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관동맥 협착 병변의 길이, 편심성 정도와 심근분획 혈류예비력과의 관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관동맥 협착 병변의 길이, 편심성 정도와 심근분획 혈류예비력과의 관계"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원 저 Korean Circulation J 2003;33(9):762-768

관동맥 협착 병변의 길이, 편심성 정도와 심근분획 혈류예비력과의 관계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

서정기·김대혁·이창근·권 준·박금수·이우형

Relation of the Lesion Length and Eccentricity to the Fractional Flow Reserve

Jeong Kee Seo, MD, Dae Hyeok Kim, MD, Chang Kun Lee, MD, Jun Kwan, MD, Keum Soo Park, MD and Woo Hyung Lee, MD

Division of Cardi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Inha University Hospital, Incheon, Korea ABSTRACT

Background and Objectives:Fractional flow reserve (FFR) has emerged as an easily obtainable, and accurate, lesion-specific parameters for the physiological evaluation of coronary artery stenosis. However, the effects of the lesion length and eccentricity on the FFR remain unclear.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sion length and eccentricity to the FFR, and the lesion length to the degree of stenosis were studied to see if there was an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trans-stenotic pressure gradients and the FFR. Subjects and Methods:Intravascular ultrasound (IVUS) was performed and the FFR measured in 19 lesions, ranging from 80 to 90% in area stenosis (AST), using a pressure wire. The eccentric index at the most stenotic site, and the length of the coronary stenosis lesion, above 50 and 70% of the AST, at the most stenotic site were obtained using IVUS. The FFR was defined by the ratio of distal mean coronary pressure (Pd) to that of the aortic mean pressure (Pa) under hyperemia.

Results:The FFR showed no correlation with the eccentricity or the length of the stenosis lesions when they were more than 50% of the AST (p>0.05). However, the FFR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length of the most stenotic lesions (r=-0.79, p<0.001) and the lesions with an AST of more than 70% (r=-0.47, p<0.05).

The hyperemic pressure gradient across the les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length of the lesion, but only to those with the most severe portion of stenosis (r=0.64, p=0.003). Conclusion:In the functional evaluation of coronary stenosis, the length of the most stenotic lesions, as well as the cross sectional area and minimal lumen area at the most stenotic lesion, should be considered, a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length of the most severe stenotic lesion could influence the FFR and trans-stenotic pressure gradients. (Korean Circulation J 2003;33 (9):762-768)

KEY WORDS:Pressure;Ultrasonography, interventional.

서 론

심근분획 혈류예비력(fractional flow reserve, FFR)

은 혈압, 맥박수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정상치 1이라는 불변의 수치를 갖고 있으며,1-3) 협심증 환자에서 병변 특이적으로 기능적 협착정도를 잘 대변해주는 것으로

논문접수일:2003년 4월 23일 수정논문접수일:2003년 6월 18일 심사완료일:2003년 6월 26일

교신저자:서정기, 400-711 인천광역시 중구 신흥동 3가 7-206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 전화:(032) 890-2445·전송:(032) 890-2447·E-mail:jksmd@inha.ac.kr

(2)

알려져 있다.1)4) 또한 관동맥 혈관벽의 형태학적인 구 조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혈관내초음파검 사(Intravascular ultrasound, IVUS)5-7)를 이용하여 가장 협착이 심한 병변에서 측정한 단면적인 척도들인 최소혈관내경(minimal luminal diameter, MLD), 최소 혈관내면적(minimal luminal area, MLA) 및 내면적 협 착률(area stenosis, AST%) 등과 좋은 상관관계가 있 음이 알려져 있다.8-11)

그러나 협착병변의 길이나 죽상반의 편심성 정도가 심근분획 혈류예비력에 영향을 주는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않다. 이에 저자 등은 혈관내초음파검사 상 80~90%의 비슷한 내면적 협착률을 가진 병변들의 길 이, 편심성 정도와 심근분획 혈류예비력과의 상관관계 를 살펴보고, 어느 정도 심한 협착을 가진 병변의 길이 가 경병변간 압력차(trans-lesional pressure gradient) 와 심근분획 혈류예비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 상

