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우에서 육량특성에 대한 성별 간 차이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한우에서 육량특성에 대한 성별 간 차이"

Copied!
1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동물자원연구. 17:65-75, 2006. Annals of Animal Resource Sc iences 17:65-75, 2006. 한우에서 육량특성에 대한 성 별 간 차이 최한나 · 전호광 · 이정훈 · 김종복*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Comparisons of Meat Yield Traits among Cow, Steer and Bull in Hanwoo.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15 PM. Hanna Choi, H o-Kwang Jeon, Jeong Hoon Lee and Jong Bok Kim*. Department 01 Animal Resources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π1e. beef carcass grading systems started from 1992 in Korea is subdivided into meat. grade system both grade are Ev따. by the fat. carcass of. 여uation. 산ùckness. ca버e. that was. import없1t. for beef producer to obtain. is group into four classes, as A, B, C or 0 prelirr삐값y. set up using cold. hi양1er. and meat yield. profit from beef production.. (이sq뻐퍼e이,. 떠rcass wei양1t. q뻐liη. on the meat index. 때α.!lated. (CW), eye muscle area (EtvfA) and back. (BFT) and was approved by the govemment. The decision of yield grade is reached on the class. grouped. Carcasses with. 끼eld. grade closed to ’ A were assumed to have. hi양1er. proportion of. sa1않ble. lean. meat. The system for beef carcass grading was revised sever머 times, as the surroundin~뿜 for 뾰ef production and marketing change rapidly, and also the first version of meat yield grading system including classification S떠n벼rd. The. and equation of meat yield index was revise at 1999 and 2004.. 0비e띠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changes of meat. yi러d. comp앙'e. 꺼eld. the meat. characteristics among cow, bull and steer, and. index and yield grade on the revision of meat yield grading system.. data used in this study included 24 cows, 79 bulls and 20 steers. all anima1s were raised in 뻐nWI∞ Ex야fiment떠. Station and. slau양1tered. Institute. Traits analyzed were cold index 1. (1뻐1dex1),. meat. yi러d. 대ekwanryeong. at the Suwon Research Center of National Uvestock. Rese값ch. www.earticle.net eye muscle area, back fat thickness, yield grade, meat yield. c값casswe양1t,. index 2 (Mindex2), meat yield index 3 (Mindex3) , where mindexl, 2 and 3 were. calculated on the equation in first version, second version revised at 1999 and third version revised at respectively. The carcasses of steer showed sma11er. 마t1Ä,. of bull, and the carcasses of cow tend to be sma11er in yi리d. 깐1e. 21αμ/. thicker BFT, and lower meat yield index than those. 많1A,. thicker in BFT than those of bull or steer. meat. indiæs (Mindex1, Mindex2, and Mindex3) of cow carcass were not differ from. 납10se. of steer carcass.. As the revision of gra따19 system continue, meat yield index was decreased. However the percentage of hi양1. meat yield grade was increased because grouping standards for yield grade were mitigated with the progress of revision. The. r않띠t. of path. 뻐머ysis. showed that. 삼1e. influence of BFT on meat. 끼eld. index was. and those of CW and EMA were deσeased with the revision of eqation for meat yield index. CW, EMA and BFT estimated by path analyses with the equation 삐at is currently being. * Corresponding author: Jong-Bok. Kim,. 많ed. were. Tel: 82-33-250-8624 Fax: 82-33-244- 2532 E-mail: jbkim@kanwon.ac.kr. inσeased. Partial r 2 of r얹뿜tively.

