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orrelation between Serum Uric Acid and Bone Mineral Content in Healthy Women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orrelation between Serum Uric Acid and Bone Mineral Content in Healthy Women"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서 론

골다공증은 골밀도의 감소와 미세구조의 이상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적인 골격계 질환이다.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은 50세 이상 여 성의 59.5%, 남성의 23.8%가 평생 한 번 이상 경험할 정도로 발생률이 높은 질환이다.1-3)

국내 성인은 20대에 골밀도가 최고치에 이른다. 여성은 남성보다 체격도 작고, 최고 골밀도 자체가 낮으며, 폐경 후 에스트로겐 감소 로 골소실량이 많아지는 등의 이유로 노년기 여성의 골다공증 유병 률은 남성보다 약 2.5배 높다.4)

골밀도는 연령, 성, 인종, 폐경 여부, 체형, 비만, 골다공증의 가족력

과 같은 유전적 유인과 더불어 음주, 흡연, 운동, 식사, 약물복용 등의 생활습관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최근에는 호모시스테인, 비타민 D, 당화혈색소, 알카리인산분해효소, 요산 등의 생화학적 지표의 역 할도 밝혀지고 있다.5,6)

혈중 요산은 인간에게는 퓨린 대사의 최종 산물로 체내에 가장 풍부한 항산화 물질 중 하나로, 혈장 내에 존재하는 자유 라디칼의 2/3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7) 최근 많은 연구를 통해 높은 농도의 혈중 요산은 골 건강 상태의 대리표지자 역할과 골소실에 대해 잠재 적인 보호인자로 고려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8-13) 고령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에서는 여러 인자들을 보정한 후에도 혈중요산이 높 은 군일수록 높은 골밀도를 유지하였고, 골다공증 가능성도 적었

Received July 5, 2018 Revised August 14, 2018 Accepted September 12, 2018

Corresponding author Kyu Nam Kim Tel: +82-2-950-1150, Fax: +82-2-950-4093 E-mail: kimkn@paik.ac.kr

ORCID: http://orcid.org/0000-0003-4168-4616

Copyright © 2019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 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Original Article

https://doi.org/10.21215/kjfp.2019.9.1.83 eISSN 2233-9116

Korean J Fam Pract. 2019;9(1):83-88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건강한 성인 여성에서 혈중 요산농도와 골무기질함량의 상관관계

조성문, 신덕현, 정지인, 김규남*, 이선영, 김종우, 백정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가정의학교실

Correlation between Serum Uric Acid and Bone Mineral Content in Healthy Women

Sung Moon Cho, Deok Hyun Shin, Ji In Jung, Kyu Nam Kim*, Seon Yeong Lee, Jong Woo Kim, Jeong Ki Paek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anggye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Background: Osteoporosis is a systemic skeletal disease characterized by reduced bone mineral density and skeletal microstructural abnormalities.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erum uric acid (SUA) levels and bone mineral content (BMC) values as a surrogate marker of bone health.

Additionally, we assessed whether the correlation, if any, was evident even after classifying the study population into two groups based on a diagnosis of obesity in these individual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936 women who visited the healthcare centers that participated in this study. Fasting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rom all women to measure SUA, BMC of the lumbar spine was measured using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We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UA and BMC in obese and non-obese groups.

Results: SUA concentration and BMC were positively correlated (β=0.257, P=0.001); however, this correlation was significant only in the obese group (β=0.203, P=0.001).

Conclusion: SUA concentration and BMC are positively correlated in women diagnosed obesity.

Keywords: Female; Body Mass Index; Uric Acid; Bone Mineral Content

(2)

Sung Moon Cho, et al. Correlation between Serum Uric Acid and BMC in Healthy Women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다.8) 하지만, ‘실제 인간 생체 내에서 요산자체가항산화물질로 작용 하고 있다’라는 가설은 아직도 논란거리이며, 실제로 이 가설이 적용 되지 않았던 연구도 있었다.14)

골밀도는 골크기에 대한 골무기질함량의 비를 나타낸 지표로, 신 장과 체격에 따른 골크기 자체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혈중 요산과 요추 부의 골무기질함량자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했다. 또한, 비만 여부에 따라 집단을 나누었을 때에도 그 상관관계가 유지되는지 확 인하고자 했다.