2001년 1월부터 2002년 7월까지 본원에서 시행한 관동맥조영술 상 병변길이가 20 mm 이내, 내경협착률 이 70% 이상이고, 과거력 및 심전도상 관동맥성형술 및 심근경색의 증거가 관찰되지 않고, 내원당시 심근효소 치가 정상 범위이고 심초음파검사 상 벽운동장애가 관 찰되지 않았던 환자에 대해 중재술 이전에 혈관내초음 파검사와 압력철선을 이용하여 심근분획 혈류예비력을 측정하였다. 이중 혈관내초음파검사 상 내면적 협착률이 80~90%이고 병변부와 근위부 표준혈관의 영상이 뚜 렷하고, 병변이 관동맥 개구부에 위치하지 않으며 병변 인접부위에 심한 굴곡이나 확장증이 관찰되지 않았던 19명 환자의 19병변을 대상으로 하였다.

방 법

관동맥조영술

관동맥조영술은 우측 대퇴동맥을 Seldinger 방법으로 천자 후에 Judkins 방법으로 좌우관상동맥에 심도자를 통하여 혈관조영제를 주입하면서 여러 각도에서 촬영하 였고, Quantitative coronary angiography(QCA, CASS

II, Pie Medical Image, Netherlands)를 이용하여 관 동맥의 내경을 측정하여 관상동맥의 최소혈관내경(mi- nimal luminal diameter, MLD), 내경협착률(percent diameter stenosis, DST) 및 병변길이(lesion length) 를 구하였다.

혈관내초음파검사

혈관내초음파검사는 0.014인치 유도철심을 따라 카 테터(30 MHz. 3.2F, monorail type, Boston Scien- tific Co.)를 삽입하여 중재술 전에 시행하였다. 카테터 삽입 전에 200 μg의 니트로글리세린을 관상동맥 내 로 주입하였고, 카테터를 병변의 원위부에 위치시킨 후 motor-drive pullback system을 사용하여 초당 0.5 mm의 속도로 천천히 빼면서, 혈관내초음파 기기에 연 결된 비디오 모니터를 통하여 영상을 얻었다. 영상은 모 두 S-VHS비디오 테이프에 녹화하였고 이를 재생하여 영상의 정량적 분석을 하였다.

혈관내초음파검사의 정량적 분석은 Computer assi- sted planimetry를 이용하여 녹화된 영상을 분석하였다.

참고혈관은 병변의 근위부 10 mm 내에서 가장 정상적 으로 보이는 혈관으로 정의하였으며, 참고혈관에서 참고 혈관내면적(reference luminal area, RLA)을 측정하였 고, 가장 협착이 심한 부위에서 최소혈관내경(minimal luminal diameter, MLD)과 최소혈관내면적(minimal luminal area, MLA)을 측정하였으며, 참고혈관내면적 (RLA)에 대한 최소혈관내면적(MLA)의 백분율로 내 면적 협착률(area stenosis, AST%)을 구하였다. 병변 길이는 혈관내초음파 영상을 세로면(longitudinal view) 으로 바꾸어 내면적 협착률이 가장 심한 부위와 내면적 협착률이 각각 70%, 50% 이상인 병변의 길이를 구하였 다. 특히 내면적 협착률이 가장 심한 부위의 병변길이는 가장 심한 협착과 이어지며 5% 이내의 내면적 협착률의 차이를 보이는 병변에서 병변의 길이를 구하였다. 편심 성 정도(eccentricity)를 나타내는 편심지수(eccentric index)는 협착이 제일 심한 부위에서 경화반 및 중막 (plaque and media)의 최대두께를 최소두께로 나눈 값 으로 하였다.12)

