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비육돈 사료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비육돈 사료내"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비육돈 사료내 Bacillus subtilis의 첨가가 성장 면역세포 변화 , , 분내 암모니아태질소 함량 및 도체 특성에 미치는 영향

조진호*․ 진영걸* ․ 민병준* ․ 김해진* ․ 손경승* ․ 권오석* ․ 김진동** ․ 김인호*

단국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CJ 사료 주( )**

Effect of Dietary Bacillus subtilis on Growth Performance, Immunological Cells Change, Fecal NH

3

-N Concentration and

Carcass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J. H. Cho*, Y. J. Chen*, B. J. Min*, H. J. Kim*, K. S. Shon*, O. S. Kwon*, J. D. Kim**

and I. H. Kim*

Department of Animal Resource & Sciences, Dankook University*, CJ Feed Co., Incheon, Korea**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Bacillus subtili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immunological cells change, fecal noxious gas and carcass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The dietary treatments were 1) CON(basal diet), 2) BS0.1 (basal diet + 0.1% Bacillus subtilis) and 3) BS0.2(basal diet + 0.2% Bacillus subtilis). Sixty crossbred (Landrace × Yorkshire × Duroc) pigs (89.5 ± 0.11kg average initial body weight) were used in a 42 days growth trial.

The pigs were assigned to the treatments according to body weight and each treatment had 5 replicates of 4 pigs per pen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hrough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average daily gain (ADG)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Pigs fed BS0.1 diet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gain/feed compared to pigs fed CON and BS0.2 diets (P<0.05). Also, dry matter(DM) and nitrogen (N) digestibilities were greater in the pigs fed BS0.1 diet than those fed CON diet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cal NH3-N concentration among the treatments. In blood assay for immunological cells change investigations, red blood cells(RBC) counts increased in the pigs fed BS0.2 diet compared to pigs fed CON and BS0.1 die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cass pH, drip loss, marbling and firmness. However, sensual color and a*(redness) value of meat in the pigs fed BS0.2 diet were higher than in pigs fed CON diet (P<0.05). Therefore, this experiment suggested that Bacillus subtilis supplementation could improve nutrient digestibility, RBC counts and carcass meat color of pigs.

(Key words:Bacillus subtilis, Growth, Immonological cells change, Carcass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Pigs)

서 론

Ⅰ .

항생제는 1950년대 이후부터 양돈사료에서 질병치료 및 성장촉진제로서 폭넓게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육제품 내의 항생제 잔류와 함께.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공중보건학적 관심이 고 조되면서(Kunin, 1993) 동물 사료 첨가용 항생 제 사용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Corresponding author : I. H. Kim, Dept. of Animal Resource & Sciences, Dankook University #29 Anseodong,

Cheonan, Choongnam 330-714, Korea

Tel : +82-41-550-3652, Fax : +82- 41-550-3604, E-mail : inhokim@dankook.ac.kr

(2)

최근에는 생산비 절감에 의한 생산성 향상을 위해 양돈 산업에서 항생제 대체물질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Vanbelle, 이러한 항생제 대체물질 중 하나로 기관 1989),

이나 조직에 축적되지 않고 병원성 미생물에, 내성을 일으키지 않으며 가축의 생산성 개선, 을 목적으로 생균제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 되어 왔다(Chiang과 Hsieh, 1995; Mathew 등,

박 등 1998; , 2003).

생균제는 장내 세균총의 변화를 유도하여 병 원성 대장균을 감소시키며(Hill 등, 1970), 살아 있는 미생물 사료 첨가제로서 유익한 미생물의 장내 우점을 유도하여 동물의 건강을 증진시키 고 정장작용을 통해 동물의 성장을 촉진시킨다 (Fuller, 1989).

돼지 사료내 생균제 사료첨가 급여효과에 대 한 연구를 보면 자돈에서 생균제의 첨가가 설, 사 발생을 감소시키고 사료효율 및 성장율을, 개선하였다고 알려져 있다 한 등( , 1982; 민 등, 육성 비 1992; Mordenti, 1986; Pollman, 1986). - 육돈에서 사료섭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증 체량과 사료요구율에는 유의한 개선 효과가 있 었다고 보고하였으며 노 등( , 1995; 전 등, 1996) 면역능력을 향상시켜 동물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Kato 등, 1983; Fuller, 1989).

