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7.1 행렬, 벡터: 합과 스칼라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7.1 행렬, 벡터: 합과 스칼라곱"

Copied!
3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Linear Algebra : Matrices, Vectors, Determinants. Linear Systems)

z 선형연립방정식은 전기회로, 기계 구조물, 경계모델, 최적화 문제, 미분방정식의 수치해 등을 다룰 때 나타남

z 선형연립방정식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행렬과 벡터 이용

z 내용 : 행렬 및 벡터 간의 연산에 대한 정의, 선형연립방정식에 관한 것(Gauss 소거법, 행렬 의 계수의 역할), 역행렬, 행렬식의 정의와 응용

(2)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7.1 행렬, 벡터: 합과 스칼라곱

z

행렬(Matrix) : 수(혹은 함수)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괄호 안에 배열한 것

• 원소(Entry) 또는 요소(Element): 행렬에 배열되는 수(혹은 함수)

• 행(Row) : 수평선

• 열(Column) : 수직선

z 벡터(Vector) : 한 개의 행이나 열로 구성된 행렬

• 행벡터(Row Vector) : 하나의 행으로 구성

• 열벡터(Column Vector) : 하나의 열로 구성

7.1 행렬, 벡터: 합과 스칼라곱

(Matrices, Vectors: Addition and Scalar Multiplication)

(3)

z

일반적인 표기법과 개념

• 행렬은 굵은 대문자로 나타낸다

• 첫 번째 아래 첨자 는 행(Row)

• 두 번째 아래 첨자 는 열(Column)

• : 행, 열의 원소(Element) z 정방행렬(Square Matrix)

• 이라면 는 정사각형 모양이다

• 정방행렬에서 원소 을 포함하는 대각선을 행렬 의 주대각선

(Principal Diagonal)이라고 한다

[ ]

: 행렬

2 1

2 22

21

1 12

11

n m a

a a

a a

a

a a

a a

mn m

m

n n

jk ×

⎥⎥

⎥⎥

⎢⎢

⎢⎢

=

=

L M O M M

L L

A

j k ajk j k

n

m= A

a

nn

a

a

11, 22, L, A

(4)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7.1 행렬, 벡터: 합과 스칼라곱

z벡터(Vectors) : 하나의 행(열)으로 이루어진 1×

n

(

m

×1)행렬

Ex. 차원 행벡터(Row Vector) :

차원 열벡터(Column Vector) :

n

a

=

[ a

1,

a

2, L

a

n

]

m

⎥⎥

⎥⎥

⎢⎢

⎢⎢

=

b

m

b b

M

2 1

b

(5)

z

행렬의 상등(Equality of Matrices)

: 행렬의 크기가 같으며 대응되는 원소들이 모두 같은 경우 z 행렬의 가법(Matrix Addition)

: 같은 크기의 행렬에 대해서만 정의되고, 그 합은 대응하는 원소를 각각 합 함으로 얻어진다.

z 스칼라곱(Scalar Multiplication)

: 행렬의 각 원소에 상수를 곱하여 얻어진다.

z 행렬의 가법과 스칼라곱에 대한 연산법칙

( ) ( )

( )

A 0 A

A 0 A

C B A C B A

A B B A

=

− +

= +

+ +

= + +

+

=

+

( )

( ) ( ) ( )

A A

A A

A A A

B A B

A

=

=

+

= +

+

= +

1

ck k

c

k c k

c

c

c

c

(6)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7.2 행렬의 곱

7.2 행렬의 곱(Matrix Multiplication)

z행렬과행렬의 곱(Matrix Multiplication)

: 행렬 의 행수 와 행렬 의 열수 가 서로 같아야

정의되며 를 원소로 하는 행렬로

정의된다.

nk jn k

j k j n

j

lk jl

jk a b a b a b a b

c =

= + + +

= 1 1 2 2 L

1

[ ]

bjk

=

B A=

[ ]

ajk

p

r× r m×n n

p m×

™ AB는 정의되지만 BA는 정의되지 않을 수 있다

z

행렬의 곱은 비가환적(Not Commutative)이다.

z 행렬의 곱에 대한 연산법칙

BA AB

( ) ( ) ( )

( ) ( ) ( ( ) )

( ) ( ( ) )

