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he Results of Open Wedge Proximal Tibial Osteotomy According to Bone Graft and Fracture of Lateral Cortex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he Results of Open Wedge Proximal Tibial Osteotomy According to Bone Graft and Fracture of Lateral Cortex"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142

통신저자:김 창 완

󰂕 614-735, 부산시 부산진구 개금동 부산백병원 정형외과 의국

TEL: 051-890-6257, FAX: 051-892-6619 E-mail: doctor-bluesea@hanmail.net

*본 논문은 2007년도 인재대학교 학술연구 조성비 보조에 의한 것임.

접수일: 2008년 11월 3일

수정일: (1차) 2008년 12월 16일, (2차) 2009년 3월 23일, (3차) 2009년 6월 14일

게재허가일: 2009년 6월 24일

The Results of Open Wedge Proximal Tibial Osteotomy According to Bone Graft and Fracture of Lateral Cortex

Seung Suk Seo, M.D., Chang Wan Kim, M.D., Dong Jun Ha, M.D. and Chang Rack Lee, M.D.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University of Inje, Busan Paik Hospital, Busan, Korea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 of open high tibial osteotomy for treating patients with early osteoarthritis with varus deformity 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a bone graft and fracture of the lateral cortex.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reviewed 14 patients (17 case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osteoarthritis with accompanying varus deformity and who were treated with open high tibial osteotomy from May 2001 to May 2007. Every patient showed less than Kallgren-Lawrence Stage II. Bone grafts were performed in 13 of the 17 cases. Clinical evaluations and radiologic evaluations were performed.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a bone graft in the cases with openings of less than 10mm and preservation of the lateral cortex, and we compared them according to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respectively. The average period of follow up was 34 months (range: 12∼96 months).

Results: The Lysholm score improved from 59.9 preoperatively to 81.5 postoperatively and the HSS score improved from 62.9 to 85.3. The femoro-tibial angle was varus 7.8 degrees at preoperation, valgus 11.6 degrees o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examination and valgus 10.5 degrees at follow up. The posterior tibial slope was 8.9 degrees at preoperation, 11.8 degrees at postoperation and 12.3 degrees at the last follow up. The Insall-Salvati ratio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0.92 preoperatively to 0.94 postoperatively (p=0.8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p=0.47) on comparison of bone grafting or not for the patients with an opening of less than 10 mm. The group with a preserved lateral cortex showed better clinical results than the other group. However, there were no observed radiological differences (p>0.05).

Conclusion: Open high tibial osteotomy that’s performed on patients with early osteoarthritis is a useful treatment option. We can conclude that a bone graft does not significant influence the result for the case with an opening less than 10 mm, and firm fixation is mandatory when the lateral cortex is fractured.

Key Words: Osteoarthritis, Open wedge high tibial osteotomy

서 론

근위 경골 절골술은 1958년 Jackson 등10)에 의해 처음 으로 시행된 후 여러 저자의 장기 추시 관찰에서 좋은 임 상적 결과가 보고되었으며3,4,7,9,26), 현재 비교적 젊은 나이 의 내반 변형을 동반한 내측 구획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 에서 유용한 술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근위 경골 절골술의 방법으로 주로 폐쇄형 근위 경골

(2)

절골술이 시행되었으나, 비골 절골술의 필요, 비골 신경 손상 및 슬개건 단축 등의 합병증이 보고되었으며, 과 교 정 시 하지 단축이 나타날 수 있다20). 이러한 문제점을 극 복하기 위해 근위 경골 개방성 절골술이 소개되었으며, 이 술식이 비교적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지연 유합, 불 유합, 교정각 소실 및 공여부 합병증 등의 단점도 보고되

고 있다1,2,5,11,17-24,27,28). 근위 경골 개방성 절골술에 있어

절골 부위의 유합률을 높이기 위한 골이식은 교정각이 큰 경우 자가 장골 이식 등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교정 각이 크지 않은 경우 골이식의 필요성에 있어선 아직까지 논란이 있으며15), 경첩으로 작용하는 외측 피질골의 보존 에 관해선 그 중요성에 대한 생역학적인 연구는 있으나 이의 손상으로 인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영향에 대한 연구 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2001년 5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내반슬 변형을 동반한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로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을 시행받은 환자 14명, 17예에 대하여 임상 추시 결과를 분석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였으며 10 mm 이하의 개방이 필요하였던 환자에서 골이식 유무에 따른 결과와 술 중 외측 피질골 보존 여부에 따른 임상적, 방사 선학적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연구 대상

