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Copied!
19
0
0

전체 글

(1)
(2)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3)

비교문 학

과테의 프랑스나 영국으로 전파되어 간 이입과정과 그 영향양상을 비교 문학적 관점에서 밝힌 것은 발당스빼르제의 『프랑스에서의 괴테』

(1904) 와 까레의 『영국에서의 괴테』 (1920) 에서 비롯된다 . 19 세기 초에 이르러 낭만주의자의 흥미는 괴테의 다른 면으로 향해저 갔다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에 대한 것과 같은 열광에서 출발하여 영국과 프랑스에서의 수용양태가 한쪽은 모랄리즘으로 다른 한쪽은 순수 예술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 이것은 괴테의 작품속에 있는 역사적이고 , 전설적 주제가 수신자국읭 ur 사 , 사회 및 그 밖의 풍토성에 의해서 각기 다른 특색으로 나타난 영향양상임을 말한다 .

그리고 귀아르는 셰익스피어나 괴테의 다른 나라에 미친 영향관계를 연 구한다는 것은 비교문학의 연구대상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 자국문 학의 이해와 그 국민적 특성을 밝히는 데까지 확대된다는 것이다 . 우리 나라에 있어서 괴테의 운명은 거의가 일본을 고정매체로 하여 번역소개 된 것으로 , 그 정확한 이입과정을 밝힐 수는 없다 . 그렇다고 방치해 둘 수만도 없다 . 여기에서는 갑오경장 이후 8·15 해방까지의 간행된 신문 ,

잡지 및 그 밖의 자료에 나타난 번역과 소개내용을 중심으로 괴테의 이입 과정을 체계화하여 그것이 우리 근대문학의 형성에 미친 영향의 제양상 을 고찰하기로 한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서론

1

관조적 태도와 지적 고뇌

(4)

비교문 학

‘ 케테 · ‘’ 過齋 · ‘’ 雅德’

괴테의 이입과 그 소개로는 유승겸 역술의 『중등만국사』 ( 광무 11 년 춘 ) 와 현채 역의 『동서양역사』 (1 질 2 권 , 광무 11 년 보성관 ) 와 순 덕 진국용의 원저를 번역한 이채우의 『십구세기구주문명진화론』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 이 세 책자는 원래가 구한말 개화기의 교과서로서 괴테에 대한 극히 단편적인 소개에 지나지 않는다 .

 ‘ 少年訓 으로서 격언류의 소개 ’

1910 년대의 잡지 ( 소년 , 천도교월보 , 신문계 , 학지광 , 청춘 , 조선 문예 등 ) 에는 과테와 그의 작품에 대한 소개나 번역같은 것은 거의 찾아 볼 수가 없다 . 다만 육당 최남선의 역재한 < 지리론 > 중 「지리학 연 구의 목적」에서 시인 괴테가 부리텐국 ~” “ 라고 한 데서 비롯되어 ,

‘ ’

《소년》지의 소년훈 · ‘ 소년금광 · ‘’ 격언 및 잡지의 표지에 괴테의 격’ 언들이 얼마간 소개되어 있다 .

《소년》및 《태서문예신보》에 나타난 괴테의 격언들이 이 시대의 전부 일 뿐만 아니라 , 괴테의 이입사에서 그 초기현상으로서 하나의 특색을 이루고 있다 . 한마디로 1910 년대의 우리나라에 괴테의 이입은 괴테를 시인이나 작가로서보다는 모랄리스트로서 소개되어 있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괴테의 이입과 수용양상

2

1900~10 년대의 이입과정

(5)

비교문 학

 전인적 인격체로서 괴테의 소개

괴테의 이입은 秋湖의 논문 「시의 괴테」에서 본격화된다 . 나폴레옹과 실러의 괴테에 대한 말을 서두에 인용하여 괴테의 원만한 성격과 위대성 을 지적하고 있다 . 다시 말해 심원한 감정 · ‘ ‘ ’ 예민한 파악력 · ‘’ 강렬한 의지 · ‘’ 풍부한 상상 등이 서로 융화되어 완전무결한 인격체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다 . 그리고 괴테의 여러 분야에 걸친 해박한 지식과 정치적

‘ ’

행적을 들어 각 분야에 걸친 해박한 지식과 체험을 통한 古調한 인성 ,

‘ 純人性 을 가진 위대한 시인으로서 영원의 생명을 보전한다고 하였다 . ’

