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Huma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hTERT), Ki-67 and p53 Expressio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Huma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hTERT), Ki-67 and p53 Expression-"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Korean Journal of HBP Surgery

원 저 Vol. 9, No. 2, June, 2005

84

서 론

대장직장암의 초기 진단 시 간전이는 약 30%에서 발견되 며 간외 병변이 없는 환자에서 간절제 후 5년 생존율은 30∼

40%에 이른다.1,2 이러한 환자들에 있어 생존율에 대한 예후 인자를 평가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최 근 좀 더 나은 예후인자로서 다양한 생물학적 표지자에 대 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3,4 간절제가 좀 더 안전하게 시 행되고 있고 그 적용이 넓어짐에 따라 외과 절제 후 생존율 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예후인자에 많은 관심이 집중 되고 있다.

Ki-67은 G0과 G1기를 제외한 모든 세포주기에 발현하며, 증식활성도를 측정하는 데 흔히 이용된다. Ki-67은 다른 세 포증식 표지자들과 연관되어 있고,5 여러 악성 종양에서 생 물학적 행동과의 연관성이 연구되고 있다.6 Ki-67은 대장직 장암 간전이에 대한 간절제 후 생존과 독립적으로 연관되 어 있다는 보고도 있다.3,7

최근 telomerase 활성도가 소화기계 암의 예후 평가에 유 용하다는 보고가 있다.8,9 Telomerase는 진핵세포에서 gua- nine이 풍부한 반복 염기서열(TTAGGG)인 telomere를 합성 하는 리보핵산단백질이며, 암세포에서 telomerase는 telo- mere 안정도와 세포불후성에 영향을 미친다.10,11 Telomerase 는 RNA 단위(hTERC)와 촉매단백단위(hTERT), 그 외 다른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hTERT 발현은 telomerase활성 도를 반영하는 표지자로 이용된다.12,13

p53은 종양억제유전자로 17p13에 위치하며 세포주기와 분화에 작용하여 인체의 여러 종양발생에 관여한다.14-16 상 세포에서 DNA 손상을 받게 되면 p53이 작동하여 G1기 에서 세포주기가 멈추고 손상된 DNA가 복구되면 S기로 이 행한다. 만약 DNA의 손상이 복구되지 못하면, 고사가 일어

Prognostic Factors in the Patients Undergoing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is

-Huma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hTERT), Ki-67 and p53 Expression-

Young Hoon Kim, M.D., Tae Mu Lee, M.D., Hak Youn Lee, M.D., Hong Jo Choi, M.D., Ghap Joong Jung, M.D. and Jin Sook Jeong, M.D.1

Departments of Surgery and 1Pathology, Dong-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Korea

Purpose: We evaluated the expressions of hTERT, Ki-67 and

p53 in patients who underwent a curative resection for hepa- tic colorectal metastasis to see if there was any relationship of these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with the disease free survival.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a curative resection for

hepatic colorectal metastasis, between 1995 and 2003, were analyzed. For each patient, the clinical prognostic score was derived from the patient's sex, age, tumor size and lymph node status, and serum CEA level. Tumor specimens were analyzed for Ki-67, hTERT and p53 using standard immuno- histochemical techniques.

Results: The study included 23 patients: 9 and 12 survived

without disease for less and more than 12 months, respec- tively. Ki-67, hTERT (labeling indexes greater than or equal to 50%) and p53 positivities (labeling indexes greater than or equal to 10%) were observed in 5, 17 and 11 patients, respectively.

Conclusion: In patients undergoing resection of hepatic

colorectal metastasis, the expressions of Ki-67, hTERT and p53 did not correlate with the disease free survival. (Korean

J HBP Surg 2005;9:84-89)

대장직장암 간전이의 절제 후 예후인자들에 대한 고찰 -hTERT, Ki-67과 p53의 발현-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1병리학교실 김영훈․이태무․이학윤․최홍조․정갑중․정진숙1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Prognosis Factors

Colorectal Neoplasms Hepatectomy

중심 단어: 예후, 대장직장암, 간절제

책임저자:김영훈, 부산시 서구 동대신동 3가 1번지 ꂕ 602-715, 동아대학교의료원 외과 Tel: 051-240-2981, Fax: 051-247-9316 E-mail: yhkim1@daunet.donga.ac.kr

본 논문의 요지는 2004년 동아대학교 학술연구비(공모과제) 지원 에 의해 연구되었음.

