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모 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이 모 영"

Copied!
2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미적 경험에 관한 다차원 통합모델 미적 경험에 관한 다차원 통합모델 미적 경험에 관한 다차원 통합모델 미적 경험에 관한 다차원 통합모델

이 모 영

이 모 영

이 모 영

이 모 영****

1)

서론 I.

다차원 통합모델 II.

감각적 차원 1.

반사적 차원 2.

반성적 차원 3.

다차원 통합모델에 대한 평가 III.

참고문헌 IV.

서론 서론 서론 서론 . ..

. I I I I

아름다움과 예술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는 오래된 역사를 지니고 있다 . 1871 년 독일 Dresden 에서는 매우 흥미있는 전시회가 개최되었다 이 전시회에 홀바인의 . 작품으로 간주되는 두 개의 마돈나 초상화 작품이 하나는 진품으로 다른 하나는 복제품으로 전시되었다 이 전시회에서 독일의 철학자 물리학자 그리고 심리학자 . , 인 G. Th. 페히너 (G. Th. Fechner) 는 예술의 효과에 대한 최초의 경험적 연구를 수행하였고 이것이 예술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의 시작이 되었다 페히너는 이 연 , . 구에서 두 개의 그림중에 어느 것이 더욱 마음에 드는지를 관람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물론 그 결과는 매우 빈약하였다 약 . . 1000 명의 관람자들 중에서 오로지 명만이 조사에 응하였다 그러나 이 연구는 최초로 경험적 연구 17 .

선문대학교 조교수

*

(2)

방법을 사용하여 예술의 효과를 설명하고자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그 이전에는 철학적인 사변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 . 여 예술과 미의 문제에 접근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어 왔었기 때문이다 페히너는 . 자신의 접근방법을 아래로 부터의 미학 ( sthetik von unten)' 이라고 불러서 철학 적 접근방법을 사용하는 위로부터의 미학 ( sthetik von oben)' 과 구별하였다 .

1)

그는 이러한 경험적 연구를 사용하여 물리적 자극과 심미적 반응간의 보편적인 원리를 찾고자 시도하였다 그의 대표적인 연구로 . A. 차이징 (A. Zeising) 의 황금 분할의 법칙에 대한 검토를 들수 있다 이 연구에서 페히너는 수평과 수직변의 길 . 이를 변화시켜 이들 사각형에 대한 사람들의 선호를 조사하여 차이징의 황급분할 의 법칙과 동일한 비율의 도형이 가장 선호되고 있는 것을 경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예술의 현상을 경험과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접근하기 시작한 페히너 . 의 선구적 시도는 이후의 예술심리학 연구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페히너 이후에도 예술심리학적 연구는 정신물리학적 연구패러다임에 맞게 미적 대상의 자극특성과 이들이 가져다 주는 미적 반응간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연구의 촛점이 맞추어졌다 다양한 색채와 형태들이 조작되었고 이들 자극들에 대한 심리 . , 적 반응으로 만족과 불만족의 정도가 객관적으로 측정되어 미적대상과 심리적 반 , 응간의 보편적인 법칙을 세우고 이를 통하여 예술의 현상을 설명하고자 시도하였 다 다양한 색상이 미치는 심리적 효과들이 분석되었고 형태들의 다양성과 통일 . , 성에 기초한 미적 만족의 원리들이 검토되었다.

2)

실험심리학자인 D. E. 벌린 (D.

1) 심리학 연구에서 경험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예술의 현상을 설명하려는 시 도는 그 당시에 많은 관심을 모았던 정신물리학적 연구에 기인한다 물리적 . 자극에 대한 심리적 반응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던 정신물리학 은 무게 밝기 소리 색상과 같은 물리적 자극을 체계적으 (Psychophysics) , , ,

로 조작하여 이들에 대한 심리적 반응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이는 예술적 . 현상을 경험과학적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었다 (C. G. Allesch, Geschichte der psychologischen Ästhetik, Göttingen: Verlag für Psychologie, 1987, p. 300 참고 ).

2) G. D. 버억호프 (G. D. Birkhoff) 와 H. J. 아이셍크 (H. J. Eysenk) 는 다양성과 통일성에 의한 수학적 함수공식으로 미적만족에 대한 법칙을 기술하였다 (C. G. Allesch, Geschichte der psychologischen Ästhetik, Göttingen:

Verlag für Psychologie, 1987, p. 307 참고 ).

(3)

은 새로운 실험미학 이라 불리는 예술 E. Berlyne) (new experimental aesthetics)'

심리학이론을 제창하여 자극특성과 미적 만족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3)

그러나 이러한 경험적 연구방법을 사용한 예술심리학적 접근은 예술심리학 연구 의 폭을 제한하게 되고 이들 연구에서 밝혀진 보편적 법칙은 회화와 같은 다소 , 복잡한 예술의 현상을 적절히 설명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기존의 . 심미적 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연구에서는 회화적 요소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미적 표현 이외에 작품에 묘사된 내용에 의한 미적 경험의 영향들이 등한시되었다는 비 판이 제기될 수 있다 회화에 무엇이 묘사되어 있느냐 하는 것은 어떻게 묘사되 . 어 있느냐 하는 것 못지 않게 미적 경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제로 예술작품 . 은 색상과 형태 이상의 것으로 사람 동물 자연 관계 역사와 같은 다양한 내용들 , , , 이 묘사된다 이러한 묘사된 내용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감상자의 심미적 경험에 .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는 예술감상에 나타나는 일반적 과정에서 잘 나타난다 사 . . 람들은 한 작품을 대하게 되면 우선 그림의 전체적인 인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것 . 은 그림을 구성하는 추상적이고 회화적 요소인 색채와 형태들에 의해서 순간적으 , 로 일어난다.

4)

이러한 전체적인 인상이 형성된 후에는 그림의 주제와 내용들이 감상자의 경험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묘사된 내용들이 반사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 어떤 정서를 유발하기도 한다 또한 묘사된 주제가 감상자로 하여금 어떤 유쾌한 . 생각을 환기시킬 수 있도록 하여 그림에 대한 전체적인 미적 경험에 크게 영향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미적 감상에서 나타나는 일반적 과정을 고려해보면 예술심리학 이론이 ,

3) D. E. Berlyne, Aesthetics and Psychobiology , New York:

Appleton-Century-Crofts, 1971;

D. E. Berlyne, Studies in the new experimental aesthetic: steps toward an objective psychology of aesthetic appreciation , New York: Wiley, 1974 참고.

