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혈액투석환자의 피로, 우울, 생리적 지표와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혈액투석환자의 피로, 우울, 생리적 지표와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혈액투석환자의 피로, 우울, 생리적 지표와 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

윤 민 영1 ․ 서 순 림2

1열린내과병원 간호사

2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Relationship among Fatigue, Depression, Physiological indic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under Hemodialysis

Yoon, Min Young

1

ㆍSuh, Soon Rim

2

1

Nurse, Yeolin Internal Medicine Clinic

2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fatigue, depress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Methods: A sample of 176 patients who visited regularly at 13 hemodialysis clinics was recruited from 4

th

to 22

nd

, August, 2009 under the patients' consent.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which composed of quality of life, fatigue, and depression measurements. Physiological indices were used laboratory test finding done at the first day of August. Data were analyz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s of fatigu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were respectively 57.8/120, 23.7/60, and 16.2/30. Physiological indices existed within normal laboratory values. Cacium values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atigue. Fatigue and depression were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In regression analysis, gender, monthly income, protein values, fatigue,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Conclusion: Nurse needs to develop nursing care program focused on fatigue and depression management to keep a goo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Key words : Hemodialysis, Depression, Fatigue, Physiological index, Life quality.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고령화 사회와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만성신부전 진단을 받은 환자 수가 늘어나면서 혈액투석 등록환자 수도 2010년 도 현재 39,509명으로 인구 백 만명당 768.1명으로 급증하 였다(End-stage renal disease registry committee, 2010).

혈액투석은 기계펌프에 의해 혈액이 투석막으로 흐르게 하 여 노폐물과 과잉수분을 제거하는 치료방법으로 효과적이고 안정된 신대체요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일생동안 계속 환자에게 엄격한 식이와 수분제한과 활동제한을 요구함에 따 라 오는 스트레스, 피로감, 우울, 영양불균형 등으로 삶의 질 을 떨어뜨리게 된다(Curtin, Bultman, Thomas-Hawkins, Walters, & Schatell, 2002; Sayin, Mutluay, & Sindel, 2007; Hopman et al., 2009).

삶의 질이란 개인의 삶에서 주관적으로 느끼는 안녕상태

주요어: 혈액투석, 우울증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uh, Soon Rim

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101, Dongin-dong, Jung-gu, Daegu city, 700-422, Korea Tel: 82-53-420-4924, Fax: 82-53-421-2758, E-mail: sh235@ knu.ac.kr

(2)

로서(Ferrans & Power, 1993), 일반인에 비해 혈액투석환 자의 삶의 질이 낮아(Cleary & Drennan, 2005) 투석환자 의 삶의 질을 유지·증진하기 위해서 그 영향 요인들을 분 석할 필요가 있다.

주요 영향요인인 피로감은 투석환자의 70%이상에서 호 소하는 흔한 증상으로서 환자가 피로감이 증가되는 것이 두려워 일상생활이나 사회생활을 꺼리게 되어 결과적으로 삶의 질이 떨어지게 된다(Kring & Crane, 2009). 이러한 피로감은 성별, 신체적 증상, 진단 시기, 생리적 지표, 투 석 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피로감이 심해지면 우울증상도 증가하여, 피로와 우울이 삶의 질에 주요 예측 인자로 작용하였다(Han & Kim, 2005; Liu, 2006; Kim, 2001).

피로감과 함께 혈액투석환자에게 가장 일반적인 정신사 회적 문제는 우울로서, 대상자의 47-77.4% 정도가 중증도 이상의 우울을 경험하고 있다고 알려졌고, 이러한 투석환자 의 우울은 삶의 질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Jo &

Sung, 2000; Lu, Chen, Huang, & Su, 2010).

