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저작자표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저작자표시"

Copied!
11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이용자는 아래의 조건을 따르는 경우에 한하여 자유롭게

l 이 저작물을 복제, 배포, 전송, 전시, 공연 및 방송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l 귀하는, 이 저작물의 재이용이나 배포의 경우, 이 저작물에 적용된 이용허락조건 을 명확하게 나타내어야 합니다.

l 저작권자로부터 별도의 허가를 받으면 이러한 조건들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저작권법에 따른 이용자의 권리는 위의 내용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이용허락규약(Legal Code)을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Disclaimer

저작자표시. 귀하는 원저작자를 표시하여야 합니다.

비영리. 귀하는 이 저작물을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변경금지. 귀하는 이 저작물을 개작, 변형 또는 가공할 수 없습니다.

(2)

2009년 8월

교육학석사( 특수교육) 학위논문

통합보육 운영실태 및 효과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과 관련변인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특수교육학과

(3)

통합보육 운영실태 및 효과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과 관련변인

Directors' perception on the operation status and effect of inclusive educa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in nursery schools

2009년 8월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특수교육학과

(4)

통합보육 운영실태 및 효과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과 관련변인

지도교수 이 승 희

이 논문을 교육학 석사학위 신청논문으로 제출함

2009년 4월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특수교육학과

(5)

이백설의 교육학 석사( 특수교육) 학위논문을 인준함

위원장 조선대학교 교수 ( 인) 위 원 조선대학교 교수 ( 인) 위 원 조선대학원 교수 ( 인)

2009년 6월

(6)
(7)

목 차

표목차․․․․․․․․․․․․․․․․․․․․․․․․․․․․․․․․․․․․․․․․․․․․․․․․․․․․․ⅳ ABSTRACT․․․․․․․․․․․․․․․․․․․․․․․․․․․․․․․․․․․․․․․․․․․․․․․ⅵ

Ⅰ.서론․․․․․․․․․․․․․․․․․․․․․․․․․․․․․․․․․․․․․․․․․․․․․․․․․․․․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2 .연구문제․․․․․․․․․․․․․․․․․․․․․․․․․․․․․․․․․․․․․․․․․․․․․․․․․4 3 .용어의 정의․․․․․․․․․․․․․․․․․․․․․․․․․․․․․․․․․․․․․․․․․․․․․․4 4 .연구의 제한점․․․․․․․․․․․․․․․․․․․․․․․․․․․․․․․․․․․․․․․․․․․․5

Ⅱ.이론적 배경․․․․․․․․․․․․․․․․․․․․․․․․․․․․․․․․․․․․․․․․․․․․․6 1 .장애유아 통합보육․․․․․․․․․․․․․․․․․․․․․․․․․․․․․․․․․․․․․․․․6 1 )통합보육의 개념․․․․․․․․․․․․․․․․․․․․․․․․․․․․․․․․․․․․․․․6 2 )통합보육의 효과․․․․․․․․․․․․․․․․․․․․․․․․․․․․․․․․․․․․․․․8 3 )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보육의 조건․․․․․․․․․․․․․․․․․․․․1 1 2 .장애유아 통합보육 정책․․․․․․․․․․․․ ․ ․․ ․․ ․․․․ ․․ ․․ ․․ ․․․․․․․․1 3

1 )장애유아 통합보육 관련법․․․․․․․․․ ․․․․․․․․․․․ ․․ ․․ ․․․․․․1 4

2 )장애유아 보육현황․․․․․․․․․․․ ․․ ․․ ․․ ․․ ․․ ․․ ․․․․ ․․․․․․․․1 8

3 .선행연구 고찰․․․․․․․․․․․․․․․․․․․․․․․․․․․․․․․․․․․․․․․․․․1 9

1 )국내 선행연구 고찰․․․․․․․․․․․․․․․․․․․․․․․․․․․․․․․․․․1 9

2 )국외 선행연구 고찰․․․․․․․․․․․․․․․․․․․․․․․․․․․․․․․․․․2 2

(8)

Ⅲ.연구방법․․․․․․․․․․․․․․․․․․․․․․․․․․․․․․․․․․․․․․․․․․․․․25 1 .연구설계․․․․․․․․․․․․․․․․․․․․․․․․․․․․․․․․․․․․․․․․․․․․․25 2 .연구대상․․․․․․․․․․․․․․․․․․․․․․․․․․․․․․․․․․․․․․․․․․․․․25 3 .연구도구․․․․․․․․․․․․․․․․․․․․․․․․․․․․․․․․․․․․․․․․․․․․․28 4 .연구절차․․․․․․․․․․․․․․․․․․․․․․․․․․․․․․․․․․․․․․․․․․․․․30 5 .자료분석․․․․․․․․․․․․․․․․․․․․․․․․․․․․․․․․․․․․․․․․․․․․․31

Ⅳ.연구결과․․․․․․․․․․․․․․․․․․․․․․․․․․․․․․․․․․․․․․․․․․․․․32 1 .어린이집 통합보육 운영실태 ․․․․․․․․․․․․․․․․․․․․․․․․․․․32 2.통합보육 운영실태에 대한 변인에 따른 차이 비교․․․․․․ ․․․․․․39 3 .통합보육 효과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56 4.어린이집 통합보육 효과에 대한 변인에 따른 차이비교․․․․․․․․․60

Ⅴ.논의․․․․․․․․․․․․․․․․․․․․․․․․․․․․․․․․․․․․․․․․․․․․․․․․ 62 1 .어린이집 통합보육 운영실태 ․․․․․․․․․․․․․․․․․․․․․․․․․․․62 2.통합보육 운영실태에 대한 변인에 따른 차이 비교․․․․․․ ․․․․․․6 5 3 .통합보육 효과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7 2 4.어린이집 통합보육 효과에 대한 변인에 따른 차이비교․․․․․․․․․7 3

Ⅵ.결론 및 제언․․․․․․․․․․․․․․․․․․․․․․․․․․․․․․․․․․․․․․․․ 74

1 .결론․․․․․․․․․․․․․․․․․․․․․․․․․․․․․․․․․․․․․․․․․․․․․․․74

2 .제언․․․․․․․․․․․․․․․․․․․․․․․․․․․․․․․․․․․․․․․․․․․․․․75

(9)

참고문헌․․․․․․․․․․․․․․․․․․․․․․․․․․․․․․․․․․․․․․․․․․․․․․․ 77

부록․․․․․․․․․․․․․․․․․․․․․․․․․․․․․․․․․․․․․․․․․․․․․․․․․․ 82

<부록 1 > 설문지․․․․․․․․․․․․․․․․․․․․․․․․․․․․․․․․․․․․․․․83

<부록 2 > 통합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의견․․․․․․․․․․․93

(10)