(2)

나 비정상적인 세포가 더 이상 증식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 러나 돌연변이형 p53은 정상기능을 상실하여 종양형성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고, 세포 내에 축적되어 세포 변형을 초래한다. 또한 암세포에서 높게 발현되므로, 각종 암에 있 어서 돌연변이형 p53은 전이, 침윤, 예후 등과 관계가 있다 고 보고되고 있다.17-19

저자들은 위와 같은 근거를 바탕으로 Ki-67, hTERT, p53을 암의 예후인자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고, 특히 간절제를 시행한 대장직장암 간전이 환자에서 이들의 발현 을 분석하여 무병기간, 생존율, 예후인자와의 관계를 확인 하고자 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대장직장암 간전이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자의 성별, 나이, 전이종괴 크기, 전 이종괴 수, 림프절 전이여부, 암태아성항원(CEA) 등을 의무 기록을 통해 알아보았다. 무병기간을 12개월 미만, 12개월 이상의 두 군으로 분류하여, 임상적 특징들과 무병기간의 관계를 Kaplan-Meier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검체 는 면역조직화학 염색법을 이용하여 Ki-67, hTERT, 그리고 p53을 분석하였으며, chi-square 방법을 이용하여 무병기간

Fig. 1.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Ki-67, showing nuclear staining of the neoplastic cell of a tumor with high proliferation index.

Low-magnification (×100, a), high-magnification (×400, b) images are shown.

a b

Fig. 2.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hTERT, showing nuclear staining for hTERT. Low-magnification (×100, a), high-magnification (×400, b) images are shown.

b a

(3)

86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제 9 권 제 2 호 200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Table 1. Overall patients data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Colorectal Liver metastasis

Pt. Age Meta. Meta. CEA Lymph DFS§ cancer cell cancer cell

No.* Sex (yr) Size (cm) No. (ng/dl) Node (mo)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hTERT Ki-67 p53 hTERT Ki-67 p53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1 M 50 2 1 1 + 11 + - - - - -

2 M 53 0.8 1 2.1 - 19 - - - -

3 M 71 2.5 1 11.1 + 27 + - + + + +

4 M 83 2 1 2 + 38 + - - - - -

5 M 75 2 1 7.9 + 69 - - + + - +

6 M 57 1 1 2.2 - 32 + + + - - +

7 M 40 7 1 13 + 23 + - - + + -

8 F 49 3 2 27.2 - 46 - + + - - +

9 M 58 1.8 1 32 + 12 + - - + + +

10 M 59 7 3 29.6 + 10 + - + - - +

11 M 65 7 2 39.9 + 6 - - + + + +

12 M 61 1.5 1 3 + 13 + - + + - +

13 F 42 2 3 17 + 15 + - + + - +

14 M 71 4.5 8 1.6 + 10 + - + + - +

15 M 48 4 2 202 + 10 + - + + - +

16 M 67 3.5 2 1.4 + 9 + - - + - -

17 M 59 1 2 2.7 + 14 + + + + + +

18 M 36 2 2 183 + 7 + + - + - -

19 M 42 5 4 600 - 6 - - + - - +

20 M 58 3.5 1 12.6 + 7 + - + + + +

21 M 41 4 4 91 + 18 + - + - - +

22 M 65 4 2 7.4 - 12 + + + - - -

23 M 52 6 1 34 + 12 - - - - + -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Pt. No. = patient number; yr = year; Meta. = metastasis; §DFS = disease free survival; mo = month.

Fig. 3.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p53, showing nuclear staining for p53. Low-magnification (×100, a), high-magnification (×400, b) images are shown.

a b

(4)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p<0.05로 하

였다.