2001년 5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내반 변형을 동반한 Kallgren-Lawrence 2단계 이하의 슬관절 골관절염으로 근위 경골 개방성 절골술을 시행받은 환자 중 12개월 이 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4명, 17슬관절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Kallgren-Lawrence 1단계가 3예, 2단 계가 14예였으며, 추시 기간은 평균 34개월(12∼96개월) 이었다. 여자가 16예, 남자가 1예였으며, 평균 연령은 42.8 세(33∼54세)였다. 전예에서 술전 체중부하 전후면, 측면, 45o 굴곡 후전면 및 체중부하 전후면 하지 전장 방사선 촬 영을 시행하여 퇴행성 변화의 단계와 하지 정렬을 평가하 였다. 이학적 검사상 불안정성 및 슬관절 주위 인대의 병 변 및 손상이 있었던 환자, 이전의 슬관절의 수술력이나 외상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 및 Kallgrein-Lawrence 3단계 이상의 환자는 수술 적응증에서 제외하였다.

2. 수술 방법 및 재활

경골 상부의 전내측에 내측 측부 인대의 전방부를 따라 피부 절개 후 내측 측부 인대 부착부와 슬건의 부착부 사 이로 박리하여 경골 근위부를 노출시켰다. 이 때 절골술의 위치는 내측 측부 인대 경골 부착부의 직하방에서 관절선 과 평행하게 시행하였다. 외측 경골 고평부의 외측에서 최 소 10 mm의 간격을 갖도록 경사지게 Steinman pin을 삽 입 한 후 이를 따라 경골의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골 술을 시행하였다. 외측 피질골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골면을 따라 외측 피질골에서 약 10 mm 못 미친 부위 까지만 절골도(ostetotome)을 진행시키고 절골 부위를 도 수 조작하여 외반력을 가하여 개방한 다음 외반 7o로 교정 한 후 필요한 경우 골이식을 시행하였으며 이후 금속판으 로 내고정을 하였다. 이때, 경골 관절면 후방 경사각의 증 가를 줄이기 위해 금속판 내고정시 전방부의 개방 간격이 후방부에 비해 2/3정도가 되도록 하였다. 술 중 외측 피질 골의 손상이 없을 경우엔 HTO 금속판(B Braun, Tuttlingen, Germany)을 사용하였고, 손상이 있을 경우엔 Locking compression plate (LCP)를 사용하여 보다 강한 고정력을 얻도록 하였다. 10 mm 이상 개방이 필요한 경우 골이식 을 시행하였고, 10 mm 이하의 개방이 필요한 경우에는 초기에는 절골부위의 골이식을 시행하였으며, 이후에는 절골부위의 골이식을 시행하지 않았다. 수술 익일부터 대 퇴 사두근의 근력 강화 운동 및 하지 직거상 운동을 실시 하고 7일째부터 관절 운동을 허락하였으며, 2주 이내 비 체중부하 보행운동을 시행하였다. 술 후 8주부터는 부분 체중부하 보행운동 후 점진적으로 체중 부하를 증가시켰 다.

3. 임상 및 방사선학적 평가

임상적 평가는 Lysholm 점수와 Hospital for special surgery (HSS) 슬관절 점수를 이용하여 술 전 및 최종 추 시시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퇴 경골간 각은 양측 슬관절 에 체중부하 상태에서 전후방 하지 전장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대퇴골 골간 피질의 두 중앙점을 지나는 장축과 경골 간부 및 간단부의 골간 피질 중앙점을 지나는 장축 이 서로 교차하는 예각을 대퇴 경골간 각으로 정의하여 측정하였으며, 경골 후방 경사각 및 Insall-Salvati 비율을 측정하여 술 전, 술 후 및 최종 추시 시의 결과를 분석하

(3)

Fig. 1. (A-E) These photos are of a 48 year-old patient with osteoarthritis on both knee. On the left knee, preoperative femoro-tibial angle was varus 4 degrees, posterior tibial slope was 5 degrees and Insall-Salvati ratio was 0.98. And on the right knee, preoperative femoro-tibial angle was varus 5 degrees, posterior tibial slope was 8 degrees and Insall-Salvati ratio was 1.02.