( ) ( (

DistrivutiveLow

) )

Low ve Distrivuti

Low e Associativ

분배법칙 분배법칙 결합법칙

CB CA B

A C

BC AC C

B A

C AB BC

A

B A AB B

A

+

= +

+

= +

=

=

=

k k

k

(7)

z

행렬과 벡터의 전치(Transposition of Matrices) : 열과 행이 서로 바뀌어 얻어진 행렬.

z 전치 연산에 대한 법칙

[ ] [ ]

⎥⎥

⎥⎥

⎢⎢

⎢⎢

=

=

=

mn n

n

m m

kj T jk

a a

a

a a

a

a a

a a

a

L M O M M

L L

2 1

2 22

12

1 21

11

A A

™ 정방행렬에 대한 전치는 주대각선에 관하여 대칭으로 위치된 원소들을 서로 바꾼 것이다.

( )

( )

( )

( )

T T T

T T

T T T

T T

c c

A B AB

A A

B A B

A

A A

=

=

+

= +

=

(8)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7.2 행렬의 곱

z

특수한 행렬(Special Matrices)

z 대칭행렬(Symmetric Matrix) : 전치가 본래의 행렬과 같은 정방행렬 z 반대칭행렬(Skew- symmetric Matrix)

: 전치가 본래의 행렬의 음이 되는 정방행렬 z 삼각행렬(Triangular Matrix)

• 위삼각행렬(Upper Triangular Matrix)

: 주대각선을 포함하여 그 위쪽으로만 0이 아닌 원소를 갖는 정방행렬

• 아래삼각행렬(Lower Triangular Matrix)

: 주대각선을 포함하여 그 아래쪽으로만 0이 아닌 원소를 갖는 정방행렬 z 대각행렬(Diagonal Matrix)

: 주대각선 상에서만 0이 아닌 원소를 가질 수 있는 정방행렬

• 스칼라 행렬(Scalar Matrix) : 주대각선 원소들이 모두 같은 대각행렬

• 단위행렬(Unit 또는 Identity Matrix) : 주대각선 원소들이 모두 1은 대각행렬

(

AT =A

)

(

AT =A

)

(9)

7.3 선형연립방정식, Gauss 소거법

(Linear Systems of Equations. Gauss Elimination)

z

선형연립방정식, 계수행렬, 첨가행렬 z 선형연립방정식 :

• 제차연립방정식(Homogeneous Simultaneous System) : 가 모두 0인 경우

• 비제차연립방정식(Nonhomogeneous Simultaneous System) : 중 적어도 하나는 0이 아닌 경우

⎥⎥

⎥⎥

⎢⎢

⎢⎢

=

⎥⎥

⎥⎥

⎢⎢

⎢⎢

⎥⎥

⎥⎥

⎢⎢

⎢⎢

= +

+

= +

+

= +

+

n n

mn m

m

n n

m n mn m

n n

n n

b b b

x x x

a a

a

a a

a

a a

a

b x a x

a

b x a x

a

b x a x

a

M M

L M O M M

L L

L

L L L L L L L L L

L L

2 1 2

1

2 1

2 22

21

1 12

11

1 1

2 2

1 21

1 1

1 11

b

j

b

j

(10)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z선형연립방정식의 행렬표현 :

• 계수행렬(Coefficient Matrix) :

• 해벡터(Solution Vector) :

• 첨가행렬(Augmented matrix) : 계수행렬 에 열벡터 를 첨가한 행렬 b

Ax=

⎥⎥

⎥⎥

⎢⎢

⎢⎢

=

⎥⎥

⎥⎥

⎢⎢

⎢⎢

=

⎥⎥

⎥⎥

⎢⎢

⎢⎢

=

n n

mn m

m

n n

b b b

x x x

a a

a

a a

a

a a

a

M M

L M O M M

L L

2 1 2

1

2 1

2 22

21

1 12

11

,

, x b

A

A x

A b

⎥⎥

⎥⎥

⎢⎢

⎢⎢

=

n mn m

m

n n

b b b

a a

a

a a

a

a a

a

M M M M M

L M O M M

L L

2 1

2 1

2 22

21

1 12

11

A~

7.3 선형연립방정식, Gauss 소거법

(11)

z

가우스 소거법과 후치환(Gauss Elimination and Back Substitution)

Step 1 을 소거 : 첫 번째 식에 두 배 한 후, 이를 번째 식에 더한다.