Ki-67의 면역조직화학염색에는 단클론 항체(Dako, Glo- strup, Denmark)가 사용되었으며, 포르말린 고정 후 제작된 파라핀 포매 조직을 4μm 두께로 박절하여 통상의 탈파라핀 및 함수과정을 거친 후, 1:200으로 희석된 일차항체에 의해 표지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슬라이드를 관찰하여, 전체 암세 포 중 50% 이상에서 양성을 보일 때를 양성군으로 판정하였 다(Fig. 1).20 hTERT의 면역조직화학염색에는 1:40으로 희 석된 일차 마우스 단클론 항체(NCL-hTERT, Novacastra, Newcastle, UK)가 사용되었으며, Ki-67과 마찬가지로 전체 암세포 중 50% 이상에서 양성을 보일 때를 양성군으로 판 정하였다(Fig. 2).20 p53의 면역조직화학염색에도 1:100으 로 희석된 일차항체(DO7, 1:100, Dako, Glostrup, Denmark) 를 사용하여 슬라이드를 제조하였으며, 전체 암세포 중에 10% 이상에서 양성을 보일 때를 양성군으로 판정하였다 (Fig. 3).21

결 과

모두 2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성비는 남자 21명, 여자 2명이었으며, 평균나이는 56.6세(36∼83세), 평 균 전이종괴 크기는 3.4 cm (0.8∼7.0 cm), 평균 전이종괴 수는 2.0개(1∼8개), 대장직장주위 림프절 전이는 양성이 18 명, 음성이 5명이었으며, 평균 CEA 수치는 57.6 ng/dl (1∼

600 ng/dl), 간절제 후 평균 무병기간은 18.5개월(6∼69개월) 이었다. 16명의 환자는 대장직장암 수술 및 간절제술이 동 시에 시행되었고 나머지 7명의 환자는 대장직장암 수술 이 후(9∼34개월)에 간절제술이 시행되었다(Table 1).

23명의 환자는 간절제 후 무병기간이 12개월 미만인 군 과 12개월 이상인 군으로 나누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Table 2).

무병기간이 12개월 미만인 군에서의 성비는 남자 9명, 여 자 0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55.1세(36∼71세), 평균 전이 종괴 크기는 4.3 cm (2∼7 cm), 평균 전이종괴 수는 2.8개 (1∼8개), 림프절 전이는 양성 8명, 음성 1명이었으며, 평균 암태아성항원 수치는 119.0 ng/dl (1∼600 ng/dl), 평균 무병 기간은 8.4개월(6∼11개월)이었다.

무병기간이 12개월 이상인 군에서의 성비는 남자 12명, 여자 2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57.6세(40∼83세), 전이종괴 크기는 평균 2.8 cm (0.8∼7 cm), 평균 전이종괴 수는 1.6개 (1∼4개), 림프절 전이는 양성 10명, 음성 4명이었으며, 평균 암태아성항원 수치는 18.0 ng/dl (2∼91 ng/dl), 평균 무병기

Table 2. Patients' characteristics of survival-based subgroups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Disease free Disease free

Character survival survival p-value

<12 m* ≥12 m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Sex 0.315

Male 9 12

Female 0 2

Mean age 55.1 yr 57.6 yr 0.099

Mean tumor size 4.3 cm 2.8 cm 0.536

Mean number of 2.8 1.6 0.862

hepatic metastasis

Lymph node status 0.212

Negative 1 4

Positive 8 10

Mean CEA level 119 ng/dl 18 ng/dl 0.579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m = month; CEA = carcinoembryonic antigen.

Table 3. Ki-67, hTERT and p53 index in colorectal cancer cell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Disease free Disease free

survival survival p-value

<12 m* ≥12 m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i-67 0.432

Negative 8 10

Positive 1 4

hTERT 0.778

Negative 2 4

Positive 7 10

p53 0.974

Negative 3 9

Positive 6 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m = month.