(F-J) These photos were taken one year after the operation. On the left knee, it was found that the postoperative femoro-tibial angle was valgus 6 degrees, posterior tibial slope was 8.5 degrees and Insall-Salvati ratio was 0.99. The lateral cortex maintained intact. And on the right knee, it was found that the postoperative femoro-tibial angle was valgus 7 degrees, posterior tibial slope was 8.8 degrees and Insall-Salvati ratio was 1.00. During the operation, a fracture was found on lateral cortex. So it was fixed by using LCP. In the follow up, instability was not found. Also, pain relief and functional improvement were observed in the right knee.

였다(Fig. 1). 또한, 임상적, 방사선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10 mm 이하의 개방이 필요하였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골 이식을 시행한 군과 시행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으며, 술 후 방사선 사진을 기준으로 외측 피질골 이 보존 된 군과 보존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 다. 임상적으로 절골부위의 동통 및 압통이 없으며, 방사 선 사진에서 골소주가 절골부위를 통과하는 경우 골유합 이 된 것으로 판정하였다. 통계 처리방법으로는 Student t test를 사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결 과

HSS점수는 술 전 평균 62.9점에서 술 후 평균 85.3점으

로 증가되었으며(p=0.03), Lysholm 점수도 술 전 평균 59.9점에서 술 후 평균 81.5점으로 증가하여 임상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p=0.02). 대퇴 경골간 각은 술 전 평균 7.8o 내반에서 수술 직후에는 평균 11.6o 외반(0

∼22o 외반)이 되었고, 최종 추시에서는 평균 10.5o 외반 을 나타내어 추시 기간 동안 평균 1.1o의 교정각 소실이 있었다. 후방 경사각은 술 전 평균 8.9o에서 수술 직후 평 균 11.8o, 최종 추시에서는 평균 12.3o로 나타났다.

Insall-Salvati 비는 술 전 0.92에서 술 후 0.94로 큰 차이 를 보이지 않았다(Table 1).

10 mm 이하의 개방이 필요했던 10예 중, 골 이식을 시 행한 군(6예)의 평균 골유합 기간은 15.1주, 시행하지 않 은 군(4예)은 16.3주로 나타나 골이식을 시행한 군의 골

(4)

Table 1. Radiological Results

Preoperative Postoperative Final follow up p-value Femoro-tibial angle (o)

Posterior slope (o)

Patellar height (Insall-Salvati ratio)

7.8 8.9 0.92

11.6 11.8 0.94

10.5 12.3 0.94

0.02 0.03 0.63

Table 2. Comparison of Results between the Group with Bone Graft and without One in Cases with Opening of Less than 10 mm

Group 1* (n=6) Group 2 (n=4) p-value

Mean union period (week) Lysholm’s knee score HSS knee score Femoro-tibial angle (o) Posterior slop (o) Insall-Salvati ratio

15.1 79.95±9.52 84.34±7.50 12.84±5.20 10.95±4.12 0.92±0.29

16.3 81.93±6.93 86.11±6.40 13.77±7.74 11.93±3.85 0.93±0.12

0.47 0.66 0.56 0.48 0.36 0.45

*: bone graft was applied, : bone graft was not applied

Table 3. Comparison of Results between the Group with Intact Lateral Cortex and with Damaged Lateral Cortex

Group 1* (n=9) Group 2 (n=8) p-value

Average F/U period (Month) Lysholm’s knee score HSS knee score Femoro-tibial angle (o) Posterior slop (o) Insall-Salvati ratio

31.5 88.51±7.50 87.98±5.60 12.06±2.20 11.23±2.23 0.90±0.25

34.3 81.44±5.89 80.73±4.21 13.15±3.07 12.98±3.90 0.92±0.17

0.59 0.03 0.04 0.29 0.40 0.23

*: Lateral cortex is intact, : Lateral cortex is not intact

유합 기간이 더 빨랐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 다(p=0.47). Lysholm 점수는 각각 80.0점, 81.9점, HSS 슬관절 점수는 각각 84.3점, 86.1점, 대퇴 경골간 각은 각 각 외반 12.8o, 외반 13.8o, 후방 경골 경사각은 각각 11.0o, 11.9o, Insall-Salvati 비는 각각 0.92, 0.93으로 나타나 임 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0.05) (Table 2).