4) 이러한 유형의 미적 경험의 대표적인 예로 칸딘스키의 경험을 들수 있다:

칸딘스키는 어느날 해질 무렵 자신의 작업실에 들어왔을 때 매우 아름다운

그림이 벽에 놓여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러나 곧 그 그림은 자신이 완성하 .

지 못한채 옆으로 세워놓은 것이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이 경험을 통해서 .

칸딘스키는 추상적인 색과 형태들이 그 자체로 예술적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4)

예술작품에 대한 미적경험을 적절히 설명할 수 있기 위해서는 단순히 색상과 형 태와 같은 회화적 요소에 대한 심미적 반응 이외에 그에 따른 회화적 요소들의 , 상호작용에 의한 미적경험과 그림에 묘사된 내용에 의하여 야기되는 미적경험을 고려해야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복잡한 예술작품에 대한 미적경험을 설명할 수 있는 포괄적인 예술심리학 모델인 다차원 통합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전의 예술심리학의 연 . 구에서는 몇몇의 단계모델이 제안되었다 이들 모델들에서는 기본적으로 심미적 .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 또는 단계들이 제시되었다 . F. H. 만케 (Mahnke) 는 색 경험에 관한 단계이론에서 생물학적 반응 집단무의식 의식적 상징화 문화적 ' ', ' ', ' ', ' 영향과 매너리즘 시대사조 및 패션 그리고 개인적 관계의 단계들을 제시하고 ', ' ' ' ' 있다.

5)

그러나 이 모델에서는 심리학적 측면에서 제외되는 즉 문화적 영향 시대 , , 사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고 있어 심리학적 모델로는 적합하지 못한 면을 지니 고 있다 . H. 슈스터 (Schuster) 는 예술적 경험에 영향을 주는 정보처리 단계들로

개의 단계를 제시하고 있다

10 .

6)

이 모델은 너무 많은 단계들로 구성되어 있어, 이 단계들을 통합하여 제시할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여기에서 제시하는 모델은 그림이해와 미적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감각 적 반사적 반성적 차원으로 통합하여 예술작품에 대한 미적 경험을 기술하고자 , , 한다 여기에서 그림이해의 차원으로 감각적 차원 반사적 차원과 반성적 차원 . , 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세 개의 차원을 구별하였다 감각적이라는 개념은 다양 . 한 형태와 색상들에 의해 형성되는 그림에 대한 전체적인 인상과 같은 개념적 사 , 고과정 없이 생겨나는 미적 경험을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되어졌다 그리고 반사적 . 이라는 개념은 의식적 통제가 결여된 상태에서 거의 선천적 또는 본능적으로 그림 의 내용을 이해하는 미적 경험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어졌다 그리고 반성적 차 .

5) F. H. Mahnke, Color, Environment, and Human Response, 최승희 이명 순 , 『 색채 환경 그리고 인간의 반응 , , 』 , 도서출판 국제 , 1999 참고 . 6) 슈스터는 다음과 같은 10 개의 단계를 제시하고 있다 : ‘ 면과선의 구별 ’, ‘ 기초

형태 ’, ‘ 대칭과반복 ’, ‘ 관계 ’, ‘ 균형 ’, ‘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의미의 처리 ’, ‘ 의미 분석 ’, ‘ 의미의 통합 ’, ‘ 감정적 평가 ’, ‘ 인지적 평가 ’ (M. Schuster, Psychologie der bildenden Kunst. Eine Einführung , Heidelberg: Asanger,

참고

1990 ).

(5)

원이라는 개념은 반사적 개념의 대립적인 개념으로 의식적 사고의 결과로 그림의 내용을 이해하는 차원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어졌다 예술의 영역에서 선천 . 적이고 본능적인 그림인식의 과정이 예술적 표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경 우를 종종 관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들은 얼굴표정을 보고 표정이 나타내는 . 표현적 의미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들이 예술적 표현에서 의 . 미의 표현에 많이 사용되고 작품의 감상에서 작품에 대한 미적 반응을 형성하는데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본 모델에서는 반사적 차원과 반성적 . 차원을 구별하여 설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이 모델에서는 미적 대상 즉 예술작품에 . , 대한 미적반응은 사람들이 어느 차원에서 작품과 상호작용하느냐에 따라서 미적반 응이 결정된다고 본다.

다차원 통합 모델 다차원 통합 모델 다차원 통합 모델 다차원 통합 모델 II.

II.

II.

II.

감각적 차원

감각적 감각적 차원 차원

감각적 차원

1. (sensory) 1. (sensory) 1. (sensory) 1. (sensory)

미적 대상인 그림에 대한 심미적 경험은 일차적으로 인식의 가장 근원적인 형태 인 감각적 차원에서 형성된다 이 차원에서 미적 대상은 순수한 감각적 자극의 형 . 태로 주어지게 되고 직접적으로 심미적 경험을 일으킨다 특정한 형태와 색의 배 . 열들은 직접적으로 마음에 들기도 하고 또는 마음에 들지 않기도 한다 또한 특정 . 한 음의 배열은 조화롭게 또는 조화롭지 않게 지각된다 미적 대상에 대한 이러한 . 유형의 미적 반응은 비개념적이고 비의식적인 감각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다 , .

이 차원에서의 미적 체험은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 보편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7)

이러한 보편적 특성에 기초하여 실제로 많은 연구에서 심미적 경 7) 감각적 차원에서의 미적 체험에 대한 데이터는 칸트와 같은 철학자들이 주 장해온 미적체험의 보편성을 지지해 주는 실증적 데이터를 제공해 줄 수 있 을 것이다.

심리학 연구에서는 심미적 반응의 보편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문화권 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문화간 심미적 판단의 비교연구가 수행되어졌다.

이들 다양한 문화권의 피험자들이 보여주는 일치된 결과로 미적판단의 보편

성이 추론되었다 (H. J. Eysenk and K. O. Götz, Visual aesthetic

sensitivity test . Düsseldoft: Concept, 1981 참고 ).

