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Trends i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by obesity: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13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Trends i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by obesity: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13"

Copied!
7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Original Article

pISSN 2233-9019 ·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5;5(3, suppl. 2):382-388

KJFP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Received February 27, 2015 Revised August 28, 2015 Accepted September 7, 2015 Corresponding Author Kyung-Hee Cho

Tel: +82-31-900-0440, Fax: +82-31-900-0343 E-mail: 110369@nhimc.or.kr

Copyright © 2015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서 론

비만은 여러 가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

다.1-4) 당대사 및 지질대사에 관여하여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

증, 관상동맥질환 등을 유발하는 독립위험인자이다.5) 전세계적으 로

2000

년부터

2009

년에 걸쳐 평균 체질량지수는 꾸준히 증가해왔 다.6)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한 한국인의 비만 유병률 역시

1998

26

%에서 최근

7

년간

31

~

32

% 정도로 상승하였으며 특히 남자에서

25

.

1

%에서

37

.

6

%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또 다른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인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및 남성의 흡연율 역시 증가하고 있다.7)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뇌혈관 질환이

2013

년도 한국 인의 사망 원인

2

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심장 질환은 사망원인

3

로 보고되었다.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률은

2000

년도에 들어 점차 감소하고 있으나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2003

년 인구

10

명 당

35

.

3

명에서

2013

50

.

3

명으로 증가하고 있다.8) 과체중과 비

비만도에 따른 심혈관계 질환 위험인자의 변화 추이:

국민건강영양조사, 2001~2013

윤지현

1

, 김지선

1

, 조경희

2,*

, 지수혜

2

, 백진경

3

, 박세영

3

1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2일산병원 가정의학과, 3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정보통계학과

Trends i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by obesity: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13

Ji-Hyun Youn1, Ji-Sun Kim1, Kyung-Hee Cho2,*, Soo-Hye Ji2, Jin-Kyung Baek3, Se-Young Park3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lsan Hospital; 3Department of Biostatistics,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ackground: Mortality from coronary heart disease and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in recent year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rends i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ccording to degree of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Methods: We used data from 44,927 adults over the age of 30 years who participated i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II(2001) to VI(2013).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included hypertension, diabetes, dyslipidemia and current smoking. Trends in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according to degree of obesity were examined after age standardization.

Results: Prevalence of hypertension, diabetes and dyslipidemia was highest among the morbidly obese group, followed by the obese, overweight, and normal weight groups. From 2001 to 2013,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creased only in the morbidly obese group while in other groups it decreased after increasing, and the prevalence of DM increased in the normal and morbidly obese groups. Prevalence of dyslipidemia increased in all participants and current smoking rate increased in the morbidly obese group while it decreased in other groups.

Untreated hypertension increased in the morbidly obese group and undiagnosed diabetes and untreated dyslipidemia increased in all participants.

Conclusion: Prevalence of hypertension, DM, and cigarette smoking was observed to increase in morbidly obese participants., Thus, more careful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targeting the morbidly obese, early diagnosis of DM, and treatment of dyslipidemia targeting all adults are necessary steps in the prevention of mortality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

Keywords: obesity,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rends

(2)

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의 증가는

1998

년의

3

5

천만 달러에

2005

18

억 달러로 한국의

GDP

성장을 고려하더라도

7

년 사 이에

2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으로 인한 사회적 비 용 중 남성에서는 당뇨병, 여성에서는 고혈압으로 인한 비용이 가 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9) 우리나라 정부는 매년

1

천억원이 넘는 예산을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소 사업에 사용하고 있으나 비만 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10) 본 연구는 이전 에 연구되지 않은 비만도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 인자들의 변화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의 유병률과 흡 연율에 증감이 있는 군을 분석하여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한 대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 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2001

년 제

2

기부터

2013

년까지 제

6

1

차년도 국민 건강영양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우리나 라 국민의 건강 수준, 건강 행태, 식품 및 영양섭취 실태에 대한 전 국 규모의 조사로 목표모집단은 양로원, 군대, 교도소 등의 입소자 와 외국인 등을 제외한 대한민국 거주 국민이다. 국민건강영양조 사 제

