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인 반면 유방암과 대장암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인 반면 유방암과 대장암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원저]

도시, 농촌 여성들의 유방암, 위암 선별 검사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및 수검과 관련된 요인

윤영숙, 선우성

1)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1)

- 요 약 -

연구배경 암은 한국 여성의 사망 원인 1위이며 유방암, 위암이 발생 수위를 차지하고 있다. 유방암, 위암은 조기 발견시 치료의 효과가

좋아 선별 검사를 통하여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 이러한 암 선별 검사에 대한 여성들의 인식, 실행, 수검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무작위 집락 표본 추출법으로 지역 사회의 40세 이상의 여성 중 대상을 선정하였고, 도시, 농촌 여성들을 직접 방문하여 설

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은 일반적 특성에 관한 11문항과 유방암, 위암 선별 검사 실시에 관한 1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 과 도시 305명, 농촌 299명에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유방암, 위암 선별 검사의 경험은 도시에서 34,9%, 34.4%, 농촌에서 19.1%, 15.8%로 유방암, 위암의 선별 검사 경험은 도시와 농촌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기적 검사를 받고 있는 여성의 경 우 유방암, 위암의 경우에서 농촌의 정기적 검사 수행이 유의하게 작았다. 검사 시행 동기는 유방암의 경우 도시는 의사, 간 호사의 권고, 매스컴의 영향이 주된 동기였고, 농촌은 의사, 간호사의 권고, 증상이 있어서 였지만 위암의 경우 도시, 농촌 모 두 증상이 있어서가 주된 동기였다. 검사를 받지 않은 요인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해서가 가장 많았다. 선별 검사의 수행은 유방암의 경우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다른 선별 검사를 받는 경우에 높았다. 위암 선별 검사의 수 행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정기적으로 다른 선별 검사를 받는 경우에 높았고, 농촌에서 낮았다.

결 론 40세 이상의 여성들 중 대부분은 암 선별 검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지 않았으며 농촌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선별 검사

를 정기적으로 실시하지 않은 가장 주된 이유가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의 개념 부족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지 2004;4:90~97)

중심단어 선별 검사, 유방암, 위암

5서 론

2001년 사망률 조사에서 암에 의한 사망이 여성에서 사망 원인 1위로 조사되었고 암 사망률은 1991년 10만명당 81.7 명에서 2001년 91.6명으로 10년간 12% 증가하였다.

1)

2001년 한국중앙암등록사업 조사 결과에서 여성의 장기별 암발생 빈 도는 유방암 16.1%, 위암 15.3%, 대장암 10.%, 자궁경부암 10.1% 순으로 여성에서 자궁경부암과 위암은 감소하는 추세

∙교신저자 : 윤 영 숙 인제대학교 일산백병원 가정의학과

∙주 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구 대화동 2240

∙전 화 : 031-910-7594

∙E-mail : ysyun@ilsanpaik.ac.kr

∙접 수 일 : 2004년 6월 15일 ∙채 택 일 : 2004년 6월 19일

인 반면 유방암과 대장암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2)

조기발견의

효과나 치료의 효과가 좋거나 경과가 빠르지 않은 암일 경우

선별 검사를 통하여 사망률을 낮출 수 있음이 널리 알려져

있고 대표적으로 자궁경부암, 유방암, 위암이 여기에 포함된

다. 그러나, 여성에서 암 선별 검사에 대한 인식과 수검 실태

에 대한 조사로는 자궁경부암 선별 검사 수용과 관련된 요인

들을 보고한 몇몇 연구

3-6)

가 있지만 여성의 유방암, 위암 선

별 검사에 대한 인식과 수검 실태에 대해서는 보고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들에서 수위를 차지하

고 있는 유방암, 위암의 선별 검사에 대한 인식과 실행 및

수검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 도시 농촌간의 차이를 비교

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2)

Table 1. Bas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unit: person(%))

Variables Rural(N=299) Urban(N=305) Age* (years)

40-49 138 (46.2) 189 (62.0)

50-59 102 (34.1) 94 (30.8)

≥60 59 (19.7) 22 ( 7.2)