(2) 동물자원연구 제 17권. 66. 0.17,. o.æ and 0.80 in cow,. meat. 꺼eld. 0.09, 0.27 뻐d 0.64 in bull and 0.10, 0.00 and 0.90 in steer. These. index was affected more severely by BFT in. of variation in. st,많r. (2006). than in. COW. 따1. r얹띠ts. imply that. sex classes and BFT was more important source. or bull carcasses.. Keywords: carcass, grading, meat yield index, 때ation. I. .서. 론. 우리나라에서 거래되는 모든 소 도체는 등급이 판정된 후 거래되고 있다. 도체 둥급제는 소고기 품질 평가에 객관 적인 기준을 제공하므로 서 소비자가 안심하고 양질의 소고기를 정당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는 길을 마련해 줌과. 아울러 부정육이 유통될 수 있는 여지를 줄여준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생산자 입장에서는 품질이 우수한 소고기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15 PM. 를 생산할 경우 그에 상웅하는 가격을 받고 자기가 생산한. 소고기를 판매할 수 있는 길을 제공받게 되므로 매우. 중요하고 필요한 제도이다. 소에서 도체 둥급은 육질동급과 육량둥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매시장에서 도체의 거래가격도 육질둥급과 육량둥급에 의해 결정되는데 특히 육질둥급이 육량등급보다 더 크게 가격결정에 영향을 미. 친다. 그러나 생산자 입장에서 소 사육에 의한 수익성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육질등급 뿐 만 아니라 육량둥급을. 향상시키는데도 깊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도체퉁급제가 정착되면서 한우 사육농가들은 우수한 도체둥급을 받을 수 있는 방향으로 비육우 사양체계를 개선해 오고 있는데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고급육 생산을 위한 사양기법은 거세를 하거나 비육기간을 연장하여. 출하시기를 늦추는 것이다. 거세를 하거나 사육기간을 연장하게 되면 도체의 육질등급은 개선되는 효과가 인정되고. 있으나 육량등급에서는 그 효과가 의문시되고 있다. 특히 거세를 하거나 비육기간을 연장하게 될 경우 도체의 둥지 방 두께가 두꺼워지고 도체중이 무거워지므로 서 육량등급 개선에는 오히려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육. 질퉁급을 개선하려는 노력과 더불어 육량등급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의 연구도 꾸준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소에서의 육량퉁급은 실중실험을 통해 만들어진 수학적 공식으로 육량지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육량지수를 일정한 기준에 의해 몇 개의 계급으로 분류한 것인데, 육량지수를 산출하는 수학적 공식은 등지방 두께I 냉도체중 및 배최장 근 단면적과 각각의 회귀계수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 소도체 둥급제가 만들어진 것은 1990년 5월이고 시범실시는 1992년 7월에 서울공판장에서 시작되었는데 그 이후 소 사육 농가들의 사양패턴과 소고기 유통 환경이 변화함에 따. 라 수차례에 걸쳐 도체둥급판정기준이 개정되었고/ 아울러 육량지수를 산출하는 공식과 계산된 육량지수를 육량등 급으로 분류하는 기준도 1997년 11 월(농림부 고시 제 1997-66호)과 2004년 11 월(농림부 고시 제2α>4-66호) 둥 2차례에 걸쳐 전면적으로 개정된 바 있다.. www.earticle.net. 본 연구는 1) 도체등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부 형질들 즉 냉도체중I 배최장근 단면적, 등지방두께, 지방교잡도, 육량지수 등에 대한 성별 간 차이를 규명하고,. 2) 소 도체 둥급 판정에 사용되고 있는 육량지수 산출. 공식과 육량퉁급 분류기준이 개정됨에 따라 육량퉁급 출현율과 육량지수가 성별로 어떻게 변하였는지I 그리고 3) 육량지수에 대한 냉도체중, 배최장근 단면적 및 둥지방두께의 상대적 영향력이 성별로 어떻게 다른가를 파악하고 져 실시하였다.. 11 . 재료 및 방 법 1. 공시동물 및 시험기간 대관령에 소재한 축산기술연구소 한우시험장에서 사육된 한우 1경두 였는데 이중 거세우가 20두 암소가 24두 그리 고 비거세 수소가 79두였다. 수소와 거세우는 2002년 3월부터 2뼈년 사이에 출생하여 2004년 3월부터 2005년 4월사. 이에 도축되었으며 거세우에 대한 거세는 사육 목장 관행에 따라 대략 10-117~ 월 령 사이에 외과적인 방법으로 실시.

(3) Comparisons of meat yield traits among cow, steer and bull in Hanwoo. 67. 되었다. 도축시 평균 일령은 거세우가 약 850일 그리고 비거세우가 약 740일로서 거세우는 비거세우에 비해 110일정 도 도축시기가 늦었다.그리고 암소는 2005년도 1 월에 모두 도축되었는데 생년월일이 알려지지 않은 관계로 도축시. 일령을 파악할 수 없었다.. 2.. 조사항목 및 방법. 시험축에 대한 도축은 경기도 수원에 소재한 축산기술연구소 육가공 실험에서 실시하고/ 농림원199끼에서 고시한 방법에 준하여 배최장근 단면적, 둥지방두께I 냉도체중/ 근내지방도 등을 조사하였다.. 육량지수 산출 공식은 도체둥급제도가 실시된 이래 지금까지 모두 3번 바뀌었는데/ 바뀐 3개의 공식을 모두 이용하 여 육량지수를 구하고 각 육량지수별로 육량 지수 산출공식이 사용되던 시기에 적용하였던 육량등급 분류기준을 적 용하여 육량동급을 A, B, C 세 둥급으로 분류하였다..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15 PM. 1). 않필식. 1. 산출공식1은 도체 등급제가 처음 만들어진 1990년도부터 1997년11 월 까지 적용되던 공식으로서 이 공식에 의해. 계산된 육량지수를 육량지수1 로 정하였다.. 육량지수1 = 74.80 - [2.001 x 등지방 두께 (crn) + 0.075 x 배최장근 단면적 (crn. 2) -0.014 x 냉도체중 (kg)]+육용종. 도체에 대한 가산점 (1.58) 육량지수1은 이 공식이 시용되던 시기에 적용되던 분류기준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육량A, B 및 C 등급으로 분류하 였다. A둥급= 육량지수77 이상. 낀 -t!홀공식. B등급= 육량지수. 74.5. 이상~77미만. C둥급=육량지수. 74.5. 미만.. 2. 산출공식2는 1997년12월부터 2004년 11 월 까지 적용되던 공식으로서 이 공식에 의해 계산된 육량지수를 육량지수 2로 정하였다.. 육량지수-2. = 65.834 - [0.393 x 둥지방 두께 (mm) + 0.088 x 배최장근 단면적 (crn. 2) -0.008 x 냉도체중 (kg)] +육. 용종도체에 대한 가산점 (2.01) 육량지수2는 이 공식이 사용되던 시기에 적용되던 분류기준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육량A, B 및 C 등급으로 분류 하였다. A둥급= 육량지수69 이상. B둥급= 육량지수 66 이상~69미만~. C둥급=육량지수 66 미만. www.earticle.net 3) -t!훌공식 3 산출공식3은 2004년 12월부터 지금 까지 적용되고 있는 공식으로서 이 공식에 의해 계산된 육량지수를 육량지수3 으로정하였다.. 육량지수3. = 68.1없 -. [0.6정. X. 둥지방 두께 (mm) + 0.130 x 배최장근 단면적 (crn. 2) -0.따~4 x 냉도체중 (kg)] +한. 우도체에 대한 가산점 (3.23). 육량지수3은 현행 도체둥급 기준에서 적용하고 있는 분류기준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육량A, B 및 C 둥급으로 분류하였다.. A둥급= 육량지수67.5 이상 B둥급= 육량지수 62 이상~67.5미만, C둥급=육량지수 62 미만. 3. 통계처리 냉도체중, 배최장근 단면적/ 둥지방두께/ 지방교잡도/ 그리고 육량지수1, 2 및. 3. 둥에 대한 거세듀서 비거세우 및 암. 소도체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SAS pakage의 PROC GIM을 이용하여 일원분류법에 따른 분산분석을 실시하.