환자의 연령, 교육수준, 결혼상태, 경제상태, 주관적 건 강상태와 같은 인구학적 요인도 삶의 질의 영향요인으로 고령일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혼자 살고 있는 사람에 서, 경제수준이 낮을 때, 그리고 주관적으로 건강하지 않다 고 인지할수록 삶의 질이 낮았다(Chun & Jung, 2000;

Jo & Sung, 2000; Kim, Kim, Kwon & Kang, 2009).

또한 말기신부전 환자의 평가와 중재를 위한 가이드라인 (Hogg et al., 2003)에서 빈혈은 혈색소, 영양장애는 단백 질과 알부민, 골대사 이상에는 칼슘과 인을 생리적 지표로 정의하면서 말기신부전환자의 평가와 중재를 위해 필수적 으로 평가하여야 한다고 하였는데, 이들 생리적 지표가 비 정상일 때 혈액투석환자의 피로감이 높아지고 그 결과 삶 의 질을 떨어진 연구결과가 있었다(Morsch, Goncalves,

& Barros, 2006; Park, 2006).

이상의 선행 연구에 의하면 인구학적 특성과 생리적 지 표, 피로감, 우울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나나 이들 영향요인들이 어느 정도 삶의 질에 영향력이 있 는지 분석하여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간호 중재 방안모색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1) 피로, 우울, 생리적 지표, 삶의 질을 파악한다.

2) 일반적 특성, 생리적 지표, 피로, 우울,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3) 일반적 특성, 생리적 지표, 피로, 우울이 삶의 질에 미 치는 영향력을 파악한다.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들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횡단적 단면조사 연구설계를 하였다.

2.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 대전, 대구, 부산, 울산, 제주도에 소재한 1개 법인 산하 13개 혈액투석 인공신장실 에서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200명 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배부하여 편의 표집 하 였다. 자료수집 결과 미비한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 157명 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의 선정 기준은 1) 만 18세 이상 성인 환자로 혈액투석 치료 기간이 3개월 이상인 자 2) 매주 2회 이상 정기적으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자 3)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한 신체적, 정신적 질환에 대한 병력 이 없는 자 4) 질문지를 읽고 응답할 수 있거나 의사소통 이 가능한 자이었다. 본 연구 대상자 176명은 유의수준 .05, 중간정도의 효과크기(.15), 12개 예측인자로 회귀분석 하였을 때 G power 3.0 계산에서 검정력 .939 이었다.

3. 자료 수집 방법

자료의 수집기간은 2009년 8월 4일부터 8월 22일까지

이었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본 연구자가 재단의 허락을

받고 각 지역 인공 신장실의 책임자에게 연구의 내용과 목

적을 설명하고 설문 조사를 승인받았다. 선정기준에 부합되

는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 연구방법, 익명성과 비밀

보장에 대한 설명과 연구 참여 중이라도 언제든지 참여를

철회할 수 있다는 내용을 설명한 후 설문지에 첨부된 동의

서에 자필 서명을 받았다. 자발적 동의와 참여를 통해 연

구를 시행되도록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였다. 연구 참여에

수락한 대상자에게는 설문지 작성 요령을 설명하고 직접

작성하거나, 도움이 필요한 대상자들은 간호사가 읽어주고

환자가 응답하였다. 대상자의 투석 관련 생리적 지표 중

(3)

헤모글로빈, 칼슘, 인, 칼륨, 나트륨, 단백질, 알부민은 2009년 8월 첫째 주의 검사결과 수치로 하였다.