표 목 차

<표Ⅲ-1> 설립유형별 어린이집 현황 ․․․․․․․․․․․․․․․․․․․․․․․․․․․ 25

<표Ⅲ-2> 연 구 대상 자 의 기 초 사 항 ․․․․․․․․․․․․․․․․․․․․․․․․․․․․27

<표Ⅲ-3> 설문지 문항의 구성내용․․․․․․․․․․․․․․․․․․․․․․․․․․․․ 29

<표Ⅲ-4> 설문지 구성 및 신뢰도․․․․․․․․․․․․․․․․․․․․․․․․․․․․․ 29

<표Ⅲ-5> 설문지 회수율․․․․․․․․․․․․․․․․․․․․․․․․․․․․․․․․․․․․ 31

<표 Ⅳ -1> 장 애 유아 의 어 린 이 집 입 소 여 부․․․․․․․․․․․․․․․․․․․․․ 33

<표 Ⅳ -2> 장 애 유아 를 위 한 통 합 보 육 운 영 형 태․․․․․․․․․․․․․․․․․ 33

<표 Ⅳ -3> 장 애 유아 에 게 필 요 한 보 육 형 태․․․․․․․․․․․․․․․․․․․․․ 34

<표 Ⅳ -4> 장 애 유아 보육 의 효 과 적 인 보 육 장 소․․․․․․․․․․․․․․․․․ 35

<표 Ⅳ -5> 「 장 애인 등에 대한 특수 교 육 법 」 의 인 식 정 도․․․․․․․․․ 35

<표 Ⅳ -6> 장 애 영유 아 의 무 교 육 에 관 한 인 식 정 도 ․․․․․․․․․․․․․․․ 36

<표 Ⅳ -7> 통 합 보육 시 필 요한 교사 유 형 ․․․․․․․․․․․․․․․․․․․․․․ 37

<표 Ⅳ -8> 통 합 보육 의 저 해 요 인 ․․․․․․․․․․․․․․․․․․․․․․․․․․․․․ 37

<표 Ⅳ -9> 통 합 보육 의 성 공 요 인 ․․․․․․․․․․․․․․․․․․․․․․․․․․․․․ 38

<표 Ⅳ -10> 통 합 보 육 에 필 요 한 연 수내 용 ․․․․․․․․․․․․․․․․․․․․․․ 39

<표 Ⅳ -11> 장 애 유 아 의 어 린 이집 입소 여부 ․․․․․․․․․․․․․․․․․․․․ 40

<표 Ⅳ -12> 장 애 유 아 를 위 한 통 합 보육 운영 형 태 ․․․․․․․․․․․․․․․․ 41

<표 Ⅳ -13> 장 애 유 아 에 게 필 요한 보육 형 태 ․․․․․․․․․․․․․․․․․․․․ 42

<표 Ⅳ -14> 장 애 유 아 보 육 의 효 과 적인 보육 장 소 ․․․․․․․․․․․․․․․․ 43

<표 Ⅳ -15> 「 장 애 인 등 에 대 한 특 수 교 육법 」 의 인 식 정 도 ․․․․․․․․ 44

<표 Ⅳ -16> 장 애 영 유 아 의 무 교육 에 관 한 인 식 정 도 ․․․․․․․․․․․․․․ 44

(11)

<표 Ⅳ -17> 통 합 보 육 시 필 요 한 교 사 유 형․․․․․․․․․․․․․․․․․․․․․ 45

<표 Ⅳ -18> 통 합 보 육 의 저 해 요인 ․․․․․․․․․․․․․․․․․․․․․․․․․․․․ 46

<표 Ⅳ -19> 통 합 보 육 의 성 공 요인 ․․․․․․․․․․․․․․․․․․․․․․․․․․․․ 47

<표 Ⅳ -20> 통 합 보 육 에 필 요 한 연 수내 용 ․․․․․․․․․․․․․․․․․․․․․․ 48

<표 Ⅳ -21> 장 애 유 아 의 어 린 이집 입소 여부 ․․․․․․․․․․․․․․․․․․․․․ 49

<표 Ⅳ -22> 장 애 유 아 를 위 한 통 합 보육 운영 형 태 ․․․․․․․․․․․․․․․․ 49

<표 Ⅳ -23> 장 애 유 아 에 게 필 요한 보육 형 태 ․․․․․․․․․․․․․․․․․․․․ 50

<표 Ⅳ -24> 장 애 유 아 보 육 의 효 과 적인 보육 장 소 ․․․․․․․․․․․․․․․․ 51

<표 Ⅳ -25> 「 장 애 인 등 에 대 한 특 수 교 육 법 」 의 인 식 정 도 ․․․․․․․․51

<표 Ⅳ -26> 장 애 영 유 아 의 무 교육 에 관 한 인 식 정 도 ․․․․․․․․․․․․․․ 52

<표 Ⅳ -27> 통 합 보 육 시 필 요 한 교 사 유 형․․․․․․․․․․․․․․․․․․․․․ 53

<표 Ⅳ -28> 통 합 보 육 의 저 해 요인 ․․․․․․․․․․․․․․․․․․․․․․․․․․․․ 54

<표 Ⅳ -29> 통 합 보 육 의 성 공 요인 ․․․․․․․․․․․․․․․․․․․․․․․․․․․․ 55

<표 Ⅳ -30> 통 합 보 육 에 필 요 한 연 수내 용 ․․․․․․․․․․․․․․․․․․․․․․ 56

<표 Ⅳ -31> 통 합 보 육 효 과 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결과 ․․․․․․․․․․․․58

<표 Ⅳ -32> 통 합 보 육 효 과 의 결 과 에 대 한 순 위 ․․․․․․․․․․․․․․․․ 59

<표 Ⅳ -33> 통 합 보 육 효 과 에 대 한 전 반 적 인 인 식 결 과․․․․․․․․․․․ 60

<표 Ⅳ -34> 통 합 보 육 경 험 유 무 에 따 른 인 식 ․․․․․․․․․․․․․․․․․․ 61

<표 Ⅳ -35> 통 합 보 육 경 험 유 무 에 따 른 사 후 검 증 결 과 ․․․․․․․․․․ 61

(12)

ABSTRACT

Directors' perception on the operation status and effect of inclusive educa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in nursery schools

Back-SeolLee

Advisor:SeungheeLee,Ph.D.

Majorin SpecialEducation

GraduateSchoolofEducation,Chosun University

This research is about Director’s perception on the operation status and effectofinclusiveeducationanditsrelatedvariablesin national,corporate,and private nursery school.Totalnumberof502 directors ofvarious institution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among those 502 directors 283 directors (56.4%)gave theirfeedback Various methods such as frequency,percentage, standarddeviation,ranking,andonewayANOVA (F variable)havebeenused respectivelyinordertoanalyzeobtaineddata.

This research toolis derived by modifying Lee Jeong Hwa (2002),Oh Mi Ok(2004),and(Lim DukRan(2005)’squestionnairesandconsistsof(3)sections.

(A)basicelements(B) currentoperation statusofinclusiveeducation and(c) perceptionofinclusiveeducationseffects.

(13)

Theresultswereasfollows

First,it’seducationalrightfordisabledchildren tobeacceptedby anursery school,andthereasonthatnursery schoolsdon’tprovideinclusiveeducation is thattheydon’thaverightprogram.Thebestoperationofinclusiveeducationis to apply itthrough wholeeducationalprogram.Themostneeded partsofthe inclusive education is teaching sociality to the disabled children.Specially trained teachersarerequired aswellas 24 hoursopen facilities.Thereasons which hinders inclusive education are insufficientnumberoftrained teachers, low participation ofthe parents and in sufficient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In order to have successfulinclusive education,improvements of quality and rightattitude ofteachers,finding severity and types ofdisabled childern,and physicalenvironments are needed.As perthe teachers training,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disability,correcting problematic behavior,and curingdisabledchildrenareneeded.

Second, regarding variables (types of foundation and having experience/inexperience ofinclusive education)4 sections ofout10 questions which dealthe reason ofaccepting disabled children,understanding ofspecial educational law of mandatory education of disabled person,and necessary training forinclusiveeducation,both variableshavesimilaranswers.However, regarding 6 questions which deals the reason of not providing inclusive education,effectivefacility fordisabledchildren,requiredteachersforinclusion, factors that hinders inclusion,and factors for a successful inclusion, two variableshavedifferentanswers.

Third,regarding effects ofinclusive education,directors ofnursery schools

(14)

find thatit gives positive effects to disabled children,normalchildren,and teachers.

Forth, regarding variables (types of foundation and having experience/inexperienceofinclusiveeducation),typesoffoundation don’taffect theperception on effectsofinclusiveeducation,howeverhaving experienceor inexperience ofinclusion shows difference.Those who are providing inclusion and those who have no experience in inclusion have more positive understanding of inclusion than those who have previously experienced inclusiveeducation.