Occupation*

Housewife 50 (16.7) 198 (64.9) Agriculture 220 (73.6) 2 ( 0.7)

Others† 29 (9.7) 105 (34.4)

Education(years)*

< 9 174 (58.2) 43 (14.1)

9-12 110 (36.8) 34 (11.1)

≥12 15 ( 5.0) 228 (74.8)

Marital status*

Unmarried 0 ( 0.0) 3 ( 1.0)

Married 246 (82.3) 266 (87.2)

Widowed 53 (17.7) 26 ( 8.5) Divorce, separated 0 ( 0.0) 10 ( 3.3) Income(won/month)*

<1 million 253 (84.6) 38 (12.4) 1 million - 2 million 40 (13.4) 112 (36.7) ≥ 2 million 6 ( 2.0) 155 (50.9) Medical Insurance

Medical Insurance 259 (86.6) 277 (91.7) Medicaid 37 (12.4) 23 ( 7.6) None 3 ( 1.0) 2 ( 0.7) Self assessment of health status

Good 87 (29.1) 113 (37.0)

Fair 168 (56.2) 162 (53.1)

Poor 44 (14.7) 30 (9.9)

Fear of getting cancer*

No 153 (51.2) 87 (28.6)

Ordinary 140 (46.8) 208 (68.2) High 6 ( 2.0) 10 ( 3.3)

* P<0.05 by χ2- test †Others include clerks, professionals, technician and self employment.

연구 방법

1. 연구대상자 선정

1998년 4월부터 6월까지 수도권, 호남 지역의 거주자를 각 각 무작위로 선정하여 주거지를 찾아가 대면 면접 건강증진 행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도권과 호남 지역을 임의로 선정하였고 각 지역에서의 대상인구의 선정은 선택비뚤림(Selection Bias)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행정지역에 따라 무작위군집추출 방법(Random Cluster Sampling)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연령은 무증상 상 태에서 질병의 조기 발견을 위한 선별검사가 필요하다고 일 반적으로 생각되어지는 40세 이상으로 제한하였다. 이에 따 라 도시 여성 299명, 농촌 여성 305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2. 설문 조사

설문지는 유방암, 위암 선별 검사 수행과 관련된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년월일, 직업, 교육 수준, 가족의 평균 월 수입, 의료 보험 종류, 자신의 건강 상태에 대한 자기 인식도 등의 일반적 특성에 관한 11항목과 유방암, 위암의 선별 검 사의 경험, 지식, 검사 동기, 검사의 간격, 검사를 받지 않은 이유 등에 관한 12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가정의학 전문의로부 터 교육을 받은 한 명의 인터뷰어가 각 지역에서 20명을 대 상으로 예비 연구를 시행한 후 내용을 보충하였다. 1998년 4 월부터 6월까지 사전 교육받은 인터뷰어가 직접 대면 면접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 방법

SAS 통계 프로그램(version 6.11)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 하였다. 연령은 설문에 응답한 사람들의 만 나이를 계산하였 다. 70대가 도시 9명(3.0%), 농촌 2명(0.6%)으로 적어 60대 이 상군에 포함하여 40대, 50대, 60대 이상의 3개군으로 분류하 였다. 조사 대상자들의 결혼 상태를 미혼, 결혼, 이혼 및 별 거, 사별로 분류하였고, 교육 수준은 최종학력을 기준으로 중 졸 이하, 고교 졸업, 대학 졸업 이상으로 분류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도시, 농촌의 비교는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였고, 선별 검사의 수행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 기 위하여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예측 변 수는 연령, 교육 수준, 가족의 평균 월 소득, 배우자의 유무, 자 신의 건강에 대한 자기 인식도, 거주지, 직업, 다른 선별 검사의

수행 유무, 암에 걸릴 가능성에 대한 스스로의 견해 등이었다.