4. 연구도구

1) 삶의 질

Ferrans과 Powers (1985)의 Dialysis Version Ⅲ 삶의 질 도구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먼저 원 도구를 연구자가 한국어로 번역하였고, 역 번역은 미국에 있는 한국인 박사 과정생이면서 현장 실무를 하고 있는 acute care nurse practitioner에게 하게 한 후, 원도구와 역번역한 도구를 비교 검토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한국어로 번역한 도 구는 Ferrans과 Powers의 홈페이지에 탑재하였다. 본 도 구는 건강·기능 영역 14문항, 사회·경제 영역 8문항, 심 리·정신 영역 7문항, 가족 영역 5문항으로 4가지 하부영역 의 총 34문항으로서 삶의 만족도와 중요도를 각각 측정하도 록 되어 있다. 삶의 만족도는 각각‘1=매우 불만족’에서

‘6=매우 만족’까지, 삶의 중요도는‘1=매우 안 중요’에서

‘6=매우 중요’까지의 각각 6점 척도로서 점수화는‘각 항 목의 삶의 질 = (삶의 질 만족도 - 3.5) × (삶의 질 중요 도)’,‘전체의 삶의 질 = {(각 항목의 삶의 질 점수의 합)/

(문항 수)} + 15’,‘각 하부영역의 삶의 질 = {(각 하부영 역 삶의 질 점수의 합)/(문항 수)} + 15’로서 가중 값의 범 위는 0-30점이 되고 총 점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음을 의미한다(Ferrans & Powers, 1985; Ferrans & Powers, 1993). 도구의 개발당시 내적 일관성 신뢰도 Cronbach's alpha값은 .93이었고, 하부영역인 건강·기능 영역의 Cronbach's alpha는 .87, 사회·경제 영역의 Cronbach's alpha는 .82, 심리·정신 영역의 Cronbach's alpha는 .90, 가족 영역의 Cronbach's alpha는 .77 이었다 (Ferrans & Powers, 1993). 본 연구에서는 전체의 내적 신뢰도 Cronbach's alpha는 .94이며, 하부영역인 건강․기 능 영역 신뢰도 Cronbach's alpha는 .90, 사회·경제 영 역 신뢰도 Cronbach's alpha는 .80, 심리·정신 영역 신 뢰도 Cronbach's alpha는 .90, 가족 영역 신뢰도 Cronbach's alpha는 .79이었다.

2) 피로

본 도구는 Yoshitake (1971)가 개발한 피로 자각증상 측정을 Kim (1989)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대상자가 평소에 느끼는 피로감에 대하여 없다가 1점에서 항상 그렇

다가 4점인 척도로 3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문항 을 합산하여 얻은 값의 범위는 30-120점으로 총점수가 높 을수록 피로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개발 당시 신뢰도 Cronbach's alpha는 .94였으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alpha는 .96이었다.

3) 우울

본 연구에서는 사용된 우울 측정도구는 Radloff (1977)가 개발한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는 Jeon과 Rhee (1992)에 의해 번역되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된 한국판 CES-D로 측정한 점수이 다. 총 20문항으로 3점(0-3)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우울감의 척도로 사용하였다. 20문항 합을 구하여 얻은 값 의 범위는 0-60점이 되고 총 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이 높음 을 의미한다. 긍정적 감정인 4개 문항은 역으로 환산 하였 다. 개발 당시 신뢰도 Cronbach's alpha는 .89이었으며, 본 연구에서 신뢰도 Cronbach's alpha는 .91이었다.

4) 생리적 지표

투석관련 생리적 지표는 혈액투석환자들을 대상으로 8월 첫 주 투석전에 혈액을 채검하여 정기적으로 측정하는 헤 모글로빈, 칼슘, 인, 칼륨, 나트륨, 단백질, 알부민 검사 결과이다.

5. 자료 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는 Lisrel 8.2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분석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투석관련 특성의 백분율을 구하였다. 혈액투석환자가 느끼는 피로, 우울, 삶의 질에 대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과 투석관련 특성별 피로, 우울, 삶의 질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분산분석과 t-검정을 이용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단순분석에 유의한 변수를 토대로 피로와 우울 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 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연령 분포는 40대가 36.9%로 가장 많았으며,

(4)

50대가 27.3%순이었고, 성별로는 남성이 61.9%, 결혼 상 태는 기혼자가 72.7%이었다. 학력은 고졸이 43.8%, 대졸 이 30.1%순이었다. 월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50.6%로 과 반수를 차지했으며, 현재 직업은 없는 군이 58%이었다. 주 당 투석횟수는 3회가 97.7%로 대다수이었다. 혈액투석 경 력은 5년 이상이 61.4%, 3년 미만이 20.5%순이었다. 원인 신질환은 사구체 신염이 34.1%, 당뇨가 22.2%, 고혈압이 21.0%이었다 (Table 1).