(4) 동물자원연구 제 17권. 68. (2006). 고 그룹별 평균치간 차이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PROCGLM의 띠iff option을 이용하여 실시한 후l 성별로 구분하여 형질들 간의 표현형 상관계수를 추정하였다.. 육량지수에 대한 냉도체중I 배최장근 단면적 및 둥지방두께의 상대적 중요도는. path coefficient 떠 (C C. Li, 1975) 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pa야1. coefficient (P). = 중회귀. 계수x 종속변량의 표준 편차에 대한 해당 독립변량의 비율. 특정 독립변량의 부분 결정계수 (partial r 2 ). =. 해당 독립 변량의 독립 효과 + 다른 독립변량 1 들과의 결합효과 평균치. 독립 변량의 독립 효과.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15 PM. 다른 독립 변량. 1. 행당 독립변량의. 들과의 결합 효과 평균치. =. P)2. 설. (해당 독립 변량의 Px 해당 독립 변량과 다른 독립 변량. z. 와의. 상관 계수 x 다른 독립 변량 1 의 P) / 다른 독립 변량의 쉬n). 11 1. 결과 및 고찰. 1.. 도체형질의 성별 평균능력 표1 에는 조사형질 들에 대한 성별 평균치가 표시되어 있다. 냉도체중은 거세우 및 비거세우가 각각. 聊.49. kg. 그리고 암소가 3엉.96 kg으로서 거세우나 비거세우는 암소에 비해 각각. 60. kg과. 75 kg. 385.48. 및. 더 무거웠다. 그러나. 거세우와 비거세우 칸의 냉도체중 차이는 15kg으로 작은 편이었다. 배최장근 단면적은 거세우가 비거세우에 비해. 작은 편이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으며 암소는 거세우나 비거세우에 비해 작았다. 등지방두께는 거세우가 비 거세우에 비해 두꺼웠으나 암소보다는 앓았으며/ 근내지방도는 거세우, 암소, 비거세우 순으로 양호했다. 육량지수1,. 육량지수 2 및 육량지수3 모두 비거세우가 암소나 거세우에 비해 높았으며/ 암소와 거세우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거세는 지방교잡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배최장근 단면적이 줄어들고 등지방두께가 두 꺼워지므로서 육량지수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나타난 거세우와 비거세우. 간의 차이를 해석할 때는 연령의 차이가 있음을 고려해야하는데I 본 연구에서 이용된 자료의 평균 도축일령은 거세 우가 850일 비거세우가 740일로서 두 그룹의 도축일령은 거세우가 110 일정도 더 늦었다. 약 740일을 전후하여 도축된 한우거세우의 도체 형질에 대한 평균치를 살펴보면, 최 등(2006) 은 1996년부터 2002년 사이에 후대검정에 공시되었던 거세우 2532두를 약 24개월령에 도축한 결과 냉도체중/ 배최장근 단변적/ 둥지방두께. www.earticle.net. 의 평균치가 각각 3따.61 k용 74.92 α112 빛 7.24 mm였고 변동계수는 각각 11 .39, 11 .28 및 42.27 %로 둥지방두께의 변이계수가 다른 두 형질의 변이계수에 비해 더 컸다고 하였으며, 노 둥(2뼈)은 1996년부터 2001 년 사이에 후대검정 을 거친 거세우 6162두를 평균 726 일에 도축하여 냉도체중I 배최장근 단면적 및 둥지방두께는 각각. 301.93 k용 74.93. m2 및 0.73 crn 그리고 각각의 변이계수는 11.25,11.44 및 42.없% 였음을 보고한 바 있고/ 강 등(2뼈)은 7개월령 한우 거세우를 18개월간(2001년 7월부터 2002년 12월) 비육하여 도축한 결과 냉도체중l 등지방두께y 배최장근 단면적 및 육량지수의 평균치는 각각. 369.9 kg, 9.9 rnrn, 87.7. c따 및 68.7% 였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비거세우의 냉도. 체중/ 배최장근단면적l 등지방두께의 평균을 1 로 보았을때 암소와 거세우의 냉도체중은 비거세우의 0.81 배 및 0.96배,. 배최장근 단면적은 0.89및 0.94배 그리고 등지방두께는 1.89 및 1 .51 배로서 냉도체중이나 배최장근 단면적보다는 등 지방두께에서 비거세우와 암소간 또 비거세우와 거세우간의 차이가 더 컸다. 한편 이 등(2005) 은 암소가 수소 및 거세우에 비하여 냉도체중이 가벼웠고/ 둥지방 두께는 암소가 거세우나 비거 세우보다 더 두꺼웠으며, 배최장근단면적은 수소가 암소 나 거세우에 비하여 넓었 음을 보고하였으며 정 둥(2iα)6)은. 평균 연령 8.5세인 한우 노산우를 8개월간 비육과 발정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rnel밍19esterol. acetate(MGA).

