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말기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다양한 영양지표와 사망율과의 관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말기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다양한 영양지표와 사망율과의 관계"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S 513 -

― S-325 ―

말기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다양한 영양지표와 사망율과의 관계

건양의대 내과학교실

*윤세희, 박정호, 이만, 최낙원, 윤성로

목적: 투석치료를 받는 말기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영양결핍은 환자의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위험인자로 널리 알려져 왔다. 영양결핍상태를 측정하는 방법들은 다양하며 이 방법들 중 어느 것이 영양상태를 가장 정확히 판정 할 수 있는 지는 확실치 않다. 이에 저자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영양상태를 측정하여 각각 영양지표들간의 연관성과 사망률과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방법: 2005년 6월에서 2007년 9월 까지 건양 대병원에서 지속적으로 외래에서 투석 치료를 받는 혈액투석환자 44명, 복막투석환자 62명을 대상으로 serum albumin, lipoprotein a, transferrin, hsCRP, body mass index(BMI), lean body mass(LBM), skeletal muscle index(SMI), subjective global nutritional assessment(SGA) 를 측정하여 각각의 상관관계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serum albumin은 lipoprotein a, transferrin(p<0.05)등의 혈청 영양 지표와 밀접한 관계를 나타냈으며 BMI 는 lopoprotein a (p<0.05), transferrin, SGA, BMI (p<0.01)등과 상관성을 보였다. hsCRP 는 SMI(p<0.01)와 연관성을 보였다. Kaplan meier 분석을 이용한 각각의 지표와 사망율과의 관계는 albumin RR 0.37, p=0.284, lipoprotein a RR 1.006, p=0.64, transferrin RR 1.005, p=0.79, hsCRP RR 0.94, p=0.94, BMI RR 0.71, p=0.141, LBM RR 0.96, p=0.91, SMI RR 4.59, p=0.026, SGA RR 2.68, p=0.01 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약 26개월간의 경과 관찰 중 사망률과 연관성이 있는 영양지표는 SMI와 SGA 였으며 영양 지표 사이에 가장 많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지표는 BMI 였다.

Kaplan-Meier Analysis of nutritional markers

parameter Risk ratios P -value

albumin 0.37 0.028

Lipoprotein a 1.006 0.64

Transferrin 1.005 0.79

HsCRP 0.94 0.94

SGA 2.68 0.01

BMI 0.71 0.141

LBM 0.96 0.91

SMI 4.59 0.026

SGA and SMI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mortality

― S-326 ―

47세 여자 환자에서 동반된 Medullary Cystic Kidney Disease 1예

을지대학병원 내과학교실1, 서울대학병원 소아과학교실2, 을지대학병원 해부병리학교실3

*김용환1, 정해일2, 김주헌3, 이웅철1, 방기태1, 이영숙1

서론: 신낭성 질환의 하나인 nephronophthisis-medullary cystic kidney disease (NPH-MCKD) complex는 다음, 다뇨 증상을 보이며 빈혈, 성장 발육 지연과 함께 말기신부전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말기신부전 평균 발생 시기에 따라 NPH1(청소년기)는 13세, NPH2(유아기) 8개월, NPH3(성인기) 29세의 3가지 형태가 있으며, MCKD1는 62세, MCKD2 32세의 2가지 형태가 있다. 저자들은 원인불명의 급성 신부전을 주소 로 내원한 47세 여자 환자에서 Medullary Cystic Kidney Disease 1예를 진단하였기에 국내에서 처음으로 신장 조직 검사와 함께 이를 보고하 는 바이다. 증례: 47세 여자환자가 미끄러져 좌측 5번, 7번 늑골 골절로 개인병원 정형외과에 입원중 소변량이 감소하며 혈청 크레아티닌이 2.5 mg/dl로 상승하여 급성신부전 의증하에 본원에 내원하였다. 환자는 과거력상 특이병력 없으며, 가족력상에서도 특이병력이 없는 독신 여성이었다. 내원 당시 혈압은 130/90 mmHg, 맥박 90회/분, 호흡수 20회/분, 체온 36.8℃ 이었다. 검사실 소견은 말초혈액검사에서 백혈구 10,470/μL, 혈색소 10.5 g/㎗, 혈소판 297,000/μL로 경도의 빈혈을 동반하였다. 생화학 검사에서 나트륨 145 mmol/L, 칼륨 4.3 mmol/L, 염소 114 mmol/L, tCO2 21.6 mmol/L였으며, 칼슘 9.7 mg/㎗, 인 4.6 mg/㎗, 혈중질소농도 36 mg/㎗, 크레아티닌 1.7 mg/㎗, 알부민 4.4 g/㎗, AST 22 IU/L, ALT 13 IU/L, ALP 68 IU/L, 총 빌리루빈 0.7 mg/㎗, 혈당은 97 mg/㎗이었으며, 혈청 요산은 6.1 mg/㎗로 정상이었고, C-반응 단백은 0.17 mg/㎗이었다. 면역혈청 검사에서 자가면역 검사는 모두 음성이었다. 소변 검사에서 요비중 1.010, 요잠혈 -, 요단백 -, 요침사 검사는 적혈구 1개이하/HPF, 백혈구 1개이하/HPF 였다. 24시간 요 정량 검사에서 요량은 3,500 ml였으며, 요단백 171.5 mg/day, 요칼슘 35.0 mg/day, 요마그네슘 297.5 mg/day였다. 도플러 신초음파 검사에서 우신 10.86 cm, 좌신 10.96 cm였으나 피질-수질 경계 구분이 잘 되지 않았 으며, 복부 CT 검사상 특징적인 피질-수질 경계 부위의 미세한 낭종들이 현저하게 관찰되었다. 신장 조직 검사상 세뇨관 기저막의 단절과 변형, 세뇨관의 위축과 낭종들, 간질의 섬유화와 간질내 원형 세포들의 침윤을 동반하였으며 면역 형광염색에서는 음성 소견을 보이는 전형 적인 MCKD의 병리 소견을 보였다. 환자는 MCKD1 유전자의 분석을 시행하고 있으며, 외래 추적 검사에서 혈청 크레아티닌은 2.8 mg/㎗이 며,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와 투석 지연제를 투여하며 경과 관찰 중이다.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