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러시아 경제개발부 차관 최근 러시아 메드베데프 총 o (Alexey Likhachev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러시아 경제개발부 차관 최근 러시아 메드베데프 총 o (Alexey Likhachev"

Copied!
5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제18차 상트페테르부르크 국제경제포럼 주요세션 토의요지(5.22)

가 러시아 동북아간 경제협력 강화를 위한 전략. -

러시아 경제개발부 차관 최근 러시아 메드베데프 총 o (Alexey Likhachev, )

리는 아시아 지역과의 에너지 협력 수출뿐 아니라 자원개발 및 가공 등( 포함), 기술협력 및 교류를 통한 생산성 증대, (시베리아 횡단 철도 등 운송로 확대 및 북극항로 개발 활성화 등 적극적인 물류망 구축 및 유) 통업 발전 장려 지속경제 협력을 위한 업계 차원의 대화채널 구축 일례, ( 로 러 중 비즈니스 위원회 설치 등 이라는- ) 4가지 분야에서 협력강화를 최우선적으로 지시한 바 있음 또한 지난 러 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하여. , - 양국 간 기술협력의 여지가 매우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음.

그룹 러시아는 미네랄 천연자원 에너지 자원 o (Maxim Sokov, En+ CEO) , ,

석유 가스뿐 아니라 전기도 포함 등 부문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

( , ) .

전력 수출과 관련, En+Group사는 아직 초기 단계이기는 하나 한국전력 공사와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협력 현실화를 추진 중에 있으며 대 중국, 전력 수출 방안도 강구중에 있음 또한. , En+Group은 중국 Shenhua 석 탄운송업체와 자 바이칼 지역 자루샨스키 탄광 공동 개발사업 추진 등에 합의한 바 있음 이와 같이 동북아 국가들과 광물자원뿐만 아니라 전력. ,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한편 남북한 중국 러시아 일, - - - 본을 연결하는 동북아시아 에너지 허브 건설 현실화 차원에서 동아시아 슈퍼그리드 사업 추진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음.

회장 동북아 지역 파트너들은 매우 실용적 o (Ruslan Alikhanov, FESCO )

인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과 같은 국가는 비즈니스 관계 형성에 상, 당한 시간이 소요됨을 알고 접근해야 함 또한 동북아 지역 내 국가 간. , 유통망은 잘 갖추어 있으나 아시아에서 생산한 제품을 유럽으로 판매하, 는 물류 시스템의 구축이 긴히 필요한 바 일례로 한국에서 생산한 자동, 차 부품을 우즈베키스탄으로 운송하거나 중국에서 제조한 제품을 유럽으 로 운송하는 경우 러시아는 물류 거점이 될 수 있음 이러한 분야에서. 관계국간 협력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러시아측의 효율적인 통관 제도와 처리 시스템 구축 통관 관계자 및 당국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가 필수, 적임.

(2)

러시아 다른 지역에 비해 낙후된 지역인바 동 지역 자체의 현대화가 필, 요하며 최근 신설된 극동 개발부의 동 지역 발전을 위한 임무와 역할, 극동지역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립 등이 필요함 무어보다도 이 지역 개. 발을 위해서는 동 지역에 대한 외부의 인식부터 긍정적으로 전환할 필요 가 있는바 이를 위해서는 동 지역 내에 만연한 부패문제 등을 직시하고, 그 해결을 위한 러 정부차원의 노력을 강구해야 할 것임 동 지역은 석. 유 가스 뿐 아니라 수자원 역시 경쟁력을 갖고 있는 자원임을 잊지 말, 아야 할 것임.

나 비즈니스계 시각으로 바라본 러시아 경제.

러시아지부 경영 파트너 러시아내 비즈니스 친화적 o (David Gray, PwC )

인 환경조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러 정부의 과도한 개입을 개선할 필요 가 있음을 그간 지속적으로 제기해왔으나 별다른 변화를 감지하지 못했, 음 민관협력 프로젝트의 경우에도 현재는 모든 것이 정부 위주로 맞추. 어져 있는바 보다 공평한 게임의 법칙이 확립되기를 기대하며 러시아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서 중소기업을 주목할 필요가 있을 것임.

러 독 상공회의소 운영이사회 의장 과거 러시아의 아 o (Michael Harms, - )

프가니스탄 파병으로 인해 러 독 양국관계가 악화되었을 당시에도 러시- 아의 대독 가스 공급은 중단 없이 진행된바 단기적으로 독일에게 러시, 아산 가스 이외의 대안이 없는 상황에서 동 공급이 중단될 수도 있는 위 기상황이 더 이상 지속되어서는 안 될 것임.