(5) Comparisons of meat yield traits among cow, steer and bull in Hanwoo. 69. Table 1. Simple statistics for each trait. Sex. Traits CW(kg). Cow B버1. Steer EMA(cm'). αw. BFr(mm). Steer Cow. B띠1. B버l. Steer. MS. Cow.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15 PM. Bull h따ndex1. h뼈ldex3. 32껑 5.96b. 24 79 20 24 79 20 24 79 20. 400.49" 였5.48. a. 94.39" 88.때a. 10.50" 5.55" b 8.40. deviation. variation(%). 44.49 45.12 35.40 9.72 13.65 7.36 3.07 3.08 3.13. C. O.π. 4.ωa. 1.78 0.83 1.11 0.67 1.29 1.66. B띠1. Steer. 20. 69.23. Cow. 24. B띠l. 79 20. Steer. Coeffident of. 1.56. a 76.74 b 75.93. Steer Cow. Standard. 1 .52. 24 79 20 24 79 20 24 79. Steer Cow B버l. Mindex2. Mean. n. 70.76" b. 70. 60" b 68.40. 13.65 11.26 9.18 11.53 14.53 8.33 29.32 55.뼈. 37.32 53.74 45.26 38.88 1.æ 1.44 0.89 1.88 2.34. 1.18. 1.π. 2.15. 3.17. 2.62 1.93. 3.π. 2.83. CW : cold carcass wei뱅t , 없A: eye-m따de area , BFr : backfat thlckness , 뻐 : marbling score (l (poor) - 7(be혜) , Mindex1(2,3) : meat 끼eld index score 떠lculated by equation1(2,3) a,b,c Meanswi암1 벼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rne column si맑ificantly 며ffer at p<O.05 를 처리한 결과 둥지방두께/ 배최장근 단면적l 냉도체중 및 육량지수는 대조구에서 각각 14.75m m, 77.1 7 c때 용4.83. kg 및 63.95% 였고 처리구에서 각각 12.00 mm, 85.58 cnf, 351.33 kg 및 66.60% 였다고 하였다.. 2.. 육랑지수 산출공식과 육량등급 분류기준의 개정에 따른 효과 표1 에서 육량지수1 의 평균을 1로 보았을 때 육량지수 2와 육량지수3의 상대적 크기는 암소에서 각각 0.90 및 0.89,. www.earticle.net. 거세우에서 각각 0.91 및 0.90 그리고 비거세우에서 각각 0.92 및 0.92 였다. 이것은 나중에 개정되었던 2개의 산출. 공식이 처음 사용되었던 산출 공식에 비해 육량지수를 낮추는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비거세우보다는 거세우나 암소 에서 그 효과가 더 컸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비거세우보다 거세우나 암소에서 육량지수를 낮추는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난 원인은 산출 공식이 개정되면서 상대적으로 둥지방두께의 계수가 냉도체중의 계수나 배최장근 단면적의 계 수에 비해 더 커졌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는데 둥지방두께의 계수는 처음 사용되었던 산출공식1 에서는 -2.001 (crn) 였으나 그후 산출공식2에서는 0.393(mm) 로 산출공식1 에 비해 1.96배 더 커졌으며 산출공식3 에서는 그 계수가 0.625 (mm) 로 산출 공식1 에 비해 3.12 배 커졌다. 반면에 배최장근 단면적과 냉도체중의 회귀계수는 산출 공식2에서 각각. 1.17 및 0.57배 그리고 산출 공식3에서 각각 1.73 및 1.π 배 중가하는데 그쳤다. 한편/ 산출 공식3으로 계산된 육량지수3과 산출공식2로 계산된 육량지수 2를 비교해보면 암소와 거세우에서는 육 량지수3이 육량지수2에 비해 약1% 정도 낮았으나. 비거세우에서는 육량지수2와 육량지수3의 크기가 비슷하였다.. 이것은 산출 공식3으로 개정하므로 서 산출 공식2를 λF용할 때에 비해 육량지수를 낮추는 효과가 암소와 거세우에서 는 1%정도였으나 비거세우에서는 그 효과가 없었음을 의미한다..