심근분획 혈류예비력(FFR)의 측정

관동맥압 측정은 압력철선(0.014 inch fiberoptic pressure monitoring wire, Radi Medical System,

(3)

Korean Circulation J 2003;33(9):762-768 764

Uppsala, Sweden)을 유도도관 개구부에 위치시킨 후 압력철선과 유도도관에서 측정한 압력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한 후 관상동맥 내로 삽입하여 병변의 원위부에 위 치시킨 후 측정하였다. 혈류충만 상태를 유도하기 위해 아데노신 18~20 μg을 관상동맥 내로 주입하였으며, 이 때 압력곡선을 통한 병변 원위부의 최저평균혈압(Pd) 와 유도도관을 통한 평균대동맥의 혈압(Pa)을 동시에 측정하여 평균 대동맥 혈압에 대한 병변 원위부 혈압의 비(Pd/Pa)로 심근분획 혈류예비력을 구하였다. 심근분 획 혈류예비력을 구한 후 압력철선을 유도도관 개구부 에 재위치 시킨 후 다시 압력철선과 유도도관에서 측정 한 압력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였고, 일치하지 않으면 그 차이만큼 교정하여 심근분획 혈류예비력을 구하였다.

통계적 처리

모든 측정된 자료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고,

심근분획 혈류예비력 및 경변변간 압력차이와 관동맥조 영술과 혈관내초음파를 통해 얻은 병변길이, 편심지수 를 포함한 병변지표들 사이의 상관관계는 선형회귀분석 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p값 이 0.05이하인 경우로 하였다.

결 과

대상환자의 임상적 특성 및 병변 특성

대상환자들은 19명(남:14, 여:5)이었고, 병변 혈관 은 좌전하행지 15예, 좌회선지 2예, 우관동맥 2예 이었 다. 관동맥조영술 상 관찰된 내경협착률은 82.0±6.7%, 병변길이는 15.2±3.02 mm였고, 혈관내초음파 상 측 정된 내면적 협착률은 85.2±3.76%, 편심지수 3.30±

2.53, 내면적 협착률이 가장 심한 부위의 병변길이는 3.76±0.81 mm, 내면적 협착률이 각각 70%, 50% 이 상인 병변의 길이는 6.71±2.00 mm, 10.11±5.23 mm 였다. 그리고 이들 병변에서 측정한 심근분획 혈류예비 력은 0.62±0.06였다(Table 1).

심근분획 혈류예비력과 형태학적 지표들과의 상관관계 심근분획 혈류예비력은 관동맥조영술 상 측정된 내경 Table 1. Patient and lesion demographics

Patient (n=19)

Sex (male:female) 14:5 Age 57±10 Lesion (n=19)

LAD 15

LCX 02

RCA 02

DST (%)QCA 082.0±6.70

LL (mm)QCA 015.2±3.02

MLD (mm)IVUS 01.32±0.23

MLA (mm2)IVUS 01.59±0.24

AST (%)IVUS 085.2±3.76

EIxIVUS 03.30±2.53

LL (mm)IVUS

Critical AST 03.76±0.81

>70% AST 06.71±2.00

>50% AST 10.11±5.23

FFR 00.62±0.06

LAD: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CX:left circumflex artery, RCA:right coronary artery, DSTQCA:diameter stenosis by quantitative coronary angiography (QCA), LLQCA:lesion length measured by QCA, MLDIVUS:mini- mal luminal diameter measured by intravscular ultra- sound (IVUS), MLAIVUS:minimal luminal area by IVUS, ASTIVUS:area stenosis by IVUS, EIxIVUS:eccentric index by IVUS, LLIVUS:lesion length measured by IVUS, Critical AST:lesion length with the most severe area stenosis (AST), >70% AST:lesion length with an AST of more than 70%, >50% AST:lesion length with an AST of more than 50%, FFR:fractional flow reserve