Table 4. Ki-67, hTERT and p53 index in liver metastasis cancer cell

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ꠚ Disease free Disease free

survival survival p-value

<12 m* ≥12 m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i-67 0.687

Negative 7 9

Positive 2 5

hTERT 0.335

Negative 3 7

Positive 6 7

p53 0.974

Negative 3 5

Positive 6 9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m = month.

(5)

88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제 9 권 제 2 호 2005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간은 25개월(12∼69개월)이었다.

이들 임상적 특징들과 무병기간과의 관계, 즉 성별, 나이, 전이종괴 크기, 전이종괴 수, 림프절 전이 여부, CEA 수치 는 통계적인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직장암 세포에서의 Ki-67, hTERT, p53은 무병기간 (12개월 미만, 12개월 이상)과 통계적인 의미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p=0.432, 0.778, 0.974)(Table 3). 간전이 세포에 서도 이들은 무병기간과 통계학적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 타나(p=0.687, 0.335, 0.974)(Table 4), 본 연구에서 Ki-67, h- TERT, p53은 모두 무병기간과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고 찰

대장암 간전이 시 간절제술은 가장 효과적인 치료 방법 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전이가 간에 국한된 경우 간절제술 후의 5년 생존율은 25∼40%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

다.22-24 최근 영상진단과 수술기법의 향상으로 조기발견 및

수술 후 생존율이 향상되고 있다.25

대장암 간전이에 대한 수술적 절제 후 술 후 예후에 영향 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한 많은 보고가 있어 왔다.23,24 환자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수술의 위험도가 증가하고 술 후 생존 기간이 짧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마취 및 수 술 기법의 향상으로 연령 자체로 인한 영향은 감소하였다.

즉 연령자체가 수술 사망률과 암으로 인한 사망률에 통계 적으로 유의한 요인이 된다는 보고는 없었으며, 저자들의 연구에서도 연령이 무병기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성별에 따른 예후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지만, Holm 등26과 Adson22은 여성이 남성보다 예후가 좋다는 결 과를 보였다. 반면, Cady와 McDermott27, Doci 등28은 성별이 통계학적 의의가 없다는 결과를 보였다. 저자들의 연구에 서도 성별에 따른 무병기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남자 21명, 여자 2명으로 성비의 차이가 커서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없 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이암의 크기는 단일 요인으로 판정하기 힘들며, 그 이 유로 전이암의 크기에 따라 수술방법이 달라지며, 충분한 절제연 확보여부가 예후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되기 때문

이다.23,24 일부 연구에서는 크기만으로 분류하였을 경우 각

군 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29 저자들의 연구에서도 전이종괴의 크기와 예후 사이에 의미있는 상관 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왔다.

전이종괴의 수와 예후와의 관계에서는 단순한 수보다는 수술로서 모든 병변을 절제하였는지의 여부가 더 큰 영향 을 미친다.30 Hughes 등24에 의하면, 1∼2개군과 3개 이상군 으로 분류하였을 경우, 생존율에 차이가 있었으나, Fortner 30은 다발성 또는 단일성 병변 절제 시에 생존율에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고 한다. 저자들의 연구에서도 전이종괴 의 수와 무병기간 사이에 의미있는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 로 나왔다.

림프절 전이가 있는 경우에는 Fortner 등30, Hughes 등24 의하면 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 으며, Cady 등23은 원발병소의 병기, 장간막 림프절 전이여 부, 간전이의 절제 후 생존율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었다. 저 자들의 경우에 있어서도 림프절 전이 여부와 무병기간과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CEA의 의미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으나, 원발 병소 절제 후 재발의 지표로 흔히 이용되고 있다. 재발과 CEA의 수치 가 항상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Cady 등23과 Hughes 등24 CEA 수치가 낮을 경우 예후가 좋았다고 보고하였으나, Fortner 등30은 수술 전 CEA 수치는 생존율에 차이가 없었다 고 보고하고 있다. 저자들의 경우에서도 CEA 수치와 무병 기간 사이에 의미 있는 유의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위와 같은 임상적 특징 외, 최근의 여러 연구들에서 생물 학적 표지자가 대장직장암 간전이 환자의 예후인자로서 의의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Ki-67의 발현3,5 및 hTERT의