홍 등(2002)은 비육돈에 있어 생균제의 첨가가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 및 휘발성 지방산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양 등, 은 생균제의 첨가는 돼지 도체등급 향상 (1998)

과 돼지고기의 육미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 다 이와 같이 돼지 사료 내 생균제의 사용은.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영양학적 및 생리학 적으로 역할이 보고되어 왔으며 안전한 육제, 품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축산농가에 경제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까지의 생균제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들 은 주로 생산성 향상을 위해 돼지 사료 내 혼 합 생균제에 대한 연구는 수없이 보고되었다

등 등 류 등

(Pollman , 1980; Xuan , 2001). (1999)

은 Bacillus subtilis가 산란율과 사료요구율 등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고 Saartchit와 Sullivan(1990) 은 Bacillus subtilis가 위와 장내 미생물들에게 이로운 작용을 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비육돈 시기에, Bacillus subtilis를 첨가하여 성장 면역세포 변, 화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 및 도체 특성, 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재료 및 방법

Ⅱ .

시험동물 및 시험설계 1.

원 교잡종

3 (Landrace × Yorkshire ×Duroc) 비 육돈 60두 거세돈( 60두 를 공시하였고 시험개) 시시의 체중은 89.5 ± 0.11kg 이었으며 사양시 험은 42일간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옥수수. 대두박 위주의 사료로서 NRC(1998)의 영양

소 요구량에 따라 처리한 대조구(CON : 기초 사료 대조구 사료내), Bacillus subtilis 제제를 각각 0.1% (BS0.1)와 0.2%(BS0.2) 첨가한 구 로 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반복 반복당3 5 , 4 마리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본 사양시험에. 사용한 BS 제제 내 Bacillus subtilis의 농도는 1.4 × 109 cfu/g이었다.

시험사료 및 사양관리 2.

기초사료는 옥수수 대두박 위주의 사료로서- 3,350kcal 대사에너지/kg, 14.00%의 조단백질,

의 라이신 의 메치오닌 의

0.70% , 0.23% , 0.60%

칼슘과 0.50%의 인을 함유하였다(Table 1). 각 각의 돈방 크기는 1.8 ×1.8m 이었으며 시험사, 료는 가루사료의 형태로 자유채식토록 하였으 며 물은 자동급수기를 이용하여 자유로이 먹, 을 수 있도록 하였다 체중 및 사료 섭취량은. 시험종료시에 측정하여 일당증체량 일당사료, 섭취량 사료효율을 계산하였다, .

(3)

영양소 소화율 측정 3.

영양소 소화율을 측정하기 위해 시험종료 7 일전에 표시물로서 산화크롬 (Cr2O3)을 0.2% 첨 가하였다 크롬이 첨가된 시험사료 급여 일. 5 후 항문 마사지법으로 분을 채취한 후, 60℃의 건조기에 시간 건조시킨 후72 Willey mill로 분 쇄 분석에 이용하였다 사료의 일반성분과 표, . 시물로 혼합된 Cr은 AOAC(1995)에 의해 분석 하였다.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 측정 4.

시험종료시 각 처리구에서 동일한 시간동안 배설된 분을 임의 선발된 마리로부터 채취한10 후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켜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농도 측정. 은 Chaney와 Marbach (1962)의 방법에 따라 실 시하였다.

혈액 분석 5.