방 법

1. 연구 대상

2016년 1월 1일부터 2017년 9월 30일까지 서울 소재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하여 골무기질 함량(bone mineral content)을 측 정한 성인 여성 1,1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IRB 승인: SGPAIK/2018- 04-032). 이 중 골무기질 함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비스포스포네이 트, 스테로이드제, 비타민 D, 칼슘제 등을 복용 중인 여성과 요산 배 출제, 요산 생성 억제제, 호르몬제를 복용 중인 여성을 제외하였다.

또한, 이차적으로 뼈와 요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암, 관절염, 만성 신 질환, 갑상선 기능 이상 등의 병력이 있는 여성도 제외하여 총 9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설문조사 및 검사 측정

검진에 앞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설문지에는 과거

병력, 최근 약물 복용력, 음주, 흡연, 운동과 같은 생활습관 등이 포 함되었다.

신장과 체중은 신장-체중자동측정기(Inbody BSM330; Inbody,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수치를 토대로 체질량지 수(body mass index, BMI)를 계산하였다. 세계보건기구 아시아-태평 양 기준(World Health Organization, Asia-Pacific Perspective, 2000)에 따라 BMI 25 kg/m2 이상인 경우를 비만, 18.5 kg/m2 미만을 저체중으 로 정의하였다.15)

12시간 공복 후 시행한 혈액검사를 통해 혈중 요산(serum uric acid, SUA), 당화혈색소(glycated hemoglobin, HbA1c), 알칼리인산분 해효소(alkaline phosphatase, ALP), 혈중 25-OH 비타민 D를 연구 변 수로 수집하였다. 25-OH 비타민 D는 competitive radioimmunoassay (RIAtest, 25OH-VIT.D3-RIA-CT, BIOSOURCE, Belgium, Europe; R- counter, COBRA 5010 Quantum, PACKARD, Meriden, CT, USA) 방법 으로 분석하였다. 염증 표지자로 고감도 C-반응단백(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을 측정하였다.

3. 골무기질 함량 측정

골무기질 함량은 양에너지방사선골밀도측정기(dual energy X-ray absorptionmetry, DXA 모델; Discovery-W, Hologic, Boston, USA)를 이 용하여 요추부(L1–L4)의 골량을 확인하였다.

4. 통계분석

연구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혈 중요산수치는 삼분위수(UA1: UA <4.0 mg/dL, UA2: 4.0 mg/

Table 1.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and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erum uric acid tertiles

Characteristic All (n=936) UA1 (n=282) UA2 (n=336) UA3 (n=318)

