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임상병리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관한 의식조사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임상병리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관한 의식조사 연구"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임상병리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관한 의식조사 연구

안산1대학 임상병리과

심 문 정

A Survey Study on Clinical Practice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Students

Shim, Moon-Jung

Department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nsan College, Ansan,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 attitude related to clinical laboratory science students' clinical practice. Data for this analysis was gathered from March to May, 2004 by the questionnaires of 348 students who are in their third year in 5 colleges and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term of clinical practice (70.4%) and the first factor influencing them in clinical practice was sincerity (45.1%), and the second was basic knowledge (19.8%). In the contents of clinical practice, 53.2% were satisfied but 43.3% of them showed negative responses because their practice was limited and they were simply assistants. 74.1% were satisfied after experiencing clinical practice and the first factor was improvement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ir major (65.9%) and the second was the gain of confidence (20.1%). Among anxieties in the clinical practice, a shortage of self-confidence (47.7%) was the highest. 81.3% of them wanted to maintain medical technologist's life continuously. It appeared that the mo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the more satisfied with the clinical practice (p<0.05).

As a result,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linical practice and fresh experience generally. But they were relatively unsatisfied with the practicality, and connection with the lecture. As a part of efforts to formulate an effective system for clinical practi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ncrete goals and detail check lists to guide these students among professors, trainers and students.

Key Words : Clinical practice,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ttitude

대한임상검사학회지 : 36권 제2호, 233-238, 2004

1)

I. 서 론

현장실습은 전문대학의 전체 교육과정(curriculum)의 일부분이며, 직업교육이라는 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한 과정으로서 프로그램 혹은 학습계획의 성격을 지닌다(강 과 이, 2003).

특히 그 중 보건계열에서는 임상실습이라는 명칭으로

교신저자 : 심문정, (우)425-701 경기도 안산시 일동 752번지, 안산1대학 임상병리과

Tel : 031-400-6938

E-mail : mjshim@ansan.ac.kr

진행되고 있다. 임상실습은 대학에서 학습한 교양과목과

전공과목의 이론을 실제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통합하고

적용하여 살아있는 지식체를 창조해 내고 질 높은 전문

직을 준비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

다 (박정란, 1991). 각 대학의 교육목표, 각 기관의 특성,

또한 학생 개개인의 의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실습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생과

학교, 실습기관이 서로 협조하는 가운데 적극적이고 역동

적인 관계에서 실습교육을 진행시켜야 할 것이다. 임상실

습의 주요한 목표는 지식을 습득하고, 임상병리사로서 올

(2)

바른 태도와 전문적인 기술을 개발하는 데 있다.

과학과 의료기술이 발전하고, 현대의 건강과 질병의 형 태의 변화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임상병리 영 역에서도 새로운 역할이 요구되며, 따라서 이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우수한 전문인력을 배출하기 위한 효과 적인 임상병리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임상병리 교육은 학생이 임상병리사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지식을 습득하고 실제 상황에 적용하기 위한 방법 과 기술을 터득하고 이론과 실제를 상호 연결할 수 있도 록 시행되어야 한다. 특히 임상병리학은 실무중심의 학문 으로서 학생들은 임상실습을 통하여 학교에서 배운 이론 을 실무현장에서 실제로 통합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학생 의 잠재력을 최대한 개발시켜 창의력과 응용력을 길러주 는 학습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은 임상실습을 통해 자신의 가치관을 형성하게 되고, 임상병리사가 되어 가는 과정에서 가장 의미있는 경험을 하게 된다. 그러므 로 임상실습교육은 학생들의 요구와 능력에 맞는 인적, 물적 교육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최대한 잠재능력을 개발하고 긍정적인 경험이 되도록 효율적으 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이 임상병리과 교육에서 임상실습이 차지하는 비중과 중요성은 모두 인정하고 인식하고 있지만 임상실 습 현장의 학습에서 교수, 학생 모두는 강의실 수업과는 다른 검사실의 안전 등의 다양한 상황적인 도전을 받고 있다.