Table 1. Formula and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xperimental diets

Ingredient, % CON BS0.11) BS0.21)

Corn 61.58 61.48 61.38

Soybean meal 13.56 13.56 13.56

Wheat grain 10.00 10.00 10.00

Animal fat 3.36 3.36 3.36

Rice bran 3.00 3.00 3.00

Molasses 2.50 2.50 2.50

Lupin, seeds 2.00 2.00 2.00

Rapeseed meal 2.00 2.00 2.00

Tricalcium phosphate 0.79 0.79 0.79

Limestone 0.63 0.63 0.63

Salt 0.25 0.25 0.25

Vitamin/mineral premix2) 0.22 0.22 0.22

Bacillus subtilis - 0.10 0.20

L-lysine HCL 0.06 0.06 0.06

Antioxidant (Ethoxyquin 25%) 0.05 0.05 0.05 Chemical composition3)

Metabolizable energy (kcal/kg) 3,350

Crude protein (%) 14.00

Lysine (%) 0.70

Methionine (%) 0.28

Calcium (%) 0.60

Phosphorus (%) 0.50

1) Abbreviated BS0.1, added 0.1% of Bacillus subtilis ; BS0.2, added 0.2% of Bacillus subtilis.

2) Provided per kg of complex diet: 20,000 IU of vitamin A; 4,000 IU of vitamin D3 80 IU of vitamin E; 16 mg of vitamin K3 4 mg of thiamin; 20 mg of rivoflavin; 6 mg of pyridoxine; 0.08 mg of vitamin B12 120 mg of niacin; 50 mg of Ca-pantothenate; 2 mg of folic acid; 0.08 mg of biotin; 70 mg Fe; 0.4 mg of Co; 0.15 mg of Se and 0.5 mg of I.

3) Calculated values.

(4)

혈액채취는 각 처리당 마리를 임의 선발하8 여 개시와 종료시에 각각 경정맥(Jugular vein) 에서 K3EDTA Vacuum tube(Becton Dickinson 를 이용 Vacutainer Systems, Franklin Lakes, NJ) 하여 혈액을 2ml 채취하여 분석하였고 자동, 혈액분석기(ADVID 120, Bayer, USA)를 이용하 여 WBC, RBC 및 Lymphocyte를 조사하였다. 또한 혈청 생화학적 검사는 시험개시 및 종료 시에 경정맥에서vacuum tube(Becton Dickinson 를 이용 Vacutainer Systems, Franklin Lakes NJ)

하여 혈액을 5mL 채취하여 4℃에서 2,000g로 분간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석에 이용하였 30

다. Total protein 및 albumin은 각각 Biuret

와 방법으로 자

method BCG(Brom Cresol Green)

동생화학분석기(HITACHI 747, Japan)를 이용하 여 분석하였다.

6. 도체특성

(1) 공시재료

시험에 사용된 돈육은 도살 후 4℃ 냉장고에 시간 저장 후 각 처리구별로 임의로 두씩

24 , 10

을 선별하여 반도체 등심 부위(M. longissimus dorsi)를 분할 정형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2) 육의 pH

육의 pH값은 도살 후 각 처리당 10개의 시 료를 pH meter(Istek, Model 77p)를 사용하여 측 정하였다.

육즙 손실 (3)

시료를 2cm 두께의 일정한 모양으로 정형한 후 polyethylene bag에 넣어 4℃ 냉장실에서 일7 간 보관하면서 일 일 일 후 발생되는 감량3 , 5 , 7 을 측정하였다.

(4) 육색

육색은 Chromo meter(Model CR-210, Minolta 를 사용하여 동일한 시료를

Co. LTD. Japan) 4

회 반복하여 측정하였으며 이 때 표준색판은, 으로 하였다 L*=89.2, a*=0.921, b*=0.783 .

(5) 관능검사

관능검사는 명의 관능검사요원을 구성하여5 수행하였다 신선육은 육색. (color:1~5), 조직감

및 근내지방도 는

(firmness:1~5) (marbling: 1~5) 의 기준 National Pork Producers Council(NPPC)

안에 의하여 조사하였다.

(6) 도체등급

도체등급의 측정은 충남 천안시 소재 도축장 에서 각 처리구마다 115~120kg 도달시 도축 탕( 박 하여 축산물 등급판정소 소속 등급사에 의) 해 수행하였다.

7. 통계처리

모든 자료는 SAS(1996)의 General Linear 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하 Model Procedure

였고 유의성이 있을 경우, Ducan's multiple 로 처리 평균간의 차이 range test(Duncan, 1955)

를 P<0.05에서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Ⅲ .