(6) 동물자원연구 제 17권. 70. (2006). Table 2 Olanges of yield grade on meat yield index Yield grade. h퍼ndex2. Mindex2. Mindex1 냥x. N. %. N. %. N. A. 1. 4.17. 6. 25.00. 11. 45.83. B. 23. 95.없. 18. 75.00. 13. 54.1 7. Sub sum. 24. 100. 24. 100. 123. 100. A. 8. 10.13. 70. 88.61. 72. 91.14. B. 66. 83.54. 8. 10.13. 7. 8.86. C. 5. 6.33. 1. 1.27. Sub sum. 79. 100. 79. 100. 79. 100. 13. 65.00. 16. 80.00. Cow. C. B띠l.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15 PM. A Steer. B. 20. 100. 7. 35.00. 4. 20.00. Sub sum. 20. 100. 20. 100. 20. 100. A. 9. 7.31. 89. 72.36. 99. 80.49. B. 109. 88.62. 33. 26.83. 24. 19.51. C. 5. 4.07. 1. 0.81. Sum. 123. 100. 123. 100. 123. 100. C. Total. 표2에는 육량지수 산출 공식별로 계산된 육량지수를 해당 공식이 사용되던 시기에 적용되었던 육량둥급 분류 기준 에 의거하여 분류한 육량둥급의 출현 빈도가 표시되어 있다. 육량지수1과 산출 공식1 이 적용되던 시기의 분류기준으로 조사된 육량 A둥급은 암소가 24두 중 1두인 4.17%, 비거. 세우가 79두 중 8두인 10.13% 그리고 거세우 도체 20두 중에는 A등급으로 분류되는 도체는 없는 반면 C둥급으로 분류되는 도체는 5두 분이 있었다. 육량지수2와 산출공식2가 적용되던 시기의 분류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육량지수1 과 산출 공식1의 분류기준에 의해 얻어진 결과와 비교하면 산출 공식2와 그 분류기준을 적용하므로 서 A둥급 출현율 이 현저히 높아져서, A둥급이 전혀 없던 거세우 도체에서 65% 인 13두가 A둥급으로 분류되었으며r 비거세우와 암소. 도체에서도 A등급 출현율은 각각 88.61% 및 25%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육량지수3과 산출공식3의 분류기준을 적용. www.earticle.net. 한 결과 A둥급 출현율은 더 높아져서 거세우에서 80%, 비거세우에서 91% 그리고 암소에서 45.83% 로 늘어났다.. 산출 공식1 에서 공식2로 그리고 공식2에서 공식 3으로 바뀌면서 육량 A둥급의 출현빈도는 높아졌지만 암소는 비거 세우나 거세우에 비해 출현빈도의 상숭폭이 작은 편이었다.. 이렇게 A 둥급 출현빈도의 증가폭이 비거세우와 거세우에서 비교적 높고 암소에서는 낮은 차이를 보이는 것은 육량 산출 공식 중 둥지방 두께의 가중치에 있는 것 같다. 즉 퉁지방 두께의 가중치가 산출 공식 1 에 비해 산출 공식2와 산출 공식3에서 점차 커지면서 둥지방 두께가 제일 두꺼웠던 암소에서 육량지수가 더 크게 감소하므로 서 거세우나. 비거세우에 비해. 육량A퉁급 출현율의 상숭폭이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육량 B 등급이나 육량 C 둥급의 출현율은 산출 공식과 분류 기준이 개정되면서 현저하게 낮아졌다.. 3. 조사형 질들 간의 표현형 상관계수 표3에는 냉도체중I 배최장근단면적, 둥지방두께, 지방교잡도/ 육량지수1, 육량지수2 및 육량지수3 들 간의 표현형 상관계수가 성별로 표시되어 있다..

(7) Comparisons of meat yield traits among cow, steer 뻐d bull in Hanwoo. 71. Table 3.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CW, EMA, BFf, MS and three meat yield in버ce for each sex of carcass. Sex. Traits. cvv. cvv. EMA o.없5**. EMA. BFT. MS. n=24. Mindex1. h따ndex1. Mindex2. Mindex3. 0.296. 0.501*. -0.367. -0.098. -0.357. O.경5. 0.286. 0.190. 0.253. 0.æ7. -0.009. -0.755**. -0.861**. 0.900**. -0.118. 0.060. -0.072. 0.933**. 0.966**. BFT αw. MS. Mindex2. 0.964**. Mindex3.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15 PM. cvv. O. “)3**. EMA B버l. B1π. n=79. MS. o.끊0**. -0.086. -0.146. 0.014. -0.214. 0.002. -0.126. 0.544**. 0.578**. o.때1**. 0.175. -0.748**. -0.802**. -0.873**. -0.165. -0.201. -0.179. 0.970**. o.앙칸*. Mindex1. o.φ3**. Mindex2 Mindex3. cvv EMA Steer. BFT. n=20. MS. 0.672**. 0.131. -0.678**. -0.303. -0.α'f7. -0.238. 0.282. -0.471*. 0.062. o.아B. -0.086. -O.ffi6. -0.78'양*. -0.914**. -0.928**. 0.145. -0.0않. 0.1 01. 0.924**. 0.961**. Mindex1. 0.972**. Mindex2 Mindex3. CvV : cold c않C잃s wei아t , EMA : eye-m때e area , BFT : ba빠'at thickness, Mindex1(2,3) : meat yi마d index score c머,00없ed by equation1(2,3) ** : p<O.01 , * : p<0.05. 뼈 :. marbling score (1 (P∞r) - 7(best)),. www.earticle.net 냉도체중과 배최장근 단면적 그리고 냉도체중과 둥지방두께 간의 상관 계수는 암소/ 거세우 비거세 수소 자료 모 두에서 001=(+)으로 추정되었다. 이것은 성별 구분 없이 모든 도체에서 냉도체중이 무거울수록 등지방두께가 두껍고. 배최장근 단면적이 넓었음을 의미하는데/ 이 등(2005)도 한우에서 도체중이 높을수록 등지방두께가 두꺼워지고 배최 장근 단면적이 넓었으며I 배최장근 단면적과 둥지방두께 간에도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음을 보고한 바 있고/ 박과. 박(~뼈:, 2003)도 한우 비거세우에서 냉도체체중/ 배최장근 단면적 및 등지방두께 들 칸에 양의 표현형 상관 계수를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김 등 (1999)은 동일사육장에서 사육된 227~ 월령부터 26개월령 사이의 한우 거세우에서 냉 도체중과 둥지방 두께간에는 낮은 부의 표현형 상관 계수(r=-0.16) 추정치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냉도체중과 지방교잡도간의 상관계수는 암소에서는 +0.50으로 양수였으나 거세우 자료에서는 -0.68로 서 음수였다. 이러한 결괴는 암소의 경우 냉도체중이 무거운 도체일수록 지방교잡도도 양호한 경향을 보였던 반면. 거세우에서는 냉도체중이 무거운 도체일수록 지방교잡도가 오히려 불량한 경향을 보였음을 시사한다. 냉도체중과 지방교잡도 간의 상관계수에 대해서 암소와 거세우간에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추가의 연구를 통해 밝혀야할 필요. 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데/ 박과 박(2α>2)은 227~ 월령에 도축하여 조사한 비거세 한우도체에서 냉도체중과 지방교.