2

기(

2001

)와 제

3

기(

2005

)에는

3

년 주기로 시행되었으나 제

4

기(

2007

~

2009

)부터는 매년 시행되고 있다. 조사 대상은 제

2

(

2001

)~제

4

기(

2007

~

2009

)는 인구주택총조사조사구와 신축아파 트 조사구를 표본추출틀로 사용하였고 제

5

기(

2010

~

2012

)는 주민 등록인구 및 아파트단지시세조사 자료를 표본추출틀로 사용하였으 며, 제

6

기(

2013

~

2015

)는 인구주택총조사구 및 가구를 표본추출 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설문조사, 검진조사에 참여 한

30

세 이상의 성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인원은 제

2

기(

2001

)

5285

명, 제

3

기(

2005

)

4611

명, 제

4

기(

2007

~

2009

)

14390

명, 제

5

기(

2010

~

2012

)

15761

명, 제

6

기(

2013

)

4880

명으로 총

44927

명으 로 결측값이 있는 대상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2. 건강 설문조사 및 검진조사

건강 설문조사에서는 면접 방법으로 교육 및 가계 소득, 고혈 압, 당뇨, 이상지질혈증의 의사 진단 및 현재 투약여부에 대해 조사 하였고 현재 흡연 여부는 자기기입식으로 조사하였다. 검진조사에 서 신체계측을 통해 신장(

0

.

1cm

), 체중(

0

.

1kg

)을 측정하였고 혈압 은 간호사에 의해 수축기 혈압 및 이완기 혈압을 측정하였다.

2008

7

월~

2010

년 혈압측정치는 팔높이 편차에 의해 보정되었다. 검 진조사에서는 최소

8

시간 공복 후 혈액채취를 통해 혈당, 콜레스

테롤 수치를 검사하였다.

LDL

콜레스테롤은

0

<

TG

400

일 때,

LDL

=

CHOL

-(

HDL

+

TG

/

5

) 계산식으로 산출하였다.

3. 비만도 및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정의(BMI 단위)

비만도(

body mass index

,

BMI

)는 체중(

kg

)을 신장(

m

)의 제곱으 로 나누어 계산하였으며

BMI

값에 따라 정상(

18

.

5

~

22

.

9kg

/

m

2), 과 체중(

23

~

24

.

9kg

/

m

2), 비만(

25

~

29

.

9kg

/

m

2), 고도비만(≥

30kg

/

m

2)

4

군으로 분류하였다.11) 고혈압은 평균 수축기 혈압

140mmHg

이상 혹은 평균 이완기 혈압

90mmHg

이상이거나 의사의 진단을 받거나 고혈압 약물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당뇨는 공복혈당

126mg

/

dL

이상이거나 의사의 진단을 받거나 당뇨 약물 을 복용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12,1 3) 이상지질혈증은 계산된

LDL

160mg

/

dL

이상이거나 의사의 진단을 받거나 이상지질혈증 약 물을 복용하는 경우로 정의하였다.14) 이상지질혈증의 경우 의사의 진단, 약물 복용 여부에 대해 제

3

기(

2005

)부터 조사에 포함되어 제

2

기(

2001

)는 제외하고 분석하였다.

4. 통계적 방법

대상자들의 비만도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들의 시계열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SAS 9

.

2

통계 팩키지를 이용하였다. 국민건 강영양조사에서 제공하는 각 기수별 연령분포가 다르기 때문에 기 수별 비교를 위해,

2009

년도 추정 인구 자료를 기준으로 연령 표준 화로 보정하였다.

결 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연구 대상자들의 특성에 대해 각 기수별로 일반적인 특성을 조사 하였다. 평균 연령은

49

.

11

세에서

51

.

11

세로 증가하였고 평균

BMI

23

.

99kg

/

m

2에서

24

.

18kg

/

m

2으로 약간 증가하였다. 비만도 수준 에서 보면 과체중 그룹은

26

.

38

%에서

24

.