증체량 사료섭취량 및 사료효율 1. ,

Bacillus subtilis 첨가에 따른 사양성적은 에서 보는 바와 같다 시험 주 동안

Table 2 . 0~3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효율은. BS0.1 처리구가 대 조구와 BS0.2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시험. 4~6주 동안 증체량과 사 료효율은 BS0.1 처리구가 대조구와 BS0.2 처리 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사, 료섭취량은 BS0.1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 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전 시험기간 동안. 일당 증체량은 BS0.1 처리구가 증가하는 경향

(5)

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사료효율 에서는 BS0.1 처리구가 대조구와 BS0.2 처리구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4~6주 동안의 사양시험 결과 BS0.1 처리구가 증체량 과 사료효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사료 내 생 균제 첨가수준이 증가 할수록 일당증체량이 더 욱 개선된다는 보고 길 등( , 2004)와 상이한 결 과를 나타났다 전 기간. (0~6주 의 사양시험 결) 과는 Lactobacillus를 위주로 하는 probiotics 제 제를 육성 비육돈에 첨가하여 급여한 경우 일- 당증체량이 대조구에 비하여 다소 향상되나 유 의성은 없었다는 보고 노 등( , 1995)와 비육돈 사료 내 Bacillus subtilis를 함유한 혼합 생균제 를 0.05%와 0.2%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생산성 에 유익한 개선 효과가 없었다는 보고(Park 등,

와 비교된다

2005) .

2. 영양소 소화율 및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

Bacillus subtilis 첨가에 따른 영양소 소화율 및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Table 3에서 보는 바와 같다. BS0.1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 교하여 건물 및 질소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높 게 나타났다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의 함량은. 처리구가 낮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 BS0.2

었다 일반적으로 생균제의 첨가는 생균제의. , 정장작용에 의해 장관내 pH가 저하되어 유해 균 생성을 억제시키고 유익균의 안정적인 정착 등 으로 사료의 기호성이 증 (Underdahl , 1982)

진 장관내 유익한 효소가 생산되어 영양소 소, 화율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암모니아. 는 장관내로 분비되는 요소가 요소분해 효소에 의해 암모니아로 분해되며(Wrong, 1981), 이러 한 암모니아는 가축의 성장을 저해하는 역할을 한다는 보고(Lin과 Visek, 1991)와 암모니아 가 스는 가축성장을 감소 및 호흡기 질병을 일으 킬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Headon과 Walsh, 홍 등 은 비육돈 사료내 복합생균 1994). (2002)

제의 첨가가 영양소 소화율을 향상시키고 분내 Table 2. Effect of dietary Bacillus subtili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in

finishing pigs1)

CON BS0.12) BS0.22) SE3) 0~3 weeks

ADG4) (g) 649 654 641 32

ADFI4) (g) 2,083 1,983 2,086 44

Gain/feed 0.312b 0.329a 0.307c 0.02 4~6 weeks

ADG (g) 639b 754a 645b 26

ADFI (g) 2,235b 2,306a 2,259ab 22

Gain/feed 0.286b 0.327a 0.286b 0.03 Overall

ADG (g) 645 698 643 15

ADFI (g) 2,155 2,145 2,172 32

Gain/feed 0.299b 0.325a 0.296b 0.02

1) Sixty pigs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89.5 ± 0.11 kg (SD).

2) Abbreviated BS0.1, added 0.1% of Bacillus subtilis ; BS0.2, added 0.2% of Bacillus subtilis.

3) Pooled standard error.

4) ADG, average daily gain; ADFI, average daily feed intake.

abcMeans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significantly differ at (P<0.05).

(6)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을 감소시켰다고 보고하 였는데 본 시험에서는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Bacillus subtilis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 는 경향을 보였다.

면역세포 변화 3.