Step 2 후치환(Back Substitution)을 통해 순으로 해를 구한다.

마지막 방정식에서 구한 후, 그 결과를 역순으로 첫째 방정식에 대입하

대하여 정리하면, 을 얻는다.

x1

30 3

4

2 5 2

2 1

2 1

= +

= +

x x

x

x

⎢ ⎤

−4 3 30 2 5 2

연립방정식 첨가행렬

26 13

2 5 2

2 2 1

=

= + x

x

x

⎢ ⎤

− 26 13

0

2 5 2

1 2, x x

13 2

2 =−26 =−

x

x1

( ) (

2 5

( )

2

)

6

2 5 1

2 2 1

2

1 = − x = − − =

x

(12)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7.3 선형연립방정식, Gauss 소거법

z

기본행연산. 행동치 연립방정식(Elementary Row Operations. Row-Equivalent Systems)

<방정식에 대한 기본연산>

• 두 방정식을 교환하는 것

• 한 방정식의 상수배를 다른 방정식에 더하는 것

한 방정식에 0이 아닌 상수를 곱하는 것

<행렬에 대한 기본행연산>

• 두 행을 교환하는 것

• 한 행의 상수배를 다른 행에 더하는 것

한 행에0이 아닌 상수를 곱하는 것

™ 기본 행연산을 이용하여 미지수를 하나씩 소거하여 대각선 아래의 계수를 0으로 만든다

z 행동치(Row-Equivalent)

: 선형시스템 이 선형시스템 에 유한번의 기본행연산을 가하여 얻어질 수 있다면 을 의 행동치라 한다.

z 행동치 연립방정식(Row-Equivalent Systems)

: 행동치 연립방정식들은 같은 해집합을 갖는다.

S

1

S

1

S

2

S

2

(13)

z

Gauss 소거법 : 연립방정식의 세가지 경우

무한히 많은 해가 존재하는 경우(미지수의 수가 방정식의 수보다 많은 경우)

• 유일한 해가 존재하는 경우

• 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연립방정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14)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7.3 선형연립방정식, Gauss 소거법

Ex.3 4개의 미지수를 갖는 3개의 선형연립방정식,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아래의 첨가행렬을 연립방정식의 해를 구하라.

Step 1 을 소거

Step 2 소거 : 두번째 방정식에 하여 번째 방정식에 더하라

Step 3 후치환

임의로 결정할 있는 수이므로, 무한히 많은 해가 얻어진다.

1 . 2 4

. 2 3 . 0 3 . 0 2 . 1

7 . 2 4 . 5 5 . 1 5 . 1 6 . 0

0 . 8 0 . 5 0 . 2 0 . 2 0 . 3

M M M

1 . 2 4 . 2 3 . 0 3 . 0 2 . 1

7 . 2 4 . 5 5 . 1 5 . 1 6 . 0

0 . 8 0 . 5 0 . 2 0 . 2 0 . 3

4 3

2 1

4 3

2 1

4 3

2 1

= +

=

+

+

=

+

+

x x

x x

x x

x x

x x

x x

x1

( )

( )

1 4 . 0 3

1 2 . 0 2

1 . 1 4

. 4 1 . 1 1 . 1 0

1 . 1 4 . 4 1 . 1 1 . 1 0

0 . 8 0

. 5 0 . 2 0 . 2 0 . 3

×

+

×

+

M M M

1 . 1 4

. 4 1 . 1 1 . 1

1 . 1 4 . 4 1 . 1 1 . 1

0 . 8 0 . 5 0 . 2 0 . 2 0 . 3

4 3

2

4 3

2

4 3

2 1

= +

=

+

=

+

+

x x

x

x x

x

x x

x x

x2

행 2 3 0 0

0 0 0

1 . 1 4 . 4 1 . 1 1 . 1 0

0 . 8 0 . 5 0 . 2 0 . 2 0 . 3

+

M M M

0 0

1 . 1 4 . 4 1 . 1 1 . 1

0 . 8 0 . 5 0 . 2 0 . 2 0 . 3

4 3

2

4 3

2 1

=

=

+

=

+

+

x x

x

x x

x x

4 1

4 3

2 1 x 4x , x 2 x

x = − + = −

첫째 방정식에 배 하여 두 번째 방정식에 더하라.