외측 피질골의 보존 유무에 따른 비교에서, 외측 피질골 이 보존된 9예에서의 Lysholm 점수는 평균 88.5점, 보존 되지 않은 8예에서는 평균 81.4점이었으며(p=0.03), HSS 슬관절 점수는 외측 피질골이 보존된 군이 평균 88.0점, 보존되지 않은 군에서는 평균 80.7점로 나타나, 외측 피질 골이 보존된 환자 군에서 임상적으로 더 유의한 호전이

있었다(p=0.04). 하지만, 대퇴 경골간 각, 후방 경사각 및 Insall-Salvati 비율의 방사선학적 평가에서는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p>0.05) (Table 3).

최종 추시에서 전례에서 방사선학적 골유합을 얻었으며, 다른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고 찰

근위 경골 개방성 절골술은, 비골 절골술의 필요, 비골 신경 손상 및 하지 단축 등 폐쇄형 근위 경골 절골술에서 나타날 수 있는 단점이 없을 뿐 아니라, 술식이 간단하고, 내측 측부인대 이완시 이를 긴장 시킬 수 있으며, 향후 인 공 슬관절 치환술시 큰 영향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8,14,17,24).

(5)

Hernigou 등7)은 93예의 근위 경골 개방성 절골술 후 5년 추시 상 90 % 이상에서 양호한 결과가 나타났음을 보고하 였으며, 폐쇄형 절골술에 비해 좀 더 정확한 교정을 제공 한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7예에 대하여 근위 경골 개방성 절골술 을 시행하였으며, 평균 33개월 추시 관찰에서 Lysholm 점 수 및 HSS 슬관절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의미있는 임 상적 호전이 있었으며, 대퇴 경골간 각은 술 전 내반 7.8o 에서 수술 직후 외반 11.6o로 교정되었고, 최종 추시에서 는 외반 10.5o로 유지되었다.

근위 경골 절골술은 관상면의 각 교정, 즉 외반 또는 내 반으로의 각 교정뿐만이 아니라 시상면에서의 각 변형을 초래하여 슬관절의 역학적 변화가 동반될 수 있으며, 이러 한 변화는 술 후 임상적 예후와 향후 시행할 수 있는 인공 슬관절 치환술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1,12,13,16,19,25). 본 연구에서 후방 경골 경사는 술 전에 비해 약 3o 정도의 후 방 경사의 증가가 있었으나, 추시 관찰에서 이학적 및 방 사선학적 검사상 불안정성, 아탈구 등의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Insall-Salvati 비는 술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 는 관찰되지 않았다.

개방형 절골술은 폐쇄형 절골술과 달리 외측 경골 근위 부에서의 골을 제거하지 않고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으나, 불유합, 지연 유합 등의 단점이 보고되고 있다2). Warden 등27)은 장골을 이용한 자가골 이식술을 통한 188예의 근위 경골 개방성 절골술에서 지 연유합 6.6 % 및 불유합 1.8 %로 낮은 발생률을 보고하였 고, Noyes 등15)도 자가 장골 골이식을 통해 불유합 없이 5%의 지연 유합을 보고하였다. 절골 부위가 클 경우 교정 각 소실 및 체중 부하 지연 등의 합병증 예방을 위해 골 이식이 필요하다는 사실에는 이론이 없으나, 골 이식이 필 요한 절골 부위의 크기 등의 적응증에 있어서는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10 mm 이상의 개방이 필요할 경우 골 이식술이 권장되지만6,15), 절골 부위의 크 기에 관계없이 골 이식을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15). 본 연구에서는 10 mm 이상의 개방이 필요한 7예는 장골 에서 삼면 피질골을 이용한 자가골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10 mm 이하의 개방이 필요한 환자에서 초기에는 절골부 위의 골이식을 시행하였으며, 이후에는 절골부위의 골이 식을 시행하지 않았다. 절골 골이식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 서 골유합 시기가 약간 늦었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평가 요소 역시 의미있 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10 mm 이하의 교정 이 필요할 때는 골 이식이 필요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 다.