(6)

험에 영향을 주는 객관적 자극특성들을 기술하고자 시도되어져 왔다 페히너 이후 . 실험미학의 범주에서 수행된 대부분의 예술심리학적 연구는 이 감각적 차원에서의 미적경험의 범주에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감각적 차원에서의 미적 체험은 인간의 선험적인 미적반응 양식과 인식과정 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대상의 물리적 자극특성들은 감각적 수준 또는 생 . 리학적 수준에서 독특한 방식으로 반응의 양식들이 결정된다 유기체의 적응에 도 . 움이 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 자극 특성들 예를 들면 대상의 인식을 쉽게 해주 , 는 형태패턴들은 다른 자극들에 비하여 선호되어지는 반응를 보이는 경향이 있다.

선호되는 반응들은 대상의 인식을 수월하게 해주는 자극특성들 분명한 윤곽선 선 , , 명한 밝기와 색상의 대비들이 그 좋은 예들이다 특히 어린아이들은 선명한 색상 . 과 극단적 색상대비를 선호하고 대중매체를 이용한 광고에서 칼라를 사용하는 것 , 이 흑백광고보다 더욱 커다란 효과를 보이고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제시되었다 이 . 러한 관점에서 단순한 기하학적 패턴들 사각형 원형 삼각형들이 더욱 복잡한 도 , , , 형들에 비하여 더욱 마음에 드는 것으로 평가되는 것을 보면 쉽게 이해되어질 수 있다.

8)

또한 불규칙적인 것보다는 규칙적인 패턴을 선호하고 균형잡히지 않은 구 도 보다는 균형잡힌 구도를 선호한다 실제로 이들 규칙성과 대칭성은 많은 건물 . 양식과 조각작품들에서 관찰되어지고 있다 전통적 미의 원리로 간주되는 다양성 . 의 통일원리에서 보여지듯이 규칙성과 통일성은 많은 철학적 미학 이론의 핵심적 사상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순하고 규칙적인 형태패턴들이 항상 선호되는 것은 아니다.

단조로운 패턴의 반복은 도심속의 아파트건물들을 보는 것처럼 지루하고 미적 흥 미를 끌지 못한다 이 현상은 단순한 도형에 대한 선호의 경향과 불일치 하는 것 .

8) 이들 단순한 형태들은 감각생물학적 차원에서 주어진 인식의 셰마(Schema)

에 일치 또는 유사하게 간주되어 다른 복잡한 패턴의 도형들보다 쉽게 인식

되어질 수 있다 실제로 고양이와 원숭이의 대뇌피질에서 특별한 형태패턴 .

에만 반응하는 신경세포들이 발견되었다 (D. H. Hubel and T. N. Wiesel,

Receptive fields binocular interaction and functional architecture in the

cats visual cortex. Journal of Physiology , 1962, 160, p. 106-154 참고 ). 이

런 제한된 유형의 시각적 형태요소들이 신경생물학적으로 결정되어 선험적

인식의 기초로 작용을 한다고 가정할 수 있을 것이다.

(7)

처럼 보이지만 우리 인간의 감각적 정보처리 과정의 특성을 살펴보면 동일한 관 , 점에서 설명이 가능해진다 즉 우리 인간의 감각적 정보처리는 변화하지 않는 고 . 정된 것에는 더 이상 반응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우리에게 익숙해진 주변환 . 경은 더 이상 주의를 끌지 못하고 스쳐지나간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많은 실험적 증거들이 제시되어 왔다 영국의 심리학자 . M.

버넌 은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우리는 우리의 일상적인 의식

D. (M. D. Vernon) . ,

지각 사고등이 단지 계속되는 환경의 변화 속에서만 지속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 때문에 변화가 없을 경우 감각박탈의 상태가 발생한다 성인의 집중력은 감퇴하고 . 주의력은 떨어지며 보통의 지각능력은 사라진다

9)

전반적인 인간 삶의 기본적 요 건으로서 다양성의 필요성에 대하여 P. 비렌 (F. Birren) 은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환경에 반응하면서 사람들은 자신들의 모든 감각이 항상 적당히 자극되기를 . 바란다 이는 자연에서 일어나는 일이며 단지 색이나 명도의 변화뿐 아니라 온도 . 와 음향의 다양성과도 관련이 있다 부자연스러운 조건은 정적이고 지루하며 따 . , , 분하고 변화가 없다 다양성은 사실 삶의 활력소이다 , . .

10)

이러한 정보처리적 특성은 미적 대상에 대한 우리 인간의 심미적 반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너무 단조로운 형태와 색상 그리고 이들의 조합은 감각적인 . 흥미을 야기시키지 못할 것이다 물론 너무 복잡한 시각적 패턴과 색의 조합은 불 . 쾌감을 유발한다 미적 대상이 사람들에게 아름다운 것으로 지각되기 위해서는 너 . 무 복잡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자극특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다양성은 .

9) F. H. Mahnke, Color, Environment, and Human Response, 최승희 이명 순 , 『 색채 환경 그리고 인간의 반응 , , 』 , 도서출판 국제 , 1999, p. 33 에서 인 용.

10) F. Birren, Color and Human Response, 김진한 , 『 색채의 영향 』 , 시공사 , 위에서 기술되었듯이 다양성은 인간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1983, p. 167.

한다 시각적인 단조로움이 심하면 지루해지고 지루함을 없애기 위해 우리 . ,

는 내부에서 환상의 자극을 만들어낸다 이런 것들이 장기화 되면 결국에는 .

치료가 요구되는 심리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우리 .

주변의 도시환경을 고려해보면 상당한 우려를 자아내게 한다 빽빽히 들어 .

선 일률적인 고층아파트 건물은 우리에게 즐겨 바라보도록 하는 무엇인가를

제공하지 못한다 이들 주변환경이 삶의 질적만족에 또는 우리의 정신적 건 .

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는 자명할 것이다.

(8)

항상 객관적인 물리적 자극특성으로서만 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물리적 특 . 성을 지닌 자극도 여러번 반복해서 접촉하게 되면 사람들은 이 자극에 익숙하게 되어 더 이상 그 자극에 반응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그래서 사람들은 옷의 형 . 태나 색상을 변화시켜 새로움을 창출하여 사람들의 주의를 끌려한다 유행에는 이 . 러한 우리 인간의 심리적 기제가 그 근간을 형성하고 있다.