2. 대상자의 피로, 우울, 삶의 질, 생리적 지표 수준

대상자의 피로는 평균 57.8점으로 나왔으며, 우울은 평균 23.7점이었다. 삶의 질은 평균 16.2점이었으며, 하부 영역 의 삶의 질은 건강 ․ 기능 영역 삶의 질은 평균 15.0점, 사회

․ 경제 영역 삶의 질은 평균 16.7점, 심리 ․ 정신 영역 삶의 질은 평균 15.7점, 가족 영역 삶의 질은 평균 19.3점이었 다. 대상자의 생리적 지표는 헤모글로빈이 평균 10.6g/dL, 칼슘이 평균 9.2mg/dL, 인이 평균 5.5mg/dL, 칼륨이 평 균 5.4meq/L, 나트륨이 평균 138.2meq/L, 단백질이 평균 6.8mg/dL, 알부민이 평균 4.0mg/dL이었다(Table 2).

3. 대상자의 피로, 우울, 생리적 지표와 삶의 질 과의 관계

칼륨 수치와 피로 간에도 약한 상관성(r=.15, p<.05)을 나타냈다. 우울과 피로는 강한 양적 상관관계(r=.77, p<.05)를 보였고, 우울과 삶의 질(r=-.59, p<.05), 피로와 삶의 질(r=-.55, p<.05)간에는 각각 중정도이상의 부적 상 관관계로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able 3).

4. 일반적 특성, 피로, 우울, 생리적 지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생리적 지표, 피로, 우울을 단계적으로 투입하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 한 결과, 모델 1에서는 일반적 특성과 생리적 지표를 투입 한 결과, 성별, 월수입, 투석기간, 칼륨 수치, 단백질 수치 가 대상자의 삶의 질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설명력은 20.9%이었다. 모델 2에서는 피로(β=-.51)가 투입되어 삶 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설명력은 41.5%로서 피로가 삶의 질 설명력을 20% 증가시켰고 모델 3에서는 피로(β

=-.19)와 우울(β=-.38)이 투입되어 삶의 질에 대한 설명 력은 46.4%이었다(Table 4).

논 의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피로와 우울정도를 파악하고 피로와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 다. 본 연구에서 혈액투석환자의 피로는 120점 만점에 평균 57.8점으로 중간 정도로 나타났다. 국내 선행연구에서도 (Kim, 2001) 혈액투석환자의 피로 정도는 중간정도로 본 연구와 일치하였고, 타이완과 미국에 혈액투석환자의 피로 정도 역시 중간 정도 수준(Liu, 2006; Kring & Crame, 2009)이어서 혈액 투석환자는 지속적으로 중간정도의 피로 를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대상자의 우울은 60점 만점에 평균 23.7점으로 중등도이었는데, 이는 Jeong (2006)와 Park (2006)의 연구에서 혈액투석환자의 우울 점수가 각각 23.5점, 22.4점이였던 것과 거의 유사하 였다. 혈액투석환자의 생리적 지표인 헤모글로빈, 칼슘, 인, 칼륨, 소디움, 단백질, 알부민의 수치는 모두 정상범위 기준 이내에 있었다.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은 30점 만점에 평 균 16.2점으로 중간정도이었으며 하부 영역별 평균점수를 볼 때 삶의 질 평균 이하의 점수를 보인 영역은 건강과 기 능 및 심리정신 영역으로서 반복적인 혈액투석으로 건강기 능과 심리정신 측면의 삶의 질이 다른 영역보다 떨어진 것 으로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와 같은 도구로 측정한 국외 연구(Kring & Crane, 2009; Revenda, 2005)에서 혈액투 석환자의 삶의 질 점수가 각각 21.14점, 22.50점인 것과 비교해 볼 때 본 연구 대상자의 삶의 질이 더 낮았고 이들 의 연구에서도 건강과 기능 영역은 평균에 비해 떨어져 본 연구와 유사하였으나 심리정신 영역은 그렇지 않아 본 연구 대상자와는 달랐다. 따라서 우리나라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방안과 특히 건강과 기능측면 그리고 심리 정 신 영역을 유지 증진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본 다.