P-value

UA<4.0 4.0≤UA<4.8 UA≥4.8

BMC (g) 53.22±10.20 51.84±8.96 53.01±11.31 54.67±9.82 0.003

BMD (g/cm2) 0.922±0.142 0.901±0.134 0.913±0.149 0.948±0.139 0.002

UA (mg/dL) 4.43±0.85 3.50±0.38 4.34±0.23 5.36±0.54 <0.001

Age (y) 50.21±12.25 50.21±11.00 49.00±12.69 51.50±12.76 0.33

Height (cm) 157.23±5.56 156.84±5.35 157.85±5.77 156.93±5.47 0.41

Weight (kg) 57.65±8.78 55.49±7.64 56.82±7.67 60.43±10.04 <0.001

BMI (kg/m2) 23.34±3.45 22.59±3.14 22.83±3.06 24.53±3.78 <0.001

ALP (IU/L) 62.77±18.36 61.64±17.23 61.29±19.22 65.34±18.18 0.009

hs-CRP* (mg/dL) 0.12±0.30 0.11±0.31 0.09±0.27 0.15±0.32 0.024

Glucose (mg/dL) 91.60±19.31 92.14±22.84 89.27±15.92 93.62±18.97 0.013

HbA1c (%) 5.64±0.68 5.62±0.81 5.54±0.51 5.74±0.70 0.001

Creatinine (mg/dL) 0.66±0.87 0.63±0.08 0.65±0.08 0.69±0.09 <0.001

25(OH)D (ng/dL) 17.02±7.97 16.42±7.42 17.22±8.37 17.33±8.00 0.322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UA, uric acid; BMC, bone mineral content; BMD, bone mineral density; BMI, body mass index; ALP, alkaline phosphatase; hs-CRP,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25(OH)D, 25-hydroxyvitamin D.

*hs-CRP levels are plotted on a log scale.

(3)

조성문 외. 건강한 성인 여성에서 혈중 요산농도와 골무기질함량의 상관관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dL≤UA<4.8 mg/dL, UA3: UA ≥4.8 mg/dL)로 분류하여 일원분산분석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통한 집단 간 특성을 비교하였고, 카 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이용해 경향성 분석을 추가로 시행하 였다. 체질량지수, 요산을 포함한 각 생화학적 표지자와 골무기질 함 량의 상관성 분석은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으며, 유의한 상 관성을 보이는 인자들로 다변량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비만군과 비비만군(BMI ≥25 vs. 18.5≤BMI<25 kg/m2)으로 나 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각 집단 별로 혈중요산과 골무기질 함량의 상 관성은 Pearson’s correlation을 통해 확인하였고, 상관분석에서 유의 한 인자들로 다변량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은 IBM SPSS ver. 24 for window (IBM, Armonk, NY, USA)를 사용하여 처리하였으며 95%의 유의수준(P<0.05)에서 통계 적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1. 연구 대상자의 임상적 특성

연구 대상 여성의 골무기질 함량 평균은 53.22±10.20 g이었다. 체질

량지수의 평균은 23.34±3.45 kg/m2이었다. 혈중요산수치에 따라 삼 분위수로 나누어 각 집단 간 특성을 비교하였고, 그 결과에 따라 골 밀도를 비롯해 골무기질 함량, BMI, ALP, hs-CRP, HbA1c, creatinine 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나이, 비타민 D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1). 혈중 요산 수치가 높은 상위 집단에서 골무기질 함량이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Figure 1).

2. 골무기질 함량과 측정된 변수들의 상관관계

골무기질 함량은 UA (r=0.153), BMI (r=0.140)와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나이(r=0.297), ALP (r=0.222), 비타민 D (r=0.159)와 음 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골밀도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Table 2). 요 산과 골무기질 함량의 관계를 보기 위해 네 개의 모델(Model 1: 나이 보정, Model 2: 나이, BMI 보정, Model 3: 나이, BMI, ALP, 비타민 D 보 정, Model 4: 나이, BMI, ALP, 비타민 D, creatinine 보정)별로 다변량 선 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모델에서 혈중 요산 수치와 골무기 질 함량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Table 3).

3. 비만군에 따른 골무기질 함량과 측정된 변수들의 상관관계 BMI 25 이상에 해당되는 비만군 262명과, 저체중 54명을 제외한 BMI 25 미만인 비비만군 620명으로 나누어서 비교하였다. 두 집단

Figure 1. Bone mineral content (BMC) values according to serum uric acid tertiles. Three tertiles of serum uric acid levels using one-way ANOVA.

UA1: uric acid concentration <4.0 mg/dL; UA2: 4.0≤ uric acid concen- tration <4.8 mg/dL; UA3: uric acid concentration ≥4.8 mg/dL.

Table 2. Pearson’s correlation between BMC, BMD and variables Variables Overall (BMC) Overall (BMD)

r* P-value r* P-value

UA (mg/dL) 0.153 <0.001 0.178 <0.001

Age (y) -0.297 <0.001 -0.270 <0.001

BMI (kg/m2) 0.140 <0.001 0.171 <0.001

ALP (IU/L) -0.222 <0.001 -0.209 <0.001

log hs-CRP (mg/dL) 0.005 0.890 0.004 0.922

HbA1c (%) -0.060 0.071 -0.046 0.264

Creatinine (mg/dL) 0.088 0.005 0.043 0.184

25(OH)D (ng/dL) -0.159 <0.001 -0.126 0.002 BMC, bone mineral content; BMD, bone mineral density; UA, uric acid; BMI, body mass index; ALP, alkaline phosphatase; hs-CRP,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25(OH)D, 25-hydroxyvitamin D.