90

%로 감소한 반면 고도 비만 그룹이

3

.

32

%에서

4

.

92

%로 증가하였다(

Table 1

).

2. 비만도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의 변화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의 유병률은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 록 증가하였다. 제

2

기(

2001

)부터 제

6

1

차년도(

2013

)까지 연령 표준화를 시행한 비만도에 따른 고혈압 유병률 추이를 보면 정상 군에서는

1

.

61

% 감소하였고 과체중군에서는 제

4

기(

2007

~

2009

) 와 제

5

기(

2010

~

2012

)에

3

%가량 증가하였으나 제

6

1

차년도 (

2013

)에는 제

5

기(

2010

~

2012

)보다

4

.

8

%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

(3)

Ji-Hyun Youn, et al. Trends i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by obesity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13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다. 비만군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고도비만군에서는 지속적으 로 증가추세를 보이며

9

.

01

%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받지 않 고 있는 고혈압의 경우 제

3

기(

2005

), 제

4

기(

2007

~

2009

), 제

5

(

2010

~

2012

)에 증가추세였으나 제

6

1

차년도(

2013

)에 감소하는 추세로 정상군, 과체중군, 비만군에서는 제

2

기(

2001

)와 비슷하나 고도비만군은

2

.

10

%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able 2

).

당뇨의 경우 정상군과 고도비만군에서

1

.

45

%,

2

.

16

%의 유의 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진단받지 않은 당뇨의 경우 연령표 준화 결과 제

2

기(

2001

)와 제

3

기(

2005

)에서

0

%였으나 제

4

(

2007

~

2009

)부터 네 군에서 모두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고도 비만군에서 제

6

1

차년도(

2013

)에 가장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 났다(

Table 3

).

이상지질혈증의 경우 네 군 모두

2005

년부터

2013

년까지 꾸준히 증가추세를 보이며 특히 과체중군에서

8

.

61

%로 가장 많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치료받지 않고 있는 이상지질혈증 역시 네 군 에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Table 4

).

다른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들과는 다르게 흡연의 경우 정상군에 서 감소추세가 뚜렷하여

7

.

39

%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고 과체중, 비

만군에서는 제

4

기(

2007

~

2009

), 제

5

기(

2010

~

2012

)에 약간 증가 하였으나 전체적으로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고도비만군 에서는 흡연율이

4

.

22

% 증가하였는데 특히 제

6

1

차년도(

2013

) 에서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Table 5

).

추가로 남녀 인구에서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차이를 보기 위 하여 비만도에 따른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흡연의 유병률 을 성별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남녀 모두 고혈압, 당뇨 및 제

6

(

2013

)를 제외한 이상지질혈증의 유병률이 고도비만군에서 높게 나 타났다. 고혈압의 경우 남성은 비만, 과체중, 정상군에서 비슷한 수 준을 유지하거나 감소하는 반면 고도비만군에서

48

.

97

%~

65

.

21

% 로 크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여성의 경우 비만군의 유병률은

34

.

68

%에서

30

.

78

%로 감소, 고도비만군의 유병률은

47

.

68

에서

49

.

11

%로 증가하였다. 남성 비만군, 고도비만군의 당뇨 유병률은 각각

12

.

23

에서

15

.

71

%,

30

.

21

에서

36

.

02

%로 증가하였으며 이상 지질혈증은 제

6

기(

2013

)를 제외하고는 남성과 여성의 모든 군에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흡연율은 남성의 경우 모든 군에서 감소 추세이나 여성의 경우 고도비만군의 흡연율이

5

.

49

에서

14

.