이러한 임상실습교육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실습교육에 흥미를 잃는 일이 많음이 지적되고 있다. 임 상실습교육에 대한 연구는 간호학, 치위생학, 물리치료 분야에서 많은 선행연구가 있었으나 (김주희, 1982; 김현 주, 1998; 양정승, 2000), 임상병리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습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병리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실 습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II. 대상 및 방법

1.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5개 대학 임상병리과 학생으로 임상 실습과정을 모두 마친 3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 조사방법

자료수집기간은 2004년 3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설문 지를 배부하여 조사하였으며, 조사내용은 대상자의 일반 적 특성문항과 임상실습내용, 환경, 지도, 시간, 평가 등 으로 작성한 29문항과 개방형 3문항으로 총 32문항으로 하였다.

3.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1.5 package 프로그램을 이 용하여 각 항목별로 분포와 비율을 구하였으며, 일반적 특성과의 관련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X

2

-검정을 실시하였 다.

4. 연구의 제한점

우리나라 전체 대학의 임상병리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어서 확대 해석 할 수 없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III. 결 과

1.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성별, 종교, 타과에서 의 수학경험, 건강상태, 학과선택동기, 입학 후 만족도, 대인관계, 임상실습지역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대상자 수는 5개 대학의 임상병리학 과 학생 348명 중 남자 88명, 여자 260명이었다.

2. 임상실습 분야별 빈도

각 임상실습영역을 분야별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실습 내용면에서 학습보다는 업무위주의 실제적 실습이었나?

하는 항목에서 53.2%가 긍정적인 답을 하였으며, 반면 단 순한 보조업무였다가 39.9%를 차지하였고, 강의와의 연 계성을 묻는 질문에는 긍정이 49.4%, 보통이 45.4%로 나 타났다.

실습 환경면에서는 각 파트별 실습학생 수는 75.3%가

적당했다고 했으며, 너무 많다가17.5%, 너무 적다가

(3)

표 1.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특 성 구 분 명 %

성 별 남 88 25.3

여 260 74.7

종 교 유 179 51.4

무 169 48.6

타학과 수학경험 유 29 8.3

무 319 91.7

건강상태 양호 213 61.2

보통이하 122 38.8

학과선택동기 본인 179 51.4

주변권유 150 43.1

동기없음 19 5.5

입학 후 만족도 만족 311 89.4

불만족 33 9.5

기타 4 1.1

대인관계 좋은편 148 42.5

보통 197 56.6

나쁜편 3 0.9

임상실습지역 서울 126 36.2

경기 91 26.1

전남 54 15.5

경남 34 9.8

부산 22 6.3

인천 17 4.9

충남 4 1.2

합계 348 100

표 2. 실습분야별 빈도

항 목 구 분 명 (%)

실 습 내 용

실제성

실제로 업무위주였다 185 (53.2)

아니다 12 ( 3.4)

단순한 보조업무였다 139 (39.9)

모르겠다 12 ( 3.5)

강의와의 연계성

보통 158 (45.4)

있다 172 (49.4)

없다 18 ( 5.2)

실 습 환 경

파트별 실습학생수

적당하다 262 (75.3)

너무 많다 61 (17.5)

너무 적다 25 ( 7.2)

학습분위기

보통이다 156 (44.8)

적당하다 141 (40.5)

적당치 않다 51 (14.7)

실 습 지 도

지도자의 성의

만족 166 (47.7)

보통 155 (44.5)

불만족 27 ( 7.8)

지도자와의 상호대화

만족 166 (47.7)

보통 166 (47.7)

불만족 16 ( 4.6)

효과적인 실습지도방법

실제실습 중 교육 312 (89.6)

개별지도 25 ( 7.2)

집담회 9 ( 2.6)

기타 2 ( 0.6)

집담회

도움이 되었다 204 (58.6)

미실시 96 (27.6)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 48 (13.8)

실 습 시 간

파트별 시간 배정의 적절 성

예 133(38.2)

보통 168(48.3)

아니오 47(13.5)

실습기간(8주) 의 적절성

예 245 (70.4)

아니오 103 (29.6)

실 습 평 가

이상적인 평가방법

병원평가, 시험, 보고서 203 (58.3) 병원자체만의 평가 113 (32.5) 시험, 보고서 30 ( 8.6)

기타 2 ( 0.6)

실습 후 평가

만족 162 (46.6)

보통 130 (37.4)

불만족 21 ( 6.0)

모름 35 (10.1)

7.2%로 나타났다. 강의실이나 실습공간을 묻는 질문에는 보통이상이 85.3%로 나타났다.