근위 경골 개방성 절골술은 이론적으로 외측 경첩부위 의 피질골 및 망상골을 보존함으로써 안정성 및 골유합에 있어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가정할 수 있으 며, Yacobucci와 Cocking28)은 근위 경골 개방성 절골술 후 외측 경첩부 피질골 골절이 발생한 환자에서 불유합이 나타난 증례를 통하여, 외측 피질골이 절골 부위의 안정성 및 골유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하였다. 술 중 외 측 피질골 손상시 교정 각 소실 등의 합병증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 피질골에 스테이플(staple)이나 지연 나사(lag screw) 고정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으나17), Esenkaya와 Elmali5)는 외측 피질골의 부가적인 고정없이 내측 피질골 고정만으로도 교정 각 소실이나 불안정성 등 합병증이 발 생하지 않았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체 17예 중 8 예에서 외측 피질골의 손상이 있었으며, 외측 피질골 손상 시 내측에 LCP를 이용하여 고정술을 시행하였고, 경골 외 측에는 금속판 또는 나사 고정술을 시행하지 않았다. 외측 피질골이 보존된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의 비교시 Lysholm 점수와 HSS 슬관절 점수는 외측 피질골이 보존된 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방사선학적 평가 요소, 즉 대퇴 경골간 각, 후방 경골 경사 및 Insall-Salvati 비에 서는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피질골의 손상이 있는 환자군의 추시 관찰에서 전례에서 골유합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교정 각 소실 등의 절골부 위 불안정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술 중 외측 피질골 손상이 발생할 경우, 일반적인 HTO 금속판을 쓰지 않고 LCP를 이용하여 지지(Buttress)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하 여 안정성이 증가되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되며, LCP가 Puddu 금속판에 비해 압박 및 염전 부하에서 더 강하고, 경골의 혈류를 보존하여 골유합에 유리하다는 보고가 있 다11,22).

본 연구는 증례수가 17예로 적고, 추시 기간 또한 평균 34개월로 비교적 짧아 앞서 논의했던 결과들을 일반화하 기에는 한계가 있다. 근위 경골 절골술에서 시간의 경과가 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여러 저자들에 의해 주장되 어 향후 장기적인 추시 관찰을 통하여 임상적 및 방사선 학적 평가 및 골 이식 유무, 외측 피질골 보존 유무에 따

(6)

른 각 군 간의 비교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 론

근위 경골 개방성 절골술은 내반슬을 동반하는 경도의 골관절염 환자에서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호전을 나타 내어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10 mm 이하의 개방 시 에는 골이식이 골유합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며, 외측 피질골 골절 시에는 내측 지지금속판 고정 을 통하여 교정각 소실 및 불유합등의 합병증을 예방하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Chae DJ, Shetty GM, Lee DB, Choi HW, Han SB, Nha KW: Tibial slope and patellar height after opening wedge high tibia osteotomy using autologous tricortial iliac bone graft. Knee, 15: 128-133, 2008.

2. Chun CH, Kim JW, Park JY, Kim CG: The resuls of high tibial open wedge osteotomy with arthroscopic surgery for varus gonarthrosist. J Korean Orthop Assoc, 41: 636-642, 2006.

3. Coventry MB: Current concept reiew. Upper tibial osteotomy for osteoarthritis. J Bone Joint Surg, 66:

332-654, 1987.

4. Coventry MB, Ilstrup DM, Wallrichs SL: Proximal tibial osteotomy. A critical long-term study of eighty- seven cases. J Bone Joint Surg Am, 75: 196-201, 1993.

5. Esenkaya I, Elmali N: Proximal tibia medial open wedge osteotomy using plates with wedges: early results in 58 cases.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14:

955-961, 2006.