유의성 판단은 P값을 0.05미만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특성

만 40세 이상의 여성 중 도시에서 305명, 농촌에서 299명

이 연구에 포함되었다(Table 1). 도시와 농촌 여성들 사이에

(3)

는 의료보험의 유무, 자신의 건강 상태에 관한 자가 인식도 를 제외한 각 변수들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연령은 도시, 농촌 모두 40세에서 76세까지 분포를 보였으 며, 평균 연령은 도시 49세(±6.3세), 농촌 52세(±8.5세)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교육 수준의 경우 12년 이상이 농촌에서 14명(4.7%)으로 도시의 228명(74.8%)과 현저 한 차이를 보였으며, 월 평균 소득이 100만원 미만이 농촌은 253명(85.6%)으로 대부분을 차지한 반면, 도시는 200만원 이 상이 155명(50.9%)으로 도시의 소득 수준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2. 암 선별 검사에 대한 인식, 태도, 실행

1) 암 선별 검사의 경험

유방암 선별 검사 경험의 경우 도시와 농촌 각각 106명 (34.9%), 56명(19.1%)이었고, 위암의 경우 각각 105명(34.4%), 47명(15.8%)으로 도시와 농촌 여성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정기적으로 선별 검사를 받는 여성들 은 유방암의 경우 도시는38명(12.5%), 농촌은20명(6.7%), 위암 의 경우 각각 33명(10.8%), 8명(2.7%)으로 농촌의 정기적 선별 검사 수행이 유의하게 적었다(P<0.05). 정기적으로 선별검사 를 시행하는 경우 농촌, 도시 모두 1년마다 유방암, 위암 선 별 검사를 받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Table2).

Table 2. Interval and motive of taking screening test.

(unit: person(%))

Breast cancer Stomach cancer rural

(N=56) urban (N=106)

rural (N=47)

urban (N=105) Interval

6 month 7 (12.5) 7 ( 6.6) 1 ( 2.2) 8 ( 7.6) 1 year 12 (21.4) 28 (26.4) 7 (14.9) 20 (19.1) 2 years 1 ( 1.8) 3 ( 2.8) 0 ( 0.0) 5 ( 4.8) 1 time 13 (23.2) 11 (10.4) 12 (25.5) 14 (13.3) Irregular 23 (41.1) 57 (53.8) 27 (57.4) 58 (55.2) Motive

Doctor's or nurse's advice 30 (53.6) 42 (39.6) 9 (19.1) 29 (27.6) Information via mass

media

2 ( 3.6) 19 (17.9) 1 ( 2.1) 8 ( 7.6)

Developing symptoms of cancer

19 (33.9) 27 (25.5) 35 (74.6) 52 (49.6)

History of cancer in family members or acquaintance

3 ( 5.4) 5 ( 4.7) 1 ( 2.1) 8 ( 7.6)

Others 2 ( 3.6) 13 (12.3) 1 ( 2.1) 8 ( 7.6)

Table 3. Reasons for not taking screening test.

(unit: person(%))

Breast cancer Stomach cancer Rural

(N=243)

Urban (N=198)

Rural (N=250)

Urban (N=200) No problem 197 (81.4) 117 (59.1) 194 (77.6) 108 (54.0) Busy life 11 ( 4.6) 12 ( 6.1) 13 ( 5.2) 36 (18.0) Expensiveness of test 11 ( 4.6) 6 ( 3.0) 8 ( 3.2) 8 ( 4.0) Fear of bad result 5 ( 2.1) 28 (14.1) 2 ( 0.8) 8 ( 4.0) Sense of shame in

taking test

5 ( 2.1) 19 ( 9.6) 3 ( 1.2) 0 ( 0.0) Others 14 ( 5.2) 16 (8.1) 30 (12.0) 40 (20.0)

2) 암 선별 검사 시행 동기(Table 2)

유방암 선별 검사를 받았던 여성들에서 ‘의사, 간호사의 권 고’가 수검의 직접적인 동기가 된 경우가 도시, 농촌 모두에 서 가장 많았지만 위암의 경우 ‘증상이 있어서’ 검사를 받은 경우가 가장 많았다.