벌린의 새로운 실험미학이론 도 감각적 차원

D. (new experimental aesthetics)'

에서의 미적 경험에 대한 특성에 기초하고 있다 벌린은 이 이론에서 미적 만족의 . 정도를 각성수준 (arousal potential) 과의 관계에서 설명하고 있다 각성이론에 의하 . 면 유기체는 선천적으로 유기체의 기능을 최대화 시키기 위해서 일정수준의 각성 을 유지하고자 한다 따라서 적당하게 변화를 보이는 자극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 . 다.

11)

이와 같이 유기체의 각성수준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주는 미적 대상은 유기 체에게 아름다운 것으로 지각되게 한다 벌린은 미적 만족과 각성수준간의 거꾸로 . 된 자 형태의 함수관계를 설정하였다 유기체의 각성수준이 증가하면서 미적만족 U . 의 정도도 증가하고 최적의 각성상태에서 최고의 쾌적함을 보이다가 각성상태가 , 더욱 증가하면서 만족의 정도는 점점 감소하게 된다 벌린은 각성수준을 적정하게 . 유지시키는 미적 대상의 자극특성을 객관적으로 기술하여 미적만족의 정도를 설명 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다양한 색과 형태들은 그 자체로 고유한 의미와 미적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술가이자 예술이론가인 . W. 칸딘스키 (W. Kandinsky) 에 의하면 색상과 형태는 그에 따른 고유한 내용 의미 을 지니고 있다고 기술하고 이를 물 ( ) 리 심리적 효과 - (physisch-psychologische Wirkung) 로 설명하고 있다 .

12)

R. 아 른하임 (R. Arnheim) 역시 형태와 색상에 고유한 미적 의미 효과를 가정하고 이 ( ) 를 지각의 역동적 속성에 기인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13)

지각의 역동적 속성은 11) D. E. Berlyne, Aesthetics and Psychobiology , New York:

참고 Appleton-Century -Crofts, 1971 .

12) W. Kandinsky, Über das Geistige in der Kunst , Bern-Bümplitz: Benteli, 1973; W. Kandinsky, Punkt und Linie zu Fläche. Beitrag zur Analyse der malerischen Elemente , Bern-Bümpliz: Benteli, 1973 참고 .

13) R. Arnheim, Kunst und Sehen. Eine Psychologie des schöpferischen

Auges, Berlin: de Gruyter, 1978; R. Arnheim, Zur Psychologie der

(9)

미적 표현과 작품이 균형잡힌 구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곡선의 형 . 태가 전달해주는 부드러운 느낌 버드나무 가지의 슬픔 사원 기둥이 주는 무거움 , , 을 지지해주고 있는 느낌들은 자극의 형태에서 지각되는 역동적 속성에 의하여 설 명된다 형태심리학자들은 지각의 역동적 특성은 대뇌피질에서의 생리적 항상성에 . 기초한 전기화학적인 힘의 배치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14)

비 록 이들 뇌의 전기화학적 작용에 의한 설명이 경험적 데이터에 의하여 입증된 것 이 아니라 다분히 가설적인 설명에 불과한 것일지라도 표현지각은 경험 이전의 선 천적인 미적 지각반응의 한 유형이라는 것이 이들 현상에 대한 관찰을 통하여 밝 혀져왔다.

반사적 차원

반사적 반사적 차원 차원

반사적 차원

2. (reflexive) 2. (reflexive) 2. (reflexive) 2. (reflexive)

반사적 차원에서의 미적 경험은 작품에서 묘사된 내용에 대한 의식적인 사고 없 이 직접적으로 형성된다 실제로 대상의 인식에서 유기체의 생존에 중요하게 여겨 . 지는 것들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제가 유기체에게 선천적으로 구축되 어 있다는 것이 여러 행동생태학적 연구 (Verhaltensforschung) 들에서 밝혀졌다 . 이러한 대상에 대한 인식의 방식이 예술의 이해에 중요하게 작용하고 결국 미적 , 대상에 대한 미적 경험을 형성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인식의 차원에서 처리되는 미적 반응은 예술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에서 많이 다루어져 왔다 . S. 프로이트 (S. Freud) 의 정신분석이론에 의하면 예술 작품에서의 미적 반응은 대리적 경험을 통한 억압된 무의식적 욕구의 충족과 관련 이 있다 예술작품의 감상을 통한 무의식적 욕구의 충족은 불유쾌한 내적 긴장을 . 해소하게 되어 유쾌한 느낌을 갖도록 해준다 예술작품이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 효과를 보이기 위해서는 작품의 내용이 상징적으로 표현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예를 들어 여성의 신체는 들판의 언덕을 통해 상징화된다 들판의 언덕을 묘사하 . 는 작품은 여성의 신체로 상징화되어 감상자에게 억압된 성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

Kunst , Frankfurt a. M: Ullstein 1980; R. Arnheim, Anschauliches Denken , Köln: DuMont, 1988 참고 .

14) R. Arnheim, Kunst und Sehen. Eine Psychologie des schöpferischen

Auges, Berlin: de Gruyter, 1978 참고 .

(10)

게 되고 이는 감상자에게 긍정적 미적 반응을 일으키게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프로이트는 꿈의 해석에서 대상들이 지닌 상징적 의미들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 지만 실제로 이들 상징적 의미를 지닌 대상들이 예술작품에 어떻게 표현되고 있고 이들 대상들에 대한 사람들의 미적반응이 프로이트의 이론과 일치하게 나타나는지 에 관한 실증적인 연구들은 거의 없다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이론은 작품 감상 . 의 이해보다는 오히려 예술적 동기의 이해에 더욱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15)

프로이트의 이론에 비하여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은 예술적 표현의 이해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이 입증되고 있다 . C. G. (C. G. Jung) 융 은 실제로 많은 다른 민족 의 신화나 전설 등을 분석하여 어떤 특수한 유형의 그림들은 거의 모든 문화에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융에 의하면 이런 유형의 그림은 무의식적 욕 . 구의 상징화된 표현이 아니라 인간 삶의 중요한 문제영역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가 정하였다 이러한 그림들은 많은 예술작품에서 지배적인 주제로 나타나고 있다 예 . . 를 들면 만다라의 그림들이 많은 예술작품에 그리고 장식문양에서 자주 묘사되고 있다 이러한 그림들은 인류의 역사를 통하여 획득되어진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 있다 이들 그림의 상징적 의미들은 무의식적으로 사람들의 미적반응에 영향을 끼 . 치게 된다.