또한 괴테의 생애 그 자체를 시의 연쇄로서 본 추호는 그 생애의 개표에 따른 특색을 추적하여 괴테의 시에 나타난 사상과 시작태도를 소개하고 있다 . 괴테와 실러와의 대비

송현인의 「괴 - 테와 실레르」는 1920 년 《서광》 6 월호에 발표되었 다 . “ 西歷 18 세기 중엽에 天은 2 대위인을 藝園에 내리어 문학의 정화

를 개척시켰도다 로 시작된느 이 「괴 - 테와 실레르」는 괴테와 실러의 출생 및 사망 연월인은 물론 , 그들의 생애와 성격형성의 배경 , 그리고 문학적 특성에 이르기까지 대비하여 논의하고 있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괴테의 이입과 수용양상

2

1920 년대의 이입과정

(6)

비교문 학

 유년기와 학생시절의 집중적 소개

김한규의 「 8 대문호약전」은 1922 년 《신천지》 1 월호에 수록되어 있다 . 이 「 8 대문호약전」의 내용은 ① 극단의 覇者 섹스피아 , ② 인 ‘ ’

‘ ’

도주의자 톨스토이 , ③ 세계시인 괴테 , ④ ‘ ’ 동양대문호 蘇東坡 , ⑤ 낭 만파주인 빅터 유 - ’ ‘ 고 , ⑥ 여성운동자 입센 , ⑦ ‘ ’ 자연파 강자 쏠라 , ⑧ ‘ ’

‘ ’

문계의 마오아 빠이론 등과 같다 . 이들 중 「세계시의 괴테」는 위의 추 호의 「시인 괴테」와 송현인의 「괴테와 실레르」와 함께 1920 년을 전후하여 본격화한 괴테의 이입 소개라고 본다 .

 『파우스트』의 번역과 소개

극시 『파우스트』는 괴테의 처음 착상에서부터 완성에 이르기까지 60

년 이상의 시간을 소요한 문자 그대로 필생의 대작이라 할 수 있다 . 이 파우스트의 전설을 소재로 하여 극화한 작가로는 괴테 이전에도 말로우 의 『파우스트 박사』와 레싱의 시도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 이들 선행

하는 파우스트를 소재로 한 작품들을 바탕으로 거기에 그 자신의 생애와 사상을 집성한 것이 괴테의 『파우스트』인 것이다 .

우리나라에 『파우스트』의 소개는 이채우 역의 『 19 세기구주문명진화 론』 (1908) 에 나타난 아덕의 『화유사』에서 비롯된다 . 이것은 단순 히 작가와 작품명만 나타나 있고 , 그 내용에 대한 논의는 전혀 없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괴테의 이입과 수용양상

2

1920 년대의 이입과정

(7)

비교문 학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의 번역과 소개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1774) 은 괴테가 1771 년 고등법원에 실 습하기 위해서 베츨러에 체류할 당시 있었던 그의 친구 케스트너를 약 혼자로 가진 롯테와의 사랑을 소재로 해서 이루어진 작품이다 .

 이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우리나라에 최초로 소개된 것은

1920 년 《개벽》 창간호로부터 연재된 현철의 「소설개요」에서 비 롯된 것으로 본다 . 즉 소설의 화법을 논의하는 가운데 서한체담화법 ‘ ’ 의 예증으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제시하고 있는 것을 위시하 여 1921 년 11 월호 《개벽》지에 실린 김안서의 「근대문예」에서

“프랑스 대혁명의 전후에 출현되어 그 시대의 인심에 통절한 비애와 공명을 준 것은 독일의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이 서름』 , 프랑스의

… ( 하략 ).” 라고 한 것이 있다 . 그리고 1922 년 《신천지》 1 월호 에 있는 앞의 김한규의 「세계시인 괴테」 (8 대문호약전 ) 중에 나타 난 『회랑정의 비애』가 있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괴테의 이입과 수용양상

2

1920 년대의 이입과정

(8)

비교문 학

 『헤르만과 도로테아』의 번역과 소개

 프랑스혁명 때에 피난민 사이에 일어난 사건을 소재로 하고 있는 『헤 르만과 도로테아』 (1797) 는 해사미터의 서사시이다 . 이 『헤르만과 도로테아』가 발표되자 1799 년에 덴마크에서 번역된 것을 비롯해서 , 프랑스 , 영국 , 이탈리아에서 각기 번역 소개되었다 . 우리나라에서 도 괴테의 많은 작품 가운데서 보다 일찍 번역 소개된 것이다 .