(15)

Ⅰ.서론

1.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는 교육이 모든 아이들을 위한 교육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 어느 누구도 차별이나 소외 되지 않고 특성에 맞는 교육을 받기를 바라고 있다.

특히 이러한 생각들이 장애유아 통합보육에서도 그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고,우리 의 교육현장은 구성원들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학교 공동체를 만들어가기 위한 노 력들이 더해가고 있다.특히 유아기는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간의 차가 적을 뿐만 아니라 한사람의 인생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단계로 그에 적합한 교육이 이루어져 야 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이소현,2003).

최근 장애가 있는 유아들을 특정 장애영역으로 분류하지 않고 ‘발달지체’라는 통 일된 명칭을 사용하는 것은 가능한 장애가 없는 일반유아들과 함께 보육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는 정상화 원리에 초점을 둔 것이다.과거 우리나라 특수교육 은 분리교육 및 보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것이 사실이지만,오늘날 장애유아 를 위한 보육은 통합보육이 적절한 보육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즉 가소성이 큰 유아시기에 조기선별을 통한 통합보육은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사소통기 회의 확대 및 낙인의 감소와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진시키며,또한 제2차 장애를 예방 및 최소화하고,장애유아의 보육 및 그 가족들의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 한다.특히 통합보육으로 인한 전인적인 발달은 나아가서는 성인이 되었을 때 성 공적인 사회 통합으로 이어져 국가균형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장애유아 의 통합보육은 필수적이다(이소현․박은혜,2006).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만5세부터 순차적인 의무 교육 추진과 0세부터 3세까지의 영유아의 경우 무상교육을 실시하겠다는 「장애인

(16)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을 공포하였다.그리고 장애유아의 의무교육을 위한 대상 기관으로 여성가족부가 인정한 보육기관도 포함하였다.특히 우리나라 장애유아 보육은 보건복지부가 1996년 「장애아동 보육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여,장애아동 국고보조 보육시설 50개소를 신․층축하고 소요되는 교사의 인건비를 지원하면서 시작되었고,1997년에 장애아동 전담시설을 지정하여 그 재정적 지원이 강화되었 으며,2003년부터 취학전 장애아동에 대한 보육시설과 유치원에서의 무상보육과 교육이 시행됨에 따라 일반유치원과 보육시설에 통합되고 있는 장애아동의 수가 증가하였다(한연숙․이진숙,2006).2004년 장애전담 보육시설은 총 99기관(장애유 아: 3,566명)이었고 장애통합 보육시설은 총 213기관(장애유아:1,540명)이었으나, 2006년도 12월 보육통계(보건복지가족부,2008)에 따르면 현재 전국의 장애유아를 위한 장애 전담 보육시설은 총 144기관(장애유아:5,406명),장애아통합 보육시설은 총 732기관(장애유아:3,212)으로 2004년과 비교해 볼 때,장애 전담보육시설은 45% 증가하였고,장애아통합 보육시설은 불과 2년 만에 2.5배의 증가를 보였다.

2010년 장애유아 의무교육의 시행과 관련하여 통합보육 수효가 증가할 수 있는 시 점에서 통합보육은 더 이상 특수보육의 영역이 아니며,성공적인 통합보육을 위해 서 일반보육과 특수보육이 동반자적 입장을 취해야 한다.그러기 위해서는 일반보 육기관의 시설 및 설비 등의 물리적 환경의 확충과 인적 구성원들의 특수교육 및 보육에 대한 교육 및 연수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고 본다.

2003년부터 장애유아의 통합보육 및 교육을 위한 지원이 있었으나,지원에도 불 구하고 여러 가지 제한점으로 통합보육이 활성화되지 못했다.이러한 요인 중 가 장 두드러진 것이 보육기관의 교사와 기관장의 철학이나 태도 등 인식부족으로 나 타났으며(김명희 1992;이명자,1996),통합보육 시설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식 연구에서도 통합보육에 대한 구체적인 어려움으로 행․재정적 지원 부족,시설장 의 인식 및 지원부족,전공교사 확보의 어려움 및 교사들의 전문성 부족,협력적접

(17)

근의 어려움,가족지원의 어려움 등이 지적되었다(이소현 외,2006).통합이 되면 장애유아를 위한 보육에 관한 주요 의사결정은 교사의 몫이 되지만,보육기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원장의 통합에 대한 철학은 통합보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주 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즉 통합보육의 실시여부는 보육시설 원장의 수용태도나 실천의지에 달려있으며,원장이 통합보육을 위해 긍정적,적극적 역할을 수행하지 않으면 통합보육은 성공할 수 없게 된다.이명자(1996)에 따르면 원장이 장애유아 에 관한 강의나 연수경험이 많을 때 장애유아의 통합보육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며, 어린이집의 통합보육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고 또한 장애유아 교수방법 결정 에도 주로 담임교사와 원장이 검토하여 실행하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타났다.또 한 장애통합보육 시설장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인식연구(이소현 외,2006)에서도 통합보육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시설장은 통합과 관련된 교사,부모,아동 에 대한 직,간접적인 업무뿐만이 아니라 행,제정적인 업무와 지원을 제공하며 일과 중에도 감독 및 점검을 통해 통합어린이집의 전반적인 관리를 맡고 있는 것으로 나 타났으며,특히 통합보육 기관은 통합프로그램을 운영하지만 위탁 기관인 경우 시설 장이 자주 바뀌면서 시설장이 통합을 잘 이해하지 못하거나 적극적으로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프로그램 운영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이와 같이 통합보육 의 활성화와 성공을 위해 어린이집 원장들의 인식이 중요하게 부각됨에 따라 관련 연구들(강수정,2007;김진영,1998;김태숙,2004;박성희,2000;박용상,2001;오미 옥,2004;이정화,2002;임덕란,2005;장진희,2008)이 수행되었으나 대부분의 연구들 이 국공립,법인,민간,가정,직장보육시설 중 단일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만을 조사 하거나 두 개 이상의 설립유형의 어린이집 원장에게 설문을 하였어도 그 유형을 구 분하지 않거나 설립유형을 변인으로 하여 비교하지 않았으며 또한 구체적인 설립유 형을 명시하지 않아서 유형간의 욕구와 필요정도에 따른 차이를 알 수가 없었다.따 라서 국공립,법인,민간 어린이집을 모두 포함하고 설립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18)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육기관장 개인의 철학이나 신념이 장애유아의 통합보육에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국공립,법인,민간 어린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통합보육 의 운영실태,원장의 인식 및 관련변인들을 조사․분석하여 성공적인 통합보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연구문제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어린이집 통합보육 운영실태는 전반적으로 어떠한가?

둘째,어린이집 통합보육 운영실태는 변인(설립유형,통합보육 경험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어린이집 통합보육 효과에 대한 원장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어떠한가?

넷째,어린이집 통합보육 효과에 대한 원장의 인식은 변인(설립유형,통합보육 경험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용어의 정의

① 국공립 어린이집

국공립 어린이집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설치·운영하는 국공립 보육시설을 말한 다(법제처,2008).

(19)

법인 어린이집은 사회복지사업법에 의한 사회복지법인(이하‘법인’이라 한다)이 설 치,운영하는 법인 보육시설을 말한다(법제처,2008).

③ 민간 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이란 사회복지법인이 아닌 비영리법인,비영리단체 또는 개인이 설 치ㆍ운영하는 시설로서 직장보육시설,가정보육시설 또는 부모 협동시설이 아닌 민간 보육시설을 말한다(법제처,2008).

④ 통합보육

본 연구에서 ‘통합보육’이란 국공립,법인,민간 어린이집에서 장애를 갖고 있거나 발달지체의 위험이 있는 영유아가 일반 영유아와 함께 보육 받으며,상호작용하도 록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의미한다.