(8) 동물자원연구 제 17 권. 72. (2006). 잡도간의 표현형 상관계수는 +0.06으로 낮았음을 보고하였으며/ 김 둥(1옛)9)음 22-267~ 월령 사이에 도축한 한우 거세 우에서 냉도체중과 지방교잡도간의 표현형 상관계수가 +0.16으로 낮은 편이었음을 보고하였고/ 노 등(2004)도 한우. 거세우에서 냉도체중과 지방교잡도간에 낮은 정(히의 표현형 상관계수를 보고하였다. 육량지수 산출공식을 구성하는 항목인 냉도체중I 배최장근 단면적 및 근내지방도와 육량지수1, 육량지수2 육량지 수. 3 퉁 3개의 지수 모두 냉도체중이나 배최장근 단면적 보다는 둥지방두께와의 상관계수가 더 컸다. 그리고 둥지방. 두께와 육량지수 들 간의 상관계수는 육량지수3, 육량지수2, 육량지수1 의 순으로 컸는데 이것은 육량지수의 개정이 둥지방의 영향력이 커지는 방향으로 진행되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거세우자료에서 육량지수2가 냉도체중이나 배최장근 단면적과의 표현형 상관계수가 작고 둥지방두께와의 상관계수는 비교적 큰 음수였던 결과는 김 동(1옛~) 이 한우 거세우에서 추정한 결과와 일치하는 성적이었다. 표 4에는 육량지수의 변이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량들인 냉도체중, 배최장근 단면적 및 둥지방 두께 둥의 상대적. 인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하여 조사한 다중 회귀계수/ 경로계수(P), 각 독립변량들이 육량지수의 변이에 미치는 직접.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15 PM. 효과/ 그리고 간접효과 둥이 성별로 표시되어 있다.. 다중 회귀 계수 b는 육량지수 산출 공식에 제시되고 있는 냉도체중/ 배최장근 단면적 및 둥지방두께의 가중치를 의미하는데l 도체둥급제가 실시되면서 처음 사용했던 육량지수 산출 공식을 산출 공식1 로 그리고 산출 공식 1 에 의. 해 추정된 육량지수는 육량지수1로 표기하였는더L 산출 공식1 에서 냉도체중 배최장근 단면적 및 등지방 두께 각각의 가중치는. -0.014 생 0.075 c마 및 -0.2001 crn 였다. 그리고 1997년도 11 월에 개정되어 사용되었던 육량지수 산출 공식. 은 산출 공식 2로 그리고 산출 공식2에 의해 추정된 육량지수는 육량지수2로 표기하였는데/ 산출공식 2에서 각각의. 가중치는 -0.008 k용 +0.075 c떠/ 및 -0.393 mm였다. 또한 2004년 11 월에 개정되어 현재에도 시용되고 있는 육량지수 산출 공식은 산출 공식3으로 그리고 산출 공식3 에서 각각의 회귀계수는 -0.024 k용 +0.130 c따 및. -0.625 mm 였다.. 산출 공식에 포함된 둥지방두께의 회귀계수 단위는 산출 공식 2부터 mm로 바뀌어 사용되고 있다. 경로계수 (path coefficient, 더는 독립변량 들의 회귀계수를 종속변량의 표준편차에 대한 해당 독립변량의 표준편. 차 비율을 곱하여서 계산하였는데 각 독립변량들의 경로계수를 자승하면 그 변량이 육량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효괴{direct effect) 가 된다. 한 개의 독립 변량은 육량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통로가 여러 개가 있을 수 있다. 즉 냉도체중의 경우 육량지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산출공식에 포함된 배최장근 단면적이나 등지방 두께와의 상관관계가 있을 경우에 는 이들과의 상관관계를 통해 육량지수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육량지수에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결합효과-(j oint effect) 로 표기하였다 한 독립변량의 결합효과-(joint effect) 는 그 독립변량과 육량지수 사이의 경로계수와 다른 독립변량과의 상관계수 그리고 다른 독립변량과 육량지수 사이의 경로계수를 곱하여 추정. 할 수 있는데 어떤 변량이 만약 여러 개의 독립변량과 상관관계가 있을 경우에는 간접효과를 구하는 경로가 여러. www.earticle.net. 개 폰재하게 되므로 여러 개의 경로를 통해 구해진 결합효과들의 평균치로 그 독립변량의 결합효과를 표기할 수 있 다. 표 4에서 표기된 냉도체중의 결합효과는 배최장근을 통한 간접효과와 등지방두께를 통한 결합효과의 평균치이. 며/ 마찬가지로 배최장근의 결합효괴는 냉도체중을 통한 결합효과와 둥지방두께를 통한 결합효과의 평균치 그리고 둥지방두께의 결합효과는 냉도체중을 통한 결합효과와 배최장근을 통한 결합효과의 평균치이다. 그리고 직접효과와. 결합효과를 합한 부분 결정계수 (p값션머 r 2 )는 해당 변량이 육량지수에 미치는 종합 영향력이 된다. 육량지수에 영향 을 미치는 독립변량은 냉도체중/ 배최장근 단면적 및 둥지방두께둥 3개 뿐 이므로 이 3개 형질틀의 부분 결정계수. @값tial r 2)를 합한 값은 1 이 된다. 육량지수1, 2 및 3에 대한 둥지방두께의 부분 결정계수는 암소에서 각각 0.56, 0.81 및 0.80,. 비거세우에서 각각 0.43, 0.58 및 0.64 그리고 거세우에서 각각 0.73, 0.95 및 0.90으로서1 산출 공식1 에서. 산출 공식2로 개정됨에 따라 육량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등지방두께의 영향력은 모든 도체에서 더 커졌으며/ 산출 공식2에서 산출 공식3으로 개정됨에 따라 육량지수에 미치는 등지방두께의 영향력은 암소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비거세우에서는 더 커졌으며I 거세우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9) Comparisons of meat yield traits among cow, steer and bull in Hanwoo. 73. Table 4. Multiple regression coefficients, path coefficients, 버rect effect, joint effect, and p따tia1 l of carcass weight, eye mus c1e area and back fat thickness on meat yield indices Sex. 다rect. Joint. P않6혀. effect. 마fect. r. -0.014. -0.75. 0.56. -0.29. 0.27. EMA. 0. 0'π. 0.88. 0.77. -0.61. 0.17. BFr. -0.2001. -0.74. 0.55. 0.01. 0.56. cw. -0.008. -0.28. 0.08. -0.05. O.ffi. 많1A. +0.088. 0.66. 0.44. -0.28. 0.16. BFr. -0.07. 0.81. independent. variables. V값iables. Mindex1. cw. h빠1dex2. Cow. Mindex3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15 PM. Path coefficients. Dependent. Mindex1. Mindex2 B띠l. Mindex3. h따ndex1. Mindex2. Steer. 2. -0.393. -0.94. 0.88. cw. -0.024. -0.49. 0.24. -0.07. 0.17. EMA. +0.130. 0.59. 0.35. -0.32. 0.03. BFr. -0.625. -0.89. 0.80. 0.01. 0.80. cw. -0.014. -0.57. 0.31. -0.24. 0.07. 마1A. 0.075. 0.92. 0.84. -0.34. 0.50. BFr. -0.2001. -0.56. 0.31. 0.12. 0.43. cw. -0.α)8. -0.22. 0.04. -0.04. 0.00. 많1A. +0.088. 0.72. 0.52. -0.10. 0.42. BFr. -0.393. -0.73. 0.53. 0.05. 0.58. cw. -0.024. -0.41. 0 .1 7. -0.08. 0.09. EMA. +0.130. 0.67. 0.45. -0.18. 0.27. BFr. -0.625. -0.73. 0.53. 0.11. 0.64. cw. -0.014. -0.73. 0.53. -0.31. 0.22. EMA. 0.075. 0.81. 0.66. -0.61. 0.05. BFr. -0.2001. -0.92. 0.85. -0.1 2. 0.73. cw. -0.α)8. -0.24. 0.06. -0.06. 0.00. EMA. +0.088. 0.55. 0.30. -0.25. 0.05. -0.393. -1.00. 1.00. -0.05. 0.95. BFr Mindex3. b. cw. www.earticle.net -0.024 -0.44. 0.19. -0.09. 0.10. EMA. +0.130. 0.49. 0 .24. -0.24. 0.00. BFr. -0.625. -1. 00. 1.00. -0.10. 0.90. CW : cold carcass WI떠양1t , EMA : eye-m않cle area , BFr : backfat thickness Mindex1(2,3) : meat yield index score calculated by equation1(2,3). , 뼈 : marbling score (1 (poor) - 7(best)) ,. 한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산출 공식3으로 추정된 육량지수3에 대한 둥지방두께의 상대적인 영향력은 거세우〉암 소〉비거세우 순으로 컸던 반면에 냉도체중에 대한 부분 결정계수는 암소가 0 .1 7, 비거세우가 0.09 그리고 거세우가 0.10으로 암소에서 상대적으로 냉도체중의 영향력이 컸다. 그리고 배최장근 단면적에 대한 부분 결정계수는 암소에 서 O.ffi, 비거세우에서 0.05 그리고 거세우에서 0.00으로 배최장근 단면적은 거세우에서 육량지수를 변화시키는 중요. 한 요인이 되지못하며 암소나 비거세우에서도 그 영향력이 미미한 편이었다..