6. Giffin JR, Vogrin TM, Zantop T, Woo S, Harmer CD: Effects of increasing tibial slope on the biome- chanics of the knee. AM J Sports Med, 32: 376-382, 2004.

 7. Hernigou P, Medevielle D, Debeyre J, Goutellier D:

Proximal tibial osteotomy for osteoarthritis with varus derformity. A ten to thirteen year follow-up study. J Bone Joint Surg Am, 69: 332-354, 1987.

 8. Hoell S, Suttmoeller J, Stoll V, Fuchs S, Gosheger G: The high tibial osteotomy, open versus closed wedge, a comparison of methods in 108 patients. Arch Orthop Trauma Surg 125: 638-643, 2005.

 9. Insall JN, Josep DM, Miska C: High tibial osteotomy for varus ganathrosis. A long-term follow-up study. J Bone Joint Surg, 66: 1040-1048, 1984.

10. Jackson JP, Waugh W: Tibial osteotomy for osteo- artnritis of the knee. J Bone Joint Surg Br, 40: 746- 751, 1961.

11. Lobenhoffer P, Simoni CD, Staubli AE: Open-wedge high tibial osteotomy with rigid plate fixation. Tech- niques in Knee Surgery, 1: 93-105, 2002.

12. Magyar G, Toksvig-Lasen S, Lindstrand A: Changes in osseous correction after proximal tibial osteotomy:

radiostereometry of closed- and open-wedge osteotomy in 33 patients. Acta Orthop Scand, 70: 473-477, 1999.

13. Matthws LS, Goldstein SA, Malvitz TA, Katz BP, Kauer H: Proximal tibial osteotomy. Factors that influence the duration of satisfactory function. Clin Orthop Relat Res, 229: 193-200, 1988.

14. Naudie DD, Amendola A, Flower PJ: Opening wedge high tibial osteotomy for symptomatic hyperextension- varus thrust. Am J Sports Med, 32: 60-70, 2004.

15. Noyes FR, Mayfield W, Barber-Westin SD, Albright JC, Heckmann TP: Opening wedge high tibial osteo- tomy: an operative technique and rehabilitation program to decrease complications and promote early union and function. Am J sports Med, 34: 1262-1273, 2006.

16. Odenbring S, Egund N, Lindstrand A, Lohmander LS, Willen H: Cartilage regeneration after proximal tibial osteotomy for medial gonarthrosis. An arthro- scopic, roentgenographic, and histologic study. Clin Orthop Relat Res, 277: 210-216, 1992.

17. Paccola CA, Fogagnolo F: Open wedgd high tibial osteotomy: a technical trick to avoid loss of reduction of the opposite cortex.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13: 19-22, 2005.

18. Rodner CM, Adams DJ, Diaz-Doran V, et al:

Medial opening wedge tibial osteotomy and sagittal plane: the effect of increasing tibial slope on tibiofe- moral contact pressure. Am J Sports Med, 34: 1431- 1441, 2006.

19. Scuderi GR, Windsor RE, Insall JN: Observations on patellar height after proximal tibial osteotomy. J Bone Joint Surg, 71: 245-248, 1989.

20. Spahn G: Complications in high tibial (medial opening wedge) osteotomy. Arch Orthop Trauma Surg, 124:

649-653, 2004.

21. Spahn G, Wittig R: Primary stability of various

(7)

implants in tibial opening wedge osteotomy: a bio- mechanical study. J Orthop Sci, 7: 683-687, 2002.

22. Stabuli AE, De Simoni C, Babst R, Lobenhoffer P:

TomoFix: a new LCP-concept for open wedge osteotomy of the medial proximal tibia-early results in 92 cases.

Injury, 34(Suppl 2): B55-B62, 2003.

23. Stoffel K, Stachowiak G, Kuster M: Open wedge high tibial osteotomy: biomechanical investigation of the modified arthrex osteotomy plate (puddu plate) and the tomofix plate. Clin Biomech, 19: 944-950, 2004.

24. Stuart MJ, Beachy AM, Grabowski JJ, An KN, Kaufman KR: Biomechanical evaluation of a proximal tibial opening-wedge osteotomy plate. Am J knee Surg, 12: 148-153, 1999.