4.연구의 제한점

본 연구는 통합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들의 인식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하지만 본 연구대상 283명(총 502개 기관)중 국공립 17명(100%),법 인 88명(65.2%),민간 178명(50.9%)으로 설립유형간 어린이집 수에 현저한 차이가 있어 전반적인 실태 및 인식의 차이를 묻는 연구결과의 경우 대상자가 수가 많은 어린이집 원장 의견이 전반적으로 반영되는 경향을 나타내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 화하는 데 제한점이 있다.

(20)

Ⅱ.이론적 배경

1.장애유아 통합보육

1)통합보육의 개념

13세기경부터 장애아동의 보육권을 보장하기 위해 장애인들을 사회로부터 격리 시켜 시설에 수용하기 시작하였으며,1960년대 이전까지는 장애인을 시설에 수용 하는 분리위주의 특수교육을 했다.즉 분리교육이 인도주의적이라 믿어져 분리교 육기관(특수학교)을 증설해 왔기 때문이다(김승국,1999).그러나 장애인의 권리를 주장하는 부모와 권리 주창 단체가 법원을 통한 수많은 판례들에 의해 분리교육에 대한 도덕성과 윤리성에 비판이 일기 시작했으며(김원경 외,2008),1960년대 스웨 덴의 Nirje에 의해서 처음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정상화(normalization)원리를 도입 하면서 장애인을 수용하는 시설을 폐쇄해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이소현,2003).정상화원리는 장애(disabilties)나 기타 불이익(handicaps)을 경험하 는 모든 사람들에게 가능한 한 사회의 일반적인 환경 및 생활 방식과 유사하거나 실제로 동일한 삶의 형태와 일상생활의 조건을 제공해주는 것을 의미한다(Nirje, 1985,이소현․ 박은혜,2006에서 재인용).즉 장애인들도 비장애인들의 교육환경과 동일하거나 최대한으로 유사한 환경에서 교육받어야 한다는 것으로 단지 교육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모든 환경에서의 정상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정상화 원리는 학교에도 영향을 미쳐 1970년대에 미국 공법 94-142에 장애아동을 장애가 없는 또래,가정,지역사회로부터 가능한 한 최소한으로 분리시 켜야 한다는 최소제한환경(leastrestrictiveenvironment:LRE)원리가 규정되도록

(21)

역할을 하였다.1980년대의 최소제한환경에 대한 움직임은 점진적인 통합교육 즉 주류화(mainstreaming)를 제시하였다.이는 학교교육 프로그램을 재구조화하여 장 애를 가진 아동들이 가능한 한 비장애 또래들과 함께 일반학교와 학급에서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김원경 외,2008).

이와 같은 주류화는 사회적 맥락과 통합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요구에 의해 점차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가 분리로부터의 하나가 아닌 처음부터 포함되어 있는 하나의 집단으로 인식하고 함께 교육해야 한다는 통합교육(inclusiveeducation)의 개념으로 변화하였고,완전통합(fullinclusion)의 개념으로 확장되었다.통합교육의 이념적 근거인 정상화원리에 대한 개념 적용에 있어서 학자들마다 입장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여러 가지 다른 내용으로 정의되어 왔다.그러나 대부분 정의들은 일 반교육에 장애유아를 포함하고 있다.이소현 외(2006)은 통합보육에 대한 원장과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연구에서 실제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시설장과 교 사들은 모두 통합의 정의를 모든 아동이 갖고 있는 권리이며,동시에 일반아동과 동등하게 교육의 기회를 갖는 것이라고 인식하였다.또한 이소현(2003)은 통합교 육이 교수전략이나 배치의 문제가 아니라 친구들,학교,이웃과 같은 지역사회 집 단에의 소속에 관한 문제라고 지적하였다.이는 최근에 강조되는 통합보육은 특수 교육 안에서 이해하려는 것보다.일반보육과 특수보육이 함께 운영하고 실천해야 하는 과제로서의 성격을 담고 있을지 모른다.

사회적 이념의 흐름과 사회구성원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요구로 인해 변화하는 통합교육의 개념에 따라 통합보육을 정의하자면 통합보육이란 장애를 지닌 유아들 이 장애를 지니지 않은 또래들과 함께 유치원이나 보육 시설 등의 기관에서 보육 받는 것으로 교육적 배치와 교수전략에 모든 유아가 최대한 참여할 수 있도록 개 선되어지며 모든 유아에게 적절한 교육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22)

2)통합보육의 효과

( 1)장애유아에 기대되는 효과

장애 유아 통합교육은 지금까지 많은 연구를 통하여 나타났듯이 장애가 있거나 없는 것과는 상관없이 모든 유아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이소현․최윤희․오세림,2007).특히 장애유아가 겪는 비장애유아 집단과의 다양한 경험은 언어,인지,사회성,정서발달을 가져오며 더불어 장애유아가족의 삶의 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이소현․박은혜,2006에서 재인용).

우선 통합교육이 장애유아의 인지적 발달측면 효과에서 김광응(1990)은 비장애유 아들이 장애유아에게 적절하게 적극적 반응을 해 줌으로써 장애유아의 인지발달을 증진시켜 준다고 하였다.또한 사회성 측면에서 Buysee와 Bailey(1993)는 장애유아 와 일반유아의 통합과 분리에 관해 비교한 연구에서 장애유아가 분리된 환경에서 보다는 통합교육환경에서 동료와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의 증가와 사회적 참여 수준 의 향상등 사회적 행동이 월등히 좋아졌는데 이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긍정적 효과 때문이라고 하였다.

김정자(2001)는 통합보육이 장애유아에게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첫째,또래집단의 행동을 모방함으로써 발달의 촉진과 관찰학습을 할 수 있다.둘 째,생활경험의 폭이 넓어진다.셋째,놀이와 생활의 흐름에 따라 규칙적인 행동을 하게 되며 생활습관이 좋아진다.넷째,자립심일 촉진된다.다섯째,잠재되어 있는 능력 및 잔존능력이 발견되는 기회가 된다.그러나 이와 같이 발달의 촉진은 물리 적 통합에 의해서 저절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정의 운영이나 교수의 질에 의해서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이처럼 다양한 연구에서 통합 교육이 장애유아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통합보육을 통해 장애유아에게 기대되는 효과를 연구한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

(23)

해 보면 다음과 같다(전경원,2004;이정숙,2006에서 재인용).첫째,언어기능은 통 합보육을 통해 또래유아를 모방함으로써 장애유아들은 잠재적으로 언어의 기능과 의사소통의 필요성을 인식할 것이며,우연한 기회를 통한 발화는 언어를 습득하는 하나의 계기가 될 것이다.둘째,사회적기능은 미시적으로 개인의 사회성에 대한 측면과 거식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보았다.개인의 사회성 측면에서는 적절한 나이 에 맞는 행동을 관찰,모방하여 바람직한 행동을 학습하고,정상적인 발달을 보이 는 또래들과 상호작용함으로 사회성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또래들과의 역할놀 이를 통해 가상현실세계에 대한 경험은 현재 통합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귀중 한 학습이 된다.또한 거시적 측면은 조기에 일반유아와의 정상적인 교류를 통해 거부감,이질감,고립감 등이 해소되어질 수 있으며 정상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수용감,소속감 등을 증진시켜 바람직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생활을 할 수 있도 록 도와준다.셋째,학습기능은 조기의 통합보육을 통하여 비장애유아와 함께 구성 된 진보된 교육환경은 장애유아의 인지발달을 촉진할 수 있으며,또한 적절한 프 로그램을 통한 또래학습 및 관찰학습은 학업적 성취를 얻을 수 있다.넷째,정서기 능으로 일반유아들의 적극적인 반응은 예상외로 장애유아의 잠재된 능력들이 발견 되어질 수 있는 기회가 되며 이를 통해 장애유아는 자신에 대한 신뢰감을 성장시 킬 수 있다.다섯째,가족기능은 주된 양육자인 어머니와의 밀착된 관계에서 벗어 나 정상적인 또래와 다양한 인간관계를 경험함으로써 자발적인 활동 및 자신의 존 재를 알 기회를 가질 수 있다.그 외에도 유아기 이후에 심각해 질 수 있는 지체 를 조기에 통합보육을 실시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으며,성공적인 통합은 장애유아 가 성인이 되었을 때 소요되어야하는 국가적 비용감소에 큰 역할을 할 것이다.

