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소리의 음향학적 특징
1. 말소리의 음향학적 분석방법의 원리를 이해한다
2. 말소리의 음향적 특성을 이해한다
목표 :
말소리의 음향적 분류
• 공명음: 기류가 성도에서 아무런 장애를 받지 않고 성도를 울림통 으로 삼아 이 공간을 울려서 나는 소리 – 모음, 활음, 설측음, 비음
• 장애음 : 기류가 성도에서 일정한 장애를 받으면서 만들어지는 소 리를 말함, 난기류가 동반됨 – 파열음, 마찰음, 파찰음
소리의 음향적 특징
• 악음 : 소리의 음높이와 길이, 강약조절 가능 - 모음, 활음, 비음, 유음
• 소음 : 소리를 길게 늘려서 소리를 낼 수 있고 강약조절가능하나 음 조, 음높이 변화가 불가능 - 마찰음
• 순간음: 짧은 시간에 만들어지는 일회적인 소리 - 파열음
말소리 생성과 음향적 모델
• 원료 여과기 이론
- 1960년대 판트(Fant)
성대진동음, 악음, 소음 난기류, 폭발음 순간음
음원 성도
여과기 출력 음성
원료 여과기 이론을 통한 모음의 음향적 모델링
▪ 성대의 진동방식을 변화주는 원리
• 진동의 횟수에 변화를 주는 방법
: 진동횟수변화는 기본주파수와 관련
• 진동의 유형에 변화를 주는 방법
: 성대 진동수 동일하지만 성문의 크기, 성대의 긴장 상태에 따라 진동 유형의 변화(숨소리, 짜내는 소리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