56

%로 크게 증가하였다(

Figure 1

).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Korean adult aged 30 years and older, KNHANES 2001~2013

II(2001) III(2005) IV(2007~2009) V(2010~2012) VI(2013)

Sample size 5285 4611 14390 15761 4880

Age, mean years(SE) 49.11(0.34) 49.02(0.32) 49.70(0.21) 50.55(0.21) 51.11(0.41)

Sex, men, N(%) 2330(43.91) 1976(44.71) 6096(49.23) 6777(49.49) 2111(49.51)

BMI, mean(kg/m2)(SE) 23.99(0.04) 24.14(0.49) 24.08(0.03) 24.14(0.03) 24.18(0.05)

BMI group, N(%) 18.5 to <23kg/m2 23 to <25kg/m2 25 to <30kg/m2

≥ 30 kg/m2

2094(39.84) 1393(26.38) 1625(30.44) 173(3.32)

1738(37.58) 1235(26.71) 1480(32.22) 158(3.47)

5689(38.63) 3721(26.06) 4436(31.39) 544(3.9)

6354(39.08) 3997(25.24) 4806(31.36) 604(4.30)

1944(39.28) 1222(24.90) 1493(30.87) 221(4.92)

Table 2. Age standardized prevalence(95% CI) of hypertension by BMI group

II(2001) III(2005) IV(2007~2009) V(2010~2012) VI(2013)

% point change from 2001 to 2013(95% CI) Total hypertension*

Normal Overweight Obese Morbidly obese

21.7(19.6~23.8) 27.5(25.1~29.9) 39.1(36.5~41.6) 48.8(41.5~56.1)

21.8(19.7~23.9) 27.2(24.9~29.5) 40.1(37.4~42.7) 45.7(38.4~53.0)

21.5(20.2~22.8) 30.8(29.4~32.3) 42.1(40.3~43.8) 58.6(53.6~63.6)

23.4(22.2~24.6) 30.9(29.2~32.6) 41.8(40.1~43.5) 53.4(49.0~57.9)

20.1(18.2~22.0) 26.1(23.5~28.8) 38.3(35.5~41.2) 57.8(49.9~65.7)

- 1.61(-2.8, -0.4) - 1.40(-2.7, -0.0) - 0.74(-2.2, 0.71) 9.01(7.53, 10.5) Untreated hypertension

Normal Overweight Obese Morbidly obese

0.42(0.12~0.71) 0.71(0.29~1.12) 1.12(0.58~1.65) 0.00(0.00~0.00)

1.62(0.97~2.26) 2.06(1.18~2.94) 3.06(2.13~3.99) 4.89(1.46~8.32)

1.19(0.83~1.56) 2.03(1.45~2.61) 2.51(1.97~3.05) 3.31(1.54~5.07)

1.08(0.77~1.39) 1.47(1.02~1.92) 1.98(1.46~2.50) 1.12(0.14~2.09)

0.47(0.12~0.83) 0.55(0.03~1.08) 1.08(0.50~1.66) 2.10(~0.1~4.39)

0.05(-0.1, 0.26) - 0.15(-0.3, 0.07) - 0.03(-0.3, 0.27) 2.10(1.72, 2.49)

* Total hypertension :self-report of diagnosis of hypertension or anti-hypertensive medication or systolic blood pressure≥140mmHg or diastolic blood pressure≥

90mmHg

Untreated hypertension :systolic blood pressure≥140mmHg or diastolic blood pressure≥90mmHg and no self report of anti-hypertensive medication

(4)

고 찰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2

기(

2001

)부터 제

6

1

차년도(

2013

)까 지 비만도에 따른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의 유병률과 흡연율 의 추이를 확인한 결과 연령표준화 이후 고혈압 유병률과 흡연율 은 고도비만군에서만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였다. 다른 군에서는 고혈압은 제

5

기(

2010

~

2012

)까지 증가추세였으나 제

6

1

차년도 (

2013

)에서부터 감소추세로 변화하기 시작하였으며, 흡연율은 감

소지하고 있었다. 당뇨는 정상군, 고도비만군에서 지속적인 증가추 세이며 이상지질혈증은 모든 군에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고혈 압, 당뇨, 이상지질혈증의 유병률은 비만도가 증가할수록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심혈관 위험인자가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난

Framingham Heart Study

와 일치하는 결 과이다.15) 고혈압의 경우 고도비만군을 제외하고는 제

6

1

차년도 (

2013

)에서 감소추세가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이는 흡연이 혈관 질 환의 강력한 위험인자임을 고려해 볼 때 흡연율 감소 추세로 인한 Table 4. Age standardized prevalence(95% CI) of dyslipidemia by BMI group