( 2)비장애유아에게 기대되는 효과

통합보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논쟁은 통합보육이 일반유아들에게 어떠한 영

(24)

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것이다.따라서 통합에 있어 일반유아에 대한 긍정적인 면 은 통합보육을 정당화하는 데 있어 중요한 근거가 된다.대체로 연구들은 통합이 우리가 염려하는 것처럼 일반유아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하고 있다.이와 관련하여 김숙경(1985)은 일반아동은 통합교육을 통해 개인차를 수용하 고 사람을 돌보고 도와주는 것을 학습하며 도움이 필요한 때와 도움을 주는 방법 을 학습한다고 하였다.

비장애유아에게 기대되는 효과를 전경원(2004)이 정리한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첫째,장애아도 나와 비슷한 점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사회의 구성 원으로 인식하고 수용할 수 있는데 유아들은 아직 특정 집단에 대한 인상이 형성 되지 않았서 유아기의 장애-비장애의 접촉 경험은 상호간의 수용 가능성을 훨씬 높여주기 때문이라고 했다.또한 통합보육을 통한 유아 간 상호작용은 장애유아를 향한 부정적인 인식과 태도가 호의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김광응,1990).서현아 (2000)는 비장애유아들이 장애유아를 통해 다른 점을 이해할 기회가 많아지고 이 는 단순히 장애유아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사람들마다의 개인차를 인식하는데 도움이 되며 결과적으로 장애유아를 수용하고 서로 어울릴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게 된다고 하였다.둘째,유아교육기관이라는 지역사회가 장애아들도 수용하 고 포용할 수 있다는 사회적 책임을 학습할 수 있다.일반아동들은 편견없는 자유 로운 사고를 기를 수 있는 교육의 기회인 동시에 장애아동에게는 미래를 위한 준 비를 할 수 있게 한다.결국 통합은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이 함께 어울리면서 친구 가 되는 경험을 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하였다(이 소현 외 2006;전영숙,1999).셋째,일반아동들은 장애아들에 대해 상호협력자,모 델 등의 역할을 함으로써 상대방을 돕는 마음,양보심,배려심 등과 같은 사회적인 행동을 학습할 수 있다.넷째,통합교육을 통해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행 동변화를 가져올 수 있어 비장애유아의 자존감(self-esteem)이 향상되었으며,바람

(25)

직한 행동 또한 증가하였다고 하였다(Staub etal.,1996:김원경 외,2008에서 재 인용).다섯째,자신의 지식을 장애아에게 가르쳐줌으로써 재학습의 기회를 가져올 수 있다.즉 통합보육시 유아간 상호작용은 비장애유아로 하여금 바람직한 모델의 역할을 경험할 수 있게 하며 장애가 있는 아동과 같이 생활하고 학습하기 위해 필 요한 여러 문제해결 기술이 발달할 수 있다(Salisbury,Palombaro,& Hollowood, 1993;김원경 외,2008에서 재인용).

개인차에 입각한 교육을 통해 교사들은 장애유아나 비장애유아를 교육하는 것에 서 장점을 발견해내는 눈을 가지게 되었다.그러나 무엇보다 장애유아와 함께 있 는 일반유아가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혜택은 장애유아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이라 고 할 수 있다.통합에서의 일반유아는 장애유아를 구성원으로 인식하고 수용할 수 있으며,긍정적인 태도를 갖게 된다.장애친구를 나와 비교하여 비슷한 면과 다 른 점을 모두 수용하고 우리모두가 이들을 함께 포용해야 한다는 사회적인 책임감 을 자연스럽게 갖게 하는것이 미래의 더불어 사는 사회를 구축하는데 큰 밑거름이 될 것이다.

3)성공적인 장애유아 통합보육의 조건

통합보육의 질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통합보육이 성 공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우선 통합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제반 여건이나 문제점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관련 연구들에서는 통합보육의 성공요인으로 교사의 태도와 자질,학부모의 이해,장애유아의 장애의 정도,물리적 환경,원장의 태도,적절한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제공 등을 지적하였 다(김경자,2003;류영숙,2004;박정숙,2001;이소현․박은혜,2001;이창미․장혜 성․김수진,2003).

(26)

첫째,교사의 태도와 자질에 관련하여 류영숙(2004)은 교사의 자질과 태도는 통 합교육의 성공을 이끌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고 통합교육은 전적으로 유아 교사의 독자적인 책임과 지도하에 이루어지므로 교사의 자질은 통합교육의 성공을 위해 매우 중요한 변인이 된다고 하였다.즉 통합교육의 성공은 장애유아 통합교 육에 대한 교사의 태도에 결정적으로 의존하며,양질의 통합교육과 통합된 장애유 아의 발달적 및 사회적 성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해 긍정적 으로 인식하고 장애유아와 상호작용 할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한다고 하였고,이소현․박은혜(2001)는 통합학급의 유아교사가 아동의 장애정도에 따라 필요한 교수적 수정 및 아동의 교육적 요구를 알아내는 능력,프로그램의 선정,특 수유아 및 일반유아간의 상호작용의 특성을 알아낼 수 있는 관찰능력의 습득과 같 은 통합학급 교사의 질적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시급하다고 하였고 관련 전문가 들의 책임의식 형성과 관련된 내용에서 전문가란 장애유아를 가르치는 모든 교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그리고 행․재정가들은 모두 통합보육에 주인의식과 긍정적인 태도,책임의식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학부모의 이해에 관련하여 김경자(2003)는 비장애유아 부모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는 장애유아에 대한 비장애유아의 태도에 영향을 줄 것이며,장애유아 부모들은 통합교육에 직접 참여하여 가정과 유치원에서 조력자로서 역할을 수행해 야 하므로 부모들이 가지고 있는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는 통합교육 운영에 영향을 미치며 통합교육을 실시하기 전에 부모들에게 통합의 목적과 통합교육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셋째,장애유아의 장애정도에 관하여 살펴보면 통합된 장애유아들이 비장애유아 들로 부터 거부당하는 이유 중 가장 큰 이유는 장애유아들이 비장애유아들에 비해 적응기술이 부족하다는 것이다.그래서 박정숙(2001)은 장애유아의 성공적인 통합 교육을 위해서는 장애유아 스스로 통합교육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일정수준의 지

(27)

능 및 자립생활기술,행동기술,사회적기술등의 적응기술이 필요하다고 했다.

넷째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장애유아를 위한 물리적 환경에 대해서 류영숙 (2004)은 물리적 환경은 안전성이 있어야 하며 접근성이 보장되고 학생에게 적절 하게 구성되어야 하며,물리적 시설과 교재 및 교구의 마련을 위해서 재정적인 지 원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고 했다.또한 장애정도의 특성에 맞고 비장애아동들과 상호작용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물리적이고 공간적인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다섯째,원장들의 인식에 관하여 이창미․장혜성․김수진(2003)는 성공적인 장 애유아 통합교육을 위해 기관의 대표자인 원장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 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원장이 장애아에 관한 강의나 연수 경험이 많을 때 장애유 아의 통합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볼 때 원장 연수가 강화되 어야 한다고 했다.