3) 암 선별 검사의 적절한 수검 간격에 대한 인식과 실 제 수검 간격

유방암 선별 검사의 경험이 있었던 여성에서 정기적인 유 방암 검사가 필요하다고 대답한 여성은 도시에서 97명 (91.5%), 농촌에서 54명(96.4%)이었으나 (표로 제시하지 않음) 이들 중 실제로 정기적으로 검사를 시행하는 여성은 37명 (38.1%), 20명(37.0%)이었고, 위암의 경우 도시 83명(79.0%), 농촌 45명 (95.7%)중 32명(38.5%), 8명(17.8%)이었다.

4) 암 선별 검사를 받지않는 요인 및 향후 수검 의사 암 선별 검사의 경험이 없었던 여성들에게 검사를 받지 않 은 이유에 대해 질문하였는데 유방암, 위암 선별 검사 모두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해서’가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 다(Table 3). 이들 중 ‘향후 선별 검사를 받겠느냐’는 질문에

‘받지 않겠다’고 대답한 사람이 유방암의 경우 도시에서 117 명(59.4%), 농촌에서 145명(60.2%), 위암의 경우 각각 112명 (56.6%), 166명(66.7%)이었다.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여 선별 검사를 받지 않은 여성 중에서 앞으로도 검사를 받지 않겠다고 대답한 사람은 유방암의 경우 도시와 농촌에서 각 각 69명(65.7%), 120명(66.3%)이었고, 위암의 경우 각각 56명 (60.2%), 134명(74.4%)이었다. 기타에 포함된 대답 중 위암의 경우 ‘검사가 힘들어서’가 있었다.

3. 암 선별 검사의 정기적인 수검과 관련된 요인

선별 검사의 정기적 수검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

(4)

여 단변량 회귀분석을 통하여 수검률의 교차비를 구하고 순 서화가 가능한 범주형 변수들에 대해서는 경향분석을 함께 실시하였다. (Table 4).

유방암 선별 검사의 경우 도시 여성에 비해 농촌 여성이 유방암 선별 검사를 수행할 교차비는 0.50 (95% Confidence Interval: 0.28-0.88)로 낮았고, 정기적으로 위암 선별 검사를 받는 군이 받지 않는 군에 비해 유방암 선별 검사를 받을 교 차비는 14.90 (95% Confidence Interval: 7.42-29.92)로 높았다.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수입이 많을수록 정기적 유방암 선별 검사 수행이 유의하게 높았다(P for trend<0.05).

위암 선별 검사의 경우 도시 여성에 비해 농촌 여성이 위암 선별 검사를 받을 교차비는 0.23(95% Confidence Interval: 0.10-0.50)이었고, 유방암 선별검사를 정기적으로 받지 않은 경우에 비해 정기적으로 수행하는 사람의 위암 선별 검사 수행의 교차비는 각각 14.87 (95% Confidence Interval: 7.40-29.86)이었다. 위암의 경우 교육 수준이 높을 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자신이 암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할수록 수검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 for trend<0.05).

각각의 암 선별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요인들에 서 각 인자간의 교호 작용을 보정하기 위하여 다변량 로지스 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Table 5). 유방암 선별 검사의 경 우 나이, 교육 수준, 배우자의 유무, 자신이 암에 걸릴 가능 성, 거주지, 소득 수준이 분석에 포함되었고, 위암 선별 검사 의 경우 이들 중 배우자 유무는 제외되었다. 단변량 분석에 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소득 수준의 경우 교육 수준이 높 을수록 함께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 교육 수준의 효과를 볼 때는 소득 수준을 제외하여 분석하였으며 소득 수준의 효과 를 볼 때는 교육 수준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유방암 선별 검사의 경우 나이, 거주지, 배우자의 유무, 소 득 수준, 자신이 암에 걸릴 가능성에 따른 수검률은 차이가 없었고, 교육 수준이 12년 이상인 경우에서 6년 비만인 여성 에 비해 정기적 검진 수행의 교차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교육 수준이 증가할수록, 소득 수준이 증가할수록 수검률의 교차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 for trend<0.05).

위암 선별 검사의 경우 나이, 교육 수준, 소득 수준, 거주 지에 따른 교차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자신이 암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 경우에서 정기적위암 선 별 검사 수행의 교차비가 5.70((95% Confidence Interval:

1.46-22.17)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자신이 암에 걸릴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할수록 수검률의 교차비가 증가하는 경 향을 보였다(P for trend<0.05).