 양하엽 역의 『헬만과 도로테아』가 1922 년 9 월경부터 《조선일 보》에 연재되었다 .

 아 - 당신계서는 참으로 훌륭한 여자를 다려가시게 되었습니다 . 이 도 로테아로 말하면 언제이던지 부지런하고 또한 일을 무엇이던 착실히 하기로 유명한 여자이지요 -- 그래서 언제든지 말하기를 댁과 같으신 데가 있으면 가서 일을 하겠다고 하는 이 올시다 . ( 하략 )

 위와 같은 원전의 6 운각 서사시체가 갖는 운문형식으로 번역했다기 보다는 오히려 산문체의 소설형식으로 번역하고 있다 . 이 양하엽 역 의 『헬만과 도로테아』는 1923 년 1 월 12 일에 영창서관에서 단행 본으로 간행되기도 했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괴테의 이입과 수용양상

2

1920 년대의 이입과정

(9)

비교문 학

 시편의 번역과 기타

1920 년대 괴테의 시번역은 극희 희소한데 , 주요한 역의 < 처녀 >, 추 호 역의 < 이른 봄 > · < 밤의 뜻 >, 춘원 역의 < 마음없는 처녀

>, 향원 역의 < 애인의 것 >, 역자미상의 < 女 > · < 행복과 꿈 > · <

정조 >, 춘서 역의 < 황야의 장미 > 등이 있을 뿐이다 . 이들은 거의가 제목을 의역하여 그 차이를 보이고 있는가 하면 , 원시의 내용이 근본적 으로 오도되어 있을 qnS 만 아니라 , 용어 그 자체의 오역은 말할 것도 없다 . 다만 이 시작들이 우리나라에 이입되어 오는 초기현상으로서 의미 가 있을 뿐이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괴테의 이입과 수용양상

2

1920 년대의 이입과정

(10)

비교문 학

 시편의 번역과 기타

《문예월간》 , 《동아일보》 , 《조선일보》 등의 괴테 사후 백년 기념 “ 특집 이전에도 <” 미뇬의 노래 >(1796) 를 위시한 일련의 시편 번역과

「근세 시인과 그 대표 작품」 등이 있다 . 최상현의 「근세 3 대 시인과 그 대표 작품」 ( 괴테편 ) 은 1931 년 《신생》 1 월호에 발표된 것으로 , 그 양에 있어서 극히 단편적인 소개라 할 수 있다 . 괴테를 시인으로서 , 극작가로서 , eh 는 철학자로서 독일 및 전 세계에 미친 영향과 18 세기 전형주의 , 낭만주의의 선구자라는 것이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괴테의 이입과 수용양상

2

대표작의 요약과 생가 방문기

 “ 괴테 사후 백년 기념 특집 의 기획물”

1932 년 3 월호 《문예월간》과 《동아일보》 , 《조선일보》 등에서 기획 편집한 괴테 사후 백년 기념 특집 : “ 은 1930 년대 괴테의 번역과 문 학 사상의 소개가 가장 왕성했고 , 이것을 전환점으로 하여 우리 문학에 미친 괴테의 영향이 보다 심화되고 있었다 .

(11)

비교문 학

 『이태리여행』 및 기타

「괴테와 이태리여행」은 「하이네와 이태리여행」과 함께 조희순의 집 필로 , 1934 년 《신동아》 8 월호에 발표된 것이다 . 괴테의 이탈리아 여행의 제 5 의 여성인 슈타인 부인으로부터의 도피이며 , 이 도피로 괴테 에게는 하나의 시인으로서 , EH 는 하나의 인간으로서 중요한 전환점을 이루게 되었다 . 이탈리아 여행 중에 완결 짓지 못했던 『에그몬드』와

『이피게니에』를 탈고했으며 , 『탓소』가 거의 완성되었고 , 『파우스 트』도 부분적으로 진척시키고 있었다 . 그리고 자연과학에 있어서도 식 물의 변형에 관한 연구를 완성했으나 , 무엇보다도 여행 중 가장 큰 소득 은 미술이었다 . 이러한 괴테의 『이탈리아 여행』은 단순한 기행문이 아 니라 , 괴테 자신도 말했듯이 자신의 예술관의 진전과정을 서술한 자서전 적 성격을 띠고 있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괴테의 이입과 수용양상

2

대표작의 요약과 생가 방문기

 『파우스트』의 번역과 소개

1930 년대의 『파우스트』의 이입 양상은 1920 년대의 것과 비견할 수 없으리만큼 문학 및 정치 , 사회사상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논의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 당시의 전신자들이 올바른 이해와 판단을 바탕으로 전신하고 있는 점이 그 특색이 되고 있다 .