  III(2005) IV(2007~2009) V(2010~2012) VI(2013)

% point change from 2005 to 2013

(95% CI) Total dyslipidemia*

Normal Overweight Obese Morbidly obese

7.25(5.83~8.67) 10.9(9.07~12.8) 14.7(12.9~16.5) 14.6(9.83~19.4)

9.61(8.71~10.5) 13.4(12.2~14.6) 17.1(15.8~18.5) 20.1(16.2~24.1)

11.7(10.7~12.6) 16.1(14.8~17.4) 22.0(20.5~23.5) 26.7(22.5~30.8)

13.6(11.8~15.5) 19.5(17.2~21.8) 21.2(18.9~23.6) 19.5(14.5~24.5)

6.43(5.45,7.42) 8.61(7.47,9.76) 6.52(5.32,7.72) 4.90(3.74,6.07) Untreated dyslipidemia

Normal Overweight Obese Morbidly obese

0.19(-0.0~0.45) 0.42(0.06~0.77) 0.50(0.16~0.84) 0.53(-0.5~1.57)

0.70(0.45~0.94) 0.85(0.54~1.17) 1.47(1.04~1.91) 0.61(0.00~1.22)

0.87(0.62~1.12) 1.16(0.70~1.61) 1.20(0.87~1.54) 1.15(0.33~1.97)

1.33(0.78~1.89) 1.48(0.82~2.14) 1.55(0.79~2.31) 2.12(0.29~3.94)

1.14(0.82,1.45) 1.06(0.72,1.40) 1.05(0.70,1.39) 1.58(1.18,1.98)

* Total dyslipidemia :self-report of diagnosis of dyslipidemia or medication to lower cholesterol or LDL ≥160mg/dL

Untreated dyslipidemia: LDL ≥160mg/dLand no self report of medication to lower cholesterol

Table 5. Age standardized prevalence(95% CI) of smoking by BMI group

II(2001) III(2005) IV(2007~2009) V(2010~2012) VI(2013)

% point change from 2001 to 2013(95% CI) Current smoking

Normal 27.7(25.6~29.9) 23.7(21.5~25.9) 24.3(23.0~25.6) 23.7(22.2~25.1) 20.3(18.0~22.7) - 7.39(~8.6,~6.1) Overweight 25.0(22.6~27.4) 23.4(20.9~25.9) 25.4(23.7~27.1) 25.3(23.4~27.3) 22.0(19.0~25.0) - 2.99(~4.2,~1.7) Obese 26.2(24.2~28.2) 21.9(19.4~24.4) 27.9(26.3~29.5) 27.2(25.5~28.9) 25.1(22.5~27.8) - 1.08(~2.3,0.21) Morbidly obese 23.4(17.2~29.6) 24.2(16.7~31.6) 23.8(19.9~27.6) 23.5(19.8~27.3) 27.6(20.6~34.6) 4.22(2.89,5.55) Table 3. Age standardized prevalence(95% CI) of diabetes by BMI group

II(2001) III(2005) IV(2007~2009) V(2010~2012) VI(2013)

% point change from 2001 to 2013(95% CI) Total diabetes*

Normal Overweight Obese Morbidly obese

6.74(5.56~7.92) 9.99(8.37~11.6) 13.5(11.8~15.2) 22.7(15.8~29.6)

6.65(5.47~7.83) 10.0(8.51~11.6) 11.6(9.96~13.2) 16.9(10.8~23.0)

7.02(6.24~7.81) 9.55(8.55~10.5) 14.2(13.1~15.3) 22.0(17.9~26.1)

7.84(7.07~8.62) 9.19(8.17~10.2) 12.5(11.5~13.6) 21.0(17.6~24.5)

8.20(6.82~9.58) 10.2(8.32~12.1) 14.2(12.4~15.9) 24.9(18.8~31.0)

1.45(0.64, 2.26) 0.22(- 0.6, 1.13) 0.69(- 0.3, 1.73) 2.16(0.87, 3.45) Undiagnosed diabetes