첫째 방정식에 배 하여 세 번째 방정식에 더하라.

2 . 0 0 . 3 6 .

0 =−

4 . 0 0 . 3 2 .

1 =−

1 1 . 1 1 .

1 =

4

3 x

x 와

(15)

Ex.4 Gauss 소거법을 해가 존재하지 않는 연립방정식에 적용

Step 1 을 소거

첫째 방정식에 배 하여 두 번째 방정식에 더하라.

첫째 방정식에 배 하여 두 번째 방정식에 더하라.

Step 2 을 소거 : 세 번째 식에서 를 소거

모순이 되어 연립방정식은 해를 갖지 않는다.

⎥⎥

⎢⎢

6 4 2 6

0 1 1 2

3 1 2 3

M M M

6 4 2 6

0 2

3 2

3

3 2 1

3 2 1

3 2 1

= + +

= + +

= + +

x x x

x x x

x x x

x1

( )

행 행

1 2 3

3 1 2 2

0 2

2 0

3 2 1 3 0 1

3 1

2 3

×

− +

⎟×

⎜ ⎞

⎝⎛−

+

⎥⎥

⎢⎢

M M M

x2

0 2 2

3 2 1 3 1

3 2

3

3 2

3 2

3 2 1

= +

= +

= + +

x x

x x

x x x

( )

행 6 2 12 3

0 0 0

3 2 1 3 0 1

3 1

2 3

×

⎥ +

⎥⎥

⎢⎢

M M M

12 0

3 2 1 3 1

3 2

3

3 2

3 2 1

=

= +

= + +

x x

x x x 23

− 3 2 6 =−

x2

(16)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7.4 일차 독립. 행렬의 계수. 벡터공간

7.4 일차 독립. 행렬의 계수. 벡터공간

(Linear Independence. Rank of a Matrix. Vector Space)

z

벡터의 일차 독립과 종속성

• 일차 독립(Linearly Independent) : 모든 때만 식이 만족

• 일차 종속(Linearly Dependent) : 어떤 이어도 위 식이 만족

( )1 2 ( )2 ( )

(

:스칼라, :벡터

)

1a

c

a

c

a 0

c

a

c

+ +L+ m m =

=0

c

j

≠0

c

j

(17)

z

행렬의 계수(Rank) : 행렬에서 1차독립인 행벡터의 최대 수이며 라 표시

• 행동치인 행렬

행동치인 행렬들은 같은 계수를 갖는다.

• 일차종속성과 일차독립성

각각 개의 성분을 갖는 개의 벡터들은 이 벡터들을 행벡터로 취하여 구성된 행렬의 계수가 이면 일차독립이고, 그 계수가 보다 작으면 일차종속이다.

• 열벡터에 의한 계수

행렬의 계수는 행렬의 일차독립인 열벡터의 최대수와 같다.

행렬과 행렬의 전치는 같은 계수를 갖는다.

• 벡터의 일차종속

개의 성분을 갖는 개의 벡터들은 항상 일차종속이다.

( )

A rank

n p

p p

( ) p

n

<

p

(18)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7.4 일차 독립. 행렬의 계수. 벡터공간

z

벡터공간(Vector Space)

: 공집합이 아닌 벡터의 집합에 속해 있는 임의의 두 원소에 대하여, 이들의 일 차결합이 다시 집합의 원소가 되며 다음 법칙을 만족하는 벡터들의 집합

z 차원(Dimension): 벡터공간내의 일차독립인 벡터들의 최대수이며 로 표기 z 기저(Basis)

: 벡터공간내의 최대로 가능한 수의 일차독립인 벡터로 구성되는 부분집합이며 기저가 되는 벡터의 수는 차원과 같다.

z 생성공간(Span)

: 성분의 수가 같은 벡터들에 관한 일차결합으로 표환되는 모든 벡터들의 집합 z 부분공간(Subspace)

: 벡터공간에서 정의된 벡터합과 스칼라곱에 관하여 닫혀있는 부분집합

( ) ( )