여섯째,장애유아를 위한 관련서비스 제공은 장애유아가 현재 필요한 치료적 욕 구로 언어치료,물리치료,작업치료,음악치료 등을 의미하며 이러한 치료서비스의 적절한 제공은 성공적인 통합보육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이소현․박은 혜(2001)는 대안으로 치료사 및 관련 전문가들을 진단,교수계획,상담 등의 프로 그램에 참여하게 하는 행정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성공적인 장애유아통합보육을 위한 요인들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하 며,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성공적인 통합보육을 위해서는 한 기관 한 사람의 노력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 장애아의 부모,각 시설,각계의 연구기관,국가적 지 원,사회적 관심 등이 통합될 때 성공을 거둘 수 있다는 것이다

2.장애유아 통합보육 정책

(28)

1)장애유아 통합보육 관련법

( 1)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지난 2007년은 장애인들이 더 이상 장애를 이유로 차별을 받지 않고 맘껏 공부 하며 일하고 생활 할 수 있도록 하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는 참으로 의미 있는 해 였다.무엇보다도 2007년 5월 25일 공포되어 2008년 5월26일부터 시행되기 시작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은 우리나라 장애인아동의 교육을 공적으로 보장 할 수 있게 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되었다.이와 같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 육법」은 장애인 및 특별한 교육적 요구가 있는 사람들에 대해 단순한 교육기회 제공뿐 아니라 영아기 부터 성인에 이르기 까지 생애주기별로 교육을 지원하여 자 아실현과 사회통합을 하는데 기여하고자 새롭게 제정되었다.다음은 교육과학기술 부(2008)에서 출판한「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해설집」의 내용 중 주요 핵 심내용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특수교육대상자에 대한 의무교육 연한 확대

의무교육이란 교육의 기회균등 사상에 입각하여 모든 국민에게 사회적,경제적 지위에 관계없이 최소한의 필수적인 공통교육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이다.현재 우 리나라는 모든 국민에 대해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정의 의무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제정되면서 특수교육대상자의 경우 유 치원 과정부터 고등학교 과정까지 의무교육을 받아야 하고 만 3세 미만의 영아와 고등학교 이후의 전공과 과정은 무상교육을 받게 되었다.

② 장애의 조기발견 체제 구축 및 장애영아의 무상교육

그동안 특수교육진흥법에는 장애의 조기 발견이나 조기교육에 관한 절차 및 권

(29)

리 규정이 없어 장애를 발견하는 시기가 늦었고,장애를 발견하더라도 영유아보육 법에 따라 무상보육의 혜택만을 받을 수 있어서 장애영유아의 가정에서는 주로 사 교육에 의존해야 했고 그에 따른 가계 부담도 상당히 컸었다.하지만 「장애인 등 에 대한 특수교육법」이 제정되면서 만 3세 미만 장애영아에 대해 무상교육을 실 시하고 장애의 조기발견을 위한 무상의 선별검사 실시 또는 영유아건강검진 결과 를 활용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장애아의 장애교정과 경감,제2차 장애의 예방 및 발 달 촉진은 물론 장애자녀를 둔 가정의 가계 부담을 경감시키고 향후 사회적 비용 최소화 및 사회통합의 촉진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

③ 교원의 자질향상

특수학급의 설치 여부에 상관없이 일반학교에 통합되는 장애학생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모든 일반교육 교원에 대한 특수교육에 대한 책무성 제고 및 학습교수, 행동관리,생활지도 등 지도능력의 신장이 요구된다.이렇듯 특수교육 교원에 대한 일반교과 교육 연수 및 일반교사에 대한 특수교육 관련 연수 강화를 규정하여 통 합교육의 내실화 및 만족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④ 특수교육지원센터 설치․운영 법적 근거 마련

특수교육지원센터를 하급교육행정기관별로 설치․운영하도록 규정하고 특수교 육대상자의 조기발견,진단,평가,특수교육 연수,교수․학습활동의 지원,특수교 육 관련서비스 지원,순회교육 등을 담당하도록 하였다.그리고 이러한 업무를 수 행할 수 잇는 별도의 공간을 두도록 하고,업무를 전담하는 특수교육 분야의 전문 인력을 배치하도록 하였으며,하급교육행정기관에 특수교육지원센터를 2이상을 운 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30)

⑤ 통합교육의 강화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는 장애가 있더라도 우선적으로 일반학교 에 통합될 수 있도록 배치하고 통합된 특수교육대상자가 적절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통합교육에 관한 규정을 구체화시켰다.먼저 특수교육대상자를 학교에 배 치할 때 일반학교의 일반학급,특수학급,특수학교 순으로 배치하여 가능하면 분리 되거나 제한된 환경이 아닌 통합된 환경에서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배치 체계 를 마련하였다.특수교육대상자를 가능하면 통합된 교육환경에 배치하도록 하면서 거주지에서 가장 가까운 학교에 다닐 수 있게 하였다.또한 특수교육 담당 교사의 총정원을 학생 4명당 1인 기준으로 정하도록 하고 시․도별 교사는 교육과학기술 부장관이 단위학교,학교급별 교사는 교육감 또는 교육장이 도시와 농촌,산촌,어 촌 교육의 균형발전,특수교육지원 센터 운영 현황 및 특수교육대상자의 지역별 분포 등을 고려하여 배치기준의 40퍼센트의 범위에서 가감하여 배치할 수 있게 하 여 특수교육대상자가 배치된 기관이나 장소에 상관없이 특수교육 담당교사를 배치 하여 보다 다양하고 효율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게 하였다.

⑥ 특수교육대상자의 변화

1977년 재정된 「특수교육진흥법」은 2008년에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 법」개정되었는데「특수교육진흥법」은 특수교육 대상자를 ① 시각장애,② 청각 장애,③ 정신지체,④ 지체부자유,⑤ 정서장애,⑦ 언어장애,⑧ 학습장애,⑨ 건 강장애 등 9개 영역으로 분류하였으나,「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은 ① 시 각장애,② 청각장애,③ 정신지체,④ 지체장애,⑤ 정서․행동장애,⑥ 자폐성장 애,⑦ 의사소통장애,⑧ 학습장애,⑨ 건강장애,⑩ 발달지체,⑪ 그 밖에 대통령 령으로 정하는 장애의 11개 영역으로 분류하고 있다.특수교육대상자 분류에 있어 서 구법과 비교하여 신법에서는 정서장애와 자폐성장애의 분류와 함께 장애위험이

(31)

있는 영유아를 위해 ‘발달지체’라는 용어를 포함하였는데 이러한 용어의 사용은 장 애영역의 명칭을 부여함으로써 오는 편견과 인상에 대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 고 또한 발달지체라고 광범위하게 용어를 제시함으로 가소성이 큰 유아기에 다양 한 교수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는 여지를 두었다고 볼 수 있겠다.「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 정의하는 발달지체란 신체,인지,의사소통,사회ㆍ정서,적 응행동 중 하나 이상의 발달이 또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지체되어 특별한 교육적 조치가 필요한 영아 및 9세 미만의 아동을 의미한다(법제처,2008).

( 2)영유아보육법

1995년부터 영유아보육지침에는 장애아보육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보육시설 선정운영조항을 신설하였고 1998년 개정된 영유아보육법에 통합이 어려운 장애아 보육에 관한 시설설치기준,종사자배치기준 등을 명시하고 있다.즉 장애아보육은 통합되어 보육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그 외의 특수한 경우(장애정도)에 분리보 육을 하는 것으로 보고있다(문선화․이선애,2003에서 재인용).

( 3)유아교육법

유아교육법 제 15조 1항에 “특수학교는 신체적,정신적,지적 장애 등으로 인하 여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유아에게 유치원에 준하는 교육과 실생활에 필요한 지 식,기능 및 사회적응 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고,2항에 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특수교육을 필요로 하는 유아가 유치원에서 교육을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입학절차,교육과정 등을 마련하는 등 유치원과의 통합교육의 실시에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여야 한다”명시함으로써 유치원에서 통 합교육에 대해 언급함으로써 통합교육의 기반을 마련하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최한옥,2008에서 재인용).