(12)

비교문 학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의 번역과 소개

조희순은 「괴테의 생애와 그 작품」에서 괴테가 『젊은 베르테르의 슬

픔』을 쓰게 된 동기와 그 내용 , 그리고 간행과 함께 당시 사회의 반향에 이르기까지 비교적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 제 1 부에는 괴테와 롯데와의 연애관계를 썼고 , 제 2 부에서는 공사서기관의 실연자살 사건을 그린 것 이라 하고 , 소설형식과 이에 대한 당시 사회의 반향에 대해 , 당시의 열 광적인 반향과 소개자로서의 전신자적 태도를 엿볼 수 있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괴테의 이입과 수용양상

2

대표작의 요약과 생가 방문기

 < 미뇬의 노래 > 와 기타의 시편

1930 년대에 이르러 괴테의 많은 시편이 번역되기 시작한다 . 먼저 < 미 뇬의 노래 > 는 3 편이 번역되고 있다 . 1930 년 3 월호 《시문학》에 발 표된 박용철 역의 < 미뇬의 노래 >(2) 와 《문예월간》 4 월호 및 《조

‘ ’

선일보》의 괴테 사후 백년기념특집 에 2 중으로 역재된 < 미뇬의 노래

> 는 『박용철 전집』에 그대로 수록되어있다 .

(13)

비교문 학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과 일기 및 서간체소설의 형성

 이재선의 『한국단편소설연구』 (1975) 에서 논의되었듯이 ,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1920 년대의 일기 및 서간체 소설 형성 에 미친 영향관계를 상정해 볼 수가 있다 . 그러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의 역본 중에서 박용철 역의 『베르테르의 설움』을 제외하고는

모두가 그 원전의 일기 및 서간체 형식을 그대로 번역하고 있다 .

 우리의 근대소설에서 1920~30 년대의 일기 및 서간체소설의 등장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 본격적인 서간체소설 형태가 한국소설사에 등장 한 것은 1920 년대이다 . 물론 그와 같은 전단계로 1917 년 이광수 의 < 어린 벗에게 > 가 있다 . 그러나 이는 소설로서의 형상력이 빈곤 했기 때문에 20 년대로 이어지는 강한 구성적 동기까지는 되지 못한

 다 . 그런데 20 년대에 와서는 상당히 현저한 형태로서 도입 , 확립되어 있 다 . 이런 현상은 완만한 변화라기보다는 조금은 급격한 것이기 때문 에 일단 값할 것이 아닐 수 없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괴테의 한국적 영향양상

3

일기 및 서간체소설의 형성과 서정시 형태

(14)

비교문 학

 이재선은 위와 같이 말하고 , 서간체소설의 형성과정에서 그 외래문학 적 영향의 하나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들고 있다 .

 한마디로 1920~30 년대에 있어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만큼 한 작품이 여러 차례 번역 또는 소개된 작품도 그렇게 흔치 않다 . 이로

미루어 비록 이들이 일역본을 중역한 것이라 해도 이 때 『젊은 베르테

르의 슬픔』의 영향의 파장이 얼마나 컸던가를 짐작해 볼 수 있다 . 따 라서 이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의 내용이 형식을 모방하여 서간체 소설들이 많이 나왔을 것으로 생각된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괴테의 한국적 영향양상

3

일기 및 서간체소설의 형성과 서정시 형태

(15)

비교문 학

 『파우스트』와 서정시의 형태

『파우스트』가 그 이입초기에 있어서 서정시형태로 번역 소개된 사실은 당시 우리의 지적 수준이나 사회적 환경을 포함한 풍토성의 특이한 현상 이 아닐 수 없다 . 이것은 애정시의 성격을 띠는 괴테의 단시편들과 함께