Bacillus subtilis 첨가에 따른 혈액 내 단백질 변화는 Table 4에서 보는 바와 같다. Total

및 의 증가량

protein, albumin, WBC lymphocyte

Table 3. Effect of dietary Bacillus subtilis supplementation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fecal NH3-N concentration in finishing pigs1)

Item, % CON BS0.12) BS0.22) SE3)

Dry matter 65.99b 74.71a 71.45ab 1.90 Nitrogen 67.00b 74.99a 71.36ab 1.79

NH3-N(ppm) 565 520 475 43

1) Sixty pigs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89.5±0.11 kg (SD).

2) Abbreviated BS0.1, added 0.1% of Bacillus subtilis ; BS0.2, added 0.2% of Bacillus subtilis.

3) Pooled standard error.

abMeans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significantly differ at (P<0.05).

Table 4. Effect of dietary Bacillus subtilis supplementation on change in blood biochemical profiles in finishing pigs1)

Item CON BS0.12) BS0.22) SE3)

Total protein (g/dl)

0 days 7.86 7.96 7.90 0.13

42 days 7.88 7.84 7.71 0.21

Difference 0.02 -0.12 -0.2 0.18

Albumin (g/dl)

0 days 3.70 3.54 3.78 0.10

42 days 3.92 3.74 4.00 0.11

Difference 0.22 0.20 0.24 0.10

RBC, x106/mm

0 days 6.16 5.87 5.88 0.22

42 days 6.34ab 5.75b 6.54a 0.21

Difference 0.17ab -0.11b 0.65a 0.20 WBC, x106/mm

0 days 17.79 16.81 14.15 1.93

42 days 17.10a 13.75b 14.28ab 0.99

Difference -0.69 -3.05 0.13 1.42

Lymphocyte (%)

0 days 45.40b 47.80b 58.80a 2.94

42 days 47.20 41.00 52.80 4.60

Difference 1.80 -6.80 -6.00 6.37

1) Sixty pigs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89.5±0.11 kg (SD).

2) Abbreviated BS0.1, added 0.1% of Bacillus subtilis ; BS0.2, added 0.2% of Bacillus subtilis.

3) Pooled standard error.

abMeans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significantly differ at (P<0.05).

(7)

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적혈구 수의 증가량은 전 처리구에서. BS0.2 처리구가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Kluber 등 은 생균제의 자돈사료 첨가는 혈액 내 면 (1985)

역세포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보고하였으며 길 등(2004)은 돼지에서 지속적인 생균제 첨가 가 혈액 내 백혈구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 다고 보고는 본 시험의 백혈구 증가량의 결과 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Tortuero 등(1995)은 Lactobacillus spp.와 Steptococcus spp.의 혼합 생 균제는 자돈의 면역세포를 증가시킨다고 보고 하였으나 본 시험에서는 생균제의 효과를 찾을 수 없었다 생균제의 첨가는 비육돈보다 어린. 자돈에서 더 많은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하여

과 본 시험의 결과에서

(Jonsson Conway, 1992)

도 BS0.2 처리구에서 적혈구 수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Total protein, WBC, lymphocyte 및

의 함량에서는 생균제의 효과를 찾을 albumin

수 없었다 적혈구 수의 유의적인 증가는 성별. , 환경 등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고 계 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도체 특성 4.

Bacillus subtilis 첨가에 따른 도체 특성은 에서 보는 바와 같다 명도를 나타내는

Table 5 .

값과 황색도를 나타내는 값에서 처리구간

L* b*

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적색도를 나타내. 는 값은a* bacillus subtilis 첨가수준에 따라 증 가하였고 BS0.2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처리구. 별 등급 출현율은A BS0.2(60%), BS0.1(55%)와 순으로 나타났으며 및 등급의

CON(20%) A B

출현율은 BS0.1(100%), BS0.2(100%), CON(75%) 로 나타났다 도살 후 육의. pH, 육즙손실 근내, Table 5. Effect of dietary Bacillus subtilis supplementation on carcass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1)

CON BS0.12) BS0.22) SE3) Meat color

Lightness (L*) 39.74 41.53 42.38 2.27 Redness (a*) 8.80b 9.48ab 11.77a 0.97

Yellowness (b*) 3.38 3.3 4.13 0.73

Carcass grade(%)

A 20 55 60 -

B 55 45 40 -

C 15 - - -

D 10 - - -

Sensory evaluation

Color 2.41b 2.70ab 2.80a 0.11

Tenderness 2.39 2.5 2.62 0.11

Marbling 2.25 2.32 2.39 0.10

Drip loss(%)

3 Days 11.69 9.67 8.87 0.97

5 Days 13.70 11.43 11.47 0.93

7 Days 15.47 13.59 13.16 0.95

Meat pH 5.54 5.48 5.49 0.05

1) Sixty pigs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89.5±0.11 kg (SD).