Table 4.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 for association between selected characteristics and the likelihood of having received regular screening test by univariate model.

Breast cancer Odds ratios (95% CI)

Stomach cancer Odds ratios (95% CI) Age(years)

40-49 1.0 1.0

50-59 0.74 (0.40-1.37) 0.51 (0.24-1.11)

≥60 0.80 (0.34-1.84) 0.56 (0.194-1.64)

P for trend 0.36 0.09

Occupation

Housekeeper 1.0 1.0

Agriculture 0.57 (0.29-1.09) 0.51 (0.24-1.11) Others† 0.99 (0.51-1.92) 0.56 (0.19-1.64) Education (years)

<6 1.0 1.0

6-9 1.41 (0.61-3.29) 0.44 (0.12-1.61) 9-12 2.48 (1.15-5.38)* 2.00 (0.84-4.77)

≥12 3.42 (1.58-7.39)* 3.56 (1.56-8.16)*

P for trend 0.007 0.001

Partner

No 1.0

Yes 1.14 (0.52-2.49)

Income(won)

< 1 million 1.0 1.0

1-2 million 1.54 (0.79-2.19) 2.24 (0.89-5.63)

≥ 2 million 2.39 (1.24-4.58)* 4.96 (2.22-11.06)*

P for trend 0.004 0.001

Self assessment of health status

Good 1.0 1.0

Fair 1.06 (0.58-1.92) 1.48 (0.71-3.06) Poor 0.81 (0.31-2.12) 0.95(0.29-3.08)

P for trend 0.84 0.47

Residency

Urban 1.0 1.0

Rural 0.50 (0.28-0.88)* 0.23 (0.10-0.50)*

Breast cancer screening

No 1.0

Yes 14.87 (7.40 -29.86)*

Stomach cancer screening

No 1.0

Yes 14.90 (7.42-29.92)*

Fear of getting cancer

Low 1.0 1.0

Same 0.97 (0.55-1.73) 1.94 (0.92-4.08) High 4.13 (1.33-12.80)* 7.05 (1.95-25.52)*

P for trend 0.06 0.02

* P<0.05

†Others include clerks, professionals, technician and self employment.

CI: confidence interval

(5)

Table 5.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 for association between selected characteristics and the likelihood of having received regular screening test by multivariate model.

Breast cancer Odds ratios (95% CI)

Stomach cancer Odds ratios (95% CI) Age(years)

40-49 1.0 1.0

50-59 0.95 (0.49-1.83) 0.56 (0.24-1.28)

≥ 60 1.32 (0.50-3.50) 0.87 (0.26-2.93)

P for trend 0.78 0.65

Education (year)

<6 1.0 1.0

6-9 1.52 (0.61-3.79) 0.37 (0.09-1.46) 9-12 2.60 (0.90-7.51) 0.88 (0.29-2.72)

≥ 12 3.51 (1.17-10.56)* 1.47 (0.48-4.50)

P for trend 0.03 0.405

Partner

No 1.0

Yes 1.02 (0.44-2.40)

Income(won)

< 1 million 1.0 1.0

1-2 million 1.24 (0.59-2.61) 1.18 (0.35-3.97)

≥ 2 million 1.85 (0.83-4.11) 2.28 (0.68-7.58)

P for trend 0.01 0.12

Residency

Urban 1.0 1.0

Rural 0.97 (0.40-2.35) 0.37 (0.13-1.10) Fear of getting cancer

Low 1.0 1.0

Same 0.70 (0.33-1.47) 1.57 (0.72-3.42) High 1.20 (0.63-2.30) 5.70 (1.46-22.17)*

P for trend 0.17 0.02

* P < 0.05

†Others include clerks, professionals, technician and self employment.

CI: Confidence interval

고 찰

유방암은 전체 여성 암 사망의 5.6%로 여성 암 사망 원인 의 두 번째이며 매년 발생이 증가하면서 2001년도 유방암 발 생은 여성암 중 1 위를 차지하였다.