( )

A 0 A

A 0 A

C B A C B A

A B B A

=

− +

= +

+ +

= + +

+

=

+

( )

( )

( ) ( )

A A

A A

A A A

B A B

A

=

=

+

= +

+

= +

1

ck k

c

k c k

c

c c c

( ) V

dim

(19)

• 벡터공간

개의 성분을 갖는 모든 벡터들로 이루어진 벡터공간 의 차원 이다.

z 행공간(Row Space) : 행벡터들의 생성공간 z 열공간(Column Space) : 열벡터들의 생성공간

• 행공간과 열공간

행렬의 행공간과 열공간은 차원이 같고, 행렬의 계수와도 동일하다.

z 영공간(Null Space) : 의 해집합 z 퇴화차수(Nullity) : 영공간의 차원

Rn

Rn

n n

행계수 의

퇴화차수 의

계수

A A

A

+ =

0

Ax

=

(20)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7.5 선형연립방정식의 해 : 존재성, 유일성

7.5 선형연립방정식의 해 : 존재성, 유일성

(Solutions of Linear Systems: Existence, Uniqueness)

z

선형연립방정식에 대한 기본정리

• 존재성(Existence)

: 선형연립방정식이 모순이 없기 위한(Consistent), 다시 말해서 해를 갖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계수행렬과 첨가행렬이 같은 계수를 갖는 것이다.

• 유일성(Uniqueness)

: 선형연립방정식이 유일한 해를 갖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계수행렬과 첨가행 렬이 같은 계수를 갖는 것이다.

• 무수히 많은 해(Infinitely Many Solutions)

: 계수행렬의 계수가 미지수의 개수보다 작으면 무수히 많은 해가 존재

• Gauss 소거법(Gauss Elimination)

: 해가 존재하면 Gauss 소거법에 의해 모두 구해질 수 있다.

(21)

z

제차연립방정식

• 제차연립방정식은 항상 자명한 해(Trivial Solution)을 갖는다.

• 자명하지 않은 해가 존재할 필요충분조건 :

• 이면 해공간은 차원 벡터공간이다.

• 제차연립방정식의 두 해벡터의 일차결합도 제차연립방정식의 해이다.

z 미지수보다 방정식의 수가 적은 제차 선형연립방정식

방정식의 수가 미지수의 수보다 적은 제차연립방정식은 항상 자명하지 않은 해 (Nontrivial Solution)를 갖는다.

z 비제차연립방정식

만약 비제차 연립방정식이 해를 갖는다면 모든 해는 와 같은 형태가

된다. 은 고정된 임의의 해이고 는 대응하는 제차연립방정식의 모든 해를 대표한다.

하자.

라 갯수 미지수의 계수

계수행렬의 =

r

, =

n

n r

<

n

r

<

n

r

x

h

x x

= 0 +

x

0

x

h

(22)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7.6 참고사항 : 2차 및 3차 행렬식

7.6 참고사항 : 2차 및 3차 행렬식

(For Refernece : Second- and Third-Order Determinants)

z 2차 행렬식(Determinant of Second Order)

z 선형연립방정식

( )

11 22 12 21

22 21

12

det 11

a a a a a

a a

D

=

A

=

a

= −

2 2 22 1 21

1 2 12 1 11

b x a x a

b x a x a

= +

= +

D a b b a D

b a

b a x

D b a a b D

a b

a b x

21 1 2 2 11

21 1 11

2

2 12 22 22 1

2 12 1

1

= −

=

= − Cramer의 법칙 =

≠0 D

(23)

z 3차 행렬식(Determinant of Third Order)

z 선형연립방정식

( )

22 13 31 23 12 31 33 12 21 32 13 21 32 23 11 33 22 11

23 22

13 12 31 33 32

13 12 21 33 32

23 22 11

33 32 31

23 22 21

13 12 11

det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D

− +

+

=

+

=

=

= A

3 3 33 2 32 1 31

2 3 23 2 22 1 21

1 3 13 2 12 1 11

b x a x a x a

b x a x a x a

b x a x a x a

= +

+

= +

+

= +

+ Cramer의 법칙

D x D D x D D

x1= D1, 2 = 2, 3 = 3

3 32 31

2 22 21

1 12 11 3 33 3 31

23 2 21

13 1 11 2 33 32 3

23 22 2

13 12 1

1 , ,

b a a

b a a

b a a D a

b a

a b a

a b a D a

a b

a a b

a a b

D = = =

≠0 D

(24)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7.7 행렬식. Cramer의 법칙

7.7 행렬식. Cramer의 법칙(Determinants. Cramer’s Rule)

z 차 행렬식(Determinant of Third Order)