실습지도면에서는 지도자의 성의와 지도자와의 상호대 화는 보통이상이 92.2%, 95.4%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 들이 생각하는 효과적인 실습지도 방법은 89.6%에서 실 제실습 중 교육이라고 대답하였다. 각 실습기관에서 실시 한 집답회에 대해서는 58.6%에서 도움이 되었다고 하였 으며, 27.6%에서는 집담회를 실시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실습 시간면에서 파트별 시간배정에 대해서는 38.2%가 적절하였다고 하였으며, 48.3%가 보통, 13.5%가 적절치 않았다고 하였는데, 이는 실습기간 중 명절이 있어 부족 한 파트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현재 8주로 개설된 임상실습 기간에 대해서는 70.4%가 적절하다고 하였으 며, 적절치 못하다고 답한 학생 103명 중 41.7%가 16주, 30.1%가 4주, 28.2%가 기타(10주, 12주)로 응답하였다.

실습 평가면에서는 임상실습학점이 10학점이나 차지하

여 병원자체만의 평가보다는 시험과 실습보고서 등을 포

함한 전반적인 평가를 선호하였다 (표 2).

(4)

3. 임상실습 후 실습에 대한 만족감

임상실습 후 실습에 대한 만족도를 물어본 결과 74.1%

가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며, 그 이유로는 학습에 대한 이해력 증진이 65.9%, 자신감 획득이 20.1%, 만족스런 대 인관계가 10.1%, 최신기법 학습의 기회가 3.9%로 나타났 다. 임상실습이 필요한가에 대한 질문에 95.4%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여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실습 전에 69.3%가 불안감을 느꼈으며, 그 이 유로는 배운 지식을 적용하는데 자신이 없어서가 47.7%

로 가장 많았다. 실습에 대한 기대감은 배운지식을 활용 한다는데에 대한 기대가 70.9%로 가장 많았으며, 83.9%

의 학생들이 실습에 대한 기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시 필요한 자질로서 우선시 되는 것으로는 성실성 이 45.1%로 가장 많았고, 기초이론지식 19.8%, 원만한 대 인관계 17.8%, 전공지식 16.4% 순으로 나타났다. 졸업 후 진로에 있어서는 임상병리사로서 일하고 싶다가 81.3%로 높게 나타났다(표 3).

4. 대상자의 특성과 만족도와의 관계

대상자의 특성별로 실습에 대한 만족도와 관계를 살펴 본 결과 학과에 대한 만족도가 실습에 대한 기대감과 실 습내용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P<0.05), 다른 인자들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 치지 않았다.

IV. 고 찰

임상실습교육은 임상에서 임상병리사로서의 자질과 전 문지식을 배우고 준비하는 필수적인 과정이다. 임상실습 을 발전된 지식체와 기술, 그리고 체계화된 가치체계, 높 은 수준의 광범위한 교육적인 준비로 보고, 전문 직업적 인 사회화를 통해 발전되고 전수되며 필요한 교육과 실 습을 확실하게 받을 수 있는 구조를 필수적으로 갖추어 야 한다.

본 연구에서 임상병리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태 도를 조사한 결과, 임상실습기간에 대해 70.4%가 만족하 였으며, 실습환경면에서 75.3%가 긍정적인 반응으로 나 타났다. 또한 95.4%가 임상실습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응답하고, 학습에 대한 이해력 증진이나 자신감 획득 등

표 3. 실습에 대한 만족감

항목 구분 명(%)

실습에 대한 만족감

만족도* 만족 258 (74.1)

모름 63 (18.1)

불만족 27 ( 7.8)

느낀 이유 학습에 대한 이해력증진 170 (65.9)

자신감획득 52 (20.1)

만족스런 대인관계 26 (10.1) 최신기법 학습의 기회 10 ( 3.9)

실습의 필요성

반드시 필요 332 (95.4)

모름 9 ( 2.6)

