국국가통계국의 데이터에 따르면, 2013년도 중국의 돼지고기 생산량은 5,493만 톤으로 전 년대비 2.8% 증가하였고 생돈 출하량은 처음으로 억, 7 ~7.15억 마리를 기록한 반면 암퇘지의 연간 생산량은 4,900~5,000만 마리 수준으로 변동

− 돼지고기 생산량 증가와 돼지고기에 대한 소비 감소가 2013년 돼지고기 가격하락의 주요 원인

− 돼지고기 수입량 증가와 소비부진에 따른 공급과잉은 중국 내 돼지고기시장에 충격을 주고 있음.

<中國畜牧網, 2014.2.14>

도시와 농촌 간 소득비율 년 연속 하락세 4

¡ 경제성장의 지속 농산물 가격 상승 자연재해 극복 등으로 , , 2013년 농민소득은 개혁개방 이후 년 연속 증대되었음

10 .

− 중국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농민 인당 소득은 1 8,896위안으로 9.3%의 실질증가율을 기록, 이는 GDP 성장률보다 1.6%포인트 높은 수준임.

− 농민 인당 소득의 증가율은 도시주민 인당 가처분소득의 증가율보다 1 1 2.3%포인트 높았으며, 도시와 농촌 간 소득비율 역시 년 연속 하락해 4 2009년도의 3.33:1에서 3.03:1로 축소

¡ 농민 인당 소득 중 임금소득이 1 4,025위안으로 45.2%를 차지하여 주요한 소득원이었음.

− 농업 경영소득은 3,793위안으로 42.6% 차지하였으나 전년에 비해 2%포인트 하락

− 이전소득과 재산소득의 비중은 각각 3.3%, 8.9%로 전년에 비해 평균 0.2%포인트 증가함

− 농민의 소비지출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2013년의 경우 농민 인당 소비지출은 1

(24)

위안으로 전년대비 증가하였음 이 같은 증가율은 도시주민 인당 현금 소비지출 대

6,626 9% . 1

비 3.6%포인트 높은 수준임.

¡ 농민소득이 지속적으로 증대한 요인은 아래 가지로 분석할 수 있음4 .

− 첫째 농민의 외지 취업자 농민공 가 지속적으로 증가됨에 따라 소득 수준이 상승됨, ( ) . 2013년도를 기준으로 전국의 농민공 수는 약 2.69억 명이었으며 월평균임금은 2,609위안임.

− 둘째 농업생산이 안정적으로 증가하였고 가격지지정책 역시 중요한 작용을 발휘함 쌀과 밀에 , . 대해 최저수매가격정책을 실시하고 있으며 유채씨 옥수수 면화 대두 설탕 등에 대해 임시비축, , , , 가격정책을 실시하였음.

− 셋째 소득증대정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 삼농 에 대한 투입을 안정적으로 확대하고 있음.

년 농민 인당 이전소득은 위안으로 전년에 비해 증가하였음

2013 1 784 14.2% .

− 넷째 농촌개혁이 전면적으로 추진되면서 소득증대를 촉진함, .

<農業部新聞辦公室, 2014.2.14.>

신농촌 상업망(商業網 을 통해 농산물 거래 ) 870 억 위안 촉진

¡ 2006년부터 상무부는 만촌천향(萬村千鄉), 쌍백시장(雙百市場) 등의 정책을 통해 도시와 농촌의 시장이 상호 긴밀하게 연계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으며 동시에 농촌비즈니스정보서비스, 프로젝트를 실시하여 신농촌 상업망을 기초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

¡ 신농촌 상업망의 주요한 기능은 정보수집 및 공개 자문서비스 온산물 거래 플랫폼임, , .

− 현재 294개 종류 1,077개에 달하는 지역 농산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공개하고 있고 지역 적으로는 전국 30개 성( )省과 264개 도시, 645개 현으로 확대되었음.

− 또한 102.7만 건 누계기준 에 달하는 자문서비스와 ( ) 1,000만 건에 달하는 농산물 가격정보를 제공하였으며 농산물 거래액은 , 870여억 위안에 달함.

− 신농촌 상업망의 방문자 수는 80억 명 누계기준 에 달하며 현재 회원가입자 수는 ( ) , 34.8만 가구를 초과하였음.

¡ 신농촌 상업망은 향후 농산물 사이버정보 플랫폼을 조성하고 자원협력을 강화하며 신선 농산물에 대한 조기경보메커니즘을 구축하는데 중점을 둘 계획임.

<人民郵電報, 2014.2.25.>

참조

관련 문서

산업 집중화를 목표로 농산물 우수 생산지와 산업지대에서 농산물 자원조건에 따라 농 산물 가공산업의 단계 전환을 실시하고, 농산물 가공업이 우수 생산지에 집중되도록

그림에서 왼쪽은 현재의 상태를 표현한 것으로 물 -에너지-식량 연관관계가 명확하게 분석되지 않아 (Unknown and unbalanced) 가용 수자원으로부터 생산을 위한 물로

[r]

[r]

In the second case, regional maritime safety tribunal will play the role as the 1st instance for the most ordinary marine accidents and central maritime safety tribunal may be

그런 가운데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또한 인천 에서 태어난 송암 박두성 선생님께서 창안해 역사적인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곳입니다. 하지만 관계자 외 에는 그런

인천에 하고 싶은 말 인천 예술회관역에 처음 가게를 열었을 때는 상권이 죽어있었는데, 지금은 많이 활기차졌다.. 지금 우리 가게에는

해외 원자력 인력양성 교육의 시사점... 원전 전문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