우울과 피로간의 상관정도가 매우 강하게 나타났고 우울 과 삶의 질 그리고 피로와 삶의 질 간에도 유의한 음의 상 관관계로서 중정도 이상으로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 Park (2006)와 일치하였고, Liu (2006)의 연구에서도 피로와 우 울이 강한 관계를 나타내 본 연구와 같은 양상을 보였다.

이들 우울과 피로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생리적 지

표를 포함하여 삶의 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를 본

연구결과에서는 일반적 특성과 생리적 지표를 투입한 모델

1에서는 성별, 월수입, 투석기간, 칼륨 수치가 약 21% 삶

이 질을 예측하였다. 이는 Lee (2007)의 연구에서 삶의 질

(5)

Characteristics n %

Age (yr)

≤39 25 14.2

40-49 65 36.9

50-59 48 27.3

60≤ 38 21.6

Sex

Male 109 61.9

Female 67 38.1

Marriage

Unmarried or single 48 27.3

Married 128 72.7

Education

Elementary school 22 12.5

Middle school 24 13.6

High school 77 43.8

College or above 53 30.1

Monthly income (won)

Less than 1,000,000 89 50.6

1000,000-1500,000 25 14.2

1,500,000-2,000,000 25 14.2

More than 2.000,000 37 21.0

Occupation

Employed 74 42.0

Unemployed 102 58.0

Dialysis times per week

2 2 1.1

3 172 97.7

4≤ 2 1.1

Hemodialysis duration (yr)

<3 36 20.5

3-5 32 18.2

5< 108 61.4

Predisposing disease

Diabetes 39 22.2

Hypertension 37 21.0

Glomerulonephritis 60 34.1

Others 40 22.7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

N

=176)

(6)

Variables Mean SD Normal range

Fatigue 57.8 17.53

Depression 23.7 10.85

Quality of life 16.2 3.96

Health․Functioning 15.0 4.48

Social․Economic 16.7 3.99

Psychological․Spiritual 15.7 5.28

Family 19.3 5.12

Physiological indices

Hemoglobin (g/dL) 10.6 1.02 >10.0

Calcium (mg/dL) 9.2 0.89 8.2-10.8

Phosphorus (mg/dL) 5.5 1.71 3.0-5.4

Potassium (meq/L) 5.4 0.80 <5.5

Sodium (meq/L) 138.2 2.71 132.0-146.0

Protein (mg/dL) 6.8 0.59 >6.0

Albumin (mg/dL) 4.0 0.28 >3.8

Table 2.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Variables (

N

=176)

Hemoglobin Calcium Potassium Depression Fatigue Quality of life Hemoglobin 1.00

Calcium .08 1.00

Potassium -.01 -.01 1.00

Depression -.03 .13 .14 1.00

Fatigue -.04 .10 .15* .77* 1.00

Quality of life .02 -.13 -.14 -.59* -.55* 1.00

Table 3. Correlation Matrix of the Study Variables (

N

=176)