Table 2. Correlation between fractional flow reserve and measured parameters

r p

DSTQCA -0.58 0.010

Lesion lengthQCA -0.07 0.980

MLAIVUS -0.27 0.270

MLDIVUS -0.18 0.460

ASTIVUS -0.65 0.003

Eccentric IxIVUS -0.04 0.990

Lesion lengthIVUS

Critical AST -0.79 0.001

>70% AST -0.47 0.040

>50% SAT -0.07 0.980

DST:diameter stenosis by quantitative coronary angio- graphy (QCA), Lesion lengthQCA:lesion length mea- sured by QCA, MLAIVUSminimal luminal area measured by intravscular ultrasound (IVUS), MLDIVUS:minimal lu- minal diameter by IVUS, ASTIVUSarea stenosis by IVUS, Eccentric IxIVUS:eccentric index measured by IVUS, Lesion lengthIVUSlesion length measured by IVUS, Critical AST:lesion length with the most severe area stenosis (AST), >70% AST:lesion length with an AST of more than 70%, >50% AST:lesion length with an AST of more than 50%

(4)

협착률(r=-0.58, p=0.01)및 혈관내초음파검사 상 측 정된 내면적 협착률(r=-0.65, p=0.003)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편심지수(r=-0.04, p=0.99), 최소혈관내면적과 최소혈관내경과는 유의한 상관관계 가 관찰되지 않았다(Table 2).

병변길이와 경병변간 압력차 및 심근분획 혈류예비력과의 관계 관동맥조영술 상 측정된 병변길이, 혈관내초음파검사 상 내면적 협착률이 50% 이상인 병변길이는 심근분획 혈류예비력과 상관관계가 없었으나(r=0.07, p=0.98), 내면적 협착률이 가장 심한 부위(r=-0.79, p=0.001)

22 20 18 16 14 12 10 8 6

0.48 0.54 0.6 0.66 0.72 0.78 FFR

Lesion lengthQCA

r=0.007, p=0.98

32

26

20

14

8

20.48 0.54 0.6 0.66 0.72 0.78

FFR

Lesion lengthIVUS >AST 50% r=0.09, p=0.98

11

9

7

5

3

1

0.48 0.54 0.6 0.66 0.72 0.78 FFR

Lesion lengthIVUS >AST 70%

r=-0.47, p=0.04

5 4.5 4 3.5 3 2.5 2 1.5 1 0.5 Lesion lengthIVUS critical AST

0.48 0.54 0.6 0.66 0.72 0.78 FFR

r=-0.79, p=0.001

A B

C D

Fig. 1. Relationship between fractional flow reserve (FFR) and lesion length. A:lesion lengthQCAlesion length by qu- antitative coronary angiography (QCA). B:lesion lengthIVUS >50% AST;lesion length with an area stenosis (AST) of more than 50% by intravascular ultrasound (IVUS). C:lesion lengthIVUS >70% AST;lesion length with an AST of more than 70%

by IVUS. D:lesion lengthIVUS critical AST;lesion length with the most severe AST by IVUS. Regression analysis demon- strated a significant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FFR and lesion lengthIVUS >70% AST or lesion lengthIVUS critical AST.

Fig. 2. Relationship between hyperemic pressure gradient (PG) and lesion length. A:lesion lengthIVUS critical AST;lesion length with the most severe AST by IVUS. B:lesion lengthIVUS >70% AST;lesion length with an AST of more than 70% by IVUS.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G and lesion lengthIVUS critical AST.

5 4.5 4 3.5 3 2.5 2 1.5 1 0.5

Lesion lengthIVUS critical AST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Hyperemic trans-lesional pressure gradient

r=0.64, p=0.003

11

9

7

5

3

1 Lesion lengthIVUS >AST 70%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Hyperemic trans-lesional pressure gradient

r=0.30, p=0.21

A B

(5)

Korean Circulation J 2003;33(9):762-768 766

및 내면적 협착률이 70% 이상인 병변길이(r=-0.47, p=0.04)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Fig. 1).