『파우스트』 중에서 역자의 취향에 따른 구절을 선택해서 마치 극시와 는 전혀 무관한 것인 양 , 서정시 형태로 번역 소개되고 있는 것이다 . 한마디로 『파우스트』는 그 이입초기에 있어서 본래의 성격 그대로 소 개되지 않고 , 그것도 서정시 형태로 번역되어 있었던 사실은 , 1920 년 대 초 우리나라의 특이한 현상일 뿐만 아니라 , 당시 수신자의 지적 수준 을 비롯한 우리의 역사나 풍토성 등과 같은 수용환경의 반영이기도 하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괴테의 한국적 영향양상

3

일기 및 서간체소설의 형성과 서정시 형태

(16)

비교문 학

 괴테의 전신자로서 조희순

‘ ’ ‘ ’

조희순의 필명은 조희순 혹은 하인리 라 하여 1930 년대 한국 문단에서 독인 문학을 번역 또는 소개한 전신자로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 그러나 조희순은 그 후의 문단 활동이 없었던 탓으로 , 우리의 문학사에서는 물 론 문학사전 및 인명사전 같은 데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 . 따라서 조희순 의 문단 활동뿐만 아니라 , 그에 대한 구체적인 인적 상항을 밝힐 수는 없 다 . 다만 1932 년 《문예월간》 1 월호의 부록 「문예가명록」을 보면 조희순은 독문학전공자로서 서향석 · 박용철 · 김진섭 등과 함께 독일문 학 , 특히 괴테나 하이네의 번역이나 그 소개를 주도해온 전신자인 것이 다 . 조희순은 직접 작품을 쓴 적은 없지만 , 괴테와 하이네를 위시한 독 일문학을 번역 · 소개한 전신자로서의 역할의 주요성은 부인할 수 없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괴테의 한국적 영향양상

3

괴테의 이입과정에서 전신자들의 태도

(17)

비교문 학

 괴테의 전신자로서 서향석

서향석은 1929 년 동경제대 독문학과를 졸업한 사람으로 독일문학의 이 입과정에서 중요한 전신자가 되고 있음은 조희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 1930 년대의 한국문단에서 창작 분야보다는 오히려 독일문학의 번역과 소개를 주도하고 있었다 . 그의 졸업논문이 「괴테 · 쉴러 연구」였듯이 , 서향석은 괴테와 그 밖의 작품을 번역하고 소개함에 있어서 당시의 다 른 누구보다도 양적으로 훨씬 압도하고 있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괴테의 한국적 영향양상

3

괴테의 이입과정에서 전신자들의 태도

(18)

비교문 학

박용철은 1930 년대 한국 문단에서 정지용 · 김영랑 등과 함께 시문학 동인으로 등장한 시인이다 . 그는 독문학전공자로서 독일문학을 번역 소 개한 전신자일 뿐만 아니라 , 시 창작에 직접 손을 댄 시인이기도 하다 . 따라서 이것이 앞에서 논의된 조희순이나 서향석과는 다른 점으로 , 박용 철의 경우 , 우리는 그의 시와 역시와의 상관성을 전제로 하여 고찰할 수 도 있다 . 물론 박용철의 시를 외래 문학적 영향관계를 상정할 수 없다 하 더라도 그의 시적 발상법이나 , 또는 기법에서 이런 외래 문학적 영향관 계를 전적으로 배제할 수 없다고 본다 .

박용철의 역시 전반에 나타난 괴테 , 실러 , 하이네 , 릴케 등의 독일시편 과 영국 · 애란 · 미국 · 일본 등의 역시편들에서 직접이든 , 간접이든 간에 받았을 영향관계는 그의 시작과정에 투영되어 있을 것으로 생각된 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괴테의 한국적 영향양상

3

괴테의 전신자로서 박용철

(19)

비교문 학

지금까지 우리 근대 문학에 미친 괴테의 영향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 하 지만 괴테의 이입과정을 체계화하고 전신자들의 이입 태도를 밝혀 , 그 위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했을 뿐이다 . 사실 독문학 뿐 아니라 , 우 리 근대문학의 형성 과정에 크게 영향을 미친 영미 · 프랑스 · 러시아 및 일본 등 해외문학의 이입사가 이루어진 종합적인 구도 위에서 그들의 원 천이 탐색되어야 할 것이다 . 외래문학적 영향요소가 겉으로 나타나는 경 우는 별개의 문제이지만 , 안으로 한층 심화되었을 또는 그 원천을 탐색 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 우리 근대문학이 어느 한 특정의 작가나 , 또는 하나의 문학사조를 바탕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고 다양한 해외문학 의 영향을 받고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