2) Abbreviated BS0.1, added 0.1% of Bacillus subtilis ; BS0.2, added 0.2% of Bacillus subtilis.

3) Pooled standard error.

abMeans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significantly differ at (P<0.05).

(8)

지방도 및 경도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 이를 보이지 않았고 육색에서는, BS0.2 처리구 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양 등(1998)이 생균제제의 첨가 는 돼지의 도체등급 향상시키고 육색에 뚜렷한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와 유사하였다 그러나. , 육색에 있어서는 bacillus subtilis를 함유한 혼합 생균제의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L*, a*, b* 값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 었다는 보고(Park 등, 2005)와 상이한 결과이다.

등 은 비육돈 사료 내

Park (2005) Bacillus subtilis 를 함유한 혼합 생균제를 급여한 시험에서 돈 육의 pH 및 육즙손실은 생균제 급여구와 대조 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여 본 시험 결과와 유사하였다 육질의 평가는 육즙. 삼출 육색 조직감 및 근내 지방도에 의해 결, , 정된다 이러한 특성들 가운데 소비자들은 육. 색을 식육을 선택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시 하 고 있다 양 등. (1998)은 육성 비육돈 사료에- 4 가지 종류의 생균제를 급여하여 돈육의 외관을 검사한 결과 대조구와 비교하여 생균제 첨가구 가 육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생균제의 사료첨가는 돈육의 육미에 영향을 미친다는 보 고와 본 시험의 Bacillus subtilis 첨가 수준에 따 라 육색이 높게 나타난 결과는 유사하였다 본. 시험결과 적색도의 증가는 관능검사 결과와 일 치하는 경향을 보여 사료내 생균제의 첨가는 육의 색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나 돼지 사료 내 생균제 첨가가 육색에 미치는 영 향에 대한 정확한 기전이 밝혀지지 않은 바 계 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요 약

Ⅳ .

본 연구의 목적은 Bacillus subtilis의 첨가에 의한 비육돈에 있어 성장능력 면역세포 변화, ,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 및 도체특성에 미 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원. 3 교잡종(Landrace × Yorkshire ×Duroc) 비육돈 60

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의 체중은 89.5±

이었고 일간 실시하였다 처리는 대조

0.11kg 42 .

구 대조구 사료에, Bacillus subtilis를 0.1%

과 첨가구로 개 처리를 하

(BS0.1) 0.2%(BS0.2) 3

여 처리당 반복 반복당 마리씩 완전임의 배5 , 4 치하였다 시험. 0~3주 동안 증체량과 사료섭취 량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 료효율은 BS0.1 처리구가 대조구와 BS0.2 처리 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시. 험 4~6주 동안 증체량과 사료효율은 BS0.1 처 리구가 대조구와 BS0.2 처리구와 비교하여 유 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사료섭취량은 BS0.1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전 시험기간 동안 일당 증체량은. 처리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 BS0.1

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사료효율에서는, BS0.1 처리구가 대조구와 BS0.2 처리구보다 유의적으 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영양소 소화율에서는. 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건물 및 질 BS0.1

소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암모니 아태 질소의 함량은 BS0.2 처리구가 낮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Total protein, albumin,

및 의 증가량은 처리구간에 유

WBC lymphocyte

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적혈구 수의 증. 가량은 전 처리구에서 BS0.2 처리구가 가장 높 은 결과를 보였다 도살 후 육의. pH, 육즙손실, 근내지방도 및 경도에서는 처리구간에 유의적 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육색에서는 BS0.2 처 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육색에서는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bacillus subtilis 첨가수준에 따라 증가하였고 BS0.2 처 리구가 가장 높았다 처리구별 등급 출현율은. A

와 순으로

BS0.2(60%), BS0.1(55%) CON(20%)

나타났으며 A 및 B 등급의 출현율은 BS0.1 로 나타났다 (100%), BS0.2(100%), CON(75%) . 결론적으로 비육돈 사료내 bacillus subtilis의 첨 가는 영양소 소화율의 향상 적혈구 수의 증가, , 육색 및 도체등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 료된다.