경병변간 압력차와 병변길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기저 상태에서 측정된 경병변간 압력차는 병변길 이와 전혀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혈류충만 상태에서 측 정된 경병변간 압력차는 내면적 협착률이 가장 심한 부 위의 병변길이만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r=0.64, p=0.003)(Fig. 2).

고 찰

관동맥조영술은 관동맥의 협착 정도를 평가하는데 전 통적으로 많이 이용되어 왔고, 현재에도 관동맥증후군 환자들의 진단 및 중재시술의 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 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13) 비록 거듭되 는 기술력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관동맥조영술을 이용한 협착평가는 관찰자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고,14) 병리조직과의 비교를 통한 연구15)에서도 나타났듯이 부 분적인 한계가 있어 여러 가지 검사 방법들이 제안 되 어왔다. 이들 방법 중 혈관내초음파검사는 관동맥의 단 면영상을 통하여 혈관벽의 구조, 내경의 모양에 대한 정 확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형태학적인 검사 방법이고,1-4) 심근분획 혈류예비력은 미세혈관들이 최대로 확장된 혈 류충만 상태에서 이 관상동맥을 통해서 정상적으로 공 급될 수 있는 최대 혈류량에 대한 협착이 있는 상태에 서 공급되는 최대 혈류량의 비로서 혈압, 맥박수, 수축 력 등에 영향을 받지않고 병변의 협착정도를 정확하게 알려주는 병변-특이적 기능적 검사 방법이다.5-7) 이 두 가지 대표적인 검사 방법간의 비교는 대부분 가장 협착이 심한 병변에서 측정한 단면적인 척도들인 최소 혈관내경(minimal luminal diameter, MLD), 최소혈관 내면적(minimal luminal area, MLA) 및 내면적 협착 률(area stenosis, AST%) 등과 심근분획 혈류예비력 이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보고였다.8-11) 그러나 기능 적협착을 평가함에 있어 중요한 협착병변 전후의 압력 차에는 물론 가장 협착이 심한 단면의 최소내경이나 협 착률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나, 점성의 성질을 가진 혈액이 협착구간을 통과하면서 생기는 혈관내피와의 마 찰 혹은 간섭으로 인해 병변길이나 좁아진 부위에서 퍼 져나가는 방향 즉 출구효과(exit effect)에 의한 동역학 적 에너지의 소실을 통해 경변병간 압력차에 영향을 줄

수 있다.16-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협착정도 를 잘 반영해주는 심근분획 혈류예비력과 경병변간 압 력차에 병변길이와 병변의 편심성 정도가 영향을 미치 는지 그리고 영향을 준다면 어느 정도 심한 협착을 보 이는 병변길이가 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관동맥조영술 상 QCA로 측정한 병변길이는 기존의

보고들19)20)과 같이 본 연구에서도 심근분획 혈류예비

력이나 경병변간 압력차와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혈관 내초음파검사로 협착구간을 협착정도에 따라 세분하였 을 때 70% 이상의 내면적 협착률을 보이는 병변길이는 심근분획 혈류예비력과 유의한 상관관계(r=-0.47, p=