발현12,13이 대장직장암의 간전이에서 예후 인자로써 통계학

적 의미가 있다고 밝히고 있으며, p53 역시 대장직장암의 간전이뿐만 아니라 위암, 갑상선암 등에서도 예후 인자로 서 통계학적 의미가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17-19 저자들의 연구에서는 hTERT, Ki-67, 그리고 p53이 예후인자로서 충 분한 의의를 가지지 않는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본 연구에 수행된 환자군의 수가 적고 무병기간의 분류에 시간적 오 차가 있었다고 판단되며 향후 좀 더 많은 환자군에서 충분 한 추적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참 고 문 헌

1) Rosen CB, Nagorney DM, Taswell HF, et al. Perioperative blood transfusion and determinants of survival after liver resection for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Ann Surg 1992;

216:493-504.

2) Nordlinger B, Quilichini MA, Parc R, Hannoun L, Delva E, Huguet C.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es:

influence on survival of preoperative factors and surgery for recurrences in 80 patients. Ann Surg 1987;295:256-263.

3) Weber JC, Nakano H, Bachellier P, et al. Is a proliferation index of cancer cells a reliable prognostic factor after hepa- tectomy in patients with colorectal liver metastases? Am J Surg 2001;182:81-88.

4) Saw RP, Koorey D, Painter D, Gallagher PJ, Solomon MJ.

p53, DCC and thymidylate synthase as predictors of survival after resection of hepatic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Br J Surg 2002;89:1409-1415.

5) Spyrators F, Ferrero-Pous M, Trassard M, et al. Correlation between MIB-1 and other proliferation markers: clinical impli-

(6)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cation of the MIB-1 cutoff value. Cancer 2002;94:2151-2159.

6) Harnois DM, Que FC, Celli A, LaRusso NF, Gores GJ. Bcl-2 is overexpressed and alters the threshold for apoptosis in cholangiocarcinoma cell line. Hepatology 1997;26:884-890.

7) Costa A, Doci R, Mochen C, et al. Cell proliferation-related markers in colorectal liver metastases: correlation with patient prognosis. J Clin Oncol 1997;15:2008-2014.

8) Shoji Y, Yoshinaga K, Inoue A, Iwasaki A, Sugihara K.

Quantification of telomerase activity in sporadic colorectal carcinoma: association with tumor grawth and venous inva- sion. Cancer 2000;88:1304-1309.

9) Balcom JHT, Keck T, Warshaw AL, Antoniu B, Graeme-Cook F, Fernandez-del Castillo C. Telomerase activity in periam- pullary tumors correlates with aggressive malignancy. Ann Surg 2001;234:344-350.

10) Soria JC, Vielh P, et-Naggar AK. Telomerase activity in can- cer: a magic bullet or a mirrage? Korean J HBP Surg 1997;

1:127-132.

11) Kolquist KA, Ellisen LW, Counter CM, et al. Expression of TERT in early premalignant lesions and a subset of cells in normal tissues. Nat Genet 1998;19:182-186.

12) Kirkpatrick KL, Mokbel K. The significance of human telo- merase reverse transcriptase (hTERT) in cancer. Eur J Surg Oncol 2001;27:754-760.

13) Etherige KT, Banik SS, Armbruster BN, et al. The nucleolar localization domain of the catalytic subunit of human telo- merase. J Biol Chem 2002;277:24764-24770.

14) Kastan MB, Zhan Q el-Deiry WS, et al. A mammalian cell cycle check point pathway utilizing p53 and CADD45 is defective in ataxia-telangiectasia. Cell 1992;71:587-597.

15) Fields S, Jang SK. Presence of a potent transcription activating sequence in the p53 protein. Science 1990;249:1046-1049.

16) Raycroft L, Wu HY, Lozano G. Transcriptional activation by wild-type but not transforming mutants of the p53 anti-onco- gene. Science 1990;249:1049-1051.

17) Joypaul BV, Newman EL, Hopwood D, et al. Correlation of p53 expression and proliferative activity in gastric mucosa: an immunohistichemical study. J Pathol 1993;70:279-283.