(9)

인 용 문 헌

Ⅴ .

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6th Edition.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USA.

2. Chaney, A. L. and Marbach, E. P. 1962. Modified regents for determanition of urea and ammonia.

Clinical Cheistry. 8:131-139.

3. Chiang, S. H. and Hsieh, W. M. 1995. Effect of direct-fed microorganisms on broiler growth per- formance and litter ammonia level. Asian- Australian J. Anim. Sci. 8:159-162.

4. Duncan, D. 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tests. Biometrics 11: 1.

5. Fuller, R. 1989. Probiotics in man and animal. A Review. J. Appl. Bacteriol. 66:365-371.

6. Headon, D. R. and Walsh, G. 1994. Biological control of pollutions principle of pig science.

In Biotechnology in the Feed Industry, D. J. A.

Cole, J. Wiseman and Varley, M. A. (Eds.), Nottingham University Press, Nottingham, U. K.

pp. 375-384.

7. Hill, I. R., Kenworthy, R. and Poter, P. 1970.

Studies of the effect of dietary Lactobacilli on intestinal and urinary amines in pigs in realation to weaning and postweaning diarrhea. Res. Vet.

Sci. 11:320-326.

8. Jonsson, E. and Conway, P. 1992. Probiotics for pigs. In: R. Fuller (Ed.) Probiotics: The Scien- tific Basis. Champman & Hall, London. pp.

260-316.

9. Kato, I., Yokokura, T. and Mutai, M. 1983.

Macrpphage activation by-Lactobacillus casei in mice. Microbial. Immunol. 27:611-623.

10. Kluber, E. F., Pollmann, D. S. And Blecha, F.

1985. Effect of feeding Streptococcus faecizim to artificially reared pigs on growth, hematology and cell-mediated immunity. Nurt. Rep. Int. 32:57.

11. Kunin, C. M. 1993. Resistance to antimicrobial drugs: a worldwide calamity. Ann. Inter. Med.

118:557-561.

12. Lin, H. C. and Visek, W. J. 1991. Colon mucosal cell damage by ammonia in rats. J. Nutr.

121:887-893.

13. Mathew, A. G., Chattin, S. E., Robbin, C. M. and Golden, D. A. 1998. Effects of a direct-fed yeast

culture on enteric microbial populations fermenta- tion acid, and performance of weanling pigs. J.

Anim. Sci. 76:2138-2145.

14. Mordenti, A. 1986. Probiotics and new aspects of growth promoters in pig production. Information Zootechnology. 32:69-80.

15. NRC. 1998. Nutrient Requirement of swine. 10th Edition.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pp. 110.

16. Park, J. H., Park, H. S., Heo, S. N., Lee, S. N.

and Ryu, K. S. 2005.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l EM on Growth of pigs and pork Quality. Bulletin. Agri. College. 36:103-116.

17. Pollman, D. S. 1986. Additives, Flavors, enzymes and probiotics in animal feeds. Proc. 22nd Annual Nutrition Conference. Univ. of guelph.

18. Pollman, D. S., Danielson, D. M. and Peo, E. R.

1980. Effects of microbial feed additives on performance of starter and growing-finishing pigs.

J. Anim. Sci. 51:577-563.

19. Saartchit, T. and Sullivan, T. W. 1990. Influence of a dried Bacillus subtilis culture and antibiotics on performance and intestinal microflora in turkeys. Poultry. Sci. 69:1966-1973.