러 독간 교역의 는 민간 기업들 간에 이루어지고 있는바 정치적인

- - 90% ,

이유로 인해 경제에 대한 정부차원의 간섭이 발생 시 양측간 신뢰관계 에 큰 악영향을 미칠 것임.

러 미 기업위원회 화장 현재의 정치적인 어려움에도 불 o (Daniel Russel, - )

구하고 북미지역 기업인들은 러시아의 천연사원 높은 수준의 인적자원, , 하이테크 및 전자 상거래 상품사슬, (commodity chain)의 발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매력적인 시장이라고 평가하고 있음, .

러시아 경제의 향후 발전을 위해서는 지방정부의 투자유치 기관의 질적 -

수준 제고 러 국내 중소기업의 발전 글로벌한 시각을 갖춘 인적자원의, , 개발 지적재산권에 대한 인식제고 등이 필요하다고 봄, .

(3)

다 러시아의 신경쟁력.

경제개방부 장관 러시아 경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o (Alexey Uljukaev, )

서는 유관부처간 합의가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바, 일례로 경제개발부에서 중소기업들에 대한 규제완화를 추진코자 하더라도 관련 법규 및 제도의 미비 중소기업들에 대한 세금혜택 축소 중소기업지원에, , 필수적인 은행 등 민간부문의 협조 등이 부재할 경우에는 효율적인 정책 추진이 어려울 것임.

스베르방크 은행장 당초 러시아의 금년도 경제성장률 o (Herman Gref, )

에서 사이에 이를 것이라는 낮은 수치를 예상하였으나 우크 - 0.5% 0.5%

라이나 사태로 금년도 자본유출은 650억불에 달하는 등 경기침체에 대 한 우려가 더욱 깊어진 상황인 것으로 평가함.

이러한 상황에서 러시아가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아시아 국가들 -

과의 협력강화 대기업들에 대한 지원강화 공기업들에 대한 투자제고, , , 혁신기업들보다는 전통적인 산업기반 기업들에 대한 지원책 등이 필요 하다고 봄.

전 재무부 장관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경제제재의 여 o (Alexei Kudrin, )

파는 2~3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며 이로 인해 러시아 경제성장률이 를 상회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함 러시아의 경제발전을 위해서는

1% .

외자유치 차관도입 외국기업들로부터의 기술 도입 중국 등 아시아 국, , , 가들과의 교역 강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봄.

대통령 보좌관 러시아 경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o (Sergei Glazyev, )

경제의 50%를 담당하고 있는 공기업들이 성과평가 등 제도의 시행을 통 해 책임감을 제고해야 할 것이며 기업들에 대한 저렴한 대출이 이루어, 져야함 예를 들어 독일 등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자국기업이 아닌. , 경우라도 현지 기업으로 활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저금리의 대출제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음.

러시아 재무부장관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러시아 기 o (Anton Siluanov, )

업인들에 대한 서구의 경제제재가 시행되고 있지만 그렇다고 러시아가, 세계경제 속에서 스스로를 고립시켜서는 안 될 것임. 러시아는 새로운 조건 속에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음 우크라이. 나 사태로 인해 위축된 러시아 금융시장에 예측불가능 이라는 악재를 초‘ ’

(4)

와 중앙은행은 정확한 정책이행과 가이드라인 제시를 통해 러시아에 리 스크를 안고 투자하는 외국 투자자들의 신뢰를 확보할 필요가 있음.

라 기술혁신을 통한 러시아의 성장동력 창출.

스콜코보 재단 담당 대통령 보좌관 러시아에는 기업 o (Pekka Vijakainen, )

문화의 부재로 인해 신생 벤처기업 수가 많지 않은바,「스타트업 빌리 지」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러시아 28개 도시들을 방문하면서 창업에 대 해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 있으며 동 프로그 램에 대한 인지도와 인기는 높아지고 있음.