• 소행렬식(Minor) :

• 여인수(Cofactor) : n

( )

nn n

n

n n

a a

a

a a

a

a a

a D

L M O M M

L L

2 1

2 22

21

1 12

11

det =

= A

1 D a11

n= 이면 =

(

1, 2, ,

)

2 D a 1C 1 a 2C 2 a C j n n≥ 이면 = j j + j j +L+ jn jn = L

( )

( )

차의행렬식

또는

1

, 1

, , , 2 , 1

2

2 1 1

=

= +

+ +

=

+ M M n

C

n k

C a C

a C a D

jk jk

k j jk

nk nk k

k k

k L L

Mjk

Cjk

(25)

z

기본행연산항(Elementary Row Operation)에서의 차 행렬식의 양태

• 두 행을 바꾸는 것은 행렬식의 값에 -1을 곱하는 것이다.

• 한 행의 상수배를 다른 행에 더하는 것은 행렬식의 값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

• 한 행에 상수를 곱하는 것은 행렬식의 값에 상수를 곱하는 것이다.

z 추가적인 차 행렬식의 성질

두 열을 바꾸는 것은 행렬식의 값에 을 곱하는 것이다.

한 열의 상수배를 다른 열에 더하는 것은 행렬식의 값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

• 한 열에 상수를 곱하는 것은 행렬식의 값에 상수를 곱하는 것이다.

• 전치(Transposition)는 행렬식의 값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

• 0행 또는 0열은 행렬식의 값을 으로 만든다.

• 같은 비율의 행 또는 열은 행렬식의 값을 으로 만든다.

n

n

−1

0

0

(26)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7.7 행렬식. Cramer의 법칙

z

행렬식에 의한 계수

행렬 가 계수 을 갖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의 부분행

렬의 행렬식은 0이 되지 않는 반면, 의 또는 그 이상의 행을 갖 는 모든 정방 부분행렬의 행렬식은 0이 되는 것이다. 특히, 가 정방행렬

일 때, 계수가 일 필요충분조건은 이다.

z Cramer의 정리(행렬식에 의한 선형연립방정식의 해)

n n

m× A=

[ ]

ajk r

( )

≥1 A r×r

A

(

r +1

) (

× r+1

)

A n×n

( )

0 det A

n n nn n

n

n n

n n

b x a x

a x a

b x a x

a x a

b x a x

a x a

= +

+ +

= +

+ +

= +

+ +

L

L L L L L L L L L L L L

L L

2 2 1 1

2 2

2 22 1 21

1 1

2 12 1 11

Cramer의 법칙

D x D D

x D D

x1= D1, 2 = 2, L, n = n

≠0 D

행렬식 얻은

대치하여 열로

갖는 원소로 인

열을 번째 의

n

k D k b b

D 1, L,

(27)

7.8 역행렬. Gauss-Jordan 소거법

(Inverse of a Matrix. Gauss-Jordan Elimination)

z

역행렬(Inverse Matrix)

• 정칙행렬(Nonsingular Matrix) : 역행렬을 갖는 경우

• 특이행렬(Singular Matrix) : 역행렬을 갖지 않는 경우

• 역행렬을 가지면 그 역행렬은 유일하다.

z 역행렬의 존재성

[ ]

AA A A I

A

A1 : = ajk 의역행렬 ⇔ 1= 1 =

( )

det

( )

0 rank

1 ⇔ = ⇔ ≠

× A A A

An n행렬일때,역행렬 이존재 n

( )

( )

특이행렬

정칙행렬 는

A A

A A

rank

rank

<

= n n

(28)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7.8 역행렬. Gauss-Jordan 소거법

z

Gauss-Jordan 소거법에 의한 역행렬의 결정

[ ]