불필요 7 ( 2.0)

실습에 대한 불안감

불안정도 불안감을 느낌 241 (69.3)

못 느낌 98 (28.2)

모름 9 ( 2.5)

느낀 이유 지식 적용시 자신감 부족 115 (47.7) 전공지식 부족 102 (42.3)

대인관계 22 (10.0)

실습에 대한 기대감

기대정도* 예 292 (83.9)

모름 30 ( 8.6)

아니오 26 ( 7.5)

느낀 이유 배운 지식에 대한 활용 207 (70.9) 대인관계에 대한 기대 55 (18.8)

기타 30 (10.3)

기 타

실습시 성실성 157 (45.1)

우선시 기초이론지식 69 (19.8)

되는 원만한 대인관계 62 (17.8)

자질 전공지식 57 (16.4)

기타 3 ( 0.9)

졸업 후 진로 임상병리사 283 (81.3)

모름 59 (17.0)

다른 직종 6 ( 1.7)

* p<0.05

을 실제 임상실습을 통해 얻었다는 결과를 통해 실질적 인 경험을 갖게 되는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 였다.

그러나 실습내용면에서 실제적인 업무위주의 실습이었

다가 53.2%인 반면 단순한 보조업무였다가 39.9%를 보

였으며, 27.6%에서 집담회를 실시하지 않았고, 13.8%가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고 응답한 바 이는 아직도 구체적

(5)

인 교육시스템 확립이 안 된 실습기관이 많고, 체계적인 계획에 의거한 실습 진행과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함을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 또한 임상실습과 관련된 학습을 하고 토의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는 행정적인 배려가 필요하다고 본다.

치위생과 학생들의 경우 임상실습에 대한 만족이 17.5% (양정승, 2000), 간호과의 경우 20.6% (김혜숙, 2002)에 비해 임상병리과의 경우 74.1%로 높게 나타나 임상병리과 학생들이 타 학과 학생들보다 임상실습에 대 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에 대한 불안감에 있어서 임상병리과의 경우 지식적용 시 자신감 의 부족이 47.7%로 가장 높은 반면, 물리치료과의 경우 임상실습에 대한 지식의 부족이 83.2% (이 와 박, 1993), 치위생과의 경우 치과 의사와의 의사소통부족 (41.8%)을 들었다. 이는 간호과, 치위생과, 물리치료과의 경우 임상 병리과와는 달리 대부분 환자를 직접 대한다는 면에서 차이를 보여 임상실습 시 기대감이나 힘든 점 등 직접 비 교하는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임상실습 시 개선하여야 할 점에 대한 개방형 항목에 서는 각 실습기관별로 적절한 학생수 배정의 문제점과 학교강의와 임상실습에 있어서의 차이, 실습기관이 바쁜 관계로 나타나는 지도자의 성의부족 등을 호소하였다. 최 근 자동화가 많이 되어 있어 실제 학교에서의 강의와 임 상에서의 실습에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은 사실이며 이를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이끌어 나가는 것이 교수들과 임상지도자들의 과제라 하겠다. 그리고 현실적으로 임상 병리학의 모든 교과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채 실습을 나 가게 됨으로써 아직 배우지 못한 과목들에 대한 불만도 많았다. 하지만 이것은 각 학교마다 교과과정이 다르고, 학기의 한계가 있으므로 완전하게 해결하기에는 어려움 이 있다고 본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관한 요구 도 및 불만족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재교육에 반영할 수 있는 계기가 되므로 매우 필요하고 중요하다고 보며, 실 습을 진행하고 평가를 하는데 있어서 교수, 지도자나 학 생들 모두가 참고할 기준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며 이 를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일관된 교육목표를 갖도록 학 교와 임상실습현장 모두에서 적극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를 토대로 임상실습에 관한 보다 포괄적이 며 체계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사료 된다.

V. 결 론

본 연구는 임상병리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태도 를 조사하기 위하여 임상실습을 모두 마친 5개 대학 학생 3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04년 3월부터 2004년 5월까지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package를 이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실습기간에 대해 70.4%가 만족하였으며, 임상 실습시 우선시 되는 것으로는 성실성이 45.1%, 기 초이론지식이 19.8%, 대인관계가 17.8% 순으로 나 타났다.