*Correlation coefficients. hs-CRP levels are plotted on a log scale.

Table 3.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erum uric acid (independent variable) and BMC, BMD (dependent variable), in different models

Model Overall (BMC) Overall (BMD)

β SE P-value AR2 β SE P-value AR2

Model 1 0.170 0.369 <0.001 0.115 0.197 0.446 <0.001 0.108

Model 2 0.104 0.375 0.001 0.168 0.129 0.445 0.001 0.170

Model 3 0.257 0.373 0.001 0.191 0.143 0.447 <0.001 0.190

Model 4 0.091 0.385 0.004 0.199 0.109 0.458 0.005 0.205

SE, standard error; AR2, adjusted R2; BMI, body mass index; ALP, alkaline phosphatase; 25(OH)D, 25-hydroxyvitamin D.

Model 1 was adjusted for age. Model 2 was adjusted for age, BMI. Model 3 was adjusted for age, BMI, ALP, 25(OH)D. Model 4 was adjusted for age, BMI, ALP, 25(OH)D, creatinine.

(4)

Sung Moon Cho, et al. Correlation between Serum Uric Acid and BMC in Healthy Women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간 골무기질 함량, 요산, 나이, ALP, CRP, HbA1c, 비타민 D의 평균은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able 4). 또한, 비만군에서 골무기질 함 량과 양의 상관성을 보인 인자는 UA (r=0.232), BMI (r=0.812)였고, 골 무기질 함량과 나이, ALP, 비타민 D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관 성이 있는 인자들을 세 모델(Model 1: 나이 보정, Model 2: 나이, BMI 보정, Model 3: 나이, BMI, ALP, 비타민 D, HbA1c, hs-CRP 보정)별로 다변량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모든 모델에서 혈중 요산과 골 무기질 함량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Table 5).

비비만군에서는 단순상관분석에서 요산과 골무기질함량이 관련 성을 보였으나, 다른 인자들을 보정한 모델에서는 관련성이 유의하 지 않았다(Table 5).

고 찰

전체 연구 대상으로 한 상관분석에서는 혈중 요산, BMI, 나이, ALP, 비타민 D 등의 인자가 골무기질 함량과 관련성이 있었다. 다변

량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다른 인자들을 보정한 후에도, 혈중 요산 수치가 높을수록 골무기질함량이 높았다.

이는 항산화 물질의 섭취가 골밀도를 증가시키고, 요산을 포함한 항산화 물질의 농도가 낮은 사람에서 골밀도가 낮다고 보고한 연구16) 와 혈중요산수치와 골밀도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한 연구17) 와 결과가 일치한다. 건강한 여성에서 여러 교란변수들을 보정한 후 에도 요산과 골밀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연구들의 결과와도 일치한

다.9,10) 최근 50세 이상 868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요추

부, 대퇴부의 골밀도 값과 요산수치의 상관연구에서 혈중 요산이 높 을수록 골밀도가 높았다고 보고하고 있다.18)