1,2)

유방암 선별검사에 대 한2003년 가정의학회 평생 건강 관리 지침을 보면 40-50세의 모든 여성은 2년에 1회, 50세 이상 여성은 매 3년마다 의사 의 진찰을 받도록 하고, 40-50세 여성은 매 2년마다. 50-65세 여성은 매 3년마다 유방촬영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7)

유방 암 선별검사를 권고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근거는 선별검사 를 시행하였을 때 조기 발견 및 치료가 유방암으로 인한 사

망률을 낮출 수 있는지가 가장 중요한 요소인데 유방암 선별 검사를 통하여 유방암의 사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를 알 아본 무작위 대조군 연구 결과 50세 이상에서 사망률이 의미 있게 감소함을 보여주었다.

8-13)

따라서 유방암 선별검사를 얼 마나 시행하고 있고 정기적 검사에 대한 인식과 수검 요인을 조사하여 유방암 선별검사의 수검률을 높이는 것은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유방암 선별 검사의 경험 및 정기적 수검률은 농촌보다 도시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이는 Hayward 등

14)

의 연구 결과와도 일치한다. 유방암 선별 검사를 받게 된 동기 로 '의사, 간호사의 권고'가 직접적인 동기가 된 경우가 가장 많았는데, 의사를 방문시 수검을 권고하므로써 수검률을 높 일 수 있고 이러한 점에서 일차 의료인의 역할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증상이 있어서'가 농촌의 경우 2위, 도시의 경우 3위를 차지하였고, 검사를 받지 않은 요인으로 '아무런 문제 가 없다고 생각해서'가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인 점으로 보아 여성들이 아직 선별 검사의 의미와 그 효과에 대하여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조기 발견의 효과와 침습암 감소에 의한 사망률 감소 등 선 별 검사의 효능에 대한 적극적인 교육 및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유방암 선별 검사와 관련된 수검 요인으로 교육 수준이 높 을수록, 소득이 높을수록, 다른 선별 검사를 받는 사람, 암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정기적 검사률이 높았고, 농촌 여성에서 유의하게 적었으며, 다변량 분석에서는 교육 수 준이 높을수록, 암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경우 수 검률이 높았다. Hayward 등

14)

은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배우자가 있는 경우 더 높은 검사 수행을 나 타내어 본 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2001년 통계청 사망 원인 통계연보에 따르면 위암 사망은 여성암 사망 원인의 첫번째로 인구 10만명당 17.0명이다.

1)

또 한 우리나라 여성의 표준위암발생률은 인구 10만 명당 25명 으로 매년 꾼준히 감소하고 있지만 세계 표준 인구에 보정하 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는 지역에 속한다.

15)

위암 선별 검사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일본에서 가장 활발

한데, 일본의 경우 집단 검진을 통한 위암의 진단이 0.20%에

이르며 이중 조기 위암이 차지하는 비율이 1960년 13.8%에서

1989년 50.7%로 증가하였고

16)

, 외래에서 진단된 위암 환자 중

조기 위암 환자는 24%인데 반하여 집단 검진으로 발견되는

위암 환자들에서는 43%가 조기 위암이라는 보고

17)

는 집단 검

진의 의의를 잘 나타내 준다. 진행성 위암의 경우 5년 생존

률은 20-40%인 반면에 조기 위암의 경우 90% 이상으로 조기

진단을 위한 선별 검사가 중요하다.

16)

(6)

본 연구에서 위암 선별 검사의 수검률이 10.8%에 불과하여 매우 낮고 증상이 있을 경우 주로 검사를 받으며 아무런 문제 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 검사를 시행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보 여 위암 선별검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부족을 보였다.

선별 검사 수검 요인으로 교육수준,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다른 선별 검사를 받는 경우 선별 검사를 더 잘 받았고, 거 주지가 농촌인 경우 선별 검사를 덜 받았다. 다변량 분석에 서 농촌에서 정기적 선별 검사가 유의하게 적었고, 자신이 암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는 경우에서 위암의 수검 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농촌 지역에 대한 선별 검사의 효 율성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이 된 서울 강남 구와 전라남도 해남 지역 여성들이 반드시 도시와 농촌을 대표할 수 있는냐는 점이다. 비록 판단 표본 추출을 통하여 상기 두 지역을 선정하였지만 도시, 농촌 지역의 특성을 반 영하는 사람들을 연구에 포함시키기 위하여 무작위 집락 표 본 추출법을 이용하여 연구 대상을 선정하여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둘째, 설문에 응답한 사람들의 회상 편견이 있을 수 있다.