2. 실습내용면에서 53.2%가 실제로 업무위주로 이루어 졌다고 한 반면, 39.9%가 단순한 보조업무였다고 응답하였다.

3. 실습환경면에서 실습시 각 파트별 실습학생 수가 75.3%에서 적당하다고 했으며, 너무 많다가 17.5%, 너무 적다가 7.2%로 나타났다.

4. 실습 중 실시하는 집담회에 대해서는 도움이 되었다 (58.6%), 별 도움이 되지 않았다(13.8%) 순으로 나 타났으며, 27.6%가 실시하지 않았다로 나타났다.

5. 실습 전 실습에 대한 불안감은 69.3%가 느꼈으며, 그 중 배운지식을 적용하는 데 자신이 없어서가 47.7%, 전공지식의 부족이 42.3%, 대인관계가 10.0%로 나타났다.

6. 임상실습 후 74.1%가 실습에 대해 만족하였으며, 그 이유로는 학습에 대한 이해력 증진이 65.9%, 자신 감이 생겼다가 20.1%, 대인관계에 만족했다가 10.1%로 나타났다.

7. 임상실습 후 졸업 후 81.3%가 임상병리사로 일하고 싶다고 응답하였다.

8. 학생들의 특성과 실습에 대한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는 학과에 대해 만족도가 실습에 대한 기대감과 실 습내용에 대한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P<0.05).

위의 내용을 요약하면 임상실습을 통하여 실질적이고

새로운 사회경험을 갖게 되는 측면에서는 긍정적인 반응

을 보이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체계적인 계획

에 의거한 실습과 평가가 병원마다 차이를 두고 있어 구

체적인 실습지침 check list를 만들어 모두에게 방향성을

부여함으로써 개선되리라 판단된다. 우선 구체적인 교육

목표들을 수립하고 그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항목

(6)

들의 설정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이로 인해 학생들이 임상실습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 는 것이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

1. 강경종, 이종상. 전문대학현장실습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 직업교육연구 22(2):43-72, 2003

2. 김주희.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한 태도조사연 구. 대한간호 21(1):45-55, 1982

3. 김현주. 일개 물리치료과 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0(1):173-179, 1998 4. 김혜숙. 간호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임상수행능

력과의 관계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6(1):64-76, 2002

5. 박정란. 전문대학 치위생과 학생의 전공과 및 임상실 습에 대한 태도.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1-34, 1991 6. 양정승. 치위생과 학생의 지역사회구강진료기관 임상 실습에 대한 만족도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4(3):205-216, 2000

7. 이승주, 박윤기. 물리치료과 학생들의 임상실습에 대 한 태도조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5(1):25-37, 1993

수치

표  1.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특    성 구    분 명 % 성    별 남 88 25.3 여 260 74.7 종    교 유 179 51.4 무 169 48.6   타학과  수학경험 유 29 8.3 무 319 91.7 건강상태 양호 213 61.2  보통이하 122 38.8 학과선택동기 본인 179 51.4 주변권유 150 43.1 동기없음 19 5.5 입학  후  만족도 만족 311 89.4  불만족 33 9.5 기타 4 1.1 대인관

참조

관련 문서

undergo a cyclic process whose sole effects are the flow of heat into the system from a cold. reservoir and the flow of an equivalent amount of heat out of the system into

• The specialty of Clinical Electrophysiology physical therapy was approved and board certified in 1982 by the American Physical Therapy Association (APTA) House of

The index is calculated with the latest 5-year auction data of 400 selected Classic, Modern, and Contemporary Chinese painting artists from major auction houses..

1 John Owen, Justification by Faith Alone, in The Works of John Owen, ed. John Bolt, trans. Scott Clark, &#34;Do This and Live: Christ's Active Obedience as the

Colonial Policy and Practice: A Comparative Study of Burma and Netherlands India (1948) was listed in the 14 most influential books of Southeast Asian Studies (Hui 2009).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he treatment of colonoscopic perforation and the availability of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Second, analyzing students' level of interest in the unit of Clothes and Life Style reveal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s and students in the tw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