괴테의 移入과 그 영향

결론

4

참조

관련 문서

11 25 , Expert

가 가능해져서 조선시대 미라에 대한 의문점을 부분적으로 해소할 수 있었다 조사 후의 결과들.. 移葬 과정에서 발견된 미 라의 대부분은 그 후손들에 의해 다른

그런 데 이 서적들에 기록된 것이 사실임을 확인할 만한 교차 자료는 충분하지 않다.. 위로 반첩여에는 모자라지만 아래로 한영과 비교하면 넉넉하다.. 班婕妤는 중국

국내의 대표적인 소송사례가 군납유 입찰담합사례였다.. 서 담합으로 인한 손해배상액을 인정하는 국내 판례 및 그 산정 기준 등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었다. 이에 따라

병행수입품의 존재여부는 국내시장에서 소비자가 부담하는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Tech사에 매도되어 미국에 수입되었다.. Keystone Mushroom Farm

다른 자산에 비해 어떤 자산의 기대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 그 자산에 대한 수요량이 증가한다.. 다른 자산에 비해 어떤 자산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 죽은 이를 위한 마지막 의식인 장례의식에 대한 선택은 대 부분 사별한 이들의 바람과 욕구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 장례문화의 상업화와 전문화로 인해

한편으로는 물리학이나 해부학과 같은 자연과학 과 중복되며, 다른 한편으로는 철학이나 문학비평과 같은 전통적인 인 문학과 관계가 있다.. 언어학 분야는 과학과 인문학을

우성 유전: 자식에게 유전병이 있으면 부모 중 한쪽은 반드시 유전병이거나, 부모가 모두 유전병이어도 정상 자식이 나타남.. &lt;문제&gt; 그림은 드물게

다른 자산에 비해 어떤 자산의 기대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 면, 그 자산에 대한 수요량이 증가. 다른 자산에 비해 어떤 자산의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American Museum)'과 같은 다른 박물관과 연계하여 학교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고 , 전체 박물관 관람객의 33%가 이와 같은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하

 Ex) 사과 과수원을 경영하는 김씨는 자신의 과수원 을 두부분으로 나누어 한쪽은 살충제를 뿌리고. 다른 한 쪽은 직접 벌레를

 사람이 제품을 사용하는 행동(action)과 반응(reaction) 방식, 그 사이의 상호작용(interaction) 방식과 절차를

기후변화에 따른 북아메리카 지역의 ‘부정적인 영향’(Nagative Impact)과 ‘긍정적인 영향’(Positive Impact)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부정적인

이환영(2000)은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듣기 지도가 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언어 형식을 중요시해 온 문법-번역식(Grammar-Transl ati

그 口音法을 초사함에 있어 古樂諸의 遊鉉과 大鉉의 打鉉, 擊結, 自出의 口홉法을 여러 가지 陳法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릎 보고 이를 現行口홉法과 비교하여 그

그러나 의회의 권위를 무시한 프라이드의 숙청을 지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크롬 웰 자신도 모순에 빠지게 되었다.앞서 제1절에서 살펴보았던 것처럼 크롬웰이 추

이들은 일단 체제국의 公安當局에 摘發․逮捕되면, 中國과 北韓간에 1960년대에 체결된 것으로 추정되는 “脫走者와犯罪人의相互引渡協定”(일명 密 入國者送還協定)에

기금에 대한 관리․통제의 추세는 전반적인 국가경제 또는 국가의 재정정책 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외환위기 이후의 경기부양 혹은 그 활성화를 위한 정책

설립시기별로 보면 移出要因으로 공통적으로 가장 중요시한 요인인 土地는 설 립시기가 가까울 수록, 반면에 政策과 居住地의 요인은 설립시기가 오래될

그러나 오늘날 미디어의 발전 과 매체 이용환경의 변화로 인해 구글(Google)과 같은 검색엔진, 유튜브(YouTube), 페이스북(Facebook)과 같은 SNS 서비스,

친환경 행동에 대한 사회적 규범 인식은 다른 사람이 나의 행동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한 인식인 명령적 규범(injunctive norm)과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