20. SAS. 1996. SAS User Guider. Release 6.12 edition. SAS Inst. Inc. Cary NC. USA.

21. Tortuero, F., Rioperez, J., Fernandez, E. and Rodriguez, M. L. 1995. Response of piglets to oral administ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J. Food.

Protect. 58:1369-1374.

22. Underdahl, N. R., Torres-Median, A. and Doster, A. R. 1982. Effect of Streptococcus faecium C-68 in the control of Escherichia coli-induced diarrhea in gnotobiotic pigs. J. Vet. Res. 43:2227-2232.

23. Vanbelle, M. 1989. The European perspective on the use of animal feedadditives. In Biotechnology in the 7. Feed Industry, T. P. Lyons (Ed.), Nottingham University Press, Nottingham, U. K.

pp. 375.

24. Wrong, O. M. 1981. Nitrogen compounds. In the Large Intestine: Its Role in Mammalian Nitrogen and Homeostasis, O. M. Wrong, C. J. Edmonds and V. S. Chadwick (Eds.).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 133.

25. Xuan, Z. N., Kim, J. D., Heo, K. N., Jung, H. J., Lee, J. H., Han, Y. K., Kim, Y. Y. And Han, I.

(10)

K. 2001.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biotics complex for weaned pigs. Asian-Aust. J. Anim.

Sci. 14:1425-1428.

26.길동용 임종선 전경철 김법균 김경수 김유용, , , , , . 지속적인 생균제의 첨가가 돼지의 성장

2004. ,

영양소 이용율 혈중요소태 질소 및 면역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46: 39-48.

27.노선호 문홍길 한인규 신인수, , , . 1995. 사료중 성

장촉진제가 돼지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

산학회지. 37:66-72.

28.류경선 박흥석 류명선 박수영 김상호 송희종, , , , , . 생균제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과 장내 1999.

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

26:253-259.

29. 민태선 한인규 정일병 김인배, , , . 1992. 사료내 항생제 복합설파제 유산동 복합효소제 생균제, , , , 의 첨가가 돼지의 성장능력 및 도체특성에 미치 는 효과 한국영양사료학회지. . 16:265-274.

30.박재홍 임오채 나종삼 류경선, , , . 2003. 효모배양

물의 급여가 육성 비육돈의 생산성 영양소 소 ,

화율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45:219-228.

31. 양승주 현재석 양창범 고석민 최홍훈, , , , . 1998.

생균제의 첨가가 육성비육돈의 성장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 40:21-30.

32. 전병수 곽정훈 유용희 차장옥 박홍석, , , , . 1996.

효소 생균 및 유카제의 첨가가 돼지의 성장과,

분악취 발생성분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학회.

지. 38:52-58.

33. 한인규 채병조 박응복 이광득, , , . 1982. 돼지에 관 Streptococcuss faecium(SF-68)의 성장촉진과

하리방지효과 및 장애 미생물에 관한 연구 한국.

영양사료학회지. 6:63-76.

34. 홍종욱 김인호 권오석 김지훈 민병준 이원백, , , , , . 자돈 및 비육돈에 있어 생균제의 첨가가 2002.

생산성 및 분내 가스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

동물자원과학회지. 44:305-314.

접수일자

( : 2005. 7. 28. /채택일자 : 2005. 12. 13.)

참조

관련 문서

ABSTRACT: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amounts of dietary linoleic acid (LA) on growth performance, serum biochemica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yucca extract and (or) far infrared emitted materials supplementation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titumor and immunomodulatory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against Hepa-1c1c7 and Sarcoma 180 cancer cells in

Effect of enzymes and probiotics on ammonia production. Probiotics for pigs. Fuller) Probiotics: The Scientific Basis. Chapman and Hall, London. Effect of continuous

The curr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mbinations of an LAB complex, Bacillus and yeast, supplemented to a basal diet, on performance,

ABSTRACT: The effects of dietary Coptis chinensis herb extract (CHE) on growth performance, blood characteristics, nutrient digestibility and meat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artial or total replacement of maize on nutrient digestibility,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BSTRACT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dietary crude fiber levels on the growth and intestinal carbohydrases of goslings. Thirty-two, 2 week o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