하지만, 몇몇 연구에서는 요산이 골상태에 대한보호인자로서 역 할을 입증하는데 실패하였다. 30세 이상 미국인 6,759명을 대상으로 한 국민건강영양조사(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CES]; 2005–2010)의 발표에 따르면, 단순상관관계에 서는 혈중요산농도가 높을수록 골밀도가 높은 경향성을 보였지만, BMI를 포함한 인종, 음주량, 생화학적 지표를 보정한 후에는 둘의 연 관성은 보이지 않았다.19) 이런 연구간 결과의 차이는 참여자의 특성 (성별, 나이, 인종 등), 연구 규모와 디자인, 교란 변수 의 선택에 따라 결과가 달라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국내 여성의 평균 폐경 연령은 49.7세로 폐경 후에는 에스트로겐 분비 감소로 인한 골 흡수와 골 소실이 증가하여 급격하게 골밀도 감소가 일어난다. 폐경이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본 연구에 서도 폐경 유무에 따라 혈중 요산과 골무기질 함량의 관련성을 분 석하고자 했다. 하지만 연구 대상의 폐경 유무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폐경 유무 대신 평균 폐경 연령(만 50세)을 기준으로 전후 두 집 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두 집단 모두 단순상관분석과 다변량 선 형회귀분석에서 혈중 요산과 골무기질 함량은 유의한 관련성을 보 였다(data not shown; 50세 이상: adjusted R2 (AR2)=0.145, P<0.001; 50세 미만: AR2=0.124, P<0.028).

체중은 골다공증과 골절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도 비만군과 비비만군의 두 집단으로 나누어 비교 Table 4.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non-obese group and

obese group Characteristic

Non-obese group (n=620)

Obese group

(n=262) P-value 18.5≤BMI<25 BMI≥25

BMC (g) 52.76±9.90 54.85±10.88 0.008

UA (mg/dL) 4.35±0.77 4.70±0.97 <0.001

Age (y) 48.87±11.57 55.76±11.36 <0.001

Height (cm) 157.62±5.39 155.82±5.53 <0.001

Weight (kg) 54.56±5.13 67.29±8.00 <0.001

BMI (kg/m2) 21.96±1.72 27.67±2.44 <0.001

ALP (IU/L) 60.89±17.92 68.99±18.34 <0.001

hs-CRP (mg/dL) 0.09±0.24 0.18±0.33 <0.001

HbA1c (%) 5.52±0.55 5.90±0.76 <0.001

Creatinine (mg/dL) 0.66±0.08 0.67±0.10 0.080

25(OH)D (ng/dL) 17.78±8.11 15.53±7.35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BMC, bone mineral content; UA, uric acid; BMI, body mass index; ALP, alkaline phosphatase; hs-CRP,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25(OH)D, 25-hy- droxyvitamin D.

Table 5.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erum uric acid (independent variable) and BMC (dependent variable) in different models ac- cording to obesity

Model Non-obese group Obese group

β SE P-value AR2 β SE P-value AR2

Model 1 0.071 0.481 0.057 0.132 0.217 0.217 <0.001 0.190

Model 2 0.052 0.484 0.168 0.143 0.198 0.646 0.001 0.193

Model 3 0.063 0.477 0.091 0.188 0.207 0.668 <0.001 0.194

BMC, bone mineral content; SE, standard error; AR2, adjusted R2; BMI, body mass index; ALP, alkaline phosphatase; 25(OH)D, 25-hydroxyvitamin D; hs-CRP, high-sen- sitivity C-reactive protein.

Model 1 was adjusted for age. Model 2 was adjusted for age, BMI. Model 3 was adjusted for age, BMI, ALP, 25(OH)D, hs-CRP, HbA1c.

(5)

조성문 외. 건강한 성인 여성에서 혈중 요산농도와 골무기질함량의 상관관계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하였는데, 비만군에서만 혈중 요산과 골무기질 함량이 관련성을 보 였다. 비만이 골밀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기존의 연구 보고 가 있었고,20) 비만환자에서는 체중 증가로 인해 뼈에 미치는 힘이 증 가하여 골밀도를 증가시킨다는 보고도 있었다.21) 국내 연구에서도 비만 정도가 대퇴골 경부의 골밀도를 예측하는 인자로 유용하다고 하였다.22) 본 연구에서도 비만군에서 요산과 골무기질 함량의 상관 관계가 유의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혈중 요산과 골밀도의 관계를 확인할 때, 비만 여부를 허리둘레, 체지방량, 복부 내장지방량에 따 라 집단별로 나누어 비교하였고, 그 결과 같은 비만이라 하더라도 지 방의 분포도나 특성에 따라 혈중 요산과 골밀도의 상관관계에서 차 이를 보였다.23) 이는 혈중 요산 수치가 골무기질 함량에 독립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지만, 체질량지수와 같은 변수에 의해서도 영향 을 받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향후 비만의 여러 가지 기준에 따라 혈 중 요산과 골무기질 함량의 관련성을 검토하는 전향적인 연구가 필 요할 것이다.