18) Yonemura Y, Fushida S, Tsugawa K, et al. Correlation of p53 expression and proliferation activity in gastric cancer. Anal Cell Pathol 1993;5:277-288.

19) Goto A, Sakamoto A, Machinami R. An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cyclin D1, p53, and p21waf1/cip1 proteins in tumors originating from the follicular epithelium of the thyroid gland. Pathol Res Pract 2001;197:217-222.

20) David LS, Jean-Charles S, Luc M, et al. Huma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hTERT) and Ki-67 are better predictors of survival than established clinical indicators in patients undergoing curative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metastases.

Ann Surg Oncol 2003;11:45-51.

21) Perrone G, Vincenzi D, Santini A, Tonini G, Vetranin A, Rabi- tti C. Correlation of p53 and bcl-2 expression with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microvessel density (MVD)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in colon cancer. Cancer Let- ters 2004;208:227-234.

22) Adson MA. Resection of liver metastases: when is it worth- while? World J Surg 1987;11:511-520.

23) Caby B, Stone MD, McDermott WV, et al. Technical and bio- logical factors in colorectal metastases. Arch Surg 1992;127:

561-568.

24) Hughes KS, Simon R, Songhorabodi S, Adson MA, Ilstrup DM, Fortner JGM. Resection of the liver for colorectal car- cinoma metastases: a multi-institutional study of patterns of recurrence. Surgery 1986;100:278-288.

25) Wagman LD, Kemeny MM, Leong L, et al. A prospective, randomized evaluation of the treatment of colorectal cancer metastatic to the liver. J Clin Oncol 1990;8:1885-1893.

26) Holm A, Bradley E, Aldrete JS. Hepatic resection of metastasis from colorectal carcinoma. morbidity, mortality, and pattern of recurrence. Ann Surg 1989;209:428-434.

27) Cady B, McDermott WV. Major hepatic resection for meta- chronous metastases from colon cancer. Ann Surg 1985;201:

204-209.

28) Doci R, Gennari L, Bignami P, Montalto F, Morabito A, Boz- zetti F. One hundred patients with hepatic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treated by resection: analysis of prognostic determinants. Br J Surg 1991;78:797-801.

29) Suh KS, Kim KH, Park KJ, et al. Outcomes & prognostic factors of hepatic resection for colorectal liver metastasis. J Korean Surg Soc 1996;50:495-502.

30) Fortner JG, Silva JS, Golbey RB, Cox EB, Maclean BJ. Mul- tivariate analysis of a personal series of 247 consecutive patients with liver metastases from colorectal cancer. I. Treat- ment by hepatic resection. Ann Surg 1984;199:306-316.

수치

Fig.  1.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Ki-67,  showing  nuclear  staining  of  the  neoplastic  cell  of  a  tumor  with  high  proliferation  index
Fig.  3.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p53,  showing  nuclear  staining  for  p53
Table  4.  Ki-67,  hTERT  and  p53  index  in  liver  metastasis  cancer  cell

참조

관련 문서

컴퓨터 이용 설계 및 제작 Moon Ki, Jung..

Activated Foxo3a can inhibit the activation of p53 by DNA damage [46] and Resulted in a significant down-regulation of both p21 and p53 expression in Foxo3a- siRNA U2OS cells

Process of finding solutions to human problems to make lives easier and better. ƒ Looks for ways to control the

 Process of finding solutions to human problems to make lives easier and better.  Looks for ways to control the

In addition, using the properties of water shown in diverse shapes, Ki Hyung-do's recognition on the reality and future consciousness from regression of

Activated H-Ras expression in human fibroblast cell lines increases the activity of Ku80 to bind injuried DNA, reduces γ-H2AX expression by UV irradiation,

Performance shaping factors (PSFs) are factors that influence human performance in human reliability analysis (HRA) [1,2]. Typical examples of PSFs

4 > Effects of Taro on COX-2 expression and iNOS expression(hot water) in human thyroid cancer cells. The cells were pretreated for 48hours with ei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