선별 검사의 경험, 회수, 간격 등 설문에 대답한 사람들의 기 억에 의존하였고, 의무 기록을 통한 확인을 시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세째, 본 연구에서 수 검과 관련된 요인의 분석시 건강 행위(흡연력, 음주력 등), 과 거력, 현재 앓고 있는 질병 등 건강 신념 모델에서 중요한 다른 변수들이 일부 포함되지 않았고 네째, 농촌의 정기적 검사 수행이 적어서 도시, 농촌간 수검 요인의 차이를 직접 적으로 분석할 수 없었고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여성암 발생과 사 망에서 수위를 차지하고 있는 유방암, 위암에 대하여 40세 이상 여성들 중 대부분이 선별 검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지 않았으며 선별 검사를 정기적으로 실시하지 않은 가장 주된 이유가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의 개념 부족에서 비롯 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생각되 며 선별검사 수행률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본 연구의 여러 가지 제한점을 고려하여 더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수검 요인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1. 통계청. 2001년 사망원인 통계연보. 서울:통계청;2002.

2. 보건복지부 한국중앙암등록본부, 한국중앙암등록사업 연례 보고서(2001.1~2001.12). 서울: 보건복지부;2003.

3. 김경미, 이손호, 김용철, 김경수, 신호철. 일부 지역 여성의 암 선별 검사 수용과 관련된 예측 인자. 가정의학회지.

1996;17(12):1442-8.

4. 김혜숙, 문형도, 예경희, 서옥희, 성낙진, 박기흠. 질 세포진 검사의 인식과 실행에 관한 조사. 가정의학회지. 1994;15(9):606-11.

5. 홍광의, 최한식, 최한림. 성인 여성의 자궁 세포진 검사의 실천과 결과. 가정의학회지. 1997;18(1):85-92.

6. 천경수, 전태희, 정태흠, 황혜헌, 선우성, 김영식. 농촌과 도 시 여성의 자궁경부암 검진 수검률 및 인식도 차이. 대한임 상건강증진학회지. 2002;2(1):34-45.

7. 대한 가정의학회. 한국인의 평생 건강 관리. 제 1판. 서울:

고려의학;1995. p.68-74.

8. Tabar L, Fagerberg CJG, Gad A, Balderorp L, Holmberg LH, Grontoft O et al. Reduction in mortality from breast cancer after mass screening with mammography:

Randomised trial from the breast cancer screening working group of the Swedish National Board of Health and Welfare. Lancet. 1985;1:829-32.

9. Verbeek ALM, Hendriks JHCL, Holland R, Mravunac M, Sturmans F, Day NE et al. Reduction of breast cancer mortality through mass screening with modern mammography: First result of the Nijmegen Project, 1975-1981. Lancet 1984;1:1222-4.

10. Collette HJA, Day NE, Rombach JJ, De Waard F.

Evaluation of screening for breast cancer in a nonrandomised study (The dome project) by means a case-control study. Lancet 1984;1:1224-6.

11. Nystrom L, Rutqvist LE, Wall S, Lindgren A, LindQvist M, Lyden S, Anderson I et al. Breast cancer screening with mammography: overview of swedish randomised trials. Lancet 1993:341(8851):973-8.

12. Alexander FE, Anderson TJ, Brown HK, Forrest APH, Hepburn W, Kirkpatrick AE et al. 14 years of follow-up from the Edinburgh randomised trial of breast cancer screening. Lancet 1999;353:1903-7.

13. UK trial of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16 year mortality from breast cancer in the UK trial of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Lancet 1999;353:1909-14.

14. Hayward RA, Shapiro MF, /freeman HE, Corey CR.

Who gets screened for cervical and breast cancer? Results from a new national survey. Arch Intern Med 1988;148:1177-81.