한편 이번 연구에서 비타민 D와 골무기질 함량은 음의 상관관계 를 보였다. 뼈에 대한 비타민 D의 역할을 고려한다면, 예상과 반대되 는 결과였다. 14,646명을 대상으로 한 미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NHANCES)의 후향적 연구에서도 혈중 비타민 D농도와 골밀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24) 하지만, 274명의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한 혈중 비타민 D농도와 골밀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서 혈중 농도 20 ng/mL기준으로 20 미만인 집단에서는 비타민 D가 낮을수록 골 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25)

세계보건기구 기준에 따르면, 비타민 D 농도에 따라 10 ng/mL 이 하를 결핍, 20 ng/mL 이하를 부족으로 정의하고 있다.26) 미국 Insti- tute of Medicine에서는 12 ng/mL 이하를 결핍, 20 ng/mL 이상을 정상 으로 보고 있다.27) 본 연구 대상의 평균 비타민 D 농도는 17.02±7.97 ng/mL이었으며, 위의 기준들을 적용할 경우 비타민 D 부족이나 결 핍 상태이기 때문에 양의 상관성을 도출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만약 비타민 D 농도가 정상이거나 충분한 집단이라면, 양의 상관성 을 보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장점을 가진다. 첫째, 국내 성인 여성을 대상으 로 한 혈중 요산 농도와 골무기질 함량의 상관성을 분석한 첫 번째 연구이며, 혈중 요산 농도가 골 상태와 관련된 독립된 인자임을 재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비만군에서 혈중 요산 농도와 골무기질 함 량의 유의한 관련성을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는 향후 혈중 요산 농 도가 골 건강 상태의 대리 표지자로 설정될 경우, 여성에서는 비만에 따라 그 설정 값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이전 연구들은 골 상태를 골밀도로 분석했지만, 본 연구는 골밀도가 아닌 골무기질 함량으로 분석함으로써 골밀도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는 골 자체의

크기를 배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 진 자료를 바탕으로 한 후향적 연구로써 연구 대상이 한국인 전체를 대표할 수 없다. 또한, 생활 습관이 다른 남성이나 다른 인종에 대해 일반화할 수 없다. 둘째, 골표지자나 골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 갑상선 호르몬 수치가 변수로 포함되지 않았으며, 흡연, 음주와 같은 생활습관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연구 대상이 대부분 건강에 관심이 많고 흡연과 과음이 거의 없는 여성이었기 때문에 결 과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을 것이다. 셋째, 요추부 골무기질 함량만 을 평가하였다. 연구 대상이 대부분 중년 여성이기 때문에 대퇴부 골무기질 함량으로 분석한 결과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만약 고 령층에 대한 연구라면, 요추부와 대퇴부 모두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일반 성인 여성에서 혈중요산농도와 골무기질 함량 은 양의 관련성이 있다. 하지만, BMI 기준에 따른 비만군에서만 유의 한 관련성이 있다. 골 상태의 대리표지자로써 혈중요산농도를 고려 할 수 있겠지만, 그에 앞서 남녀별, 비만 기준 별로 혈중 요산 농도와 골무기질 함량의 관련성을 명확히 밝혀야 할 것이다.

요 약

연구배경:

골다공증은 골무기질 함량의 감소와 미세구조의 변화 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골다공증 고위험군의 선별 지표로써 요 산을 적용하기 위해 혈중 요산 농도와 골무기질 함량의 관련성을 확 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만 유무와 상관없이 그런 관련성이 유지되 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일반 성인 여성 936명 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체 계측, 관련 대사 표지자로 혈중 요산, ALP, hs-CRP, 비타민 D, HbA1c를 수지하였고, 골밀도 측정기를 통해 요추 부의 골무기질 함량을 확인하였다.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비만군 과 비비만군으로 나누어 혈중 요산과 골무기질 함량의 관련성을 평 가하였다.