16)

예술에 대한 프로이트와 융의 이론에서 공통적인 것은 작품에 표현된 어떤 특정 한 대상은 사람들에게 특정한 미적 반응을 유발시킨다는 것이다 이들은 미리 계 . 획된 반응양식을 무의식적으로 유발시키는 단서자극으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이 . 들 자극과 이 자극에 대한 반응들이 행동생태학적 연구들에서 기술되어졌다 이들 . 중 예술적 표현에 자주 사용되는 것으로 아동셰마 (Kindesschema) 와 이성셰마

가 대표적이다 (Partnerschema) .

아동셰마는 무의식적으로 보호 본능적 행동을 유발하는 자극으로 큰 눈 크고 , 넒은 이마 작은 코 작은 입 동그란 얼굴 등의 시각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 , , .

17)

15) E. Winner, Invented Worlds: The Psychology of the Arts , Cambridge:

참고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

16) M. Schuster and H. D. Dumpert, Kunstpsychologie. Was finden wir warum schön? Psychologie Heute , 1979, 6 (4), p. 32.

17) 이와 같은 아동 셰마는 정신분석학의 원형과 동일한 기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Jung 은 지적하고 있다 (M. Schuster and H. Beisl, Kunst-Psychologie.

(11)

들은 사람들에게 귀여운 사랑스러운 느낌을 불러일으킨다 장남감 인형들의 얼 , . 굴모습을 자세히 살펴보면 아동셰마의 특징들을 크게 강조하고 있는데 이런 특징 , 들이 사람들로 하여금 보호본능을 유발하게 하고 귀여운 느낌을 전달하게 한다.

회화에서도 아동들이 많이 묘사되었는데 여기에서도 아동셰마의 특징이 강조되었 고 이를 통하여 어린이를 묘사하고 있는 그림은 사랑스러움과 친근감을 느끼게 해 준다.

18)

아동셰마와 같이 이성셰마도 예술작품에서 단지 몇 가지의 성적인 신체적 특징 을 강조함으로써 미적 경험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성셰마를 통한 미적 경험은 직접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예술작품은 물론 제 품의 광고와 디자인등에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서 많이 이용되어지고 있 다 이성 셰마에는 특정한 미적 효과를 불러일으키는 어떤 자극특징들이 존재한다 . . 단순히 이성의 외적 형태를 작품에 묘사하는 것은 별다른 효과를 보이지 못한다.

중요한 것은 이성 셰마의 어떤 자극 특성을 어떻게 묘사하느냐 하는 문제이다 여 . 성의 어떤 자극 특성이 이성인 남성에게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허리와 엉덩이의 비율 가슴의 크기등이 이성의 본능적 행동을 유발시킨다 많은 , . 예술작품에서 특히 누드화에서 관찰할 수 있듯이 이와 같은 중요한 자극 특징을 , 지닌 그림들은 즉각적으로 본능적 행동을 이끌어 내는데 긍정적 효과를 보이고 있 다 이 셰마의 자극특성들이 전혀 강조되지 않았거나 또는 너무나 많이 과장되어 . 묘사되어질 경우 예술적 표현은 전혀 아름답지도 않고 오히려 역으로 추하게 보일 수 있다.

이성셰마 이외에 인간의 의사소통과 관련을 맺고 있는 다른 셰마들은 많이 알려 져 있지 않다 그 중에서 본능적으로 분노 기쁨 놀람 등의 감정을 나타내는 것으 . , 로 해석될 수 있는 얼굴표정의 몇몇 특징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19)

예를 들면 이마에 주름이 많거나 이를 꼭 다물고 있고 눈을 크게 뜨고 상대를 빤히 바라다 , ,

Wodurch Kunstwerke wirken, Köln: DuMont, 1978, p. 136).

18) M. Schuster and H. D. Dumpert, Kunstpsychologie. Was finden wir warum schön? Psychologie Heute , 1979, 6 (4), p. 33.

19) M. Schuster and H. Beisl, Kunst-Psychologie. Wodurch Kunstwerke

wirken, Köln: DuMont, 1978, p. 133.

(12)

보는 것과 같은 얼굴표정의 특징은 분노의 감정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된다 예 . 술작품 속에서 어떤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써 이와 같은 셰마들을 사용한 예들 을 찾아볼 수 있다 사찰의 입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찰을 지키는 수호신 상들 . 에서 이러한 특징을 관찰할 수 있고 또한 표현주의 작품에 묘사된 인물의 얼굴표 정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무의식적 차원에서 처리되는 그림인식의 과정은 작품의 내용을 의식 적 노력없이 직접적으로 처리하는 인식과정의 특성에 기인하고 있으며 이는 예술 , 적 표현과 그에 대한 미적 경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반성적 차원

반성적 반성적 차원 차원

반성적 차원

3. (reflective) 3. (reflective) 3. (reflective) 3. (reflective)

한 예술작품이 아릅답게 여겨지는가 그렇지 않은가는 오로지 그 작품자체에 의 하여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그 작품과 결합되어 연상되는 여 . 러 생각들에 의하여 더욱 크게 영향을 받는다.

20)

여행지에서 찍은 사진들은 즐거 웠던 추억 맛있는 음식 바가지와 같은 경험등을 회상하도록 한다 이러한 회상들 , , . 은 긍정적 또는 부정적 감정을 유발한다 작품에 대한 미적 경험은 이와 동일하게 . 작품이 불러일으키는 여러 생각과 연상들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 이들 대상들이 불러일으키는 연상들은 어느 한 특정한 문화권에서 어느 정도 보편 적으로 소통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어느 한 그림에 대한 평가는 그 그림이 . 이미 잘 알려진 화가에 의하여 또는 알려지지 않은 작가에 의하여 그려진 것으로 제시되느냐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실험결과들이 있다.