~

1

I A A

A A

= M

×n행렬 의역행렬 을결정하기위한 방법 n

Gauss 소거법

[

I M K

]

⇒ ∴A−1 =K Ex.1

⎥⎥

⎢⎢

=

4 3 1

1 1 3

2 1 1 A

[ ]

행 행 행

3.5 행

행 행

행 행 행 행

행 행

행 행

2 1 2 . 0 2 . 0 8 . 0 1

0 0

7 . 0 2 . 0 3 . 1 0

1 0

3 . 0 2 . 0 7 . 0 0

0 1 3 2

3 2 1 2 . 0 2 . 0 8 . 0 1

0 0

7 . 0 2 . 0 3 . 1 0

1 0

4 . 0 4 . 0 6 . 0 0

1 1

3 2 . 0

2 5 . 0

1 2

. 0 2 . 0 8 . 0 1

0 0

0 5 . 0 5 . 1 5 . 3 1 0

0 0 1 2

1 1 2 3 1 1 4 5

0 0

0 1 3 7

2 0

0 0 1 2

1 1

1 3

1 3 2 1 0 1 2

2 0

0 1 3 7

2 0

0 0 1 2

1 1

1 0 0 4 3 1

0 1 0 1 1 3

0 0 1 2 1 1

+

⎥⎥

⎢⎢

×

× +

⎥⎥

⎢⎢

×

×

⎥⎥

⎢⎢

⎥⎥

⎢⎢

× +

⎥⎥

⎢⎢

⎥⎥

⎢⎢

=

M M M M

M M

M M M M

M M

M M M M

M M M I

A

(29)

z

역행렬에 대한 유용한 식

[ ] [ ]

⎥⎦

⎢ ⎤

= −

⎥⎦

⎢ ⎤

=⎡

⎥⎥

⎥⎥

⎢⎢

⎢⎢

=

=

=

×

11 21

12 1 22

22 21

12 11

2 1

2 22

12

1 21

11

1

det 1 det

det 1 det

1

a a

a a

a a

a a

a a n

n

jk jk

nn n

n

n n

jk jk

A A A

A C

C C

C

C C

C

C C

C

C A A A

A

역행렬은 의

여인수 의

에서 는

역행렬은 의

행렬

L M O M M

L L

Ex.3

⎥⎥

⎢⎢

=

4 3 1

1 1 3

2 1 1 A

( )

=

=

=

=

=

=

=

=

=

=

=

=

=

=

=

=

=

=

=

=

+

=

2 . 0 2 . 0 8 . 0

7 . 0 2 . 0 3 . 1

3 . 0 2 . 0 7 . 0

1 2

3 1 1

, 3 2 1

1 1

, 3 8 1

1 3

, 1 7 3

2 1

, 4 2 1

2 1

, 4 13 1

1 3

, 1 3 1

2 1

, 4 2 3

2 1

, 4 7 3

1 1

, 10 8 2 13 1 7 1 det

1 33

23 13

32 22

12

31 21

11

A C

C C

C C

C

C C

C A

(30)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7.8 역행렬. Gauss-Jordan 소거법

z

대각행렬의 역행렬

대각행렬 의 역행렬이 존재

Ex.4

⎥⎥

⎢⎢

⎡−

=

1 0 0

0 4 0

0 0 5 . 0 A

⎥⎥

⎢⎢

⎡−

=

1 0 0

0 25 . 0 0

0 0 2 A 1

[ ]

ajk

=

Aajj ≠0

(

j=1, 2, L, n

)

행렬 대각원소인 1 이

, 1 ,

ann

a L

11

1

A

z

두 행렬의 곱 :

z역행렬의 역행렬 :

( )

( )

1 1 1 1 1

1 1 1

=

=

A C P Q PQ

AC

A C AC

L L

( )

A1 1 =A

(31)

z

행렬의 곱에 대한 특이 성질. 약분법

• 행렬의 곱은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성립하지 않는다.)

• 일 때 또는 이 아닐 수도 있다.

•예)

• 일 때 일 수도 있다(심지어 일 때에도).

z 약분법칙

• 이고 이면, 이다.

• 이면 은 을 의미한다.

• 가 특이행렬이면 와 도 또한 특이행렬이다.