결과:

혈중 요산 농도와 골무기질 함량은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β=0.257, P=0.001). 하지만, 그 관련성은 비만군에서만 유의하였다 (β=0.203, P=0.001).

결론:

비만 여성에서 혈중 요산 농도와 골무기질 함량은 관련성이 있다.

중심단어:

성인여성; 체질량지수; 요산; 골무기질함량

(6)

Sung Moon Cho, et al. Correlation between Serum Uric Acid and BMC in Healthy Women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KJFP

REFERENCES

1.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to screening for postmeno- pausal osteoporosis. Report of a WHO Study Group. World Health Organ Tech Rep Ser 1994; 843: 1-129.

2. NIH Consensus Development Panel on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 sis, and Therapy. Osteoporosis prevention, diagnosis, and therapy. JAMA 2001; 285: 785-95.

3. Lips P, van Schoor NM.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Osteo- poros Int 2005; 16: 447-55.

4. Alswat K, Adler SM. Gender differences in osteoporosis screening: retro- spective analysis. Arch Osteoporos 2012; 7: 311-3.

5. Oh HJ. Development of guideline for life cycle osteoporosis health care. Os- ong: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Oct. Report No.: TRKO201300000299. 330 p.

6. Choi SH, Hwang DK, Song HR, Noh HJ, Kang JY, Choi DH, et al. The pre- dictors of lumbar spinal bone mineral density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J Korean Soc Menopause 2009; 15: 101-9.

7. Waring WS. Uric acid: an important antioxidant in acute ischaemic stroke.

QJM 2002; 95: 691-3.

8. Nabipour I, Sambrook PN, Blyth FM, Janu MR, Waite LM, Naganathan V, et al. Serum uric acid is associated with bone health in older men: a cross-sec- tional population-based study. J Bone Miner Res 2011; 26: 955-64.

9. Ahn SH, Lee SH, Kim BJ, Lim KH, Bae SJ, Kim EH, et al. Higher serum uric acid is associated with higher bone mass, lower bone turnover, and lower prevalence of vertebral fracture in healthy postmenopausal women. Osteo- poros Int 2013; 24: 2961-70.

10. Makovey J, Macara M, Chen JS, Hayward CS, March L, Seibel MJ, et al. Se- rum uric acid plays a protective role for bone loss in peri- and postmeno- pausal women: a longitudinal study. Bone 2013; 52: 400-6.

11. Ishii S, Miyao M, Mizuno Y, Tanaka-Ishikawa M, Akishita M, Ouchi Y. Asso- ciation between serum uric acid and lumbar spine bone mineral density in peri- and postmenopausal Japanese women. Osteoporos Int 2014; 25: 1099- 105.

12. Kim BJ, Baek S, Ahn SH, Kim SH, Jo MW, Bae SJ, et al. Higher serum uric acid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incident osteoporotic fractures in Korean men: a longitudinal study using the National Claim Registry. Osteoporos Int 2014; 25: 1837-44.

13. Lane NE, Parimi N, Lui LY, Wise BL, Yao W, Lay YA, et al. Association of se- rum uric acid and incident nonspine fractures in elderly men: the Osteopo- rotic Fractures in Men (MrOS) study. J Bone Miner Res 2014; 29: 1701-7.

14. Hershfield MS, Roberts LJ 2nd, Ganson NJ, Kelly SJ, Santisteban I, Scarlett E, et al. Treating gout with pegloticase, a PEGylated urate oxidase, provides in- sight into the importance of uric acid as an antioxidant in vivo. Proc Natl

Acad Sci U S A 2010; 107: 14351-6.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Regional Office for the Western Pacific.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2000.