25. Stuart MJ, Grace JN, Ilsrup DM, Kelly CM, Adams RA, Morrey BF: Late recurrence of varus deformity

after proximal ibial ostetomy. Clin Orthop Relat Res, 260: 61-65, 1990.

26. Virolainen P, Aro HT: High tibial osteotomy for the treatment of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meta-analysis of follow-up studies.

Arch Othop Trauma Surg, 124: 258-261, 2004.

27. Warden SJ, Morris HG, Crossle KM, Brukner PD, Bennell KL: Delayed-and non-union allowing opening wedge high tibial osteotomy: surgeons’ results from 182 completed case.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13: 34-37, 2005.

28. Yacobucci GN, Cocking MR: Union of medial opening wedge high tibial osteotomy using a cortico- cancellous proximal tibial wedge allograft. Am J Sports Med, 36: 713-719, 2008.

(8)

근위 경골 개방성 절골술에서 골이식과 외측 피질골 골절 여부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부산백병원 정형외과학교실

서승석ㆍ김창완ㆍ하동준ㆍ이창락

목적: 내반슬을 동반한 조기 골관절염의 치료방법 중 근위 경골 개방성 절골술의 임상적 유용성과, 골이 식 및 외측 피질골 골절 여부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5월부터 2007년 5월까지 내반슬을 동반한 골관절염 Kallgren-Lawrence 2단계 이하 의 환자 14명, 17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전례에서 개방형 근위 경골 절골술을 시행하 였다. 전체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또한 10 mm 이하의 개방이 필요했던 환자에 있어서 절골 부위 골이식 유무 및 전체 환자에서의 외측 피질골 보존 여부에 따라 각각 두군으로 나누어 각 군 간의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평균 추시관찰 기간은 34개월(12∼

96개월)이었다.

결과: Lysholm 점수는 술 전 59.9에서 술 후 81.5, HSS 슬관절 점수는 술 전 62.9에서 술 후 85.3로 호전되 었다. 대퇴 경골간 각은 술 전 내반 7.8o, 술 후 외반 11.6o, 최종 추시에서 외반 10.5o였으며, 후방 경골 경사각은 술 전 8.9o, 술 후 11.8o, 최종 추시에서 12.3o였다. Insall-Salvati 비는 0.92에서 술 후 0.94로 유의 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82). 10 mm 이하의 개방의 경우에 골이식을 시행한 군과 시행하지 않은 군 사이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며(p=0.47), 외측 피질골이 보존된 군은 보존되지 않은 군에 비하여 임상적으로 더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나, 방사선학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p>0.05).

결론: 경골 근위부 개방성 절골술은 조기 슬관절 내측 골관절염 환자에서 유용한 술식으로 사료된다.

10 mm 이하의 개방 시에는 골이식이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외측 피질골 골절 시에는 내측 지지금속판 고정 등의 보다 견고한 고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색인 단어: 골관절염, 근위 경골 개방성 절골술

수치

Fig. 1. (A-E) These photos are of a 48 year-old patient with osteoarthritis on both knee
Table 3. Comparison of Results between the Group with Intact Lateral Cortex and with Damaged Lateral Cortex

참조

관련 문서

Clinical and histomorph ometric evaluation of extraction sockets treated with an autologous bone marro w graft... Barone A, Aldini NN, Fini M, Giardino R, Calvo Guirado

success rates of dental implants placed at the time of or after alveolar ridge augmentation with an autogenous mandibular bone graft and titanium mesh: a 3-to

In 4-week group, the group filled with bone graft with decortication revealed larger new bone formation area than shown in the group that had a defect area

Histologic evaluation of early human bone response to different implant surfaces2. Histologic evaluation of human bone integration on machined and

Conclusion : The results reveal that it is not unusual that pedestrians are injured by automobiles in daily life. Awareness of risk factors would be useful in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cess that underlie in markers of bone formation, products of the osteoblast

The result of using PLGA nanofiber membrane with bone graft material showed that the PLGA nanofiber membrane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2 weeks were ten times more new

The defect area was filled with new-bone formation around the graft material hydroxy-apatite (open stars) at the periphery and chronic inflammation w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