BA AB0

AB= A=0 B=0

⎥⎦

⎢ ⎤

=⎡

⎥⎦

⎢ ⎤

⎥ −

⎢ ⎤

0 0

0 0 1 1

1 1 2 2

1 1

AD

AC= CD A0

하자.

행렬이라 를n×n

C B, A,

=n A

rank AB=AC B=C

=n A

rank AB=0 B=0

n

n

<

<

=0 A 0 B 0 A B

AB 이면서 이고 이면rank 이고rank

A AB BA

z

행렬곱의 행렬식 : det

( )

AB =det

( )

BA =detAdetB

(32)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z

실벡터공간(Real Vector Space)

• 벡터의 덧셈 :

• 스칼라곱 :

7.9 벡터공간, 내적공간, 일차변환

7.9 벡터공간, 내적공간, 일차변환

(Vector Spaces, Inner Product Spaces, Linear Transformations)

( ) ( )

( )

a 0 a

a 0 a

w v u w v u

a b b a

=

− +

= +

+ +

= + +

+

= +

)

Vector Zero

(

)

ity Associativ (

) ty ommutativi (C

영벡터 결합성 가환성

( )

( ) ( ) ( )

a a

a a

a a a

b a b a

=

=

+

= +

+

= +

1

) ity Associativ (

) vity Distributi (

) vity Distributi (

ck k

c

k c k c

c c c

결합성 분배성 분배성

b a

+

a

k

(33)

z

실내적공간(Real Inner Product Space) 내적(Inner Product) :

• 직교(Orthogonal) : 내적이 영인 두 벡터

• 단위벡터(Unit Vector) : 길이가 1인 벡터 z 기본부등식

( ) ( ) ( )

( ) ( )

( ) ( )

0 0

, 0

. 3

. 2

1. 1 2 1 2

=

=

=

+

= +

a a

a, a a,

a b, b a,

c b, c

a, c

b, a

필요충분조건은 일

정치성 양의

대칭성

선형성

q q q q

( ) a, b

( ) a, a a

=

: ) Norm (

길이 또는 노름 벡터의

( ) a, b

a b

:

Schwarz -

Cauchy 부등식

b a b

a

+ ≤ +

: 삼각부등식

(

2 2

)

2

2 2

:

등식

a

+

b

+

a

b

=

a

+

b

평행사변형

(34)

Ch. 7 선형대수학: 행렬, 벡터, 행렬식, 선형연립방정식

z

일차변환(Linear Transformations)

z

( ) ( ) ( ) ( ) ( )

만족 를

대하여 에

스칼라 임의의

와 벡터

임의의 의

또는 를

:

tion) Transforma (Linear

Mapping) (Linear

x x

x v

x v

x v,

cF c

F

F F

F

c X

F

=

+

= +

일차변환 선형사상

대응 를 벡터 유일한 의

공간 대하여 에

벡터 의 공간

또는 또는

로의 에서

:

(Operator)

ation) (Transform

) (Mapping

y

x

Y

X Y

X

사상 변환 연산자

. 으로의일차변환은 선형이다 에서 m

n R

R

. 공간으로의일차변환 공간에서 m

n R

R

.

으로의일차변환 는 행렬 에 의해주어진다

에서 R A

Rn m

F m

×

n

7.9 벡터공간, 내적공간, 일차변환

참조

관련 문서

- 평행 사변형 법칙 또는삼각형 작도후, 합력의 크기는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적절한 영양은 운동/훈련에 의한 상해를 줄이고, 상해로 부터의 회복 속도를 빠르게 해 훈련에 따른 최적의 신체 상태를 유지시킴.. 적절한 영양의 공급은 경기를

요코하마에 상륙하여 응접 소로 향하는 미해군 행렬.. 악기를 연주하는 군악대의

■ 행렬 A을 가역행렬(invertible matrix) 또는 정칙행렬(nonsingular matrix)이라 한다.. 프로그램의 running time 계산하기. 34.. 프로그램의

[r]

벡터를 정의하고 성질에 대하여 학습한다. 내적(점적)의 정의하고

프로젝트에 벡터의

물론 작물이 다르기에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중국 해수 벼의 대규 모 재배가 가능하려면 벼의 내염성을 높여 될수록 많은 해수로 관개하여 원가를 절약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