0.04)를 보였고 특히 가장 심한 협착을 보이는 병변의 길이는 심근분획 혈류예비력(r=-0.79, p=0.001)과 경병변간 압력차(r=0.64, p=0.003) 모두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QCA로 측정한 병변길이나 50% 이상의 내면적 협착률을 보이는 병변은 점성의 혈 액이 협착구간을 통과하면서 생기는 혈관내피와의 마찰 을 덜 일으킬 수 있는 즉 협착정도가 심하지 않은 병변 이 더 많이 포함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Kimball 등16) 의 연구결과에서 병변길이와 경병변간 압력하강과 양성 선형 상관관계를 보인 내경협착률이 84%이고 본 연구 에서도 가장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협착이 심한 부위 의 평균 내면적 협착률이 85.2±3.76%로 나타나 혈액 이 협착구간을 통과하면서 혈관내피와의 마찰을 주로 일으킬 수 있는 즉 혈역학적으로 의미 있는 협착구간의 길이 특히 가장 심한 협착병변의 길이가 경변병간 압력 차와 심근분획 혈류예비력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병변의 편심성정도가 심근분획 혈류예비력 및 경병변간 압력차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 보았을 때 편심 성정도는 심근분획 혈류예비력이나 경병변간 압력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Table 2). 이는 협착이 심한 부위를 통과하여 협착이 없는 곳으로 퍼져나가는 방향 즉 출구 효과를 통해 동역학적 에너지의 소실을 가져오는 경우 는 급격한 각도 즉 90도 이상의 각도에서 현저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14)16) 본 연구의 대상 병변들을 살펴 볼 때 아무리 편심지수가 높은 병변이라도 주위 병변에 의해 서서히 넓어지며 대개 40도 미만의 출구각 도를 형성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혈역학적으로 의미 있는 협착구간의 길

(6)

이 특히 가장 심한 협착병변의 길이가 심근분획 혈류예 비력 및 경병변간 압력차 즉 기능적 협착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관동맥 협착병변을 평가함에 있어 협착 이 심한 단면의 최소내경이나 협착률 뿐만 아니라, 이곳 의 병변길이도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대상 병변의 수가 적었다는 점, 그리고 비록 혈관내 초음파검사 상 80~90%의 비 슷한 내면적 협착률을 보인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동일한 내면적 협착률 혹은 같은 최소 내면적을 가진 병변들에서 병변길이를 측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심근분 획 혈류예비력 및 경병변간 압력차에 대한 병변길이의 영향을 평가함에 있어 단면의 최소내경과 협착률 등의 영향을 완전히 배제 하지 못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요 약

배경 및 목적

심근분획 혈류예비력은 대부분 가장 협착이 심한 병 변에서 측정한 단면적인 척도들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협착병변의 길이나 죽상 반의 편심성 정도가 심근분획 혈류예비력에 영향을 주 는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않다. 이에 저자 등은 혈관내초음파검사 상 80~90%의 비슷한 내면적 협착 률을 가진 병변들의 길이, 편심성 정도와 심근분획 혈 류예비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어느 정도 심한 협 착을 가진 병변의 길이가 경병변간 압력차와 심근분획 혈류예비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관동맥조영술 상 병변길이가 20 mm 이내, 내경협착 률이 70% 이상이고, 심초음파검사 상 벽운동장애가 관 찰되지 않고 혈관내초음파검사 상 내면적 협착률이 80~

90%이고 병변부와 근위부 표준혈관의 영상이 뚜렷하고, 병변이 관동맥 개구부에 위치하지 않으며 병변 인접부 위에 심한 굴곡이나 확장증이 관찰되지 않았던 19명 환 자의 19병변을 대상으로 중재술 이전에 혈관내초음파검 사와 압력철선을 이용하여 심근분획 혈류예비력을 측 정하였다. 병변길이는 혈관내초음파 영상을 세로면으로 바꾸어 내면적 협착률이 가장 심한 부위와 내면적 협착 률이 각각 70%, 50% 이상인 병변의 길이를 구하고 편 심성 정도를 나타내는 편심지수는 협착이 제일 심한 부 위에서 경화반 및 중막의 최대두께를 최소두께로 나눈

값으로 하였다.