*

p

<.05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나이, 희망, 가정 월수입 이라고 한 결과에서 월수입을 제외하고는 서로 일치되지 않았다. 그러나 생리적 지표는 칼륨 수치를 제외하고는 유 의한 영향력이 없어서 Kim, Kim. Song, Oh와 Kim(2003)의 연구에서 알부민 농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나타났고, Park (2006)의 연구 에서는 헤모글로빈, 알부민, 단백질의 수치가 치료범위 이 하 일 때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고 한 결과와는 차이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대상자의 생리적 지표가 정상 범주 안에 있었다는 점이 영향을 미쳐 기존 연구와 차이가 있게 나타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모델 2에서 피로가 투입되었을 때 약 20%이상 삶의 질 예측력이 증가하였고 마지막으로 우울을 투입하였을 때 최

종 설명력이 약 47%로서 모델 2에서보다 약 5% 증가하였 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피로와 우울이 삶의 질 전체 설 명력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에서 피로의 영향 력이 가장 컸다.

피로가 높을수록 환자의 삶의 질이 낮은 결과는 투석환자

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한 연구(Kim, et al.,

2003)에서도 피로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14%의

설명력을 보인 결과와 같았다. 우울 역시 우울정도가 심할수

록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결과는 우울

의 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 정도가 낮아진다는 연구결과

(Jo & Sung, 2000)와 유사하였다. 우울은 대상자의 질병

회복과 예방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서 우울이 투석중인

환자의 삶의 질에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Kimmel

(7)
(8)

et al., 1995)와도 일치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혈액투석환자의 피로와 우울은 상 관성이 매우 높고 피로와 우울을 감소시키는 중재를 통해 삶을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혈액투석환자 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피로감 감소를 위한 간호 중재와 심리적 안위를 도모하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혈액투석환자의 피로와 우울은 상 관성이 매우 높고 피로와 우울을 감소시키는 중재를 통해 삶을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혈액투석환자 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피로감 감소를 위한 간호 중재와 심리적 안위를 도모하기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 미치는 요인인 피로, 우울, 생리적 지표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혈액투석 환자 176명을 대상으로 Ferrans &

Powers (1985)의 Dialysis Version Ⅲ을 삶의 질 도구, Yoshitake (1971)의 피로 자각 증상 측정을 피로도구, Radloff의 CES-D를 우울도구로 사용하여 2009년 8월 4 일부터 22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피로는 평균 57.8점으로 중간정도이었으며, 우울은 평균 23.7점로서 중등도의 우울 증상을 보였다. 그 리고 삶의 질은 평균 16.2점으로 중간 정도이었다. 생리적 지표는 헤모글로빈이 10.6g/dl, 칼슘 9.2mg/dl, 인 5.5mg/dl, 칼륨 5.4meq/L, 나트륨 138.2meq/L, 단백질 6.8mg/dl, 알부민 4.1mg/dl로서 정상범위 내에 있었다. 삶 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결과에서는 성별, 월수입, 투석기간, 칼륨 수치, 피로, 우울이 영향을 미쳤는 데, 특히 피로와 우울이 투입되었을 때 삶의 질 예측력이 25%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혈액투석환자의 삶의 질은 피로를 감소시키는 중재로 우울을 낮추는 심리적 중재가 삶의 질 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피로와 우 울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실증적으로 증명하는 연구를 제안한다.

References

Cleary, J. & Drennan, J. (2005). Quality of life patients on hemodialysis for end-stage renal diseas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1(6), 577-586.

Chun, C, J. & Jung, Y. M. (2000). Comparison of self-esteem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on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2(4), 706-716.

Curtin, R. B., Bultman, D. C., Thomas-Hawkins, C., Walters, B. A. & Schatell, D. (2002). Hemodialysis patients' symptom experiences : Effects on physical and mental functioning. Nephrology Nursing Journal, 29(6), 567-574.

End-stage renal disease registry committee (2010). Bureau of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Retrieved February 11, 2012, from http://www.ksn.or.kr/journal/2010/

Ferrans, C. E. & Powers, M. J. (1985). Quality of life index :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Advance in nursing science, 8(1), 15-24.