21)

피카소(Picasso) 와 같은 유명한 화가의 작품이 가상적인 화가의 작품으로 표시되어 있으면 덜 아 름다운 것으로 평가되어졌다 그것은 작품이 또는 작품에 묘사된 내용이 감상자에 . 게 어떻게 수용되어지느냐에 따라 그 작품에 대한 평가가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작품이 사람들에게 수용되어 나타나는 연상들은 특정문화에서 구 . 성원들에게 어느 정도는 보편적으로 소통된다 이는 대상들이 상징과 기호로 작용 .

20) 페히너는 이미 1900 년경에 미적 경험의 형식적 요인과 연합적 요인을 구별 하였다 의식적인 차원에서의 미적 경험은 페히너의 연합적 요인과 일치한다고 . 할 수 있다.

21) M. Schuster and H. D. Dumpert, Kunstpsychologie. Was finden wir

warum schön? Psychologie Heute , 1979, 6 (4), p. 38.

(13)

하여 수용되기 때문이다 즉 무엇이 부를 상징하고 권력을 상징하는지 또한 무엇 . 이 젊음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것은 어느 정도 한 문화내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공 유되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청바지는 처음에 저렴하고 편안한 노동자들의 작업복 . 에 불과했었다 그러나 이제는 젊음을 상징하고 기존문화에 대한 저항을 표현하는 . 상징적 의미로서 작용한다.

22)

이러한 대상의 상징적 의미에 의한 미적 효과는 광 고와 디자인등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다.

어떤 특정 대상의 상징적 의미는 예술작품의 예술적 표현에서 많이 사용되어져 왔다 서양의 종교화에서 좌측과 우측은 다른 의미를 지니고 있고 청색과 붉은색 . , 은 고유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어 특별한 인물의 의상 색상으로 적용되었다.

자동차 모양의 얼굴을 지닌 현대의 조각작품에서 자동차 얼굴은 기계화된 인간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해주고 있다 또한 동양의 회화에서도 다양한 동물과 식물 . 들이 묘사되어 있는데 이들 대상들은 특별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고 이들에 대한 이해는 작품에 대한 미적 경험에 크게 영향을 주게된다.

예술작품에 의한 연상과 생각들은 또한 아주 개별적이고 주관적인 의미를 지닐 수 있다 이러한 미적 경험의 특성은 예술작품에 대한 감상에서 흔히 관찰된다 동 . . 일한 작품이 많은 사람들에게 일치하는 느낌을 주기도 하지만 어떤 사람에게는 , 마음에 드는 것으로 또 다른 사람에게는 아무런 흥미를 끌지 못하는 것으로 간주 , 된다 이는 그림이 서로 다른 사람들에게 서로 다른 생각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 . 다 동일한 대상에 대한 각기 다양한 생각과 연상은 감상자 개인의 경험과 가치체 . 계들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D. 앵그르 (D. Ingres) 의 마담 무아테시에 를 예로 들어보자 화려 . 한 의상을 한 귀부인의 모습이 매우 섬세하게 묘사되어 있다 외적인 화려함에 비 . 하여 내면적 깊이가 결여되어 있는 듯한 느낌을 주는 작품이다 회화의 작품에서 . 내면적 깊이를 높게 평가하는 사람들에게 이 작품은 별다른 감동을 주지 못할 것 이다 그러나 이 외적 화려함이 연상시켜주는 풍요로움과 고상한 느낌은 어떤 사 . 람에게는 이 그림을 마음에 들게 할 수 있다 항상 가난하고 고단한 삶을 살아가 . 야 하는 사랍들에게는 이 마담 무아테시에의 여인상은 그들이 기대하고 소망하던

22) M. Schuster, Psychologie der bildenden Kunst. Eine Einführung , 참고

Heidelberg: Asanger, 1990 .

(14)

그 모습일 것이다 이 그림은 자신이 이루지 못한 소망을 동경하게 하고 고단한 . , 일상적 삶으로부터 벗어나 상상속에서 내적 평화를 얻도록 해 줄 수 있다.

23)

즉 작품이 불러일으키는 연상은 감상자들에게 어떤 특별한 의미를 지니게 되고 연상 , 의 이러한 기능이 그 작품을 선호하도록 한다 집안에 전시되어 있는 장식품들이 . 좋은 예들이다 운동경기에서 획득한 트로피는 일반적으로 그 자체로는 심미적 가 . 치는 거의 없다 그럼에도 소유자는 트로피를 거실의 가장 잘 보이는 곳에 전시해 . 놓는다 이 트로피는 소유자가 운동선수로서 가장 성공적인 순간을 떠올리게 하고 . 이는 소유자의 자기존중감을 높여주게 된다 말을 잘타는 사람은 말의 그림을 그 . 리기를 좋아한다고 한다.

24)

왜냐하면 이 그림이 자기 자신에 대한 긍적적 개념을 인식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진품을 높이 평가하고 이들로 거실을 장식하려는 행위 . 들도 동일한 의미에서 이해되어질 수 있다.

작품에 대한 미적 경험이 작품에서 불러일으키는 연상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 는 다는 것은 아는 만큼 보인다 라는 잘 알려진 사실 속에도 잘 나타나 있다 그 . 리이스의 유적지를 관광할 때 그리이스의 역사를 모르거나 관심이 없을 경우 유적 지는 단순히 폐허로 변한 옛도시의 모습일 뿐이다 그러나 그리스에 대한 지식을 . 가지고 유적지를 관람하면 그 당시 사람들의 삶과 문화에 대한 깊은 체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 작가의 의도 또는 감상자에게 제시되는 작품 . ( 의 내용 가 언어에 의한 의미의 전달과 달리 분명 ) (explicit) 하지도 않고 때로는 매 , 우 다의적이고 감상자의 경험에 의하여 매우 다르게 나타나는 예술작품일 경우 , 더욱 그러하다.

반 고호 의 구두 에서는 더렵혀지고 낡아 일그러진 구두의 V. (V. van Gogh)

모습이 매우 어둡게 묘사되어 있다 그 구두를 신고 살았을 사람의 고단한 삶을 .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그림을 그린 화가가 반 고흐이고 그의 불행했 . , 던 삶을 알고 있다면 그리고 이 그림이 일그러진 고흐 자신의 삶을 반영하는 자 , 화상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이 그림을 감상하면 깊은 감명을 받을 수 있게 된다.

23) 이주헌 , 『 내 마음속의 그림 』 , 학고재 , 1997 참고 .