Normal Overweight Obese Morbidly obese

0.00(0.00~0.00) 0.00(0.00~0.00) 0.00(0.00~0.00) 0.00(0.00~0.00)

0.00(0.00~0.00) 0.00(0.00~0.00) 0.00(0.00~0.00) 0.00(0.00~0.00)

0.02(- 0.0~0.05) 0.09(- 0.0~0.20) 0.04(- 0.0~0.11) 0.00(0.00~0.00)

0.05(- 0.0~0.11) 0.08(0.00~0.16) 0.06(- 0.0~0.13) 0.12(- 0.1~0.36)

1.59(0.84~2.33) 2.06(1.10~3.02) 3.46(2.42~4.51) 6.44(2.79~10.0)

1.59(1.25, 1.92) 2.06(1.68, 2.44) 3.46(2.97, 3.96) 6.44(5.78, 7.10)

* Total diabetes :self-report of diagnosis by doctor orfasting plasma glucose ≥126mg/dL

Undiagnosed diabetes: fasting plasma glucose ≥126mg/dL and no self report of diagnosis

(5)

Ji-Hyun Youn, et al. Trends i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by obesity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13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Figure 1. Trends in the proportion of total hypertension, diabetes, dyslipidemia, smoking by BMI group Hypertension

Diabetes

(1) Male (2) Female

(1) Male (2) Female

Dyslipdemia

Smoking

(1) Male (2) Female

(1) Male (2) Female

(6)

효과로 해석해 볼 수 있다.16) 고도비만군의 흡연률 증가는 제

6

1

차년도(

2013

)에서 두드러져 이에 대해서는 추후

2

,

3

차년도 자료를 함께 분석하여 변화 추이를 재 확인 하는 것이 필요하다.

2013

년 발표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만

30

세 이 상 고혈압 유병률은

30

.

4

%, 당뇨 유병률은

11

.

9

%,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은

15

.

9

%, 만

19

세 이상 비만 유병률은

32

.

5

%, 흡연율은 남

42

.

1

%, 여성

6

.

2

%였다.7) 비만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원 인으로 서구화되어가는 식습관의 변화를 생각해볼 수 있다. 인스턴 트 음식과 서양식 음식 섭취의 증가로 지방 섭취가 늘어나고 있으 며 이는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들의 유병률을 증가를 가져오게 된 다.17) 우리나라 비만 유병률 추이의 특징은 남성에서는 비만이 증가 하고 있으나 여성의 경우 비만 유병율이

1998

26

.

2

%에서

2013

25

.

1

%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7) 흡연율의 감소가 지속적인 담배 가격 인상과 함께 금연구역 확대, 금연 클리닉, 금연 홍보 및 교육 등 다양한 금연 정책에 기인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비만에 대해서도 그 특징에 맞게 목표 집단을 정해 차별화된 비만예 방관리 전략과 정책을 이끌어나가는 것이 필요하다.18, 19)

본 연구에서 치료하지 않고 있는 고혈압의 경우 고도비만군을 제 외한 정상, 과체중, 비만군에서 증가하다가 제

5

기(

2010

~

2012

)부 터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의사의 진단을 받지 않은 당뇨와 치료하지 않고 있는 이상지질혈증은 모든 군에서 증가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경우

1999

년부터

2010

년까지 비만도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유병률 추이를 보았을 때 치료하지 않는 고혈압, 이상 지질혈증의 유병률이 감소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 경향은 비만 한 사람들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20) 또한 최근 관상동맥 질환 으로 인한 사망률 감소의

44

%는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흡연과 같 은 위험 인자들의 감소에 기인한다고 분석한 연구가 있다.21)

우리나라의 경우 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하는 국가 건강검진 수 검률을 보면

1

차검진의 경우

1995

48

.

0

%에서

2013

72

.

1

% 로 크게 증가하였으나

2

차검진의 경우

1996

71

.

3

%에서

2013

37

.