15.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for Cancer. Cancer

(7)

incidence in five countries, Vol. VIII. IARC Scientific Publication No.143, Lyon:IARC;1997.

16. Hisamichi S. Screening for gastric cancer. World J Surg 1989;13:31-7.

17. Kampschoer GH, Fujii A, Masuda Y. gastric cancer

detected by mass screening: comparison between mass survey and outpatient detection. Scand J Gastroenterol 1989;24:813-7.

18. Tsubono Y, Hisamichi S. Screening for gastric cancer in

Japan. Gastirc Cancer 2000;3:9-18.

(8)

[ Abstract ]

Attitude, Practice and Factors Associated Taking Cancer Screening Test Among Women in Rural and Urban Area

Yeong-Sook Yoon, Sung Sunwoo

1)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Ilsan Paik Hospital, University of Inje, College of Medicin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1)

Background The decline in death rates of cancer was attributed to the use of screening test for early diagnosis of canc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attitude and taking regular screening test of breast and stomach cancers that are the most prevalent in Korean women.

Methods Women aged 40 or over were interviewed about cancer screening practices, individual perceptions and modifying factors in rural and urban areas.

Results The questionnaires were answered by 305 women in urban, 299 women in rural areas. The overall rate of test for breast and stomach cancer were 34.9%, 34.4% in urban area, 19.1%, 15.8% in rural area, respectively. Experience and Regular examination of cancer screening tests of rural woma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urban (P<0.05).

The first motive of taking screening test was recommendation by doctors, or nurses in the case of breast cancer, while gastrointestinal symptom was the first motive in the case of stomach cancer.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predictors of taking regular screening test were as follows: (1) breast cancer: high levels of education and income, taking stomach cancer screening test (2) stomach cancer: high levels of education and income, taking breast cancer screening test, fear of getting cancer.

Conclusions Most of women aged 40 years or over do not receive screening test on a regular basis, especially in the case of rural women. The primary reason for not having screening test was lack of the concept about the importance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4 ; 4 : 90~97) Key words screening test, breast cancer, stomach cancer

6

∙Address for correspondence : Yoon, Yeong-Sook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Ilsan Paik Hospital, University of Inje, College of Medicine

∙T e l : 031-910-7594

∙E-mail : ysyun@ilsanpaik.ac.kr

수치

Table  1.  Bas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unit:  person(%))  Variables Rural(N=299) Urban(N=305) Age*  (years)         40-49 138  (46.2) 189  (62.0)         50-59 102  (34.1)   94  (30.8)         ≥60   59  (19.7)   22  (  7.2) Occupation*
Table  2.  Interval  and  motive  of  taking  screening  test.
Table 4.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  for  association  between  selected  characteristics  and  the  likelihood  of  having  received  regular  screening  test  by  univariate  model
Table 5.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  for  association  between  selected  characteristics  and  the  likelihood  of  having  received  regular  screening  test  by  multivariate  model

참조

관련 문서

출처 : IAEA 발표 자료(Comprehensive inspection exercise at bulk handling facilities, “U-235 Enrichment measurements by gamma-ray spectroscopy”) 13.  Uranium

For my study, this being diagnosed with prostate cancer receiving treatment in patients with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ies for their experience

Therefore, elucidating the effect of oleic acid, a substance derived from broccoli sprout extract, on breast cancer stem cells along with broccoli sprout extract, can

A A A A Study Study Study Study Analysis Analysis Analysis Analysis of of of of the the the the J. Bach, a representative composer in Baroque period. Composed

We found that FoxO1 is constantly increased in MCF-7/ADR, adriamycin-resistant breast cancer cells, and FoxO1 has a critical role in the MDR1 gene expression (16).. There is

Kameoka, “Sentinel lymph node biopsy for breast cancer patients using fluorescence navigation with indocyanine green,” World Journal of Surgical Oncology, Vol..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and the 9-item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as screening instruments for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Age

At the end of the study, a reevaluation of each study case was performed with the same questionnaire. The result shows there has been a meaningful result in the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