24) M. Schuster, Psychologie der bildenden Kunst. Eine Einführung , 참고

Heidelberg: Asanger, 1990 .

(15)

예술작품에 대한 미적 경험은 작품자체의 미적 특성 이외에 작품에 의하여 연상되 어지는 생각들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모델에 대한 평가 모델에 대한 평가 모델에 대한 평가 모델에 대한 평가 III.

III.

III.

III.

예술심리학에서는 예술의 창조와 감상은 심리적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가 정하에 미적 대상에 대한 미적경험을 연구하고 있다 이들 연구로부터 미적 경험 . 에 대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성격의 미적 원리를 세우고자 시도하였다 이러한 . 기본적인 연구패러다임에 기초하여 예술심리학적 연구에서는 미적 대상에 대한 자 극특성과 미적 경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결과적으로 미적 . 경험에 영향을 주는 결정인자에 대한 제한된 범위의 미적경험을 다루도록 하였다.

위에서 기술하였듯이 미적 대상에 대한 미적 경험은 대상의 물리적 특성이외에 대상과의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는 연상과 사고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원리에 기초하면서 미적 경험에 영향을 주는 많은 다양한 , 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설명해 줄 수 있는 다차원 통합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다차원 통합 모델은 감각적 차원 반사적 차원 반성적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 , . 이 개의 차원으로의 구분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사실들에 기초하여 설정되었다 3 .

첫째로 이 통합모델은 그 동안 예술심리학의 범주에서 제기되었던 다양한 연구 결과들을 포괄적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모델은 미적 경험에 영향 . 을 주는 작품의 형식적 요인과 내용적 요인에 의한 영향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 실험미학에서 다루어져온 미적 대상의 물리적 특성에 의한 미적 경험의 효과 정 , 신분석이론에 의한 미적경험의 효과 그리고 보편적이면서 또한 개인에게 특수한, 주관적인 연상에 의한 미적경험의 영향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

둘째로 이 모델은 예술 작품의 감상에 관한 일상적 경험을 잘 반영하고 있다.

작품을 접했을 때 갖게 되는 직접적인 전체적 인상은 작품의 형식적 특성에 기인 하여 유발되는 감각적 차원에서의 미적 경험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정한 형태나 색상의 배열이 직접적으로 마음에 드는 것으로 또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는 것은 이러한 차원에서의 미적 경험을 통하여 설명될 수 있다 또 .

(16)

한 묘사된 어떤 내용들은 감상자에게 의식적 통제없이 본능적으로 그 대상에 대 , 한 특정한 미적 경험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그리고 작품에 관련된 여러 내용들에 . 의하여 나타나는 여러 가지 생각들과 연상들은 작품에 대한 미적 경험에 크게 영 향을 주게된다.

셋째로 이 통합 모델은 인간의 인식과정 즉 사고과정에 관한 이론적 관점과 상 , 당히 일치하는 경향이 있다 전통적으로 우리 인간의 인식은 크게 감각적 인식과 . 지성적 인식으로 분류된다.

25)

감각적 인식은 감각적 표상의 수준에서 처리되는 것으로 형태와 색상의 배열이 주는 미적 경험은 이러한 인식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지성적 인식은 개념에 의한 인식으로 직관적인 인식과 논증적인 인식으로 . 세분화 시킬 수 있다.

26)

직관적인 인식은 직접적이고 본능적이며 무의식적인 인 식으로 작품에 묘사된 대상에 의한 직접적이며 본능적인 미적반응이 이러한 인식 , 의 작용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논증적인 인식은 개념에 의한 의식적인 추론 . 의 과정을 통하여 사고하는 것으로 작품에 묘사된 내용에 의해 연상되는 생각들에 의한 미적 경험은 이 유형의 인식과 관련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위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러한 모델 형성의 근거들은 이 모델의 적합성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지 모델의 타당성을 입증하는것은 아니다 모델의 타당성 . 은 후속적인 많은 실증적인 연구를 통하여 분석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 통합모델에 의하면 미적경험은 감상자가 미적 대상과 어느 차원에서 상호작 용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고 가정하고 있다 그리고 개의 차원들은 서로 . 3 독립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서로 상이한 차원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 . 지만 동일한 대상에 대한 미적 경험에 동시에 작용한다 추상화의 경우 감각적 차 . 원에서의 상호작용이 미적 경험을 형성하는데 크게 작용하지만 형태와 색상이 일 ,

25) 스피노자에 의하면 인식은 크게 감각적 인식과 지성적 인식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지성적 인식은 다시 이성적 지식과 직관적 지식으로 분류된다 최동희 ( 공저 , 『 철학개론 』 , 고려대학교 출판부 , 1980 참고 ).

26) 여기에서는 직관적 인식과 논증적 인식이라는 로크의 분류 개념을 사용하

여 구분되었다 로크는 인간의 지식을 다음과 같은 . 3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

다 : ‘ 감각적 지식 (sensitive knowledge)’, ‘ 직관적 지식 (intuitive knowledge)’ 그

리고 논증적 지식 ‘ (demonstrative knowledge)’ ( 최동희 , 『 철학개론 』 , 고려대학

교 출판부 , 1980 참고 ).

(17)

으키는 연상과 생각들이 미적 경험에도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대상이 . 묘사되어 있는 작품에서도 작품이 불러일으키는 연상과 생각 이외에 대상이 어떻 게 묘사되어져 있는가 하는 것도 미적 경험에 중요하게 작용한다.

그리고 이 통합모델은 예술심리학의 연구방법에 대한 문제를 제기한다 지금까 . 지 예술심리학의 연구에서는 미적 경험에 영향을 주는 객관적인 변인을 밝히기 위 해서 미적 대상의 자극특성들과 미적 반응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 목적에 주로 실험적 방법과 설문지법이 예술심리학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되어졌다.