(32)

2)장애유아 보육현황

통합교육에 대한 논의는 미국의 경우 경제기회균등법(Economic Opportunity Act)에 의해 ‘해드스타트프로그램’에 적어도 10%의 장애아를 입학하도록 규정하면 서 본격화되었으며(이창미․장혜성․김수진,2003),우리나라에서는 1994년에 개정 된 특수교육진흥법에 의해서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법적,사회적인 근거가 마련하였다.2008년 시행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서는 2012년까지 만3세부터 만 5세 장애유아의 의무교육으로 시행하고,0~3세까지 장애영유아의 무상교육을 법적으로 규정하였다.

현재 통합보육과 관련된 우리나라의 통합보육과 관련된 보육현황을 보육시 설,장애영유아배치,지원비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첫 번째,장애영유아 통합보 육현황으로 2002년 9월의 전국의 장애유아 보육시설은 총 180기관이며 그곳에 서 3,552명의 장애유아가 보육되었으나 2005년 12월에는 장애아전담 어린이집 은 13l개소에 5,053명의 장애영유아와 장애통합 보육시설은 총 686기관이며 2,582명 장애유아가 보육되고 있다고 보고하여 2002년에 비해 2005년에 45.4%

가 증가하였다(한영숙․이진숙,2006에서 재인용).또한 보건복지가족부(2008) 의 2008년 6월 30일 특수보육시설현황에 따르면 장애아전담 어린이집은 159개 소에 5,889명의 장애영유아가 입소하고 있으며,장애아통합 보육시설은 768개 소로 64,946명의 영유아 중 장애영유아는 3,513명으로 보고되어 장애아통합보 육시설에 입소된 영유아는 2005년에 비해 2008년에 36%의 증가를 보였다.두 번째,장애영유아배치로서 장애영유아 통합교육 및 통합보육 내실화 방안 연구 에서 김은영 등 (2007)은 0~5세 장애영유아의 출현율을 2%로 보고하였고,장 애전담과 통합보육시설에 배치된 영유아비율을 2007년 보육기준으로 20.11%로 간주하였으며 약 80%정도의 장애영유아들이 보육에 관련된 기회를 갖지 못하

(33)

는 것으로 보고하였다(김용순,2008).세 번째,지원비와 관련하여 우리나라 영 유아보육법에는 6세 미만의 취학 전 아동인 영유아를 보육하는 시설에 대하여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보육시설의 설치,보육교사의 인건비,초과보육 운영경 비 등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조하고 있다.그리고 2006년 12월 31일 여성가족부의 장애아동 지원현황을 보면 14,093명에게 보육료가 지원되 고 있으며,장애아 보육교사 인건비가 지원되고 있는 시설로서 장애전담시설은 144개소,장애통합시설은 732개소가 운영되고 있다(한영숙․이진숙,2006에서 재인용).

3.선행연구 고찰

1)국내 선행연구 고찰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더불어 장애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학부모와 사회의 관심은 날로 높아지는 것이 현실이다.대부분이 보육기관에서는 통합교육 을 실시하려고 할 때 보육기관장들은 통합보육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나 통 합보육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이 미흡하기 때문에 실제 현장에서 발생되는 여러 가 지 문제를 해결할 만한 능력이 매우 부족하였다.장애유아 통합보육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보육기관의 원장에 대한 인식과 태도변화는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김진영(1998)은 “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유아교육 기관장의 인식연구”에서 유치원 원장과 어린이집 원장들의 인식을 경력별로 연구하였는데,유치원 통합교 육에 대한 태도에서는 경력이 11년 이상된 유치원원장이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보 였고,학업에 대한 인식에서는 교육기관이나 경력 사이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

(34)

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그리고 통합교육이 일반유아에 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은 경력이 11년 이상 된 어린이집 원장이 가장 긍정적 인 태도를 보였고,경력 10년 이하의 유치원 원장이 가장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박성희(2000)는 국공립,민간,법인,직장보육시설,사회복지관부설에 종사하는 시설원장 140명을 대상으로한 연구에서 전체 응답자 중 65.2%가 통합보육을 찬성 한 것과 대조적으로 장애영유아를 위해 장애아만 전담하는 보육시설이 93.2%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통합보육의 긍정적인 효과는 인식하였으나 통합보육 실행에 따른 교재․교구나 재정 및 교사 부족 등의 이유로 장애유아 전담보육시설의 설립 이 필요하다고 나타내었다.

박용상(2001)은 통합교육에 대한 유치원 원장,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에 관한 연구에서 통합교육의 단점으로 노력편중과 더불어 적응의 어려움의 문제를 극복하 기 위해서는 교실내의 인원 조정과 교실 자원 봉사자의 활용 등의 대안이 제시되 어야하며,장애유아가 조기에 교실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과 환경 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하였다.

김경자(2003)는 1명이상 장애유아를 통합하고 있는 유치원의 원장이 봤을 때 통 합교육의 어려움은 지역별 차이는 없었으나 원장 및 교사들의 장애유아 교육에 대 한 전문적 지식의 부족으로 교육을 수행하는데 있어 많은 불안감에 있다고 하였다.

또한 조윤경․이창미(2003)의 연구에서는 100명이상의 정원인 민간,국공립 어린 이집 원장을 대상으로 장애아동보육의 필요성 및 우선순위,장애아동 보육경험 및 현재 통합보육 미실시 이유,장애아동 보육실시계획과 전망에 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결론적으로 장애 아동보육의 필요성은 시설장의 80%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 고 같은 비율로 장애아동을 우선적으로 보육해야 한다는 응답을 보였다.따라서 현 재 장애아동을 보육하고 있지 않다고 하더라도 장애아동 보육의 필요성과 우선성에 대해서 일반 보육시설장에게 넓은 공감대가 형성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35)

통합보육에 따른 일반유아의 긍정적인 영향과 관련하여 김태숙(2004)의 연구에서 국공립,사립 어린이집 원장 154명에게 통합보육에 대한 인식을 설문한 결과 전반적 으로 통합보육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통합보육은 일반유아에게 ‘장애유아 들을 도우며 잘 어울릴 수 있으며,일반유아들과 똑같이 대할 수 있다’라는 긍정적인 의견을 나타내었다.

장애유아 통합 형태면에서 류영숙(2004)의 연구에 의하면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에 서 유치원 원장과 원감 모두 매우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합교육 형태면에서 대부분 학습적인 면을 통한 부분통합을 원했으며,학급구성 방법 또한 능 력을 기준으로 구성하는 것보다 연령기준으로 구성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원장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오미옥(2004)의 연구에서 장애유아의 지도와 관 련하여 가장 필요한 활동내용으로 ‘원만한 교우관계’이며,통합교사를 위해 보조교사 가 꼭 필요하고 또한 특수교육 연수와 유치원내의 필요한 교사유형으로 유아특수교 사의 의무배치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나타났다.

김원숙(2005)의 유치원 원장과 어린이집 원장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비교 연구 에서 결과적으로 유치원 원장과 어린이집 원장은 모두 장애유아 통합에 관하여 긍 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부모의 반응과 부모교육을 중요시 생각하고 있었으며 이 는 원아모집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부모의 반응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을 알려 주고 있었다.

임덕란(2005)이 국공립,민간,가정,직장보육시설 187곳의 원장을 대상으로 인 식과 태도를 비교한 연구에서도 통합보육의 효과가 장애유아와 비장애유아에게 긍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관심에 비해 현실적인 문제를 많이 고려하여 통합보육 에 대한 실제적인 실행에 대해서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수정(2007)은 통합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관리자(원장,원감)와 교사의 인식비 교에 관한 연구에서 관리자와 교사집단 모두 통합보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

(36)

었으며 특히 관리자 집단이 교사집단보다 필요성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합보육의 성공을 위해 적절한 교육과정 및 교육자료 개발이 중요하다 고 나타났다.