결 과

심근분획 혈류예비력은 관동맥조영술 상 측정된 내경 협착률(r=-0.58, p=0.01)및 혈관내초음파검사 상 측 정된 내면적 협착률(r=-0.65, p=0.003)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나, 편심지수(r=-0.04, p=0.99), 최소혈관내면적과 최소혈관내경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관동맥조영술 상 측정된 병변길이, 혈관내초음파검사 상 내면적 협착률이 50% 이상인 병 변의 길이는 심근분획 혈류예비력과 상관관계가 없었으 나(r=0.07, p=0.98), 내면적 협착률이 가장 심한 부 위(r=-0.79, p=0.001) 및 내면적 협착률이 70% 이 상인 병변길이(r=-0.47, p=0.04)는 유의한 음의 상 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혈류충만상태에서 경병변간 압력 차는 내면적 협착률이 가장 심한 부위의 병변길이만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0.64, p=0.003).

결 론

혈액이 협착구간을 통과하면서 혈관내피와의 마찰을 주로 일으킬 수 있는 즉 혈역학적으로 의미있는 협착구 간의 길이 특히 가장 심한 협착병변의 길이가 경변병간 압력차와 심근분획 혈류예비력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관동맥 협착병변을 평가함에 있 어 협착이 심한 단면의 최소내경이나 협착률 뿐만 아니 라, 이곳의 병변길이도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중심 단어:압력;초음파, 중재적.

본 연구는 인하대학교 교내연구비(21870) 지원 하에 이루 어짐.

REFERENCES

1) Pijls NH, van Gelder B, van der Voort P, Peels K, Bracke FA, Bonnier HJ, el Gamal MI. Fractional flow reserve: a useful index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an epicardial co- ronary stenosis on myocardial blood flow. Circulation 1995;

92:3183-93.

2) Pijls NH, de Bruyne B, Peels K, van der Voort PH, Bonnier HJ, Bartunek J, Koolen JJ. Measurement of fractional flow reserve to assess the functional severity of coronary artery diseases. N Engl J Med 1996;334:1703-8.

3) de Bruyne B, Bartuneck J, Sys SU, Pijls NH, Heyndrickx GR, Wijns W. Simultaneous coronary pressure and flow velocity measurements in humans: feasibility, reproduci- bility, and hemodynamic dependence of coronary flow velo- city reserve, hyperemic flow versus pressure slope index, and fractional flow reserve. Circulation 1996;94:1842-9.

4) Bech GJ, de Bruyne B, Bonnier HJ, Bartunek J, Wijns W,

(7)

Korean Circulation J 2003;33(9):762-768 768

Peels K, Heyndrickx GR, Koolen JJ, Pijls NH. Long-term follow up after deferal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of intermediate stenosis on the basis of coronary pressure measurement. J Am Coll Cardiol 1998;31:841-7.

5) Nishimura RA, Edward WD, Warnes CA, Reeder GS, Hol- mes DR Jr, Tajik AJ, Yock PG. Intravascular ultrasound imaging: in vitro validation and pathologic correlation. J Am Coll Cardiol 1990;16:145-54.

6) Gussenhoven EJ, Essed CE, Lancee CT, Mastik F, Frietman P, van Egmond FC, Reiber J, Bosch H, van Urh, Roelandt J.

Arterial wall characteristics determined by intravascular ultrasound imaging: an in vitro study. J Am Coll Cardiol 1989;14:947-52.

7) Hodgson JM, Reddy KG, Suneja R, Nair RN, Lesnefsky EJ, Sheehan HM. Intracoronary ultrasound imaging: correl- ation of plaque morphology with angiography, clinical syn- drome and procedural results in patients undergoing coro- nary angioplasty. J Am Coll Cardiol 1993;21:35-44.

8) Bartunek J, Sys SU, Heyndrickx GR, Pijls NH, de Bruyne B.

Quantitative coronary angiography in predicting functional significance of stenosis in an unselected patient Cohort. J Am Coll Cardiol 1995;26:328-34.

9) Kim DH, Kwan J, Seo JK, Kim SS, Lee HJ, Cho SW, Park KS, Lee WH. Fractional flow reserve in coronary artery disease: comparison with intravascular ultrasound. Korean Circ J 1999;29:773-80.