그러나 위 통합모델에서 기술하였듯이 사람들의 미적 반응은 단지 대상의 객관적 인 물리적 자극특성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미적 대상과의 인식적 상호 , 작용의 방식에 따라 각기 상이한 미적 경험이 유발된다 실제로 미적 경험에서는 . 커다란 개인차들이 관찰되고 있고 시간과 상황에 따라 개인의 미적 반응이 일정하 지 않게 나타나기도 한다 이때에 모든 피험자들의 평균값은 설명력을 지니지 못 . 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오히려 한 피험자를 대상으로한 깊이 있는 심층적인 연구 . 가 미적 경험의 현상을 밝히는데 더욱 유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물론 . 기존의 실험적 연구방법은 주로 개인차가 크지 않은 단순한 미적 대상의 연구에서 그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방법론적 엄격함에 집착하여 어느 한 방법만을 . 고집하기 보다는 오히려 다양한 방법을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다양한 차원을 지니고 있는 미적 반응을 설명하는데 더욱 적절할 것이다.

그리고 통합모델에 의하면 사람들의 미적 반응이 미적 대상에 대한 다양한 차원

에서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다르게 나타난다 추상화에 대한 미적 평가에서 그림에 .

묘사된 대상을 찾으려고 시도하는 사람과 그림을 형태와 색상들의 조화로운 구도

로 파악하려는 사람은 서로 다른 미적 평가를 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사람들의 .

미적 대상에 대한 평가를 양적으로 객관적으로 측정하는것도 중요하지만 그러한

평가를 하는 구체적인 이유를 파악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미적 평 .

가의 특성을 반영하는 예술심리학의 연구방법으로 양적 방법은 물론 질적방법의

도입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론적 문제에 대한 논의는 예술심리학 연구의 .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18)

핵심어 핵심어

핵심어 핵심어(key words) (key words) (key words) (key words)

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 통합모델(integrative model) 연합 (association)

감각적 차원 (sensory dimension) 반사적 차원 (reflexive dimension) 반성적 차원(reflective dimension) 지각(perception) 인지(cognition)

참고문헌 참고문헌 참고문헌 참고문헌

C. G. Allesch, Geschichte der psychologischen sthetik, G ttingen:

Verlag f r Psychologie, 1987.

R. Arnheim, Kunst und Sehen. Eine Psychologie des sch pferischen Auges, Berlin: de Gruyter, 1978.

R. Arnheim, Zur Psychologie der Kunst , Frankfurt a. M: Ullstein 1980.

R. Arnheim, Anschauliches Denken , K ln: DuMont, 1988.

D. E. Berlyne, Aesthetics and Psychobiology , New York:

Appleton-Century -Crofts, 1971.

D. E. Berlyne, Studies in the new experimental aesthetic: steps toward an objective psychology of aesthetic appreciation , New York: Wiley,

1974.

F. Birren, Color and Human Response, 김진한 , 색채의 영향 , 시공사 , 1983.

H. J. Eysenk and K. O. G tz, Visual aesthetic sensitivity test . D sseldoft: Concept, 1981.

D. H. Hubel and T. N. Wiesel, Receptive fields binocular interaction and functional architecture in the cats visual cortex. Journal of Physiology , 1962, 160, p. 106-154.

W. Kandinsky, ber das Geistige in der Kunst , Bern-B mplitz: Benteli,

(19)

1973.

W. Kandinsky, Punkt und Linie zu Fl che. Beitrag zur Analyse der malerischen Elemente , Bern-B mpliz: Benteli, 1973.

F. H. Mahnke, Color, Environment, and Human Response, 최승희이명순, 색채 환경 그리고 인간의 반응 도서출판 국제 , , , , 1999.

M. Schuster, Psychologie der bildenden Kunst. Eine Einf hrung , Heidelberg: Asanger, 1990.

M. Schuster and H. Beisl, Kunst-Psychologie. Wodurch Kunstwerke wirken, Köln: DuMont, 1978.

M. Schuster and H. D. Dumpert, Kunstpsychologie. Was finden wir warum schön? Psychologie Heute , 1979, 6 (4), p. 30-39.

E. Winner, Invented Worlds: The Psychology of the Arts ,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7.

이주헌 내 마음속의 그림 학고재 , , , 1997.

최동희 공저 철학개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 , , 1980.

(20)

The multi-dimensional integrative model for aesthetic experience

Mo-Young Lee*

27)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psychologically multi-dimensional integrative model that can give a comprehensive account for human aesthetic experience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psychological approaches to the aesthetic experiences have focused o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ttributes of objects and aesthetic experiences on the objects.

These previous studies, however, have failed to take into account various aspects of human aesthetic experiences, simply providing the limited understanding of them. In order that the theory of art psychology can have more explanatory power for the human aesthetic experiences, it should be able to account for not only the aesthetic responses drawn from a combination of colors and forms but also those drawn from associations and symbolic meanings that are generated from objects represented in a painting.

The present study provides an integrative model that is based on the process of human understanding of aesthetic objects and that integrates a variety of conventional models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ies on human aesthetic experiences. This new model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sensory, reflexive and reflective dimensions.

* Profssor of Sunmoon University

참조

관련 문서

셋째 그러나 제도혁명당과 같은 국가당 , (state-party) 의 탄생은 정치 적 부패가 제도화되고 구조화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이 국가당은. 시스템을

그러나 분명한 것은, 현재 농업 분야에서 가족농 형태의 농가와 영 농조합법인, 기업농 등 다양한 형태의 전문 경영체가 출현하고 있으며 이들 전문 경영체의

○ ‘경찰순찰활동의 범죄예방효과에 관한 경험적 연구 : 대구지역 조사 를 중심으로’ 라는 논문에서 미국 캔사스시에서 실시된 연구에서 순찰이 범죄발생률에

압축된 펄스의 펄스 폭을 측정하기 위해 자기 상 관계에 레이저 빔을 입사 시켜 광학 정렬을 통해 펄스 폭을 측정 하였다.... 그러나 신호결과는

스트레스와 관련요인을 살펴본 선행연구는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홍주연(2018)의 연구에서 스트레스 인지 가 없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질이

& Company.Inc.. 인식적 주체, 경험적 주체는 타자성의 영역을 부재의 영 역으로 즉각적으로 일치시킨다. 다시 말해, 이성과 현상이 구축한 총체성의 권한이 상쇄되려할

첫째,모-자미술치료는 청각장애어머니와 건청아동의 의사소통 증진에 긍정적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어머니와 아동은 사전 검사에서 문제형

최근 이러한 임플랜트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방법을 사용하고 있다.di algauge법,strai ngauge법,광탄성 응력분석법,유한요소법 등 이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