(10) 동물자원연구 제 17 권. 74. (2006). IV. 요 약 본 연구는 대관령에 소재한 축산기술연구소 한우시험장에서 사육되어 2애4년 3월부터 2005 년 4월 사이에 도축된 한우 거세우 20투 암소 24두 그리고 비거세 수소 79둥 총 123두의 도체로부터 조사된 도체형질을 이용하여,. 1) 육량. 지수, 육량지수를 계산하는데 이용되는 냉도체중1 배최장근 단면적 및 둥지방두께 그리고 육질둥급 판정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인 근내지방도 둥에 대해서. 거세우) 비거세우 및 암소 간의 차이를 확인해보고,. 2). 육량산출공식과 육량. 둥급 분류기준의 개정이 육량지수와 육량동급 출현율에 어떠한 변화를 초래하였는지를 밝히며,. 3) 육량지수를 결정. 하는 각 항목들은 육량지수와 각각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는데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 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거세우 도체는 비거세우 도체에 비해 근내지방도가 우수하나 둥지방두께가 두껍고 배최장근 단면적이 좁아지므로.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15 PM. 서 육량지수가낮았다.. 2.. 육량지수를 산출동}는 공식이 개정되면서 육량지수는 낮아졌으나 육량등급 분류기준이 함께 변하므로 서 출현율이 높아지고. C. A. 등급. 둥급 출현율이 낮아졌다.. 3. 육량지수 산출공식이 개정되면서 각 항목의 가중치가 모두 중가하였으나 등지방두께의 가중치가 배최장근 단면적 이나 냉도체중의 가중치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증가하였다. 이것이 둥지방 두께의 평균치가 컸던 암소도체 에서 A 둥급 출현빈도의 상숭폭이 거세우나 비거세우 도체에서의 상숭폭에 비해 낮게 된 원인이 되었다.. 4. 냉도체중과 배최장근 단면적 그리고 냉도체중과 등지방두께 간의 상관 계수는 암소l 거세우/ 비거세 수소 둥 모든 자료에서 양(+)으로 추정되었다.. 5. 냉도체중과 지방교잡도간의 상관계수는 암소에서는 +0.50으로 양수였으나 거세우 자료에서는 -0.68로서 음수였다. 6. 육량지수L 육량지수Z 육량지수 3 등 3개의 지수 모두 냉도체중이나 배최장근 단면적 보다는 둥지방두께와의 상 관계수가 더 컸다. 그리고 등지방두께에 대한 육량지수 들의 상관계수는 육량지수3, 육량지수2, 육량지수1의 순으 로컸다.. V.. 참고문헌. 1. 농림부.1997. 소돼지 도체등급기준. 농림부 고시 제1997-66호. 2. 농림부.2004. 소돼지 도체등급기준. 농림부 고시 제 2004-66호 3. 김대곤I 성삼경, 정근기 .1999. 거세한우의 배최장근섬유에 관한조직화학적 특성과육질과의 비교 연구. 한국축산학회 www.earticle.net 지 .41(1). : 89-100.. 4. 박철진y 박영일 .2002. 한우의 성장형질과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상관 추정. 한국동물자원과학회지 .44(6):685-692. 5. 박철진/박영일.~뼈,비거세한우집단에있어성장형질과도체형질에대한유전모수의추정.동물자원지 .45(1):23-32.. 6. 노숭희, 김병우/ 김효선y 민희식/ 윤호백I 이득환, 전진태/ 이정규.21α)4. 한우의 도체형질 유전모수추정을위한 R메11..과 Bayesi없1 띠aGibbs 닮mp파19 방법의 비교 연구. 동물자원자. 46(5): π9-728.. 7 최태정, 김시동i Agapita J. 닮lc않/ 백동훈.2006. 한우의 성장 및 도체형질에 대한 유전모수 추정. 동물쩌과학회지.. 48(6): 759-766. 8. 전기준I 최재관, 임석기/ 윤상보/ 윤상기, 이창우1 김종복.1999. 한우 비거세우의 산육능력과도체형질에 대한환경요인 의 효과. 한국 동물유전육종학회지 .3(1):. 7-14.. 9. 정준이성수,박노형y 성낙일,장윤호7 최성호/송만강서형기/이명일.21뼈.한우노산암소에대한발정억제및항산화 제의 급여가 증체와 도체성적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과학회지 .48(깅:. 255- 268..