장진희(2008)는 통합교육에 대한 유치원 원장의 인식과 개선방안의 연구에서 통합 교육의 필요성으로 장애유아의 사회적응력 향상을 위해 실천해야하는 제도라고 인 식하였으나,통합교육의 기대효과에 있어서 일반유아에게 미치는 효과는 높은 인식 을 보인 반면 장애유아에 대한 통합보육의 기대효과는 높은 인식을 보이지 않았다.

2)국외선행연구 고찰

유아교육에 있어서 기본적인 정책이나 방향은 거의 행정당국에 의해 수립되고 있으나,이를 실천해 나가는 과정에는 원장의 운영지침이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 게 된다.따라서 통합교육의 실행여부는 유치원장의 의지에 의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원장은 전문적인 행정가인 동시에 교육 지도성을 발휘하는 지도자로서 교 사의 전문성을 도와주는 기회가 많이 주어지며 교사와 직접적으로 접촉할 기회가 많기 때문에 교사의 역할이나 능력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따라서 유 치원장의 자질은 통합교육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유아보육기관에서 통합교육이 성공적으로 실천되기 위해서 많은 요인들이 서로 긴밀하게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이러한 많은 요인들 중 무 엇보다 중요한 것은 통합교육에 필요한 교육환경이며,그 교육환경에서 가장 중요 한 것은 교육기관의 최고 관리자인 원장의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 인식일 것이 다.Lipsky와 Gartner(1997)은 특수교육에 있어서 성공적인 통합요인의 하나로 원 장의 리더쉽과 행정적 지원이 중요한 변인임을 강조하고 있다.이와 같은 내용을 반영해 볼 때 관리자의 자질은 통합교육의 성공을 위한 중요한 변인이라고 할 수

(37)

있으며 위와 같은 내용을 반영해 볼 때 관리자의 자질은 지도자,교육자,인격자로 서 가져야 할 특성을 갖추고 있어야 할 것이다.이렇듯 많은 연구에서 원장과 교 사의 통합교육에 있어 장애아동에게 보이는 인식 및 태도가 성공적 통합교육을 위 해 중요한 이유는 원장 및 교사의 인식과 태도가 장애유아의 학습에 직접적인 영 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이에 본 연구자는 통합교육에 대한 유아보육기관 원 장의 인식 및 태도를 중심으로 국외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 다.먼저 Marchant(1995)는 원장 및 교사가 장애유아에 대해 긍정적 수용과 기대 가 또래 일반유아들로부터의 긍정적 수용태도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나타낸다고 보 고하고 있다 이는 통합교육의 중요성과 통합교육의 성공적 실천기본으로 교육기관 의 원장 및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그에 대한 실천의지가 통합교 육 성공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다.Odom과 McEvoy(1988)는 통합 교육을 위한 책임 있는 전문가의 태도가 직접적으로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한 잠재력에 영향을 준다고 말하였다.즉 유치원을 운영하는 유치원장의 장애유 아 통합교육에 관한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장애유아 통합교육에 대한 조치가 법적인 근거로 실시된다 하더라도 장애유아에 대해 원장의 인식이 부 정적이라면 유아의 통합교육은 성공할 수 없다고 하였다.따라서 원장의 인식은 어떠한 법적,행정적,교육과정적인 전략보다도 통합교육의 성공을 이끄는 주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오미옥,2004에서 재인용).유아보육기관에서 원장과 교사 는 교육이 현장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장 중요한 집단이다.이러한 원장의 통 합교육에 대한 태도는 통합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 다.Blancher와 Turnbull(1982)의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원장 및 교사들은 일반 적으로 통합교육에 대해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교육에 대한 이와 같은 지지는 장애아동과의 긍정적인 경험이나 장애아동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지속적인 전문가 지원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38)

성공적인 통합교육에 대한 원장 및 교사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선행연구들에서 우선 Mandell과 Strain(1978)은 교육경력이 많은 원장이 통합교육 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하였고,Salend와 Johns(1983)은 장애아동과의 접촉 경험에 따른 태도에 있어서 통합교육에 대한 경험이 증가할수록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 태도로 변화한다고 하였다.하지만 Mandell과 Strain(1978)은 장애아 동과의 경험에 따른 태도 변화에 있어서 오히려 장애아동 교육경험이 많을수록 통 합교육에 대한 부정적 태도로 변한다고 하였다.

장애아동 교육에 대한 연수의 경험도 태도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우선 Stephans와 Braun (1980)은 장애아동 교육에 관련된 교육이나 연 수를 받은 원장 및 교사들이 그렇지 못한 교사들과 비교하여 통합에 대한 긍정적 인 태도를 보인다는 결과를 보고하였다(박용상,2001에서 재인용).

따라서 장애유아 보육기관에서 장애유아가 통합교육을 받도록 하기 위해서는 유 치원장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고,통합교육에 대한 행정적인 문제가 있을 때, 적절한 방안이나 교육적인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해야할 것이다.

(39)

Ⅲ.연구방법

1.연구설계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국공립,법인,민간어린이집의 통합보육 실태 및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각 유형별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는 원장들을 대상으로 설 문지를 통해 실시된 조사연구이다.

2.연구대상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국공립,법인,민간어린이집의 통합보육 실태 및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2008년 12월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는 502개 기관의 원 장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다.<표Ⅲ-1>은 2008년 12월 현재 광주광역시 소재 설립유형별 어린이집 현황이다.

<표 Ⅲ-1> 설립유형별 어린이집 현황

유형 국공립 법인 민간 총계

기관수 17 135 350 50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성별,연령,학력,교육경력,전공,통합교육 연수 나 세미나 참여경험,장애유아경험 유무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연구대상 자의 성별은 여자가 277명(93.3%)으로 남자 6명(2.0%)보다 많았다.연령은 40∼44 세가 84명(29.6%), 35∼39세 66명(22.3%)로 나타나 40대 초반과 30대 후반이 가장

(40)

많았으며 학력은 4년제대학 139명(49.1%),전문대 70명(24.7%)순으로 나타났다.

교육경력은 10년 이하가 98명(34.6%)으로 가장 많았으며,두 번째로 11~15년 (25.4%)으로 나타났다.통합교육 연수 및 세미나 참여경험은 있다가 154명(54.4%) 으로 나타났고 없다는 118명(41.7%)이었으며,설립유형은 민간어린이집이 178명 (62.9%),법인어린이집 88명(31.1%),국공립어린이집이 17명(6.0%)순으로 나타나 민간 어린이집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장애유아현황은 과거와 현재도 없 다가 117명(41.3%),과거에는 있었으나 현재는 없다 84(29.7%),현재 장애유아가 있다 82(29.0%)순으로 응답하였다.보다 자세한 연구대상자의 기초사항은 <표 Ⅲ -2>와 같다.

참조

관련 문서

- 과거에 주택을 소유하였더라도 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무주택세대구성원이면 신청이 가능함... 감리자가 확인한 실행공정률이 예정공정률(주채무자가

영에 대한 관리감독의 강도를 높이고 농약의 질에 대한 표본조사를 실시하며 법규를 위 , , 반한 생산경영단위에 대해 법에 의한 조사를 실시하고 면허가 없는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전망과 남북한 교류협력에 대한 시사점... 이러한 인식은 해리스 부통령 당선자에게서도

둘째,사립유치원 특별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에서 학부모들은 특별활동의 필 요성에 대해 매우 높게 필요성이 나타났으며,현재 특별활동의 비용은

질병관련 특성과 위험요인에 따른 교육 요구에 대한 인식은 가족력,운동실태 와 스트레스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심장병 유무,

나노 불평등에 대한 인식은 사람마다 달라서, 나노 기술의 성공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득이 너무 커서 기술 분배 불평등을 심화시킬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둘째 동적 평형성에 대한 반복측정분산분석 결과에서 측정시기에 따른 주 효 , 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측정시기와 그룹의 상호작용 효과는

본 연구는 무용공연 사회공헌활동이 지역주민인식 및 지지협력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는 무용공연 활동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