10) Hanekamp CE, Koolen JJ, Pijls NH, Michels HR, Bonnier HJ. Comparison of quantitative coronary angiography, in- travascular ultrasound, and coronary pressure measurement to assess optimum stent deployment. Circulation 1999;99:

1015-21.

11) Takagi A, Tsurumi Y, Ishii Y, Suzuki K, Kawana M, Ka- sanuki H. Clinical potential of intravascular ultrasound for physiological assessment of coronary stenosis: relationship between quantitative ultrasound tomography and pressure derived fractional flow reserve. Circulation 1999;100:250-5.

12) Honye J, Mahon DJ, Jain A, White CJ, Ramee SR, Wailis JB,

al-Zarka A, Tobis JM. Morphological effects of coronary balloon angioplasty in vivo assessed by intravascular ultra- sound imaging. Circulation 1992;85:1012-25.

13) White CW, Wright CB, Doty DB, Hiratza LF, Eastham CL, Harrison DG, Marcus ML. Dose visual interpretation of the coronary arteriogram predict the physical importance of a coronary stenosis? N Engl J Med 1984;310:819-24.

14) Brown BG, Bolson E, Frimer M, Dodge HT. Estimation of dimensions, hemodynamic resistance and atheroma mass of coronary artery lesions using the arteriogram and digital computation. Circulation 1977;55:329-37.

15) Vlodaver Z, Frech R, van Tassel RA, Edwards JE. Correl- ation of the antemortem coronary angiogram and the po- stmortem specimen. Circulation 1973;47:162-9.

16) Kimball BP, Dafropoulos N, Lipreti V. Comparative evalu- ation of coronary stenoses using fluid dynamic equations and standard quantitative coronary arteriography. Am J Cardiol 1989;64:6-10.

17) Young DF, Cholvin NR, Roth AC. Pressure drop across artificially induced stenoses in the femoral arteries of dog.

Circ Res 1975;36:735-43.

18) di Mario C, Gil R, de Feyter PJ, Schuurbiers JC, Serruys PW.

Utilization of translesional hemodynamics: comparison of pressure and flow methods in stenosis assessment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athet Cardiovasc Diagn 1996;

38:189-201.

19) Briguori C, Anzuini A, Airoldi F, Gimelli G, Nishida T, Ada- mian M, Corvaja N, di Mario C, Colombo A. Intravascular ultrasound criteria for the assessment of the functional sig- nificance of intermediate coronary artery stenoses and com- parison with fractional flow reserve. Am J Cardiol 2001;87:

136-41.

20) Takayama T, Hodgson JM. Prediction of the physiologic severity of coronary lesions using 3D IVUS: validation by direct coronary pressure measurements. Catheter Cardiovasc Interv 2001;53:48-55.

수치

Table 2. Correlation between fractional flow reserve and measured parameters
Fig. 1. Relationship between fractional flow reserve (FFR) and lesion length. A:lesion length QCA ; lesion length by qu- qu-antitative coronary angiography (QCA)

참조

관련 문서

Fluorescence from initial carious lesion of teeth illuminated by an LED light was observed through barrier filter and the number of teeth showing lesion,

Null hypotheses of this study was there is no difference in root canal length determination between conventional and heat-treated Ni-Ti files by 2

• Useful for investigating the shear forces and bending moments throughout the entire length of a beam. • Helpful when constructing shear-force and

„ The length of a shortest path from the source vertex v to vertex u under the constraint that the shortest path. contains at

3-38 Data processing area for estimating the crack length .... 3-39 Relationship between the crack length and the sum

- Relate the mixing length to velocity gradient using the similarity rule - Turbulent fluctuations are similar at all point of the field of flow. - Velocity is characteristics

Polypoid lesions of the gallbladder; Report of 111 cases with surgical reference to operative indication.. Polypoid lesion of GB: Indication of carcinoma

§ Null-path-length balancing: comparing the null-path-length of each of the two sub-trees (the length to the closest null sub- tree/empty node). § Weight balanc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