(11) Comp때sons. of meat yield traits among cow, steer and bull in Hanwoo. 75. 10. 강수원l 오영균/ 최창원f 김경훈I 손용석. 2005. Holstein, 한우 및 교잡종 거세우의 발육능력과사료 이용성 및 도체특성 비교. 동물자원지. ψ(2) :243-252.. [Provider:earticle] Download by IP 118.70.52.165 at Monday, December 20, 2021 8:15 PM. 11. 이종문, 유영요 박범영, 채현석I 김동훈l 김용곤/ 최양일 . 2005. 한우도체 육량등급 설정 연구. 동물자원지 .47(2)261-270. 12. μ, c C. 1975. Path analysis. The boxwood press, Pacific Grove, CA.. www.earticle.net.

(12)

수치

Table  1.  Simple  statistics  for  each  trai t.
Table  2  Olanges  of  yield  grade  on  meat  yield  index
Table  3.  Phenotypic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CW ,  EMA,  BFf,  MS  and  three  meat  yield  in버ce  for  each  sex  of  carcass
Table 4.  Multiple regression coefficients ,  path coefficients ,  버rect effect ,  joint effect ,  and p따tia1 l of carcass weight ,

참조

관련 문서

•모집단의 모수나 분포특성에 대한 정보가 없다고 가정을 하고, 표본자료를 이용하여 표본의 통계량(표본평균, 표본분산)을 산출 하여 이들의 표본분포를 이용하여

 빈측정실의 공기량에서 측정자가 들어있는 룸의 공기량을 뺌으로써 신체 부피를 산출...  수영장에서도 탱크를 설치하여

자료: Umicore, 대신증권 Research Center.. 내연기관 대비 전기차의 경제성 우위 확보.. Laterite 대비 희귀한 sulphide 매장량 그림 51.. 정보전자소재)하여

※ 성과지표는 결과 산출 투입 등 지표의 성격을 고려하여 작성하며 되도록 산출보다는 결과중심으로 제시 예:서비스 만족도 생활습관 개선율 건강목표 달성률 등.

○ 장래교통수요예측을 위한 일련의 과정 수행 후 대안별로 도출한 장래수요예측 결과를 이용하여 일일 및 연간 운영수익금을

Because it worked for an increase of citrus production through making inputs of fertilizer, agricultural chemicals and labor time per unit area, it had the

벡터공간에서 정의된 벡터합과 스칼라곱에 관하여 닫혀있는 부분집합.. 행렬의 행렬의 계수 계수.. 행렬의 행렬의 계수 계수.. Cramer’s Rule .7 Determinants..

연구기간 동안 학생 특허출원, 소논문 발표 등 다양한 창의적 산출 물을 배출한 바 있으며, 연구한 악기제작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토대로 창의폭발적인 산출물을 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