16. Maggio D, Barabani M, Pierandrei M, Polidori MC, Catani M, Mecocci P, et al. Marked decrease in plasma antioxidants in aged osteoporotic women:

results of a cross-sectional study. J Clin Endocrinol Metab 2003; 88: 1523-7.

17. Xiao J, Chen W, Feng X, Liu W, Zhang Z, He L, et al. Serum uric acid is asso- ciated with lumbar spine bone mineral density in healthy Chinese males older than 50 years. Clin Interv Aging 2017; 12: 445-52.

18. Hernández JL, Nan D, Martínez J, Pariente E, Sierra I, González-Macías J, et al. Serum uric acid is associated with quantitative ultrasound parameters in men: data from the Camargo cohort. Osteoporos Int 2015; 26: 1989-95.

19. Zhang D, Bobulescu IA, Maalouf NM, Adams-Huet B, Poindexter J2, Park S, et al. Relationship between serum uric Acid and bone mineral density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in rats with experimental hyperuricemia. J Bone Miner Res 2015; 30: 992-9.

20. Silva HG, Mendonça LM, Conceição FL, Zahar SE, Farias ML. Influence of obesity on bone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Arq Bras Endocrinol Metabol 2007; 51: 943-9.

21. Felson DT, Zhang Y, Hannan MT, Anderson JJ. Effects of weight and body mass index on bone mineral density in men and women: the Framingham study. J Bone Miner Res 1993; 8: 567-73.

22. Choi H, Song TJ, Cho YK. Yang YH, Ko JK, Lee CM, et al. The validation study of BMI (body mass index), age, and body weight for prediction of os- teoporosis in Korean post- and perimenopausal women. J Menopausal Med 2005; 11: 43-8.

23. Pirro M, Mannarino MR, Bianconi V, De Vuono S, Sahebkar A, Bagaglia F, et. al. Uric acid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osteoporotic women: the link lies within the fat. Osteoporos Int 2017; 28: 973-81.

24. Bischoff-Ferrari HA, Kiel DP, Dawson-Hughes B, Orav JE, Li R, Spiegelman D, et al. Dietary calcium and serum 25-hydroxyvitamin D status in relation to BMD among U.S. adults. J Bone Miner Res 2009; 24: 935-42.

25. Napoli N, Strollo R, Sprini D, Maddaloni E, Rini GB, Carmina E. Serum 25- OH vitamin D in relation to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turnover. Int J Endocrinol 2014; 2014: 487463.

26. WHO Scientific Group o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steoporo- 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osteoporosis: report of a WHO Scientif- ic Group.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27. Ross AC, Taylor CL, Yaktine AL, Cook HD; Institute of Medicine (US), Committee to Review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vitamin D and Calci- um.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calcium and vitamin D.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11.

수치

Table 1. Baselin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and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erum uric acid tertiles
Table 2. Pearson’s correlation between BMC, BMD and variables Variables Overall (BMC) Overall (BMD)
Table 5.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between serum uric acid (independent variable) and BMC (dependent variable) in different models ac- ac-cording to obesity

참조

관련 문서

Serum uric acid levels and risk for va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if the metabolic syndrome in a Turkish

운동과 신체적 활동량은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데 체중부하운동이나 활동은 골밀도를 증가시키고 근강도와 균형유지 능력을 향상시킨다(Gambert등,1995).특히 폐경

Bone mineral content (BMC)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of the lumbar spine, total hip, and proximal femur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exercise... Results : 1) Body

Fig 4.11 Detail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material cost associated with LCI DB and environmental load. Fig 4.12 Detail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eck area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content of titratable acid as citric in fruit juice at the beginning of Sept and monthly weather conditions, the number of

Correlation between (a)salinity of surface water and TN content of surface water (b)salinity and TN content (c)salinity of surface water and TP content

We included patients who met the following criteria: 1) base- line serum uric acid level was measured within 7 days before the initiation of edaravone treatment; 2) follow-up

Keywords: Trabecular bone score, End stage renal disease, Hemodialysis, Chronic kidney disease-mineral and bone disorder, Fracture, Cardiovascu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