2

%로 크게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22) 수검률에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비만군이 정상군이나 저체중군보 다 검진을 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23) 국가 건강검진 사업 확 대를 위한 정책 수립 과정에서 비만군을 대상으로 하는 홍보 및 교 육이 필요하며

1

차 검진에서 당뇨, 고혈압이 확인되는 경우

2

차 검 진 수검률을 높일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특히 고혈압, 당뇨, 이 상지질혈증이 모두 증가하고 있는 고도비만군에서의 건강검진과 치료가 더욱 필수적이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마련이 필요 하다.

이 연구는 전 국민에서 확률표본추출방법에 의해 선정된 대상 자를 대상으로 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일반 인구를 대표하는 결과라고 볼 수 있으며, 비만도에 따라 심혈관 질 환 위험 인자의 변화 추이를 본 첫 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이상지질혈증의 진단 및 치료 여부에 대 해 제

2

기(

2001

) 자료가 없이 제

3

기(

2005

)부터 연구에 포함되어 정 확한 변화 추이를 보는데 미흡한 점이 있다. 또한 제

2

기(

2001

)와

3

기(

2005

)의 진단받지 않은 당뇨의 경우 연령표준화 후

0

.

00

로 추정되어 이 후의 변화 추이가 과다하게 해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고도비만군에서 고혈압, 당뇨의 유병률과 흡연율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과 전체 연구대상에서 진단받지 않은 당뇨와 이상지질혈증 및 치료하지 않는 이상지질혈증의 유병률이 증가 추세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도비만군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기 위하여 우리나라 성인의 당뇨, 이상지질혈증을 적극적으로 진단하 고 치료하는 것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함을 시사한다.

요 약

연구배경: 한국의 비만 유병률과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성인에서 비만도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들의 변화 추이를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2001

년에서

2013

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30

이상의 성인

44927

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은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및 현재 흡연여부이며 각 비만도 그룹에서 연령 표준화 후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들의 유병률 변화 추이를 평가하였다.

결과: 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의 유병률은 모두 고도비만군이 가장 높으며 그 다음으로 비만, 과체중, 정상군 순서였다. 유병률 추이는 고혈압은 고도비만군만 증가하고 다른 군은 증가하다 감소 추세, 당뇨는 정상, 고도비만군에서 증가 추세, 이상지질혈증은 모 든 군에서 증가 추세이고 흡연률은 고도비만군에서만 증가하였고 다른 군은 모두 감소하였다. 치료받지 않은 고혈압은 고도비만군에 서만 증가하였으며, 진단받지 않은 당뇨와 치료받지 않은 이상지질 혈증은 모든 군에서 증가하였다.

결론: 고도비만군에서 고혈압, 당뇨의 유병률과 흡연율이 증가 추

(7)

Ji-Hyun Youn, et al. Trends i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by obesity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1~2013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세를 보이고 있으므로 고도비만군의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을 관리 하는 것과 전체 성인의 당뇨, 이상지질혈증 진단과 치료에 힘써 감 소 추세로 이끄는 것이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는데 중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단어: 비만도, 심혈관 질환 위험 인자, 국민건강영양조사, 추이

REFERENCES

1. Jee SH, Pastor-Barriuso R, Appel LJ, Suh I, Miller ER 3rd, Guallar E. Body mass index and incident ischemic heart disease in South Korean men and women. Am J Epidemiol 2005;162:42–48.

2. Song YM, Sung J, Davey Smith G, Ebrahim S. Body mass index and ischemic and hemorrhagic stroke: a prospective study in Korean men. Stroke 2004;35:831–836.

3. Allison DB, Fontaine KR, Manson JE, Stevens J, VanItallie TB.

Annual deaths attributable to obesity in the United States. JAMA 1999;282:1530–1538.

4. Hubert HB, Feinleib M, McNamara PM, Castelli WP. Obesity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 26- year follow-up of participant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1983;67:968–977.

5. Foucan L, Hanley J, Deloumeaux J, Suissa S. Body mass index(BMI) and waist circumference(WC) as screening tools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Guadeloupean woman. J Clinical Epidemiology 2002;55:990-996.