청년 기업인들은 기술혁신을 이용한 창업 아이디어 등에 높은 관심을 -

보이고 있으며 동 프로그램은 실업률 저하에도 기여,

로비오 대표 신생 벤처기업 육성에 있어 가 o (Peter Vesterbacka, (Rovio) )

장 중요한 것은 인식의 전환임. 6년 전 평균적으로 핀란드 학생 600명중 명만이 창업에 관심을 보였으나 핀란드 정부에서 벤처기업 창업을 위

3 ,

한「Slash」라는 프로그램을 꾸준히 추진한 결과 현재는 약, 10,000여명 이 참여하고 있음 스타트업 기업육성 프로그램은 젊고 유능한 인재들에. 게 자부심을 부여하고 이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임.

동사는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게임인 Angry Birds 제작사

※ 「 」

스콜코보 재단 회장 스타트업 빌리지 프로그램에 o (Viktor Vekselberg, ) 「 」

는 로비오, IBM, Pwc 등 다국적 기업들도 참여하고 있으며 혁신센터를, 구축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단기간에 확산시 러시아에는 스콜코보 단지와 같은 센터가 8-10개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생각함.

러시아 연방 부총리 스타트업 기업들이 발전하기 o (Arkady Dvorkovich, )

위해서는 산관학이 연계되어야 하는데 스콜코보 단지가 이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외국기업들에게도 개방되어 있음 최근 한 중 정상회담. - 계기에 러시아 철도공사는 중국철도공사뿐만 아니라 정보통신기술 솔루 션 업체인 Huawei사와도 협력협정을 체결한바 이는 러시아내 기술혁신, 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반영함.

마 차세대 우주개발.

(5)

러시아연방 우주청 부청장 우주개발에 있어 러시아는 o (Sergei Saveliev, )

최근 중국, 인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와 활발히 협력하고 있음. 우주 개발에 참여하는 국가들은 각기 자국의 국익을 추구하고 있는 바 동 과, 정에서 우주안보 우주환경 보호 군축 등을 둘러싼 정치적인 문제들도, , 발생하고 있음 최근 미국은 우크라이나 사태를 이유로 러시아 우주산업. 기업들과의 협력을 제한하고 있으나 이는 우주분야에 있어서 참여국들, 간 상호 의존성만을 여실히 노정함 즉 미국의 동 조치로 인해 러시아는. , 국제우주정거장(ISS) 협력사업을 종료할 것이며 이로 인해 미국은 2020 년 이후에는 러시아의 ISS를 사용할 수 없을 것임.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 회장 러 미간 우주분야 협 o (Jean Loic Galle, ) -

력은 냉전 시기에도 지속되었으며 우주개발은 각국간 단기적인 갈등상황 을 초월하는 사안임 프랑스 유관업체들은 러 미 양측 모두와 지속적으. , 로 협력해 나가고자 함.

에네르기아 회장 냉전시대에 러 미는 사유즈 아폴 o (Vitaly Lopota, ) - 「 -

론」 「, 셔틀 미르- 」등 여러 프로그램에서 상호 협력한 바 있음 유인 우. 주비행은 자원을 탐색하고 우주로부터 인류를 보호하기 위하 기술을 개 발하는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을 할 것임.

에어버스 그룹 부회장 우주개발의 패러다임이 변화하 o (Francois Auque, )

고 있는 상황인 바 동 분야는 당초 정부주도로 시작되었으나 이제는 민, 간부문의 참여가 늘어나고 있음 민간에서는 이미 우주항공기술 로켓발. , 사 소규모 인공위성 개발에 적극 참여하고 있으며 이는 해당분야의 기, , 술 프로그램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음 현재 우주항공 분야는 국경을 초. 월한 협력을 통해 기술발전이 긴요한 단계에 다다른바 에어버스사는 향, 후로도 러시아 업체뿐 아니라 미국 업체들과도 지속적인 협력을 추진해( ) 나갈 예정임. 끝.

참조

관련 문서

[r]

[r]

최근 러시아 내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대사관 및 총영사관을 방문하는 민원인 여러분들의 건강과 안전을.

최근 러시아 내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대사관 및 총영사관을 방문하는 민원인 여러분들의 건강과 안전을

최근 러시아 내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대사관 및 총영사관을 방문하는 민원인 여러분들의 건강과 안전을

최근 러시아 내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대사관 및 총영사관을 방문하는 민원인 여러분들의 건강과 안전을

최근 러시아 내 코로나19 확진자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대사관 및 총영사관을 방문하는 민원인 여러분들의 건강과 안전을

o 알-시시 대통령은 이집트를 방문한 Valentina Matviyenko 러시아 연방회의 상원의 장과 양국관계 강화 필요성에 의견을 같이하고, 이집트-러시아 의회간 협력강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