Ferrans, C. E. & Powers, M. J. (1993).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 American Nephrology Nurses Associatiom Journal, 20(5), 575-581.

Han, S. S., & Kim, Y. H. (2005). Factors predicting depression in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Hogg, R. J., Furth, S., Lemley, K. V., Portman, R., Schwartz, G. J., Coresh, J. et al. (2003). National kidney foundation's kidney disease outcomes quality initiativ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chronic kidney diseas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 Evaluation, classification, and stratification.

Official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111(6), 1416-1412.

Hopman, W. M., Harrison, M. B., Coo, H., Friedberg, E., Buchanan, M. &  VanDenKerkhof, E. G.

(2009). Associations between chronic disease, age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status. Chronic diseases in Canada, 29(2), 108-116.

Jeon, K. K. & Rhee, M. K. (1992). Preliminary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CES-D.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1(1), 65-76.

Jeong, Y. K. (2006). A study on Hemodialysis patients'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hope. Unpublished

(9)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Jo, K. H. & Sung, K. W. (2000). The effect of anticipated variables on hemodialysis patient's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iy of Nursing, 30(2), 413-423.

Kim, D. H. (1989). Comparison of Subjective symptoms of Fatigue and salivary pH among teachers between special school and elementary.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2(4), 506-517.

Kim, H. K. (2001). Study on the fatigue levels of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im, M. H., Kim, M. S., Kwon, O. J., & Kang, C.

M. (2009).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kidney transplant patients and dialysis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Transplantation, 23, 65-70.

Kim, M. J., Kim, N. C., Song, H. J., Oh, J. A., & Kim, T. Y. (2003).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patients on di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Fundamental Nursing. 10(2), 163-170.

Kimmel, P. L., Peterson, R. A., Weihs, K. L., Simmens, S. J., Boyle, D. H., Cruz, I., Umana, W.o O., Alleyne, S. & Veis, J. H. (1995). Aspects of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6, 1418-1426.

Kring, D. L. & Crane, P. B. (2009).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 persons on hemodialysis.

Nephhrology nursing journal, 36(1), 15-24.

Lee, B. K. (2007). A study of hope and quality of life in 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ens University, Seoul.

Liu, H. E. (2006). Fatigue and associated factors in hemodialysis patients in taiwan.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9, 40-50.

Lu, S., Chen, S., Huang, S. & Su, L. (2010). Analysis of sleep disturbanc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maintenance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Nursing & Healthcare Research, 6(1), 33-43.

Morsch, C. M., Goncalves, L. F., & Barros, E.

(2006).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hemodialysis patients-relationship with clinical indicators, morbidity and morbidit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5, 498-504.

Park , Y. H. (2006). Hemodialysis patients' stress, depression, fatigue and quality of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Radol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op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Revenda, A. (2005). Using the ferrans and powers quality of life index of dialysis (A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in older and young african americans receiving hemodialysis). Topics in Geriatric Rehabilitation, 21(3), 230-232.

Sayin, A., Mutluay, R., & Sindel, S. (2007).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eritoneal dialysis, and transplantation patients. Transplantation Proceedings, 39, 3047-3053.

Yoshitake, H. (1971). Relations between the symptoms

and the feeling of fatigue. Ergonomics, 14(1),

175-186.

(10)

수치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 N =176)
Table 2.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Variables              ( N =176)

참조

관련 문서

In conclusion, escape from daily life, physical fitness and health,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important fun factors influencing teacher

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일반적 특성과 건강관련 특성,거주관련 현황,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역,보완대체의 학 실태는 빈도분석을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depression and related factors affecting children's depression among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Methods: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and the 9-item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as screening instruments for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ancer.. Ag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with Diabetes

quality of life and improved standard of living, and as reflected in this popular desire, kiosks provide various forms of food-related information and have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psychological health factors such as stress percept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re related to the quality of sleep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vening meals for adult women by using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