6. Yatsuya H, Li Y, Hilawe EH, Ota A, Wang C, Chiang C, et al.

Global Trend in Overweight and Obesity and Its Association With Cardiovascular Disease Incidence. Circ J. 2014;78(12):2807-2818.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1)[Internet].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cited 2014 Nov 16]. Available from: http://

knhanes.cdc.go.kr.

8. KOSIS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4. [cited 2014 Sep 23]. Available from:http://kosis.kr.

9. Kang JH, Jeong BG, Cho YG, Song HR, Kim KA. Socioeconomic Costs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n Adults. J Korean Med Sci. 2011;26(12):1533-1540

10. Ahn SY. Eumju, oundong, bimanjipyoakhwa, jungche [Internet].

Nocut news.[cited2012 Apr 19].Korean. Available from: http://www.

nocutnews.co.kr/news/931238.

11. Steering Committee of the Western Pacific Reg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and the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Melbourne: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td.; 2000.(p.17-18.) 12.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he seventh

report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JNC-7).

Bethesda(M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4.

13. World Health Organization. Definition,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its complication.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1.

14.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Third report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NCEP) Expert Panel 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Cholesterol in Adults (Adult Treatment Panel III). Bethesda(M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2.

15. Hubert HB, Feinleib M, McNamara PM, Castelli WP. Obesity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 26 year follow-up of participants in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1983;67(5):968-976.

16. Teo KK, Ounpuu S, Hawken S, Pandey MR, Valentin V, Hunt D, et al. Tobacco use an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in 52 countries in the INTERHEART study: a case-control study. Lancet 2006;368:647-58.

17. Shin HJ, Cho E, Lee HJ, Fung TT, Rimm E, Rosner B, et al. Instant Noodle Intake and Dietary Patterns Are Associated with Distinct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Korea. J Nutr. 2014;144(8):1247- 1255.

18. Song TM. Changes in smoking rates of male adults in Korea and smoking cessation policy: Focus on smoking cessation clinic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2011; 173: 55-63.

19. Kim HR. Policy Suggestions on Obesity Prevention Strategies and Programs.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0;163:39-49 20. Saydah S, Bullard KM, Cheng Y, Ali MK, Gregg EW, Geiss L, et al.

Trends in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by Obesity Level in Adults in the United States, NHANES 1999-2010. Obesity (Silver Spring). 2014;22(8):1888-1895.

21. Ford ES, Ajani UA, Croft JB, Critchley JA, Labarthe DR, Kottke TE, et al. Explaining the decrease in U.S. deaths from coronary disease, 1980-2000. N Engl J Med. 2007;356:2388-2398.

22.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2013 National Health Screening Statistical Yearbook. Seoul: Sekwang design printing; 2014. P. 52- 53.

23. Lee NR. Factors of Taking a Health Examination. [thesis]. Seoul: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Korea University; 2012. Korean

수치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Korean adult aged 30 years and older, KNHANES 2001~2013
Table 5. Age standardized prevalence(95% CI) of smoking by BMI group
Figure 1. Trends in the proportion of total hypertension, diabetes, dyslipidemia, smoking by BMI group Hypertension Diabetes                (1) Male (2) Female                (1) Male (2) Female Dyslipdemia Smoking                (1) Male (2) Female

참조

관련 문서

The HbA1c level is correlated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 in non diabetic elderly population and we suggest that HbA1c may predict cardiovascular risk as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vitamin D and Sarcopenia among all adults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National Health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it as a basis for the health care guidelines for the muscle mass and cardiovascular disease of Korean population by

We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marital status and current smoking, including interaction with marriage, occupation level, and Year.. Methods : We used the Korea National

showing an association between HGS and fracture risk are similar. 30) reported a relationship between HGS and muscle qual- ity in Australian women, with the mean HGS and

socioeconomic status and thyroid cancer prevalence;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2010-2011. Jung YI, Kim

Health behavior of multicultural and general family adolescents in Korea: the Korea Youth Risk.. Behavior

Prevalence of Undiagnosed Diabetes and Related Factor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The 2011-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